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5565B1 - 교량의 스트럿 시공장치 - Google Patents

교량의 스트럿 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5565B1
KR101185565B1 KR1020090084947A KR20090084947A KR101185565B1 KR 101185565 B1 KR101185565 B1 KR 101185565B1 KR 1020090084947 A KR1020090084947 A KR 1020090084947A KR 20090084947 A KR20090084947 A KR 20090084947A KR 101185565 B1 KR101185565 B1 KR 101185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ut
rail
frame
bridge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4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1878A (ko
Inventor
정석태
김정우
정민웅
이호연
Original Assignee
진성토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성토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진성토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4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5565B1/ko
Publication of KR20090101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1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5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5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의 스트럿 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스트럿 시공장치는 레일(30)이 바닥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데, 상기 레일(30)은 각각이 다수개의 라이너(32)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라이너(32)중 하나는 레일승강기구(34)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레일(30) 상에는 지지베이스(38)가 설치되는데, 상기 지지베이스(38)에는 스트럿(20)을 둘러 감싸는 스트럿프레임(56)을 지지하는 프레임승강기구(52)가 다수개 설치된다. 상기 지지베이스(38)에는 또한 상기 레일(30)을 따라 이동되는 휠(5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휠승강편(44)이 높이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바(42)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교량의 상부구조물(10)의 상부를 형성하기 위한 인터널프레임워크(24)가 새로 만들어질 상부구조물의 구간으로 이송되기 전에 스트럿(20)을 새로 만들어질 상부구조물의 구간으로 먼저 이송시켜 설치하고 이 후에 인터널프레임워크(24)를 새로 만들어질 상부구조물의 구간으로 이송시켜 해당 구간의 상부구조물(10)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스트럿을 구비하는 교량을 보다 신속하고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교량, 상부구조물, 스트럿, 시공장치

Description

교량의 스트럿 시공장치{Struts constructing apparatus for Bridge}
본 발명은 교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의 상부구조물에서 슬래브의 하중을 지지하는 스트럿을 시공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교량은 다수개의 교각에 상부구조물이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강, 바다, 호수 등을 가로질러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교각의 상부구조물은 교량을 통과하는 물체의 하중을 잘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하는데, 교량 상부구조물의 슬래브를 지지하기 위해 다수개의 스트럿(struct)을 사용한다.
종래의 교량에서는 상기 스트럿이 상부구조물의 내부공간에 구비된다. 일반적으로 상부구조물은 차례로 설치된 교각 사이를 연결하도록 교각사이의 일정 구간 또는 교각 사이 전체를 연결하도록 차례로 시공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구조물이 완성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구조물의 내부공간에 스트럿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부구조물과는 별도로 스트럿을 후시공하다보니 공기가 많이 늦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상부구조물 내부의 상부로 개구되지 않은 협소한 공간을 통해 다수개의 스트럿을 시공하기 위한 폼을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폼의 이동을 위해 크레인과 같은 장비를 사용할 수 없어 작업을 신속하게 할 수 없었다.
또한, 상부구조물 내부공간은 터널과 같은 좁은 공간이므로, 이 공간 내에서 폼을 작업자가 장비 없이 직접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안전사고의 발생율이 높아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구조물의 시공과 동시에 스트럿을 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리 만들어진 스트럿을 해당 구간의 상부구조물의 형성 전에 미리 정해진 위치로 상부구조물을 위한 폼트레블러에 구비되는 호이스트를 사용하여 이동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리 만들어진 스트럿을 교량의 상부구조물의 변화되는 형상에 맞게 상부구조물 내부의 정확한 위치에 정확한 기울기를 가지도록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레일승강기구에 의해 지지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상기 레일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휠을 구비하여 상기 레일에 대해 높이조절이 가능한 지지베이스와, 상기 지지베이스상에 설치되어 스트럿을 지지하는 프레임승강기구와, 상기 스트럿을 감싸 잡은 상태로 이동되고 상기 프레임승강기구와 결합되어 스트럿을 프레임승강기구상에 지지되도록 하는 스트럿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트럿프레임은 교량의 상부구조물 상에 설치된 폼트레블러에 구비되는 호이스트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호이스트에 의해 이송된다.
