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0466B1 - 가설벤트 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철거 또는 신설방법 - Google Patents

가설벤트 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철거 또는 신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0466B1
KR101120466B1 KR1020110083433A KR20110083433A KR101120466B1 KR 101120466 B1 KR101120466 B1 KR 101120466B1 KR 1020110083433 A KR1020110083433 A KR 1020110083433A KR 20110083433 A KR20110083433 A KR 20110083433A KR 101120466 B1 KR101120466 B1 KR 101120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orary
temporary vent
vent
lifting device
gi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3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근
김재금
조충영
현인호
Original Assignee
(주)평화엔지니어링
에스케이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평화엔지니어링, 에스케이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평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10083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04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0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0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2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01D15/127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combined with ground-supported vehicles for the transport, handling or placing of such bridges or of section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05Piers, trestles, bearings, expansion joints or parapet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Abstract

구조물을 상방으로 인상시키고 이를 슬라이딩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어서 구조물의 철거 및 신설이 보다 용이하여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는 가설벤트 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철거 또는 신설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가설벤트 승강장치는 하부 가설벤트; 상기 하부 가설벤트 상면에 설치된 승강장치; 및 상기 승강장치에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승강장치 작동에 따라 승강되도록 하되 하부 가설벤트의 외측을 따라 상하로 가이드 되도록 설치된 상부 가설벤트;을 포함하여, 상기 하부 가설벤트를 따라 상하로 승강되는 상부 가설벤트에 의하여 구조물이 함께 승강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Description

가설벤트 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철거 또는 신설방법{LIFTING APPARATUS AND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설벤트 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철거 또는 신설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구조물을 상방으로 인상시키고 이를 슬라이딩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어서 구조물의 철거 및 신설이 보다 용이하며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는 가설벤트 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철거 또는 신설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종래 가설벤트를 이용한 교량 인상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즉, 가설벤트를 설치함에 있어 하부 가설벤트(12)를 설치하고, 상기 하부 가설벤트(12) 상면에 유압잭(16,17,18)을 설치하고, 상기 유압잭 상면에 상부 가설벤트(22)를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부 가설벤트(22) 상면에는 거더(G)와 슬래브가 지지되어 있다.
이에 상기 유압잭(16,17,18)을 작동시키게 되면 거더(G)와 슬래브가 인상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가로보(36)가 상부 가설벤트(22)에 지지될 수 있도록 가로보 지지구(28)도 설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거더(G)와 슬래브가 인상된 상태에서 교량받침을 수리 또는 교체하고 다시 유압잭(16,17,18)를 작동시켜 인상된 거더(G)와 슬래브가 수로 또는 교체된 교량받침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함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교량 인상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유압잭이 거더와 슬래브의 자중을 모두 부담하게 되므로 유압잭의 운용이 매우 중요하게 되는데 유압잭을 수평방향으로 지지하거나 보강해주는 구조가 아니므로 사실상 구조적으로 매우 불안정한 상태에서 교량 인상장치를 운용할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또한 가설벤트(12,22)는 지반에 고정식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달리 이동이 용이하지 않아 가설벤트의 이동이 매우 제한 적일 수 밖에 없었다.
도 1b는 가설벤트를 이용한 슬래브 설치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를 살펴보면 먼저 양측 교대(10a) 사이에 교각(10b)를 시공하고,
상기 교각(10b) 사이에 종방향으로 거더(B)를 인상하여 설치하게 된다.
이에 상기 교대와 교각의 상단 측방에 돌출되도록 브라켓(30)을 설치하고, 상기 브라켓(30)의 상면에 가이드빔(21)을 횡방향으로 연장 설치하게 된다.
이에 상기 교대와 교대로부터 이격된 측방에 미리 베이스(10c)를 설치한 후, 상기 베이스(10c) 상면에 가설벤트와 같은 지지체(20)를 설치하여 상기 가이드빔(21)이 지지체(20) 상면에 횡방향으로 연장 배치되도록 한다.
