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0138B1 - 구순 폐쇄구 - Google Patents

구순 폐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0138B1
KR101200138B1 KR1020077018395A KR20077018395A KR101200138B1 KR 101200138 B1 KR101200138 B1 KR 101200138B1 KR 1020077018395 A KR1020077018395 A KR 1020077018395A KR 20077018395 A KR20077018395 A KR 20077018395A KR 101200138 B1 KR101200138 B1 KR 101200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th
closure
dentition
contact
de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8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5330A (ko
Inventor
히카루 이시카와
미츠오 이이다
Original Assignee
피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피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05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5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0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0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1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improving respiratory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7/00Baby-comforters; Teething rings
    • A61J17/10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7/00Baby-comforters; Teething rings
    • A61J17/10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7/105Nipple attach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7/00Baby-comforters; Teething rings
    • A61J17/10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7/107Details; Accessories therefor having specific orthodontic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7/00Baby-comforters; Teething rings
    • A61J17/001Baby-comfor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1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or the neck
    • A63B23/03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or the neck for face muscles
    • A63B23/03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or the neck for face muscles for insertion in the mou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유아 등이 무의식적으로 입을 다물도록 유도하고, 입을 다문 상태를 유지시켜 코호흡의 습관화를 유도할 수 있는 구순 폐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구순의 외면에 접촉되는 구순 외측 배치부(12)와, 구강 내에 배치되는 본체(11)를 가지는 구순 폐쇄구(10)로서, 상기 본체는, 치열의 외면에 배치되어,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치열 외측 배치부(13), 및 상기 구순 외측 배치부와 상기 치열 외측 배치부를 연결하며, 상하의 구순에 의해 접촉되는 두께가 얇은 구순 접촉부(16)를 가지고 있으며, 치열 외측 배치부는, 그 전체가 유연한 재료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치열 외측 배치부의 좌우측 단부 부근이 커다란 체적을 가지도록 되어 있는 자극부(15, 15)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구순 폐쇄구{LIP CLOSING TOOL}
본 발명은, 포유기 이후의 영유아 등에 대해, 구순(口脣)의 폐쇄를 훈련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구순 폐쇄구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포유기부터 이유기 이후의 영유아가, 구강 내에 젖꼭지 형상의 탄성체를 배치함으로써, 빠는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장난감 젖꼭지'는 널리 주지되어 있다.
이러한 장난감 젖꼭지는, 엄마의 젖꼭지를 모방한 본체를 영유아가 입속에 넣어, 구순에 자극을 일으키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장난감 젖꼭지 본체는, 그 형태로 인해, 포유기에 있는 영유아에게는 포유운동의 촉진이라는 면에서 기여하는 반면, 포유기를 지나 이유식이나 보통식으로 이행하는 단계의 영유아에게는 부적절하다.
즉, 이와 같은 장난감 젖꼭지가 채용하는 비교적 단면 직경이 큰 젖꼭지는, 구강 내에 삽입하여 유지된 상태에서는, 모유 수유시와 동일하게 입을 비교적 크게 벌린 상태로 하게 되므로, 성장에 따라 포유운동이 소실되기 시작한 영유아에 대해서는, 다음 단계의 섭식행동이나 언어활동 등에 필요한 행위로서의 입을 다문 상태를 유지하는 훈련을 저해한다. 즉, 통상 영유아는 구순을 다물고 코호흡으로 호흡 을 한다. 그러다가 이유기가 시작되어, 구강으로부터 음식물을 섭취하거나 회화를 학습하는 중에, 입호흡도 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데, 환경에 따라서는 입호흡이 주체가 되어 버릴 우려가 있기 때문에, 코호흡에 의한 호흡을 습관적으로 몸에 익히도록 하기 위한 학습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이와 같은 폐해를 방지하기 위한 장난감 젖꼭지를 제안한 바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상기 출원에서, 젖꼭지 형상을 특별하게 고안한 장난감 젖꼭지를 이용하면, 상기 젖꼭지를 구강내에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입을 의식적으로 다무는 훈련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함으로써 입을 다물게 되어 입호흡이 아니라 코호흡을 촉진하는 것의 중요성을 분명히 하였다.
또한, 상기 출원에서는, 젖꼭지의 치열 접촉 부위를 비교적 얇은 중공체로 하여, 장시간 치열 사이에 이물질을 유지시킨 상태로 함으로써, 앞니가 잘 맞물리지 않고 벌어져 버리는 개교(開咬; 오픈 바이트)를 감소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한편, 입호흡이 이미 습관화되어, 면역기능에 장해가 있는 사람들에게, 구순을 확실하게 폐쇄하는 훈련을 하여, 코호흡을 습관화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훈련도구도 주지되어 있다(특허문헌 2 참조).
이러한 입호흡방지구는, 가요성이 있는 재료로 형성된 띠형상의 전정(前庭) 플레이트를 가지고 있으며, 이 전정 플레이트가, 맞물린 치열의 외면에 접촉한다. 전정 플레이트의 두께가 얇은 부분을 통해 두께가 얇은 텅(tongue) 스토퍼편이 설 치되어 있다. 또한, 전정 플레이트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가이드편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전정 플레이트가 상하측 치아의 외주부를 덮음으로써, 입의 개구부가 덮여 입호흡이 방지되므로, 코호흡을 촉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예컨대 제 5 실시형태에서는, 텅 스토퍼편이 끈을 통해 접속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1-276186호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1-190676호
그런데, 특허문헌 1의 장난감 젖꼭지의 경우는, 포유운동이 소실되는 시기의 영유아가 사용하기 때문에, 개교를 감소시키도록 치열 접촉 부위를 얇은 구성으로 하고 있기는 하지만, 인공 젖꼭지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유치가 갖춰지기 시작하는 유아가 사용하였을 때, 치열에 영향을 미칠 염려가 여전히 남아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의 입호흡 방지구의 경우에는, 입을 다문 상태에서는, 전정 플레이트(2)가 치열 외면을 덮어, 입의 개구부를 막으므로, 입호흡을 방지할 수 있으나, 이 상태는, 사용자가 의식하고 구순을 다무는 것에 의존하고 있다.
