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3496B1 - 안장형 차량 - Google Patents

안장형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3496B1
KR101183496B1 KR1020100011523A KR20100011523A KR101183496B1 KR 101183496 B1 KR101183496 B1 KR 101183496B1 KR 1020100011523 A KR1020100011523 A KR 1020100011523A KR 20100011523 A KR20100011523 A KR 20100011523A KR 101183496 B1 KR101183496 B1 KR 101183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late
pair
width direction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1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4359A (ko
Inventor
히데아키 나카가와
고타로 후지야마
다이스케 구라모치
준이치 사카모토
사토루 이카미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94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4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3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3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5/00Axle suspensions
    • B62K25/04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 B62K25/28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with pivoted chain-stay
    • B62K25/283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with pivoted chain-stay for cycles without a pedal crank, e.g. motorcycles

Abstract

본 발명은 쿠션 지지 부재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쿠션 지지 부재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안장형 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차체 프레임(11)에 일단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스윙 아암(25)과, 스윙 아암(2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후륜(WR)과, 차체 프레임(11)과 스윙 아암(25)에 연결되며, 스윙 아암(25)의 요동에 대하여 감쇠력을 부여하는 쿠션 유닛(51)과, 차체 프레임(11)에 차폭 방향으로 걸쳐지도록 마련되며, 쿠션 유닛(51)의 상단을 지지하는 쿠션 지지 부재(80)를 구비하고, 쿠션 지지 부재(80)의 차폭 방향 중앙부에 쿠션 유닛(51)이 지지되며, 쿠션 지지 부재(80)의 차폭 방향 중앙부가 차량 전후 방향 단면(斷面)에서 하측이 개방되는 コ자형으로 형성되고, 쿠션 지지 부재(80)의 상면 및 하면은, 그 차폭 방향 중앙부가 차폭 방향 단부보다 상방이 되도록, 만곡되어 형성된다.

Description

안장형 차량{SADDLE TYPE VEHICLE}
본 발명은, 안장형 차량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안장형 차량의 후륜 현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안장형 차량으로서, 차체 프레임을 구성하는 크로스 멤버(쿠션 지지 부재)를 단면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크로스 멤버의 반원 내에 리어 쿠션의 상단을 지지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일본특허공개소화제58-020581호공보
그런데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안장형 차량에서는, 크로스 멤버의 반원 내에 리어 쿠션의 상단을 지지하기 때문에, 쿠션 길이를 확보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크로스 멤버가 단면 반원통 형상이기 때문에, 보다 대형인 안장형 차량의 경우에는, 크로스 멤버의 강도 향상과 경량화를 양립시키는 구조가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고려한 것으로, 그 목적은, 쿠션 지지 부재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쿠션 지지 부재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안장형 차량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차폭 방향으로 좌우 한 쌍으로 구성되는 차체 프레임과, 차체 프레임에 일단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스윙 아암과, 스윙 아암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후륜과, 차체 프레임과 스윙 아암에 연결되며, 스윙 아암의 요동에 대하여 감쇠력을 부여하는 쿠션 유닛과, 차체 프레임에 차폭 방향으로 걸쳐지도록 마련되며, 쿠션 유닛의 상단을 지지하는 쿠션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쿠션 지지 부재의 차폭 방향 중앙부에 쿠션 유닛이 지지되는 안장형 차량으로서, 쿠션 지지 부재의 차폭 방향 중앙부가 차량 전후 방향 단면(斷面)에서 하측이 개방되는 コ자형으로 형성되고, 쿠션 지지 부재의 상면 및 하면은, 그 차폭 방향 중앙부가 차폭 방향 단부보다 상방이 되도록, 만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쿠션 지지 부재의 전방에 엔진이 배치되고, 쿠션 지지 부재에 마련되는 엔진 지지부에 의해 엔진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쿠션 지지 부재가 상하 2분할의 맞춤 구조로 구성되고, 엔진 지지부를, 쿠션 지지 부재의 쿠션 지지부를 사이에 두고 좌우 한 쌍으로 마련하며, 엔진 지지부보다 차폭 방향 중앙측의 쿠션 지지 부재의 하면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 또는 3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엔진과 엔진 지지부를 체결하는 엔진 체결부가 쿠션 지지부보다 하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쿠션 지지 부재가, 한 쌍의 판형 부재를 차량 전후 방향으로 이격하도록 배치하여 구성되고, 한 쌍의 판형 부재의 상부에 차량 전후 방향으로 걸쳐지도록 상부 판형 부재가 결합되며, 상부 판형 부재의 차폭 방향 단부에, 차량 상면에서 보아 대략 U자형의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차량 측면에서 보아, 오목부에 의해, 쿠션 유닛과 쿠션 지지 부재를 체결하는 쿠션 체결부가 외방에 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한 쌍의 판형 부재가, 차체 하방측에 긴 변을 취하는 사다리꼴 판형 부재를 통해 차체 프레임에 결합되고, 사다리꼴 판형 부재의 하방측에서의 한 쌍의 판형 부재 및 사다리꼴 판형 부재의 결합부와 사다리꼴 판형 부재 및 차체 프레임의 결합부 사이의 거리가, 사다리꼴 판형 부재의 상방측에서의 한 쌍의 판형 부재 및 사다리꼴 판형 부재의 결합부와 사다리꼴 판형 부재 및 차체 프레임의 결합부 사이의 거리보다 크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쿠션 지지 부재가, 한 쌍의 판형 부재를 차량 전후 방향으로 이격하도록 배치하여 