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4449B1 - 드라이에이징 시스템 - Google Patents

드라이에이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4449B1
KR102304449B1 KR1020210065364A KR20210065364A KR102304449B1 KR 102304449 B1 KR102304449 B1 KR 102304449B1 KR 1020210065364 A KR1020210065364 A KR 1020210065364A KR 20210065364 A KR20210065364 A KR 20210065364A KR 102304449 B1 KR102304449 B1 KR 102304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oisture
water
panel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5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길
Original Assignee
김수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길 filed Critical 김수길
Priority to KR1020210065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44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4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4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3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4/031Apparatus for 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5/00Apparatus for hanging-up meat or sausage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5/00Apparatus for hanging-up meat or sausages
    • A22C15/008Cages specially adapted for suspending hams, meat or saus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3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4/037Freeze-drying, i.e. cryodessication, lyophilisation;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23B4/06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the materials not being transported through or in the apparatus with or without shaping, e.g. in the form of powder, granules or fl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 F25D2317/041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 F25D2317/0415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by deodori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사용량을 줄일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드라이에이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에이징 시스템은, 집수통(34)에 저장된 수분을 저수통(62)에 저장하고, 고기에서 발생된 냄새성분을 상기 수집커버(63)를 이용하여 수집한 후, 상기 급기관(64)을 통해 저수통(62)으로 공급하여, 공기에 포함된 냄새성분이 저수통(62)에 저장된 수분에 흡수되어 제거되도록 하고, 공기에 포함된 냄새성분의 농도를 냄새측정센서(66)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공기중의 냄새 농도가 미리 설정된 농도 이상으로 상승될 때만 급기팬(61)을 작동시켜 하우징(10) 내부가 환기되도록 한다.
따라서, 냄새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면서, 하우징(10) 내부의 공기를 환기시키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고기에 않좋은 냄새가 베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냉각수단(30)의 작동을 최소화하여 전기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드라이에이징 시스템{dry aging system}
본 발명은 전기사용량을 줄일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드라이에이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고기를 온도 1~3℃, 습도 70~80%의 환경에서 장시간 숙성시키는 드라이에이징 숙성방법이 인기를 끌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이와 같이, 고기를 드라이에이징하는데 사용되는 드라이에이징 시스템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어 고기를 걸어놓을 수 있도록 된 거치대(20)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어 하우징(10) 내부의 공기를 냉각시키는 냉각수단(30)과,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10)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조절수단(40)과,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10)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51) 및 습도센서(52)와, 상기 온도센서(51) 및 습도센서(52)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냉각수단(30)과 습도조절수단(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53)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단열기능이 있는 패널을 박스형태로 결합하여 구성되며, 일측에는 도어(11)에 의해 개폐되는 출입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는 외부에서 하우징(10)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된 관찰창(12)이 구비된다.
상기 관찰창(12)은 하우징(10)의 일측을 절단하여 개구부(12a)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12a)에 투광성의 패널(12b)을 결합하여 구성된다.
상기 거치대(20)는 다수개의 금속봉을 결합하여 구성된 것으로, 숙성시킬 고기에 결합된 후크를 상기 금속봉에 걸어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냉각수단(30)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일측에 구비된 증발기(31)와, 냉매관을 통해 상기 증발기(31)에 연결된 압축기(32)와 응축기(33)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32)를 구동시키면, 압축기(32)에 의해 압축된 냉매가 상기 응축기(33)를 통과하면서 열을 방출하고, 상기 증발기(31)의 내부에서 팽창됨으로써, 주변의 열기를 흡수하여 증발기(31)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를 냉각시킨다.
한편, 이러한 냉각수단(30)을 지속적으로 작동시킬 경우, 증발기(31)를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수분이 응축되어 증발기(31)에 부착됨으로, 공기의 습도가 지속적으로 낮아지게 된다.
이때, 상기 증발기(31)에 응축된 수분은 하측으로 낙하됨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증발기(31)의 하측에는 집수통(34)이 배치되며, 상기 집수통(34)에는 하우징(10)의 외측으로 연장된 배수관(35)이 구비되어, 증발기(31)에서 낙하된 수분을 수집하여 배수관(35)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습도조절수단(40)은 작동시 물을 증발시켜 하우징(10)의 내부로 공급하는 가습기를 이용한다.