즉, 예컨대 영유아나 구순을 다무는 기능 자체에 문제가 있는 등의 경우에는, 스스로 의식하여 구순을 다문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므로, 이와 같은 입호흡방지구를 구강 내에 삽입하여, 입호흡을 습관화하는 것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전정 플레이트로 개구부를 폐쇄해 버리기 때문에, 코호흡이 불가능해졌을 경우, 호 흡에 영향을 미칠 위험성이 있다. 또한, 구강 내에서 유지되도록 두께가 얇은 텅 스토퍼편을 비교적 크게 함에 따라, 치열에 접촉하는 두께가 얇은 부분도 비교적 크게 형성되어, 치열에 대한 영향도 문제로 남는다. 또한, 끈을 사용했을 경우에는, 절단되었을 때 모르고 잘못 삼켜버릴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영유아 등이 무의식적으로 입을 다물도록 유도하고, 입을 다문 상태를 유지시켜 코호흡을 습관화하도록 할 수 있는 구순 폐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은, 제 1 발명에 따라, 구순의 외면에 접촉되는 구순 외측 배치부와, 구강 내에 배치되는 본체를 가지는 구순 폐쇄구로서, 상기 본체는, 치열의 외면에 배치되어,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치열 외측 배치부, 및 상기 구순 외측 배치부와 상기 치열 외측 배치부를 연결하며, 상하의 구순에 의해 접촉되는 두께가 얇은 구순 접촉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치열 외측 배치부는, 그 전체가 유연한 재료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치열 외측 배치부의 좌우측 단부 부근이 커다란 체적을 가지도록 되어 있는 자극부를 구비하는 구순 폐쇄구에 의해 달성된다.
제 1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구순의 외면에 접촉되는 구순 외측 배치부와, 구강내에 배치되는 본체와의 사이에 사용자의 구순이 존재하게 되므로, 이 구순 폐쇄구는, 사용자가 입을 다문 상태에서, 구순을 다문 채로 유지된다.
치열 외측 배치부는, 변형가능한 유연성 재료로 형성되며, 사용자의 구순 내측이면서 치열의 외면에 위치함으로써, 구강 내에 밀착시켜 유지력을 확보하는 동시에, 구순을 다물도록 할 수가 있다.
구순 접촉부는, 구순 외측 배치부와 본체를 일체로 연결하는 동시에, 구순에 의해 상하로부터 끼워짐으로써, 사용자가 입을 다문 상태에서 구순 폐쇄구를 세트한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구순 접촉부는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입을 다문 상태를 저해하지 않으며, 호흡시에 비강으로부터의 호흡을 촉진시킬 수 있다.
상기 자극부는, 상기 치열 외측 배치부의 좌우측 단부 부근이 커다란 체적을 가짐으로써 형성되어 있으므로, 치열(齒列) 외면의 좌우 양측의 내측에 위치하여, 그 부분에서 치열의 외주와 주위의 볼살 등의 내면이나 치조(齒槽) 등을 압박하고, 그 자극에 의해 사용자에게 입을 다물도록 하는 작용을 발휘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구순 폐쇄구를 장착한 경우, 사용자는, 의식하지 않더라도 자연적으로 입을 다물게 되고, 구순을 폐쇄한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코호흡을 위해 입을 다무는 것이 무의식중에 자연적으로 습관화될 수 있게 된다.
제 2 발명은, 제 1 발명의 구성에서, 상기 치열 외측 배치부가, 전후방향의 두께가 얇게 이루어진 형태를 하고 있으며, 상기 자극부는 적어도, 그 단면형상에 있어서, 상하방향의 사이즈가 전후방향보다도 약간 긴 장원(長圓) 혹은 타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치열 외측 배치부는, 전후방향의 두께가 얇게 되어 있음으로써, 치열 외주와 볼살 등의 구순 내측 간에 위화감을 주지 않고 적절하게 끼워져 유지된다. 상기 자극부는, 전후(수평)방향의 사이즈보다도 상하방향의 사이즈가 크게 되어 있는 장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함으로써, (전후의)치열 혹은 잇몸 사이에 끼워지기 쉽게 하면서, 필요한 자극을 줄 수가 있다.
제 3 발명은, 제 1 또는 제 2 발명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치열 외측 배치부의 중앙 부근으로부터 구강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텅(tongue) 접촉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텅 접촉부와 상기 치열 외측 배치부 사이의 맞물림부가 두께가 얇은 유연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치열 외측 배치부의 중앙 부근으로부터 구강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상기 텅 접촉부에 사용자가 혀를 댐으로써, 구순 폐쇄구를 보다 확실하게 유지하면서, 텅 접촉부와 치열 외측 배치부를 연결하는 맞물림부가 중앙부근에서, 두께가 얇은 유연성 재료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치열에 대한 영향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목적은, 제 4 발명에서는, 구순의 외면에 접촉되는 구순 외측 배치부와, 구강 내에 배치되는 본체를 가지는 구순 폐쇄구로서, 상기 본체는, 치열의 외면에 배치되어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치열 외측 배치부, 및 상기 구순 외측 배치부와 상기 치열 외측 배치부를 연결하며, 상하의 구순에 의해 접촉되는 두께가 얇은 구순 접촉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치열 외측 배치부는, 그 전체가 유연한 재료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치열 외측 배치부는, 전후방향의 두께를 얇게, 그리고 상하방향의 사이즈를 크게 함으로써 폭이 넓은 시트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또한 폭이 넓은 시트형상의 상기 치열 외측 배치부는, 내측에 커다란 관통 개구를 설치함으로써, 상하방향으로 변형되기 쉬운 변형부를 가지는 구순 폐쇄구에 의해 달성된다.