구성되고, 한 쌍의 판형 부재의 상부에 차량 전후 방향으로 걸쳐지도록 상부 판형 부재가 결합되며, 상부 판형 부재의 차폭 방향 단부가 한 쌍의 판형 부재의 하단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안장형 차량에 따르면, 쿠션 지지 부재의 차폭 방향 중앙부가 차량 전후 방향 단면(斷面)에서 하측이 개방되는 コ자형으로 형성되고, 쿠션 지지 부재의 상면 및 하면은, 그 차폭 방향 중앙부가 차폭 방향 단부보다 상방이 되도록, 만곡되어 형성되며, 쿠션 지지 부재의 차폭 방향 중앙부에 쿠션 유닛이 지지되기 때문에, 쿠션 지지 부재에 가해지는 하중을 전단 응력과 인장력으로 받을 수 있으므로, 쿠션 지지 부재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강도 향상에 따른 중량 증가를 억제하여, 쿠션 지지 부재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안장형 차량에 따르면, 쿠션 지지 부재의 전방에 엔진이 배치되고, 쿠션 지지 부재에 마련되는 엔진 지지부에 의해 엔진을 지지하기 때문에, 쿠션 지지 부재에 가해지는 하중을 엔진측에 부담시킬 수 있어, 쿠션 지지 부재의 경량화를 더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안장형 차량에 따르면, 쿠션 지지 부재는 상하 2분할의 맞춤 구조로 구성되고, 엔진 지지부를, 쿠션 지지 부재의 쿠션 지지부를 사이에 두고 좌우 한 쌍으로 마련하며, 엔진 지지부보다 차폭 방향 중앙측의 쿠션 지지 부재의 하면에 개구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쿠션 지지 부재에서의 좌우 한 쌍의 엔진 지지부 사이의 강성을 엔진을 이용하여 향상시킬 수 있어, 쿠션 지지 부재의 경량화를 더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안장형 차량에 따르면, 엔진과 엔진 지지부를 체결하는 엔진 체결부가 쿠션 지지부보다 하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쿠션 유닛의 압축 하중을 엔진 지지부의 인장 하중으로 엔진측에 전달할 수 있어, 엔진 지지부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안장형 차량에 따르면, 쿠션 지지 부재가, 한 쌍의 판형 부재를 차량 전후 방향으로 이격하도록 배치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쿠션 지지 부재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판형 부재의 상부에 차량 전후 방향으로 걸쳐지도록 상부 판형 부재가 결합되고, 상부 판형 부재의 차폭 방향 단부에, 차량 상면에서 보아 대략 U자형의 오목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상부 판형 부재의 차폭 방향 단부의 결합부에 가해지는 응력 집중을 완화할 수 있어, 한 쌍의 판형 부재와 상부 판형 부재의 결합면에 완만한 응력 분포를 부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판형 부재의 대형화를 억제하여, 쿠션 지지 부재의 강도 확보와 경량화를 양립시킬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안장형 차량에 따르면, 차량 측면에서 보아, 오목부에 의해, 쿠션 유닛과 쿠션 지지 부재를 체결하는 쿠션 체결부가 외방에 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량 측방으로부터 쿠션 체결부에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해져, 공구를 쿠션 체결부에 용이하게 액세스시킬 수 있다. 또한, 상하 방향의 체결이 불필요해지므로, 쿠션 지지 부재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체결 부재가 없어지기 때문에, 쿠션 길이를 크게 설정할 수 있어, 차량의 상하 방향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안장형 차량에 따르면, 한 쌍의 판형 부재는, 차체 하방측에 긴 변을 취하는 사다리꼴 판형 부재를 통해 차체 프레임에 결합되기 때문에, 한 쌍의 판형 부재를 차체 프레임에 직접 결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차체 프레임에 대한 결합 길이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체 프레임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차체 프레임측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사다리꼴 판형 부재의 하방측에서의 한 쌍의 판형 부재 및 사다리꼴 판형 부재의 결합부와 사다리꼴 판형 부재 및 차체 프레임의 결합부 사이의 거리가, 사다리꼴 판형 부재의 상방측에서의 한 쌍의 판형 부재 및 사다리꼴 판형 부재의 결합부와 사다리꼴 판형 부재 및 차체 프레임의 결합부 사이의 거리보다 크게 설정되기 때문에, 응력 집중을 회피할 수 있어, 차체 프레임측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안장형 차량에 따르면, 한 쌍의 판형 부재의 상부에 차량 전후 방향으로 걸쳐지도록 상부 판형 부재가 결합되고, 상부 판형 부재의 차폭 방향 단부가 한 쌍의 판형 부재의 하단까지 연장되기 때문에, 상부 판형 부재의 차폭 방향 단부의 결합부에 가해지는 응력 집중을 완화할 수 있어, 한 쌍의 판형 부재와 상부 판형 부재의 결합면에 완만한 응력 분포를 부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판형 부재의 대형화를 억제하여, 쿠션 지지 부재의 강도 확보와 경량화를 양립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장형 차량의 제1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좌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크로스 멤버의 주변의 좌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크로스 멤버의 주변의 상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하는 크로스 멤버의 주변의 하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하는 크로스 멤버의 주변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하는 크로스 멤버의 주변을 상방이면서 좌측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하는 크로스 멤버의 주변을 하방이면서 좌측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장형 차량의 제2 실시형태의 크로스 멤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하는 크로스 멤버의 주변의 하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안장형 차량의 제3 실시형태의 크로스 멤버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좌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하는 크로스 멤버의 주변의 배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하는 크로스 멤버의 주변의 상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에 도시하는 크로스 멤버의 주변의 하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안장형 차량의 각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면은 부호의 방향으로 보는 것으로 하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후, 좌우, 상하는, 운전자가 본 방향에 따라, 도면에 차량의 전방을 Fr, 후방을 Rr, 좌측을 L, 우측을 R, 상방을 U, 하방을 D로서 나타낸다.
