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0892B1 - 차량의 출입용 접이식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의 출입용 접이식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0892B1
KR101190892B1 KR1020067009665A KR20067009665A KR101190892B1 KR 101190892 B1 KR101190892 B1 KR 101190892B1 KR 1020067009665 A KR1020067009665 A KR 1020067009665A KR 20067009665 A KR20067009665 A KR 20067009665A KR 101190892 B1 KR101190892 B1 KR 101190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s
frame
section
movable section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9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1490A (ko
Inventor
코르쿠에르 자비에르 살라자르
Original Assignee
바랫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랫 filed Critical 바랫
Publication of KR20060101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1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0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0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3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a loading ramp mounted on the vehicle
    • B60P1/435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a loading ramp mounted on the vehicle the ramp being attached to or making part of the side- or tailboards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2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slidable;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9/00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J1/00 - B60J7/00
    • B60J9/02Entrance or exit closures other than windows, doors, or in roofs, e.g. emergency escape closures in vehicle bot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3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a loading ramp mounted on the vehicle
    • B60P1/438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a loading ramp mounted on the vehicle with means for balancing the weight of the ramp between use and non-us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9/00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 B61D19/02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for carriages
    • B61D19/023Emergency ex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4/00Material or article handling
    • Y10S414/134Handicapped person hand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 Air Bags (AREA)
  • Non-Silver Salt Photosensitive Materials And Non-Silver Salt Photography (AREA)
  • Heat Sensitive Colour Forming Record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출입용 접이식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이 램프는 2개의 프레임(5, 6)으로 이루어지며, 이들 2개의 프레임(5, 6)은 힌지(7)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동시에, 힌지(8)에 의해 도어 개구 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들은 도어에 대해 접혀진 접힌 위치와, 펼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각 프레임은 2개의 종방향 비임(15, 16)과 중간 바닥판으로 이루어지며, 중간 바닥판은 가동 섹션(17)과 적어도 하나의 고정 섹션(18)으로 이루어지고, 가동 섹션(17)은 고정 섹션(18)과 겹쳐진 위치와, 고정 섹션(18)에 대해 연장되어 있는 다른 하나의 연장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출입용 접이식 램프{FOLDABLE ACCESS RAMP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출입용 접이식 램프(folding ramp)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승객 수송용 차량에 대해 상품을 싣고 부리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지만 필요한 경우 대피용 램프(evacuation ramp)로서 사용하도록 적용할 수 있는 차량의 출입용 접이식 램프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램프는 도어의 내측에서 출입용 개구에 조립되도록 되어 있고, 2개의 직사각형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형태이며, 이들 2개의 직사각형 프레임은 짧은 변(邊) 중 하나 변을 통해 서로에 그리고 프레임 중 하나의 프레임에서의 자유단인 짧은 변을 통해 도어 개구의 하부에 관절 형태로 연결되며, 2개의 프레임은 모두 이들이 서로에 대해 그리고 도어 개구 프레임에 대해 접한 상태로 유지되는 접힌 위치와, 지나다닐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정렬되어 외측으로 연장하는 펼친 위치 사이에 선회할 수 있으며, 각 프레임은 2개의 종방향 비임과 중간 바닥판으로 이루어지며, 2개의 프레임 모두는 현가 케이블에 의해 도어 개구 프레임에 연결되어 있고, 이 프레임에 조립된 브레이크를 갖는 권취 드럼에 현가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다.
전술한 형태의 대피용 램프는 본원의 출원인 명의의 스페인 특허 번호 제9600259호 및 제9600549호를 통해 공지되어 있으며, 이들 특허에서 램프를 형성하는 각 프레임은 겹쳐진 이중 C형 프로파일에 기초한 2개의 평행한 종방향 비임으로 이루어진다. 두 종방향 비임의 상측 C형 프로파일은 서로 대향하고 있으며, 이들 사이에 활주 가능한 가로 부재들이 조립되어 있고, 이 가로 부재들 사이에는 램프가 펼쳐졌을 때에 보행대(walkway)의 바닥판을 형성하는 직물 시트가 고정되어 있으며, 한편 램프가 접히는 경우, 가로 부재는 방향을 바꾸어 종방향 비임을 따라 활주하여, 시트가 접힌 상태로 프레임의 상부에서 서로 접하여 유지되어, 서로 접한 2개의 프레임에 가로 부재 및 시트가 없는 일치하는 투명 영역들이 존재하게 되며, 이들 영역은 도어와 일치하게 출입 및 시계(視界)를 위한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가로 부재의 이동은 종방향 비임의 제2의 C형 프로파일을 통해 연장하는 케이블에 의해 제어된다.