제 4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구순의 외면에 접촉되는 구순 외측 배치부와, 구순 접촉부는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그 작용은 제 1 발명과 동일하다.
그러나, 상기 발명의 상기 치열 외측 배치부는, 전후방향의 두께를 얇게, 그리고 상하방향의 사이즈를 크게 함으로써 폭이 넓은 시트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 상변과 하변이, 상측 잇몸과 하측 잇몸의 기저단부의 오목한 부분으로 들어가, 입을 다물도록 적당한 자극을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입을 다물도록 유도함과 동시에, 내측에 커다란 관통 개구를 설치함으로써, 상하로 변형되기 쉬운 변형부를 겸하게 되어, 상기 치열 외측 배치부의 치열 외주로의 피트(fit)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확실하게 장착시키고, 그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구순 폐쇄구에 있어서도, 이를 장착시킨 경우에는, 사용자가 의식하지 않더라도 자연적으로 입을 다물게 되어, 구순을 폐쇄한 상태를 계속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코호흡을 위해 입을 다무는 것이, 무의식적으로 자연스럽게 습관화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순 폐쇄구의 제 1 실시형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순 폐쇄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구순 폐쇄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구순 폐쇄구의 제 2 실시형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구순 폐쇄구의 제 3 실시형태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구순 폐쇄구의 제 4 실시형태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구순 폐쇄구의 제 5 실시형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20, 30, 40, 50 : 구순 폐쇄구
11, 21, 31, 41, 51 : 본체
12, 22, 42 : 구순 외측 배치부
13, 23, 53 : 치열 외측 배치부
15 : 자극부
16 : 구순 접촉부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기술될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이므로, 기술적으로 바람직한 여러 가지의 한정이 부가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설명에서 특별히 본 발명을 한정하는 취지의 기재가 없는 한, 이러한 양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구순 폐쇄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구순 폐쇄구를 구강 내에 넣은 상태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3은 구 순 폐쇄구를 구강 내에 넣은 상태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상기 구순 폐쇄구(10)는, 수유기 내지 이유기의 영유아나, 코호흡을 수득하기 위한 훈련을 하는 구순기능 훈련의 대상이 되는 성인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나, 이하에서는, 영유아에게 사용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에서, 구순 폐쇄구(10)는, 바로 앞쪽을 구강 안쪽으로 하여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구순 폐쇄구(10)는, 구강 내에 삽입되는 본체(11)와, 구강 밖에서, 특히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순의 외측(외면)에 접촉되는 구순 외측 배치부(1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구순 폐쇄구(10) 전체가 구강 내로 들어와, 삼켜버리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시트판(17)을 구비하고, 시트판(17)의 외면에는, 구순 폐쇄구(10)를 잡기 위한 손잡이로서,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시트판(17)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손잡이부(18)를 가지고 있다.
구순 폐쇄구(10)는, 예컨대 시트판(17) 등의 본체(11) 및 구순 외측 배치부(12) 이외의 부분은, 비교적 경질의 합성수지,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등으로 형성되고, 본체(11) 및 구순 외측 배치부(12)는 일체로 형성되며, 인체에 해가 미치지 않는 가요성 있는 연질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연질의 합성수지로서, 실리콘, 엘라스토머나 연질 고무 등의 가요성이 높은 연질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구순 폐쇄구(10)는, 이러한 다른 성질의 재료를 이용하여, 인서트 성형(사출성형에 의한 연속성형, 다색(多色)성형을 포함함) 등에 의해 일체로 성형하여도 좋고, 양자를 걸림결합하여 탈부착이 불가능하도록 고정시켜도 좋다.
구순 폐쇄구(10)에 있어서, 구순 외측 배치부(12)는, 예컨대 구순의 외면에 배치되어서, 구순의 앞면에 접촉하는데 필요한 크기와 형상을 구비하고 있으며, 간편한 디자인으로서는 소정의 직경으로 이루어진 원형을 예로 들 수 있다.
구순 외측 배치부(12)의 중앙영역의 배면으로부터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연하면서도 매우 두께가 얇은 구순 접촉부(16)가 일체로 연장되어 있으며, 구순 외측 배치부(12)와 연결되어 있다.
구순 접촉부(16)는 두께가 얇은 플레이트형상이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윗입술과 아랫입술 사이에 끼워졌을 때 가능한 한 틈새를 만들지 않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예컨대 2mm 이하의 두께로 되어 있다.
본체(11)에는, 치열 외측 배치부(1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치열 외측 배치부(13)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방향(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바람직하게는 치열의 곡면에 대응하여 전방으로 볼록한 완만한 곡선을 그리는 반(半)원호 형상 또는 반타원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치열 외측 배치부(13)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컨대 전후방향의 사이즈인 두께가 얇게 이루어진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예컨대 두께는 2mm 이하로 되어 있고, 폭이 7mm 이하로 되어 있어, 치열 외측을 따라 피트된다. 바람직하게는, 상하에 물결형상의 볼록부(13a)를 복수의 부분에 가지고 있다.
