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7381B1 - 실내 습도 감응식 가습 기능을 가진 음식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습방법 - Google Patents

실내 습도 감응식 가습 기능을 가진 음식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7381B1
KR101187381B1 KR1020090115709A KR20090115709A KR101187381B1 KR 101187381 B1 KR101187381 B1 KR 101187381B1 KR 1020090115709 A KR1020090115709 A KR 1020090115709A KR 20090115709 A KR20090115709 A KR 20090115709A KR 101187381 B1 KR101187381 B1 KR 101187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humidity
water vapor
discharged
way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5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9087A (ko
Inventor
김명수
강지영
양성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to KR1020090115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7381B1/ko
Publication of KR20110059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9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7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7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0Controlling by gas-analysis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7/0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 F23G7/06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waste gases or noxious gases, e.g. exhaust gases
    • F23G7/07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waste gases or noxious gases, e.g. exhaust gases in which combustion takes place in the presence of catalytic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3Supply-air or gas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2Biomass, e.g. waste vegetative matter, stra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xhaust Gas Treatment By Means Of Catalyst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절에 따라 바뀌는 실내의 습도에 반응하여 음식물 처리 시 발생하는 악취가 완전 제거된 배기가스를 이용해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가습기능을 갖는 음식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습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은 내부에 촉매 담체와 상기 촉매 담체를 가열하기 위한 촉매가열히터를 포함하는 촉매연소식 탈취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탈취모듈에서 배출된 배기가스에 포함된 수증기를 수집하기 위한 응축수 용기를 갖는 음식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탈취모듈의 배기관에 설치된 3웨이 밸브; 실내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습도센서; 및 입력단에 상기 습도센서가 접속되고, 출력단에 상기 3웨이 밸브가 접속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가습모드 시 상기 습도센서를 통해 감지된 실내의 습도에 따라 상기 3웨이 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배기관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선택적으로 상기 응축수 용기로 배출하거나 상기 응축수 용기를 거치지 않고 다량의 수증기가 함유된 상태로 직접 방출하고, 비가습모드 시 상기 3웨이 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배기관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상기 응축수 용기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음식물, 열풍건조, 습도, 악취, 펠티어 소자, 탈취, 촉매 담체, 응축

Description

실내 습도 감응식 가습 기능을 가진 음식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습방법{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Having Humidification Function Sensitive to Indoor Humidity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음식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계절에 따라 바뀌는 실내의 습도에 반응하여 음식물 처리 시 발생되는 수증기를 이용해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가습기능을 갖는 음식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 쓰레기는 수분함량이 높고 쉽게 부패되어 매립 및 소각처리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이를 수집하여 감량화 또는 자원화를 시도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최근 들어 각 가정의 주방 또는 업소에 배치되는 음식물 처리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음식물 처리장치는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고온 열풍, 미생물 발효, 분자 분해 기화 등의 방법으로 음식물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여 부피를 줄이거나 소멸시키는 제1공정과, 이 과정에서 발생된 수증기를 포함하는 악취가스로부터 탈취 및 응축과정을 거쳐 탈취 및 저온으로 낮추어진 공기를 실내 또는 외 부로 배출하는 제2공정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한 제1공정은 처리시간과 유지비용 등에 따라 선택될 수 있는 것이며, 제2공정은 사용자의 만족도와 직결되는 공정으로서 상품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상기 제2공정의 처리방식은 크게 나누어 탈취 후 응축방식 및 탈취 전 응축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탈취 후 응축방식은 일본 공개특허 제1998-267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건조실을 가열하는 열교환방식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경우 응축효율이 떨어지고 외부로 다량의 수증기를 포함하는 배기가스를 배출하기 때문에 실내에서 사용 시 실내습기를 증가시켜 특히, 여름철에는 불쾌지수를 상승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한편 탈취 전 응축방식은 일본 공개특허 제1996-29197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를 열풍 건조시킬 때 발생하는 공기로부터 악취를 탈취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 그대로 악취공기를 냉각시켜 응축수를 형성한다.
