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6713B1 -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피.씨빔을 연결하는 크로스빔 구축용 스틸폼 - Google Patents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피.씨빔을 연결하는 크로스빔 구축용 스틸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6713B1
KR100336713B1 KR1019990040603A KR19990040603A KR100336713B1 KR 100336713 B1 KR100336713 B1 KR 100336713B1 KR 1019990040603 A KR1019990040603 A KR 1019990040603A KR 19990040603 A KR19990040603 A KR 19990040603A KR 100336713 B1 KR100336713 B1 KR 100336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steel foam
steel
beams
fixed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0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8386A (ko
Inventor
김현섭
Original Assignee
김현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섭 filed Critical 김현섭
Priority to KR1019990040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6713B1/ko
Publication of KR20010028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8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6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67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P.C빔(Precast Concrete Beam)들을 연결하기 위하여 구축되는 크로스빔 구축용 스틸폼에 관한 것으로, 철근콘크리트로 구축된 교각과 교각의 상부에 설치되는 P.C빔을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P.C빔과 P.C빔 사이에 폼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크로스빔을 구축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P.C빔과 P.C빔 사이에 설치되며, 표면은 평탄면으로 형성되고 이면에는 다수의 보강리브가 상,하 다단으로 부착되어 있는 고정 스틸폼과; 상기 고정 스틸폼의 상단 양측에는 상호 외측을 향해 대칭상으로 돌출되게 고정 부착되어 양쪽의 P.C빔 상단에 지지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고정 스틸폼의 양측에 상,하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조절장공 및 상기 P.C빔의 상단에 형성된 어깨부를 수용하는 요입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장공 각각을 통해 고정 스틸폼의 이면측으로 돌출되는 조절볼트가 형성된 채 상기 고정 스틸폼의 좌,우측을 향해 이동조절이 가능하고 너트로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조립되는 좌,우측 조절 스틸폼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피.씨빔을 연결하는 크로스빔 구축용 스틸폼{Steel form to be constructed inside of cross beam which is to connect precast concrete beam of pir using reinforced concrete}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P.C빔(Precast Concrete Beam)들을 연결하기 위하여 구축되는 크로스빔 구축용 스틸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이나 고가도로 등의 철근콘크리트 교각에는 상판을 지지하기 위하여 교각과 교각을 잇는 P.C빔이 일정한 거리를 두고 다수개씩 설치되고 있으며, 상기한 P.C빔들은 일정간격으로 구축되는 다수의 크로스빔(Cross Beam)에 의하여 연결되고 있다.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P.C빔(1)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가 두터운 본체(11)와 그 상단에 양측으로 돌출되는 어깨부(12)가 형성되도록 철근콘크리트로 미리 만들어지고 있다.
상기 P.C빔(1)의 본체(11) 양측 또는 일측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연결용 철근(13)들을 돌출시키고 있는데, 이와 같이 연결용 철근(13)들을 돌출시킨 이유는 P.C빔(1)들을 연결시키는 크로스빔(14)을 구축할 때 상기 크로스빔(14) 내부에 설치되는 철근들을 상기한 연결용 철근(13)에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상기한 크로스빔(14)들이 P.C빔(1)들을 일체화 상태로 연결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도 10과 같이 다수의 P.C빔(1)을 교각(2)의 상부(21 : Coping) 위에 설치한 다음 상기 P.C빔(1)의 본체(11) 양측 또는 일측에 돌출된 연결용 철근(13)들은 서로 마주하는 것끼리 수평철근(15)으로 연결시킨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크로스 빔(14)을 구축하게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구축된 크로스 빔(14)들은 도 11과 같이 교각(2)의 상부(21) 위에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된 P.C빔(1)들이 크로스빔(14)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 상기한 크로스빔(14)을 구축하는 폼(Form)은 대부분 합판 등 으로 된 목재패널폼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목재패널폼을 현장 즉, P.C빔(1)이 설치되는 교각 위에서 여러 개를 조립하는 수단으로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목재패널폼을 P.C빔(1)들 사이에 설치하는 작업이 매우 힘이 들고 또 P.C빔(1)들 사이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작업이 매우 까다롭고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므로 크로스빔(14) 구축공기가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P.C빔(1)의 설치간격에 맞추어 목재패널폼을 미리 제작하여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도 강구된 바 있으나, 이는 목재패널폼을 설계에 맞추어 제작하더라도 P.C빔(1)들의 설치간격이 설계대로 설치되지 않기 때문에 설계대로 제작된 목재패널폼을 설치하는데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어 왔다. 