KR20230035829A - 다량의 설탕을 포함하며 거품이 나는 크림 타입의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다량의 설탕을 포함하며 거품이 나는 크림 타입의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5829A
KR20230035829A KR1020210118309A KR20210118309A KR20230035829A KR 20230035829 A KR20230035829 A KR 20230035829A KR 1020210118309 A KR1020210118309 A KR 1020210118309A KR 20210118309 A KR20210118309 A KR 20210118309A KR 20230035829 A KR20230035829 A KR 20230035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ub
cosmetic composition
weight
suga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8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보은
김현나
강병하
박명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8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5829A/ko
Priority to PCT/KR2022/013217 priority patent/WO2023033597A1/ko
Publication of KR20230035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58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2Gas releasing
    • A61K2800/222Effervesc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8Rubbing or scrubbing compositions; Peeling or abrasive compositions; Containing exfoliants

Abstract

본 발명은 다량의 설탕을 포함하며 거품이 나는 크림 타입의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스크럽부, 폴리올부, 유상부 및 계면활성제부를 적절 혼합 비율로 혼합하여 안정한 크림 타입의 제형을 구현하여, 피부 부착력이 높아 사용하고자 하는 특정 부위에 제형을 부착시키는 것이 용이하며, 뛰어난 각질 제거 효과를 부여할 수 있으며, 기존의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보다 거품력과 보습력에 있어서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량의 설탕을 포함하며 거품이 나는 크림 타입의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Scrub cosmetic composition of cream type containing of a lot of sugar}
본 발명은 제형 안정도가 뛰어난 다량의 설탕을 포함하는 거품이 나는 크림 타입의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효과적인 각질 제거를 위해 미세 플라스틱 (Microplastics)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여기에서 미세 플라스틱이란 의도적으로 제조된 미세화 된 크기 5 mm 이하의 합성 고분자 화합물로 구체적으로는 화장품 또는 세제 등에 사용하는 마이크로비즈 (Microbeads)라고 칭해지는 고체 플라스틱을 말한다. 기존의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미세 플라스틱은 물과 함께 씻겨 내려가서 세면대로 흘러간다. 문제는 이러한 미세 플라스틱은 하수처리 시설에 걸러지지 않을 만큼 크기가 작다는데 있다. 이렇게 흘러간 미세 플라스틱은 강, 하천을 지나 바다로 직행하여 해양 생태계를 위협할 수 있다. 따라서, 전 세계적으로 환경을 보호하고자 이러한 미세 플라스틱을 퇴출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미세 플라스틱의 사용 대신 원물 재료를 선택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대표적인 예로 설탕 및 소금이 있다. 이러한 재료 중에서도 설탕은 스크럽 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높은 보습감을 주어 스크럽제로 많이 활용되는 추세이다. 다만, 종래의 다량의 설탕을 포함하는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화장료 조성물을 구성하고 있는 수상층이나 오일층이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위로 베어나와 제형이 안정하지 못한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제형 내에서 오일층이 분리 됨에 따라 사용시 별도의 스패출러 (Spatula)로 섞어서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경우는 주로 설탕을 폴리올에 분산시킨 형태이기 때문에 크림타입으로 볼 수 없고, 설탕 입자간에 부착성이 낮아 적당량을 손에 덜었을 때 제형이 성상을 유지하지 못하여 손에서 잘 떨어지므로 원하는 부위에 쉽게 바르기 어렵다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이 경우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을 구현하기 위한 경도 형성에도 어려움이 있으며, 제형 안정도와 크림 타입의 제형 구현의 어려움으로 설탕을 고함유하는 스크럽제의 경우 튜브 타입 부자재로 제품을 개발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량의 설탕을 포함하는 크림 타입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시도하였으며, 더 나아가, 물에 닿으면 거품이 나는 설탕 스크럽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여 샤워와 각질 제거를 동시에 할 수 있는 안정한 제형 개발의 방안을 모색하였다. 다만, 워시 타입으로 다량의 설탕을 포함하는 거품이 나는 크림 타입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는 크림 제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형상 수분이 최소화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수분을 다량 함유하는 계면활성제부의 함유량을 줄이게 되어, 거품이 나며 설탕을 고함유한 제형을 구현하는데 기술적으로 어려움이 있다.