상기 레일은 바닥면에 설치된 다수개의 라이너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라이너중의 적어도 하나는 레일승강기구에 의해 승강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지지베이스는 휠브라켓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데, 상기 휠브라켓은 한쌍의 지지바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양단이 각각 지지베이스에 결합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바의 사이를 따라 높이가 조절되게 상기 휠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휠승강편이 설치된다.
상기 스트럿프레임은 상커버와 하커버로 구성되어 상기 스트럿의 외면을 둘러 감싸는데, 상기 상커버에는 호이스트측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편이 구비되고, 상기 하커버에는 상기 프레임승강기구측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편이 구비된다.
상기 휠승강편에는 다수개의 고정공이 천공되고 상기 지지바에는 상기 고정공을 관통하는 고정핀이 통과하는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휠승강편의 높이를 조정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한 교량의 스트럿 시공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부구조물과 함께 스트럿을 시공하게 되므로, 상부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한 각종 장비를 공용으로 사용하고, 상부구조물의 내부공간이 차폐되기 전에 스트럿을 시공하므로 스트럿 시공이 상부구조물과 함께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부구조물의 일정 구간을 형성함에 있어서, 미리 만들어진 스트럿을 호이스트를 사용하여 이동시키고 상부구조물의 형성을 위한 폼 등에 지지 되도록 스트럿프레임을 원하는 위치에 설치하므로 스트럿의 시공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부구조물 및 상부구조물의 형성을 위한 폼트레블러에 스트럿 시공장치를 지지시키는데, 스트럿 시공장치는 다수개의 승강기구를 사용하여 변화되는 상부구조물의 형상에 대처하여 설치위치와 기울기 등을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어 스트럿의 시공이 보다 정확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교량의 스트럿 시공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교량의 교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부구조물을 절단해서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상부구조물을 교축방향으로 잘라서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스트럿 시공장치의 요부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스트럿 시공장치의 구성을 도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면을 참고하여 교량의 상부구조물(10)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상부구조물(10)은 교축방향으로 터널 형태의 다수개의 내부공간(14)을 가지는 박스부(12)를 가지고, 상기 박스부(12)의 양단으로는 캔틸레버부(16)가 소정 폭만큼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상부구조물(10)의 상면을 슬래브(18)가 형성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상부구조물(10)에는 3개의 내부공간(14)이 형성되어 있는 데, 양단의 내부공간(14)에는 상기 슬래브(18)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스트럿(20)이 설치된다. 상기 스트럿(20)은 상기 상부구조물(1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상부구조물(10)을 각 구간별로 형성하기 위해, 폼트레블러(22)가 상기 슬래브(18)상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폼트레블러(22)는 상기 슬래브(18)상에 레일(2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상부구조물(10)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각종 프레임워크가 필요하다. 예를 들면 상기 상부구조물(10)의 상부, 즉 슬래브(18)에 해당되는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인터널 프레임워크(24)가 필요하고, 상부구조물(10)의 하부, 즉 박스부(12)의 하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바텀 프레임워크(26)가 필요하다. 이들 프레임워크(24,26)은 레일(도면부호 부여않음)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이미 형성된 구간의 상부구조물(10)과 상기 폼트레블러(22)에 연결된 강봉(28)에 의해 지지된다.
실제로 도시된 바와 같은 상부구조물(10)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인터널프레임워크(24)와 바텀프레임워크(26)외에도 여러가지 프레임워크가 필요하나,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부구조물(10)의 상부를 형성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대표하는 것을 인터널프레임워크(24)라 하고, 상부구조물(10)의 하부를 형성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대표하는 것을 바텀프레임워크(26)라 한다. 참고로, 상기 폼트레블러(22), 인터널 프레임워크(24) 및 바텀프레임워크(26)는 본 발명의 요지가 아니므로 자세한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상기 스트럿(20)을 상부구조물(10)에 시공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 을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상기 내부공간(14)의 바닥면에는 한쌍의 레일(30)이 설치된다. 상기 레일(30)은 두개가 서로 나란히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바닥면에 설치되는 것이다. 물론, 스트럿(20)의 시공시에는 상기 레일(30)의 일단부는 상기 내부공간(14)의 바닥면에 지지되고, 타단부(아직 상부구조물(10)이 형성되지 않은 쪽의 단부)는 상기 바텀프레임워크(26)에 지지된다.