왜냐하면, P.C빔(1)은 상당한 중량체이므로 크레인을 이용하여 교각 위에 설치하기 때문에 크레인으로 들어 올려진 P.C빔(1)을 양측 교각(2)의 상부(21 : Coping)에 정확히 안치시키지 못하고 양단이 정위치에서 좌,우로 미세하게 벗어난 위치에 놓이게 되며, 이렇게 P.C빔(1)이 정위치를 벗어나게 설치되었을 경우에는 P.C빔(1)과 P.C빔(1) 사이의 간격이 설계치수에 대하여 좁거나 또는 넓어진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목재패널폼이 설계에 맞추어 제작하였더라도 P.C빔들 사이에 설치할 수 없게 되거나 또는 설치하더라도 목재패널폼과 P.C빔 사이에 틈새가 생기게 되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P.C빔(1)들 사이에 크로스빔(14)을 구축하기 위한 목재패널폼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교각(2)의 상부(21) 높이까지 비계를 설치하여 작업발판을 만들어주어야 하며, 또한 상기의 작업발판은 교각과 교각 사이 전체에 걸쳐 설치하여야 하므로 이와 같이 비계로 된 작업발판을 설치하는 데에도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될 뿐 아니라 비계 설치비가 많이 들어 교량 및 고가도로의 건설공기가 길어지고 또 건설비가 증가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교각 위에 일정거리를 두고 설치된 다수의 P.C빔들을 연결하는 크로스빔을 구축하기 위한 스틸폼을 고정 스틸폼과 그 양단에 좌,우측 조절 스틸폼을 좌,우로 이동조절이 가능하도록 셋트화된 상태로 제작하여 스틸폼의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 P.C빔들의 설치간격에 맞추어 상기 스틸폼을 P.C빔과 P.C빔 사이에 정밀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또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크로스빔의 구축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스틸폼의 해체작업이 용이하고 아울러 해체된 스틸폼의 이동 및 재 조립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크로스빔 구축용 스틸폼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철근콘크리트로 구축된 교각과 교각의 상부에 설치되는 P.C빔을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P.C빔과 P.C빔 사이에 폼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크로스빔을 구축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P.C빔과 P.C빔 사이에 설치되며, 표면은 평탄면으로 형성되고 이면에는 다수의 보강리브가 상,하 다단으로 부착되어 있는 고정 스틸폼과;
상기 고정 스틸폼의 상단 양측에는 상호 외측을 향해 대칭상으로 돌출되게 고정 부착되어 양쪽의 P.C빔 상단에 지지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고정 스틸폼의 양측에 상,하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조절장공과; 및
상기 P.C빔의 상단에 형성된 어깨부를 수용하는 요입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장공 각각을 통해 고정 스틸폼의 이면측으로 돌출되는 조절볼트가 형성된 채 상기 고정 스틸폼의 좌,우측을 향해 이동조절이 가능하고 너트로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조립되는 좌,우측 조절 스틸폼;
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고정 스틸폼을 구축하고자 하는 크로스빔 두께의 폭으로 대향 설치한 다음 상부는 개방시키고 하부는 합 스틸폼로 밀폐하는 것과 상기 교각의 상부 양측에 설치된 양쪽의 P.C빔 각 상단에 레일을 설치한 다음 상기 레일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와 각 P.C빔 밑으로는 작업발판이 형성되는 작업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크로스빔 구축용 스틸폼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크로스빔 구축용 스틸폼의 결합상태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스틸폼의 조립 또는 분리과정을 나타낸 정면도
및 설치상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크로스빔 구축용 스틸폼을 설치하기 위한 이동작업발판의
설치상태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P.C빔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및 설치상태를 보인 측면도와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P.C빔 2 : 교각
3 : 크로스빔 구축용 스틸폼 4 : 고정 스틸폼
5a,5b : 좌,우측 조절 스틸폼 6 : 하부 스틸폼
7 : 작업대 14 : 크로스빔
41 : 보강리브 43 : 지지부재
44 : 조절장공 51 : 조절볼트
52 : 요입부 71 : 레일
72 : 바퀴 74 : 작업발판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크로스빔 구축용 스틸폼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크로스빔 구축용 스틸폼의 결합상태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스틸폼의 조립 또는 분리과정을 나타낸 정면도 및 설치상태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크로스빔 구축용 스틸폼을 설치하기 위한 이동작업발판의 설치상태도이고,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P.C빔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및 설치상태를 보인 측면도와 평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부호 3은 크로스빔 구축용 스틸폼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크로스빔 구축용 스틸폼(3)은 교각(2)의 상부(21)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다수의 P.C빔(1)들에 있어 각 P.C빔(1) 상단에 형성된 어깨부(12)들 사이로 자유롭게 넣고 빼낼 수 있는 폭을 가지는 고정 스틸폼(4)과 상기 고정 스틸폼(4)의 양측에 조립되는 좌,우측 조절 스틸폼(5a)(5b)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 스틸폼(4)은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표면은 평탄한 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면에는 콘크리트 타설압을 견딜 수 있도록 다수의 보강리브(41)가 상,하 다단으로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스틸폼(4)의 사방 가장자리에도 보강 테두리(42)가 용접되어있다.