이러한 시스템은 램프를 접고 펼치기 위한 케이블과 종방향 비임을 이동시키기 위한 케이블을 별도로 배치하는 것을 필요로 하여, 보행대의 구성을 복잡하게 만든다. 게다가, 보행대의 바닥판은 펼친 상태에서 강성 및 사용자에 대한 안전성이 부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행대의 바닥판을 위한 구성 부품의 개수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그 바닥판을 보다 강하게 하여, 보다 간단하고 튼튼한 구성을 갖는 보행대에 의해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 프레임의 중간 바닥판은 프레임의 힌지핀의 근처에 있는 가동 섹션과, 적어도 하나의 고정 섹션을 포함한다. 가동 섹션은 종방향 비임에 의해 제한되어 있는 한편, 두 단부 위치 사이에서, 즉 가동 섹션이 중간 바닥판의 고정 섹션에 겹쳐지는 후퇴 위치와, 바닥면을 완성하도록 상기 고정 섹션에서 연장되어 유지되는 다른 하나의 연장 위치 사이에서 종방향 비임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2개의 프레임의 중간 바닥판의 가동 섹션 모두와 프레임들의 종방향 비임은 중간 바닥판의 가동 섹션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수단을 구비한다. 2개의 프레임의 가동 섹션은 프레임의 힌지핀에 인접한 가장자리 근처의 지점을 통해 그 프레임의 현가 케이블에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2개의 보행대 섹션을 위한 가동 섹션들은 프레임이 접힌 상태로 있을 때에 현가 케이블에 매달려 있고, 프레임을 펼치는 동작 중에 프레임의 현가 케이블이 점진적으로 풀어짐에 따라 연장 위치를 향해 자체 중량에 의해 이동하는 한편, 보행대를 접는 동작 중에 케이블이 당겨지게 되면, 2개의 프레임의 가동 섹션들은 후퇴 위치를 향해 이동한다.
본 발명의 보행대는 프레임의 펼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접힌 위치에서 프레임을 고정시키는 잠금 수단을 더 포함하며, 이 잠금 수단은 도어가 최대로 열린 위치에 근접하는 위치에 도달할 때에 해제될 수 있다.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모든 특징들을 비한정적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접힌 상태로 있는 본 발명의 램프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세부 A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어가 개방되어 있고, 램프가 중간 정도의 펼쳐진 상태로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 1과 유사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어가 개방되어 있고, 램프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로 있는 도 1 및 도 3과 유사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세부 B의 확대도이다.
도 6은 펼쳐진 상태에서 보행대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단면선 Ⅶ-Ⅶ을 따라 취한 펼쳐진 보행대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8은 연장 위치에 있는 중간 바닥판의 가동 섹션을 나타내는 도 6의 단면선 Ⅷ-Ⅷ을 따라 취한 보행대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중간 바닥판의 고정 섹션은 생략한 도 6의 단면선 Ⅸ-Ⅸ을 따라 취한 보행대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세부 C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6의 세부 D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도 1의 접힌 상태에서의 프레임 잠금 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램프는 도어(1)의 개구에 조립되도록 되어 있는 데, 도어(1)는 도 1, 도 3 및 도 4에 하나만이 도시된 도면 부호 2를 갖는 수직 기둥으로 이루어진 프레임에 조립되어, 그 도어(1)가 2개의 수직 기둥 사이의 굴곡된 힌지 아암(4)에 의해 회전 샤프트(3)를 따라 힌지(hinged)된다.