이 경우 배기가스에 포함된 수증기를 응축시킴으로써 배기가스로부터 수증기를 다소 제거한 상태로 배출하기 때문에 일본 공개특허 제1998-2671호에 개시된 음식물 처리장치에 비해 실내 습도가 상승하는 것을 막을 수 있었다. 하지만 처리장치 내측에 설치된 응축수 용기에는 악취가 나는 응축수가 수집되며, 응축수 용기를 비우기 위해 처리장치에서 분리하는 경우 응축수에서 나는 악취로 인해 사용자가 불쾌감 및 혐오감을 느끼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계절에 따라 바뀌는 실내의 습도를 감지하고 이 습도에 반응하여 음식물 처리 시 발생하는 악취가 완전 제거된 배기가스를 이용해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가습기능을 갖는 음식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습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촉매 담체와 상기 촉매 담체를 가열하기 위한 촉매가열히터를 포함하는 촉매연소식 탈취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탈취모듈에서 배출된 배기가스에 포함된 수증기를 수집하기 위한 응축수 용기를 갖는 음식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탈취모듈의 배기관에 설치된 3웨이 밸브; 실내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습도센서; 및 입력단에 상기 습도센서가 접속되고, 출력단에 상기 3웨이 밸브가 접속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가습모드 시 상기 습도센서를 통해 감지된 실내의 습도에 따라 상기 3웨이 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배기관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선택적으로 상기 응축수 용기로 배출하거나 상기 응축수 용기를 거치지 않고 다량의 수증기가 함유된 상태로 직접 방출하고, 비가습모드 시 상기 3웨이 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배기관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상기 응축수 용기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촉매 담체와 상기 촉매 담체를 가열하기 위한 촉매가열히터를 포함하는 촉매연소식 탈취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탈취모듈에서 배출된 배기가스에 포함된 수증기를 수집하기 위한 응축수 용기를 갖는 음식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탈취모듈의 배기관에 설치되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2개의 출력 유로 중 하나가 선택적으로 결정되는 3웨이 밸브; 상기 3웨이 밸브의 출력 유로 중 하나를 하우징 외부로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가스배출구와 연통된 배기챔버로 안내하는 제1 배출관; 상기 3웨이 밸브의 출력 유로 중 다른 하나를 응축수 용기로 안내하는 제2 배출관; 실내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습도센서; 및 입력단에 상기 습도센서가 접속되고, 출력단에 상기 3웨이 밸브가 접속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가습모드 시 상기 습도센서를 통해 감지된 실내 습도가 설정치 이상이면 상기 배기관과 제2 배출관을 연결하고, 실내 습도가 설정치 이하이면 상기 배기관과 제1 배출관을 연결하여 다량의 수증기가 함유된 배기가스를 배출하도록 상기 3웨이 밸브를 제어하며, 비가습모드 시 상기 배기관과 제2 배출관을 연결하여 상기 배기관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상기 응축수 용기로 배출하도록 상기 3웨이 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3웨이 밸브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악취를 감지하기 위한 악취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가습모드 시 상기 악취센서에 의해 악취가 감지되면 비가습모드로 변경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관으로부터 배출된 배기가스를 상기 음식물 처리장치 외부로 강제 배출하기 위한 배출팬 및 상기 배출팬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가습모드 시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배출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써 배기가스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도입관과 제2배출관 사이에 장착되며, 발열면은 상기 도입관에 면접되고, 냉각면이 상기 제2배출관에 면접된 펠티어 소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본 발명은, (a) 실내의 습도를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감지된 습도를 미리 설정된 습도의 설정치와 비교하는 단계; 및, (c) 상기 감지된 습도가 상기 설정치를 초과하면 음식물 처리 시 발생하는 악취공기를 필터링한 후 배출되는 배기가스로부터 수증기를 제거하여 방출하고, 상기 설정치 이하이면 상기 배기가스에 포함된 다량의 수증기를 제거하지 않고 방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를 이용한 가습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c) 단계 후, (d) 수증기가 제거되지 않은 배기가스의 악취를 감지하는 단계; 및 (e) 상기 배기가스에서 악취가 감지되면 배기가스로부터 수증기를 제거한 후 방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배기가스에 포함된 다량의 수증기를 제거하지 않고 방출 시 상기 배기가스의 방출량을 가변함으로써, 실내 습도를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a) 음식물을 고온 건조시키는 단계; (b) 상기 음식물을 고온 건조시킬 때 발생되는 다량의 수증기와 악취를 포함하는 배기가스에 대한 탈취를 실행하는 단계; (c) 가습모드 또는 비가습모드인 지를 판단하는 단계; (d) 가습모드인 경우 실내의 습도를 감지하여 미리 설정된 습도의 설정치와 비교하는 단계; 및, (e) 상기 실내 습도가 상기 설정치를 초과하는 경우 응축단계를 통하여 탈취된 배기가스로부터 수증기를 제거한 후 방출하고, 상기 실내 습도가 상기 설정치 이하인 경우 상기 다량의 수증기를 포함한 탈취된 배기가스를 실내로 방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를 이용한 가습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음식물 처리장치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로부터 악취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은 물론, 이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음식물 처리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가정이나 음식점 등의 실내 습도를 계절의 변화에 따라 알맞게 조절함으로써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촉매식 탈취모듈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의 가습작용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음식물 처리장치는 하우징(10), 송풍팬(21), 수분 차단필터(25), 처리용기(30), 촉매 탈취모듈(40), 펠티어 소자(50), 응축수 용기(60) 및 배출팬(63), 습도센서(81), 3웨이밸브(83), 제1 배출관(84a), 제2 배출관(84b), 악취센서(85) 및 제어부(9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송풍팬(21) 및 수분 차단필터(25)를 구비한 상부(11)와, 처리용기(30), 촉매탈취모듈(40), 펠티어 소자(50), 응축수 용기(60) 및 배출팬(63)을 구비한 하부(13)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의 상부(11)는 일측에 외기를 유입하기 위한 공기유입구(11a)가 형성되며, 공기유입구(11a)와 연통하는 제1 유로(P1)가 바람직하게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유로(P1)의 후단부에는 그의 하측에 위치한 처리용기(21)와 연통하는 관통구멍(11b)이 형성되고, 관통구멍(11b)의 하측, 즉 처리용기(21)의 상부에는 공기유입구(11a)로부터 제1 유로(P1)를 통하여 처리용기(21) 내부로 외기를 도입하기 위하여 송풍팬(21)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송풍팬(21)은 제1 유로(P1)에 설치된 구동모터(21a)에 의해 가동되며 축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유로(P1) 상에는 송풍팬(21)의 상류에 건조히터(23)가 배치되어 송풍팬(20)으로 이송되는 공기를 가열함으로써 처리용기(30)로 고온의 공기를 공급한다.