상기 레일(30)은 다수개의 라이너(32)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라이너(32)는 본 실시예에서 H형강이 사용되었는데, 반드시 그러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라이너(32)는 상기 레일(30)을 상기 내부공간(14)의 바닥면의 굴곡에 상관없이 일정한 높이에 지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아직 하부구조물(10)이 형성되지 않은 단부쪽의 레일(30)부분을 지지하는 라이너(32)는 레일승강기구(34)와 라이너어댑터(36)로 지지된다. 즉, 상기 레일승강기구(34)는 라이너(32)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일명 스크류잭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레일승강기구(34)는 스크류잭외에도 높이조절이 가능한 다양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라이너어댑터(36)는 상기 레일승강기구(34)와 라이너(32)의 사이에 위치되어 이들 사이의 높이차를 보충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레일승강기구(34)에 의해 조절할 수 있는 높이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상기 라이너어댑터(36)를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라이너어댑터(36)로는 H형강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라이너어댑터(36)의 위치는 상기 바텀프레임워크(26)와 상기 레일승강기구(34)사이가 될 수도 있다.
상기 라이너(32) 상에는 지지베이스(38)가 나란히 지지된다. 상기 지지베이스(38)는 스트럿(20)이 그에 놓여졌을 때는 상기 라이너(32)상에 안착되고, 이동시에는 상기 라이너(32) 상부로 들어올려진 상태가 되어 이동된다. 상기 지지베이스(38)는 H형강을 길게 잘라 만든 것인데,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고 막대 형상으로 긴 것이 두개 나란히 위치되거나, 상기 레일(30)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서로 연결될 형태도 된다.
상기 양단의 지지베이스(38)사이를 연결하도록 휠브라켓(40)이 구비된다. 상기 휠브라켓(40)은 본 실시예에서 2군데에 설치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고 상기 양단의 지지베이스(38)를 연결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휠(50)이 레일(30)을 따라 지지베이스(38)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만 하면 된다. 따라서 휠브라켓(40)은 최소한 2군데 이상에서 상기 지지베이스(38)를 연결하도록 하면 된다.
상기 휠브라켓(40)은 두개의 지지바(42)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상기 지지베이스(38)에 양단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지지바(42)는 본 실시예에서 횡단면이 'ㄷ'형인 부재가 사용되어 있다. 상기 지지바(42)의 사이에는 휠승강편(44)이 설치된다. 상기 휠승강편(44)은 상기 지지바(42)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바(42)에 대해 2단으로 높이가 조절된다. 이를 위해 상기 휠승강편(44)에는 고정공(46)이 높이차를 두고 2개가 천공된다. 상기 고정공(46)에는 고정핀(48)이 관통하게 된다. 참고로 상기 지지바(42)에는 상기 고정공(46)과 대응되는 통공(도시되지 않음)이 하나의 휠승강편(44)에 대해 하나씩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바(42)에 있는 통공에 상기 휠승강편(44)의 고정공(46)중 어느 것이 일치하게 위치되어 상기 고정핀(48)이 관통되느냐에 따라 상기 휠승강편(44)의 높이가 달라진다.
상기 휠승강편(44)의 하단에는 휠(5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휠(50)은 상기 레일(30)에 지지되어 이동하여 상기 지지베이스(38)와 이에 구비된 모든 것이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각각의 지지베이스(38)상에는 프레임승강기구(52)가 적어도 각각 2개씩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승강기구(52)는 아래에서 설명될 스트럿프레임(56)을 지지하면서 그 높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프레임승강기구(52)로는 일명 스크류잭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프레임승강기구(52)는 프레임지지어댑터(54)를 상기 지지베이스(38)와의 사이에 둘 수 있다. 이는 상기 스트럿(20)이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우에 필요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측 프레임승강기구(52) 두개가 모두 프레임지지어댑터(54)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스트럿프레임(56)을 경사지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프레임지지어댑터(54)는 H형상이 사용될 수 있다.
스트럿프레임(56)은 미리 만들어진 스트럿(20)을 감싸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커버(58)와 하커버(60)로 구성된다. 상기 상커버(58)와 하커버(60)는 각각 상기 스트럿(20)의 서로 대응되는 외면을 감싸 서로 결합된다. 상기 상커버(58)와 하커버(60)가 서로 결합되는 것은 소위 말하는 강봉(도면부호 부여않음)의 양단이 각각 상커버(58)와 하커버(60)의 대응되는 위치를 관통하여 결합되면 된다. 이와 같은 강봉을 다수개 사용하면 상커버(58)와 하커버(60)가 서로 결합된 상태가 된다.