수직 기둥(2)의 사이의 도어(1) 뒤에 조립되는 대피용 램프는 힌지(7)에 의해 짧은 가장자리 중 하나를 통해 서로 연결된 도면 부호 5, 6을 갖는 2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프레임(5)은 또한 2개의 프레임의 힌지핀(7)에 대해 뿐만아니라 도어(1)의 힌지핀(3)에 대해 평행한 힌지핀(8)에 의해 수직 기둥(2) 사이에 조립된다.
프레임(5, 6)은 2개의 프레임 모두가 도어(1)의 프레임의 수직 기둥(2) 사이에 배치되어 함께 유지되는 도 1에 도시한 접힌 위치와 프레임(5, 6)이 바닥면을 형성하도록 연장되는 도 4에 도시한 펼친 위치 사이에서 선회할 수 있다.
프레임(5, 6)은 현가 케이블(9)에 의해 그 현가 케이블(9)을 권취하는 단부 드럼이 있는 브레이크(10)에 연결되어 있다. 도어(1)가 일단 개방되면, 도 1의 접힌 위치로부터 램프의 펼쳐짐이, 먼저 견인 완충 장치(traction dampener)로서의 공압식 또는 유압식 스프링 기구(11) 섹션에 의해 시작되고, 이어서 브레이크(10)가 현가 케이블(9)을 점진적으로 풀어냄에 따라 프레임(5, 6)의 중량으로 인해 도 4의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이루어질 수 있다. 프레임을 접는 것은 브레이크(10)의 작동에 의해 현가 케이블(9)을 당김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펼치는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프레임(5)은 도 2 및 도 5에 보다 명확히 도시한 공압식 또는 유압식 스프링 기구(11)에 의해 도어(1)의 프레임의 수직 기둥(2)에 연결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8에서 가장 잘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프레임(5, 6)은 2개의 종방향 비임(15, 16)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들 사이에 가동 섹션(17) 및 2개의 고정 섹션(18, 19)을 포함하는 중간 바닥판이 배치되어 있고, 2개의 고정 섹션(18, 19)들은 종방향 비임(15, 16)을 위한 연결 부재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에서 가장 잘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종방향 비임(15, 16)은 이들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 종방향 홈 형태의 2개의 가이드(20, 21)이 있으며, 이들 가이드 내에는 가동 섹션(17)의 단부에 근접하여 그 종방향 가장자리로부터 돌출하는 도면 부호 22, 23이 부여된 볼트 또는 런너(runner)가 삽입되는 데, 볼트 또는 런너(22)는 가이드(21)에 삽입되는 한편, 볼트 또는 런너(23)는 가이드(20)에 삽입되고, 2개의 볼트 또는 런너가 모두 가이드(20, 21)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됨으로써, 중간 바닥판의 가동 섹션(17)은 이 가동 섹션이 고정 섹션(18, 19)과 동일 평면에 있는 위치로 연장하는 도 6에 도시된 위치와, 가동 섹션(17)이 고성 섹션(18) 상에 배치되어 유지되어 있는 접힌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보행대가 도 1의 위치에 있는 경우, 가동 섹션(17)은 고정 섹션(18) 상에 배치되고, 2개의 프레임(5, 6)이 서로 접하게 배치될 때에, 2개의 프레임들에서 가동 섹션(17)이 없는 개구들이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고, 또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도어(1)의 있을 수 있는 투명한 창(24)에 대해 정열된다.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보행대를 완전히 연장된 위치에 도달할 때가지 펼치는 경우, 가동 섹션(17)은 그것이 고정 섹션(18, 19)들 사이에 위치할 때까지 2개의 프레임의 힌지핀(7)을 향해 점진적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바닥면을 완성하며, 그 동안에 가동 섹션(17)은 볼트 또는 런너(22, 23)에 의해 가이드(20, 21)를 통해 안내된다. 보행대를 접을 때 그 과정은 반대로 되며, 가동 섹션(17)은 그 자체 중량으로 인해 도 1의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점진적으로 하강한다.