또한, 제1 유로(P1) 상에는 건조히터(23) 상류에 수분 차단필터(25)가 배치되며, 후술하는 재순환관(70)을 통해 제1 유로(P1)로 공급되는 배기가스는 수분 차단필터(25)를 통과하면서 내재된 수증기가 제거된 상태로 다시 건조히터(23)를 통과하면서 대략 100℃ 미만의 고온의 공기로 되어 처리용기(30)로 재공급된다. 이 경우, 제1 유로(P1)는 상대적으로 상온보다 높은 고온을 유지하게 되므로 수분 차단필터(25)는 예를 들면, 열에 강하면서 다수의 기공을 가지는 단일막 또는 다층막 구조를 갖는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기공은 수증기는 차 단하고 공기만을 통과시키도록 설정되는 것이 필요하며 소재는 친수성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수증기는 1,000만분의 4mm의 구멍을 통과하므로 상기 기공은 1,000만분의 4mm 이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재순환하는 배기가스의 일부로부터 수증기를 제거하여 재공급함에 따라, 종래와 같이 재순환용 배기에 포함된 수분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31)의 건조시간이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고속으로 음식물 쓰레기(31)를 건조할 수 있으며, 아울러 배기가스를 재활용함으로써 건조히터(23)의 사용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다. 즉, 재순환되는 배기가스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촉매탈취모듈 탈취모듈(40)의 제2 배기관(43b)을 통과하면서 제2 배출관(84b)이 펠티어 소자(50)의 냉각면(53)과 접촉되어 냉각이 이루어지게 되나, 여전히 상온보다 높은 온도를 가지며 대략 100℃ 미만의 온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온까지 충분히 냉각이 이루어지지 못한 배기가스를 재순환시키는 것은 에너지 효율 개선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처리용기(30)는 음식물 쓰레기(31)를 수납하고 건조하기 위한 것으로 대략 상부가 개방된 통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처리용기(30)에는 그의 하단에 음식물 쓰레기(31)를 교반과 동시에 잘게 분쇄하기 위한 분쇄/교반기(15)가 설치되고 분쇄/교반기(15)는 처리용기(30)의 하단 배면에 설치된 구동모터(17)에 의해 구동된다.
이 경우 처리용기(30) 내에 수납된 음식물 쓰레기(31)는 분쇄 및 교반과 동시에 상측에 설치된 송풍팬(21)을 통해 고온의 공기에 의해 열풍 건조된다.
촉매탈취모듈(40)은 금속케이스(41) 및 금속케이스(41) 내측에 설치된 촉매 담체(45)를 포함한다. 금속케이스(41)는 내부에 촉매 담체(45)를 수용할 수 있는 원통형 공간이 마련된다. 또한, 금속케이스(41)에는, 처리용기(30)에서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제2 유로(P2)에 연통되어 배기가스를 금속케이스(41) 내로 안내하기 위해 일측에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도입관(43a)이 배치되며, 타측에는 촉매 담체(45)를 거치면서 유입된 배기가스의 악취를 탈취한 실내 배기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관(43b)이 배치된다.
이러한 도입관(43a)과 배기관(43b)은 도입관(43a)으로 유입되는 배출가스가 금속케이스(41)의 내부에 배치된 촉매 담체(45)를 반드시 통과한 후 배출될 수 있도록, 금속케이스(41)에 수용된 촉매 담체(45)의 유입측 및 유출측의 양단에 각각 배치된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금속케이스(41)가 수직으로 배치될 때 하측에 도입관(43a)이 연통되고, 상측에는 배기관(43b)이 연통된다.
촉매 담체(45)는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니콤 형태의 다수의 셀로 이루어지며, 각 셀은 예를 들어, 원기둥의 길이 방향으로 유체 이동 통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펠티어(Peltier) 소자(50)는 전기를 공급하면 일측이 가열되는 발열면(51)과 반대측이 냉각되는 냉각면(53)을 가진다. 이와 같은 펠티어 소자(50)는 발열면(51)이 도입관(43a)에 면 접촉되고, 냉각면(53)이 3웨이 밸브(83)를 통해 배기관(43b)에 연통되는 제2 배출관(84b)에 각각 면 접촉되록 배치된다.
