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1758B1 -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용 테이블폼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용 테이블폼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1758B1
KR100201758B1 KR1019970003592A KR19970003592A KR100201758B1 KR 100201758 B1 KR100201758 B1 KR 100201758B1 KR 1019970003592 A KR1019970003592 A KR 1019970003592A KR 19970003592 A KR19970003592 A KR 19970003592A KR 100201758 B1 KR100201758 B1 KR 100201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slab
fixed
table 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3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7526A (ko
Inventor
이문일
Original Assignee
이문일
주식회사삼목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문일, 주식회사삼목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이문일
Priority to KR1019970003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1758B1/ko
Publication of KR19980067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7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1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1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50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9/00Auxiliary treatment of forms, e.g. dismantling; Cleaning devices
    • E04G19/003Arrangements for stabilising the forms or for moving the forms from one place to an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용 테이블폼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H빔이 다수 연결구비된 지지대 상에 각재 및 합판이 순차적으로 위치되어 테이블폼을 구비하고, 테이블폼의 지지대가 가로보 상에서 승강 및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가로보 상에 다수의 가이더가 배열설치되며, 가이더에 의해 지지대가 하강된 상태에서 이를 당겨 슬라이드 이동시키도록 지지대에 로우프가 연결되어, 소정구간내에 슬라브 설치 후 로우프를 당겨서 지지대를 인접구간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서 슬라브를 연속설치하므로, 테이블폼을 가로보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시켜 슬라브를 연속 설치할 수 있으므로, 슬라브 설치시 다수의 부품으로 조합된 동바리가 사용되지 않아 재료비가 경감되고, 이에 따라 동바리를 해체 및 재설치할 필요가 없어 작업시간 및 인건비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용 테이블폼 설치방법
본 발명은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슬라브 설치가 매우 간단하여 작업효율 및 원가절감을 꾀할 수 있도록 한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용 테이블폼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라브 콘크리트는 지하, 지면에 설치되거나, 지상 여건상 도1 또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층 이상의 고층에 설치되기도 하는바, 슬라브 콘크리트의 형틀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기둥(1) 사이에 다수의 프레임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지고 상부에 나사잭(7)이 구비된 동바리(6)를 위치시키며, 나사잭(7) 상부에 각재(2), 장선(3), 합판(4)을 순차적으로 위치시킨 다음, 합판(4)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라브(5)를 형성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소정시간 경과후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타설후 슬라브 콘크리트(5)가 양생되면, 동바리(6)를 철거하여 이동시킨 후 다시 설치하여서 슬라브(5)를 연속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슬라브 콘크리트용 형틀 설치방법은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합판(4)을 지지시키기 위해 다수의 부품으로 조합된 동바리가 사용되므로 재료비가 증가되고, 설치된 동바리(6)에 의해 일정구간의 슬라브(5)가 완공된 후 동바리(6)의 이동설치시 이를 해체 및 재설치해야 함에 따라 작업시간이 연장되고, 인건비가 증가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라브 설치시 다수의 부품으로 조합된 동바리가 사용되지 않아 재료비가 경감되고, 동바리를 해체 및 재설치할 필요가 없어 작업시간 및 인건비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용 테이블폼 설치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용 테이블폼 설치방법은, 지면으로 부터 소정거리 상부에 열차 궤도를 설치하도록 가로보에 의해 지지된 소정높이의 기둥 상에 각재, 장선, 합판 등을 순차적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그 위에 콘트리트를 타설하여서 되는 슬라브 콘크리트 설치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H빔이 다수 연결구비된 지지대 상에 각재 및 합판이 순차적으로 