다음으로는 상기 가이드빔(21) 상면에 슬래브 세그먼트(50)를 안착시키고 횡방향으로 이동시켜 거더(B) 상면에 슬래브 세그먼트(5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함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가설벤트를 이용한 슬래브 설치시스템은 가설벤트를 역시 고정식으로 설치하고 있어 가설벤트와 베이스 설치가 불가능한 현장에서는 이를 이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기존 도로나 철로를 횡단하는 교량의 철거, 확장 또는 신설에 있어서 열차 또는 차량의 통행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가설벤트의 연속화가 가능하도록 하여 구조물을 연속적으로 이동시켜 신속하게 구조물의 철거 또는 신설이 가능한 가설벤트 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철거 또는 신설방법 제공을 그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첫째 가설벤트를 제작함에 있어서 안정적으로 구조물 인상 및 하강이 가능하도록 가설벤트를 상부 및 하부 가설벤트로 구분하되, 상부 가설벤트가 하부 가설벤트의 외측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인상 및 하강이 가능하도록 하여 구조물 인상 및 하강의 시공상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고, 가설벤트는 기존 도로 또는 철로에 방해되지 않도록 양 측방에 종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도록 하여 신속한 구조물 철거 및 신설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가설벤트의 인상 및 하강에 의하여 구조물이 안정적으로 인상 및 하강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상기 인상된 구조물은 인접한 거더에 설치된 가설벤트의 승강장치로 슬라이딩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승강장치는 이동하는 방향으로 서로 연속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하거나 구조물 이동 시 인접한 구조물 상면을 따라 구조물이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구조물 이동을 보다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가설벤트를 이용한 승하강장치는 구조적으로 매우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구조물을 이동시키려는 방향으로 연속하여 구조물을 철거 또는 신설이 가능하여 신속한 구조물 철거 및 설치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여 기존 도로나 철로의 차량 통행을 방해하지 않도록 설치할 수 있어 교통 제한 등이 필요없어 민원 발생이 적어지고 매우 신속하고 경제적인 구조물 철거 및 신설이 가능하게 된다.
도 1a는 종래 교량 인상장치의 설치단면도,
도 1b는 종래 가설벤트를 이용한 교량 시공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가설벤트 승강장치의 조립 사시도 및 시공상대도,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의한 가설벤트 승강장치를 이용한 구조물 철거 순서도,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의한 가설벤트 승강장치를 이용한 구조물 신설 순서도,
도 5a, 도 5b 및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의한 가설벤트 승강장치를 이용한 구조물 철거 순서도,
도 6a, 도 6b 및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의한 가설벤트 승강장치를 이용한 구조물 신설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 가설벤트 승강장치(100)]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가설벤트 승강장치(100)와 조립 사시도 및 작용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가설벤트 승강장치(100)는 도 2a 및 도 2b와 같이 하부 가설벤트(110), 하부 이동수단(120), 승강장치(130), 상부 가설벤트(140) 및 상부 이동수단(150)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가설벤트(110)는 형강 등 강재빔을 이용한 가설 구조물로서 제작되는 가설벤트이다.
예컨대, 상기 하부 가설벤트(110)는 하부빔(111), 상기 하부빔(111) 상면에 상방으로 연장된 수직빔(112), 상기 수직빔(112) 상면에 수평으로 설치된 상부빔(113), 상기 상부빔(113)과 하부빔(111)을 대각선상으로 연결하는 가새빔(114)을 포함하여 박스 트러스 형태로 제작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가설벤트(110)는 바닥(200)에 고정 설치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특히 하부 가설벤트(110)가 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부 가설벤트(110)와 바닥(200) 사이에는 하부 이동수단(120)이 설치된다.
이에 상기 하부 이동수단(120)은 하부 가설벤트(110)가 슬라이딩되면서 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기본적으로 레일(121)과 롤러(122,123)를 이용하여 하부 가설벤트(110)가 롤더(122)에 의하여 횡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시키게 된다.