또한, 치열 외측 배치부(13)가 좌우로 연장되는 연장종단 부근, 즉 본 실시예에서는 양단부에, 자극부(15, 15)가 형성되어 있다.
자극부(15, 15)는 서로 동일한 형태이므로, 그 한쪽을 대표로 하여 설명하기 로 한다.
자극부(15)는, 구순 폐쇄구(10)를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강 내에 세트한 상태에서, 구강 내면에 대해, 적어도 치열 외측 배치부(13)와는 다른 자극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즉, 자극부(15)가 부여하는 자극은, 구순 폐쇄구(10)를 구강 내에 세트하였을 때, 상기 자극부(15)의 존재에 의해 주위의 체조직에 부여하는 압력이나 접촉감이다.
이와 같은 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자극부(15)는, 치열 외측 배치부(13)의 단부의 체적을 확대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치열 외측 배치부(13)와 일체로 형성된 팽출(膨出)부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자극부(15)는 구체(球體)여도 좋으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띠형상의 치열 외측 배치부(13)에 대응하여, 그 단면이 세로로 긴 타원 혹은 장원형이며, 적어도 그 짧은 측의 직경은 치열 외측 배치부(13)의 두께보다 크며, 예컨대 짧은 측의 직경이 3mm 이상, 긴 측의 직경이 5mm 이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치열 외측 배치부(13)의 길이가 되는 자극부(15, 15) 사이의 거리는,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설정하면 되며, 예컨대 영유아가 사용할 경우는 85mm 정도로 되어 있다.
텅 접촉부(14)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치열 외측 배치부(13)의 배후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인 맞물림부(14a)를 구비하며, 또한 연장단이 폭이 넓은 대략 원형상으로 이루어진 텅(혀)편(舌片)과 같은 형태로 되어 있다. 맞물림부(14a)는 구순 접촉부(16)보다 좁은 폭으로 되어 있으며, 예컨대 폭이 10mm 이하, 두께가 2mm 이하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맞물림부(14a)를 수평으로 연장하도록 형성하였으나, 앞니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 텅 접촉부(14)를 향해 상방으로 경사지도록 구성해도 좋다.
텅 접촉부(14)는, 구순 폐쇄구(10)를 구강 내에 삽입하여 세트한 상태에서, 혀에 접촉시켜, 혀로 변형시키는 감촉을 체감시키는 등의 자극을 줌으로써, 영유아가 구순 폐쇄구(10)를 물고 유지시킬 만한 동기를 부여하는 것이며, 상하로 요동하여 혀로 움직일 수 있다. 특히, 구순 접촉부(16)보다 전방에 있는 구순외측부(16) 및 시트판(17) 등의 중량이 무거울 경우 등에는, 본체(11)를 구강 내에 확실히 유지시키지 않으면 떨어뜨리기 쉬우므로, 이와 같은 경우에 텅 접촉부(14)를 구비함으로써, 그와 같은 사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며, 그 사용시에는, 도 1의 손잡이부(18)를 손으로 잡고, 사용자의 구강 내로 구순 폐쇄구(10)의 본체(11)를 삽입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유치가 나기 시작하여 상측 구개(口蓋)의 포유를 위한 오목부(포유와, 哺乳窩)가 소실되어 가는 이유기의 유아가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순 폐쇄구(10)의 본체(11)를 구강 내에 삽입하고 입을 다물어, 구순의 외측에 구순 외측 배치부(12)를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는, 윗입술과 아랫입술을 다묾으로써, 상기 윗입술과 아랫입술 사이에 두께가 매우 얇은 구순 접촉부(16)를 끼우고 있게 되어, 입에는 거 의 개구가 없는 폐쇄상태가 된다.
구순 폐쇄구(10)의 치열 외측 배치부(13)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구순 내측이며 치조의 외측, 즉 치열의 외측에 위치된다. 치아가 다 난 유아의 경우나 혹은 영구치를 구비한 성인의 경우는 치열의 외측에서, 그리고 치아가 아직 나지 않은 영유아나 치아의 일부 또는 전부를 잃은 성인의 경우는 잇몸 외측의 치열 외면에 피트하게 접촉하여, 좌우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입을 다물고, 구순 폐쇄구(10)를 구강내에서 유지시키기 쉬운 상태가 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치열 외측 배치부(13)의 양단 부근에 자극부(15, 15)가 구비되어 있으며,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들 자극부(15, 15)는, 치열 외측의 양 내측, 즉 가장 안쪽에 있는 치아(어금니)의 외측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자극부(15, 15)는 볼(뺨)의 내측에서, 어금니와 볼살 사이에 끼워지게 되는데, 각 자극부(15, 15)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그 표면이 타원곡면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곡면이 해당부분의 볼살을 내측으로부터 압박하여 자극한다.