보행대의 중간 바닥판의 가동 섹션(17)의 이동은 프레임의 현가 케이블(9)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를 행하기 위해, 현가 케이블(9)은 분기부(도시 생략)를 통해 2개의 섹션(25, 26)으로 분기되며, 분기부는 도 3에서 잘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2개의 섹션에 동일한 장력이 걸리도록 보상 및/또는 조절 요소로서 기능을 하게 되며, 상기 섹션들 중 섹션(25)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방향 비임(15)에 조립된 가이드 롤러(27)를 통과하여, 후에 프레임의 힌지핀(7)에 인접하는 가장자리 근처의 소정 지점(28)에서 가동 섹션(17)에 고정된다. 한편, 현가 케이블(9)의 섹션(26)은 프레임(6)의 종방향 비임(16)에 조립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가이드(29)를 통과하여, 후에 고정 섹션(19)에 인접하는 가장자리 근처의 소정 지점에서 가동 섹션(17)에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현가 케이블(9)을 당기거나 풀어주는 경우 2개의 프레임(5, 6)의 가동 섹션(17)이 동일한 속도로 올라가거나 내려가게 된다.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보행대는 또한 도어 개구의 2개의 수직 기둥(2)에 한쌍의 케이블(30)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이 케이블은 도 10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5)의 종방향 비임(15)에 일체로 된 케이블 보호구(31)를 통과해 삽입되어 프레임(6)의 종방향 비임(16)에 일체로 된 지지부(32)에 고정된다. 또,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도어 개구의 수직 기둥(2)의 상단에 연결되고 지지부(32)에 고정된 케이블(33)이 존재한다. 이러한 케이블(30, 33)은 보행대의 자유단이 지면 또는 고정된 지지점 상에 놓이지 않은 경우더라도 도 4의 상태를 보장하는 보조적 현가 수단 및 접는 수단으로서 기능을 한다.
간단히 말해, 전술한 구성은 가동 섹션(17)을 포함하는 강성의 중간 바닥판을 갖는 보행대를 제공하게 되는 데, 가동 섹션(17)은 개방된 시계 영역을 형성하도록 접은 상태에서 도어의 창과 일치하는 빈 공간을 남겨두게 되고, 보행대를 펼칠 때에 브레이크(10)가 현가 케이블(9)을 풀어냄에 따라 그러한 가동 섹션들이 자동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3 및 도 7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프레임에서 중간 바닥판의 가동 섹션(17)의 이동을 안내하는 종방향 홈 형태의 가이드(20, 21)는 가동 섹션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경로를 갖고 있어, 보행대를 접을 때에는 그 가동 섹션들이 고정 섹션(18)과 겹쳐진 상태로 배치되도록, 보행대를 펼칠 때에는 고정 섹션(18, 19)과 동일 평면에 있는 상태로 배치되도록 가동 섹션을 안내한다.
보행대가 접혀 후퇴한 상태는 도어(1)의 힌지 아암(4)에 힌지된 견인 아암 또는 케이블(36)에 의해 도어(1)로부터 작동될 수 있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잠금 장치(35)에 의해 고정된다. 잠금 장치(35)는 래치(37)를 수용하는 박스 케이싱을 포함하며, 래치(37)는 박스 케이싱으로부터 돌출하는 부분이 보행대의 배출을 방지하는 멈춤 장치로서 기능을 하고 있는 도 12에 도시한 돌출 위치와, 래치(37)가 박스 케이싱 내부에 유지되어 보행대의 배출을 허용하는 도 13에 도시한 후퇴 위치 사이에서 수직으로 이동한다.