예컨대, 바닥(200)에 횡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다수의 레일(121)과 상기 레일(121) 상면에 슬라이딩되는 봉형태의 종방향롤러(122)와 상기 종방향롤러(122)에 관통되어 레일 양측방에 접하도록 세팅됨으로서 종방향롤러가 레일을 따라 가이드 되도록 하고 상면이 하부 가설벤트(110) 저면에 접하도록 세팅된 횡방향롤러(123)와 하부 가설벤트(110) 저면에 고정되어 횡방향롤러 사이에 하방 연장된 다수의 위치고정구(12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하부 가설벤트(110)가 횡방향롤러(123) 사이에 위치하도록 세팅된 위치고정구(124)에 의하여 레일(121)을 이탈하지 않으면서 횡방향으로 횡방향롤러(123) 위를 슬라이딩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하부 가설벤트 상면에는 승강장치(130)가 설치된다.
이러한 승강장치로서 상하로 신장 및 축소되는 유압잭(131)과 유압잭(131)이 서로 일체화되도록 연결대(13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유압잭(131)의 실린더가 상방으로 연장(인상) 또는 원래의 상태로 하방 복원(하강)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상부 가설벤트(140)는 형강등 강재빔을 이용한 가설 구조물로서 제작되는 가설벤트임은 하부 가설벤트(110)와 다름이 없으나 중요한 점은 도 2b와 같이 상기 승강장치(130)의 상면에 상부빔(143) 저면이 접하도록 하고, 수직빔(142)이 하부 가설벤트(110)의 수직빔(112)의 외측면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세팅된다는 점이다.
즉, 상기 승강장치(130)를 구성하는 유압잭(131)의 실린더가 상방으로 연장(인상)되면 이에 따라 상부 가설벤트(140)가 하부 가설벤트(110)를 따라 인상되며, 상기 승강장치(130)를 구성하는 유압잭(131)의 실린더가 하방 복원되면 이에 따라 상부 가설벤트(140)가 하부 가설벤트(110)를 따라 하강되도록 하게 된다.
말하자면 하부 가설벤트(110)에 상부 가설벤트(140)가 캡 형태로 씌워지도록 설치된다.
이에 상기 상부 가설벤트(140)의 수직빔(142)의 내측면과 하부 가설벤트(110)의 수직빔(112)의 사이에는 도 2a와 같이 벤트슬라이딩수단(144)이 설치되도록 하여 하부 가설벤트(110)의 수직빔(112)을 따라 상부 가설벤트(140)가 용이하게 상하로 인상 또는 하강되도록 하면서 상하 이동하는 과정에서 위치를 이탈하지 않도록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어 구조적으로 매우 안정적이며 승강장치(130) 운용이 매우 효율적이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벤트슬라이딩수단(144)도 기본적으로 롤러를 이용하면 된다.
예컨대 하부 가설벤트(110)의 수직빔(112)을 따라 상하로 연장 설치된 롤서하우징에 상면이 돌출되도록 롤러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가설벤트(140)의 상면에는 구조물(300)이 상면에서 종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부 이동수단(150)이 도 2b와 같이 설치된다.
예컨대, 상기 상부 이동수단(150)은 서로 종방향으로 이격된 설치된 양 상부 가설벤트(140) 상면 사이에 설치된 지지빔(151)과 상기 지지빔(151) 상면에 설치된 롤러(15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구조물(300)의 저면이 상기 롤러(152)에 접하면서 외력에 의하여 롤러(152)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구조물이 예컨대 종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상기 롤러(152)는 종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지지빔(151) 상면에 횡방향으로 설치하되, 종방향으로 다수가 이격 설치되도록 하며, 봉 형태의 롤러(152)가 하우징에 상면이 돌출되도록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부 이동수단(150)은 구조물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H형 철골을 병렬로 연결시킨 것을 이용할 수 있으며, 양 측방에는 반력대를 형성시켜 구조물의 횡방향 이탈을 방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구조물의 직하방에는 H형 철골에 국부하중이 집중되므로 구조적으로 보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가설벤트 승강장치(100)는 상기 하부 이동수단(120)을 구성하는 레일(121)의 연장방향 즉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상부 가설벤트(140)가 하부 가설벤트(110)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인상 또는 하강함에 따라 상부 가설벤트(140) 상부에 설치된 구조물(300)도 함께 상하로 인상 및 하강 시킬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물(300)은 상부 가설벤트(140) 상면에서 예컨대 종방향으로 상부 이동수단(150)을 구성하는 롤러(152)에 의하여 이동(윈치 등을 이용) 시킬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가설벤트 승강장치(100)에 있어 구조물(300)은 기존의 설치된 구조물이라면 가설벤트 승강장치(100)는 구조물을 철거하는 장치가 되고, 새로이 설치되어야 구조물이라면 가설벤트 승강장치(100)은 구조물을 신설하는 장치가 될 것이다.
