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9270B1 - 교량의 콘크리트 슬라브시공용 이동식 동바리 - Google Patents

교량의 콘크리트 슬라브시공용 이동식 동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9270B1
KR100429270B1 KR10-2001-0040034A KR20010040034A KR100429270B1 KR 100429270 B1 KR100429270 B1 KR 100429270B1 KR 20010040034 A KR20010040034 A KR 20010040034A KR 100429270 B1 KR100429270 B1 KR 100429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slab
support
formwork
copper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0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4528A (ko
Inventor
조남인
Original Assignee
(주)청호종합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호종합기술단 filed Critical (주)청호종합기술단
Priority to KR10-2001-0040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9270B1/ko
Publication of KR20030004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4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9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92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의 양끝단에 위치되는 슬라브를 제작하기 위한 동바리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슬라브를 제작하기 위하여 동바리의 조립/해체를 반복함에 따라 공사기간이 길어지고 동바리의 강성이 부족하여 안전하게 작업하기가 힘들며 슬라브를 견고하고 정확하게 시공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측에는 중량물(120)이 장착되고, 타측에는 교량(200)의 측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수직의 지지간(130)과 받침간(140)이 "L"자 형태로 설치된 박스 형태의 프레임(110) 저면 사방에 이동로울러(111)와 승하강 잭(112)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받침간(140)의 상면에는 작업대(144) 및 슬라브 시공용 저면 거푸집(141a)과 측면 거푸집(141b)을 힌지에 의해 서로 절첩되게 설치하되 받침간 (140)과 측면 거푸집(141b)에 양단이 연결되어 있는 턴버클(142)로서 측면 거푸집 (141b)의 각도가 조절되게 하므로서, 교량(200)의 상면으로 동바리가 이동되면서 슬라브(210)를 제작함에 따라 동바리를 반복적으로 조립/해체할 필요없이 슬라브의 시공을 신속하고 안전하며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이며 공사비용 또한 절감할수 있고 슬라브(210)를 견고하고 정확하게 시공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교량의 콘크리트 슬라브 시공용 이동식 동바리{Movable scaffolding of operation concrete slab of bridge}
본 발명은 교량의 양측면에 슬라브를 시공하기 위한 이동식 동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고공에서의 시공작업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동바리의 반복적인 재사용이 가능함에 따라 공사비용을 절감시키고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슬라브를 정확하고 견고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교량의 콘크리트 슬라브 시공용 이동식 동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교각을 우선 일정한 간격으로 시공한 다음 교각 상부로 차도부분을 이루는 상판이 시공되고 그 후 상면에 거푸집이 설치된 동바리를 이용하여 상판의 양끝단으로 슬라브를 시공하게 된다.
그런데 보통 각목이나 강재로서 조립된 동바리를 공사구간에 설치한 후 동바리 상면에 슬라브용 거푸집 및 작업대를 조립하는 방식으로 설치되는 기존의 고정식 동바리는 설치 사용 후 그대로 다음 과정으로 이동시킬 수가 없으므로 동바리와 거푸집, 작업대 등을 일일이 해체한 후 보수하거나 또는 다시 제작하여 재 설치하는 방식으로 사용되었는바, 이는 초기의 자재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은 있지만 다음과 같은 결점이 있다.
즉, 각재를 일일이 절단하여 동바리의 높이를 조절할 경우 인위적으로 절단된 각재의 재사용 효율이 떨어지고 자재의 로스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전에 설치된 동바리를 다음 과정으로 이동 설치하려면 해체/운반 등의 과정을 거쳐 설치해야하므로 인력과 시간손실이 많고, 자재 손실량이 커서 4~6회 정도 밖에 재사용할 수가 없어 비경제적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치/해체/운반의 작업을 대부분 인력에 의해 의존하므로 인건 노무비 지출이 과다하고 시공효율성이 저하되는 결점이 있으며, 특히 슬라브 동바리 가설을 위한 별도의 비계작업이 매번 시행되어야 하므로 공기가 길어지고 고공에서의 인력작업이 많아 별도의 안전시설물을 설치하는데 따르는 경비와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많은 문제점을 수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동식 동바리를 통해 교량의 슬라브를 안전하고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전체적인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동바리를 충분히 재사용할 수 있어 공사비용의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교량의 콘크리트 슬라브 시공용 이동식 동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일측에는 