사용자는 해당부분을 자극받음으로써, 자연히 입을 다문다는 것이 본 발명자들의 관찰 등에 의해 확인된 바 있으며, 이에 따라 본 실시형태의 구순 폐쇄구(10)를 장착한 경우, 사용자는 의식하지 않더라도 자연히 입을 다물게 되어, 구순을 폐쇄한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코호흡을 위해 입을 다무는 것을 무의식중에 자연스럽게 습관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텅 접촉부(14)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영유아의 혀가 텅 접촉부(14) 에 의해 자극을 받아, 구순을 닫은 상태를 유지할 만한 동기를 부여하여, 구순 폐쇄구(10)를 유지시키도록 유도한다. 뿐만 아니라, 두께가 얇은 맞물림부(14a)로 되어 있기 때문에, 치열에 대한 영향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4 및 도 5는,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4는 제 2 실시형태의 구순 폐쇄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선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에서, 구순 폐쇄구(20)는, 본체(21)와, 구순 외측 배치부(22)와, 손잡이부(24)를 가지고 있으며, 본체(11)에는, 치열 외측 배치부(23), 자극부(15, 15) 및 구순 접촉부(16)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부재 중, 명칭이 동일한 부분은 제 1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는 부분이며, 이 중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 부분은 공통되는 구성이므로, 그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며, 이하에서는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순 폐쇄구(20) 전체의 대부분이 특히 유연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며, 예컨대 주로 실리콘으로 형성되어 있다.
치열 외측 배치부(23)는, 구강 내의 도 2에서 설명한 위치에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세트되며,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지만, 제 1 실시형태보다도 상하방향의 폭이 작고, 전후방향의 두께가 두꺼운 형태이며, 그 단면형상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짧은 직경을 가지는 세로로 긴 장원 혹은 타원으로 되어 있어, 입이 완전히 다물어지지 않는 형태로 되어 있다.
구순 외측 배치부(22)는, 제 1 실시형태에서의 시트판(17)과 동일하게 기능하며, 구순 접촉부(16)로부터 상하(수직)방향으로 폭이 확대되는 동시에, 좌우(수평)로 연장되는 형태로 되어 있고, 좌우방향의 상하폭이 변화하는 띠 형상의 형태를 가지며, 매우 유연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구순 외측 배치부(22)는, 내부의 수용공간에 부호 22로 나타낸 바와 같이, 형태(型) 유지부재(25)가 수용되어 있다. 형태 유지부재(25)는, 변형이 가능하고 변형된 형태를 유지시키는 재료이며, 예컨대 유연한 박판형상의 금속판 등이다. 손잡이부(24)는 구형(球形)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텅 접촉부는 없다.
특히, 텅 접촉부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입을 다물었을 때, 도 1의 맞물림부(14a)와 같이, 상하의 치열에 틈새를 형성하지 않아, 틈새가 없는 완전한 교합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발휘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입술 외측에 배치되는 구순 외측 배치부(22)가, 가로로 길고, 구순의 외형 등에 적합하도록 변형이 가능하며, 그 변형된 형상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비교적 심플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구순 폐쇄구(20)는, 구순 외측 배치부(22)를 사용자의 구순의 외측 형상에 맞춘 상태로 하여, 장착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자극부(15) 등과 함께 입의 폐쇄를 유도하여, 성인이나 청소년 등을 대상으로 하여, 코호흡을 습관화시키는데 적합하다.
또한, 예컨대 형태 유지부재(25)를 형상기억합금으로 하여, 사용자의 체온에 의해 그 구순의 외형에 따른 형상이 되도록 해도 좋다.
또한, 형태 유지부재(25)는 구순 외측 배치부(22)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제 3 실시형태)
도 6은,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로서, 제 1 실시형태에서의 시트판부(17)를 벗겨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에서, 구순 폐쇄구(30)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31)와, 구순 외측 배치부(12)를 가지고 있다. 본체(31)에는, 치열 외측 배치부(13), 자극부(15, 15), 구순 접촉부(16) 및 텅 접촉부(34)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부재에 있어서, 동일한 명칭을 가지는 부분은, 제 1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는 부분이며, 이 중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 부분은 공통되는 구성이므로, 그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에서는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구순 폐쇄구(30)에서, 제 1 실시형태와 크게 상이한 점은, 텅 접촉부(34)이다.
텅 접촉부(34)는, 제 1 실시형태의 텅 접촉부(14)에 비하면 면적이 넓고, 두께가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더욱 후방(구순 외측 배치부(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 배치되어 있다. 즉, 텅 접촉부(34)는 예컨대 직사각형이며, 그 좌우의 측 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두께가 얇은 띠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부(34a, 34a)가 치열 외측 배치부(13)의 내측에 일체로 접속되어 있으며, 텅 접촉부(34)는 혀에 의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구순 폐쇄구(30)를 구강 내에 삽입하고 입을 다문 상태에서는, 상기 지지부(34a, 34a)가, 사용자의 송곳니와, 이에 인접한 치아 사이를 빠져나가는 위치가 되도록 위치결정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하의 치열에 끼워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텅 접촉부(34)는 양 측부로부터 지지되므로, 텅 접촉부(34)의 전방에는, 제 1 실시형태와 같은, '맞물림부'가 없고, 커다란 개구(31)가 형성되어, 앞니가 들어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텅 접촉부(34)에는, 바람직하게는, 표면에 돌출되어 혀에 감각자극을 부여하는 볼록부(34b)가 형성되어 있다.
제 3 실시형태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며, 제 1 실시형태의 구순 폐쇄구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특히, 구순 폐쇄구(30)를 구강 내에 세트한 상태에서는, 사용자의 혀끝이 비교적 커다란 텅 접촉부(34)에 접촉하여 상하이동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자극부(15, 15)에 의한 효과에 더하여, 입을 다물도록 유인하는 효과가 크다.