종래의 기술로 입자 과포화 기술이 필요 없는 원물 (예를 들어, 호두껍질가루)을 이용한 바디워시와 유사한 젤 타입에 점증제를 과량 첨가한 후, 다량의 스크럽제를 함유하여 거품이 나는 워시 타입의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제조의 기술이 적용된 제품이 출시된 예가 있으며, 설탕 대신 소금을 다량 포함하는 워시 타입의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소금은 과포화가 용이하여 거품이 나는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을 구현하는 것이 설탕보다 용이하나, 소금은 설탕보다 물에 잘 녹는 성질이 있어서 수분을 다량 함유하는 계면활성제와 배합 시 물에 쉽게 녹아 피부에 와닿는 스크럽감이 적으며, 소금이 계면활성제의 변성을 가져와 거품이 잘 나지 않는 등 워시 타입의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의 기술 적용이 어렵다.
또한, 종래에는 오일 및 계면활성제부를 안정적으로 설탕 스크럽과 함께 배합하는 것이 어려워 단순 분산으로 제형을 섞어 놓는 방향으로 제품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기존의 제형은 단순분산으로 설탕 스크럽부를 배합한 제형을 튜브 타입의 용기에 충전 시, 분리된 수상 또는 오일상이 먼저 토출되는 문제가 발생하여 튜브 타입으로 개발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튜브 타입은 수분이 많은 욕실에서 사용하는데 제품의 위생 및 세균 번식을 막는데 효과적이므로, 이를 적용한 세정제품이 선호됨에도 불구하고, 설탕을 고함유한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다량의 설탕을 포함하며 스크럽 효과는 높이면서, 안정된 크림 타입의 제형을 유지하고, 세정 시 거품이 잘 날 수 있는 다량의 설탕을 포함하는 거품이 나는 크림 타입의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자들은 다량의 설탕을 포함하는 거품이 나는 크림 타입의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스크럽부, 폴리올부, 유상부 및 계면활성제부를 포함하는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이 안정된 크림 타입의 제형을 유지하고, 각질 제거 효과가 뛰어나며, 거품력과 보습력이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크럽부, 폴리올부, 유상부 및 계면활성제부를 포함하는 거품이 나는 크림 타입의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다량의 설탕을 포함하는 거품이 나는 크림 타입의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스크럽부, 폴리올부, 유상부 및 계면활성제부를 포함하는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이 안정된 크림 타입의 제형을 유지하고, 각질 제거 효과가 뛰어나며, 거품력과 보습력에 있어서 월등히 우수함을 규명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예는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크럽부, 폴리올부, 유상부 및 계면활성제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스크럽부는 설탕, 소금, 커피가루, 호두껍질가루, 살구씨 가루, 코코넛야자껍질 가루, 밤껍질 가루 및 서양배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설탕은 정백당, 갈설탕 및 흑설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설탕은 사이즈에 무관하게 사용이 가능하나, 미립 설탕으로 문지를 때는 스크럽감이 감소되어 자극감이 적고, 정립당으로 문지를 때는 피부에 접촉 시 스크럽 효과가 강하며 자극감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미립 설탕은 입도가 0.17 내지 0.23 mm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세립 설탕은 입도가 20 내지 40 mm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정백당은 설탕의 입자 사이즈에 무관하게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스크럽부는 총 화장료 조성물 중량 대비 30 내지 80 중량%, 30 내지 75 중량%, 30 내지 70 중량%, 30 내지 65 중량%, 30 내지 60 중량%, 35 내지 80 중량%, 35 내지 75 중량%, 35 내지 70 중량%, 35 내지 65 중량%, 35 내지 60 중량%, 예를 들어, 40 내지 60 중량%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올부는 폴리글리세릴-3,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라이콜, 프로판디올 및 1,3-부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올부는 총 화장료 조성물 중량 대비 15 내지 60 중량%, 15 내지 55 중량%, 15 내지 50 중량%, 15 내지 45 중량%, 15 내지 40 중량%, 15 내지 35 중량%, 20 내지 60 중량%, 20 내지 55 중량%, 20 내지 50 중량%, 20 내지 45 중량%, 20 내지 40 중량%, 20 내지 35 중량%, 25 내지 60 중량%, 25 내지 55 중량%, 25 내지 50 중량%, 25 내지 45 중량%, 25 내지 40 중량%, 25 내지 35 중량%, 30 내지 60 중량%, 30 내지 55 중량%, 30 내지 50 중량%, 30 내지 45 중량%, 30 내지 45 중량%, 예를 들어, 30 내지 35 중량% 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올부는 총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함량 및 종류에 따라 제형의 쫀득한 사용감이 변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올부는 40 중량% 초과 사용 시에는 쫀득한 사용감이 강조된 크림 성상을 유지하며, 15 중량% 미만 사용시에는 크림성상이 구현은 