위치되어 테이블폼을 구비하고, 상기 테이블폼의 지지대가 가로보 상에서 승강 및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로보 상에 다수의 가이더가 배열설치되며, 상기 가이더에 의해 상기 지지대가 하강된 상태에서 이를 당겨 슬라이드 이동시키도록 상기 지지대에 로우프가 연결되어, 소정구간내에 슬라브 설치 후 상기 로우프를 당겨서 상기 테이블폼을 인접구간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서 상기 슬라브를 연속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용 테이블폼 설치방법의 한 특징은, 가이더가, 수평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는 한쌍의 H빔형 지지프레임과, 상기 한쌍의 지지프레임 양단에 일단이 대응위치되고 타단이 하측방으로 향하도록 위치되며 인접한 대응 내측에 복수의 판들이 계단형으로 고정되는 결합판들과, 상기 지지프레임 양단 양측에 용접되는 지지판과, 상기 결합판 및 지지판에 관통설치되어 이들을 고정지지하는 고정핀과, 상기 결합판에 고정된 판들 중 상부의 판에 각각 설치되는 이송로울러와, 상기 판들 중 하부의 판에 각각 설치되는 나사잭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용 테이블폼 설치방법의 다른 특징은, 나사잭이, 상기 하부의 판에 고정되고 내측에 암나사가 형성된 하부보스와, 중앙에 핸들이 고정되고 양측으로 오른나사 및 왼나사가 각각 형성되며 일측단부가 상기 보스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봉과,상기 나사봉의 타측단부가 나사결합되는 상부보스와, 상기 상부보스 상에 고정지지되어 상기 핸들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지지대를 승강시키는 승강판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용 테이블폼 설치방법의 또 다른 특징은, 지지대가 이송로울러 또는 승강판에 지지상태를 향상키시도록 상기 지지대 하부에 환봉형상의 안내봉이 고정구비되고, 상기 이송로울러의 외주에 안내홈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판 상에 안착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합판이 얹혀진 지지대를 가로보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시켜 슬라브를 연속 설치할 수 있으므로, 슬라브 설치시 다수의 부품으로 조합된 동바리가 사용되지 않아 재료비가 경감되고, 이에 따라 동바리를 해체 및 재설치할 필요가 없어 작업시간 및 인건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 슬라브 콘크리트의 형틀 설치방법을 보이는 부분 측단면도,
도2는 종래 슬라브 콘크리트의 형틀 설치를 보이는 전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용 테이블폼 설치방법의 요부인 가이 더를 보이는 사시도,
도4는 본 발명 가이더가 보에 다수 설치된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
도5는 가이더 상에 테이블폼의 지지대가 얹혀진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
도6은 지지대 상에 합판이 올려진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
도7(A)(B)는 본 발명 요부를 보이는 부분 측단면도 및 그 A-A'선 단면도,
도8(A)(B)는 지지대가 하강되어 이송로울러에 지지된 상태를 보이는 부분 측단면 도, 및 그 B-B'선단면도,
도9는 본 발명 가이더가 U볼트에 의해 가로보에 고정지지된 상태를 보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가이더 19 ; 이송로울러
21 ; 나사잭 26 ; 승강판
28 ; 지지대 29 ; 안내봉
31 ; 로우프 32 ; 합판
36 ; 각재 38 ; 테이블폼(table form)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과 작용을 첨부된 일실시예로서의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은 본 발명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용 테이블폼 설치방법에 따른 가이더(11)를 보이는 사시도로써, 이 가이더(11)는 수평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는 한쌍의 H빔형 지지프레임(12)과, 한쌍의 지지프레임(12) 양단에 일단이 대응위치되고 타단이 하측방으로 향하도록 위치되며 인접한 대응 내측에 제1,2판(16)(17)이 계단형으로 고정되는 결합판(13)들과, 지지프레임(12) 양단 양측에 용접되는 지지판(14)과, 결합판(13) 및 지지판(14)에 관통설치되어 이들을 고정지지하는 고정핀(15)과, 결합판(13)에 고정된 제1판(16)에 각각 설치되는 이송로울러(19)와, 제2판(17)에 각각 설치되는 나사잭(21)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가이더(11)의 나사잭(21)은, 제2판(17)에 고정되고 내측에 암나사가 형성된 하부보스(22)와, 중앙에 핸들(23)이 고정되고 양측으로 오른나사 및 왼나사가 각각 형성되며 일측단부가 하부보스(22)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봉(24)과, 나사봉(24)의 타측단부가 나사결합되는 상부보스(25)와, 상부보스(25) 상에 고정지지되어 핸들(23)을 회전시킴에 따라 지지대(28)를 승강시키는 승강판(26)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또한 이송로울러(19)의 외주에 안내홈(20)이 형성되며, 승강판(26) 상에 안착홈(27)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 가이더(11)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되는바, 소정높이의 기둥(33) 상에 고정되어 이를 고정지지하는 가로보(30)에 다수의 가이더(11)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가이더(11) 상에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블폼(38)이 얹혀지게 되는바, 이 테이블폼(38)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H빔이 다수 연결설치되어 구성된 지지대(28)와, 이 지지대(28) 상에 다수의 각재(36) 및 합판(32)이 순차적으로 적재되어 구비된다.