(제1 실시형태)
먼저,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장형 차량의 제1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자동 이륜차(안장형 차량)(10)에 있어서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체 프레임(11)이, 전단에 마련되는 헤드 파이프(12)와, 헤드 파이프(12)로부터 후방이면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메인 프레임(13)과, 좌우 한 쌍의 메인 프레임(13)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좌우 한 쌍의 피벗 플레이트(14)와, 좌우 한 쌍의 메인 프레임(13)의 중간부에 연결되며 후방이면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시트 프레임(15)과, 피벗 플레이트(14)에 연결되며 후방이면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그 후단부가 시트 프레임(15)의 후단부와 연결되는 좌우 한 쌍의 서브 프레임(16)과, 헤드 파이프(12)로부터 후방이면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다운 튜브(17)와, 헤드 파이프(12) 주위를 보강하기 위해서, 헤드 파이프(12)의 후방부 및 다운 튜브(17)의 전방부에 결합되는 좌우 한 쌍의 거싯(18; gusset)과, 메인 프레임(13)과 다운 튜브(17) 사이를 연결하는 좌우 한 쌍의 보강 프레임(19, 20)과, 시트 프레임(15)과 서브 프레임(16) 사이를 연결하는 좌우 한 쌍의 보강 프레임(21)과, 좌우 한 쌍의 피벗 플레이트(14)의 상부를 차폭 방향으로 연결하는 쿠션 지지 부재인 크로스 멤버(80)를 포함하고, 메인 프레임(13), 피벗 플레이트(14) 및 다운 튜브(17)에, 엔진(60) 및 엔진(60)의 후방부에 일체적으로 마련되는 변속기(61)가 부착된다.
또한, 자동 이륜차(10)는, 헤드 파이프(12)에 조타 가능하게 지지되는 프론트 포크(23)와, 프론트 포크(23)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전륜(WF)과, 프론트 포크(23)의 상단부에 부착되는 조타용 핸들(24)과, 피벗 플레이트(14)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스윙 아암(25)과, 스윙 아암(25)의 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후륜(WR)과, 스윙 아암(25)의 하부와 피벗 플레이트(14)의 후방 하단부와 크로스 멤버(80) 사이를 요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후륜 현가 장치(50)와, 메인 프레임(13)의 상방에 부착되는 연료 탱크(26)와, 연료 탱크(26)의 후방이며 시트 프레임(15)의 상방에 부착되는 시트(27)를 구비한다.
또한, 도 1 중 도면 부호 31은 헤드 라이트, 도면 부호 32는 프론트 카울(front cowl), 도면 부호 33은 윈드 스크린, 도면 부호 34는 프론트 윙커, 도면 부호 35는 프론트 펜더, 도면 부호 36은 사이드 미러, 도면 부호 37은 사이드 카울, 도면 부호 38은 리어 카울, 도면 부호 39는 그래브 레일(grab rail), 도면 부호 40은 테일라이트, 도면 부호 41은 리어 펜더, 도면 부호 42는 리어 윙커, 도면 부호 43은 ABS 장치이다.
후륜 현가 장치(50)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상단부가 크로스 멤버(80)에 요동 가능하게 부착되는 쿠션 유닛(51)과, 쿠션 유닛(51)의 하단부와 스윙 아암(25)의 하측 중간부를 요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대략 삼각형 형상의 제1 링크(52)와, 제1 링크(52)와 피벗 플레이트(14)의 후방 하단부를 요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링크(53)를 구비한다.
엔진(60)은 단기통 엔진이며,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외각(外殼)은, 주로, 크랭크 케이스(62)와, 크랭크 케이스(62)의 전방 상단부에 부착되는 실린더 블록(63)과, 실린더 블록(63)의 상단부에 부착되는 실린더 헤드(64)와, 실린더 헤드(64)의 상부 개구를 덮는 실린더 헤드 커버(65)와, 크랭크 케이스(62)의 좌측면의 개구를 덮는 ACG(발전기) 커버(66)와, 크랭크 케이스(62)의 우측면의 개구를 덮는 도시하지 않은 클러치 커버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린더 헤드(64)의 후방부에 형성되는 도시하지 않은 흡기 포트에는, 흡기관(71)을 통해 스로틀 보디(72)가 접속되고, 이 스로틀 보디(72)의 상류단에는, 커넥팅 튜브(73)를 통해 에어 클리너 장치(74)가 접속된다. 또한, 실린더 헤드(64)의 전방부에 형성되는 도시하지 않은 배기 포트에는, 배기관(75)을 통해 머플러(76)가 접속된다.
