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9527B1 - 애드혹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wi-fi 프로텍티드 셋업을 위한 통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애드혹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wi-fi 프로텍티드 셋업을 위한 통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9527B1
KR101179527B1 KR1020117013697A KR20117013697A KR101179527B1 KR 101179527 B1 KR101179527 B1 KR 101179527B1 KR 1020117013697 A KR1020117013697 A KR 1020117013697A KR 20117013697 A KR20117013697 A KR 20117013697A KR 101179527 B1 KR101179527 B1 KR 101179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providing
signal
information
bea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3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7323A (ko
Inventor
마사노리 나카하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87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7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9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9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5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from a mobile camera, e.g. for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호에 포함된 통신 파라미터들을 제공하는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 장치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취득 수단과, 다른 통신장치로부터의 탐색 신호에 대해 다른 통신장치로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포함하며, 송신 수단은 취득 수단에 의해 요구된 제공 장치의 식별 정보가 부가된 응답 신호를 송신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공 장치 이외의 통신장치가 탐색 신호에 대해 응답한다 할지라도, 통신 파라미터를 제공하는 제공 장치를 용이하게 발견할 수 있다.

Description

애드혹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WI-FI 프로텍티드 셋업을 위한 통신 장치 및 방법{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WI-FI PROTECTED SETUP IN ADHOC NETWORK}
본 발명은 통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도청 등의 행위가 유저의 지식없이 행해질 가능성이 유선통신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비교적 높기 때문에, 인증이나 암호 등의 시큐리티(security) 기능이 중요해지고 있다.
IEEE 802.11 표준에 의거한 무선 LAN 통신에서는, SSID(네트워크 식별자), 주파수 채널, 인증 방식, 암호 방식, 암호 키 등의 통신 파라미터를 설정함으로써, 시큐리티를 확보하고 있다(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5-223745호).
이러한 통신 파라미터의 설정은, 매우 전문적인 처리이므로, 용이하게 일반 유저가 행하는 것이 어렵다. 그 때문에, IEEE 802.11 표준에 의거한 무선 LAN 통신에서는, 다양한 기업이 쉽게 그러한 초기 설정을 행하게 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또한, 그러한 설정을 함께 묶는 표준, WPS(Wi-Fi Protected Setup)도 발표되었다.
WPS에 있어서는, 통신 파라미터를 제공하는 실체를 "레지스트라(registrar)"라고 부르고, 레지스트라로부터 통신 파라미터의 제공을 받아 설정을 행하는 실체를 "엔롤리(enrollee)"라고 부른다. 엑세스 포인트가 레지스트라로서 기능해도 되고, 혹은 레지스트라로서 기능하는, 엑세스 포인트에 접속된, 엑세스 포인트와는 다른 기기가 있어도 된다. WPS에 있어서는, 레지스트라 기기와 엔롤리 기기와의 사이의 통신 파라미터의 설정 방법이 2개 있다. 이들 방법 중 하나는, 레지스트라 기기 혹은 엑세스 포인트와 엔롤리 기기 양쪽에 대해서 같은 8자리 숫자(PIN)를 입력하는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방법이다. 이들 방법 중 다른 하나는, 레지스트라 기기와 엔롤리 기기 양쪽의 설정 버튼을 일정 기간 내에 누르는 PBC(Push-Button Configuration) 방법이다.
그러나, 각 회사의 간단한 설정 방식, WPS 등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통신은, 엑세스 포인트를 통한, 인프라스트럭처(infrastructure) 모드에서 행해지며, 애드혹 모드에 대해서는 충분한 사양이 존재하지 않는다. 지금은, 무선 LAN의 이용 형태로서는, 엑세스 포인트를 통한 인프라 모드가 대부분을 차지하지만, 장래에는 게임, 카메라 등의 포터블(portable) 기기에 무선 LAN 기능이 포함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기기에서는, 고정되어 있는 엑세스 포인트가 없어도, 기기끼리 자유롭게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애드혹 모드의 이용 형태가 증가하는 것이 예상된다.
애드혹 모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인프라스트럭처 모드를 사용하는 경우와 같이, 안전한 통신로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예를 들면, 안전한 통신로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특히 애드혹 모드를 이용하는 기기는 유저 인터페이스(UI)를 제한하는 것이 많아, PIN 등을 입력하는 것이 성가실 수 있다. 이 때문에, PBC 방법은 설정방법으로서 중요하게 생각될 수 있다.
그러나,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에 의해 규정되는 WPS를 애드혹 모드에 적용하려고 했을 때, 애드혹 모드 특유의 성질로부터 몇 개의 기술적인 과제가 존재한다.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에 있어서는, 엑세스 포인트가 통지 신호인 비콘(beacon)을 송신한다. 또, 엑세스 포인트는 네트워크 탐색 요구인 프로브(probe) 요구에 대하여 응답을 리턴한다.
비콘 혹은 프로브 요구에 대한 응답에 대해서는, WPS에 관련된 중요한 파라미터가 존재한다. 통신 파라미터를 교환하는 방법으로서, PIN 방법을 선택할지 혹은 PBC 방법을 선택할지는 그러한 파라미터의 일례로서 주어질 수 있다.
그렇지만, 애드혹 모드에 있어서는, 비콘을 송신하는 단말이 하나의 특정 단말에 한정되지 않는다.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기기 중 1대의 기기에 의해 어떤 확률에 의거한 알고리즘을 이용해서 비콘을 송신한다. 즉, 2대의 단말이 있는 경우에는, 각각 50%의 확립으로 비콘을 이들 단말 중 어느 하나로부터 송신하게 된다. 또한, 애드혹 모드에서는, 프로브 요구에 대한 응답은, 비콘을 송신한 기기에 의해 행해지도록 설정된다.
그러나, 애드혹 모드에서는, 레지스트라 기기가 반드시 비콘을 송신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레지스트라 기기는 어느 기기가 다음에 비콘을 송신할는지를 알지 못한다. 그 때문에, 레지스트라 기기의 의향을 다음 기기에 확실하게 통지할 수 없다. 레지스트라 기기 자체가 비콘을 송신할 때에 단지 레지스트라 기기의 의향을 통지할 수 있다. 이 방법에서는, 새롭게 네트워크에 참가한 기기는 레지스트라 기기 자체가 비콘을 송신하지 않았다면, 레지스트라 기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제공 장치 이외의 통신장치가 탐색 신호에 대해 응답한다 할지라도, 통신 파라미터를 제공하는 제공 장치를 용이하게 탐색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의하면, 신호에 포함된 통신 파라미터들을 제공하는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 장치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취득 수단; 다른 통신장치로부터의 탐색 신호에 대해 상기 다른 통신장치로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하는 통신수단이 제공되며, 상기 송신 수단은 취득 수단에 의해 요구된 상기 제공 장치의 식별 정보가 부가된 응답 신호를 송신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의하면, 신호에 포함된 통신 파라미터들을 제공하는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 장치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고; 다른 통신장치로부터의 탐색 신호에 대해 상기 다른 통신장치로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장치의 통신방법이 제공되며, 요구된 상기 제공 장치의 식별 정보가 응답 신호에 부가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의하면, 통신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통신장치에게 하기의 단계들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가 제공되는데, 상기 단계들은, 신호에 포함된 통신 파라미터들을 제공하는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 장치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다른 통신장치로부터의 탐색 신호에 대해 상기 다른 통신장치로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가 제공되며, 요구된 상기 제공 장치의 식별 정보가 응답 신호에 부가된다.
본 발명의 그 외의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밝혀질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공 장치 이외의 통신장치가 탐색 신호에 대해 응답한다 할지라도, 통신 파라미터를 제공하는 제공 장치를 용이하게 발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101 및 102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 103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프린터 103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101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102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프린터 103 및 카메라 101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퀀스 차트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102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 103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101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다른 카메라 102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다른 시퀀스 차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에 설명된 구성소자, 수치 표현 및 수치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 유념해야 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무선통신을 통해서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있어서, 디지털 카메라 101 및 102는, 무선통신기능을 탑재하고 있고, 적절한 설정을 실행하면 무선통신수단을 사용하여 디지털 카메라끼리 또는 프린터(103)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기지국을 이용하지 않고 단말끼리가 직접 통신하는 통신 모드를 "애드혹(ad-hoc)" 모드라고 부른다. 또한, 본 실시예는, WPS(Wi-Fi Protected Setup)을 애드혹 모드에 적용하는 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편의상, IEEE 802.11 표준에 의해 규정되는 각종 통신 파라미터(네트워크 식별자인 SSID, 주파수 채널, 인증 방식, 암호방식, 암호 키 등)을 다른 기기에 제공하고, 이들 파라미터를 관리하는 기기를 "레지스트라(registrar)" 기기라고 한다. 또한, 레지스트라 기기에 의해 통신 파라미터가 제공되고, 그것에 의거해서 설정을 행하는 기기를 "엔롤리(enrollee)" 기기라고 한다. 또한, SSID는, "Service Set Identifier"의 약자이다.
도 2는, 디지털 카메라의 기능 블럭도를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디지털 카메라 101과 디지털 카메라 102는 같은 기능 블록을 갖는다고 가정한다.
조작부(210)는, 시스템 콘트롤러(211)를 거쳐서 CPU(215)에 접속되고, 디지털 카메라의 셔터 스위치나 각종 조작 키를 갖는다. 촬상부(202)는, 셔터 스위치가 눌러졌을 때에 화상을 촬영하는 블록이며, 촬영된 화상은 촬상처리부(203)에 의해 처리된다. 표시부(206)는, LCD 표시, LED 표시, 음성표시 등을 이용해서 유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블록이며, 표시처리부(207)에 의해 그 표시 내용의 제어 처리가 행해진다. 또, 표시부(206)에 표시된 것 중에서 정보를 선택하는 등의 조작은 조작부(210)를 이용해서 행해진다. 즉, 표시부(206)와 조작부(210)로부터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성된다. 메모리 카드 I/F(208)는, 메모리 카드(209)를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다. USB I/F(212)는, 외부기기를 USB을 통해서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다. 오디오 I/F(214)는, 음성신호를 외부기기에/로부터 전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다.