상기 제어수단(53)은 상기 온도센서(51) 및 습도센서(52)의 신호를 피드백하여 상기 냉각수단(30)과 습도조절수단(40)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하우징(10) 내부의 온도가 1~3℃, 습도가 습도 70~80%를 유지하도록 조절한다.
그런데, 이러한 드라이에이징 시스템을 이용하여 고기를 속성시킬 경우, 고기에서 숙성되면서 가스, 즉 냄새성분이 발생됨으로, 환기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고기에 안 좋은 냄새가 베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자주 환기를 시켜주어야 하는데, 이러한 경우, 하우징(10) 내부의 차가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하우징(10) 내부의 온도가 상승되며, 이에 따라, 상기 냉각수단(30)을 자주 작동시켜야 함으로, 전기를 많이 소비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둘레부에는 관찰창(12)이 구비되어, 사람들이 관찰창(12)을 통해 내부에 저장된 고기의 숙성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하우징(10)의 내부의 공기는 외부의 온도에 비해 낮은 1~3℃의 온도를 유지함으로, 상기 관찰창(12)의 외측면에 수분이 응축된 물방울이 맺히게 되며, 이러한 물방울에 의해 하우징(10)의 내부가 잘 보이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1827683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기사용량을 줄일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드라이에이징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어 고기를 걸어놓을 수 있도록 된 거치대(20)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어 하우징(10) 내부의 공기를 냉각시키는 냉각수단(30)과,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10)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조절수단(40)과,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10)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51) 및 습도센서(52)와, 상기 온도센서(51) 및 습도센서(52)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냉각수단(30)과 습도조절수단(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53)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수단(30)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일측에 구비된 증발기(31)와, 냉매관을 통해 상기 증발기(31)에 연결된 압축기(32) 및 응축기(33)와, 상기 증발기(31)의 하측에 구비되어 증발기(31)에서 낙하된 수분을 수집하는 집수통(34)을 포함하는 드라이에이징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둘레부에는 급기공(13)과 배기공(14)이 형성되고, 상기 급기공(13)에 구비된 급기팬(61)과, 상부 일측에 배기구(62c)가 형성된 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연결관(62a)을 통해 상기 집수통(34)에 연결되어 집수통(34)에 수집된 수분을 저장하며 일측에는 하우징(1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배수관(62b)이 구비된 저수통(62)과, 상기 거치대(2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거치대(20)에 걸려진 고기에서 발생되는 냄새성분을 수집하는 수집커버(63)와, 상기 수집커버(63)와 저수통(62)을 연결하는 급기관(64)과, 상기 급기관(64)의 중간부에 구비되며 수집커버(63)에 포함된 냄새성분을 상기 저수통(62)에 저장된 수분의 내부로 공급하여 냄새성분이 상기 저수통(62)에 저장된 물에 흡수되도록 하는 급기펌프(65)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어 하우징(10) 내부의 냄새성분의 농도를 측정하는 냄새측정센서(66)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53)은 상기 냄새측정센서(66)의 신호를 수신하여, 하우징(10) 내부의 냄새성분의 농도가 미리 설정된 농도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급기팬(61)을 작동시켜 하우징(10) 내부의 공기를 환기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에이징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는 관찰창(12)이 형성되고, 상기 관찰창(12)은 하우징(10)에 형성된 개구부(12a)에 투광성의 패널(12b)을 결합하여 구성되며, 상기 관찰창(12)에 구비되어 상기 패널(12b)의 외측면에 부착된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제거수단(70)이 구비되며, 상기 수분제거수단(70)은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고 내측면에는 상기 패널(12b)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와이퍼부재(71a)가 구비된 승강바(71)와, 상기 승강바(71)에 연결되어 승강바(71)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72)과, 상기 승강바(71)에 연결된 배수수단(73)과, 패널(12b)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패널(12b)의 외측면에 부착된 수분을 감지하는 수분감지수단(74)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바(71)의 내측면에는 상기 와이퍼부재(71a)의 상측에 위치되는 흡입공(71b)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수단(73)은 흡입관(73a)을 통해 상기 흡입공(71b)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바(71)가 상승될 때 상기 와이퍼부재(71a)에 의해 제거된 수분을 흡입하여 배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수단(53)은 상기 수분감지수단(74)의 신호를 수신하여 패널(12b)의 외측면에 수분이 맺힌 것이 감지되면, 상기 승강구동수단(72)과 배수수단(73)을 구동시켜 패널(12b)의 외측면에 맺힌 수분을 제거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에이징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에이징 시스템은, 집수통(34)에 저장된 수분을 저수통(62)에 저장하고, 고기에서 발생된 냄새성분을 상기 수집커버(63)를 이용하여 수집한 후, 상기 급기관(64)을 통해 저수통(62)으로 공급하여, 공기에 포함된 냄새성분이 저수통(62)에 저장된 수분에 흡수되어 제거되도록 하고, 공기에 포함된 냄새성분의 농도를 냄새측정센서(66)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공기중의 냄새 농도가 미리 설정된 농도 이상으로 상승될 때만 급기팬(61)을 작동시켜 하우징(10) 내부가 환기되도록 한다.