크로스 멤버(80)는, 도 2 내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피벗 플레이트(14)에 차폭 방향으로 걸쳐지도록 마련되고, 차량 전후 방향으로 이격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판형 부재(81)와, 한 쌍의 판형 부재(81)의 상부에서 차량 전후 방향으로 걸쳐지도록 결합되는 상부 판형 부재(82)와, 상부 판형 부재(82)의 하면의 차폭 방향 중앙에 결합되고, 쿠션 유닛(51)의 상단부를 지지하며, 차폭 방향의 단면(斷面)이 대략 역U자 형상인 쿠션 브래킷(83)과, 한 쌍의 판형 부재(81)의 차폭 방향 양단부에 결합되며, 피벗 플레이트(14)의 차폭 방향 내측에 결합되는 사다리꼴 판형 부재(84)를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크로스 멤버(80)는 차체 프레임(11)과는 별개로 마련된다. 또한, 한 쌍의 판형 부재(81)는, 쿠션 유닛(51)의 신축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된다. 또한, 도면의 도면 부호 45는 크로스 멤버이고, 도면 부호 46는 엔진 브래킷이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로스 멤버(80)의 차폭 방향 중앙부가, 차량 전후 방향을 따른 단면에서, 한 쌍의 판형 부재(81) 및 상부 판형 부재(82)에 의해 하측이 개방되는 コ자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한 쌍의 판형 부재(81)의 상면 및 하면은, 그 차폭 방향 중앙부가 차폭 방향 단부보다 상방이 되도록, 만곡되어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판형 부재(82)의 차폭 방향 단부에, 차량 상면 및 측면에서 보아 대략 U자형의 오목부(82a)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차량 측면에서 보아, 쿠션 유닛(51)의 상단부와 크로스 멤버(80)의 쿠션 브래킷(83)을 체결하는 쿠션 체결부인 체결 볼트(85)가 차량 좌측의 오목부(82a)를 통해 외방에 면하고, 또한 이 체결 볼트(85)에 나사 결합하는 도시하지 않은 너트는 차량 우측의 오목부(82a)를 통해 외방에 면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체결 볼트(85) 및 도시하지 않은 너트에 대한 공구의 액세스가 용이해진다.
또한,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쿠션 브래킷(83)에는, 체결 볼트(85)를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83a)이 차폭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다리꼴 판형 부재(84)가, 차체 하방측에 긴 변을 취하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사다리꼴 판형 부재(84)의 하방측에서의 한 쌍의 판형 부재(81) 및 사다리꼴 판형 부재(84)의 결합부(86)와 사다리꼴 판형 부재(84) 및 피벗 플레이트(14)의 결합부(87) 사이의 거리(L1)가, 사다리꼴 판형 부재(84)의 상방측에서의 한 쌍의 판형 부재(81) 및 사다리꼴 판형 부재(84)의 결합부(86)와 사다리꼴 판형 부재(84) 및 피벗 플레이트(14)의 결합부(87) 사이의 거리(L2)보다 크게 설정된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다리꼴 판형 부재(84)의 윗변에는, 상기 체결 볼트(85) 및 도시하지 않은 너트에 대한 공구의 액세스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오목부(84a)가 형성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자동 이륜차(10)에 따르면, 크로스 멤버(80)의 차폭 방향 중앙부가 차량 전후 방향 단면에서 하측이 개방되는 コ자형으로 형성되고, 한 쌍의 판형 부재(81)의 상면 및 하면은, 그 차폭 방향 중앙부가 차폭 방향 단부보다 상방이 되도록, 만곡되어 형성되며, 크로스 멤버(80)의 차폭 방향 중앙부에 쿠션 유닛이 지지되기 때문에, 크로스 멤버(80)에 가해지는 하중을 전단 응력과 인장력으로 받을 수 있으므로, 크로스 멤버(80)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강도 향상에 따른 중량 증가를 억제하여, 크로스 멤버(80)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자동 이륜차(10)에 따르면, 크로스 멤버(80)가, 한 쌍의 판형 부재(81)를 차량 전후 방향으로 이격하도록 배치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크로스 멤버(80)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판형 부재(81)의 상부에 차량 전후 방향으로 걸쳐지도록 상부 판형 부재(82)가 결합되고, 상부 판형 부재(82)의 차폭 방향 단부에, 차량 상면에서 보아 대략 U자형의 오목부(82a)가 형성되기 때문에, 상부 판형 부재(82)의 차폭 방향 단부의 결합부에 가해지는 응력 집중을 완화할 수 있어, 한 쌍의 판형 부재(81)와 상부 판형 부재(82)의 결합면에 완만한 응력 분포를 부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판형 부재(82)의 대형화를 억제하여, 크로스 멤버(80)의 강도 확보와 경량화를 양립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자동 이륜차(10)에 따르면, 차량 측면에서 보아, 상부 판형 부재(82)의 오목부(82a)에 의해, 쿠션 유닛(51)과 크로스 멤버(80)의 쿠션 브래킷(83)을 체결하는 체결 볼트(85)가 외방에 면하기 때문에, 차량 측방으로부터 