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9118B1 - 애드혹 네트워크 절전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애드혹 네트워크 절전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9118B1
KR101499118B1 KR1020097007680A KR20097007680A KR101499118B1 KR 101499118 B1 KR101499118 B1 KR 101499118B1 KR 1020097007680 A KR1020097007680 A KR 1020097007680A KR 20097007680 A KR20097007680 A KR 20097007680A KR 101499118 B1 KR101499118 B1 KR 101499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ion
data traffic
predetermined period
power saving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7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5032A (ko
Inventor
카필 차브라
Original Assignee
마벨 월드 트레이드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벨 월드 트레이드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마벨 월드 트레이드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90085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5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9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9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where the power saving management affects multipl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53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 H04M1/2535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adapted for voice communication over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04M1/6066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including a wireless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04W28/14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using intermediate stor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대칭형 및 비대칭형 애드혹(ad-hoc), 무선 네트워크들 및 이와 같은 네트워크에서 전력을 절감하기 위한 방법은 제1 스테이션으로 하여금 제2 스테이션이 상기 제1 스테이션을 위한 데이터 트래픽을 버퍼링할 수 있는 마스터 성능을 가지는지를 판단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테이션은 상기 제2 스테이션에게 제1 소정의 기간 동안 상기 제1 스테이션에 대해 의도된 상기 데이터 트래픽을 버퍼링하라고 요청한다. 상기 제1 스테이션은 제1 절전 모드에 진입하며, 그리고 상기 제2 스테이션은 상기 제1 소정의 기간 동안 상기 제1 스테이션을 위한 데이터 트래픽을 버퍼링한다. 상기 제1 스테이션은 상기 제1 소정의 기간 후에 상기 제1 절전 모드에서 빠져나오고 상기 제2 스테이션은 상기 제1 스테이션으로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를 송신한다. 상기 제1 및 제2 스테이션들이 모두 마스터 성능을 지니거나, 또는 상기 제1 및 제2 스테이션들 중 하나만이 마스터 성능을 지닐 수 있다.

Description

애드혹 네트워크 절전 시스템 및 방법{AD-HOC NETWORK POWER SAVE SYSTEM AND METHOD}
관련 출원
본 출원은 2006년 9월 14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60/825,611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한다. 상기 가출원의 개시는 그 전체가 참조로서 본 명세서에 통합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에서의 절전(power save)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애드혹(ad-hoc)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주기적인 절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무선 네트워크(예를 들어, IEEE 802.11 표준을 기반으로한 Wi-Fi)는, 무선 네트워크 내의 스테이션들이 네트워크 내의 다른 스테이션들과 직접 통신할 수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인프라스트럭처 모드(infrastructure mode) 네트워크 또는 애드혹 모드 네트워크로 간주될 수 있다. 도 1(A)는 인프라스트럭처 모드 무선 네트워크의 예를 도시하는 바, 상기 인프라스트럭처 모드 무선 네트워크는 일반적으로 엑세스 포인트(access point)(2)와 스테이션들(4, 6, 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인프라스트럭처 모드 네트워크에서 스테이션들(4, 6, 8)은 서로 직접 통신하게 되어있지 않으며, 엑세스 포인트(2)를 통하여 통신해야만 한다.
반면에, 애드혹 모드 네트워크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스테이션이 서로 직접 통신할 수 있게 해준다. 그러므로, 애드혹 모드 무선 네트워크에는 스테이션들(4, 6, 8) 사이의 통신을 제어하는 중앙 엑세스 포인트가 존재하지 않는다. 애드혹 디바이스들은 다른 애드혹 디바이스들과만 통신하도록 되어 있으며, 임의의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들 또는 유선 네트워크에 연결된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 없다.
Wi-Fi 디바이스들 중 상당한 부분이 휴대용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셀룰러 폰, 휴대용 게임 디바이스, 무선 헤드셋, 무선 헤드폰, 무선 스피커 등)임을 고려하여, Wi-Fi 디바이스들에 대해서 전력 소모가 중요한 이슈가 되어왔다. 이는 IEEE가 인프라스트럭처 모드 네트워크 절전 프로토콜을 표준화하게 하였다. 그러나, 애드혹 모드 네트워크들의 분산화된 특성(decentralized nature)으로 인하여, 네트워크 내에 전력 소모와 관련된 모든 결정들을 지시하는 중앙 엑세스 포인트가 없을 때, 절전 알고리즘을 구현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복잡하다.