이 경우, 펠티어 소자(50)의 발열면(51)은 도입관(43a)을 가열시키는 보조 열원으로 사용되며, 도입관(43a)을 통과하는 배기가스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이와 같이 소정 온도로 가열된 배기가스는 촉매탈취모듈(40)로 유입된 후 촉매 담체(45)와 활발한 반응이 이루어지므로 탈취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와 함께 펠티어 소자(50)의 냉각면(53)은 제2 배기관(43b)을 냉각시킨다. 이에 따라 촉매탈취모듈(40)에서 탈취된 상태로 배출되어 제2 배기관(43b)을 통과하는 배기가스는 내부에 포함된 수증기가 응축되어 제2 배기관(43b)에 연통된 응축수 배출관(62)을 통하여 응축수 용기(60)로 수집된다.
상기 펠티어 소자(50)는 100℃~600℃까지 가열할 수 있는 텔루오르화 납을 소재로 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종래의 저항발열식 히터 대신 탈취모듈의 촉매가열 열원으로 대치가 가능하다.
응축수 용기(60)는 상측으로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제3 배출관(61)이 형성되며, 이 경우 제3 배출관(61)을 통해 배출된 배기가스는 배출팬(63)을 통해 하우징(10)의 하부(13) 일측에 형성된 가스배출구(13a)를 통해 하우징(10)의 하부(13) 내측으로부터 강제 배출된다.
이때, 가스배출구(13a)의 주변에는 배기가스의 배출방향을 상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배출가이드(65)가 설치된다. 이러한 배출가이드(65)는 가습모드에서 가스배출구(13a)를 통해 수증기가 실내로 원활하게 분사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재순환관(70)은 일측이 제2 배출관(84b)에 연통되고 타측이 제1 유로(P1)에 연통된다. 이에 따라 제2 배출관(84b)을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 중 일부를 제1 유로(P1)로 공급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촉매탈취모듈(40)은 도 2와 같이 모듈 내부에 자체 촉매가열히 터(142)를 구비하고 펠티어 소자(50)의 발열면(51)을 보조 열원으로 사용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펠티어 소자(50)의 발열면(51)을 촉매탈취모듈(40)의 메인 히터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 2를 참고하면, 촉매탈취모듈(40)은 금속케이스(141)와, 촉매가열히터(142)와, 촉매 담체(1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경우, 촉매가열히터(142)는, 금속관 내부에 발열체가 내장된 시즈(sheath) 히터를 발열체로 사용하여 중간에 내부 공간을 갖는 코일 형태로 권선된 권선부(142a)를 구비하며, 코일 형태는 원통형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촉매가열히터(142)에 대한 전원공급은 권선부(142a)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된 일측 및 타측 전원단자(144a,144b) 사이에 인가되며, 양 단자에 나사단자나 평단자 또는 러그단자(Lug terminal)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촉매 담체(145)는 예를 들어, 내측 촉매 담체(145a)와 외측 촉매 담체(145b)를 포함한다. 즉, 내측 촉매 담체(145a)는 촉매가열히터(142)에서 원통형 권선부(142a)의 내측에 배치되는 원기둥 형태의 촉매 담체이며, 외측 촉매 담체(145b)는 촉매가열히터(142) 권선부(142a)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원통 형태의 촉매 담체이다. 이를 위하여, 내측 촉매 담체(145a)는, 촉매가열히터(142)의 권선부(142a)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권선부(142a)의 내측 지름과 같거나 작은 외측 지름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내측 및 외측 촉매 담체(145a,145b)는 각각 허니콤 형태의 다수의 셀로 이루어지며, 원기둥의 길이 방향으로 유체 이동 통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촉매탈취모듈(40)에 촉매가열히터(142)를 자체적으로 구비하는 경우, 내측 및 외측 촉매 담체(145a,145b)의 촉매를 균일하게 활성화시키는데 유리한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촉매 담체(145a,145b)는 예를 들어, 20~100㎛ 두께를 갖는 FeCrAl계 내열성 합금 박판에 촉매금속으로서 백금, 코발트, 니켈, 팔라듐 또는 나노 실버를 코팅한 재료를 사용하며, 평판에 코로게이션 처리된 파판이 접촉하는 접촉부마다 용접이 이루어진 것을 권선하여 원기둥 또는 원통 형태로 성형하여 각 셀이 허니콤 구조를 이루고 있다.
상기 촉매 담체(145a,145b)는 촉매금속의 종류에 따라 예를 들어 200~600℃로 촉매활성온도가 설정된다. 상기 촉매 담체(145a,145b)의 셀은 파판의 형상에 따라 반구형 또는 삼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내측 촉매 담체(145a) 및 외측 촉매 담체(145b)는 상술한 허니콤 형태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FeCrAl계 합금 재료로는 Fe-15Cr-5Al 비율로 합성된 페칼로이 합금 또는 Fe-20Cr-5Al-REM(희토류 금속)(여기서, REM(Y, Hf, Zr) 1% 정도 포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촉매탈취모듈(40)은 도 2에 도시된 구조 외에도 히터와 촉매탈취모듈을 구비하는 구조를 갖는 경우 주지된 어떤 구조도 채택 가능하다. 예를 들어, 히터가 촉매탈취모듈로부터 분리되어 촉매탈취모듈의 전단에 배치된 구조도 채용 가능하다.