따라서, 냄새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면서, 하우징(10) 내부의 공기를 환기시키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고기에 않좋은 냄새가 베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냉각수단(30)의 작동을 최소화하여 전기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드라이에이징 시스템을 도시한 평면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드라이에이징 시스템의 집수통을 도시한 참고도,
도 3은 종래의 드라이에이징 시스템의 회로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에이징 시스템을 도시한 평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에이징 시스템의 요부를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에이징 시스템의 수분제거수단을 도시한 외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에이징 시스템의 수분제거수단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에이징 시스템의 회로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에이징 시스템의 수분제거수단의 작용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에이징 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어 고기를 걸어놓을 수 있도록 된 거치대(20)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어 하우징(10) 내부의 공기를 냉각시키는 냉각수단(30)과,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10)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조절수단(40)과,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10)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51) 및 습도센서(52)와, 상기 온도센서(51) 및 습도센서(52)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냉각수단(30)과 습도조절수단(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53)이 구비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는 외부에서 하우징(10)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된 관찰창(12)이 구비된다.
상기 관찰창(12)은 하우징(10)의 일측을 절단하여 개구부(12a)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12a)에 투광성의 패널(12b)을 결합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각수단(30)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일측에 구비된 증발기(31)와, 냉매관을 통해 상기 증발기(31)에 연결된 압축기(32) 및 응축기(33)와, 상기 증발기(31)의 하측에 구비되어 증발기(31)에서 낙하된 수분을 수집하는 집수통(34)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10)의 둘레부에는 급기공(13)과 배기공(14)이 형성되고, 상기 급기공(13)에 구비된 급기팬(61)과, 상부 일측에 배기구(62c)가 형성된 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연결관(62a)을 통해 상기 집수통(34)에 연결되어 집수통(34)에 수집된 수분을 저장하며 일측에는 하우징(1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배수관(62b)이 구비된 저수통(62)과, 상기 거치대(2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거치대(20)에 걸려진 고기에서 발생되는 냄새성분을 수집하는 수집커버(63)와, 상기 수집커버(63)와 저수통(62)을 연결하는 급기관(64)과, 상기 급기관(64)의 중간부에 구비된 급기펌프(65)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어 하우징(10) 내부의 냄새성분의 농도를 측정하는 냄새측정센서(66)가 더 구비된다.
상기 급기팬(61)은 상기 제어수단(53)에 의해 작동제어되며, 작동시 외부의 공기가 상기 급기공(13)을 통해 하우징(10)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으로, 외부의 공기가 급기공(13)을 통해 하우징(10)의 내부로 공급되면, 하우징(10) 내부의 공기가 상기 배기공(1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하우징(10)의 내부에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저수통(62)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집수통(34)에 비해 낮은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관(62a)은 집수통(34)의 하측면과 저수통(62)의 하측면을 연결한다.
상기 배수관(62b)은 상기 저수통(62)의 중간부 일측에서 하우징(10)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31)에 응축되어 하측으로 낙하된 수분은 상기 집수통(34)에 수집된 후 연결관(62a)을 통해 저수통(62)으로 배출되어 저장되며, 저수통(62)의 내부에 저장된 수분의 수위가 상기 배수관(62b)이 연결된 위치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배수관(62b)을 통해 자동으로 배출된다.