본 발명은 애드혹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을 절전 모드에 진입할 수 있게 해준다. 본 발명은 또한 절전 알고리즘의 실행을 개선하기 위하여, 애드혹 네트워크 내에서 전력 소모 결정이 이루어지도록 해준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들 및 장점들은 본 명세서의 논의로부터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양상에서, 무선 기능을 각각 지닌 제1 및 제2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애드혹 네트워크에서의 절전 방법은, 상기 제2 스테이션에게 제1 소정의 기간 동안 상기 제1 스테이션에 대해 의도된 데이터 트래픽을 버퍼링하라는 요청을 발행(issueing)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트래픽 버퍼링 요청을 승인(granting)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소정의 기간 동안 상기 제1 스테이션을 제1 절전 모드에 진입하게 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제1 소정의 기간 동안 상기 제2 스테이션이 상기 제1 스테이션에 대해 의도된 데이터 트래픽을 버퍼링할 수 있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소정의 기간이 경과한 후, 상기 제1 스테이션을 상기 제1 절전 모드로부터 벗어나게(exit) 하는 단계와,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 트래픽을 상기 제1 스테이션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 트래픽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 트래픽을 상기 제2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제1 스테이션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제2 소정의 기간 동안 상기 제1 및 제2 스테이션이 동시에 제2 절전 모드에 진입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스테이션에 대해 의도된 데이터 트래픽을 버퍼링하는 상기 제2 스테이션의 마스터 성능을 광고(advertising)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스테이션이 상기 제1 절전 모드로부터 벗어나기 전에 상기 제2 스테이션이 상기 제2 절전 모드에서 벗어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애드혹 네트워크는 IEEE 802.11 표준들과 블루투스(Bluetooth) 표준들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무선 네트워크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스테이션이 상기 제1 스테이션에 대해 의도된 데이터 트래픽을 버퍼링하는 성능을 지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스테이션에게 상기 제2 소정의 기간 동안 상기 제2 스테이션에 대해 의도된 데이터 트래픽을 버퍼링하라는 요청을 발행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스테이션에 대해 의도된 데이터 트래픽을 버퍼링하라는 요청을 승인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소정의 기간 동안 상기 제2 스테이션을 제2 절전 모드에 진입하게 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제1 스테이션이 상기 제2 소정의 기간 동안 상기 제2 스테이션에 대해 의도된 상기 데이터 트래픽을 버퍼링할 수 있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소정의 기간이 경과한 후 상기 제2 스테이션을 상기 제2 절전 모드에서 벗어나게 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 트래픽을 상기 제2 스테이션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 트래픽을 상기 제2 스테이션으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 트래픽을 상기 제1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제2 스테이션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스테이션이 상기 제2 스테이션에 대해 의도된 데이터 트래픽을 버퍼링하는 성능을 지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스테이션이 상기 제1 스테이션에게 상기 제2 스테이션에 대해 의도된 상기 데이터 트래픽을 버퍼링하라고 요청하는 경우, 상기 제1 스테이션이 상기 제1 절전 모드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스테이션이 상기 제2 스테이션에게 상기 제1 스테이션에 대해 의도된 상기 데이터 트래픽을 버퍼링하라고 요청하는 경우, 상기 제2 스테이션이 상기 제2 절전 모드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스테이션이 그러한 요청을 송신한 때로부터 소정의 기간 내에 상기 요청들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 스테이션이 상기 제1 절전 모드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스테이션이 그러한 요청을 송신한 때로부터 소정의 기간 내에 상기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2 스테이션이 상기 제2 절전 모드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소정의 기간이 경과한 후 상기 슬레이브 스테이션을 상기 절전 모드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단계와, 상기 마스터 스테이션이 상기 슬레이브 스테이션으로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 트래픽을 송신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애드혹 네트워크 내의 복수의 스테이션들 중 임의의 스테이션에 대해 의도된 데이터 트래픽을 버퍼링하는 상기 마스터 스테이션의 마스터 성능을 광고하는 단계와, 상기 마스터 스테이션이 상기 복수의 스테이션들 중 임의의 스테이션에 대해 의도된 데이터 트래픽을 버퍼링하는 마스터 성능을 지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애드혹 네트워크는 IEEE 802.11 표준 및 블루투스 표준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 선택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무선 네트워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복수의 스테이션들을 포함하는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절전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테이션들은 마스터 스테이션, 및 다른 스테이션들을 위한 트래픽을 버퍼링할 수 없는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스테이션을 포함하며, 각각의 스테이션은 다른 스테이션들과 직접 통신할 수 있는 무선 성능을 지니고, 상기 방법은 상기 마스터 스테이션에게 소정의 기간 동안 상기 슬레이브 스테이션에 대해 의도된 데이터 트래픽을 버퍼링하라는 요청을 발행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트래픽 버퍼링 요청을 승인하는 단계와, 소정의 