이러한 블럭도에 표시되는 기능 부분은, CPU(215)의 제어 하에 처리되고; CPU(215)에 의해 제어되는 프로그램은, ROM(216) 혹은 플래쉬 ROM(213)에 기억된다. CPU(215)에 의해 처리되는 데이터는 RAM(217) 혹은 플래쉬 ROM(213)에 기록/로드(load)된다.
무선통신 콘트롤러(204)는 무선통신을 행하는 블록이며, RF부(205)는, 다른 무선통신 기기와의 사이에서 무선신호의 송수신을 행한다. RF부(205)와 무선통신 콘트롤러(204)는, 하나의 블록을 이용해서 실현되는 경우도 있지만, 여기에서는 분리해서 나타냈다. 무선통신 콘트롤러(204)의 기능에는 무선 통신의 표준이 되는 패킷 프레이밍(packet framing), 데이터에 대한 응답 처리, 데이터의 암호/복호처리 등이 포함되어 있다. 무선통신 콘트롤러(204)와 RF부(205)를 동작시키는 프로그램은 보통 ROM(216)에 위치되어, CPU(215)에 의해 실행된다. 플래쉬 ROM(213)은 비휘발성의 기억영역이며, 여기에서는 무선통신의 설정 정보 등을 기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무선통신 콘트롤러(204)와 RF부(205)를 이용해서 IEEE 802.11 표준에 대표되는 무선 LAN 통신을 행한다.
애드혹 모드에 있어서의 비콘의 송신의 제어는 RF부(205)와 무선통신 콘트롤러(204)에 의해 행해진다. 비콘 신호는, 통지 신호의 일종이며, 네트워크에 브로드캐스트된다. 비콘 콘텐션 윈도우(beacon contention window)라고 불리는 범위(0~CWmax) 내에서 난수(random number)를 결정하고, 그 난수값을 일정한 간격으로 감소시키며, 그 값이 0에 도달하는 시점에서 비콘을 송신한다. 일부 비콘 콘텐션 윈도우는 CPU(215)에 의해 동작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변경될 수 있지만, 다른 것들은 무선통신 콘트롤러(204)에 의해 설정된 고정된 값을 갖는다. 비콘에 부가하는 정보는, CPU(215)에 의해 동작하는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설정에 의해, 무선통신 콘트롤러(204)에 의해 실제로 송신된 프레임에 저장되어 RF부(205)를 거쳐서 송신된다. 마찬가지로, CPU(215)에 의해 동작하는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설정에 의해 부가된 정보를 삭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프린터(103)의 기능 블록을 나타낸다. 조작부(310)는, 시스템 콘트롤러(311)를 거쳐서 CPU(315)에 접속되어 있다. 프린트 엔진(302)은, 실제로 용지 위에 화상을 프린트하는 기능 블록이며, 프린트하는 화상은 프린트 처리부(303)에 의해 처리된다. 표시부(306)는, LCD 표시, LED 표시, 음성표시 등을 이용해서, 유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블록이며, 그것에 의해 표시된 상세한 내용은 표시 처리부(307)에 의해 처리된다. 표시부(306)에 표시된 것 중에서 정보를 선택하는 등의 조작은 조작부(310)를 거쳐서 행해진다. 메모리 카드 I/F(308)는, 메모리 카드(309)를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다. USB I/F(312)는, 외부기기를 USB을 통해서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다. 페럴(parallel) I/F(314)는, 외부기기를 병렬 접속을 통해서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이러한 블럭도에 표시되는 기능 부분은, CPU(315)의 제어 하에 처리되고, CPU에 의해 제어되는 프로그램은, ROM(316) 또는, 플래쉬 ROM(313)에 기억된다. CPU(315)에 의해 처리되는 데이터는, RAM(317) 또는 플래쉬 ROM(313)에 기록 및 로드된다.
무선통신 콘트롤러(304)는 무선통신을 행하는 블록이며, RF부(305)는, 다른 무선통신 기기와의 사이에서 무선신호의 송수신을 행한다. RF부(305)와 무선통신 콘트롤러(304)는 하나의 블록을 이용해서 실현되는 경우도 있지만, 여기에서는 분리해서 나타냈다. 무선통신 콘트롤러(304)의 기능에는 무선 통신의 규격이 되는 패킷 프레이밍, 데이터에 대한 응답 처리, 데이터의 암호 및 복호처리 등이 포함되어 있다. 무선통신 콘트롤러(304)와 RF부(305)를 애플리케이션의 지시에 따라 동작시키는 프로그램은 보통 ROM(316)에 위치되어, CPU(315)에 의해 동작한다. 플래쉬 ROM(313)은 비휘발성의 기억영역이며, 여기에서는 무선통신의 설정 정보 등을 기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무선통신 콘트롤러(304)와 RF부(305)를 이용해서 IEEE 802.11 표준에 대표되는 무선 LAN 통신을 행한다.
애드혹 모드에 있어서의 비콘의 송신의 제어는 RF부(305) 및 무선통신 콘트롤러(304)에 의해 행해진다. 비콘 콘텐션 윈도우라고 불리는 범위(0~CWmax) 내에서 난수를 결정하고, 그 난수값을 일정한 간격으로 감소시키며, 그 값이 0이 되는 시점에서 비콘을 송신한다. 일부 비콘 콘텐션 윈도우는 CPU(315)상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변경될 수 있지만, 다른 것들은 무선통신 콘트롤러(304)에 의해 설정된 고정값을 갖는다. 비콘에 부가하는 정보는, CPU(315)상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설정에 의해, 무선통신 콘트롤러(304)에 의해 실제로 송신되는 프레임에 기억되어 RF부(305)를 거쳐서 송신된다. 마찬가지로, CPU(315)상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설정에 의해 부가된 정보를 삭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디지털 카메라 101 및 102와 프린터(103)의 각각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했다. RF부에는 안테나가 설치되지만, 기기로부터 외부로 안테나가 돌출하는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 휴대성이 중요한 팩터(factor)이기 때문에, 안테나는 외부로 돌출하는 것이 아니라, 카메라에 내장 혹은 카메라의 표면 상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린터(103)가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통신 파라미터의 제공자(즉, 레지스트라 기기)가 된다고 가정한다. 또한, 카메라 101은, 이미 통신 파라미터를 취득해서 원하는 설정을 완료함으로써, 프린터(103)와 무선 통신을 행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그렇지만, 카메라 102는, 파라미터 제공자로부터 새롭게 통신 파라미터를 취득하려고 한다. 즉, 카메라 102는, 엔롤리 기기로서 기능한다.
프린터(103)와 카메라 102는, 거의 동시에 각 기기에서 버튼을 누름으로써 동일한 통신 파라미터를 공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이것은 WPS의 PBC방법에 대응).
우선, 프린터(103)의 동작을 도 4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4의 동작은, ROM(316) 또는 플래쉬 ROM(313)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CPU(315)가 실행하고, 프린터(103)의 각 구성소자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프린터(103)는, 카메라 101과 어떤 특정 알고리즘에 따라 비콘을 교환한다. 이 알고리즘에 따라, 프린터(103)가 비콘 송신기의 역할을 하여 비콘을 송신하고, 카메라 101가 비콘 송신기의 역할을 하여 비콘을 송신한다. 따라서, 프린터(103)와 카메라 101가 서로 비콘을 송신하면서 네트워크를 구성할 때는, 한 대의 기기만이 비콘을 송신하는 경우, 랜덤하게 비콘을 기기들 사이에서 송신할 경우 등, 다양한 송신 상황이 있다. 본 실시예는, 그러한 상황에도 적용가능하다.
우선, CPU(315)는, 유저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프린터(103)를 통신 파라미터 제공자(레지스트라)로서 설정한다(S401). 본 실시예에서는 모든 기기는 통신 파라미터 제공자가 될 수 있지만, 기기들은 디폴트로서의 통신 파라미터 취득자로서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유저 사이의 합의에 의해 레지스트라를 선정하고, 유저가 조작부(310)를 거쳐서 지시 및 설정을 행하는 것으로 했다. 이것은 특히 본 실시예를 제약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레지스트라를 결정하는 절차는 수동 절차여도 되고, 또는 레지스트라를 자동으로 결정하는 메커니즘을 고안해도 된다.
다음에, 프린터(103)의 CPU(315)는, 유저가 통신 파라미터 교환을 위한 조작부(310)의 버튼 조작을 검출하면(S402), 부가 정보로서 레지스트라 정보를 비콘에 부가해서, 이 비콘을 송신한다(S403). 통신 파라미터 교환을 위한 버튼 조작은, 표시부(306)에 표시된 메뉴를 변경하면서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는 등 복수의 조작의 결과로서 표시된 소프트웨어 버튼을 이용해서 행해져도 된다.
레지스트라 정보는, 현재 파라미터 제공 서비스가 실행 중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 PBC 방법을 이용해서 행해진 인증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이 정보는 비콘에 특정의 포맷으로 저장된다. 또한, 레지스트라 정보는, WPS에서 규정하고 있는 WPSIE(WPS Information Element)와 같은 내용뿐 아니라, 레지스트라의 목적지를 나타내는 MAC 어드레스(식별 정보)를 갖는 정보도 포함한다. 따라서, 레지스트라 기기로서 기능하는 프린터(103)가 비콘을 송신했을 경우에는, 이 비콘은 프린터(103)의 MAC 어드레스를 포함한다.
또한, 본 설명에 있어서의 동작은 애드혹 모드에서 행해지고 있으므로, 비콘의 송신은, 프린터(103)가 비콘 송신기의 역할을 했을 경우에 행해진다.