가능하지만, 쫀득한 사용감 및 늘어나는 성상보다는 일반 크림성상의 제형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상부는 고급알코올류, 고급지방산류, 왁스류, 오일류 및 유화제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급알코올류는 세틸알코올, 이소스테아릴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및 라우릴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급지방산류는 카르복실기를 1개 가지는 사슬모양의 산 (acid)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급지방산류는 카프릴산, 라우린산, 스테아린산,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및 스테아린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급지방산류는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와 같이 고급지방산에서 얻은 산과 글리세린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지방성분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왁스류는 비즈왁스, 멀티왁스, 칸델릴라왁스 및 선플라워 왁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오일류는 호호바 오일, 아보카도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아몬드씨 오일 및 포도씨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상부는 총 화장료 조성물 중량 대비 4 내지 20 중량%, 4 내지 18 중량%, 4 내지 16 중량%, 4 내지 14 중량%, 4 내지 12 중량%, 4 내지 10 중량%, 6 내지 20 중량%, 6 내지 18 중량%, 6 내지 16 중량%, 6 내지 14 중량%, 6 내지 12 중량%, 6 내지 10 중량%, 예를 들어, 9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상부는 경도를 형성해주고, 스크럽부 및 폴리올부의 결합을 도와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상부의 함량이 높을수록 더욱 크림상에 가깝고, 함량이 낮을수록 흐름성을 가지는 저점도의 스크럽제가 된다. 유상부는 4 중량% 보다 낮은 값으로 함유 가능하나, 이 경우 제형의 흐름성이 높고 점도가 낮아 흘러내리기 때문에 스크럽 사용성이 떨어지거나 설탕을 뭉쳐놓은 형상을 나타내며 늘어나는 성상을 잃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계면활성제부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비누화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소듐라우릴설페이트,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 암모늄라우릴설페이트, 소듐C14-16올레핀설포네이트, 포타슘코코일글리시네이트 및 소듐코코일이세티오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코코베타인, 라우라미도프로필베타인, 라우릴하이드록시설테인,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및 디소듐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라우릴글루코사이드, 데실글루코사이드 및 코코-글루코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비누화 계면활성제는 포타슘코코에이트, 포타슘올리베이트, 포타슘라우레이트, 포타슘미리스테이트 및 포타슘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계면활성제부는 총 화장료 조성물 중량 대비 1 내지 20 중량%, 1 내지 15 중량%, 1 내지 10 중량%, 1 내지 5 중량%, 5 내지 20 중량%, 5 내지 15 중량, 5 내지 10 중량%, 예를 들어, 5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계면활성제부는 포함하지 않아도 제형 구현이 가능하나, 1 중량% 미만 사용시에는 거품이 거의 나지 않아 거품이 나는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구현의 취지에 맞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계면활성제부는 총 화장료 조성물 중량 대비 1 중량% 이상 사용시 거품이나는 크림 타입의 안정한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계면활성제부는 총 화장료 조성물 중량 대비 20 중량% 이상 함유가 가능하나, 이 경우, 20도 상온을 기준으로, 계면활성제부가 정제수를 설탕 함량 대비 50 중량% 이상 포함하면 정제수에 의해 설탕 입자가 녹아 스크럽감이 거의 느껴지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계면활성제부는 20 중량% 보다 다량 함유시 스크럽제보다는 거품이 나는 크림상의 바디워시의 역할에 가까워 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계면활성제부는 총 화장료 조성물 중량 대비 20 내지 30 중량% 함유 시, 고상의 계면활성제나 물을 포함하지 않는 계면활성제류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를 단독으로 사용 할 경우 제형의 경도가 과도하게 높아 제형의 떠짐성이 좋지 않아 사용이 용이하지 않으며, 고상의 계면활성제의 용해가 쉽지 않아 제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올부:유상부의 적정 배합비는 1 내지 6:1 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크럽부, 폴리올부, 유상부 및 계면활성제부의 중량비는 45:35:10:5 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스크럽부 함량과 총 화장료 조성물 내 정제수 함량이 본 제형의 스크럽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스크럽부 함량: 정제수 함량의 적정 배합비는 3:1 내지 10:1 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은 정제수를 다량 함유한 계면활성제를 과량 사용할 경우, 설탕의 용해로 스크럽감이 느껴지지 않아 스크럽제의 특징을 잃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은 20 ℃의 상온에서 정제수 100 ml에 대한 설탕의 용해도는 205 g 내외로 설탕의 함량이 보다 낮아지게 되면 스크럽제의 성질을 잃게 될 수 있다. 