래치(37)는 스프링(38)에 의해 도 12 및 도 14에 도시한 돌출 위치를 향해 지속적으로 압박되고 있으며, 그 이동은 견인 아암 또는 케이블(36)에 의해 도어(1)에 연결되어 있는 동시에 래치(37)의 노치(41)에 작용할 수 있는 푸시 로드(40)가 힌지되어 있는 레버(39)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어(1)가 닫힌 경우, 레버(39) 및 푸시 로드(40)는 도 12의 위치에 있고, 래치(37)는 램프의 배출을 방지하도록 돌출 위치에 있다. 도어(1)를 열게 되면, 견인 아암 또는 케이블(36)이 들어올려짐에 따라 그 견인 아암 또는 케이블(36)이 레버(39)를 당겨 푸시 로드(40)를 선회시키고, 이에 따라 도어(1)가 최대로 열린 위치에 근접할 때에 래치(37)가 도 13의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그 래치를 위로 당기게 된다. 이후, 도어(1)가 도 4의 상태로 완전히 열렸을 때에, 푸시 로드(40)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치(37)의 노치(41)를 넘어서게 되고, 래치는 스프링(38)의 작용에 의해 그것의 최대 돌출 위치로 복귀한다. 도어를 닫을 시에, 푸시 로드(40)는 스프링(42, 43)의 영향을 받아 도 12에 도시한 위치를 다시 차지할 때까지 래치(37)의 라운딩(rounding) 처리된 상단부 상에서 미끄러져 내려오게 되어, 도어가 완전히 닫히고 램프가 접혀 움츠러들었을 때에 램프가 우발적으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멈춤 장치로서 기능을 한다.
램프의 외측 프레임(6)은 그 자유단에 힌지된 계단부를 가질 수 있다.
보행대의 현가 케이블(9)을 제어하는 브레이크(10)는 2개의 현가 케이블(9)을 권취하는 2개의 단부 드럼과, 보행대의 부드럽고 제어된 펼침을 보장하는 제동 기구를 포함한다.

Claims (6)

  1. 도어(1) 뒤에서 도어 개구 프레임 내에 조립하도록 되어 있고, 2개의 직사각형 프레임(5, 6)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2개의 직사각형 프레임(5, 6)은 짧은 변(邊) 중 하나에서 힌지(7)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동시에, 힌지(8)에 의해 프레임(5, 6) 중 하나의 프레임(5)에서의 자유단인 짧은 변을 통해 도어 개구 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5, 6)들은 서로에 대해 그리고 도어 개구 프레임의 수직 기둥(2)에 대해 접힌 상태로 유지되는 접힌 위치와, 서로 정렬되어 있는 펼친 위치 사이에 선회할 수 있으며, 각 프레임(5, 6)은 2개의 종방향 비임(15, 16) 및 이들 종방향 비임 사이의 중간 바닥판으로 이루어지며, 2개의 프레임(5, 6)은 모두 현가 케이블(9)에 의해 도어 개구 프레임에 연결되어 있고, 이 도어 개구 프레임에 조립된 권취 드럼을 갖는 브레이크(10)에 상기 현가 케이블(9)이 연결되어 있는 것인 차량의 출입용 접이식 램프(folding ramp)로서,
    각 프레임(5, 6)의 중간 바닥판은 두 프레임(5, 6)의 힌지핀(7)의 근처에 배치되는 가동 섹션(17)과 적어도 하나의 고정 섹션(18)을 포함하며, 상기 가동 섹션(17)은 종방향 비임(15, 16)들 사이에서 제한되어 있는 한편, 가동 섹션(17)이 고정 섹션(18) 상에 배치된 상태로 유지된 후퇴 위치와, 바닥면을 완성하도록 가동 섹션(17)이 고정 섹션(18)에 대해 연장되어 그 고정 섹션(18)과 동일 평면상에 놓이는 다른 하나의 연장 위치 사이에서 종방향 비임(15, 16)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2개의 프레임(5, 6)의 가동 섹션(17)의 종방향 가장자리 및 상기 프레임(5, 6)의 종방향 비임(15, 16)은 가동 섹션(17)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수단을 구비하며, 가동 섹션(17)은 상기 프레임(5, 6)의 힌지핀(7)에 인접한 가동 섹션(17)의 가장자리 근처의 지점을 통해 그 프레임(5, 6)의 현가 케이블(9)에 연결되어 있어, 상기 2개의 가동 섹션(17)은 프레임(5, 6)이 접힌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현가 케이블(9)에 매달려 있고, 프레임(5, 6)들을 펼치는 동작 중에 프레임(5, 6)의 현가 케이블(9)이 점진적으로 풀어짐에 따라 상기 연장 위치를 향해 가동 섹션(17)이 자체 중량에 의해 이동하는 한편, 접는 동작 중에 현가 케이블(9)이 당겨지게 되면, 중간 바닥판의 가동 섹션(17)들은 상기 후퇴 위치를 향해 이동하며, 상기 접이식 램프가 프레임(5, 6)의 펼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접힌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5, 6)을 고정시키는 잠금 수단을 포함하며, 이 잠금 수단은 도어(1)가 최대로 열린 위치에 근접하는 위치에 도달할 때에 해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출입용 접이식 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5, 6)의 중간 바닥판의 가동 섹션(17)이 프레임(5, 6)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상기 안내 수단은, 상기 가동 섹션(17)의 종방향 가장자리로부터 돌출하는 한편, 상기 프레임(5, 6)의 종방향 비임(15, 16)들의 서로 대향하는 가장자리에서 종방향 비임(15, 16)을 따라 마련된 가이드(20, 21) 내에 삽입되는 볼트 또는 런너(runner)(22, 2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출입용 접이식 램프.