기간 동안 상기 슬레이브 스테이션을 절전 모드에 진입하게 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소정의 기간 동안 상기 마스터 스테이션이 상기 슬레이브 스테이션에 대해 의도된 데이터 트래픽을 버퍼링할 수 있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스테이션은 제2 소정의 기간 동안 상기 애드혹 네트워크 내의 다른 스테이션들에 대해 의도된 데이터 트래픽을 버퍼링하는 마스터 성능을 지니며, 상기 제2 스테이션이 제2 절전 모드에 진입할 수 있게 해 달라는 상기 제2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요청을 승인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제2 스테이션은 마스터 성능을 구비한 임의의 스테이션이 상기 애드혹 네트워크 내에 있는지 판단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 스테이션은 상기 제1 스테이션이 상기 제2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상기 요청을 승인하는 때, 상기 제2 소정의 기간 동안 상기 제2 절전 모드에 진입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소정의 기간이 경과한 후 상기 제1 스테이션은 상기 제2 스테이션으로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 트래픽을 송신한다. 상기 제2 스테이션이 상기 제1 스테이션에게 상기 제2 스테이션에 대해 의도된 데이터 트래픽을 버퍼링할 것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제1 스테이션은 상기 제1 절전 모드에 진입하지 않도록 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제1 스테이션이 상기 제2스테이션에게 상기 제1 스테이션에 대해 의도된 데이터 트래픽을 버퍼링할 것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제2 스테이션은 상기 제2 절전 모드에 진입하지 않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스테이션이 요청을 송신한 때로부터 소정의 시간 기간 내에 상기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스테이션은 상기 제1 절전 모드에 진입하지 않을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제2 스테이션이 요청을 송신한 때로부터 소정의 시간 기간 내에 상기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2 스테이션은 상기 제1 절전 모드에 진입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마스터 및 슬레이브 스테이션들은 제2 기간 동안 제2 절전 모드에 동시에 진입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마스터 스테이션은, 상기 슬레이브 스테이션이 상기 제2 절전 모드로부터 벗어나기 전에 상기 제2 절전 모드로부터 벗어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애드혹 네트워크는 IEEE 802.11 표준들 및 블루투스 표준들로 이루어진 그룹 중 선택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무선 네트워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서, 애드혹 네트워크는 제1 스테이션 및 제2 스테이션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테이션은 무선 통신 성능을 가지며, 제1 소정의 기간 동안 상기 애드혹 네트워크 내의 다른 스테이션들에 대해 의도된 데이터 트래픽을 버퍼링할 수 있는 마스터 성능을 가지는 임의의 스테이션이 상기 애드혹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는지 판단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스테이션은 무선 통신 성능 및 마스터 성능을 가지며 상기 제1 스테이션이 제1 절전 모드에 진입할 수 있게 해주기 위하여 상기 제1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요청을 승인하도록 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제1 스테이션은 상기 제2 스테이션이 상기 요청을 승인할 때 상기 제1 소정의 기간 동안 상기 제1 절전 모드에 진입하며, 상기 제2 스테이션은 상기 제1 소정의 기간이 경과한 후 상기 제1 스테이션으로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 트래픽을 송신한다. 제1 및 제2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애드혹 네트워크 내의 절전(power saving) 시스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스테이션 각각은 서로 직접 통신할 수 있는 무선 성능을 지니며,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제2 스테이션에게, 제1 소정의 기간 동안 상기 제1 스테이션에 대해 의도된 데이터 트래픽을 버퍼링하라는 요청을 발행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데이터 트래픽을 버퍼링하라는 요청을 승인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제1 소정의 기간 동안 상기 제1 스테이션을 제1 절전 모드에 진입하게 하기 위한 수단과, 그리고 상기 제1 소정의 기간 동안 상기 제2 스테이션이 상기 제1 스테이션에 대해 의도된 데이터 트래픽을 버퍼링할 수 있게 해주는 수단을 포함한다.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복수의 스테이션들을 구비한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절전을 실행하게 하는 저장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기계-판독가능 매체에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스테이션들 중 제1 스테이션이 제2 스테이션에 대해 의도된 데이터 트래픽을 버퍼링하는 성능을 지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명령어들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테이션에게 제1 소정의 기간 동안 상기 제2 스테이션에 대해 의도된 데이터 트래픽을 버퍼링하라고 요청하기 위한 명령어들과, 상기 제2 스테이션에 대해 의도된 데이터 트래픽을 버퍼링하라는 요청을 승인하기 위한 명령어들과, 상기 제2 스테이션으로 하여금 상기 제1 소정의 기간 동안 제1 절전 모드에 진입하게 하기 위한 명령어들과, 상기 제1 하나의 스테이션이 제2 소정의 기간 동안 상기 제2 스테이션에 대해 의도된 데이터 트래픽을 버퍼링할 수 있게 해주기 위한 명령어들과, 상기 제1 소정의 기간이 경과한 후 상기 제2 스테이션을 상기 제1 절전 모드로부터 벗어나게 하기 위한 명령어들과, 그리고 상기 제2 스테이션으로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 트래픽을 송신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본발명의 추가적인 피처(feature)들, 이점들, 그리고 실시예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도면들, 그리고 청구항들의 고려로부터 설명되거나 또는 명확해질 것이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요약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를 청구항으로 제한하지 않고 추가적인 설명을 제공하려 의도되었다.