또한, 보다 고온에서는 설탕의 용해도가 더 좋기 때문에 설탕 함량이 수분 함량의 3배 이하로 함유시에는 설탕이 물에 모두 녹아 스크럽의 역할을 하지 못하여 안정도가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은 금속이온봉쇄제, 방부제, 향료, 각질 용해제 및 첨가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금속이온봉쇄제는 다이소듐이디티에이, 테트라소듐이디티에이, 소듐파이테이트 및 트라이소듐에틸렌다이아민다이석시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방부제는 펜틸렌글라이콜, 1,2-헥산디올, 카프릴릴글라이콜, 페녹시에탄올, 파라벤 및 에칠헥실글리세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향료는 인공향료, 에센셜 오일 및 향취가 강한 식물 유래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각질 용해제는 AHA성분, BHA성분, PHA성분 및 단백질 분해효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AHA성분은 시트릭산, 젖산 및 글리콜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BHA성분은 살리실산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PHA성분은 글루코노락톤 및 락토바이오닉애씨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첨가제는 실리카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첨가제는 사용감 증진을 위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다량의 설탕을 포함하는 거품이 나는 크림 타입의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스크럽부, 폴리올부, 유상부 및 계면활성제부를 적절 혼합 비율로 혼합하여 안정한 크림 타입의 제형을 구현하여, 피부 부착력이 높아 사용하고자 하는 특정 부위에 제형을 부착시키는 것이 용이하며, 뛰어난 각질 제거 효과를 부여할 수 있으며, 기존의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보다 거품력과 보습력에 있어서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제조예에 따른 실시예 1의 제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제조예에 따른 실시예 2의 제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제조예에 따른 실시예 5의 제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제조예에 따른 비교예 1의 제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제조예에 따른 비교예 2의 제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제조예에 따른 비교예 3의 제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 1의 늘어나는 형상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 2 및 비교예 1의 사용 전/후의 수분도 (A.U)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실시예의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된 각 성분 및 함량에 따라 실시예 1 내지 5를 제조하였다.
번호 구성 성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1 스크럽부 설탕 (수크로오스) 40.00 45.00 30.00 30.00 60.00
2 코코넛껍질가루 - 0.5 - - -
3 폴리올부 폴리글리세릴-3 31.50 - - - -
4 글리세린 - 29.00 30.50 29.50 10.00
5 부틸렌글라이콜 2.00 - - - 2.00
6 계면활성제부 소듐 C14-16올레핀
설포레이트
6.00 4.50 - - 4.50
7 코코-글루코사이드 1.00 - - - -
8 소듐코코일이세치오네이트 - - - - 2.00
9 미파-라우레스설페이트 - - 30.00 30.00 -
10 정제수 14.50 10.50 - 10.00 10.50
11 유상부 고급알코올 세틸알코올 1.50 3.00 3.00 - 1.50
12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50 2.00 2.00 - 1.50
13 글라이콜다이스테아레이트 0.50 3.00 3.00 - -
14 글라이콜다이스테아레이트에스이 0.50 1.00 1.00 - 1.00
15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 0.5 - - 3.50
16 방부제 카프릴릴글라이콜 0.50 0.50 0.50 0.50 1.50
17 각질 용해제 살리실산 0.50 0.5 - - -
기타 첨가제 실리카 - - - - 2.00
총합 (중량%)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구체적으로, 표 1에 기재된 폴리올부 (번호 3 내지 5)를 70 ℃로 가온하여 계면활성제부 (번호 6 내지 10)와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 유상부 (번호 11 내지 15)를 70 ℃에서 가온하여 혼합물에 투입하고, 호모믹서 (Homomixer)에 투입한 후 3500 rpm으로 혼합하였다. 그 다음, 30 ℃에서 저온 교반 냉각을 한 후, 스크럽부 (번호 1 및 2)을 투입하고, 패들믹서 (Paddlemixer)로 20 rpm으로 혼합하여 실시예 1 내지 5를 제조하였다 (도 1 내지 3).
제조예 2. 비교예 1의 제조
하기 표 2에 기재된 각 성분 및 함량에 따라 비교예 1을 제조하였다. 기존의일반적인 거품이나는 젤타입의 스크럽 워시 제품을 비교예 1로 제조하였다.