여기서 지지대(28) 하부에는 이송로울러(19) 또는 승강판(26)에 지지된 상태를 향상키시도록 환봉형상의 안내봉(29)이 고정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가이더(11)에 얹혀진 상태의 테이블폼(38)의 지지대(28)상에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판(32)이 위치되어 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라브(5)를 설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지지대(28) 전방에 로우프(31)가 연결설치되어 가이더(11)의 나사잭(21)을 회전시켜 승강판(26)에 지지된 상태의 안내봉(29)이 이송로울러(19)에 지지되면 이 로우프(31)를 당겨 슬라이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39는 콘크리트 타설시, 편심하중에 의해 가이더(11)를 가로보(30)부터 들뜨는 것을 방지시키기 위한 U볼트이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용 테이블폼 설치방법은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보(30)에 다수의 가이더(11)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U볼트(39)를 체결시켜 고정설치하고 가이더(11) 상에 지지대(28)를 위치시키며, 이때 지지대(28)의 안내봉(29)은 도7의 (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판(26)의 안착홈(27)에 끼워진 상태에서 안착지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지지대(28) 상에 각재(36), 합판(32)을 위치시켜 테이블폼(38)을 위치시키고 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라브(5)를 설치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소정구간 내에 슬라브(5) 설치가 완료되면, 테이블폼(38)을 인접구간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게 되는바, 먼저 나사잭(21)의 핸들(23)을 회전시킴에 따라 나사봉(24)에 의해 승강판(26)이 하강되어 지지대(28)를 하강시키게 되어 테이블폼(38)이 하강되고, 계속 하강됨에 따라 승강판(26)의 안착홈(27)에 지지된 안내봉(29)은 도8의 (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로울러(19)의 안내홈(20)에 안착지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는 지지대(28)가 이송로울러(19) 상에 지지된 상태이므로 지지대(28)에 고정된 로우프(31)를 회전동력에 의해 당기면 비교적 적은 힘으로 쉽게 당겨지게 되어 테이블폼(38)을 인접구간에 설치된 가이더 상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인접구간으로 이동된 지지대(28)는 나사잭(21)에 의해 승강판(26)을 상승시켜 이에 지지시키므로 슬라브(5)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용 테이블폼 설치방법은, 지지대, 각재 및 합판으로 이루어진 테이블폼을 가로보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시켜 슬라브를 연속 설치할 수 있으므로, 슬라브 설치시 다수의 부품으로 조합된 동바리가 사용되지 않아 재료비가 경감되고, 이에 따라 동바리를 해체 및 재설치할 필요가 없어 작업시간 및 인건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지면으로 부터 소정거리 상부에 열차 궤도를 설치하도록 가로보에 의해 지지된 소정높이의 기둥 상에 각재, 장선, 합판 등을 순차적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그 위에 콘트리트를 타설하여서 되는 슬라브 콘크리트 설치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H빔이 다수 연결구비된 지지대(28) 상에 각재(36) 및 합판(32)이 순차적으로 위치되어 테이블폼(38)을 구비하고,
    상기 테이블폼(38)의 지지대(28)가 가로보(30) 상에서 승강 및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로보(30) 상에 다수의 가이더(11)가 배열설치되며,
    상기 가이더(11)에 의해 상기 지지대(28)가 하강된 상태에서 이를 당겨 슬라이드 이동시키도록 상기 지지대(28)에 로우프(31)가 연결되어,
    소정구간내에 슬라브(5) 설치 후 상기 로우프(31)를 당겨서 상기 테이블폼(38)을 인접구간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서 상기 슬라브(5)를 연속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용 테이블폼 설치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더(11)가,
    수평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는 한쌍의 H빔형 지지프레임(12)과,
    상기 한쌍의 지지프레임(12) 양단에 일단이 대응위치되고 타단이 하측방으로 향하도록 위치되며 인접한 대응 내측에 복수의 판(16)(17)들이 계단형으로 고정되는 결합판(13)들과,
    상기 지지프레임(12) 양단 양측에 용접되는 지지판(14)과,
    상기 결합판(13) 및 지지판(14)에 관통설치되어 이들을 고정지지하는 고정핀(15)과,
    상기 결합판(13)에 고정된 판(16)(17)들 중 상부의 판(16)에 각각 설치되는 이송로울러(19)와,
    상기 판(16)(17)들 중 하부의 판(17)에 각각 설치되는 나사잭(21)이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용 테이블폼 설치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잭(21)이,