본 발명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하여 포함시킨 첨부의 도면들은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며 본 명세서에 포함되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도시하며,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의 기본적인 이해에 필요한 것 이상으로 본 발명의 구조적인 세부사항들을 도시하려 의도하지 않았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 인프라스트럭처 모드 네트워크 및 애드혹 모드 네트워크의 예를 도시한다.
도 2(A) 및 도 2(B)는 대칭형(symmetrical) 애드혹 네트워크의 예를 도시한다.
도 3(A), 3(B), 그리고 3(C)는 비대칭형(asymmetrical) 애드혹 네트워크의 예를 도시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대칭형 애드혹 네트워크에서의 절전 기법의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4(B)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비대칭형 애드혹 네트워크에서의 절전 기법의 흐름도이다.
도 5-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예시적인 구현예들을 도시한다.
첨부의 도면들에서 설명 및/또는 도시되는 제한되지 않은 실시예들 및 예들을 참조로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 및 그것의 유익한 세부사항들과 다양한 피처들이 보다 자세히 설명되며, 다음의 설명에서 상세하게 기술된다. 도면에서 도시된 피처들이 반드시 스케일되어 도시될 필요는 없으며, 당업자들이 인지하듯이, 본 명세서에서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일 실시예의 피처들이 다른 실시예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불필요하게 모호하게 만들지 않기 위하여, 잘 알려진 구성요소들 및 공정 기법들의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예시들은 단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방법들의 이해를 돕고 또한 당업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의도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IEEE 802.11 표준에 기반한 Wi-Fi 네트워크에 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임의의 애드혹 모드 무선 네트워크 및 적합한 피처들과 특성들을 지닌 다른 유형의 무선 네트워크들에 광범위하게 응용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예들 및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으로서 간주되어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범주는 오로지 첨부의 청구항들 및 적용가능한 법률에 의해서 정의된다. 또한, 몇가지 도면 뷰들 전체에서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유사한 부분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애드혹 네트워크들을 위한 주기적인 절전 프로토콜들에 관한 것이다. 애드혹 네트워크 내의 서로 다른 디바이스들은 다른 슬레이브 디바이스들이 절전 모드에 진입해 있는 동안, 마스터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마스터 디바이스는 다른 디바이스들을 위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며, 이 슬레이브 디바이스들이 웨이크-업(wake-up)될 때 버퍼링된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러한 프로토콜은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절전을 할 수 있도록 해준다.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은 이제 아래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2(A), 2(B), 3(A), 3(B) 및 3(C)는 애드혹 모드 네트워크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네트워크 내의 디바이스들(즉, 스테이션들, 노드들 또는 기타)간 성능의 유사성에 따라, 애드혹 모드 네트워크는 대칭형(symmetrical) 애드혹 모드 네트워크 또는 비대칭형(asymmetrical) 애드혹 모드 네트워크로 특징지어질 수 있다. 도 2(A) 및 2(B)는 대칭형 애드혹 모드 네트워크를 도시하며, 이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들은 예를 들어, 프로세싱 능력, 메모리, 배터리 수명등과 같은 유사한 성능(capability)들을 가질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2(A)는 애드혹 모드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동일한 또는 실질적으로 같은 성능을 지닌 2개의 워키-토키 또는 셀룰러 폰(12, 14)을 도시한다. 이 연결은 애드혹 모드 네트워크를 통해 다수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음성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해준다. 디바이스들(12, 14)이 사용중이 아닐 때, 전력을 절감하기 위하여 하나 또는 두개의 디바이스들 모두를 턴-오프할 필요가 있다. 절전 모드를 실행할 중앙 엑세스 포인트가 없으므로, 어떠한 특정 디바이스에 과도한 짐이 부과되지(overburden) 않고, 네트워크 내의 모든 디바이스들 상에서 절전 프로토콜이 실행될 것이다. 예를 들어, 각각의 디바이스들(12, 14)은 대안적으로 네트워크 내에서 절전 알고리즘을 실행하는 마스터 디바이스로서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유사하게, 도 2(B)는 애드혹 모드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연결된 2개의 동일한 휴대용 게임 디바이스들(16, 18)(예를 들어, SonyTM PSPTM 또는 기타)을 도시한다. 이러한 연결은 이 휴대용 게임 디바이스들(16, 18)을 사용하는 이들에게 실시간 다수 플레이 게임 경험을 하게 해줄 수 있다. 디바이스들(16, 18)이 사용되지 않고 있을 때, 디바이스들(16, 18)은 어느 디바이스가 네트워크를 위한 절전 프로토콜을 실행하기 위한 "마스터"로서의 역할을 담당할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마스터"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내의 다른 디바이스들(즉, 슬레이브들)이 절전 모드에 진입하게 해주며,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들을 위하여 데이터 트래픽을 버퍼링할 수 있게 해주는 바, 이는 또한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워키-토키, 셀룰러 폰, 게임 디바이스는 대칭형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연결될 수 있는 디바이스 유형의 단지 예일 뿐이다.