중량물이 장착되고, 타측에는 교량의 측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수직의 지지간과 받침간이 설치된 박스 형태의 프레임저면 사방에 이동로울러와 승하강 잭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받침간의 상면에는 작업대를 설치하고 그 상면으로 슬라브 시공용 저면 거푸집과 측면 거푸집을 힌지에 의해 서로 절첩되게 설치하되 작업대와 측면 거푸집에 양단이 연결되어 있는 턴버클에 의해 측면 거푸집의 각도가 조절되게 하므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교량의 차도부분을 따라 동바리가 이동되면서 인도부분인 슬라브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동바리를 제작 또는 해체를 반복하지 않고 하나의 동바리를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슬라브 시공을 신속하고 안전하며 효과적으로 할 수 있으며 공사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상판의 슬라브를 제작하기 위한 이동식 동바리의 요부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동바리가 교량 상판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동바리에 의해 거푸집이 교량의 끝단에 설치되는 과정을 예시한 요부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라 거푸집의 조임구가 작동되는 상태를 상세히 예시한 요부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동바리에 의해 교량의 슬라브가 제작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프레임 111 : 이동로울러
112 : 승하강 잭 120 : 중량물
130 : 지지간 140 : 받침간
141a : 저면 거푸집 141b : 측면 거푸집
142 : 턴버클 144 : 작업대
200 : 교량 210 : 슬라브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동바리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동바리가 교량 상판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동바리에 의해 거푸집이 교량의 끝단에 설치되는 과정을 예시한 요부 단면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에 따라 거푸집의 조임구가 작동되는 상태를 상세히 예시한 요부 단면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동바리에 의해 교량의 슬라브가 제작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교량(200)의 양 측면에 슬라브(210)를 형성하기 위한 이동식 동바리를 구성함에 있어서, 일측에는 중량물(120)이 장착되고, 타측에는 교량(200)의 측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수직의 지지간(130)과 받침간 (140)이 "L"자 형태로 설치된 박스 형태의 프레임(110) 저면 사방에 이동로울러 (111)와 승하강 잭(112)을 각각 설치하여 교량(200) 위에서의 프레임(110)이동과 고정이 가능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간(140)의 상면에는 작업대(144)가 설치되고 상기 작업대 (144)의 상면으로는 슬라브 시공용 저면 거푸집(141a)과 측면 거푸집(141b)을 힌지에 의해 서로 절첩되게 설치하되 작업대(144)와 측면 거푸집(141b)에 양단이 연결되어 있는 턴버클(142)에 의해 측면 거푸집(141b)의 각도가 조절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43)은 지지간(130)과 받침간(140)의 결합상태를 보강하기 위한 앵글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차도부분과 인도부분으로 구분되는 교량(200)을 시공시 인도부분인 슬라브(210)를 시공하기 위한 이동식 동바리에 관한 것으로서, 동바리가 차도부분의 상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인도부분인 슬라브(210)를 시공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동바리의 반복된 조립 및 해체가 필요없게 되어 전체적인 공사기간을 단축시키면서 공사비용을 절감하고 공사를 안전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슬라브 (210)를 정확하고 견고하게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동바리의 구성을 예시한 것으로서, 교량(200)은 교각(도면중 미도시)과 함께 차도부분이 우선 타설된 후 양생되고 그 후차도부분의 측면으로 인도부분인 슬라브(210)가 타설되는 것인데, 이러한 슬라브 (210)를 타설하기 위한 이동식 동바리로서 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프레임(110) 저면의 양측으로 이동로울러(111)와 승하강 잭(112)이 설치되는데, 상기 이동로울러(111)는 교량(200)의 차도부분을 따라 동바리가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설치간(110)의 저면에 이동로울러(111)와 함께 설치된 승하강 잭(112)은 동바리를 전체적으로 상승 및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승하강잭(112)이 상승되어 있으면 동바리 전체가 하강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이동로울러(111)는 교량(200)의 차도부분에 닿게 되면서 동바리는 교량 (200)상면에서 전후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며, 승하강 잭(112)이 하강되어 있으면 동바리 전체가 상승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이동로울러(111)는 교량(200)의 차도부분에서 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동바리는 교량(200) 상면의 한 지점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박스형태의 프레임(110)의 일측으로는 교량(200)의 