PBC 방법으로 통신 파라미터를 제공하는 기간은, 안전성을 고려하여, 파라미터 제공 서비스를 시작하고 나서 시작하는 특정 기간(설정 기간)이 되고; 이 기간 동안, 프린터(103)는 레지스트라 정보를 비콘에 부가해서 비콘을 송신한다(S404). 이 기간이 종료하면, CPU(315)는, 송신하는 비콘으로부터 레지스트라 정보를 삭제한다(S405).
CPU(315)는, 설정 기간이 종료할 때까지, 엔롤리 기기에 의해 파라미터 취득의 요구가 보내져 오고 있는지 여부를 감시한다(S406). CPU(315)는, 엔롤리 기기로부터의 파라미터 취득의 요구를 수신하면, 상기 요구를 송신한 엔롤리 기기에 자신이 관리하는 통신 파라미터를 제공한다(S407).
통신 파라미터의 제공이 종료하면, 처리는 S403로 되돌아가고, 설정 기간이 종료할 때까지 다른 엔롤리 기기에 통신 파라미터를 제공하는 처리를 행한다. 또한, 본 설명에서는, 설정 기간이 종료할 때까지 다른 엔롤리 기기에 통신 파라미터를 제공하는 처리를 행하지만, 엔롤리 기기에 통신 파라미터를 제공했다면, 처리를 종료해도 된다는 점에 유념해야 한다. 이렇게 하면, 의도하지 않는 기기에 통신 파라미터를 제공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이미 프린터(103)와 통신 파라미터를 교환한(즉, 이미 통신 파라미터를 제공한) 카메라 101의 동작을 도 5의 플로차트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5의 동작은, ROM(216) 또는 플래쉬 ROM(213)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CPU(215)가 실행하고, 카메라 101의 각 구성소자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카메라 101의 CPU(215)는, 프린터(103)로부터 송신된 비콘을 감시하고, CPU(215)는 프린터(103)로부터의 비콘을 수신하면, 이전에 프린터(103)로부터 수신한 비콘의 내용에 대해서 현재 비콘의 내용이 변경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501). 또한, 카메라 101은, 프린터(103)로부터의 비콘을 현재 감시하고 있더라도, 카메라 101이 비콘 송신기의 역할을 하여 비콘을 송신한다. 수신한 비콘 내의 정보에 변화가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기 위해서, 카메라 101의 CPU(215)는, 비콘을 수신하면, 비콘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RAM(217)에 기억해 둔다. 이 정보 내에는, 비콘을 송신한 기기의 어드레스 정보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CPU(215)는 같은 어드레스를 갖는 기기로부터의 비콘의 내용을 비교해서, 같은 기기로부터의 비콘 정보가 변화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501).
이 판단의 결과, 비콘 정보에 변화가 있었을 경우에는, 비콘에 레지스트라 정보가 부가된 변화인지, 비콘으로부터 삭제된 변화인지를 판단한다(S502, S505).
레지스트라 정보가 부가된 경우에는, CPU(215)는, 그 내용을 확인하고, WPSIE와 통신 파라미터 제공자의 MAC 어드레스가 있다는 것을 확인한다(S503). 카메라 101가 송신하는 비콘에, 수신한 레지스트라 정보(프린터(103)가 부가한 WPSIE와 프린터(103)의 MAC 어드레스)(S504)를 부가한다. 카메라 101가 비콘 송신기의 역할을 할 때에는, 수신한 레지스트라 정보(프린터(103)가 부가한 WPSIE와 MAC 어드레스)을 부가한 비콘을 송신한다. 이렇게 이미 레지스트라 기기가 존재하고 있는 네트워크와 동일한 통신 파라미터를 공유하고, 같은 네트워크를 이용해서 통신 가능한 기기는, 레지스트라 기기로부터 수신한 레지스트라 정보를 자신의 비콘에 부가해서 그 비콘을 송신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이 비콘(레지스트라 이외의 기기로부터의 비콘)을 수신한 기기(엔롤리)는, 레지스트라 기기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레지스트라 기기가 항상 비콘을 송신한다고는 할 수 없는 애드혹 모드에 있어서도, 레지스트라 기기의 의향(즉, 레지스트라 정보)을 다른 기기에 효율적으로 통지할 수 있다.
수신한 비콘 정보의 변화가, 레지스트라 정보가 삭제된 변화인 경우에는(S505), 카메라 101가 송신한 비콘으로부터, 레지스트라 정보가 삭제된다 (S506). 따라서, 이후에는, 카메라 101가 송신한 비콘으로부터, 레지스트라 정보가 삭제된다.
프린터(103)에 의해 통신 파라미터가 제공되는 기간은, 특정의 시간 한정 후에 종료한다. 그 때문에, 프린터(103)가 송신한 비콘에 부가된 레지스트라 정보는 이 기간이 종료하면 삭제된다. 프린터(103)가 송신한 비콘으로부터 레지스트라 정보가 삭제되면, 카메라 101가 송신한 비콘으로부터 레지스트라 정보가 삭제된다. 따라서, 레지스트라 기기가 파라미터 제공 서비스를 이미 정지했다고 하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레지스트라 기기 이외의 기기에 의해 레지스트라 기기에 관한 정보가 어나운스(announce)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파라미터 제공 서비스 기간 외의 시큐리티(security)도 향상 가능하다.
다음에, 프린터(103)와 카메라 101가 탐색 요구(프로브 요구, 탐색 신호)를 수신했을 때 행해지는 동작에 대해서 도 7의 플로차트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7의 동작은, 도 4 및 도 5의 동작과 병행되어서 행해진다는 점에 유념한다. 또한, 프린터(103)가 도 7에 나타내는 동작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이 동작은, ROM(316) 또는 플래쉬 ROM(313)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CPU(315)가 실행하고, 이 프린터(103)의 각 구성소자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그러나, 카메라 101가 도 7에 나타낸 동작을 실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 동작은, ROM(216) 또는 플래쉬 ROM(213)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CPU(215)가 실행하고, 이 카메라 101의 각 구성소자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CPU 215 혹은 315는, 네트워크 탐색 요구를 수신하면(S701), 탐색 요구에 응답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702). 애드혹 모드에서는, 탐색 요구의 수신 직전에 비콘을 송신한 기기가, 탐색 요구에 응답하는 것이 정해져 있다. 따라서, CPU 215 혹은 315는 그 기기가 탐색 요구를 수신하기 직전에 비콘을 송신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그 기기가 수신 직전에 비콘을 송신한 기기인 경우에는, 그 기기가 탐색 요구에 응답하는 기기(응답 기기)라고 판단한다(S702). 다른 기기가 탐색 요구의 수신 직전에 비콘을 송신했고, 그 자신의 기기가 비콘을 송신하지 않았으면(S702), CPU 215 혹은 315는 탐색 요구에는 응답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CPU 215 혹은 315는, 그 기기가 응답 기기라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그 기기가 파라미터 제공 서비스 중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703). CPU 315는, S402에 있어서 버튼 조작이 검출되어 기기가 파라미터 제공 서비스 중인 상태로 이동했으면, 파라미터 제공 서비스 중이라고 판단한다. 한편, CPU 215는, S501에 있어서 수신한 비콘 정보에 변화가 있고, 또 이 변화가, 수신한 비콘에 레지스트라 정보가 부가되어 있었던 변화인 경우에는, 파라미터 제공 서비스 중이라고 판단한다. 즉, CPU(215)는, 비콘을 송신한 기기(레지스트라 기기)가 파라미터 제공 서비스 중이며, CPU(215) 자신의 기기가 레지스트라 기기로부터의 레지스트라 정보를 비콘에 부가해서 그 비콘을 송신하는 경우에는, 파라미터 제공 서비스 중이라고 판단한다.
CPU 215 혹은 315는, 파라미터 제공 서비스 중이라고 판단하면, CPU 215 혹은 315는, 탐색 요구에 응답해서 레지스트라 정보(WPSIE와 통신 파라미터 제공자의 MAC 어드레스)를 부가하고, 그 응답을 송신한다(S704). 그렇지만, CPU 215 혹은 315가, 파라미터 제공 서비스 중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CPU 215 혹은 315는 탐색 요구에 대한 응답에, 레지스트라 정보(WPSIE와 통신 파라미터 제공자의 MAC 어드레스)를 부가하지 않고 이 탐색 요구에 대한 응답을 송신한다(S705). CPU 215 혹은 315는, 탐색 요구에 대한 응답을, 탐색 요구를 송신한 기기에 유니캐스트(unicast)를 통해서 송신한다.
다음에, 통신 파라미터를 취득하고자 했을 때 카메라 102가 수행하는 동작을, 도 6에 나타낸 플로차트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6의 동작은, ROM(216) 또는 플래쉬 ROM(213)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CPU(215)가 실행하고, 카메라 102의 각 구성소자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는 점에 유념한다.
카메라 102의 CPU(215)는, 통신 파라미터 교환을 위해 유저가 조작부(210)를 통해서 행한 버튼 조작을 검출하면(S601), 무선통신 콘트롤러(204)와 RF부(205)를 거쳐서 네트워크 탐색 요구를 송신한다(S602). 카메라 102의 CPU(215)는, 탐색 요구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었는지 아닌지를 감시한다(S603). S601에 있어서의 버튼 조작의 검출 이후에 설정 기간이 종료하기까지 응답을 수신하면, 처리는 S604로 진행된다. 응답이 수신되지 않으면, 설정 기간이 종료할 때까지(S609) 정기적으로 네트워크 탐색 요구를 송신한다.