도 3(A), 3(B) 그리고 3(C)는 비대칭형 애드혹 모드 네트워크 구성의 예를 도시하며, 이 구성에서 애드혹 디바이스들은 서로 다른 성능을 지닌다. 예를 들어, 도 3(A)는 셀룰러 폰(20)과 무선 헤드셋(22)을 포함하는 비대칭형 애드혹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무선 헤드셋(22)은 셀룰러 폰(20)보다 현저하게 적은 성능을 지니며, 애드혹 네트워크를 위한 절전 알고리즘들을 실행할 수 없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 절전 프로토콜은 셀룰러 폰(20)의 성능을 사용할 수 있으며, 셀룰러 폰(20)은 영구적으로 마스터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헤드셋(22)은 영구적으로 슬레이브로서 동작할 것이다. 유사하게, 도 3(B)는 애드혹 모드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된 PC(24)와 무선 헤드폰(26)을 도시하는바, 이 네트워크에서는, 절전 모드를 실행하는데 있어서, PC(24)가 마스터로서 동작하고 무선 헤드폰(26)은 슬레이브로서 동작한다. 도 3(C)에서는, 보다 많은 성능을 지닌 오디오 디바이스(30)가 무선 스피커(32)에 대한 영구적인 마스터로서 절전 모드를 실행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예들은 단지 비대칭형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연결될 수 있는 디바이스 유형의 예일 뿐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대칭형 애드혹 네트워크에서의 절전 기법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대칭형 애드혹 모드 네트워크에서, 각각의 디바이스는 마스터로서 네크워크 내에서 절전 알고리즘들을 실행하는 성능을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스테이션(A)과 스테이션(B)(예를 들면, 도 2(A)의 워키-토키(12, 14) 각각)은 모두 다른 스테이션에 과도한 짐을 부과하지 않고 동등하게 절전 알고리즘을 실행할 수 있다. 단계(40) 및 단계(4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션(12) 및 스테이션(14)은 모두 네트워크 내의 다른 스테이션들에게 자신의 마스터 성능을 광고할 수 있다. 상기 마스터 성능은 네트워크 내의 슬립(절전)모드에 있는 다른 스테이션들에 대해 지정된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성능을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션(B)이 마스터 성능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한 후, 단계(4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테이션(A)은 절전 모드 진입 요청을 스테이션(B)로 송신한다. 절전 진입 요청은 스테이션 (B)로 송신되는 스테이션(A)의 비콘(beacon)의 업링크 IEEE 작용 관리 프레임(uplink IEEE action management frame)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스테이션(A)의 슬립 기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절전 진입 요청은 슬레이브로부터 마스터에게로 송신되는 업링크 IEEE 작용 관리 프레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이 프로토콜을 실현하는 성능은 스테이션 비콘들 및 프로브 응답들 내에서 광고될 수 있다. 절전 진입 요청/응답은 IEEE 작용 관리 프레임들을 사용하여 송신될 수 있다. 또한, 절전 진입 요청은 슬레이브 스테이션의 웨이크-업(슬립 기간이라 칭해지는) 빈도(frequency)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절전 진입 응답은 마스터가 슬레이브를 위하여 트래픽을 버퍼링하는 다수의 서비스 기간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션(A) 및 스테이션(B) 모두가 서로에게 각각 절전 진입 요청을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충돌(conflict)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스테이션은 다른 스테이션들로부터의 요청이 수신될 때 완전전력(full-power) 모드에 머물도록 되어있을 것이다. 각각의 스테이션은 그후 랜덤 백-오프(back-off)를 연산하며 상기 백-오프가 만료될 때 절전 모드에 진입하려고 재시도하거나 또는 다른 스테이션의 백-오프가 먼저 만료되는 경우에는 마스터로서 완전전력 모드에 머물 것이다.