체결 볼트(85)에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해져, 체결 볼트(85)에의 공구의 액세스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하 방향의 체결이 불필요해지므로, 크로스 멤버(8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체결 부재가 없어지기 때문에, 쿠션 길이를 크게 설정할 수 있어, 차량(10)의 상하 방향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자동 이륜차(10)에 따르면, 한 쌍의 판형 부재(81)는, 차체 하방측에 긴 변을 취하는 사다리꼴 판형 부재(84)를 통해 차체 프레임(11)의 피벗 플레이트(14)에 결합되기 때문에, 한 쌍의 판형 부재(81)를 피벗 플레이트(14)에 직접 결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피벗 플레이트(14)에 대한 결합 길이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벗 플레이트(14)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차체 프레임(11)측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사다리꼴 판형 부재(84)의 하방측에서의 한 쌍의 판형 부재(81) 및 사다리꼴 판형 부재(84)의 결합부(86)와 사다리꼴 판형 부재(84) 및 피벗 플레이트(14)의 결합부(87) 사이의 거리(L1)가, 사다리꼴 판형 부재(84)의 상방측에서의 한 쌍의 판형 부재(81) 및 사다리꼴 판형 부재(84)의 결합부(86)와 사다리꼴 판형 부재(84) 및 피벗 플레이트(14)의 결합부(87) 사이의 거리(L2)보다 크게 설정되기 때문에, 응력 집중을 회피할 수 있어, 차체 프레임(11)측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장형 차량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거나 동등한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화한다.
본 실시형태의 자동 이륜차(10)에서는, 제1 실시형태의 크로스 멤버(80) 대신에 크로스 멤버(쿠션 지지 부재)(90)를 사용한다. 이 크로스 멤버(9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피벗 플레이트(14)에 차폭 방향으로 걸쳐지도록 마련되고, 차량 전후 방향으로 이격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판형 부재(81)와, 한 쌍의 판형 부재(81)의 상부에서 차량 전후 방향으로 걸쳐지도록 결합되는 상부 판형 부재(92)와, 상부 판형 부재(92)의 하면의 차폭 방향 중앙에 결합되고, 쿠션 유닛(51)의 상단부를 지지하며, 단면이 대략 역U자 형상인 쿠션 브래킷(83)과, 한 쌍의 판형 부재(81)의 차폭 방향 양단부에 결합되고, 피벗 플레이트(14)의 차폭 방향 내측에 결합되는 직사각형 판형 부재(94)를 구비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판형 부재(92)의 차폭 방향 단부에 비스듬히 하방을 향하여 굴곡하는 굴곡부(92a)가 마련되고, 이 굴곡부(92a)의 차폭 방향 단부가 한 쌍의 판형 부재(81)의 하단까지 연장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 판형 부재(94)의 상단부에 한 쌍의 판형 부재(81)의 차폭 방향 단부의 상면을 따르는 보강부(94a)가 마련되고, 이 보강부(94a)는, 한 쌍의 판형 부재(81)의 차폭 방향 단부의 상면에 결합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자동 이륜차(10)에 따르면, 상부 판형 부재(92)의 차폭 방향 단부가 한 쌍의 판형 부재(81)의 하단까지 연장되기 때문에, 상부 판형 부재(92)의 차폭 방향 단부의 결합부에 가해지는 응력 집중을 완화할 수 있어, 한 쌍의 판형 부재(81)와 상부 판형 부재(92)의 결합면에 완만한 응력 분포를 부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판형 부재(92)의 대형화를 억제하여, 크로스 멤버(90)의 강도 확보와 경량화를 양립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자동 이륜차(10)에 따르면, 직사각형 판형 부재(94)의 상단부에 마련되는 보강부(94a)가 한 쌍의 판형 부재(81)의 차폭 방향 단부의 상면에 결합되기 때문에, 한 쌍의 판형 부재(81)와 직사각형 판형 부재(94)의 결합을 강고하게 할 수 있어, 크로스 멤버(90)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외의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제3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장형 차량의 제3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거나 동등한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화한다.
본 실시형태의 자동 이륜차(10)에서는, 제1 실시형태의 크로스 멤버(80) 대신에 크로스 멤버(쿠션 지지 부재)(100)를 사용한다. 이 크로스 멤버(10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 2분할의 상측 크로스 멤버(110) 및 하측 크로스 멤버(120)의 맞춤 구조로 구성되어 있고, 상측 크로스 멤버(110) 및 하측 크로스 멤버(120)는 상방으로 만곡된 상하 맞춤부(101)에서 결합되어 있다. 또한, 크로스 멤버(100)의 차폭 방향 양단부는, 측면에서 보아 대략 ロ자형의 연결 부재(102)를 통해 피벗 플레이트(14)의 차폭 방향 내측에 연결된다.