상기 스트럿프레임(56)의 상커버(58)와 아래에서 설명될 호이스트(64)와의 결합을 위해 연결편(58')이 다수개 구비된다. 상기 연결편(58')은 결합핀(도시되지 않음)이 상기 연결편(58')과 아래에서 설명될 호이스트(64)을 동시에 관통하도록 하면 된다.
상기 스트럿프레임(56)의 하커버(60)에도 연결편(60')이 구비된다. 상기 연결편(60')은 상기 프레임승강기구(52)와의 결합을 위한 것으로, 이 역시 결합핀(도면부호 부여 않음)이 상기 연결편(60')과 프레임승강기구(52)측을 동시에 관통하도록 함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한편, 상기 스트럿(20)을 상기 지지베이스(38)의 프레임승강기구(52)상에 안착시키도록 이송시키기 위한 구성을 살펴본다. 이를 위해서 상기 폼트레블러(22)에는 호이스트레일(62)이 더 설치된다. 상기 호이스트레일(62)은 호이스트(64)가 지지되어 이동하는 부분으로, 교축방향으로 길게 설치된다. 상기 호이스트(64)에는 체인블록(66)이 구비되어 상기 스트럿프레임(56)이 결합된 스트럿(20)을 호이스트(64)에서 승강시킬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교량용 스트럿 시공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스트럿을 시공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한 구간의 상부구조물(10)이 완성되고 다음 구간의 상부구조물(10)을 형성하기 전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폼트레블러(22)의 레일(22') 는 새로 만들어진 구간의 상부구조물(10)에는 위치되어 있지 않다. 이는 도 2에서 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레일(22')을 새로 만들어진 구간의 상부구조물(10)까지 이동시킨다. 물론, 상기 바텀프레임워크(26)도 이동시켜 새로 형성된 상부구조물(10)의 구간에 위치되게 한다. 상기 바텀프레임워크(26)는 일단이 새로 만들어진 상부구조물(10)의 하단에 강봉을 사용하여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폼트레블러(22)에 강봉(28)으로 지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5a에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30)도 상기 바텀프레임워크(26)의 선단위치까지 이동시켜 설치한다. 상기 레일(30)의 선단은 상기 레일승강기구(34)와 라이너지지어댑터(36) 및 라이너(32)를 사용하여 상기 바텀프레임워크(26)에 지지된다. 상기 레일(30)의 다른 부분은 라이너(32)를 사용하여 지지된다. 상기 라이너지지어댑터(36)에 의해 지지된 라이너(32)는 상기 레일승강기구(34)의 조정에 의해 그 높이가 조절되어 상기 레일(30)이 정확하게 높이에 지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5b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레일(30)에 대해 상기 지지베이스(38)가 이동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지지베이스(38)는 스트럿(20)을 설치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레일(30)을 따라 이동되지 않아야 하므로, 상기 라이너(32)에 안착되어 지지된다. 이때, 상기 휠(50)은 상기 지지바(42)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승된 위치에 있어 상기 레일(30)에 지지되지 않는다. 이는 상기 휠승강편(44)이 상기 지지바(42)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승된 위치에 있으면 된다. 즉, 상기 휠승강편(44)의 고정공(46)중 상대적으로 낮 은 위치에 있는 것이 지지바(42)의 통공과 일치하도록 하고 고정핀(48)이 지지바(42)와 휠승강편(44)을 관통하도록 하면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레일(30)에 대해 상기 지지베이스(38)가 이동가능한 상태로 되도록 하는 것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지지베이스(38)을 별도의 승강기구(도시되지 않음, 예를 들면 쟉키)를 사용하여 들어올리고, 상기 휠승강편(44)이 지지바(42)에 대해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있도록 한다. 이는 상기 휠(50)에 대해서는 상기 지지바(42)(그리고 지지베이스(38))가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베이스(38)는 더 이상 라이너(32)에 지지되지 않은, 즉 어디에도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공중에 떠 있게 된다. 즉, 상기 지지베이스(38) 및 그에 구비되는 모든 부분은 상기 휠(50)에 의해서만 레일(30)에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휠(50)이 레일(30)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 상기 지지베이스(38)가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베이스(38)를 이동시키고, 상기 프레임승강기구(52)가 정확하게 스트럿(20)이 설치되어야 할 위치에 오게 되면, 상기 지지베이스(38)가 상기 라이너(32)에 지지되도록 상기 휠(50)의 높이를 높여주는 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이와 같이 됨에 의해 상기 프레임승강기구(52)가 스트럿(20)을 정확하게 지지해 줄 수 있는 위치에 고정된다.