스테이션(A)으로부터의 요청을 수락함에 따라, 스테이션(B)은 마스터가 되며 스테이션(A)은 슬레이브가 된다. 단계(46)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테이션(B)은 스테이션(A)에게 절전 진입 응답을 송신할 수 있다. 절전 진입 응답은 IEEE 작용 관리 프레임에 포함될 수 있다. 절전 진입 응답은 마스터 스테이션(B)이 슬레이브 스테이션(A)을 위해 데이터 트래픽을 버퍼링할 서비스 기간들의 최대 개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기간은 슬레이브 스테이션(A)으로부터 업링크 트리거를 수신하는 시점과 마스터 스테이션(B)이 서비스 기간 종료(EOSP; end of service period) 지시를 송신하는 시점 사이의 기간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슬레이브 스테이션(A)으로부터의, 트리거 비트가 셋(set)된 각각의 업링크 프레임은 마스터 스테이션(B)에 의해 하나의 서비스 기간으로서 카운트될 수 있다. Wi-Fi 멀티-미디어(WMM) 애플리케이션들, 예를 들어 QOS(quality of service) 정보 필드 내의 WWM EOSP 비트는 업링크 방향에서 슬레이브 스테이션에 의해 트리거 비트로서 사용될 수 있다. 비-WMM(non-WMM)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예를 들어, IEEE 802.11 프레임 제어 필드 내의 "more-data" 비트는 트리거 비트로서 사용될 수 있다.
단계(46)에서, 마스터 스테이션(B)으로부터 절전 진입 응답을 수신한 후, 슬레이브 스테이션(A)은 단계(4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절전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마스터 스테이션(B)은 단계(5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슬레이브 스테이션(A)에 대한 데이터 트래픽을 버퍼링하기 시작할 것이다. 절전 모드에 있는 동안, 슬레이브 스테이션(A)은 마스터로서 그것의 성능을 비콘하거나 광고하지 않을 수 있다. 슬레이브 스테이션(A)이 웨이크-업될 때마다, 스테이션(A)은 업링크 트리거 프레임을 마스터 스테이션(B)에게 트리거 비트가 '셋(set)'된 상태로 송신할 수 있다. 슬레이브 스테이션(A)은 매 웨이크-업 기간 내에 정확히 한개의 트리거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다. 슬레이브 스테이션(A)이 매 웨이크-업 기간 내에 한개 이상의 프레임을 가진다면, 슬레이브 스테이션(A)은 후속적인 프레임들을 트리거 비트가 "언셋(unset)"된 상태로 전송할 것이다. 만약 슬레이브(A)가 송신할 업링크 데이터를 갖지 않는다면, 트리거 비트가 셋된 상태의 "널(null)" 업링크 트리거 프레임을 송신할 것이다. 또한, 슬레이브 스테이션(A)으로부터의 모든 업링크 프레임들은 IEEE 802.11 프레임 제어 필드 내에 "1"로 설정된 전력 관리 비트를 가질 수 있다. 마스터 스테이션(B)은 슬레이브 스테이션(A)을 위해 버퍼링된 다운링크 데이터를 사용하여 트리거 프레임에 응답할 수 있다. 마스터 스테이션(B)으로부터의 최종 다운링크 프레임은 EOSP 비트가 셋되어 있을 수 있다. WMM 애플리케이션들에서, QOS 정보 필드 내의 WMM EOSP 비트는 EOSP를 표시하기 위하여 다운링크 방향에서 마스터 스테이션(B)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비-WMM 애플리케이션들에서, IEEE 802.11 프레임 제어 필드 내의 "more-data"비트는 EOSP 지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만약 슬레이브 스테이션(A)을 위한 다운링크 데이터가 버퍼링되지 않았다면, 마스터 스테이션(B)은 EOSP 비트가 셋된 상태의 널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할 것이다. 또한, 일 예에서, 시스템은, 트리거 비트가 언셋된 상태로 슬레이브 스테이션(A)으로부터 송신된 업링크 프레임들이, 마스터 스테이션(B)으로 하여금 각각의 슬레이브 스테이션에 대한 절전 큐를 비우게 하지 않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마스터 스테이션(B)에 의해 허용된 서비스 기간들의 최대 개수에 도달된 후, 마스터 스테이션(B)은 또한 슬레이브 스테이션(A)에 대한 데이터 트래픽 버퍼링을 중단할 수 있다. 단계(52)에서 슬레이브 스테이션(A)은 절전 모드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단계(54)에서 데이터는 마스터 스테이션(B)에 의해 버퍼링되고 슬레이브 스테이션(A)으로 포워딩된다. 슬레이브 스테이션(A) 및 마스터 스테이션(B)은 비코닝(beaconing)을 재시작하고 마스터 스테이션으로서 자신의 성능을 광고함으로써 완전전력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스테이션(A) 및 스테이션(B) 모두는 이제 랜덤 백-오프를 연산하고 백-오프 종료시 슬레이브가 되려고 시도할 것이다. 도 4(A)에 도시된 단계들은 반복될 수 있다. 각각의 단계가 슬레이브 또는 마스터의 역할을 교대로 순환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스테이션에 과도한 짐을 부과하지 않고도 네트워크 내의 모든 스테이션들상의 전력 소모 문제들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스테이션이 마스터 및 슬레이브 역할로 동일한 시간을 소비한다고 가정하면, 절전 프로토콜은 슬레이브 스테이션에 대해 약 75%까지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토콜은 완전전력 모드와 비교하여, 마스터 및 슬레이브 스테이션들 모두에 대해 약 38%까지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슬레이브 스테이션들의 수가 증가함에따라 절전이 개선될 수 있다.