또한, 그 상태에서, 상하의 치열 중, 앞니는 커다란 개구(31)를 빠져나와 완전히 교합(咬合)되며, 또한 지지부(34a, 34a)도 치아 사이를 빠져나오므로, 상하의 치열 간에 틈새가 완전히 존재하지 않게 되어, 확실한 구순 폐쇄 상태를 훈련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도 7은,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7에서, 구순 폐쇄구(40)는, 예를 들면 전체가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41)와, 구순 외측 배치부(42)를 가지고 있다. 본체(41)에는, 치열 외측 배치부(13), 자극부(15, 15) 및 구순 접촉부(16)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부재에 있어서, 동일한 명칭을 가지는 부분은, 제 1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는 부분이며, 이 중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 부분은 공통되는 구성이므로, 그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에서는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구순 외측 배치부(42)는 손잡이부를 겸용으로 하고 있다. 즉, 구순 외측 배치부(42)는, 구순의 외측에 위치하여 접촉될 뿐만 아니라, 예컨대 도시한 바와 같은 구형으로 형성되어, 구순 폐쇄구(40)를 잡기 위한 손잡이부로서의 기능도 발휘하는 것이다.
치열 외측 배치부(13)는, 제 1 실시형태의 대응부분과 동일한 구조여도 좋고, 제 2 실시형태의 대응부분의 구조와 동일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구순 폐쇄구(40)는, 말하자면 제 2 실시형태의 구순 폐쇄구(20)로부터 구순 외측 배치부(22)의 구성을 제외한 형태와 동일하여 가장 심플한 구성을 가지나, 치열 외측 배치부(23)의 양단부 부근에는, 자극부(15, 15)를 가지고 있으므로, 제 1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작용효과를 발휘 할 수 있으며, 예컨대 성인이 외출시 등에 사용하는 경우에도 눈에 띄지 않게 사용이 가능하다.
(제 5 실시형태)
도 8은, 제 5 실시형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에서, 구순 폐쇄구(50)는, 예를 들면 전체가 제 1 실시형태의 구순 폐쇄구(10)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순 폐쇄구(50)는, 본체(51)와, 구순 외측 배치부(12)와, 시트판(17)과, 손잡이부(18)를 가지고 있고, 본체(51) 이외에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이며,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 부분은 공통되는 구성이므로, 그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에서는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체(51)는, 도시가 생략된 구순 접촉부(제 1 실시형태와 동일 구성)와, 치열 외측 배치부(53)를 구비하고 있으며, 텅 접촉부는 구비하고 있지 않다.
치열 외측 배치부(53)는, 전후방향의 두께를 얇게, 그리고 상하방향의 사이즈를 크게 함으로써 폭이 넓은 시트형상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폭이 넓은 시트형상의 상기 치열 외측 배치부(53)에는, 중앙부(57)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커다란 직사각형의 관통 개구(54, 55)를 형성하였다.
상기 치열 외측 배치부(53)는, 중앙부(57)를 사이에 두고, 양측이 동일한 형태이므로, 도면의 좌측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개구(54)를 둘러싼 영역은, 직사각형의 프레임형상이며, 가느다란 상부 프레임(56)과 하부 프레임(55)은, 그 측부를 대략 따르는 정도로 폭이 좁은 측부 프레 임(54)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프레임 구조 전체가 변형부 혹은 변형체이며, 특히 도면에서 상하방향으로 용이하게 변형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순 폐쇄구(50)의 본체(51)를 구강 내에 삽입하고 입을 다물면, 치열 외측 배치부(53)는, 도 2의 치열 외측 배치부(13)와 마찬가지로, 치열 외측에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그 상부 프레임(56)의 상변과, 하부 프레임(55) 하변이, 상측 잇몸과 하측 잇몸의 기저단부의 오목부에 들어간다. 이에 따라, 상측 잇몸과 하측 잇몸의 기저단부 부근에 적당한 자극을 부여하므로, 이로 인해 제 1 실시형태에서의 자극부(15)와 마찬가지로, 사용자로 하여금 입을 다물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 구조가, 상술한 바와 같이, 치열 외측 배치부(53)를 도면의 상하방향으로 변형시키는 변형부를 겸하므로, 구강 내로 집어넣을 때에는, 상하방향으로 변형시켜서 그 상하방향의 사이즈를 작게 함으로써, 상부 프레임(56)의 상변과 하부 프레임(55)의 하변을, 각각 상측 잇몸과 하측 잇몸의 기저단부의 오목부에 넣기가 쉽다. 넣은 후에는, 탄성에 의해 형상이 복귀되므로, 치열 외측 배치부(53)의 치열 외주로의 피트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확실한 장착이 가능하다.
제 5 실시형태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구순 폐쇄구(50)에 있어서도, 그것을 장착한 경우에는, 사용자는 의식하지 않더라도 자연스럽게 입을 다물도록 유도되어, 장착상태에서 의식적으로 입을 다무는 것에서 오는 피로감이 없으며, 구순을 폐쇄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코호흡을 위해 입을 다무는 상태를, 무의식적으로 자연스럽게 습관화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각 구성은, 필요에 따라, 그 일부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으로 바꾸어, 다른 구성의 조합하에 실시되어도 좋다.

Claims (4)

  1. 구순의 외면에 접촉되는 구순 외측 배치부와, 구강내에 배치되는 본체를 가지는 구순 폐쇄구로서,
    상기 본체는,
    치열의 외면에 배치되어,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치열 외측 배치부, 및
    상기 구순 외측 배치부와 상기 치열 외측 배치부를 연결하며, 상하의 구순에 의해 접촉되는 두께가 얇은 구순 접촉부
    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치열 외측 배치부는, 그 전체가 유연한 재료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치열 외측 배치부의 좌우측 단부 부근이 커다란 체적을 가지도록 되어 있는 자극부를 구비하며,
    상기 치열 외측 배치부는, 전후방향의 두께가 얇게 이루어진 형태를 하고 있으며, 상기 자극부는 적어도, 그 단면형상에 있어서, 상하방향의 사이즈가 전후방향보다도 약간 긴 장원 혹은 타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순 폐쇄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치열 외측 배치부의 중앙 부근으로부터 구강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텅(tongue) 접촉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텅 접촉부와 상기 치열 외측 배치부 사이의 맞물림부가 두께가 얇은 유연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순 폐쇄구.