번호 구성 성분 비교예1
1 스크럽부 살구껍질가루 0.05
2 실리카 1.50
3 계면활성제부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6.00
4 용제 정제수 89.55
5 점증부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2.40
6 방부제 페녹시에탄올 0.50
총합 (중량%) 100.00
구체적으로, 표 2에 기재된 계면활성제부 (번호 3)를 정제수 (번호 4)와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 점증부 및 방부제(번호 5 내지 6)를 혼합물 에 투입하고, 아지믹서 (agimixer)에 투입한 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혼합물에 스크럽부 (번호 1 및 2)를 투입한 후, 패들믹서 (paddle mixer) 교반하여 비교예 1을 제조하였다 (도 4).
제조예 3. 비교예 2 및 3의 제조
하기 표 3에 기재된 각 성분 및 함량에 따라 비교예 2 및 3을 제조하였다.
번호 구성 성분 비교예 2 비교예 3
1 스크럽부 설탕 (수크로오스) 31.00 70.00
2 살구껍질가루 0.50 -
3 폴리올부 글리세린 65.00 -
4 점증부 유화제/점증제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코폴리머 1.50 -
5 유상부 해바라기씨오일 1.00 30.00
6 기타 첨가제 티타늄다이옥사이드 1.00 -
총합 (중량%) 100.00 100.00
구체적으로, 표 3에 기재된 폴리올부 (번호 3)를 기타 첨가제 (번호 6)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한 후, 점증부 (번호 4)와 유상부 (번호 5)를 투입하고, 호모믹서 (Homomixer)에 투입한 후, 3000 rpm으로 혼합하여 비교예 2를 제조하였다 (도 5).
또한, 스크럽부 (번호 1)에 유상부 (번호 5)를 넣고 패들믹서에 교반하여 비교예 3을 제조하였다 (도 6).
실험예 1.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의 성상 평가
제조된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의 성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1 및 비교예 2의 늘어나는 특이성상을 평가하였다.
도 7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1은 크림상의 성상을 구현하면서도 손으로 늘렸을 때 길게 늘어날 수 있는 부착성과 쉽게 흘러내리지 않는 쫀득한 제형을 나타내었다. 반면, 비교예 2는 크림상의 성상이 구현되지 않고, 도포하여 문질렀을 때 거품이 형성되지 않았다. 그리고 비교예 2는 티타늄다이옥사이드를 사용하여 백탁함을 주어서, 크림상의 성상을 가지고 있지만, 제형이 흐르고, 부착력이 좋지 않아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하기 어려웠다. 또한 계면활성제를 함유 할 경우, 설탕이 물에 녹고 고온에서 설탕부가 가라앉아 제형이 분리되어 낮은 안정도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2. 수분측정기를 이용한 보습력 평가
수분측정기 (Epsilon, BiOX,England)를 이용하여 보습력 시험을 시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시험 10분 전 시험 부위 (하박 내측, 2 cm X 2 cm)를 미온수로 세정하였다. 그 다음, 10 분간 항온 항습실 (22 ℃, 습도 40 내지 60%)에서 대기한 뒤, 시험 부위의 무도포 시 피부 수분도를 측정하였다. 그 다음, 실시예 2 및 비교예 1을 20 ul씩 시험부위에 고루 펴 발라 50회 롤링 한 후 미온수로 헹구어 내었다. 그 다음, 세정 직후 피부 수분도를 각각 3회씩 측정하였다. 결과 분석법은 3회 측정값의 평균을 이용하여 피부수분도의 변화율을 산출한 뒤, 사용 전 값과 비교 평가하여 표 4 및 도 8에 나타내었다.