한편, 상기한 도 2에 도시된 촉매탈취모듈(40)에서는 도입관(43a)과 제2 배출관(84b)이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으나, 펠티어 소자(50)의 발열면(51)과 냉각면(53) 사이에 각각 탈취모듈(40)에서는 도입관(43a)과 제2 배출관(84b)이 면접촉이 이루어지도록 도입관(43a)과 제2 배출관(84b)은 적어도 일면이 평면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음식물 처리장치는 습도센서(81), 3웨이 밸브(3 way valve)(83), 제1 배출관(84a), 제2 배출관(84b), 악취센서(85) 및 제어부(90)를 통해 실내 습도를 감지하여 가습을 행한다.
습도센서(81)는 하우징(10) 외부에 설치되어 음식물 처리장치가 설치된 실내의 습도를 감지한다. 이 경우 습도센서(81)는 감지된 습도감지신호를 제어부(90)로 전송한다.
3웨이 밸브(83)는 배기관(43b)에 설치되고 제어부(9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러한 3웨이 밸브(83)는 제어부(9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 및 제2 배출관(84a,84b)을 교호로 개방하거나 폐쇄함에 따라 촉매탈취모듈(40)로부터 배출되는 다량의 수증기가 포함된 정화 배기가스의 이송 방향을 제1 배출관(84a) 또는 제2 배출관(84b) 측으로 안내한다.
제1 배출관(84a)은 배기관(43b)으로부터 배출되는 수증기가 다량 함유된 배기가스를 응축수 용기(60)를 거치지 않고 그대로 배기챔버(C)로 안내한다. 제2 배출관(84b)은 배기관(43b)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응축수 용기(60)로 안내한다.
악취센서(85)는 제1 배출관(84a)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악취를 감지하기 위해 하우징(10) 내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악취센서(85)는 감지된 악취감지신호를 제어부(90)로 전송한다.
제어부(90)는, 도 3을 참고하면, 습도센서(81) 및 악취센서(85)에서 전달된 신호 및 음식물 처리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값을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RAM인 제1 메모리(91)와, 음식물 처리장치 본래의 동작 제어용 프로그램과 배기가스를 이용한 가습작용을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ROM, PROM 또는 EEPROM인 제2 메모리(93)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90)는 입력단에 습도센서(81) 및 악취센서(85)가 접속되고, 출력단에 배출팬(63)의 구동모터(63a) 및 3웨이 밸브(83)가 접속된다.
도 3에서, 음식물 처리장치 본래의 동작 제어에 필요한 구동모터와 히터의 제어부에 대한 연결관계는 생략되어 있다.
이 경우 제어부(59)는 입력단에는 음식물 처리장치의 가동을 위한 입력부(미도시)가 접속되고, 출력단에 건조히터(23), 배출팬(63)의 구동모터(63a)가 각각 접속됨에 따라, 상기 가습작용 외에 음식물 처리장치를 함께 구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게 된다. 이하, 습도센서(81)가 작용하지 않는 비가습모드에서의 음식물 처리장치의 작동을 먼저 설명한다.
먼저, 처리용기(30)에 음식물 쓰레기(31)를 투입한 후 하우징(10)의 하부(13)에 장착시킨 뒤, 음식물 처리장치를 가동한다. 이에 따라 처리용기(30) 내부 에는 분쇄/건조기(15)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31)를 분쇄 및 교반 동작이 이루어지기 시작한다.
또한, 송풍팬(21)이 회전하여 하우징(10) 외부에 있는 외기(外氣)를 공기유입구(11a)를 통해 제1 유로(P1)로 강제로 흡입한다. 이때 제1 유로(P1)로 유입되는 외기는 건조히터(23)를 통과하면서 가열되어 고온 상태로 된다.
이에 따라 고온의 공기는 송풍기(21)를 통해 처리용기(30) 내부로 공급되면서, 물기를 포함한 음식물 쓰레기를 고속으로 열풍 건조시킨다.
그 후, 처리용기(30)에서 사용된 고온의 공기는 악취를 포함하는 배기가스로 되어 처리용기(30)로부터 제2 유로(P2)로 배출된다. 제2 유로(P2)를 따라 배출되는 악취를 포함한 배기가스는 도입관(43a)을 통과하면서 펠티어 소자(50)의 발열면(51)에 의해 예비 가열된 상태로 촉매탈취모듈(40)로 유입된다.
고온의 배기가스는 촉매탈취모듈(40)의 촉매 담체(45)를 통과하면서 촉매의 도움으로 산화가 이루어지면서 악취가 제거되고, 금속케이스(41)로부터 배출되어 배기관(43b)을 따라 이동한다. 계속해서 배기가스는 제2 배출관(84b)을 통해 이송되면서 펠티어 소자(50)의 냉각면(53)에 의해 급속히 냉각되고 배기가스에 포함된 수증기가 응축된다.
이와 같이 액화된 수증기는 제2 배출관(84b)을 따라 응축수 배출관(62)을 통하여 응축수 용기(60)로 수집된다. 이 경우 응축수 용기(60)에 수집된 응축수는 악취가 제거된 상태이므로 사용자는 악취로 인한 불쾌감을 느끼지 않고 응축수 용기(60)를 비울 수 있다.