S604에서는, 수신한 응답에 레지스트라 정보가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레지스트라 정보가 없으면, 처리가 S609로 진행되어, 설정 기간이 종료할 때까지는 정기적으로 네트워크 탐색 요구를 송신한다. 레지스트라 정보가 포함된 응답을 수신하지 않은 채 설정 기간이 종료하면(S609), 처리를 종료한다. 수신한 응답에 레지스트라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S604), 레지스트라 정보에 포함된 통신 파라미터 제공자의 MAC 어드레스에 파라미터 취득 요구를 송신하여, 통신 파라미터의 제공을 요구한다(S605). 그리고 나서, 통신 파라미터 제공자가 제공한 통신 파라미터를 취득한다(S606). 통신 파라미터 제공 처리의 구체적인 절차에 대해서는, 안전용 키를 내부에 포함한 통신 파라미터의 교환을 행하고; Diffie-Hellman, RSA 또는 다른 그러한 프로토콜 하에 있는 공개 키를 그러한 하나의 키로서 사용한다.
통신 파라미터의 취득이 정상적으로 종료하면(S607), 취득한 파라미터를 플래쉬 ROM(213) 또는 RAM(217) 등에 보존한다(S608). 통신 파라미터의 취득이 정상적으로 종료하지 않으면, 처리를 종료한다. 메모리에 보존한 통신 파라미터는, CPU(215)로부터의 지시 하에 무선통신 콘트롤러(204)에서 설정되고; 카메라 102는 설정한 통신 파라미터에 따라 무선 통신을 행한다. 이 설정은, 통신 파라미터의 취득이 성공하면 자동적으로 행해져도 되고, 혹은 조작부(210)를 통해서 유저가 행한 조작의 결과로서 행해져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 102가 프린터(103)와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해서 통신 파라미터를 취득할 수 있도록, CPU(215)는, 무선 통신 콘트롤러(204)에서 통신 파라미터의 취득이 성공하면 취득되는 통신 파라미터를 자동적으로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엔롤리 기기는, 레지스트라 정보에 포함된 레지스트라 기기의 어드레스에 파라미터 취득 요구를 송신하기 때문에, 레지스트라 기기 이외의 기기가 탐색 응답을 송신해도, 엔롤리 기기는 레지스트라 기기로부터 통신 파라미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 8은, 카메라 101, 카메라 102 및 프린터(103) 사이에 행해지는 전체의 시퀀스를 나타내는 시퀀스 차트다.
카메라 101과 프린터(103)는, 양쪽 기기가 작성되는 네트워크상에서 동작하고 있다. S801에서는, 프린터(103)가 비콘을 송신하고 있다. 유저가 프린터(103)의 조작부(310)를 조작하고, 프린터(103)를 레지스트라 기기로서 설정하며, 통신 파라미터 제공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버튼을 조작한다(S802). 이것에 응답해서, 프린터(103)는, 비콘에 레지스트라 정보(WPSIE와 프린터(103)의 MAC 어드레스)를 부가해서 비콘을 송신한다(S803).
이 비콘을 수신한 카메라 101은, 이 정보를 수정하지 않고 비콘에 이 정보를 부가해서 비콘을 송신한다(S804).
새롭게 네트워크에 참가한 카메라 102의 유저는, 통신 파라미터 제공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버튼을 조작한다(S805). 카메라 102는 상기 조작을 검출하면, 네트워크 탐색 요구(Prob Req)를 송신한다(S807). 도 8에서는, 이 요구는, 버튼이 조작되기 직전에 비콘을 송신한 카메라 101에 송신되지만, 이 요구는 모든 기기에 브로드캐스트되어도 된다.
이 탐색 요구를 수신한 카메라 101은, 탐색 요구에 대한 응답(Prob Res)을 리턴한다(S808). 이 응답에는, 프린터(103)의 레지스트라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카메라 102는, 탐색 요구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면, 응답에 존재하는 WPSIE 정보와 MAC 어드레스를 취득한다. 카메라 102는, 이것에 의해 레지스트라 기기가 프린터(103)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 후에, 카메라 102는, 레지스트라인 프린터(103)에 요구하여, 통신 파라미터를 제공하고, 그 후에 통신 파라미터를 수신한다(통신 파라미터의 교환)(S809).
카메라 102는, 프린터(103)로부터 통신 파라미터를 수신하면, 수신한 통신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그 다음에 프린터(103)와 카메라 101과 같은 네트워크에 참가한다. 카메라 102도, 같은 네트워크에 참가하면,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단말이므로, 도 5의 플로차트에 근거해서 비콘을 송신한다(S810). 설정을 위한 기간이 종료하면, 프린터(103)에 의해 송신된 비콘으로부터 레지스트라 정보가 삭제된다(S811). 이후에는, 다른 기기로부터 송신된 비콘으로부터도 레지스트라 정보가 삭제된다.
카메라 102의 동작뿐 아니라, S604 다음에 탐색 요구에 포함되어 있었던 레지스트라 정보와 비콘에 포함되어 있었던 레지스트라 정보를 비교하는 처리를 부가해도 된다는 점에 유념한다. 이 비교의 결과, 레지스트라 정보가 일치할 경우에, 처리는 S605로 진행되어, 파라미터 취득 요구를 송신한다. 레지스트라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파라미터 제공 서비스 중인 레지스트라가 복수 존재하고, 원하지 않는 통신 파라미터를 수신할 가능성이 있고; 또 악의가 있는 기기가 부정한 통신 파라미터를 제공하려고 시도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탐색 응답의 레지스트라 정보와 비콘의 레지스트라 정보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해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시큐리티를 향상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통신 단말이 송신한 특정의 정보를 다음 상이한 단말이 받아서 배송하는 애드혹 통신 방식은 고려되지 않고 있었다. 이러한 방식을 제공함으로써 새롭게 네트워크에 참가한 단말이 비콘, 탐색 요구 등에 포함된 정보에 근거해서, 어느 단말이 레지스트라인지를 재빨리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고정된 엑세스 포인트가 존재하지 않는 애드혹 모드에 있어서도, 통신 파라미터의 제공 및 수신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고, 간단하게 통신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는, 엔롤리 기기는 수신한 비콘에 포함되어 있는 레지스트라 정보를 사용하여 통신 파라미터를 요구한다.
네트워크의 구성 및 각 기기의 구성은 제1 실시예에 설명한 것과 같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카메라 101 및 프린터(103)의 동작도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으므로 그 설명도 생략한다.
이하, 통신 파라미터를 취득하고자 하는 카메라 102의 동작을, 도 9에 나타낸 플로차트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9의 동작은, ROM(216) 또는 플래쉬 ROM(213)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CPU(215)가 실행하고, 카메라 102의 각 구성소자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카메라 102의 CPU(215)는, 통신 파라미터를 교환하기 위해서 조작부(210)를 이용해서 유저가 행한 버튼 조작을 검출하면(S901), 비콘이 수신되었는지 아닌지를 감시한다(S902). 비콘을 수신하면, 수신한 비콘에 레지스트라 정보가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903). 레지스트라 정보가 없으면, 처리는 S902로 되돌아가서, 비콘이 수신되었는지 아닌지를 다시 한번 감시한다. S901에 있어서의 버튼 조작의 검출 후에는 설정 기간이 종료하기까지 레지스트라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을 수신하지 않았으면, 처리를 종료한다(S908).
그렇지만, 수신한 비콘에 레지스트라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S903), 레지스트라 정보에 포함된 통신 파라미터 제공자의 MAC 어드레스에 파라미터 취득 요구를 송신하여, 통신 파라미터의 제공을 요구한다(S904). 그리고나서, 통신 파라미터 제공자가 제공한 통신 파라미터를 취득한다(S905). 통신 파라미터 제공 처리의 구체적인 절차에 대해서는, 안전용 키를 그 내부에 포함한 통신 파라미터의 교환을 행하고; Diffie-Hellman, RSA 혹은 다른 그러한 프로토콜 하에 있는 공개 키를 그러한 하나의 키로서 사용한다.
통신 파라미터의 취득이 정상적으로 종료하면(S906), 취득한 파라미터를 플래쉬 ROM(213), RAM(217) 등에 보존한다(S907). 통신 파라미터 취득이 정상적으로 종료하지 않으면,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메모리에 보존한 통신 파라미터는, CPU(215)로부터의 지시 하에 무선통신 콘트롤러(204)에서 설정되고; 카메라 102는, 설정된 통신 파라미터에 따라 무선통신을 행한다는 점에 유념한다. 이 설정은, 통신 파라미터의 취득이 성공하면 자동적으로 행해져도 되고, 혹은 유저가 조작부(210)를 통해서 행한 조작의 결과로서 행해져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 102가 프린터(103)와 무선통신을 행하기 위해서 통신 파라미터를 취득할 수 있도록, CPU(215)는 통신 파라미터의 취득 성공시 취득한 통신 파라미터를 자동적으로 무선통신 콘트롤러(204)에서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네트워크 탐색 요구를 송신하지 않고, 비콘으로부터 레지스트라 정보를 취득해서, 통신 파라미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본 실시예는, 비콘 정보가 개찬(改竄)되었을 때에 취해진 대처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악의가 있는 제3자가 정확하게 버튼을 누른 2개의 단말 사이에 들어가서, 레지스트라로서 작용하여 통신 파라미터를 교환하고, 또 중요한 데이터를 도용하는 것을 방지한다.
네트워크의 구성 및 각 기기의 구성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프린터(103)가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통신 파라미터 제공자가 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카메라 101은, 이미 통신 파라미터를 취득해서 원하는 설정을 완료했고, 무선통신을 행하고 있다. 카메라 102는, 새롭게 통신 파라미터를 취득하려고 하고 있다. 프린터(103)와 카메라 102는 거의 동시에 각 기기에서 버튼을 누름으로써 동일한 통신 파라미터를 공유하는 것이 가능하다(이것은 WPS의 PBC 방법에 대응한다).