바깥쪽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의 지지간(130)이 설치되며 상기 지지간(130)의 하단에는 교량(200)을 향하면서 전체적으로 "L" 자 형태를 유지하는 받침간(140)이 설치되는데, 상기 받침간(140)의 상부에는 작업자가 작업을 할 수 있는 작업대(144)가 구비되며, 상기 작업대(144)의 상면에는 교량(200)의 측면으로 슬라브(210)를 시공하기 위한 거푸집(141a)(141b)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거푸집(141a)(141b)은 저면 거푸집(141a)과 측면 거푸집(141b)이 힌지에 의해 결합되며 측면 거푸집(141b)의 일단과 받침간(140)에 설치된 작업대(144)가 턴버클(142)에 의해 고정되므로서, 턴버클(142)에 조절에 의해 측면 거푸집(141b)의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며, 상기 지지간(130)과 받침간 (140)은 앵글로 연결해여 받침간의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110)의 일측으로 지지간(130)과 받침간(140)이 설치되면서 지지간(130)과 받침간(140)의 무게로 인하여 동바리가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프레임(110)의 상면에 콘크리트물과 같은 중량물(120)을 설치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프레임(110), 중량물(120), 지지간(130), 받침간(140), 작업대(144), 거푸집(141a)(141b), 앵글(143), 턴버클(142)이 하나의 패턴을 유지하면서 연속적으로 다수개의 패턴으로 구성되어 이동식 동바리가 구성되는 것이며, 교량(200)의 차도부분을 따라 동바리가 이동되면서 일정구간의 슬라브(210)를 연속적으로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동바리로서 슬라브(210)가 제작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도 2 는 동바리가 교량의 차도부분으로 이동되다가 인도부분인 슬라브를 제작하기 위하여 멈춰있는 상태를 예시한 것으로서, 동바리가 이동로울러(111)에 의해 이동될 수 있도록 승하강 잭(112)은 승강되어 있는 상태이며, 동바리 전체는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 3 은 슬라브(210)를 타설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승하강 잭(112)이 하강을 하게 되면서 자연적으로 동바리 전체가 상승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이동로울러(111)는 프레임(110)과 함께 상승하게 되면서 교량(200)의 측면중 슬라브(210)를 타설하기 위한 정확한 자리에 받침간(140)의 거푸집(141a)(141b)이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4 에 예시한 바와 같이 받침간(140)의 작업대(144)에 위치한 작업자가 턴버클(142)를 작동시켜 저면 거푸집(141a)과 측면 거푸집(141b) 일정한 틀을 이루도록 한 다음 거푸집(141a)(141b) 내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도 5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슬라브(210)가 완성되는 것이다.
그 후 교량(200)의 다음 구간으로 동바리를 이동시켜 슬라브(210)의 시공을 계속 하고자 할 경우에는 작업자가 다시 턴버클(142)를 작동시켜 측면 거푸집 (141b)이 슬라브(210)로부터 일정한 각도로 벌어지도록 한 후 승하강 잭(112)을 승강시키게 되면 동바리 전체가 하강을 하게 되면서 프레임(110)의 이동로울러(111)는 교량(200)의 차도부분과 닿게 되고 받침간(140) 또한 하측으로 하강을 하게됨에 따라 거푸집(141a)(141b)이 양생된 슬라브(210)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것이고 이 후 동바리를 다음 구간으로 이동시킨 후 교량(200)의 다음 구간 슬라브(210)를 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로울러와 승하강 잭이 구비된 설프레임, 지지간, 받침간, 거푸집, 턴버클 등으로 이루어진 이동식 동바리를 제작하여 교량의 차도부분을 따라 동바리가 이동되면서 인도부분인 슬라브를 시공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종래와 같이 동바리를 반복적인 조립과 해체하면서 사용할 필요가 없어 전체적인 공사기간을 최대한 단축시킬 수 있으며, 장비를 충분히 재사용 할 수 있어 공사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작업자가 받침간의 작업대에서 각종 작업을 안전하게 할 수 있는 것이며, 동바리 및 거푸집이 견고하고 안정되게 위치됨에 따라 슬라브를 견고하고 정확하게 제작할 수 있어 교량의 품질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교량(200)의 차도부분 양측으로 인도부분을 이루는 슬라브(210)를 형성하기 위한 동바리를 구성함에 있어서,
    내부에 중량물(120)이 설치된 박스형태의 프레임(110) 저면 사방에는 한쌍을 이루는 이동로울러(111)와 승하강 잭(112)이 각각 설치되어 교량(200) 위에서 프레임(110)이 이동 및 승하강 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에서 일측으로 연장된 부위 끝단에는 지지간(130)이 세워진 상태로 연결되며, 상기 지지간 (130)의 저면에는 받침간(140)이 수직형태로 연결되도록 하되 상기 지지간(130)과 받침간(140)이 교량(200)의 측면과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받침간 (140)의 상면에는 작업대(144)를 설치하며, 상기 작업대(144)의 상면으로 슬라브 시공용 저면 거푸집(141a)과 측면 거푸집(141b)을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콘크리트 슬라브 시공용 이동식 동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거푸집(141b)의 각도조절은 받침간(140)의 작업대(144)와 측면 거푸집(141b)에 양단이 연결되어 있는 턴버클(142)에 의해 행하여 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콘크리트 슬라브 시공용 이동식 동바리.