상기 고정 스틸폼(4) 상단의 양측에는 외측을 향해 상호 대칭상으로 지지부재(43)가 고정 부착되는데, 상기 지지부재(43)들은 고정 스틸폼(4)을 P.C빔(1) 사이에 삽입 설치하였을 때 양쪽의 P.C빔(1)의 상단에 지지될 수 있도록 길게 연장된 상태로 돌출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고정 스틸폼(4)의 양측에는 수평상으로 길게 형성된 조절장공(44)이 상,하 일정간격으로 다수 뚫어져 있다.
다음 상기 좌,우측 조절 스틸폼(5a)(5b) 각각은 상기한 고정 스틸폼(4)을 보조하여 양쪽의 P.C빔(1)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상가 좌,우측 가동스틸폼들은 고정 스틸폼(4)과 조립되는 내측부분에 상,하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조절볼트(51)들이 돌출되게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한 조절볼트(51)의 반대쪽인 외측부분의 상단에는 P.C빔(1)의 어깨부(12)를 수용하는 요입부(52)와 밀착부(5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좌,우측 조절 스틸폼(5a)(5b)들은 고정 스틸폼(4)의 표면쪽에서 상기의 조절볼트(51)들이 고정 스틸폼(4) 양측에 형성된 조절장공(44)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좌,우측 조절 스틸폼(5a)(5b)들은 조절볼트(51)들이 조절장공(44)에서 좌,우로의 이동할 수 있는 범위내에서 좌,우로 이동조절이 가능하므로서 상기한 좌,우측 조절 스틸폼(5a)(5b)을 좌,우로 이동조절하여 양쪽의 P.C빔(1)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조립되는 고정 스틸폼(4)과 좌,우측 조절 스틸폼(5a)(5b)으로 구성되는 크로스빔 구축용 스틸폼(3)은 두개가 크로스빔(14)의 두께와 같은 폭으로대향 설치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대향 설치된 크로스빔 구축용 스틸폼(3)의 상부는 개방된 상태이고, 하부는 볼트로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하게 부착되는 합 스틸폼(6)에 의하여 밀폐되는 것이다.
그리고 교각(2)의 상부(21) 양쪽에 설치된 P.C빔(1)들 상면에는 레일(71)을 가설한 다음 상기 레일(71)을 타고 굴러가는 바퀴(72)가 달린 좌,우측 지지대(73)의 하부에는 상기한 P.C빔(1)들 밑을 가로질는 작업발판(74)이 형성되어 있는 작업대(7)가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설치된 작업대(7)는 P.C빔(1)들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므로 작업자는 상기의 작업대(7)를 이동시키면서 크로스빔 구축용 스틸폼(3)을 조립설치하는 작업과 해체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크로스빔 구축용 스틸폼(3) 설치 및 해체하는데 따른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P.C빔(1)들을 교각(2)의 상부(21)에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한 다음 양쪽의 P.C빔(1) 각 상면에 가설된 레일(71)에 작업대(7)의 바퀴(72)를 얹어 놓게 되면 작업발판(74)은 상기의 P.C빔(1)들 밑에 위치하게 되어 작업자는 상기한 작업대(7)의 작업발판(74)에서 크로스빔(14)을 구축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먼저 P.C빔(1)들 양측 또는 일측에 일정간격으로 돌출되어 있는 다수의 연결용 철근(13)에 수평철근(15)을 연결시키며, 또 수평철근(15)에는 수직철근(16)을 배근한 다음 크로스빔 구축용 스틸폼(3)을 설치한다.