  3. 제2항에 있어서, 각 프레임(5, 6)의 중간 바닥판의 가동 섹션(17)의 종방향 가장자리 각각으로부터 돌출하는 2개의 볼트 또는 런너(22, 23)가 있고, 이들 볼트 또는 런너(22, 23)는 두 종방향 가장자리의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가동 섹션(17)의 각 횡방향 가장자리에 근접하여 위치하며, 상기 종방향 비임에 있는 가이드(20, 21)는 각 종방향 비임(15, 16) 상에 정렬된 2개의 종방향 홈으로 이루어지고, 이 종방향 홈은 상기 중간 바닥판의 고정 섹션(18) 위로 연장하여 상기 중간 바닥판의 가동 섹션(17)의 이동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종방향 홈은 2개의 프레임(5, 6) 사이의 힌지핀(7)에 근접한 종방향 홈의 단부쪽에서부터 종방향 비임(15, 16)의 후방 가장자리를 향해 가면서 경사진 부분을 구비하여, 중간 바닥판의 가동 섹션(17)이 중간 바닥판의 고정 섹션(18)과 동일 평면으로 배치될 때까지 그 가동 섹션(17)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출입용 접이식 램프.
  4. 제1항에 있어서, 각 프레임(5, 6)은 서로 다른 길이의 2개의 고정 섹션(18, 19) 사이에서 제한된 중간 바닥판의 가동 섹션(17)을 포함하며, 이들 고정 섹션(18, 19)과 가동 섹션(17)은 각각 강성 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출입용 접이식 램프.
  5.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5, 6)의 펼침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 수단은, 장력을 조절할 수 있고 도어 개구 프레임의 수직 기둥(2)과 차량에 인접한 프레임(5)에 연결된 공압식 또는 유압식 스프링 기구(1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출입용 접이식 램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5, 6)을 접힌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프레임 잠금 수단은, 도어 개구 프레임의 수직 기둥(2)의 상부에 조립되어 돌출 위치에서 도어 개구 프레임 상에 접힌 프레임(5, 6)을 접힌 상태로 고정시키는 래치(37)로 이루어지며, 이 래치(37)는, 상기 도어(1)가 최대로 열린 위치에 근접한 위치에 도달할 때 래치(37)를 후퇴시키고 그 후에 래치(37)를 해제시키도록 견인 아암 또는 케이블(36)에 의해 도어(1)에 연결된 푸시 로드(40) 및 레버(39)의 조합체를 구비하며, 상기 래치(37), 푸시 로드(40) 및 레버(39)는 각 스프링(42, 43)에 의해 잠금 및 휴지 위치로 압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출입용 접이식 램프.
KR1020067009665A 2003-10-23 2004-10-22 차량의 출입용 접이식 램프 KR1011908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SP200302475 2003-10-23
ES200302475A ES2238159B1 (es) 2003-10-23 2003-10-23 Rampa plegable de acceso a vehiculos.