다음으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이스트(64)를 사용하여 스트럿(20)을 이동시킨다. 상기 스트럿(20)은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미리 만들어진 것으로, 상 기 스트럿프레임(56)에 의해 감싸진 상태로 상기 호이스트(64)에 체인블록(66)에 달려 있는 상태이다. 상기 호이스트(64)는 상기 호이스트레일(62)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프레임승강기구(52)의 상부에 상기 스트럿(20)을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인터널프레임워크(24)가 이전 구간의 상부구조물(10)을 형성하기 위한 위치에 그대로 있기 때문에 인터널프레임워크(24)와는 간섭없이 상기 스트럿(20)이 하강될 수 있다.
도 5d에는 상기 스트럿(20)이 하강되어 상기 프레임승강기구(52)에 지지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승강기구(52)에 지지된 스트럿(20)은 형성된 상부구조물(10)의 특성에 맞춰 그 기울기가 조정된다. 즉, 4개의 프레임승강기구(52)를 각각 조절하여 스트럿(20)의 기울기를 조정하는 것이다.
상기 스트럿(20)의 기울기 조정과 스트럿(20)의 설치를 위한 작업이 완성되고 나면 상기 인터널프레임워크(24)를 이송시켜 상부구조물(10)의 형성을 위한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5e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인터널프레임워크(24)가 제 위치에 위치되어 고정되면, 해당 구간의 상부구조물(10)을 형성하기 위한 작업을 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도 5f에서 빗금친 부분이 새롭게 타설되는 상부구조물(10)의 부분이다. 이와 같이 해당 구간의 상부구조물(10)이 완성되고 나면, 위에서 설명된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하여 다음 구간의 상부구조물(10)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 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상기 레일(30)은 반드시 라이너(32)에 의해 지지될 필요는 없고, 단지 레일(30) 하나당 적어도 하나의 레일승강기구(34)에 의해 지지되면 된다. 이는 바닥면만으로도 레일(30)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경우에 그러하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교량의 교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부구조물을 절단해서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상부구조물을 교축방향으로 잘라서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스트럿 시공장치의 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스트럿 시공장치의 구성을 도인 단면도.
도 5a에서 도 5f는 본 발명 실시예의 스트럿 시공방법이 수행되는 단계적으로 보인 작업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상부구조물 12: 박스부
14: 내부공간 16: 캔틸레버부
18: 슬래브 20: 스트럿
22: 폼트레블러 24: 인터널프레임워크
26: 바텀프레임워크 28: 강봉
30: 레일 32: 라이너
34: 레일승강기구 36: 라이너어댑터
38: 지지베이스 40: 휠브라켓
42: 지지바 44: 휠승강편
46: 고정공 48: 고정핀
50: 휠 52: 프레임승강기구
54: 프레임지지어댑터 56: 스트럿프레임
58: 상커버 58': 연결편
60: 하커버 60': 연결편
62: 호이스트레일 64: 호이스트
66: 체인블럭

Claims (9)

  1.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레일승강기구에 의해 지지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상기 레일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휠을 구비하여 상기 레일에 대해 높이조절이 가능한 지지베이스와,
    상기 지지베이스상에 설치되어 스트럿을 지지하는 프레임승강기구와,
    상기 스트럿을 감싸 잡은 상태로 이동되고 상기 프레임승강기구와 결합되어 스트럿을 프레임승강기구상에 지지되도록 하는 스트럿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교량용 스트럿 시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럿프레임은 교량의 상부구조물 상에 설치된 폼트레블러에 구비되는 호이스트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호이스트에 의해 이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스트럿 시공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바닥면에 설치된 다수개의 라이너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라이너중의 적어도 하나는 레일승강기구에 의해 승강가능하게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스트럿 시공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베이스는 휠브라켓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데, 상기 휠브라켓은 한쌍의 지지바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양단이 각각 지지베이스에 결합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바의 사이를 따라 높이가 조절되게 상기 휠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휠승강편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스트럿 시공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럿프레임은 