    상기 하부의 판(17)에 고정되고 내측에 암나사가 형성된 하부보스(22)와,
    중앙에 핸들(23)이 고정되고 양측으로 오른나사 및 왼나사가 각각 형성되며 일측단부가 상기 하부보스(22)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봉(24)과,
    상기 나사봉(24)의 타측단부가 나사결합되는 상부보스(25)와,
    상기 상부보스(25) 상에 고정지지되어 상기 핸들(23)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지지대(28)를 승강시키는 승강판(26)이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용 테이블폼 설치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28)가 이송로울러(19) 또는 승강판(26)에 지지상태를 향상키시도록 상기 지지대(28) 하부에 환봉형상의 안내봉(29)이 고정구비되고,
    상기 이송로울러(19)의 외주에 안내홈(20)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판(26) 상에 안착홈(27)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용 테이블폼 설치방법.
KR1019970003592A 1997-02-05 1997-02-05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용 테이블폼 설치방법 KR100201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3592A KR100201758B1 (ko) 1997-02-05 1997-02-05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용 테이블폼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3592A KR100201758B1 (ko) 1997-02-05 1997-02-05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용 테이블폼 설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526A KR19980067526A (ko) 1998-10-15
KR100201758B1 true KR100201758B1 (ko) 1999-06-15

Family

ID=19496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3592A KR100201758B1 (ko) 1997-02-05 1997-02-05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용 테이블폼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17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17469A (zh) * 2011-06-07 2012-12-12 李祥裕 一种可调式双层顶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855B1 (ko) * 2011-03-16 2013-04-1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테이블 폼 운반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17469A (zh) * 2011-06-07 2012-12-12 李祥裕 一种可调式双层顶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526A (ko) 199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102303A1 (en) Method for displacing a ceiling formwork, collision protection element, and ceiling formwork, supporting device and incremental launching device comprising such a collision protection element
KR200436856Y1 (ko) 슬라브 거푸집 지지 및 해체용 자동 하강 서포터
CS212762B2 (en) Sliding forms for concrete walls
CN111015910A (zh) 预制楼梯模具
KR101396434B1 (ko) 복합 벽체 동시 이동 설치를 위한 이동식 거푸집 장치
KR100665340B1 (ko) 해체가 용이한 슬라브 시공 데크의 설치 구조
CN114517575A (zh) 附模装配式双层整体吊升电梯井施工工法
KR100201758B1 (ko)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용 테이블폼 설치방법
KR101030053B1 (ko) 스틸박스 교량의 이동식 거푸집 설치 및 해체장치
KR200384389Y1 (ko)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서포터
KR100818609B1 (ko) 해체가 용이한 슬라브 거푸집
KR200260683Y1 (ko) 옹벽시공을 위한 이동식 거푸집
CN116377888A (zh) 一种斜拉桥现浇梁的可调节翼缘模板装置及施工工艺
JPH07279417A (ja) 梁型枠装置および梁の施工方法
CN211897857U (zh) 一种梁柱式支架施工中安装或拆卸纵梁的装置
KR100357488B1 (ko) 슬래브 및 보 동시 구축용 테이블 폼
CN114412169A (zh) 一种后浇带施工方法
KR100293687B1 (ko) 콘크리트 배송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KR100429270B1 (ko) 교량의 콘크리트 슬라브시공용 이동식 동바리
JPH08158643A (ja) 大型ユニット型枠及びその組立方法
KR200151563Y1 (ko) 슬라브용 패널 지지장치
KR20040102272A (ko) 연속압출공법을 적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더블-티이 교량 상판 및 그 거푸집
CN217378614U (zh) 一种预制梁生产用底座结构
CN219080340U (zh) 深基坑墙身施工所用整体衬砌台架及其大型模板连接结构
KR200250571Y1 (ko) 교량의 콘크리트 슬라브 시공용 이동식 동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