[ 가설벤트 승강장치(100)를 이용한 구조물(300) 철거 및 신설방법: 실시예 1]
도 3a, 도 3b 및 도 3c는 가설벤트 승강장치(100)를 이용한 구조물(300) 철거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먼저 상기 구조물(300)은 기존에 설치된 교각(310) 사이에 설치된 거더(320)와 거더 상부에 설치된 슬래브(3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교량을 기준으로 살펴본다.
즉, 도 3a와 같이, 예컨대 2개가 종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각각의 교각(310)의 주변 바닥(200)에는 앞서 살펴본 본 발명의 가설벤트 승강장치(100)가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레일(121)을 포함하는 하부 이동수단(120)을 먼저 설치하게 된다.
이이 상기 하부 이동수단(120)에는 하부 가설벤트(110), 승강장치(130), 상부 가설벤트(140) 및 상부 이동수단(150)이 미리 조립되어 설치되도록 하되 상기 거더(320)의 저면 하부에 위치하도록 전체 높이를 세팅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가설벤트 승강장치(100)가 교각(310) 사이사이에 설치되고 있음을 알 수 있어 교각(310) 사이의 기존 도로 등의 통행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물론 상기 가설벤트 승강장치(100)가 안정적으로 세팅될 수 있도록 교각과 가설벤트 승강장치(100)를 서로 턴버클 등과 같은 연결수단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거더를 서로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가로빔을 제거하는 등 구조물(300)을 분할 철거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경우에는 슬래브(330)를 먼저 철거하고 거더를 연결하는 가로빔을 제거하여 거더(320)를 철거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살펴본다.
다음으로 도 3b와 같이 가설벤트 승강장치(100)의 승강장치(130)을 작동시켜 상부 가설벤트(140)가 하부 가설벤트(110)를 따라 가이드되면서 인상되도록 하게된다.
이 과정에서 상부 가설벤트(140)의 상면에 설치된 상부 이동수단(150)은 거더의 저면과 접하면서 거더(320)를 상방으로 인상시키게 된다.
이에 종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양 거더(320)는 가설벤트 승강장치(100)에 의하여 상방으로 모두 인상되며 이때 인상된 높이는 동일하게 세팅되도록 가설벤트 승강장치(100)의 상부 이동수단(150)의 세팅높이를 서로 일치시키게 된다.
이에 상기 상부 이동수단(150)은 교각(310) 상방에서 서로 종방향으로 연속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거더의 종방향 슬라이딩 이동을 위하여 추가 상부 이동수단(160)을 이용하여 인접한 상부 이동수단(150)을 서로 연결시켜 연속화 시키게 된다.
상기 추가 상부 이동수단(160)은 상부 이동수단(150)과 동일한 구성으로 제작된 것을 이용하면 된다.
이에 상부 이동수단(150)은 추가 상부 이동수단(160)에 의하여 종방향으로 연속하여 설치됨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는 도 3c와 같이 추가 상부 이동수단(160)에 의하여 종방향으로 연속하여 설치된 상부 이동수단(150)들을 따라 인상된 거더(320)를 종방향으로 이동시켜 거더(320)를 철거할 수 있도록 한다.
즉, 거더(320)는 상부 이동수단(150)의 롤러(152)를 따라 종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이동하게 되며 이러한 종방향 이동은 미도시된 윈치시스템 등을 이용하면 된다.
이러한 거더(320) 철거작업은 종방향으로 다수의 거더(320)가 설치되어 있다면 1개씩 실시하게 될 것이며 마지막의 거더(320)는 인양하여 철거하면 된다.
나아가 거더(320)의 신설은 철거의 반대 과정을 거치면 된다.