도 4(B)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비대칭형 애드혹 네트워크에서의 절전 기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예를 들어, 비대칭형 애드혹 네트워크는 도 3(A)에 도시된 무선 헤드셋(22)과 마스터로서의 셀룰러 폰(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비대칭형 애드혹 네트워크에서는, 단지 하나의 스테이션만이 마스터 성능을 지닐 수 있다. 그러므로, 마스터 성능 광고 단계(60) 및 마스터/슬레이브 절전 진입 요청/응답 단계(62, 64)(예를 들어, 마스터/슬레이브 간의 핸드쉐이크(handshake))가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 스테이션은 "마스터 무한대(master indefinite)"지시로서, 최대 서비스 기간 필드에 0xFFFF를 리턴할 수 있다. 예비된(pre-provisioned) 마스터/슬레이브 구성은, 그것들의 역할이 생산 단계에서 이미 결정되었을 수 있기 때문에, 스테이션들간의 마스터/슬레이브 핸드쉐이크를 바이패스할 수 있다. 이러한 상이점들을 제외하고는, 도 4(B)에 도시된 절전 프로토콜은 도 4(A)에 도시된 대칭형 애드혹 절전 모드에 대해 수행된 단계들과 유사한 단계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62, 64)에서 도시된 마스터/슬레이브 핸드쉐이크를 실행한 후, 단계(66)에서 슬레이브 스테이션(22)이 절전 모드에 진입 할 수 있으며, 단계(68)에서 마스터 스테이션(20)이 슬레이브 스테이션(22)를 위하여 데이터 트래픽을 버퍼링할 수 있다. 단계(70)에서 슬레이브 스테이션(22)이 절전 모드에서 웨이크-업될 때, 단계(72)에서 마스터 스테이션(20)은 슬레이브 스테이션(20)에게 버퍼링된 데이터 트래픽을 송신할 수 있다. 슬레이브 스테이션(22)이 자주 사용되지 않는다면, 슬레이브 스테이션(22)을 절전 모드에 진입할 수 있게 해줌으로써 절전이 크게 개선될 수 있다.
절전을 보다 개선하기 위하여, 마스터 스테이션(20)은 EOSP 비트가 셋된 상태의 다운링크 프레임을 송신한 후, 절전 모드에 진입하기 위하여 슬레이브 스테이션(22)의 슬립 기간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레이브 스테이션(22)으로부터 트리거 비트가 셋된 상태의 업링크 프레임을 수신함에 따라, 마스터 스테이션(20)은 슬레이브 스테이션(22)이 웨이크 업되기전의 어느 시점에서 타임아웃이 종료되도록 설정된 슬립 클럭 타이머를 시작할 수 있다. 상기 슬립 클럭 타이머는, 마스터 스테이션(20)이 다음 슬레이브 웨이크업 전에 웨이크업 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슬립 클럭 내의 임의의 타이밍 에러들에 대해 책임이 있는 오프셋을 포함할 수 있다. 마스터 스테이션(20)은 최종 다운링크 프레임 내의, EOSP 비트가 셋된 데이터를 슬레이브 스테이션(22)과 교환할 수 있다. EOSP 비트가 셋된 상태의 프레임을 송신한 후, 마스터와 슬레이브 스테이션들은 모두 절전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슬레이브 스테이션(22)은 EOSP 비트가 세팅된 상태의 다운링크를 수신한 후, 어떠한 프레임들도 전송하지 않도록 요구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마스터와 슬레이브 스테이션들 모두가 절전 모드에서 75%의 절전을 이룬다면, 전체 시스템이 전력을 75%까지 절감할 수 있을 것이다.