상커버와 하커버로 구성되어 상기 스트럿의 외면을 둘러 감싸는데, 상기 상커버에는 호이스트측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편이 구비되고, 상기 하커버에는 상기 프레임승강기구측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편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스트럿 시공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휠승강편에는 다수개의 고정공이 천공되고 상기 지지바에는 상기 고정공을 관통하는 고정핀이 통과하는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휠승강편의 높이를 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스트럿 시공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90084947A 2009-09-09 2009-09-09 교량의 스트럿 시공장치 KR101185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947A KR101185565B1 (ko) 2009-09-09 2009-09-09 교량의 스트럿 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947A KR101185565B1 (ko) 2009-09-09 2009-09-09 교량의 스트럿 시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1878A KR20090101878A (ko) 2009-09-29
KR101185565B1 true KR101185565B1 (ko) 2012-09-24

Family

ID=41359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4947A KR101185565B1 (ko) 2009-09-09 2009-09-09 교량의 스트럿 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55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505B1 (ko) * 2010-11-01 2011-03-07 변지수 자전거를 이용한 강 박스 내부 점검공법
KR101019539B1 (ko) * 2010-11-01 2011-03-07 변지수 강 박스 내부 점검장치
CN103132464B (zh) * 2013-03-27 2014-12-10 双鸭山市吉昌机械制造有限公司 塔冠内置式双向滑移检修平台
KR102491148B1 (ko) * 2021-07-28 2023-01-19 현대건설(주) 폼 트래블러, 이를 이용한 fcm 교량의 거더 세그먼트 시공 방법 및 fcm 교량의 시공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5084A (ja) 1996-10-14 1998-05-06 Yamazaki Kensetsu Kk 作業用足場の吊り上げ装置とその装置を用いた構造物の築造方法
JP2004190450A (ja) 2002-12-13 2004-07-08 Oriental Construction Co Ltd ストラット付き箱桁用のワーゲン型枠装置およびストラット支持装置ならびにストラット付き箱桁の築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5084A (ja) 1996-10-14 1998-05-06 Yamazaki Kensetsu Kk 作業用足場の吊り上げ装置とその装置を用いた構造物の築造方法
JP2004190450A (ja) 2002-12-13 2004-07-08 Oriental Construction Co Ltd ストラット付き箱桁用のワーゲン型枠装置およびストラット支持装置ならびにストラット付き箱桁の築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1878A (ko) 2009-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5565B1 (ko) 교량의 스트럿 시공장치
KR101582611B1 (ko) 횡방향이 이동이 가능한 프리캐스트 슬래브단차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1243775B1 (ko) 교량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101095449B1 (ko) 리프트 장치를 이용한 교량 해체장치 및 교량 해체 공법
JP4329535B2 (ja) 張出し床版用移動作業車
KR101037210B1 (ko) 교각을 이용하여 교량을 인상하는 장치
AU2018288296A1 (en) Support head having a lowerable support height for a formwork support
KR101120466B1 (ko) 가설벤트 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철거 또는 신설방법
KR101385512B1 (ko) 임시 케이블 장력 조절 장치
JP2016142097A (ja) 可搬式昇降装置および水平部材の解体方法
JP5252634B2 (ja) クレーン更新装置とこれを用いたクレーンの更新方法
KR200363059Y1 (ko) 리프팅트레블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세그먼트교량상부시공시스템
KR100627102B1 (ko) 리프팅트레블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세그먼트교량상부시공방법
CA261852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ising buildings
JP6059176B2 (ja) 仮設高架桟橋組立て用の移動昇降足場
CN109056438B (zh) 一种城市高架匝道改造的施工方法
JP6449637B2 (ja) 建物の構築方法
JP2006104832A (ja) 構造物の構築方法、構造物および昇降装置
KR20110084573A (ko) 케이슨 외부 거푸집 및 케이슨 내부 거푸집을 포함하는 케이슨 제작장치
JP4519588B2 (ja) 立体交差構築方法
KR200391232Y1 (ko) 가설벤트가 구비된 메인거더 런칭시스템
KR100429270B1 (ko) 교량의 콘크리트 슬라브시공용 이동식 동바리
JP7158304B2 (ja) 搬送システムおよび設置方法
KR200250571Y1 (ko) 교량의 콘크리트 슬라브 시공용 이동식 동바리
JP3660657B2 (ja) 高架橋の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