즉, 도 4a, 도 4b 및 도 4c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먼저 도 4a와 같이 신설된 교각(310) 또는 교각(310) 사이사이에 역시 본 발명에 의한 가설벤트 승강장치(100)를 각각 설치하고, 가설벤트 승강장치(100)의 승강장치(130)를 작동하여 상부 가설벤트(140)가 인상되도록 하게 된다.
이에 상기 인상된 상부 가설벤트(140)를 종방향으로 서로 연속화시키게 된다. 물론 이러한 연속화는 상부 가설벤트(140)의 상면에 설치된 상부 이동수단(150)을 추가 상부 이동수단(160)을 이용하여 연속화시키게 된다.
다음으로는 도 4b와 같이 양중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일측 가설벤트 승강장치(100)의 상부 이동수단(150)에 신설될 거더(320)를 안착시키고, 종방향으로 슬라이딩 시켜 이동시켜 교각(310) 사이에 세팅시키게 된다.
다음으로는 도 4c와 같이 추가 상부 이동수단(160)을 제거한 후, 가설벤트 승강장치(100)의 승강장치(130)를 작동하여 상부 가설벤트가 하부 가설벤트를 따라 하강되도록 하여 상기 거더(320)의 양 단부가 교각 상면의 교량받침에 안착됨에 따라 거더(320)의 신설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거더(320)의 철거 및 신설은 종방향으로 이루어진 것을 살펴보았지만 가설벤트 승강장치(100)를 하부 이동수단(120)을 이용하여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횡방향으로 다수가 이격 설치된 거더들도 역시 종방향으로 철거 및 신설할 수 있을 것이다.
최종 거더의 철거 및 신설이 완료되면 본 발명의 가설벤트 승강장치(100)는 해체되어 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 가설벤트 승강장치(100)를 이용한 구조물(300) 철거 및 신설방법: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2에 의한 방법은 실시예 1과 대비하여 거더(320)를 종방향 이동함에 있어서 상부 이동수단(150)을 추가 상부 이동수단(160)을 이용하여 연속화 시키지 않고, 인접한 거더(320) 상면에 거더지지수단(400)을 설치하고 인상된 거더(320)를 상기 거더지지수단(400)을 이용하여 이동시킴에 차이가 있으며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a, 도 5b 및 도 5c는 실시예 2에 의한 가설벤트 승강장치(100)를 이용한 구조물(300) 철거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역시 상기 구조물(300)은 기존에 설치된 교각(310) 사이에 설치된 거더(320)와 거더 상부에 설치된 슬래브(3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교량을 기준으로 살펴본다.
즉, 도 5a와 같이, 2개가 각각 종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각각의 교각(310) 주변 바닥(200)에는 앞서 살펴본 하부 이동수단(120)을 먼저 설치하게 된다.
이에 상기 하부 이동수단(120)에는 하부 가설벤트(110), 승강장치(130), 상부 가설벤트(140) 및 상부 이동수단(150)이 조립되어 설치되도록 하되 상기 거더(320)의 저면 하부에 세팅되도록 함은 동일하다.
이에 본 발명의 가설벤트 승강장치(100)가 교각(310) 사이사이에 설치되고 있음을 알 수 있어 교각(310) 사이의 기존 도로 등의 통행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역시 상기 가설벤트 승강장치(100)가 안정적으로 세팅될 수 있도록 교각과 가설벤트 승강장치(100)를 서로 턴버클 등과 같은 연결수단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거더를 서로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가로빔을 제거하는 등 구조물(300)을 분할 철거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경우에는 슬래브를 완전히 먼저 철거하고 거더를 연결하는 가로빔을 설치하여 거더를 철거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살펴본다.
다음으로 도 5b와 같이 가설벤트 승강장치(100)의 승강장치(130)을 작동시켜 상부 가설벤트(140)가 하부 가설벤트(110)를 따라 가이드되면서 인상시키게 된다.
이 과정에서 역시 상부 가설벤트(140)의 상면에 설치된 상부 이동수단(150)은 거더의 저면과 접하면서 거더(320)를 함께 상방으로 인상시키게 된다.
이에 거더(320)는 가설벤트 승강장치(100)에 의하여 상방으로 인상되며 이때 인상되는 높이는 인접한 거더(320)의 상면에 상기 인상된 거더의 저면이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조정하게 된다.