  4. 구순의 외면에 접촉되는 구순 외측 배치부와, 구강 내에 배치되는 본체를 가지는 구순 폐쇄구로서,
    상기 본체는,
    치열의 외면에 배치되어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치열 외측 배치부, 및
    상기 구순 외측 배치부와 상기 치열 외측 배치부를 연결하며, 상하의 구순에 의해 접촉되는 두께가 얇은 구순 접촉부
    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치열 외측 배치부는, 그 전체가 유연한 재료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치열 외측 배치부는, 전후방향의 두께를 얇게, 그리고 상하방향의 사이즈를 크게 함으로써 폭이 넓은 시트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또한, 폭이 넓은 시트형상의 상기 치열 외측 배치부는, 내측에 커다란 관통 개구를 설치함으로써, 상하방향으로 변형되기 쉬운 변형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순 폐쇄구.
KR1020077018395A 2005-02-24 2006-02-10 구순 폐쇄구 KR1012001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49030 2005-02-24
JP2005049030A JP4597702B2 (ja) 2005-02-24 2005-02-24 口唇閉鎖具
PCT/JP2006/302378 WO2006090598A1 (ja) 2005-02-24 2006-02-10 口唇閉鎖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5330A KR20070105330A (ko) 2007-10-30
KR101200138B1 true KR101200138B1 (ko) 2012-11-12

Family

ID=36927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8395A KR101200138B1 (ko) 2005-02-24 2006-02-10 구순 폐쇄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857831B2 (ko)
JP (1) JP4597702B2 (ko)
KR (1) KR101200138B1 (ko)
CN (1) CN101119699B (ko)
TW (1) TW200631572A (ko)
WO (1) WO20060905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00980B4 (de) * 2006-01-07 2014-07-17 Mapa Gmbh Sauger, Schnuller, Trinktülle und Beißring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CA2734825C (en) * 2008-08-18 2016-04-12 David A. Tesini Biologic response teether
JP5388675B2 (ja) * 2009-04-24 2014-01-15 ピジョン株式会社 噛みおもちゃ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方法で製造された噛みおもちゃ
US8252023B2 (en) * 2009-11-16 2012-08-28 Pacif-Air, Llc Pacifier
AT11724U1 (de) * 2009-11-27 2011-04-15 Mam Babyartikel Beissvorrichtung
US20110264142A1 (en) * 2009-12-14 2011-10-27 Reed Devin A Teething pacifier
EP2392309A1 (en) * 2010-06-07 2011-12-0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Teether
AU2011328900B2 (en) 2010-11-16 2015-03-19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dry eye
US9821159B2 (en) 2010-11-16 2017-11-21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Stimulation devices and methods
JP5705090B2 (ja) * 2011-10-24 2015-04-22 秋廣 高志 口唇開閉運動器具
JP6017780B2 (ja) * 2011-12-07 2016-11-02 廣瀬 俊章 口腔機能訓練器
CN103239835A (zh) * 2012-02-14 2013-08-14 蔡淑真 口唇开闭运动器
JP6259810B2 (ja) * 2012-03-29 2018-01-10 トルーデル メディカル インターナショナル 口内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AU2013279286B2 (en) * 2012-06-20 2017-02-02 Orthoglobal Sarl Maturative guiding pacifier for baby
EP2695589A1 (en) * 2012-08-10 2014-02-12 Michèle Hervy Intraoral functional device for relieving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 snoring and/or other airway disorders
EP2915566B1 (en) * 2012-10-30 2018-09-05 MTG Co., Ltd. Implement for training facial muscle
US9427621B2 (en) * 2012-11-07 2016-08-30 Ronald L. Dristle Face and lips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9717627B2 (en) 2013-03-12 2017-08-01 Oculeve, Inc. Implant delivery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10155108B2 (en) 2013-04-19 2018-12-18 Oculeve, Inc. Nasal stimulation devices and methods
US10029144B2 (en) * 2013-09-18 2018-07-24 Jms Co., Ltd. Oral cavity function training tool
CN105979909B (zh) * 2014-02-25 2017-07-28 株式会社Gc 无牙颌患者用咬合记录器
CN106470673B (zh) 2014-02-25 2020-01-31 奥库利维公司 用于鼻泪刺激的聚合物制剂
AU358535S (en) 2014-04-18 2014-11-03 Oculeve Nasal stimulator device
KR20170109074A (ko) * 2014-04-30 2017-09-27 가부시키가이샤 엠티지 안면근 단련구
EP3171928B1 (en) 2014-07-25 2020-02-26 Oculeve, Inc. Stimulation patterns for treating dry eye
EP3204995B1 (en) 2014-10-06 2022-01-05 Black & Decker, Inc. Portable power supply
WO2016065211A1 (en) 2014-10-22 2016-04-28 Oculeve, Inc. Contact lens for increasing tear production
CN108992309A (zh) * 2014-10-22 2018-12-14 韦雪 一种多功能口腔训练器
BR112017008267A2 (pt) 2014-10-22 2017-12-19 Oculeve Inc dispositivos e métodos para tratar olho seco
US10207108B2 (en) 2014-10-22 2019-02-19 Oculeve, Inc. Implantable nasal stimulator systems and methods
NO340828B1 (en) * 2015-07-22 2017-06-26 Letsip As A device for training of oral motor musculature and the use thereof