상기 크로스빔 수축용 스틸폼(3)은 먼저 고정 스틸폼(4)을 P.C빔(1) 사이에 삽입하는데, 상기 고정 스틸폼(4)은 그 상단 양측에 고정 부착된 지지부재(43)가양쪽의 P.C빔(1)들 각 상단에 지지될 때까지 삽입한다.(도 5 참조)
상기와 같이 삽입된 고정 스틸폼(4)은 양측의 지지부재(43)가 P.C빔(1) 상단에 지지되게 되므로서 설치상태가 안정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설치된 고정 스틸폼(4) 양측에 상,하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조절장공(44)으로 좌,우측 조절 스틸폼(5a)(5b) 각각에 돌출되어 있는 각 조절볼트(51)가 돌출되게 조립하는데, 이때 상기 조절볼트(51)들이 조절장공(44)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좌,우측 조절 스틸폼(5a)(5b)를 P.C빔(1)족으로 밀어주게 되면 요입부(52)와 밀착부(53)은 P.C빔(1)의 어깨부(12)와 본체(11)에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P.C빔(1)들이 설계에 맞추어 정확한 위치에 설치되지 않게 되므로 양쪽의 P.C빔(1)들 사이에 형성된 간격이 일측은 좁고 반대측은 넓게 형성되어 있더라도 상기한 좌,우측 조절 스틸폼(5a)(5b) 각각은 조절장공(44)에 의하여 정해진 범위내에서 이동조절이 가능한 상태이므로 상기한 좌,우측 조절 스틸폼(5a)(5b)을 양쪽의 P.C빔(1)에 밀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도 6 참조)
상기와 같이 좌,우측 조절 스틸폼(5a)(5b)을 P.C빔(1)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고정 스틸폼(4) 이면측에서 조절볼트(51)에 너트를 나사조임하게 되면 고정 스틸폼(4)과 좌,우측 조절 스틸폼(5a)(5b)들은 일체적으로 부착된 상태가 됨과 동시 좌,우측 조절 스틸폼(5a)(5b)는 양측 P.C빔(1)의 본체(11)와 어깨부(12)에 밀착된 상태로 조립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설치작업으로 두개의 크로스빔 구축용 스틸폼(3)을 서로 마주하게 설치한 다음에는 하부 스틸폼(6)를 볼트조립하여 주면 크로스빔 구축용스틸폼(3)의 조립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조립된 크로스빔 구축용 스틸폼(3)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크로스빔(14)을 구축하는 것이며, 타설된 콘크리트가 완전히 경화하여 크로스빔(14)이 완성되면 크로스빔 구축용 스틸폼(3)을 해체하고 다음 구간으로 이동시켜 재설치하는데, 상기의 크로스빔 구축용 스틸폼(3)의 해체작업은 조립의 역순으로 해체하는데, 이 경우 양측 크로스빔 구축용 스틸폼(3)의 하부에 조립된 합 스틸폼(6)는 양측에 나사조립된 볼트 중 일측의 볼트만 나사풀림하여 해체한 상태에서 양측 크로스빔 구축용 스틸폼(3)을 크로스빔(14)에서 떼어낸 다음 크로스빔 구축용 스틸폼(3) 각각의 양측에 조립되어 있던 좌,우측 조절 스틸폼(5a)(5b)을 P.C빔(1)에서 이격되게 조절한 상태에서 P.C빔(1) 사이에서 상향(또는 하향)으로 빼내어 다음 구간으로 옮겨서 재설치하는 것이다.
한편, 크로스빔 구축용 스틸폼(3)을 재설치하기 위해서는 작업대(7)를 다음 구간으로 이동시켜야 하는데, 상기의 작업대(7)는 양측 P.C빔(1) 상면에 가설된 레일(71)을 타고 이동이 원활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작업대(7)의 이동작업이 용이하여 상기 크로스빔 구축용 스틸폼(3)이 재설치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특징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P.C빔들 사이에 고정 스틸폼을 삽입한 상태에서 좌,우측 조절 스틸폼 각각을 조립함에 있어 상기의 좌,우측 조절 스틸폼을 P.C빔의 본체와 어깨부에 밀착시킨 다음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교각과 교각 위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P.C빔들이 설계에 맞추어 정확한 위치에 설치되지 않고이격간격이 좁거나 넓더라도 크로스빔 구축용 스틸폼을 P.C빔에 밀착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크로스빔 구축용 스틸폼은 해체가 용이하고 다음 구간에 재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작업자는 양측의 P.C빔 상단에 가설된 레일을 타고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작업대를 이용하여 다음 구간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크로스빔 구축용 스틸폼의 재설치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어 크로스빔의 구축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져다주며, 나아가 크로스빔 구축용 스틸폼 자체는 조립식이고 또 철제로 제작되어 있어 조립 및 해체작업시 파손되는 사례가 발생되지 않아 장기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는 실용적이고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3)

  1. 철근콘크리트로 구축된 교각과 교각의 상부에 설치되는 P.C빔을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P.C빔과 P.C빔 사이에 폼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크로스빔을 구축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P.C빔과 P.C빔 사이에 설치되며, 표면은 평탄면으로 형성되고 이면에는 다수의 보강리브가 상,하 다단으로 부착되어 있는 고정 스틸폼과;
    상기 고정 스틸폼의 상단 양측에는 상호 외측을 향해 대칭상으로 돌출되게 고정 부착되어 양쪽의 P.C빔 상단에 지지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고정 스틸폼의 양측에 상,하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조절장공과; 및
    상기 P.C빔의 상단에 형성된 어깨부를 수용하는 요입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장공 각각을 통해 고정 스틸폼의 이면측으로 돌출되는 조절볼트가 형성된 채 상기 고정 스틸폼의 좌,우측을 향해 이동조절이 가능하고 너트로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조립되는 좌,우측 조절 스틸폼;
    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P.C 빔을 연결하는 크로스빔 구축용 스틸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스틸폼을 구축하고자 하는 크로스빔 두께의 폭으로 대향 설치한 다음 상부는 개방시키고 하부는 합 스틸폼로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P.C빔을 연결하는 크로스빔 구축용 스틸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각의 상부 양측에 설치된 양쪽의 P.C빔 각 상단에 레일을 설치한 다음 상기 레일에 이동가능하게 작업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P.C빔을 연결하는 크로스빔 구축용 스틸폼.