프린터(103)의 동작을 도 10에 나타낸 플로차트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0의 동작은, ROM(316) 또는 플래쉬 ROM(313)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CPU(315)가 실행하고, 프린터(103)의 각 구성소자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프린터(103)는, 어떤 특정 알고리즘에 따라 카메라 101과 비콘을 교환한다. 이 알고리즘에 따라, 프린터(103)가 비콘 송신기의 역할을 하여 비콘을 송신하고, 카메라 101가 비콘 송신기의 역할을 하여 비콘을 송신한다. 따라서, 프린터(103)와 카메라 101가 서로 비콘을 송신하면서 네트워크를 구성할 때에는, 하나의 기기만이 비콘을 송신하는 경우, 랜덤하게 비콘을 기기들 사이에서 송신하는 경우 등, 송신을 위한 다양한 상황이 있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상황에도 적용가능하다.
우선, CPU(315)는, 유저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프린터(103)를 통신 파라미터 제공자(레지스트라)로서 설정한다(S1001). 본 실시예에서는 모든 기기가 통신 파라미터 제공자가 될 수 있지만, 기기들은 디폴트로서의 통신 파라미터 취득자로서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유저들의 합의에 의해 레지스트라를 선정하고, 유저가 조작부(310)를 거쳐서 지시 및 설정을 행했다. 이것은 특히 본 실시예를 제약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레지스트라를 결정하는 절차는 수동 절차여도 되고, 혹은 자동으로 레지스트라를 결정하는 메커니즘을 고안해도 된다.
다음에, 프린터(103)의 CPU(315)는, 유저가 통신 파라미터 교환을 위한 조작부(310)의 버튼을 조작했다는 것을 검출하면(S1002), 레지스트라 정보를 비콘에 부가해서 비콘을 송신한다(S1003). 통신 파라미터 교환을 위한 버튼 조작은, 표시부(306)에 표시된 메뉴를 변경하면서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는 등 복수의 조작의 결과로서 표시되는 소프트웨어 버튼을 이용해서 행해져도 된다.
상기 레지스트라 정보는, 현재 파라미터 제공 서비스가 실행 중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 PBC 방법을 이용해서 행해진 인증에 관한 정보 등이다. 이 정보는, 비콘에 특정한 포맷으로 기억되어 있다. 또한, 레지스트라 정보는, WPS에서 규정하고 있는 WPSIE(WPS Information Element)와 같은 내용뿐 아니라, 레지스트라의 목적지를 나타내는 MAC 어드레스를 갖는 정보다.
또한, 본 설명의 동작은 애드혹 모드에서 행해지고 있으므로, 비콘의 송신은, 프린터(103)가 비콘 송신기의 역할을 하는 경우에 행해진다.
CPU(315)는, 다른 단말로부터 비콘을 수신하면(S1004), 자신의 단말이 추가한 레지스트라 정보와 같은 레지스트라 정보가 비콘에 부가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S1005). 즉, CPU(315)는 자신의 단말이 추가한 레지스트라 정보가 수정 혹은 삭제되지 않았다는 것을 확인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CPU(315)는 자신의 단말이 추가한 레지스트라 정보와 다른 레지스트라 정보가 부가되었는지 혹은 자신의 단말이 추가한 레지스트라 정보가 삭제되지 않았는지를 확인한다. 이 확인을 하기 위해서, CPU(315)는 자신의 단말이 추가한 레지스트라 정보(WPSIE와 MAC 어드레스)와 수신한 비콘 중의 레지스트라 정보(WPSIE와 MAC 어드레스)를 비교한다. 또는, S1003에 있어서 레지스트라 정보를 비콘에 부가할 때에 상기 정보 요소의 해시(hash)값을 산출해서 보존하고, 그 산출한 해시값과 수신한 정보의 해시값을 비교함으로써 수정 및 삭제에 관한 확인을 행해도 된다.
S1005에 있어서의 판단의 결과, 비교한 레지스트라 정보가 같지 않은 경우(즉, 수정 혹은 삭제되었을 경우)에는, 네트워크상의 모든 단말이 수신가능한 브로드캐스트 프레임을 사용해서 경고 메시지를 송신한다(S1008). 이 경고 메시지에 의해, 통신 파라미터 제공 서비스의 처리 중단을 나타내는 경고를 통지한다(S1008). 이렇게, 비교한 레지스트라 정보가 같지 않은 경우(수정 또는 삭제되었을 경우)에는, 누군가가 비콘 정보를 개찬하려고 해서 비콘 정보를 변경했을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다른 단말에 경고하고, 처리를 중단시킨다. 브로드캐스트 프레임은, EAP 헤더를 포함하는 인증의 IEEE 802.11의 매니지먼트 프레임 등, 특별한 방식으로 흐르는 데이터 패킷을 이용해서 전송되어도 된다. 또한, S1008에 있어서 경고를 행하는 경우에는, 표시부(306)에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여, 유저에게 통신 파라미터 제공 서비스의 처리 중단을 통지해도 된다.
레지스트라 정보가 같은 경우에는, 통신 파라미터를 제공하는 설정 기간이 종료했는지 여부를 체크하고(S1006), 설정기간이 종료하지 않았으면, 처리는 S1003로 되돌아간다. PBC 방법으로 통신 파라미터를 제공하는 기간은, 안전성을 고려하여, 파라미터 제공 서비스를 시작하고 나서 시작하는 일정 기간(설정 기간)이고; 그 기간 중에, 프린터(103)는 레지스트라 정보를 비콘에 부가해서 비콘을 송신하려고 시도한다(S1003).
설정 기간이 종료하면(S1006), 비콘으로부터 레지스트라 정보(WPSIE와 MAC 어드레스)를 삭제한다(S1007).
CPU(315)는, 비콘을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엔롤리 기기가 파라미터 취득의 요구를 보냈는지 아닌지를 감시한다(S1009). CPU(315)는, 엔롤리 기기로부터 파라미터 취득의 요구를 수신하면, 상기 요구를 송신한 엔롤리 기기에 자신이 관리하는 통신 파라미터를 제공한다(S1010).
통신 파라미터의 제공이 종료하면, 처리는 S1003로 되돌아가서, 설정 기간이 종료할 때까지 다른 엔롤리 기기에 통신 파라미터를 제공하는 처리를 행한다. 본 설명에서는, 설정 기간이 종료할 때까지 다른 엔롤리 기기에 통신 파라미터를 제공하는 처리를 행하지만, 엔롤리 기기에 통신 파라미터를 제공했다면, 처리를 종료해도 된다는 점에 유념해야 한다. 이렇게 하면, 의도하지 않은 기기에 통신 파라미터를 제공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프린터(103)와 동일한 네트워크상에 존재하고, 이미 프린터(103)와 통신 파라미터를 교환했던 카메라 101의 동작을 도 11의 플로차트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1의 동작은, ROM(216) 또는 플래쉬 ROM(213)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CPU(215)가 실행하고, 카메라 101의 각 구성소자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카메라 101의 CPU(215)는, 비콘을 감시하고, 비콘을 수신하면, 현재의 비콘의 내용이 프린터(103)로부터 이전에 수신한 비콘의 내용에 대해서 변화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1101). 카메라 101은, 프린터(103)로부터의 비콘을 감시하고 있는 중에도, 비콘 송신기의 역할을 하여 비콘을 송신한다. 수신한 비콘 내의 정보에 변화가 있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기 위해서, 카메라 101의 CPU(215)는, 비콘을 수신하면, 비콘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를 RAM(217)에 기억해 둔다. 이 정보 내에는, 비콘을 송신한 기기의 어드레스 정보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CPU(215)는 같은 어드레스를 갖는 기기로부터의 비콘의 내용을 비교하여, 같은 기기로부터의 비콘 정보에 변화가 있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1101).
수신한 비콘 정보에 변화가 있을 경우에는, 비콘에 레지스트라 정보가 부가된 변화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102). 레지스트라 정보가 부가된 변화가 아닌 경우에는, 처리는 S1101로 되돌아간다.
레지스트라 정보가 부가된 경우에는, CPU(215)는, 그 내용을 확인하고, WPSIE의 정보요소와 통신 파라미터 제공자의 MAC 어드레스가 있다는 것을 확인한다(S1103). 그리고 나서, 레지스트라 정보(WPSIE와 MAC 어드레스)를 메모리(플래쉬ROM(213) 또는 RAM(217))에 보존한다(S1104). 그 보존 방법은, 레지스트라 정보를 그대로 보존해도 되고, 또는 WPSIE와 MAC 어드레스의 해시값을 보존해도 된다. 카메라 101가 송신하는 비콘에, 수신한 레지스트라 정보(프린터(103)가 부가한 WPSIE와 프린터(103)의 MAC 어드레스)를 부가한다(S1105). 카메라 101가 비콘 송신기의 역할을 하면, 수신한 레지스트라 정보(프린터(103)가 부가한 WPSIE와 MAC 어드레스)를 부가한 비콘을 송신한다. 이미 레지스트라 기기가 존재하고 있는 네트워크와 동일한 통신 파라미터를 공유하고, 같은 네트워크를 이용해 통신 가능한 기기는, 레지스트라 기기로부터 수신한 레지스트라 정보를 그들 자신의 비콘에 부가해서 그 비콘을 송신한다. 이 비콘(레지스트라 이외의 기기로부터의 비콘)을 수신한 기기(엔롤리)는, 레지스트라 기기의 정보를 확신할 수 있다. 따라서, 레지스트라 기기가 항상 비콘을 송신한다고는 할 수 없는 애드혹 모드에 있어서도, 레지스트라 기기의 의향(레지스트라 정보)을 다른 기기에 효율적으로 통지할 수 있다.
다음에, 카메라 101의 CPU(215)는, 비콘의 수신 여부를 감시한다(S1106). CPU(215)는 비콘을 수신하면, S1104에서 보존한 레지스트라 정보가 삭제 또는 수정되었는지 아닌지를 확인한다(S1107). 레지스트라 정보가 삭제 또는 수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가 S1106로 되돌아가서, CPU(215)는 비콘의 수신 여부를 감시한다.