한편, 수증기와 분리된 배기가스는 대부분 응축수 용기(60)를 거쳐 배출관(61)으로 배출된 후, 배출팬(63)에 의해 냉각과 동시에 하우징(10)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배기가스는 제2 배출관(84b)을 통과하면서 1차 냉각되고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응축수 용기(60)를 통과하면서 2차 냉각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음식물 처리장치는 하우징(10)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최대한 냉각된 상태로 배출되므로 배기가스에 의해 실내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배기가스 중 일부는 제2 배출관(84b)에서 재순환관(70)으로 유입된 후 다시 제1 유로(P1)로 이송된다. 재순환되는 배기가스는 수분 차단필터(25)를 거치면서 미처 제거되지 않은 수증기와 완전히 분리된 후, 건조히터(23)에 의해 가열된 상태로 송풍팬(21)에 의해 처리용기(30)로 재공급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기가스의 일부를 상온보다 높은 온도를 가지고 수분 차단필터(25)에 의해 수증기를 제거한 상태로 처리용기(30) 내부로 재순환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31)의 건조시간을 최대한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펠티어 소자(50)를 촉매탈취모듈(40)의 도입관(43a)에 발열면(51)이 면접되고 제2 배출관(84b)에 냉각면(53)을 각각 면접하도록 배치하여, 탈취모듈(40)의 보조 열원으로 사용함과 동시에, 배기가스의 응축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습도센서(81)가 동작하는 가습모드 하에서 본 실시예의 음식물 처리장치를 통해 실내 습도를 감지하여 가습작용의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의 가습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습도센서(81)는 지속적으로 실내의 습도를 감지하고(S1), 이 습도감지신호를 미리 정해진 주기에 따라 제어부(90)로 전송한다.
이어서, 제어부(90)는 제1 메모리(91)에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습도감지신호를 미리 설정된 습도 이하인지 판단한다(S2).
제어부(59)는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3웨이 밸브(83)를 제어하여 배기관(43b)으로부터 배출되는 수증기가 다량 함유된 배기가스를 제1 배출관(84a) 또는 제2 배출관(84b)으로 선택적으로 배출한다.
즉, 감지된 실내 습도가 설정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가스배출구(13a)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로 인해 실내 습도가 상승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도록, 제2 메모리(59b)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3웨이 밸브(83)를 동작시켜 제1 배출관(84a)을 폐쇄하고 동시에 제2 배출관(84b)을 개방한다(S3).
이에 따라 배기가스는 상기 비가습모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배출관(84)을 통해 1차 냉각되고, 이어서 응축수 용기(60)를 거치면서 2차 냉각됨에 따라 배기가스에 포함된 수증기를 최대한 제거한 상태로 배출된다.
반대로, 감지된 실내 습도가 설정치 이하로 판단되면 배기가스에 다량의 수증기가 함유된 상태대로 배출하여 실내 습도를 상승시킴에 따라 건조한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도록, 제2 메모리(59b)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3웨이 밸브(83)를 동작시켜 제1 배출관(84a)을 개방하고 동시에 제2 배출관(84b)을 폐쇄한다(S4). 이 경우 배기가스는 응축수 용기(60)를 거치지 않고 그대로 배기챔버(C)로 안내된다.
제어부(90)는 구동모터(63a)를 구동시켜 배출팬(63)을 통해 배기챔버(C) 내의 배기가스를 가스배출구(13a)를 통해 하우징(10)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가습작용을 행한다(S5). 이 경우 제어부(90)는 구동모터(63a)를 제어하여 배출팬(63)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써 배기가스의 배출량을 가변시킬 수 있어 실내 습도 조절을 좀더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배출관(C)을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다량의 수증기를 함유하고 있어 응축수 용기(60)를 거쳐 수증기가 제거된 상태의 배기가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악취가 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이에 따라 악취센서(85)는 제1 배출관(C)을 통해 배기챔버(C) 내로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악취가 포함되어 있지 감지한다(S6).
제어부(90)는 악취센서(85)로부터 전송된 악취감지제어신호를 제1 메모리(91)에 저장한 후, 미리 제2 메모리(93)에 저장된 악취 설정치와 비교한다.
악취 판단 결과 감지된 악취가 미리 설정한 설정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2 메모리(93)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3웨이 밸브(83)를 동작시켜 제1 배출관(84a)을 폐쇄하고 동시에 제2 배출관(84b)을 개방함으로써(S3), 배기가스를 응축수 용기(60) 측으로 이송되도록 안내한다.
반대로 악취 판단 결과 감지된 악취가 미리 설정한 설정치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가습작용을 지속적으로 행한다.