KR1019990040603A 1999-09-21 1999-09-21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피.씨빔을 연결하는 크로스빔 구축용 스틸폼 KR100336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603A KR100336713B1 (ko) 1999-09-21 1999-09-21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피.씨빔을 연결하는 크로스빔 구축용 스틸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603A KR100336713B1 (ko) 1999-09-21 1999-09-21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피.씨빔을 연결하는 크로스빔 구축용 스틸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8386A KR20010028386A (ko) 2001-04-06
KR100336713B1 true KR100336713B1 (ko) 2002-05-13

Family

ID=19612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0603A KR100336713B1 (ko) 1999-09-21 1999-09-21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피.씨빔을 연결하는 크로스빔 구축용 스틸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67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0979B1 (ko) * 2002-07-11 2005-07-18 이문일 피씨빔 공법에 적용되는 크로스빔 콘크리트 타설용강재거푸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63511B (zh) * 2021-01-12 2022-08-16 山西省交通科技研发有限公司 一种独柱墩桥梁安全性能提升实施方法
CN112663522B (zh) * 2021-01-12 2022-05-27 山西省交通科技研发有限公司 一种独柱墩桥梁安全风险的化解处治方法
CN112663521B (zh) * 2021-01-12 2022-09-23 山西省交通科技研发有限公司 一种桥梁横向抗倾覆性能提升改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0979B1 (ko) * 2002-07-11 2005-07-18 이문일 피씨빔 공법에 적용되는 크로스빔 콘크리트 타설용강재거푸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8386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2551B1 (ko) 해체가 용이한 슬라브 거푸집 지지바
US20040237437A1 (en) Panel formwork system
KR101711615B1 (ko) 거더용 거푸집
KR100336713B1 (ko) 철근콘크리트 교각의 피.씨빔을 연결하는 크로스빔 구축용 스틸폼
KR100665340B1 (ko) 해체가 용이한 슬라브 시공 데크의 설치 구조
KR20230066338A (ko) 폼워크 시스템 및 방법
KR200260683Y1 (ko) 옹벽시공을 위한 이동식 거푸집
KR100381724B1 (ko) 교각 점검대
JP6910101B1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用型枠装置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型枠工法
EP1304430A2 (en) Casting mould device
US20220220693A1 (en) Modular access cover
CN211691535U (zh) 一种组装式悬挑卸料平台
US8523549B2 (en) System for in-situ making substantially vertical building works
KR200222611Y1 (ko) 피씨빔 공법 또는 스틸 박스 공법에 적용되는 슬라브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KR200253550Y1 (ko)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교각고핑의 유압식 받침구조
KR100895858B1 (ko) 높이와 폭과 길이의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박스타입 가설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가설벤트 시공방법
KR200292762Y1 (ko) 거푸집 설치용 중앙 지지대고정구
KR100429270B1 (ko) 교량의 콘크리트 슬라브시공용 이동식 동바리
KR200333841Y1 (ko) 강재를 이용한 조립식 장대가교 설치구조
JP2691554B2 (ja) 柱のユニット型枠装置
KR100715695B1 (ko) 피씨빔 교량용 슬라브 거푸집장치
KR20050076059A (ko) 교각 시공용 거푸집
KR200340007Y1 (ko) 건축용 거푸집의 유로폼과 갱폼의 체결구조
KR102420436B1 (ko) 모듈형 바체어 구조체 및 그 설치방법
JP7365518B1 (ja) パネル支柱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型枠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