수신한 비콘에 부가되어 있었던 레지스트라 정보가 삭제 또는 수정되어 있었던 경우에는, 카메라 101가 송신하는 비콘으로부터, 레지스트라 정보(프린터(103)가 부가한 WPSIE와 프린터(103)의 MAC 어드레스)가 삭제된다(S1109). 따라서, 이후에, 카메라 101가 송신한 비콘으로부터, 레지스트라 정보가 삭제된다.
이러한 비콘에 부가된 레지스트라 정보가 삭제 또는 수정된 경우에는, 제3자에 의한 레지스트라 정보의 개찬이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101가 송신하는 비콘으로부터, 레지스트라 정보를 삭제하여, 개찬에 의한 손상을 방지한다. 또한, 유저가 선택한 레지스트라 기기(프린터(103))가 비콘과 레지스트라 정보를 송신했을 경우나, 즉, 통신 파라미터 제공 서비스를 중지했을 경우에도, 카메라 101가 수신한 비콘의 레지스트라 정보가 삭제 또는 수정된다. 이 경우에, 카메라 101가 송신하는 비콘으로부터 레지스트라 정보를 삭제하므로, 레지스트라 기기가 파라미터 제공 서비스를 종료했다고 하는 것에 관계없이, 레지스트라 기기 이외의 기기로부터 레지스트라 기기에 관한 정보가 어나운스(announce)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프린터(103)와 카메라 101가 탐색 요구(프로브 요구, 탐색 신호)를 수신했을 때 행해진 동작은, 제1 실시예와 같으므로, 도 7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따라 동작한다. 따라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통신 파라미터를 취득하고자 할 때 카메라 102가 행하는 동작을, 도 12에 나타낸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의 동작은, ROM(216) 또는 플래쉬 ROM(213)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CPU(215)가 실행하고, 카메라 102의 각 구성소자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는 점에 유념한다.
카메라 102의 CPU(215)는, 통신 파라미터 교환을 위해서 유저가 조작부(210)를 이용해서 행한 버튼 조작을 검출하면(S1201), 무선통신 콘트롤러(204)와 RF부(205)를 거쳐서 네트워크 탐색 요구를 송신한다(S1202). 그리고 나서, 카메라 102의 CPU(215)는 탐색 요구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었는지 아닌지를 감시한다(S1203). S1201에 있어서의 버튼 조작의 검출 이후에 설정 기간이 종료하기까지 응답을 수신하면, 처리는 S1204로 진행된다. 응답이 수신되지 않으면, 설정 기간이 종료할 때까지(S1211)는 정기적으로 네트워크 탐색 요구를 송신한다.
S1204에서는, 수신한 응답 중에 레지스트라 정보(WPSIE와 통신 파라미터 제공자의 MAC 어드레스)가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확인한다(S1204). 이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설정 기간이 종료할 때까지(S1211)는 정기적으로 네트워크 탐색 요구를 송신한다. 레지스트라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을 수신하지 않고 설정 기간이 종료하면(S1211), 처리를 종료한다. 수신한 응답에 레지스트라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S1204), 레지스트라 정보에 포함된 통신 파라미터 제공자의 MAC 어드레스에 파라미터 취득 요구를 송신하여, 통신 파라미터의 제공을 요구한다(S1205). 그리고 나서, 통신 파라미터 제공자가 제공한 통신 파라미터를 취득한다(S1206). 통신 파라미터 제공 처리의 구체적인 절차에 관해서는, 안전용 키를 내부에 포함한 통신 파라미터를 교환하고; Diffie-Hellman, RSA, 혹은 다른 그러한 프로토콜 하에 있는 공개 키를 그러한 하나의 키로서 사용한다.
통신 파라미터의 취득이 정상적으로 종료하지 않았으면(S1207), 처리를 종료한다. 통신 파라미터의 취득이 정상적으로 종료했으면(S1207), 경고 메시지가 도착하여, 경고의 통지가 있는지 아닌지를 일정 기간 확인한다(S1208). 경고 메시지가 도착하지 않은 경우에는, 취득한 파라미터를 플래쉬 ROM(213) 또는 RAM(217) 등에 보존한다(S1209). 그러나, 경고 메시지가 도착한 경우에는, 취득한 파라미터를 파기한다(S1210). 메모리에 보존한 통신 파라미터는, CPU(215)로부터의 지시 하에 무선통신 콘트롤러(204)에서 설정되고; 카메라 102는, 설정한 통신 파라미터에 따라 무선통신을 행한다는 점에 유념한다. 이 설정은, 통신 파라미터의 취득이 성공하면 자동적으로 행해져도 되고, 혹은 유저가 조작부(210)를 통해서 행한 조작의 결과로서 행해져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 102가 프린터(103)와 무선통신을 하기 위해서 통신 파라미터를 취득할 수 있도록, CPU(215)는, 통신 파라미터의 취득 성공 시에 취득한 통신 파라미터를 자동적으로 무선통신 콘트롤러(204)에서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는 점에 유념한다.
또한, 통신 파라미터를 파기했을 경우에는, 표시부(206)에 통신 파라미터의 취득의 실패를 표시하고, 유저에게 통지하도록 한다. 이 통지를 확인한 유저는, 재차 통신 파라미터의 설정 처리를 시작할 수 있다. 또한, 유저 통지 시에, 레지스트라 기기(프린터(103))로부터의 경고 통지에 의해 통신 파라미터를 파기한 것을 표시해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유저는 악의가 있는 제3자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고, 통신 파라미터의 설정 처리를 중지할 수도 있다.
도 13은, 카메라 101, 카메라 102 및 프린터 103 간에 행해진 전체의 시퀀스를 나타내는 시퀀스 차트다.
도 13은 파라미터 교환을 행하는 S1309까지는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은 시퀀스와 같은 처리를 나타내고 있다. 그렇지만, 도 13의 예에서는, S1310에 있어서 카메라 101가 비콘에 상이한 레지스트라 정보를 부가해서 그 비콘을 송신하고 있다. 따라서, S1311에서는, 경고 메시지가 프린터(103)로부터 송신된다. 이 경고 메시지를 수신한 카메라 102는 파라미터를 파기한다(S1312).
이상과 같이, 비콘에 부가한 레지스트라 정보가 개찬되었을 경우에, 개찬된 정보에 근거한 통신 파라미터가 설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통신 파라미터의 교환을 안전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엔롤리 기기는 탐색 요구에 대한 응답에 부가되어 있었던 레지스트라 정보에 포함된 정보를 사용하여 파라미터 취득 요구를 송신한다. 그렇지만, 제2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수신한 비콘에 포함되어 있는 레지스트라 정보를 사용하여, 통신 파라미터를 요구해도 된다는 점에 유념해야 한다.
상기 설명에서는, 통신장치가, 다른 통신장치가 송신한 통지 신호의 내용을 변경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판단에 의거하여, 통신장치는, 통신장치가 송신하는 통지 신호에, 통신장치가 수신한 통지 신호에 포함되어 있었던 특정의 부가 정보를 부가하거나, 또는 통신장치가 송신하는 통지 신호로부터 특정의 부가 정보를 삭제해서 송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설명한 구성을 이하에 설명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즉, 통신장치는, 통지 신호를 다른 통신장치와 어떤 특정의 알고리즘에 따라 송신한다. 또한, 통지 신호의 내용이 변경되었는지 여부의 판단은, 수신한 통지 신호에 부가 정보가 부가되었는지, 이 통신신호로부터 삭제되었는지, 또는 수정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부가 정보는, 통신 파라미터의 제공 서비스가 실행 중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 통신 파라미터의 제공 서비스를 실행하는 기기의 식별 정보, 또는 인증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통신장치는, 다른 통신장치로부터 탐색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에, 탐색 신호에 응답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또한 다른 통신장치가 통신 파라미터의 제공 서비스를 실행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이 통신장치는 응답 판단과 서비스 판단에 의거해서, 탐색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에, 수신한 통지 신호에 포함되어 있었던 특정의 부가 정보를 부가하여 응답 신호를 송신하거나, 또는 특정의 부가 정보를 부가하지 않고 응답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설명에서는, 통신장치가, 유저가 행한 조작에 의거하여 통지 신호에 특정의 부가 정보를 부가해서 그 통지 신호를 송신하고; 또한 통신장치가 다른 통신장치가 송신한 통지 신호에, 송신한 통지 신호에 부가한 부가 정보가 부가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통신장치는 이 판단에 따라, 경고 통지를 행한다.
여기에서, 상기 설명한 구성을 이하에 설명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즉, 상기 경고는, 통신 파라미터 제공 서비스의 처리가 중단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다른 통신장치 또는 유저에게 경고를 통지한다. 또한, 통신장치는 다른 통신장치가 송신한 통지 신호로부터, 송신한 통지 신호에 부가한 부가 정보가 삭제되었는지, 또는 다른 통신장치가 송신한 통지 신호에, 송신한 통지 신호에 부가한 부가 정보와 다른 부가 정보가 부가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통신장치는 수신한 신호에, 통신 파라미터 제공 서비스를 실행하고 있는 기기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수신 신호에 포함되어 있었던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통신 파라미터 제공 서비스를 실행하고 있는 기기로부터 통신 파라미터를 취득한다. 그리고 나서, 통신장치는 통신 파라미터 제공 서비스를 실행하고 있는 기기로부터 송신된 경고 메시지에 의거하여 상기 취득시 취득한 통신 파라미터를 파기한다.
따라서, 고정된 엑세스 포인트가 존재하지 않는 애드혹 모드에 있어서도, 통신 파라미터의 제공 및 수신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고, 또 용이하게 통신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즉, 항상 같은 기기가 비콘을 송신하지 않아도, 또 탐색 요구에 항상 같은 기기가 응답하지 않아도, 통신 파라미터의 제공 및 수신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고, 또 용이하게 통신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공 장치 이외의 통신장치가 탐색 신호에 대해 응답한다 할지라도, 통신 파라미터를 제공하는 제공 장치를 용이하게 발견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주는 그러한 모든 변형 및 균등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은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되어 있는 2007년 5월 10일자로 제출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7-125243호로부터 우선권을 주장한다.