KR10-2001-0040034A 2001-07-05 2001-07-05 교량의 콘크리트 슬라브시공용 이동식 동바리 KR100429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0034A KR100429270B1 (ko) 2001-07-05 2001-07-05 교량의 콘크리트 슬라브시공용 이동식 동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0034A KR100429270B1 (ko) 2001-07-05 2001-07-05 교량의 콘크리트 슬라브시공용 이동식 동바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0376U Division KR200250571Y1 (ko) 2001-07-06 2001-07-06 교량의 콘크리트 슬라브 시공용 이동식 동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4528A KR20030004528A (ko) 2003-01-15
KR100429270B1 true KR100429270B1 (ko) 2004-05-04

Family

ID=27713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0034A KR100429270B1 (ko) 2001-07-05 2001-07-05 교량의 콘크리트 슬라브시공용 이동식 동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92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6613B1 (ko) * 2021-07-12 2021-12-07 황하수 설치 및 해체가 신속 용이한 교량용 캔틸레버 브래킷 및 이에 의한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786B1 (ko) * 2013-02-18 2015-02-11 강남훈 3d pst 제조용 궤광 조립대
CN108505441B (zh) * 2018-04-20 2020-10-27 安徽省华建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桥梁检测用维修平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5480A (en) * 1972-08-18 1976-10-12 Dyckerhoff & Widmann Ag Apparatus for the sectional cantilever construction of bridge girder systems
KR960034662A (ko) * 1995-03-23 1996-10-24 윤기철 터널용 거푸집
KR970059387A (ko) * 1997-05-16 1997-08-12 신필수 교량의 보도 (步道) 블럭시공용 거푸집장치
JPH116285A (ja) * 1997-06-13 1999-01-12 Kawada Kensetsu Kk 床版鉄筋組立用の移動足場
KR19990073372A (ko) * 1999-07-06 1999-10-05 김희자 교량의보도(步道)블럭시공용거푸집장치.
US6035475A (en) * 1998-03-05 2000-03-14 United Dominion Ind., Inc. Maintenance prop for a dock level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5480A (en) * 1972-08-18 1976-10-12 Dyckerhoff & Widmann Ag Apparatus for the sectional cantilever construction of bridge girder systems
KR960034662A (ko) * 1995-03-23 1996-10-24 윤기철 터널용 거푸집
KR970059387A (ko) * 1997-05-16 1997-08-12 신필수 교량의 보도 (步道) 블럭시공용 거푸집장치
JPH116285A (ja) * 1997-06-13 1999-01-12 Kawada Kensetsu Kk 床版鉄筋組立用の移動足場
US6035475A (en) * 1998-03-05 2000-03-14 United Dominion Ind., Inc. Maintenance prop for a dock leveler
KR19990073372A (ko) * 1999-07-06 1999-10-05 김희자 교량의보도(步道)블럭시공용거푸집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6613B1 (ko) * 2021-07-12 2021-12-07 황하수 설치 및 해체가 신속 용이한 교량용 캔틸레버 브래킷 및 이에 의한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4528A (ko) 2003-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3775B1 (ko) 교량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CN111764300B (zh) 曲线钢梁顶推体系及施工方法
KR20190041189A (ko) 장대교량 주탑용 철근 선시공 작업대 및 이를 이용하는 시공방법
CN114517575A (zh) 附模装配式双层整体吊升电梯井施工工法
KR100429270B1 (ko) 교량의 콘크리트 슬라브시공용 이동식 동바리
KR101082418B1 (ko) 교량용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 장치
KR200250571Y1 (ko) 교량의 콘크리트 슬라브 시공용 이동식 동바리
KR200260683Y1 (ko) 옹벽시공을 위한 이동식 거푸집
KR100448221B1 (ko) 암거 제작용 이동식 철재 거푸집장치 및 이를 이용한암거의 증기촉진양생 연속시공방법
US6416258B1 (en) Ground advance shoring system
CN108005684B (zh) 分离式钢模台车及其施工方法
KR20090070852A (ko) 보차도 경계석 시공방법 및 장치
CN214401421U (zh) 一种现浇箱梁腹、翼板支架
KR200231051Y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교량의 박스거더 시공용 이동형내부 거푸집
CN215618848U (zh) 一种行走整体液压预制小箱梁模板结构
KR100336713B1 (ko)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피.씨빔을 연결하는 크로스빔 구축용 스틸폼
KR100463073B1 (ko) 교량의 상판 보수 보강용 삼각지주와 이를 이용한 교량의상판 보수 보강 공법
KR200253546Y1 (ko) 유압잭과 강재틀을 이용한 교각고핑 동바리장치
KR20080020727A (ko) 철근 조립대
KR101019979B1 (ko) 기존교각 확대시 이동식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타설장치 및 방법
CN220433734U (zh) 一种用于地下空间混凝土结构施工的模板系统
KR200237675Y1 (ko) 도로암거 및 지하공동구 구조물내부 이동식 거푸집구조
KR100201758B1 (ko)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용 테이블폼 설치방법
KR200151563Y1 (ko) 슬라브용 패널 지지장치
CN213797166U (zh) 组装合成建筑单元简易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