피부 수분도 (A.U) 사용전 사용후
실시예 2 3.89 4.22
비교예 1 4.16 4.24
상기 표 4 및 도 8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2는 사용 전 대비 수분도가 8.48 %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비교예 1은 사용 전 대비 수분도가 1.92 % 증가하였으며, 비교예 1 대비 실시예 2는 수분 증가율이 약 4.42배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기존의 거품이 나는 스크럽제들은 물리적 각질 제거 및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세정 이후에 보습감이 떨어지는 한계를 가지고 있으나, 실시예 2는 설탕 및 유상부의 보습효과로 피부 보습효과가 우수하며, 스크럽 이후에도 피부 수분도가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2는 화학적 각질제거제인 살리실산을 첨가하여 각질제거효과가 더욱 우수하며, 여드름 완화 기능 성분을 함유하였기 때문에 여드름 완화를 위한 기능성 제품으로 고보습 스크럽제로 사용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1)

  1. 스크럽부, 폴리올부, 유상부 및 계면활성제부를 포함하는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럽부는 설탕, 소금, 커피가루, 호두껍질가루, 살구씨 가루, 코코넛야자껍질 가루, 밤껍질 가루 및 서양배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럽부는 총 화장료 조성물 중량 대비 30 내지 80 중량% 포함된 것인,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부는 폴리글리세릴-3,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라이콜, 프로판디올 및 1,3-부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부는 총 화장료 조성물 중량 대비 15 내지 60 중량% 포함된 것인,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부는 고급알코올류, 고급지방산류, 왁스류, 오일류 및 유화제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부는 총 화장료 조성물 중량 대비 4 내지 20 중량% 포함된 것인,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부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비누화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부는 총 화장료 조성물 중량 대비 1 내지 20 중량% 포함된 것인,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럽부, 폴리올부, 유상부 및 계면활성제부의 중량비는 45:35:10:5 인 것인,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금속이온봉쇄제, 방부제, 향료, 각질 용해제 및 첨가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118309A 2021-09-06 2021-09-06 다량의 설탕을 포함하며 거품이 나는 크림 타입의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KR2023003582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309A KR20230035829A (ko) 2021-09-06 2021-09-06 다량의 설탕을 포함하며 거품이 나는 크림 타입의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PCT/KR2022/013217 WO2023033597A1 (ko) 2021-09-06 2022-09-02 다량의 설탕을 포함하며 거품이 나는 크림 타입의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309A KR20230035829A (ko) 2021-09-06 2021-09-06 다량의 설탕을 포함하며 거품이 나는 크림 타입의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5829A true KR20230035829A (ko) 2023-03-14

Family

ID=85411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8309A KR20230035829A (ko) 2021-09-06 2021-09-06 다량의 설탕을 포함하며 거품이 나는 크림 타입의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35829A (ko)
WO (1) WO2023033597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6985B1 (ko) * 2005-03-15 2012-11-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설탕 스크럽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US7951387B2 (en) * 2006-11-03 2011-05-31 Ocusoft, Inc. Eyelid scrub composition
KR101062156B1 (ko) * 2008-12-22 2011-09-05 주식회사 화진화장품 황기종자 스크럽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81265A (ko) * 2017-01-06 2018-07-16 (주)아모레퍼시픽 천연 스크럽 원료를 고함량 함유하는 안정한 폴리올중유형 조성물
KR101984165B1 (ko) * 2017-10-30 2019-05-31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클렌징 겸용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33597A1 (ko) 2023-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72088B1 (fr) Composition cosmétique exothermique
CN105722497B (zh) 包含至少一种甘氨酸盐型表面活性剂的发泡组合物
US7749523B2 (en) Emollient skin conditioning cream and method
JP5328032B2 (ja) 洗浄剤組成物
US4026825A (en) Foaming and conditioning detergent composition
WO2004000982A1 (ja) 洗浄剤組成物
US20060127458A1 (en) Single use personal care sheet
KR20180133170A (ko) 오일 고함유 세정제의 거품력을 향상시킨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CN114144162A (zh) 不含硫酸盐的浓缩的流变流化发泡组合物及其用途
US20030211062A1 (en) Anhydrous skin cleaners
JP2000087081A (ja) 洗浄剤組成物
US20070213242A1 (en) Foaming composition
KR20230035829A (ko) 다량의 설탕을 포함하며 거품이 나는 크림 타입의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KR101336859B1 (ko) 저점성 유액타입의 수성세안제 조성물
US20050123573A1 (en) Stable nonaqueous reactive skin care and cleansing compositions having a continuous and a discontinuous phase
KR20200008384A (ko) 몽글몽글한 성상을 갖는 지방산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100570498B1 (ko) 피막형성 수지 및 파우더를 함유한 피부각질제거용 화장료조성물
KR102351914B1 (ko) 고마주 필링용 피부 세정 화장료 조성물
JP2001031561A (ja) 皮膚洗浄料
JP2002523428A (ja) N−アシルアミノ酸又はそれらの塩を含む化粧用又は皮膚科学的製剤
KR20240056866A (ko) 다량의 소금을 포함하며 거품이 나는 스크럽 화장료 조성물
JP2001072574A5 (ko)
EP1000606B1 (en) Weak acid skin cleanser containing an alkali salt of N-acyl-amino acid
JP2839897B2 (ja) 皮膚洗浄剤組成物
KR100981600B1 (ko) 세안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