101 : 카메라
102 : 카메라
103 : 프린터

Claims (16)

  1. 통신 파라미터를 제공하는 제공 장치로부터 송신된 소정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된 소정 신호로부터 상기 제공 장치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다른 통신장치로부터의 탐색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상기 다른 통신장치로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제공 장치가 통신 파라미터 제공 서비스를 실행하는 동안에 통신장치가 탐색 신호에 응답할 경우, 상기 제공 장치의 식별 정보가 부가된 응답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제공 장치가 통신 파라미터 제공 서비스를 실행하지 않는 동안에 통신장치가 탐색 신호에 응답할 경우, 상기 제공 장치의 식별 정보가 부가되지 않은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탐색 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탐색 신호에 대해 응답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판단 수단이 탐색 신호에 대해 응답하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 상기 송신 수단은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수단은, 상기 탐색 신호의 수신 직전에 상기 통신장치가 비콘 신호를 송신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탐색 신호에 대해 응답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가 부가된 응답 신호는, 통신 파라미터를 제공하기 위해 통신 파라미터 제공 서비스의 인증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가 부가된 응답 신호는, 통신 파라미터를 제공하기 위해 제공 장치가 통신 파라미터 제공 서비스를 실행하는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요구된 상기 제공 장치의 식별 정보가 부가된 통지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통지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통신장치가 기지국을 이용하지 않고 다른 통신장치와 직접적으로 통신하는 통신 모드가 설정되는 경우에, 상기 취득 수단과 송신 수단이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화상을 처리하기 위한 화상 처리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화상을 센싱하기 위한 화상 센싱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표시 수단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표시 처리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통신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메모리 카드를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외부 장치를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5. 통신장치의 통신방법에 있어서,
    통신 파라미터를 제공하는 제공 장치로부터 송신된 소정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소정 신호로부터 상기 제공 장치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및
    다른 통신장치로부터의 탐색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상기 다른 통신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하는 단계에서 통신장치는,
    상기 제공 장치가 통신 파라미터 제공 서비스를 실행하는 동안에 상기 통신장치가 탐색 신호에 응답할 경우, 상기 제공 장치의 식별 정보가 부가된 응답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제공 장치가 통신 파라미터 제공 서비스를 실행하지 않는 동안에 상기 통신장치가 탐색 신호에 응답할 경우, 상기 제공 장치의 식별 정보가 부가되지 않은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16. 통신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통신장치에게 하기의 단계들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로서,
    통신 파라미터를 제공하는 제공 장치로부터 송신된 소정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소정 신호로부터 상기 제공 장치의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및
    다른 통신장치로부터의 탐색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상기 다른 통신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하는 단계에서 통신장치는,
    상기 제공 장치가 통신 파라미터 제공 서비스를 실행하는 동안에 상기 통신장치가 탐색 신호에 응답할 경우, 상기 제공 장치의 식별 정보가 부가된 응답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제공 장치가 통신 파라미터 제공 서비스를 실행하지 않는 동안에 상기 통신장치가 탐색 신호에 응답할 경우, 상기 제공 장치의 식별 정보가 부가되지 않은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
KR1020117013697A 2007-05-10 2008-05-01 애드혹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wi-fi 프로텍티드 셋업을 위한 통신 장치 및 방법 KR1011795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125243 2007-05-10
JP2007125243A JP4929040B2 (ja) 2007-05-10 2007-05-10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PCT/JP2008/058683 WO2008143040A1 (en) 2007-05-10 2008-05-01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wi-fi protected setup in adhoc network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5146A Division KR101111122B1 (ko) 2007-05-10 2008-05-01 애드혹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wi-fi 프로텍티드 셋업을 위한 통신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323A KR20110087323A (ko) 2011-08-02
KR101179527B1 true KR101179527B1 (ko) 2012-09-05

Family

ID=3981199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3697A KR101179527B1 (ko) 2007-05-10 2008-05-01 애드혹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wi-fi 프로텍티드 셋업을 위한 통신 장치 및 방법
KR1020097025146A KR101111122B1 (ko) 2007-05-10 2008-05-01 애드혹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wi-fi 프로텍티드 셋업을 위한 통신 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5146A KR101111122B1 (ko) 2007-05-10 2008-05-01 애드혹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wi-fi 프로텍티드 셋업을 위한 통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20100146129A1 (ko)
EP (3) EP3171641A1 (ko)
JP (1) JP4929040B2 (ko)
KR (2) KR101179527B1 (ko)
CN (3) CN103702389B (ko)
WO (1) WO20081430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39791B2 (en) 2007-06-12 2019-07-02 Icontrol Networks, Inc. Security network integrated with premise security system
US10142392B2 (en) 2007-01-24 2018-11-27 Icontrol Network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improved system performance
US10721087B2 (en) 2005-03-16 2020-07-21 Icontrol Networks, Inc. Method for networked touchscreen with integrated interfaces
US11677577B2 (en) 2004-03-16 2023-06-13 Icontrol Networks, Inc. Premises system management using status signal
US10237237B2 (en) 2007-06-12 2019-03-19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in integrated systems
US11343380B2 (en) 2004-03-16 2022-05-24 Icontrol Networks, Inc. Premises system automation
US11316958B2 (en) 2008-08-11 2022-04-26 Icontrol Networks, Inc. Virtual device systems and methods
US11582065B2 (en) 2007-06-12 2023-02-14 Icontrol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vice communication
US10522026B2 (en) 2008-08-11 2019-12-31 Icontrol Networks, Inc. Automation system user interface with three-dimensional display
US9729342B2 (en) 2010-12-20 2017-08-08 Icontrol Networks, Inc. Defining and implementing sensor triggered response rules
US11190578B2 (en) 2008-08-11 2021-11-30 Icontrol Networks, Inc. Integrated cloud system with lightweight gateway for premises automation
US20160065414A1 (en) 2013-06-27 2016-03-03 Ken Sundermeyer Control system user interface
US11368429B2 (en) 2004-03-16 2022-06-21 Icontrol Networks, Inc. Premises management configuration and control
US11811845B2 (en) 2004-03-16 2023-11-07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over internet protocol (IP) networks
US20090077623A1 (en) 2005-03-16 2009-03-19 Marc Baum Security Network Integrating Security System and Network Devices
US11244545B2 (en) 2004-03-16 2022-02-08 Icontrol Networks, Inc. Cross-client sensor user interface in an integrated security network
US8335842B2 (en) 2004-03-16 2012-12-18 Icontrol Networks, Inc. Premises management networking
US11368327B2 (en) 2008-08-11 2022-06-21 Icontrol Networks, Inc. Integrated cloud system for premises automation
US11489812B2 (en) 2004-03-16 2022-11-01 Icontrol Networks, Inc. Forming a security network including integrated security system components and network devices
US11916870B2 (en) 2004-03-16 2024-02-27 Icontrol Networks, Inc. Gateway registry methods and systems
US11277465B2 (en) 2004-03-16 2022-03-15 Icontrol Networks, Inc. Generating risk profile using data of home monitoring and security system
US11496568B2 (en) 2005-03-16 2022-11-08 Icontrol Networks, Inc. Security system with networked touchscreen
US20120324566A1 (en) 2005-03-16 2012-12-20 Marc Baum Takeover Processes In Security Network Integrated With Premise Security System
US20110128378A1 (en) 2005-03-16 2011-06-02 Reza Raji Modular Electronic Display Platform
US20170180198A1 (en) * 2008-08-11 2017-06-22 Marc Baum Forming a security network including integrated security system components
US11700142B2 (en) 2005-03-16 2023-07-11 Icontrol Networks, Inc. Security network integrating security system and network devices
US11615697B2 (en) 2005-03-16 2023-03-28 Icontrol Networks, Inc. Premise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US10999254B2 (en) 2005-03-16 2021-05-04 Icontrol Networks, Inc. System for data routing in networks
US10079839B1 (en) 2007-06-12 2018-09-18 Icontrol Networks, Inc. Activation of gateway device
US8619623B2 (en) * 2006-08-08 2013-12-31 Marvell World Trade Ltd. Ad-hoc simple configuration
US11706279B2 (en) 2007-01-24 2023-07-18 Icontrol Network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data communication
US7633385B2 (en) 2007-02-28 2009-12-15 Ucontrol, Inc.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with and controlling an alarm system from a remote server
US8451986B2 (en) 2007-04-23 2013-05-28 Icontrol Networks, Inc.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providing alternate network access for telecommunications
JP4929040B2 (ja) 2007-05-10 2012-05-0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US11218878B2 (en) 2007-06-12 2022-01-04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in integrated systems
US11601810B2 (en) 2007-06-12 2023-03-07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in integrated systems
US11316753B2 (en) 2007-06-12 2022-04-26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in integrated systems
US11237714B2 (en) 2007-06-12 2022-02-01 Control Networks, Inc. Control system user interface
US11423756B2 (en) 2007-06-12 2022-08-23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in integrated systems
US10523689B2 (en) 2007-06-12 2019-12-31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over internet protocol (IP) networks
US11212192B2 (en) 2007-06-12 2021-12-28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in integrated systems
US11646907B2 (en) 2007-06-12 2023-05-09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in integrated systems
US10223903B2 (en) 2010-09-28 2019-03-05 Icontrol Networks, Inc. Integrated security system with parallel processing architecture
US11831462B2 (en) 2007-08-24 2023-11-28 Icontrol Networks, Inc. Controlling data routing in premises management systems
US11916928B2 (en) 2008-01-24 2024-02-27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over internet protocol (IP) networks
JP5270937B2 (ja) 2008-03-17 2013-08-2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065134B2 (ja) * 2008-04-04 2012-10-3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通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US20170185278A1 (en) 2008-08-11 2017-06-29 Icontrol Networks, Inc. Automation system user interface
US11758026B2 (en) 2008-08-11 2023-09-12 Icontrol Networks, Inc. Virtual device systems and methods
US11729255B2 (en) 2008-08-11 2023-08-15 Icontrol Networks, Inc. Integrated cloud system with lightweight gateway for premises automation