다음으로는 도 5c와 같이 인접한 거더(320)의 상면에 거더지지수단(400)을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거더지지수단(400)은 일종의 대차로서 구조물지지대(410)와 구조물지지대(410) 양 측방 저면에 설치된 롤러(420)와 상기 구조물지지대(410) 상면에 설치된 롤러를 포함하는 상부 이동수단(4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이용하면 된다.
이때 상기 상부 이동수단(430)은 앞서 살펴본 상부 이동수단(150)의 지지빔(151) 상면에 설치된 롤러와 동일한 형태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상기 거더지지수단(400)이 인접한 거더(320) 상면에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거더지지수단(400)이 거더(320) 상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구(440)를 거더(320) 상면 양 단부에 횡방향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거더지지수단(400)은 거더(320) 상면에 간단하게 인양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함을 알 수 있으며 해체가 매우 간단해짐을 알 수 있다.
이에 상기 거더지지수단(400)이 인접한 거더(320)에 설치되면 인상된 거더(320)를 미도시된 윈치시스템을 이용하여 종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며 거더(320)는 인접한 거더(320) 상면에 설치된 거더지지수단(400)의 상면 즉 롤러의 상면에 지지되면서 연속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에 종방향으로 연속하여 설치된 상기 거더지지수단(400)을 따라 거더(320)가 종방향으로 이동시켜 거더(320)를 철거할 수 있도록 한다.
역시 이러한 거더(320) 철거작업은 종방향으로 다수의 거더(320)가 설치되어 있다면 1개씩 실시하게 될 것이다.
나아가 거더(320)의 신설은 철거의 반대 과정을 거치면 된다.
즉, 도 6a, 도 6b 및 도 6c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먼저 도 6a와 같이 기존의 교각(310) 또는 신설된 교각(310) 사이사이에 역시 본 발명에 의한 가설벤트 승강장치(100)를 설치하고, 가설벤트 승강장치(100)의 승강장치(130)을 작동하여 상부 가설벤트(140)가 인상되도록 하게 된다.
이에 상기 상부 가설벤트(140)에 설치된 상부 이동수단(150)의 높이에 맞추어 거더지지수단(400)을 어느 하나의 거더(320) 상면에 설치하게 된다.
상기 어느 하나의 거더는 종방향을 기준으로 최 외측 거더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는 도 6b와 같이 양중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 최 외측 거더에 설치된 거더지지수단(400)에 신설될 거더(320)를 안착시키고, 종방향으로 슬라이딩 시켜 이동시켜 교각(310) 사이에 세팅시키게 된다.
다음으로는 도 6c와 같이 가설벤트 승강장치(100)의 승강장치(130)를 작동하여 상부 가설벤트가 하부 가설벤트를 따라 하강시켜 상기 거더(320)의 양 단부가 교각 상면의 교량받침에 안착되도록 하여 거더(320)의 신설에 이용하게 된다.
역시 이러한 거더(320)의 신설은 종방향으로 이루어진 것을 살펴보았지만 가설벤트 승강장치(100)를 하부 이동수단(120)을 이용하여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횡방향으로 다수가 이격 설치된 거더들도 역시 철거 및 신설할 수 있을 것이다.