상측 크로스 멤버(110)는,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피벗 플레이트(14)에 차폭 방향으로 걸쳐지도록 마련되는 상부판부(111)와, 상부판부(111)의 전후 양단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전후 한 쌍의 측판부(112)와, 상부판부(111)의 하면의 차폭 방향 중앙부에 부착되고, 쿠션 유닛(51)의 상단부를 지지하며, 단면이 대략 역U자 형상인 쿠션 브래킷(쿠션 지지부)(113)을 구비한다.
하측 크로스 멤버(120)는,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피벗 플레이트(14)에 차폭 방향으로 걸쳐지도록 마련되는 하부판부(121)와, 하부판부(121)의 전후 양단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전후 한 쌍의 측판부(122)와, 하부판부(121)의 차폭 방향 중앙부에 형성되며, 쿠션 유닛(51)의 상단부를 쿠션 브래킷(113)에 삽입시키기 위한 개구부(123)를 구비한다.
쿠션 브래킷(113)은, 도 11 및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 부재를 대략 U자형으로 프레스 성형한 부재이며, 상면부(115) 및 좌우 한 쌍의 측면부(116)를 갖는다. 그리고, 상면부(115)의 상면에는 수나사부(115a)가 세워져 형성되어 있고, 이 수나사부(115a)를 상부판부(111)의 차폭 방향 중앙부에 형성되는 관통 구멍(111a)에 삽입 관통하여, 수나사부(115a)에 브래킷 고정 너트(117)를 나사식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쿠션 브래킷(113)이 크로스 멤버(100)에 체결된다. 또한, 좌우 한 쌍의 측면부(116)에는, 쿠션 체결부인 체결 볼트(85)를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116a)이 차폭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좌측의 측면부(116)의 외측면에는, 관통 구멍(116a)과 연통되고, 체결 볼트(85)를 나사식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너트(116b)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로스 멤버(100)의 차폭 방향 중앙부가, 차량 전후 방향을 따른 단면에서, 상측 및 하측 크로스 멤버(11O, 120)의 상부판부(111), 전후 한 쌍의 측판부(112), 및 전후 한 쌍의 측판부(122)에 의해 하측이 개방되는 コ자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크로스 멤버(100)의 상면인 상부판부(111) 및 하면인 하부판부(121)는, 그 차폭 방향 중앙부가 차폭 방향 단부보다 상방이 되도록, 만곡되어 형성된다.
또한,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로스 멤버(100)의 앞쪽에는, 크로스 멤버(100)의 전방에 배치되는 엔진(60)을 지지하는 엔진 브래킷(엔진 지지부)(103)이 전방이면서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쿠션 브래킷(113)을 사이에 두고 좌우 한 쌍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0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로스 멤버(100)의 앞면에는, 유압 배관 등을 안내하고 측면에서 보아 대략 S자형인 배관 가이드(104)가 좌우 한 쌍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엔진(60)과 좌우 한 쌍의 엔진 브래킷(103)을 체결하는 엔진 체결부인 체결 볼트(105) 및 체결 너트(106)는, 크로스 멤버(100)의 쿠션 브래킷(113)보다 하방에 배치된다.
또한, 도 11 및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로스 멤버(100)의 개구부(123)는, 좌우 한 쌍의 엔진 브래킷(103)보다 차폭 방향 중앙측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크로스 멤버(100)의 강도가 엔진(60)에 의해 보완되기 때문에, 개구부(123)를 크게 할 수 있어, 크로스 멤버(100)의 경량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도 13의 도면 부호 131은 시프트 페달, 도면 부호 132는 브레이크 페달, 도면 부호 133은 메인 스텝, 도면 부호 134는 메인 스텝 홀더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자동 이륜차(10)에 따르면, 크로스 멤버(100)의 차폭 방향 중앙부가 차량 전후 방향 단면에서 하측이 개방되는 コ자형으로 형성되고, 크로스 멤버(100)의 상부판부(111) 및 하부판부(121)가, 그 차폭 방향 중앙부가 차폭 방향 단부보다 상방이 되도록, 만곡되어 형성되며, 크로스 멤버(100)의 차폭 방향 중앙부에 쿠션 유닛(51)이 지지되기 때문에, 크로스 멤버(100)에 가해지는 하중을 전단 응력과 인장력으로 받을 수 있으므로, 크로스 멤버(100)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강도 향상에 따른 중량 증가를 억제하여, 크로스 멤버(100)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자동 이륜차(10)에 따르면, 크로스 멤버(100)의 전방에 엔진(60)이 배치되고, 크로스 멤버(100)에 마련되는 엔진 브래킷(103)에 의해 엔진(60)을 지지하기 때문에, 크로스 멤버(100)에 가해지는 하중을 엔진(60)측에 부담시킬 수 있어, 크로스 멤버(100)의 경량화를 더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자동 이륜차(10)에 따르면, 크로스 멤버(100)가 상하 2분할의 맞춤 구조로 구성되고, 엔진 브래킷(103)을, 크로스 멤버(100)의 쿠션 브래킷(113)을 사이에 두고 좌우 한 쌍으로 마련하며, 엔진 브래킷(103)보다 차폭 방향 중앙측의 크로스 멤버(100)의 하부판부(121)에 개구부(123)를 형성하기 때문에, 크로스 멤버(100)에 있어서의 좌우 한 쌍의 엔진 브래킷(103) 사이의 강성을 엔진(60)을 이용하여 향상시킬 수 있어, 크로스 멤버(100)의 경량화를 더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자동 이륜차(10)에 따르면, 엔진(60)과 좌우 한 쌍의 엔진 브래킷(103)을 체결하는 체결 볼트(105) 및 체결 너트(106)가 쿠션 브래킷(113)보다 하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쿠션 유닛(51)의 압축 하중을 엔진 브래킷(103)의 인장 하중으로 엔진(60)측에 전달할 수 있어, 엔진 브래킷(103)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 외의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예시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자동 이륜차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삼륜차나, 전지형 대응차(ATV: All Terrain Vehicle) 등의 4륜차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도 있다.