상기 수집커버(63)는 상기 거치대(20)의 넓이에 비해 넓으면서 하측면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거치대(20)에 걸려진 고기에서 발생된 냄새성분을 수집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급기관(64)은 상기 수집커버(63)의 상면 중앙부와 상기 저수통(62)의 하측면 일측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급기펌프(65)를 구동시키면, 도 5에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집커버(63)의 하측의 공기와 공기에서 발생된 냄새성분이 흡입되어 상기 급기관(64)을 통해 저수통(62)의 하측으로 공급된 후, 상승되어 저수통(62)에 형성된 배기구(62c)를 통해 외부, 즉, 하우징(10)의 내부로 배출되며, 이때, 공기중에 포함된 냄새성분이 저수통(62)의 내부에 저장된 수분에 흡수되어 제거된다.
상기 냄새측정센서(66)는 공기중에 포함된 특정성분의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농도값을 출력하는 것으로, 다양한 종류의 것이 개발되어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음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53)은 상기 냄새측정센서(66)의 신호를 수신하여, 하우징(10) 내부의 공기에 포함된 냄새성분, 즉, 상기 고기가 숙성되면서 발생되는 가스성분의 농도가 미리 설정된 농도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급기팬(61)을 구동시켜 외부의 공기가 급기공(13)을 통해 하우징(10)의 내부로 공급되고 하우징(10) 내부의 공기는 상기 배기공(1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하우징(10)의 내부에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관찰창(12)에는 상기 패널(12b)의 외측면에 부착된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제거수단(70)이 구비된다.
상기 수분제거수단(70)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고 내측면에는 상기 패널(12b)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와이퍼부재(71a)가 구비된 승강바(71)와, 상기 승강바(71)에 연결되어 승강바(71)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72)과, 상기 승강바(71)에 연결된 배수수단(73)과, 패널(12b)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패널(12b)의 외측면에 부착된 수분을 감지하는 수분감지수단(74)으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바(71)는 강도가 높은 합성수지재질의 사각바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내측면에는 상기 와이퍼부재(71a)의 상측에 위치되는 흡입공(71b)이 형성된다.
상기 와이퍼부재(71a)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재질의 삼각바형상으로 구성되어, 내측단으로 돌출된 모서리부가 상기 패널(12b)의 외측면에 밀착된 것으로, 상기 승강바(71)가 하강된 상태에서 상승되면, 상기 패널(12b)의 외측면에 부착된 수분을 상측으로 긁어내어 제거한다.
이때, 상기 와이퍼부재(71a)의 상면은 외측으로 하향경사지도록 구성되어, 상측으로 긁어내어진 수분이 와이퍼부재(71a)의 상면을 따라 상기 흡입공(71b)쪽으로 흘러가도록 구성된다.
상기 승강구동수단(72)은 상기 패널(12b)의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리드스크류(72a)와, 상기 리드스크류(72a)에 연결되어 리드스크류(72a)를 정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구동모터(72b)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승강바(71)의 양단이 상기 리드스크류(72a)에 결합되어, 구동모터(72b)로 리드스크류(72a)를 정역회전시키면 상기 승강바(71)가 승강된다.
상기 배수수단(73)은 상기 흡입공(71b)에 연결된 흡입관(73a)의 중간부에 구비된 흡기펌프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승강바(71)가 상승될 때 상기 와이퍼부재(71a)에 의해 제거된 수분을 공기와 함께 흡입하여 상기 흡입관(73a)을 통해 하수구 등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분감지수단(74)은 상기 패널(12b)의 내측면 중앙부에 구비되며, 패널(12b)의 외측으로 자외선 등을 조사하고, 자외선이 패널(12b)의 외측면에 맺힌 수분에 반사되는 것을 감지하여, 패널(12b)의 외측면에 수분이 맺힌 것을 감지하는 것으로, 자동차에 사용되는 우적센서와 동일한 것임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53)은 상기 수분감지수단(74)의 신호를 수신하여 패널(12b)의 외측면에 수분이 맺힌 것이 감지되면, 상기 승강구동수단(72)과 배수수단(73)을 구동시켜 상기 승강바(71)가 상승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승강구동수단(72)과 배수수단(73)이 구동되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널(12b)의 외측면에 맺힌 수분이 와이퍼(71a)에 의해 긁어내어진 후, 흡입공(71b)과 흡입관(73a)을 통해 흡입되어 제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드라이에이징 시스템은, 집수통(34)에 저장된 수분을 저수통(62)에 저장하고, 고기에서 발생된 냄새성분을 상기 수집커버(63)를 이용하여 수집한 후, 상기 급기관(64)을 통해 저수통(62)으로 공급하여, 공기에 포함된 냄새성분이 저수통(62)에 저장된 수분에 흡수되어 제거되도록 하고, 공기에 포함된 냄새성분의 농도를 냄새측정센서(66)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공기중의 냄새 농도가 미리 설정된 농도 이상으로 상승될 때만 급기팬(61)을 작동시켜 하우징(10) 내부가 환기되도록 한다.