최종 거더의 철거 및 신설이 완료되면 본 발명의 가설벤트 승강장치(100)는 역시 해체되어 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100: 본 발명의 가설벤트 승강장치
110: 하부 가설벤트
111: 하부빔 112: 수직빔
113: 상부빔 114: 가새빔
120: 하부 이동수단
121: 레일 122: 종방향롤러
123: 횡방향롤서 124: 위치고정구
130: 승강장치
131: 유압잭 132: 연결대
140: 상부 가설벤트
142: 수직빔 143: 상부빔
150: 상부 이동수단
151: 지지빔 152: 롤러
160: 추가 상부 이동수단
200: 바닥 300: 구조물
310: 교각 320: 거더
330: 슬래브 400: 거더지지수단

Claims (9)

  1. 하부 가설벤트(110);
    상기 하부 가설벤트 상면에 설치된 승강장치(130); 및
    상기 승강장치(130)에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승강장치 작동에 따라 승강되도록 하되 하부 가설벤트의 외측을 따라 상하로 가이드 되도록 설치된 상부 가설벤트(140);을 포함하여, 상기 하부 가설벤트를 따라 상하로 승강되는 상부 가설벤트(140)에 의하여 구조물(300)이 함께 승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벤트 승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가설벤트(110)는 바닥(200)에 설치된 레일 및 상기 레일에 장착된 롤러를 포함하는 하부 이동수단(120)에 설치되어 하부 이동수단을 통해 이동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벤트 승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설벤트(140)는 하부 가설벤트 외측면에 설치된 롤러 및 롤러하우징을 포함하는 벤트슬라이딩수단(144)을 따라 상하로 승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벤트 승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설벤트 승강장치는 교각과 교각 내측 사이에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도록 하여, 상부 가설벤트 상면 사이에 연장 설치되는 지지빔과 상기 지지빔 상면에 설치된 롤러를 포함하는 상부 지지수단(150)이 더 설치되도록 하여상기 상부 지지수단(150)의 롤러에 접하여 설치된 구조물(300)이 지지되어 슬라이딩되면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벤트 승강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부 지지수단(150)이 설치된 가설벤트 승강장치(100)에 의하여 인상된 구조물(300)을 연속하여 슬라이딩시켜 이동시키기 위하여,
    서로 인접한 상부 이동수단(150)은 지지빔과 상기 지지빔 상면에 설치된 롤러를 포함하는 추가 상부 지지수단(16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연속화되어 구조물(300)이 상기 연속화된 상부 이동수단(150)과 추가 상부 지지수단(160)을 통하여 연속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벤트 승강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부 지지수단(150)이 설치된 가설벤트 승강장치(100)에 의하여 인상된 구조물(300)을 연속하여 슬라이딩시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상부 이동수단(150)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구조물(300)은 인접한 거더 상면에 구조물지지대(410)와 구조물지지대(410) 양 측방 저면에 설치된 롤러(420)를 포함하는 상부 이동수단(430)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연속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벤트 승강장치.
  7. 교각을 포함하는 교량하부구조물 내측 사이의 바닥(200)에 설치된 레일 및 상기 레일에 장착된 롤러를 포함하는 하부 이동수단(120)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각각의 하부 이동수단(120)에 설치되는 하부 가설벤트(110); 상기 하부 가설벤트 상면에 설치된 승강장치(130); 및 상기 승강장치(130)에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승강장치 작동에 따라 승강되도록 하되 하부 가설벤트의 외측을 따라 상하로 가이드 되도록 설치된 상부 가설벤트(140);를 포함하는 가설벤트 승강장치를 서로 이격시켜 설치하고,
    상기 가설벤트 승강장치의 상면 사이에 지지빔과 지지빔 상면에 설치된 롤러를 포함하는 상부 이동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상부 이동수단에 구조물(300)이 지지되도록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승강장치(130)를 작동시켜 상부 가설벤트(140)의 인상 및 하강에 따라 구조물이 함께 인상 및 하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벤트 승강장치를 이용한 구조물 철거 또는 신설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수단(150)이 설치된 가설벤트 승강장치(100)에 의하여 인상된 구조물(300)을 연속하여 슬라이딩시켜 이동시키기 위하여,
    서로 인접한 상부 이동수단(150)은 지지빔과 상기 지지빔 상면에 설치된 롤러를 포함하는 추가 상부 지지수단(16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연속화되어 구조물(300)이 상기 연속화된 상부 이동수단(150)과 추가 상부 지지수단(160)을 통하여 연속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벤트 승강장치를 이용한 구조물 철거 또는 신설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부 지지수단(150)이 설치된 가설벤트 승강장치(100)에 의하여 인상된 구조물(300)을 연속하여 슬라이딩시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상부 이동수단(150)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구조물(300)은 인접한 거더 상면에 구조물지지대(410)와 구조물지지대(410) 양 측방 저면에 설치된 롤러(420)를 포함하는 상부 이동수단(430)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연속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벤트 승강장치를 이용한 구조물 철거 또는 신설방법.