PCT/ES2004/000464 WO2005039951A1 (es) 2003-10-23 2004-10-22 Rampa plegable de acceso a vehículo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490A KR20060101490A (ko) 2006-09-25
KR101190892B1 true KR101190892B1 (ko) 2012-10-16

Family

ID=34507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9665A KR101190892B1 (ko) 2003-10-23 2004-10-22 차량의 출입용 접이식 램프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8197176B2 (ko)
EP (1) EP1686032B1 (ko)
KR (1) KR101190892B1 (ko)
CN (1) CN100443341C (ko)
AT (1) ATE444219T1 (ko)
AU (1) AU2004283914B2 (ko)
CA (1) CA2543576C (ko)
DE (1) DE602004023413D1 (ko)
ES (2) ES2238159B1 (ko)
PL (1) PL1686032T3 (ko)
SI (1) SI1686032T1 (ko)
WO (1) WO200503995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7537A (ko) 2019-11-29 2021-06-08 김영민 스마트 에어댐퍼가 구비된 실감형 운동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72265A1 (en) * 2008-12-18 2011-08-29 Bombardier Transp Gmbh Ramp for evacuation device
GB2470746B (en) 2009-06-03 2013-03-06 Richard Fletcher Compact wheelchair platform
FR2947792B1 (fr) * 2009-07-09 2014-08-08 Barat "rampe d'evacuation"
JP5495652B2 (ja) * 2009-07-28 2014-05-21 川崎重工業株式会社 鉄道車両の扉構造
CN102671313B (zh) * 2012-05-08 2014-05-07 鞍山拜尔自控有限公司 同侧导轨电液双翼消防救生舱
JP5897150B2 (ja) * 2012-12-11 2016-03-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被搭載物の搭載装置
US9642755B2 (en) * 2012-12-11 2017-05-09 Honda Motor Co., Ltd. Mounting device for object to be mounted
CN107227683A (zh) * 2017-07-27 2017-10-03 燕山大学 一种用于人员渡河或货物输送的折叠式悬索桥
ES2739353B2 (es) * 2018-07-30 2020-06-30 Univ Malaga Dispositivo auxiliar para puertas de garaje
CN111252097B (zh) * 2020-03-05 2021-03-16 南京康尼机电股份有限公司 一种城轨紧急疏散坡道锁紧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5007A (en) 1977-07-22 1979-02-24 Metro Cammell Ltd Door for vehicle
WO2002081282A1 (es) 2001-04-04 2002-10-17 Construcciones Y Auxiliar De Ferrocarriles, S.A. Dispositivo de desalojo de viajeros para unidades de ferrocarril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51965A (en) * 1970-05-01 1972-03-28 Clover Ind Inc Wheel chair ramp for automotive vehicles
US3913497A (en) * 1974-10-23 1975-10-21 Boeing Co Movable step assembly for transit vehicles
FR2323859A1 (fr) * 1975-09-09 1977-04-08 Heuliez Sa Louis Dispositif d'ouverture et de guidage pour panneaux ouvrants, notamment panneaux d'evacuation rapide des passagers de vehicules de transport en commun
DE2620683C3 (de) * 1976-05-11 1980-04-17 Maschinenfabrik Augsburg-Nuernberg Ag, 8500 Nuernberg Einstieganordnung für ein Nahverkehrsfahrzeug, insbesondere Schienenfahrzeug
GB2001598B (en) * 1977-07-22 1982-04-28 Metro Cammell Ltd Doors for vehicles
US4216725A (en) * 1978-11-13 1980-08-12 Pullman Incorporated Combination door and emergency stairway exit
US4275664A (en) * 1979-09-26 1981-06-30 Vapor Corporation Step-platform operation
CN86204983U (zh) * 1986-07-24 1987-02-11 范熙荣 伸缩梯
JPH0725304B2 (ja) * 1986-09-12 1995-03-22 川崎重工業株式会社 常用と緊急用に兼用可能な出入口装置
US4966516A (en) * 1988-11-23 1990-10-30 Vartanian Industries, Inc. Vehicle access ramp having alternative pivots for stowing
GB2267109B (en) * 1992-05-21 1995-11-01 Westinghouse Brake & Signal Vehicle doors
GB2274092B (en) * 1992-11-27 1997-03-05 London Underground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oors
ES2130032B1 (es) * 1995-11-29 2000-01-16 Fine Products S A Mejoras en el objeto de la patente 9600259 relativa a un conjunto de puerta y rampa de evacuacion para medios de transporte de viajeros.