10: 자동 이륜차(안장형 차량) 11: 차체 프레임
12: 헤드 파이프 25: 스윙 아암
51: 쿠션 유닛 60: 엔진
80: 크로스 멤버(쿠션 지지 부재) 81: 판형 부재
82: 상부 판형 부재 82a: 오목부
83: 쿠션 브래킷 84: 사다리꼴 판형 부재
85: 체결 볼트(쿠션 체결부) 86: 결합부
87: 결합부 90: 크로스 멤버(쿠션 지지 부재)
92: 상부 판형 부재 94: 직사각형 판형 부재
100: 크로스 멤버(쿠션 지지 부재) 101: 상하 맞춤부
103: 엔진 브래킷(엔진 지지부) 105: 체결 볼트(엔진 체결부)
106: 체결 너트(엔진 체결부) 110: 상측 크로스 멤버
111: 상부판부(쿠션 지지 부재의 상면)
113: 쿠션 브래킷(쿠션 지지부)
120: 하측 크로스 멤버
121: 하부판부(쿠션 지지 부재의 하면)
123: 개구부 WR: 후륜
L1: 결합부들 사이의 거리 L2: 결합부들 사이의 거리

Claims (8)

  1. 차폭 방향으로 좌우 한 쌍으로 구성되는 차체 프레임과,
    상기 차체 프레임에 일단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스윙 아암과,
    상기 스윙 아암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후륜과,
    상기 차체 프레임과 상기 스윙 아암에 연결되며, 상기 스윙 아암의 요동에 대하여 감쇠력을 부여하는 쿠션 유닛과,
    상기 차체 프레임에 차폭 방향으로 걸쳐지도록 마련되며, 상기 쿠션 유닛의 상단을 지지하는 쿠션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쿠션 지지 부재의 차폭 방향 중앙부에 상기 쿠션 유닛이 지지되는 안장형 차량으로서,
    상기 쿠션 지지 부재의 차폭 방향 중앙부가 차량 전후 방향 단면(斷面)에서 하측이 개방되는 コ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쿠션 지지 부재의 상면 및 하면은, 그 차폭 방향 중앙부가 차폭 방향 단부보다 상방이 되도록, 만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쿠션 지지 부재의 전방에 엔진이 배치되고,
    상기 쿠션 지지 부재에는 상기 엔진에 지지되는 엔진 지지부가 더 마련되며, 이 엔진 지지부에 의해 상기 쿠션 지지 부재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고,
    상기 엔진과 상기 엔진 지지부를 체결하는 엔진 체결부가 상기 쿠션 지지부보다 하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형 차량.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지지 부재는 상하 2분할의 맞춤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엔진 지지부를, 상기 쿠션 지지 부재의 쿠션 지지부를 사이에 두고 좌우 한 쌍으로 마련하며,
    상기 엔진 지지부보다 차폭 방향 중앙측의 상기 쿠션 지지 부재의 하면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형 차량.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지지 부재는, 한 쌍의 판형 부재를 차량 전후 방향으로 이격하도록 배치하여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판형 부재의 상부에 차량 전후 방향으로 걸쳐지도록 상부 판형 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상부 판형 부재의 차폭 방향 단부에, 차량 상면에서 보아 U자형의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판형 부재는, 차체 하방측에 긴 변을 취하는 사다리꼴 판형 부재를 통해 상기 차체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사다리꼴 판형 부재의 하방측에서의 상기 한 쌍의 판형 부재 및 상기 사다리꼴 판형 부재의 결합부와 상기 사다리꼴 판형 부재 및 상기 차체 프레임의 결합부 사이의 거리가, 상기 사다리꼴 판형 부재의 상방측에서의 상기 한 쌍의 판형 부재 및 상기 사다리꼴 판형 부재의 결합부와 상기 사다리꼴 판형 부재 및 상기 차체 프레임의 결합부 사이의 거리보다 크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형 차량.
  6. 제5항에 있어서, 차량 측면에서 보아, 상기 오목부에 의해, 상기 쿠션 유닛과 상기 쿠션 지지 부재를 체결하는 쿠션 체결부가 외방에 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형 차량.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지지 부재는, 한 쌍의 판형 부재를 차량 전후 방향으로 이격하도록 배치하여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판형 부재의 상부에 차량 전후 방향으로 걸쳐지도록 상부 판형 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상부 판형 부재의 차폭 방향 단부가 상기 한 쌍의 판형 부재의 하단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장형 차량.