KR1020110083433A 2011-08-22 2011-08-22 가설벤트 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철거 또는 신설방법 KR101120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433A KR101120466B1 (ko) 2011-08-22 2011-08-22 가설벤트 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철거 또는 신설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433A KR101120466B1 (ko) 2011-08-22 2011-08-22 가설벤트 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철거 또는 신설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0466B1 true KR101120466B1 (ko) 2012-02-29

Family

ID=45840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3433A KR101120466B1 (ko) 2011-08-22 2011-08-22 가설벤트 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철거 또는 신설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046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486B1 (ko) * 2012-06-04 2013-04-03 브릿지테크놀러지(주) 가설벤트를 이용한 철도교의 유도상화 공법
KR101420222B1 (ko) 2013-12-24 2014-07-17 박영수 소켓식 구조물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인상공법
KR101647687B1 (ko) * 2015-07-21 2016-08-12 정병학 교량의 콘크리트 상판 교체용 측면이동 동바리 이동시스템
KR101872265B1 (ko) * 2018-02-01 2018-06-28 주식회사 에코메가리프팅 교량의 해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0225B1 (ko) * 2004-12-13 2006-05-16 노윤근 교량의 교각기둥부분을 수직으로 확장할 수 있는 교량상부구조물 지지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부구조물승상방법
JP2007154540A (ja) * 2005-12-06 2007-06-21 Japan Steels International Inc 仮設足場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0225B1 (ko) * 2004-12-13 2006-05-16 노윤근 교량의 교각기둥부분을 수직으로 확장할 수 있는 교량상부구조물 지지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부구조물승상방법
JP2007154540A (ja) * 2005-12-06 2007-06-21 Japan Steels International Inc 仮設足場ユニッ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486B1 (ko) * 2012-06-04 2013-04-03 브릿지테크놀러지(주) 가설벤트를 이용한 철도교의 유도상화 공법
KR101420222B1 (ko) 2013-12-24 2014-07-17 박영수 소켓식 구조물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인상공법
KR101647687B1 (ko) * 2015-07-21 2016-08-12 정병학 교량의 콘크리트 상판 교체용 측면이동 동바리 이동시스템
KR101872265B1 (ko) * 2018-02-01 2018-06-28 주식회사 에코메가리프팅 교량의 해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4848B1 (ko) 가설벤트가 구비된 메인거더 런칭시스템을 이용한교량시공방법
KR101287455B1 (ko) 교량의 상부구조물용 런칭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205171378U (zh) 墩柱施工使用的组装升降式施工平台
JP2007120077A (ja) 高架道橋の架設方法及び装置
CN106759845B (zh) 一种钢结构连廊的施工方法
KR101120466B1 (ko) 가설벤트 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철거 또는 신설방법
CN108411922B (zh) 钢支撑的拆除方法
JP6503716B2 (ja) 解体システム及び解体方法
CN110565983B (zh) 一种建筑物顶升移位方法
JP2011162298A (ja) 天井クレーンの設置工法および装置
KR20120050945A (ko) 복합트러스 거더교 가설을 위한 개량압출공법
CN205839594U (zh) 桥梁上部结构施工使用的升降式施工系统
KR20090100476A (ko) 교각을 이용하여 교량을 인상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교량인상 방법
KR20170028779A (ko) 복부 파형강판 박스거더 시공용 거푸집 프레임 및 복부 파형강판 박스거더 시공용 이동식 작업차
JP4424744B2 (ja) 橋梁架替工法
JP2563762B2 (ja) 橋桁の扛上扛下工法,扛上機およびベント部材
JP5252634B2 (ja) クレーン更新装置とこれを用いたクレーンの更新方法
KR101200246B1 (ko) 철근조립용 지그의 토글링크식 리프팅 장치
JP6449637B2 (ja) 建物の構築方法
JPH1061193A (ja) 鉄骨構造物の構築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391232Y1 (ko) 가설벤트가 구비된 메인거더 런칭시스템
KR101341618B1 (ko) 거푸집장치
CN109056438B (zh) 一种城市高架匝道改造的施工方法
CN202689494U (zh) 一种电梯井模板支架
KR101296814B1 (ko) 상방 밀착식 지보 구축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