따라서, 냄새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면서, 하우징(10) 내부의 공기를 환기시키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고기에 않좋은 냄새가 베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냉각수단(30)의 작동을 최소화하여 전기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관찰창(12)의 패널(12b) 외측면에 수분이 맺히면, 상기 수분제거수단(70)을 구동시켜 수분을 제거함으로서, 상기 관찰창(12)을 통해 고기의 숙성상태를 관찰하는 것에 방해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하우징 20. 거치대
30. 냉각수단 40. 습도조절수단
51. 온도센서 52. 습도센서
53. 제어수단

Claims (2)

  1.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어 고기를 걸어놓을 수 있도록 된 거치대(20)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어 하우징(10) 내부의 공기를 냉각시키는 냉각수단(30)과,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10)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조절수단(40)과,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10)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51) 및 습도센서(52)와,
    상기 온도센서(51) 및 습도센서(52)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냉각수단(30)과 습도조절수단(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53)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수단(30)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일측에 구비된 증발기(31)와,
    냉매관을 통해 상기 증발기(31)에 연결된 압축기(32) 및 응축기(33)와,
    상기 증발기(31)의 하측에 구비되어 증발기(31)에서 낙하된 수분을 수집하는 집수통(34)을 포함하는 드라이에이징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둘레부에는 급기공(13)과 배기공(14)이 형성되고,
    상기 급기공(13)에 구비된 급기팬(61)과,
    상부 일측에 배기구(62c)가 형성된 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연결관(62a)을 통해 상기 집수통(34)에 연결되어 집수통(34)에 수집된 수분을 저장하며 일측에는 하우징(1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배수관(62b)이 구비된 저수통(62)과,
    상기 거치대(2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거치대(20)에 걸려진 고기에서 발생되는 냄새성분을 수집하는 수집커버(63)와,
    상기 수집커버(63)와 저수통(62)을 연결하는 급기관(64)과,
    상기 급기관(64)의 중간부에 구비되며 수집커버(63)에 포함된 냄새성분을 상기 저수통(62)에 저장된 수분의 내부로 공급하여 냄새성분이 상기 저수통(62)에 저장된 물에 흡수되도록 하는 급기펌프(65)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어 하우징(10) 내부의 냄새성분의 농도를 측정하는 냄새측정센서(66)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53)은 상기 냄새측정센서(66)의 신호를 수신하여, 하우징(10) 내부의 냄새성분의 농도가 미리 설정된 농도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급기팬(61)을 작동시켜 하우징(10) 내부의 공기를 환기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에이징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는 관찰창(12)이 형성되고,
    상기 관찰창(12)은 하우징(10)에 형성된 개구부(12a)에 투광성의 패널(12b)을 결합하여 구성되며,
    상기 관찰창(12)에 구비되어 상기 패널(12b)의 외측면에 부착된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제거수단(70)이 구비되며,
    상기 수분제거수단(70)은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고 내측면에는 상기 패널(12b)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와이퍼부재(71a)가 구비된 승강바(71)와,
    상기 승강바(71)에 연결되어 승강바(71)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72)과,
    상기 승강바(71)에 연결된 배수수단(73)과,
    패널(12b)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패널(12b)의 외측면에 부착된 수분을 감지하는 수분감지수단(74)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바(71)의 내측면에는 상기 와이퍼부재(71a)의 상측에 위치되는 흡입공(71b)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수단(73)은 흡입관(73a)을 통해 상기 흡입공(71b)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바(71)가 상승될 때 상기 와이퍼부재(71a)에 의해 제거된 수분을 흡입하여 배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수단(53)은 상기 수분감지수단(74)의 신호를 수신하여 패널(12b)의 외측면에 수분이 맺힌 것이 감지되면, 상기 승강구동수단(72)과 배수수단(73)을 구동시켜 패널(12b)의 외측면에 맺힌 수분을 제거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에이징 시스템.