KR1020100011523A 2009-02-18 2010-02-08 안장형 차량 KR1011834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35198 2009-02-18
JP2009035198 2009-02-18
JPJP-P-2009-246558 2009-10-27
JP2009246558A JP5410238B2 (ja) 2009-02-18 2009-10-27 鞍乗型車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4359A KR20100094359A (ko) 2010-08-26
KR101183496B1 true KR101183496B1 (ko) 2012-09-20

Family

ID=42559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1523A KR101183496B1 (ko) 2009-02-18 2010-02-08 안장형 차량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042643B2 (ko)
JP (1) JP5410238B2 (ko)
KR (1) KR101183496B1 (ko)
CN (1) CN101804838B (ko)
BR (1) BRPI10003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43925B2 (en) * 2010-02-23 2013-05-21 Honda Motor Co., Ltd. Motorcycle
JP6134586B2 (ja) 2013-06-06 2017-05-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型車両
WO2015079426A1 (en) * 2013-11-29 2015-06-04 Bombardier Recreational Products Inc. Swing arm for a vehicle
JP6008920B2 (ja) * 2014-09-30 2016-10-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
CN104276211A (zh) * 2014-10-23 2015-01-14 芜湖浩博科技有限公司 一种载重型商用车车梁及其车架
CN107235079B (zh) * 2017-06-23 2020-08-04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副车架的减震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1875A (ja) 2001-07-03 2003-01-15 Hond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のリヤサスペンション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7313A (en) * 1973-12-17 1975-11-04 Bultaco Compania Espanola Espa Motorcycle suspension system
US4621706A (en) * 1981-06-01 1986-11-11 Performance Industries, Inc. Motorcycle drive wheel suspension system
US4408674A (en) * 1981-06-01 1983-10-11 Performance Industries, Inc. Motorcycle drive wheel suspension system
JPS5820581A (ja) * 1981-07-24 1983-02-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フレ−ム構造
US4735277A (en) * 1985-03-06 1988-04-05 Prince Curtis L Motorcycle drive wheel suspension system
JPH0173482U (ko) * 1987-11-06 1989-05-17
JP2732065B2 (ja) * 1988-05-11 1998-03-25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2輪スクータ型車両
JPH0214993A (ja) * 1989-05-16 1990-01-18 Yamaha Motor Co Ltd 自動二輸車の緩衝器支持構造
JP4153069B2 (ja) * 1997-12-24 2008-09-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クータ型車両のリヤクッションユニット取付構造
JP4067661B2 (ja) * 1998-09-11 2008-03-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車体フレーム構造
US6679647B2 (en) * 2002-01-23 2004-01-20 Palmer Hargrave, Inc. Quick-connect fastener for electrical fixtures
CN1762757A (zh) * 2004-10-18 2006-04-26 雅马哈发动机株式会社 车架以及具有该车架的摩托车
JP4814601B2 (ja) * 2005-09-29 2011-11-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1875A (ja) 2001-07-03 2003-01-15 Hond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のリヤサスペンション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04838A (zh) 2010-08-18
US20100207345A1 (en) 2010-08-19
KR20100094359A (ko) 2010-08-26
BRPI1000316B1 (pt) 2019-05-28
CN101804838B (zh) 2012-10-10
US8042643B2 (en) 2011-10-25
JP5410238B2 (ja) 2014-02-05
JP2010215218A (ja) 2010-09-30
BRPI1000316A2 (pt) 2011-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73181B2 (ja) 自動二輪車
KR101183496B1 (ko) 안장형 차량
US8851557B2 (en) Saddle-ride type vehicle
US7849947B2 (en) Motorcycle frame structure
JP5728352B2 (ja) 鞍乗り型車両
US7845451B2 (en) Motorcycle frame structure
JP5816715B2 (ja) 鞍乗り型車両
WO2012008394A1 (ja) 鞍乗り型車両
JP6910161B2 (ja) 鞍乗り型車両の車体フレーム構造
JP2014177242A (ja) 鞍乗型車両
US8196989B2 (en) Seat cowl structure of saddle-riding type vehicle
JP5946283B2 (ja) 自動二輪車
JP5401341B2 (ja) 鞍乗り型車両
JP5442132B2 (ja) 自動二輪車
US8746390B2 (en) Body frame of straddle-type vehicle
WO2018179795A1 (ja) 鞍乗り型車両の車体構造
JP7296518B2 (ja) 鞍乗り型車両
JP2009281375A (ja) 自動二輪車
WO2010038586A1 (ja) 自動二輪車のエンジン懸架構造
JP7454532B2 (ja) 鞍乗型車両
JP2011255828A (ja) 自動二輪車の燃料タンク構造および自動二輪車の燃料タンクの取り付け方法
JP2013100053A (ja) 鞍乗型車両の燃料フィルタ配置構造
JP7324814B2 (ja) 鞍乗り型車両
JP6766111B2 (ja) 鞍乗型車両
JP3748470B2 (ja) 自動2輪車のリヤフェンダ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