ES2130027B1 (es) * 1995-11-29 2000-01-16 Fine Products S A Conjunto de puerta y rampa de evacuacion para medios de transporte de viajeros.
ES2133093B1 (es) * 1997-02-27 2000-03-01 Fine Products S A Rampa de evacuacion para medios de transporte de viajeros.
ES2133092B1 (es) * 1997-02-27 2000-03-01 Fine Products S A Rampa de evacuacion para medios de transporte de viajeros.
IL121120A (en) * 1997-06-19 2000-12-06 Sensotech Ltd Door opening control apparatus
CN2310706Y (zh) * 1997-07-28 1999-03-17 唐山机车车辆厂 外伸式车梯
ES2134742B1 (es) * 1998-01-16 2000-05-16 Fine Products S A Rampa de evacuacion para vehiculos de transporte de viajeros.
CN2518744Y (zh) * 2001-12-14 2002-10-30 南京康尼机电新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客车乘客上下车辆用的折叠式踏板
US6837670B2 (en) * 2003-01-29 2005-01-04 The Braun Corporation Wheelchair access system with stacking platfor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5007A (en) 1977-07-22 1979-02-24 Metro Cammell Ltd Door for vehicle
WO2002081282A1 (es) 2001-04-04 2002-10-17 Construcciones Y Auxiliar De Ferrocarriles, S.A. Dispositivo de desalojo de viajeros para unidades de ferrocarri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7537A (ko) 2019-11-29 2021-06-08 김영민 스마트 에어댐퍼가 구비된 실감형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86032A1 (en) 2006-08-02
CN100443341C (zh) 2008-12-17
EP1686032B1 (en) 2009-09-30
ES2238159B1 (es) 2007-02-16
SI1686032T1 (sl) 2010-02-26
ATE444219T1 (de) 2009-10-15
ES2337580T3 (es) 2010-04-27
CA2543576A1 (en) 2005-05-06
ES2238159A1 (es) 2005-08-16
KR20060101490A (ko) 2006-09-25
CA2543576C (en) 2011-05-17
US20070183879A1 (en) 2007-08-09
PL1686032T3 (pl) 2010-04-30
CN1890143A (zh) 2007-01-03
WO2005039951A1 (es) 2005-05-06
US8197176B2 (en) 2012-06-12
DE602004023413D1 (de) 2009-11-12
AU2004283914A1 (en) 2005-05-06
AU2004283914B2 (en) 2011-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0892B1 (ko) 차량의 출입용 접이식 램프
EP0259886B1 (en) Dual-purpose door system
EP0776808B1 (en) Door and ramp evacuation unit for passenger transport vehicles
EP2459428B1 (en) Door structure for railway vehicle
RU2696403C2 (ru) Интегрированный узел подножки и поручня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его разворачивания
US4007844A (en) Self folding platform
EP1078795B1 (en) Opening/closing rear component structure of a vehicle
US10882567B2 (en) Rail system for a cabin of a vehicle
US20230391171A1 (en) Vehicle with a platform unit on a bodywork opening
JP2011025852A5 (ko)
KR100974137B1 (ko) 적어도 두 개의 커버 요소들을 갖는 차량 지붕
USRE31157E (en) Self-folding platform
NL8802552A (nl) Open-dakconstructie voor een voertuig.
KR200325046Y1 (ko) 화물차 적재함 덮개장치
KR101050394B1 (ko) 차량용 적재함 덮개
GB2267109A (en) Door with two kinds of movement
JP4022448B2 (ja) 荷受台昇降装置の荷受台折れ曲がり防止装置
BE1011224A6 (nl) Zijlift voor vrachtwagen met versterkingsbuis.
AU739625B2 (en) Door and ramp evacuation unit for passenger transport vehicles
JP2002326792A (ja) 高所作業車
KR200309725Y1 (ko) 화물 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
JPH0714076Y2 (ja) 昇降装置
CZ17725U1 (cs) Osobní bezkabinový výtah pro dvě podlaží
CZ299543B6 (cs) Zarízení na ovládání zakrývací liš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