KR1020210065364A 2021-05-21 2021-05-21 드라이에이징 시스템 KR102304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364A KR102304449B1 (ko) 2021-05-21 2021-05-21 드라이에이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364A KR102304449B1 (ko) 2021-05-21 2021-05-21 드라이에이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4449B1 true KR102304449B1 (ko) 2021-09-23

Family

ID=77926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5364A KR102304449B1 (ko) 2021-05-21 2021-05-21 드라이에이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44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85005A (zh) * 2022-01-28 2022-05-1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除味装置、制冷设备、除味控制方法以及控制组件
KR102537223B1 (ko) * 2022-12-27 2023-05-26 주식회사 하나푸드시스템 드라이에이징 시스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516Y1 (ko) * 2010-05-07 2010-10-07 박용원 건식 고기 숙성기
KR20110059087A (ko) * 2009-11-27 2011-06-02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실내 습도 감응식 가습 기능을 가진 음식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습방법
KR101419499B1 (ko) * 2014-03-19 2014-07-15 주식회사 다함건설 저장고 결로방지장치 및 이의 운용방법
KR101522100B1 (ko) * 2013-11-11 2015-05-28 유인신 소고기 건조숙성 방법
KR20160009841A (ko) * 2014-07-17 2016-01-27 정재억 악취제거용 습식 스크러빙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악취제거용 습식 스크러빙 설비
KR101827683B1 (ko) 2017-10-16 2018-02-08 강원호 산소를 이용한 드라이에이징 시스템
KR102024469B1 (ko) * 2018-06-15 2019-09-23 이상렬 가습장치를 구비한 생고기 발효숙성시스템
KR102162016B1 (ko) * 2019-10-08 2020-10-06 김민성 육류 숙성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9087A (ko) * 2009-11-27 2011-06-02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실내 습도 감응식 가습 기능을 가진 음식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습방법
KR200450516Y1 (ko) * 2010-05-07 2010-10-07 박용원 건식 고기 숙성기
KR101522100B1 (ko) * 2013-11-11 2015-05-28 유인신 소고기 건조숙성 방법
KR101419499B1 (ko) * 2014-03-19 2014-07-15 주식회사 다함건설 저장고 결로방지장치 및 이의 운용방법
KR20160009841A (ko) * 2014-07-17 2016-01-27 정재억 악취제거용 습식 스크러빙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악취제거용 습식 스크러빙 설비
KR101827683B1 (ko) 2017-10-16 2018-02-08 강원호 산소를 이용한 드라이에이징 시스템
KR102024469B1 (ko) * 2018-06-15 2019-09-23 이상렬 가습장치를 구비한 생고기 발효숙성시스템
KR102162016B1 (ko) * 2019-10-08 2020-10-06 김민성 육류 숙성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85005A (zh) * 2022-01-28 2022-05-1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除味装置、制冷设备、除味控制方法以及控制组件
KR102537223B1 (ko) * 2022-12-27 2023-05-26 주식회사 하나푸드시스템 드라이에이징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4449B1 (ko) 드라이에이징 시스템
CN101660814B (zh) 一体型空调机
KR102556967B1 (ko) 제습기
US5212958A (en) Dehumidifier apparatus with pump
CN1930428A (zh) 制冷装置
CN205641756U (zh) 风冷柜冷凝水自动处理装置
CN111023397A (zh) 一种空调器水泵控制方法、装置、空调器及存储介质
JP6099267B2 (ja) ショーケースのドレン排水装置
KR20170089049A (ko) 에어컨장치
JP5405209B2 (ja) 空気調和装置
JP2005283057A (ja) ドレン排水装置付き空気調和機
CN215071037U (zh) 一种带有湿度检测安全防护功能的低压智能配电柜
CN212746720U (zh) 天花式空调器
CN110967276A (zh) 电子降尘筒
CN113252503B (zh) 一种自动遮雨的降尘检测装置
CN210463332U (zh) 自动除霜除湿机
JP2005030614A (ja) フィルター清掃装置
CN113587418A (zh) 用于数据中心的机架式精密空调
KR102234780B1 (ko) 제습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0410801Y1 (ko) 제습기의 자동 배수장치.
CN218895472U (zh) 一种冷凝抽湿装置
CN220379898U (zh) 一种综合管廊用除湿通风机构
CN205844995U (zh) 一种计算机降温制冷装置
CN101655263A (zh) 室内埋入型热源机
CN219264453U (zh) 智能半导体制冷除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