이후, 계속되는 가습에 의해 실내 습도가 상승하면 습도센서(81)에 의해 감 지되는 실내 습도를 제어부(90)로 전송함으로써, 상술한 과정을 반복적으로 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여름철과 같이 습도가 높은 계절에는 비가습모드로 음식물 처리장치를 가동하고, 반대로 겨울철과 같이 실내 습도가 낮아지는 계절에는 가습모드로 음식물 처리장치를 가동함으로써 별도의 가습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음식물 처리장치 사용 시 사용자가 실내 습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로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촉매식 탈취모듈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의 가습작용부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를 이용한 가습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 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하우징 11: 상부
11a: 공기유입구 11b: 관통구멍
13: 하부 13a: 가스배출구
15: 분쇄기 17,21a: 구동모터
21: 송풍팬 142: 촉매가열히터
23: 건조히터 25: 수분 차단필터
30: 처리용기 40,140: 촉매탈취모듈
41,141: 금속케이스 43a: 도입관
43b: 배기관 45,145: 촉매 담체
50: 펠티어 소자 51: 발열면
53: 냉각면 60: 응축수 용기
61: 배출관 62: 응축수 배출관
63: 배출팬 65: 배출가이드
70: 재순환관 81: 습도센서
83: 3웨이 밸브 84a: 제1 배출관
84b: 제2 배출관 85: 악취센서
90: 제어부

Claims (10)

  1. 내부에 촉매 담체와 상기 촉매 담체를 가열하기 위한 촉매가열히터를 포함하는 촉매연소식 탈취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탈취모듈에서 배출된 배기가스에 포함된 수증기를 수집하기 위한 응축수 용기를 갖는 음식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탈취모듈의 배기관에 설치된 3웨이 밸브;
    실내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습도센서; 및
    입력단에 상기 습도센서가 접속되고, 출력단에 상기 3웨이 밸브가 접속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가습모드 시 상기 습도센서를 통해 감지된 실내의 습도에 따라 상기 3웨이 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배기관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선택적으로 상기 응축수 용기로 배출하거나 상기 응축수 용기를 거치지 않고 다량의 수증기가 함유된 상태로 직접 방출하고,
    비가습모드 시 상기 3웨이 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배기관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상기 응축수 용기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2. 내부에 촉매 담체와 상기 촉매 담체를 가열하기 위한 촉매가열히터를 포함하는 촉매연소식 탈취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탈취모듈에서 배출된 배기가스에 포함된 수증기를 수집하기 위한 응축수 용기를 갖는 음식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탈취모듈의 배기관에 설치되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2개의 출력 유로 중 하나가 선택적으로 결정되는 3웨이 밸브;
    상기 3웨이 밸브의 출력 유로 중 하나를 하우징 외부로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가스배출구와 연통된 배기챔버로 안내하는 제1 배출관;
    상기 3웨이 밸브의 출력 유로 중 다른 하나를 응축수 용기로 안내하는 제2 배출관;
    실내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습도센서; 및
    입력단에 상기 습도센서가 접속되고, 출력단에 상기 3웨이 밸브가 접속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가습모드 시 상기 습도센서를 통해 감지된 실내 습도가 설정치 이상이면 상기 배기관과 제2 배출관을 연결하고, 실내 습도가 설정치 이하이면 상기 배기관과 제1 배출관을 연결하여 다량의 수증기가 함유된 배기가스를 배출하도록 상기 3웨이 밸브를 제어하며,
    비가습모드 시 상기 배기관과 제2 배출관을 연결하여 상기 배기관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상기 응축수 용기로 배출하도록 상기 3웨이 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3웨이 밸브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악취를 감지하기 위한 악취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가습모드 시 상기 악취센서에 의해 악취가 감지되면 비가습모드로 변경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으로부터 배출된 배기가스를 상기 음식물 처리장치 외부로 강제 배출하기 위한 배출팬 및 상기 배출팬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가습모드 시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배출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써 배기가스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다량의 수증기와 악취를 포함하는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도입관(43a)과 제2배출관(84b) 사이에 장착되며, 발열면(51)은 상기 도입관(43a)에 면접되고, 냉각면(53)이 상기 제2배출관(84b)에 면접된 펠티어 소자(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6. (a) 실내의 습도를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감지된 실내 습도를 미리 설정된 습도의 설정치와 비교하는 단계; 및,
    (c) 상기 감지된 실내 습도가 상기 설정치를 초과하면 음식물 처리 시 발생하는 다량의 수증기와 악취를 포함한 배기가스를 탈취모듈을 통하여 악취를 필터링한 후, 배출되는 다량의 수증기를 포함하는 배기가스를 응축수 용기(60)를 경유시킴에 의해 수증기를 제거하여 음식물 처리장치의 외부로 방출하고, 상기 감지된 실내 습도가 설정치 이하이면 상기 응축수 용기(60)를 거치지 않고 다량의 수증기가 함유된 상태로 직접 음식물 처리장치의 외부로 방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를 이용한 가습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후,
    (d) 수증기가 제거되지 않은 배기가스의 악취를 감지하는 단계; 및
    (e) 상기 배기가스에서 악취가 감지되면 배기가스로부터 수증기를 제거한 후 방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를 이용한 가습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배기가스에 포함된 다량의 수증기를 제거하지 않고 방출 시 상기 배기가스의 방출량을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를 이용한 가습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배기가스에서 악취가 감지되면 배기가스로부터 수증기를 제거한 후 방출하는 단계는 배기가스를 응축시킨 후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를 이용한 가습방법.