US11258625B2 (en) 2008-08-11 2022-02-22 Icontrol Networks, Inc. Mobile premises automation platform
US11792036B2 (en) 2008-08-11 2023-10-17 Icontrol Networks, Inc. Mobile premises automation platform
JP5307508B2 (ja) * 2008-08-29 2013-10-02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335479B2 (ja) * 2009-02-26 2013-11-06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該制御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JP5319375B2 (ja) 2009-04-14 2013-10-1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無線通信端末および無線ネットワークの接続設定方法
US8638211B2 (en) 2009-04-30 2014-01-28 Icontrol Networks, Inc. Configurable controller and interface for home SMA, phone and multimedia
JP5235777B2 (ja) * 2009-05-15 2013-07-10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5235778B2 (ja) * 2009-05-15 2013-07-10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
JP5302144B2 (ja) 2009-09-10 2013-10-0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無線ネットワーク選択装置
JP5560639B2 (ja) * 2009-09-30 2014-07-30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が実行する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5414452B2 (ja) * 2009-10-21 2014-02-12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プログラム
JP4714294B1 (ja) 2009-12-16 2011-06-29 株式会社東芝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EP2383935B1 (en) * 2010-04-29 2014-03-05 Airties Kablosuz Iletisim Sanayi Ve Dis Ticaret An Gulbahar Mahallesi Avni Dilligil Sokak Wireless network setup and configuration distribution
US20110276672A1 (en) * 2010-05-07 2011-1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pairing between coordinator and device in network,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pairing between devices, network system including the coordinator and the devices
US8464061B2 (en) * 2010-08-30 2013-06-11 Apple Inc. Secure wireless link between two devices using probes
US8836467B1 (en) 2010-09-28 2014-09-16 Icontrol Networks, Inc.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automated reporting of account and sensor zone information to a central station
US8667148B1 (en) * 2010-10-04 2014-03-04 Netblazr Inc. Minimal effort network subscriber registration
US11750414B2 (en) 2010-12-16 2023-09-05 Icontrol Networks, Inc. Bidirectional security sensor communication for a premises security system
US9147337B2 (en) 2010-12-17 2015-09-29 Icontrol Networks, Inc. Method and system for logging security event data
US8699948B2 (en) * 2011-01-25 2014-04-15 Sony Corporation Connection method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US9113500B2 (en) * 2011-07-10 2015-08-18 Qualcomm Incorporated Device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of management information in ad-hoc wireless networks
JP5771475B2 (ja) * 2011-08-10 2015-09-0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無線通信端末および制御方法
KR101915314B1 (ko) * 2011-10-25 2018-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 WPS(Wi-Fi Protecte d Setup)을 이용한 와이파이 연결 방법 및 장치
WO2013083752A1 (en) 2011-12-08 2013-06-13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thod and devices for running push-button configuration sessions
JP5843634B2 (ja) * 2012-01-30 2016-01-13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5987552B2 (ja) 2012-08-21 2016-09-07 株式会社リコー 無線通信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方法
US9042268B2 (en) 2012-10-26 2015-05-26 Qualcomm Incorporated Over-the-air programming of MAC address to wifi IC in production line
JP6087598B2 (ja) * 2012-11-28 2017-03-0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9713185B2 (en) 2012-12-21 2017-07-1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iscovery signal
JP6242051B2 (ja) * 2013-01-23 2017-12-06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6244310B2 (ja) * 2013-05-22 2017-12-06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無線接続認証方法及びサーバ
JP6317576B2 (ja) * 2013-11-29 2018-04-25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5084103A1 (ko) * 2013-12-05 2015-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단말의 동기 획득 방법 및 장치
US11405463B2 (en) 2014-03-03 2022-08-02 Icontrol Networks, Inc. Media content management
JP5752294B2 (ja) * 2014-04-28 2015-07-22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6400101B2 (ja) * 2014-07-25 2018-10-03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16178385A (ja) * 2015-03-18 2016-10-06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通信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5101433A (zh) * 2015-07-02 2015-11-25 深圳平安通信科技有限公司 控制服务器、热点资源分享控制方法及系统
US10863562B2 (en) * 2015-08-20 2020-12-0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eripheral device pairing
JP6827773B2 (ja) * 2016-01-18 2021-02-10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276866A1 (en) * 2016-03-03 2018-01-31 HTC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handling transmission in unlicensed band
JP6978203B2 (ja) * 2017-01-11 2021-12-08 太陽誘電株式会社 通信設定装置
CN112351510B (zh) * 2020-11-03 2022-10-21 哈尔滨海能达科技有限公司 一种自组网的组网信号识别方法、系统、存储介质及电子设备
FR3117721A1 (fr) * 2020-12-14 2022-06-17 Sagemcom Broadband Sas Procede d’appairage multiple pour appairer plusieurs stations a un point d’acces sans-fil
US20230095149A1 (en) * 2021-09-28 2023-03-30 Fortinet, Inc. Non-interfering access layer end-to-end encryption for iot devices over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69928A1 (en) 2002-02-14 2003-08-21 Qualcomm Incorporated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adding a new member to an active group call in a group communication network
WO2004023827A1 (en) 2002-09-04 2004-03-18 Harris Corporation Intelligent communication node object beacon framework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431802A (zh) * 2003-01-24 2003-07-23 东南大学 基于自组织网络结构和蓝牙技术的家庭信息网络及网关
JP3951990B2 (ja) * 2003-09-05 2007-08-0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無線ステーション,プログラムおよび動作制御方法
JP4480412B2 (ja) 2004-02-06 2010-06-16 株式会社バッファロー 無線lan通信システム、無線lan通信方法および無線lan通信プログラム
CN100499547C (zh) * 2004-03-24 2009-06-10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自组织网络的分布式设立信标的方法和设备
CN100505657C (zh) * 2004-07-15 2009-06-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无线局域网中实现切换联接的方法
US8036183B2 (en) * 2004-08-18 2011-10-11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transporting configuration protocol messages across a distribution system (DS)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JP4336636B2 (ja) * 2004-09-21 2009-09-30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JP4310253B2 (ja) * 2004-09-21 2009-08-05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US7580364B2 (en) * 2005-02-25 2009-08-25 Intel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recovering from disjoint clusters in an mesh network
JP4549207B2 (ja) * 2005-03-15 2010-09-22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7616594B2 (en) * 2005-04-22 2009-11-10 Microsoft Corporation Wireless device discovery and configuration
JP4656637B2 (ja) * 2005-04-27 2011-03-23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とその通信パラメータ設定方法
JP4502393B2 (ja) * 2005-06-13 2010-07-1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パラメータの共有方法及び通信装置
JP4628198B2 (ja) * 2005-06-28 2011-02-09 株式会社バッファロー セキュリティ設定処理システム
US8116287B2 (en) * 2005-07-29 2012-02-14 Microsoft Corporation Transmitting a communication from a wireless access point indicating hidden networks
JP2007125243A (ja) 2005-11-04 2007-05-24 Sri Sports Ltd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4732197B2 (ja) * 2006-03-07 2011-07-27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方法、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499118B1 (ko) * 2006-09-14 2015-03-05 마벨 월드 트레이드 리미티드 애드혹 네트워크 절전 시스템 및 방법
EP2064829B1 (en) * 2006-09-18 2018-04-25 Marvell International Ltd. Establishment of ad-hoc networks between multiple devices
US8732315B2 (en) * 2006-10-16 2014-05-20 Marvell International Ltd. Automatic ad-hoc network creation and coalescing using WiFi protected setup
JP4871696B2 (ja) * 2006-10-27 2012-02-08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パラメータの設定処理方法、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4840230B2 (ja) * 2007-03-30 2011-12-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構成するための無線機器
JP4929040B2 (ja) 2007-05-10 2012-05-0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69928A1 (en) 2002-02-14 2003-08-21 Qualcomm Incorporated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adding a new member to an active group call in a group communication network
WO2004023827A1 (en) 2002-09-04 2004-03-18 Harris Corporation Intelligent communication node object beacon frame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283422A (ja) 2008-11-20
EP2375824A2 (en) 2011-10-12
EP2156700B1 (en) 2016-11-30
KR101111122B1 (ko) 2012-02-14
CN102215489A (zh) 2011-10-12
CN103702389B (zh) 2018-08-28
US20170332305A1 (en) 2017-11-16
KR20090128580A (ko) 2009-12-15
WO2008143040A1 (en) 2008-11-27
EP2375824A3 (en) 2014-08-27
EP3171641A1 (en) 2017-05-24
JP4929040B2 (ja) 2012-05-09
US20100146129A1 (en) 2010-06-10
CN101682879B (zh) 2013-11-06
US20110230139A1 (en) 2011-09-22
CN101682879A (zh) 2010-03-24
CN103702389A (zh) 2014-04-02
KR20110087323A (ko) 2011-08-02
EP2375824B1 (en) 2017-01-04
EP2156700A1 (en) 2010-02-24
CN102215489B (zh) 2015-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9527B1 (ko) 애드혹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wi-fi 프로텍티드 셋업을 위한 통신 장치 및 방법
US10162580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9332378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performing different wireless communications
KR102200766B1 (ko) 통신 장치, 통신 방법 및 직접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
JP4759373B2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527424B1 (ko) 통신장치, 제어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
US10575171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12100171A (ja)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597285B2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JP2015119313A (ja) 無線接続装置、無線通信に関する設定情報を複製する方法、およ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10932314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JP5312515B2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JP5312566B2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WO2023053839A1 (ja) 通信装置、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システム
JP2018042290A (ja) 無線接続装置、無線通信に関する設定情報を複製する方法、およ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2010251895A (ja) 無線通信端末、及び無線ネットワーク情報通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