US10426958B2 (en) 2015-12-04 2019-10-01 Oculeve, Inc. Intranasal stimulation for enhanced release of ocular mucins and other tear proteins
US10252048B2 (en) 2016-02-19 2019-04-09 Oculeve, Inc. Nasal stimulation for rhinitis, nasal congestion, and ocular allergies
US10918864B2 (en) 2016-05-02 2021-02-16 Oculeve, Inc. Intranasal stimulation for treatment of meibomian gland disease and blepharitis
JP6682358B2 (ja) * 2016-05-26 2020-04-15 株式会社松風 口輪筋トレーニング器具
US10416594B2 (en) * 2016-10-21 2019-09-17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metho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RU2019118600A (ru) 2016-12-02 2021-01-11 Окулив, Инк. Аппарат и способ составления прогноза синдрома сухого глаза и рекомендаций по лечению
JP6885821B2 (ja) * 2017-08-01 2021-06-16 株式会社パタカラ 口腔挿入具
JP7296370B2 (ja) * 2017-09-13 2023-06-22 ジョン ファレル クリストファー 口腔訓練器具
KR101985616B1 (ko) * 2018-04-20 2019-06-03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혀운동 기구
KR102035930B1 (ko) * 2018-04-20 2019-10-23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게임을 이용한 혀운동기기
US20230101781A1 (en) * 2021-09-10 2023-03-30 Michael Rhodes Pacifier with cheek stabilizers
TWI769098B (zh) * 2021-10-15 2022-06-21 中國醫藥大學 口腔復健裝置
TWI800043B (zh) * 2021-10-19 2023-04-21 鴻利國際科技有限公司 防暴牙安撫用奶嘴及其奶瓶用奶嘴
WO2024080315A1 (ja) * 2022-10-12 2024-04-18 株式会社エイトビーズ マウスピース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2410A (en) 1990-10-24 1991-10-01 Stubbs James M Device for controlling eating and smoking habit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02032A (en) * 1953-08-19 1955-02-15 Jack J Freedland Mouthpiece
US3818906A (en) * 1972-12-01 1974-06-25 J Stubbs Apparatus for controlling eating and smoking habits
SE403885B (sv) * 1975-10-31 1978-09-11 Blomstedt Hans Handel Trostare
US4986751A (en) * 1989-05-30 1991-01-22 Bergersen Earl Olaf Infant guidance pacifier appliance
US5334218A (en) * 1993-09-30 1994-08-02 Johnson Jill C Teething pacifier with semi-circular teething member
NO302926B1 (no) * 1996-07-05 1998-05-11 Terje S Pedersen Smokk, særlig av narresmokktype
US5814074A (en) * 1996-07-23 1998-09-29 Branam; Stephen Oral appliance for infants and toddlers
CN2291153Y (zh) * 1997-06-23 1998-09-16 林芳嫈 一种铰接有曲状护片的卫生奶嘴
FR2792189B1 (fr) 1999-04-14 2001-10-12 Louis Marie Dussere Tetine ergonomique
JP4482207B2 (ja) 1999-11-05 2010-06-16 克成 西原 口呼吸防止具
JP4491109B2 (ja) * 2000-03-31 2010-06-30 ピジョン株式会社 おしゃぶり
US7294141B2 (en) * 2002-09-20 2007-11-13 Ortho-Tain, Inc. Pacifier, a system and a method for maintaining proper dentitio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2410A (en) 1990-10-24 1991-10-01 Stubbs James M Device for controlling eating and smoking habi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857831B2 (en) 2010-12-28
TW200631572A (en) 2006-09-16
JP4597702B2 (ja) 2010-12-15
WO2006090598A1 (ja) 2006-08-31
KR20070105330A (ko) 2007-10-30
CN101119699A (zh) 2008-02-06
US20090018582A1 (en) 2009-01-15
CN101119699B (zh) 2012-06-06
TWI372618B (ko) 2012-09-21
JP2006230689A (ja) 2006-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0138B1 (ko) 구순 폐쇄구
US11517786B2 (en) Oral training appliance
US20130263864A1 (en) Teat device for preventing snoring and other habits
JP4491109B2 (ja) おしゃぶり
US20070240724A1 (en) Appliance, system and method for correction habits of an oral cavity
KR102119019B1 (ko) 손목 착용용 치아발육기
US3818906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eating and smoking habits
US20120037168A1 (en) Dental device for weight control
FI108276B (fi) Hupitutti
US20140046370A1 (en) Orthodontic Comforter
CN111494215A (zh) 安抚奶嘴
KR101976272B1 (ko) 손목에 착용한 상태로 다방향 물림이 가능한 상부 개방형 치아발육기
RU2631605C2 (ru) Развивающая направляющая соска-пустышка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развития младенца
CN213191315U (zh) 安抚奶嘴
US11712365B2 (en) Oral appliance
GB2292688A (en) Childrens' dummies
WO2024080315A1 (ja) マウスピース
RU2808477C2 (ru) Соска-пустышка для приучения к правильному положению языка
CN213821773U (zh) 防咬伤口腔垫
JP3210257U (ja) 食いしばり防止装置
JP2023048036A (ja) 口腔器具
JP2001309965A (ja) 乳幼児の口唇運動促進システム及び口唇運動促進方法
JP3193717U (ja) Tch防止具
JP2023085965A (ja) マウスピース
JP4045065B2 (ja) おしゃぶ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