  10. (a) 음식물을 고온 건조시키는 단계;
    (b) 상기 음식물을 고온 건조시킬 때 발생되는 다량의 수증기와 악취를 포함하는 배기가스에 대한 탈취를 실행하는 단계;
    (c) 가습모드 또는 비가습모드인 지를 판단하는 단계;
    (d) 가습모드인 경우 실내의 습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실내 습도를 미리 설정된 습도 설정치와 비교하는 단계; 및,
    (e) 상기 실내 습도가 상기 설정치를 초과하는 경우 탈취가 이루어진 후 배출되는 다량의 수증기를 포함하는 배기가스를 응축수 용기(60)로 배출하는 응축단계를 통하여 탈취된 배기가스로부터 수증기를 제거한 후 음식물 처리장치로부터 실내로 방출하고, 상기 실내 습도가 상기 설정치 이하인 경우 상기 응축수 용기(60)를 거치지 않고 상기 다량의 수증기를 포함한 탈취된 배기가스를 음식물 처리장치로부터 실내로 방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를 이용한 가습방법.
KR1020090115709A 2009-11-27 2009-11-27 실내 습도 감응식 가습 기능을 가진 음식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습방법 KR101187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709A KR101187381B1 (ko) 2009-11-27 2009-11-27 실내 습도 감응식 가습 기능을 가진 음식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709A KR101187381B1 (ko) 2009-11-27 2009-11-27 실내 습도 감응식 가습 기능을 가진 음식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9087A KR20110059087A (ko) 2011-06-02
KR101187381B1 true KR101187381B1 (ko) 2012-10-02

Family

ID=44394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5709A KR101187381B1 (ko) 2009-11-27 2009-11-27 실내 습도 감응식 가습 기능을 가진 음식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73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34178A1 (en) * 2021-09-01 2023-03-09 Mill Industries, LLC Intelligent sensor-driven processing of organic matter for the smart ho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20055A (zh) * 2016-07-19 2016-10-12 苏州鸿本机械制造有限公司 厨余垃圾处理机的电控系统及控制方法
CN106403378B (zh) * 2016-12-08 2021-12-31 天津商业大学 一种可调节空气相对湿度的热泵干燥系统
CN110160344A (zh) * 2019-06-03 2019-08-23 陕西助智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可调节的智能化农业设备用谷物烘干装置
KR102304449B1 (ko) * 2021-05-21 2021-09-23 김수길 드라이에이징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0950A (ja) * 2001-04-27 2002-11-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生ごみ処理装置
KR200439008Y1 (ko) 2007-02-20 2008-03-17 이효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891968B1 (ko) * 2007-09-20 2009-04-08 이희자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0950A (ja) * 2001-04-27 2002-11-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生ごみ処理装置
KR200439008Y1 (ko) 2007-02-20 2008-03-17 이효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891968B1 (ko) * 2007-09-20 2009-04-08 이희자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34178A1 (en) * 2021-09-01 2023-03-09 Mill Industries, LLC Intelligent sensor-driven processing of organic matter for the smart home
US11680025B2 (en) 2021-09-01 2023-06-20 Chewie Labs Llc Organic matter processing apparatus for promoting net reduction of methane and other greenhouse gas emissions
US12084395B2 (en) 2021-09-01 2024-09-10 Chewie Labs Llc Organic matter processing apparatus for promoting net reduction of methane and other greenhouse gas emissions
US12098108B2 (en) 2021-09-01 2024-09-24 Chewie Labs Llc Intelligent sensor-driven processing of organic matter for the smart ho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9087A (ko) 2011-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7381B1 (ko) 실내 습도 감응식 가습 기능을 가진 음식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습방법
KR101197233B1 (ko) 촉매연소방식 탈취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처리장치
JP2008290061A (ja) 生ゴミ乾燥器
KR101125656B1 (ko) 촉매연소식 탈취모듈을 이용한 음식물 처리장치와 그 처리방법
KR101018875B1 (ko) 하이브리드형 악취 제거장치를 이용한 포터블 음식물 처리장치와 그의 제어방법
KR100775907B1 (ko) 음식물 쓰레기용 탈취장치
CN201081355Y (zh) 室内空气处理装置
CN111438160B (zh) 一种循环除湿的发酵装置及方法
KR101178845B1 (ko) 탈취모듈 촉매재생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처리장치와 탈취모듈의 촉매재생방법
JP4273603B2 (ja) 厨芥処理機
JP3616273B2 (ja) 加熱調理器
JP2001025744A (ja) 生ゴミ処理装置
JP2002181359A (ja) 加湿装置
JP2001153553A (ja) 屋内用厨芥処理機
JP3600201B2 (ja) 有機物処理装置
KR015137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JP2004255280A (ja) 生ごみ処理装置
JP4277632B2 (ja) 生ごみ乾燥処理機
KR10073413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
CN118111175A (zh) 冰箱及其杀菌除味控制方法
JP2009178623A (ja) 生ゴミ処理機
JP2004089860A (ja) 生ゴミ処理機
JPH08291976A (ja) 厨芥処理機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4089830A (ja) 有機物処理装置
CN117357679A (zh) 衣物护理柜和用于衣物护理柜的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