이제 도 5, 6, 7, 8, 9, 10, 11 및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예시적인 애플리케이션들이 도시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하드 디스크 드라이 브(500)에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5의 (502)에서 일반적으로 표시된 신호 처리 및/또는 제어 회로들 중 하나 또는 이들 모두를 구현할 수 있다. 몇가지 실시예들에서, HDD(500) 내의 신호 처리 및/또는 제어 회로(502) 및/또는 다른 회로들(도시되지 않음)은 데이터를 처리하고, 코딩 및/또는 암호화하고, 그리고/또는 자기 저장 매체(506)로 출력되는 그리고/또는 자기 저장 매체(506)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포맷할 수 있다.
HDD(500)는 하나 이상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링크들(508)을 통해 컴퓨터, 이동 연산 디바이스들(예컨대, PDA, 셀룰러 폰, 미디어 또는 MP3 플레이어 등), 및/또는 다른 디바이스들과 같은 호스트 디바이스(도시되지 않음)와 통신할 수 있다. HDD(500)는 RAM,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로우 레이턴시(low latency) 비휘발성 메모리, ROM 및/또는 다른 적당한 전자 데이터 저장장치와 같은 메모리(509)에 연결될 수 있다.
먼저, 도 6을 참조로, 본 발명이 디지털 다용도 디스크(DVD) 드라이브(511) 내에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6의 (512)에 일반적으로 나타낸 신호 처리 및/또는 제어 회로들 중 하나 또는 그들 모두 및/또는 DVD 드라이브(511)의 대용량 데이터 저장장치(518)를 구현할 수 있다. DVD(511) 내의 신호 처리 및/또는 제어 회로(513) 및/또는 다른 회로들(도시되지 않음)은 데이터 처리, 코딩 및/또는 암호화 수행, 연산 수행, 그리고/또는 광 저장 매체(516)로부터 판독되는 데이터 및/또는 광저장 매체(516)에 기록되는 데이터를 포맷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DVD(511) 내의 신호 처리 및/또는 제어 회로(512) 및/또는 다른 회로들(도시되지 않음)은 인코딩 및/또는 디코딩 및/또는 DVD 드라이브와 관련된 임의의 다른 신호 처리 기능들과 같은 다른 기능들을 또한 수행할 수 있다.
DVD 드라이브(511)는 하나 이상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링크들(517)을 통해 컴퓨터, 텔레비전 또는 다른 디바이스와 같은 출력 디바이스(도시되지 않음)와 통신할 수 있다. DVD(511)는 비휘발성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대용량 데이터 저장장치(518)와 통신할 수 있다. DVD(511)는 RAM, ROM,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로우 레이턴시 비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다른 적당한 전자 데이터 저장장치와 같은 메모리(519)에 연결될 수 있다.
이제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고해상도 텔레비전(HDTV)(520) 내에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7의 (522)에 일반적으로 나타내어진 신호 처리 및/또는 제어 회로들 중 하나 또는 그들 모두, 및/또는 HDTV(520)의 WLAN 인터페이스 및/또는 대용량 데이터 저장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HDTV(520)는 HDTV 입력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 포맷중 하나로 수신하고 디스플레이(526)를 위한 HDTV 출력 신호를 생성한다. 몇몇 구현예들에서, 신호 처리 회로 및/또는 제어 회로(522) 및/또는 HDTV(520)의 다른 회로들(도시되지 않음)은 데이터를 처리하고, 코딩 및/또는 암호화를 수행하고, 연산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포맷하고 그리고/또는 필요한 임의의 다른 종류의 HDTV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HDTV(520)는 광 및/또는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과 같은 비휘발성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대용량 데이터 저장장치(527)와 통신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DVD가 도 6에 도시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HDTV(520)는 RAM, ROM, 플래시 메모리 와 같은 로우 레이턴시 비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다른 적당한 전자 데이터 저장장치와 같은 메모리(528)에 연결될 수 있다. HDTV(520)는 또한 WLAN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29)를 통해 WLAN과의 연결을 지원할 수 있다.
이제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차량(vehicle)(530)의 제어 시스템, 상기 차량 제어 시스템의 WLAN 인터페이스 및/또는 대용량 데이터 저장장치 내에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본 발명은 파워트레인 제어 시스템(532)를 구현하는 바, 상기 파워트레인 제어 시스템(532)은 온도 센서들, 압력 센서들, 회전 센서들, 기류 센서들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당한 센서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센서들(538)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며 그리고/또는 엔진 작동 파라미터들, 트랜스미션 작동 파라미터들, 및/또는 다른 제어 신호들과 같은 출력(538)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출력신호들을 생성한다.
본 발명은 또한 차량(530)의 다른 제어 시스템들(540) 내에 실시될 수 있다. 제어 시스템(540)은 마찬가지로 입력 센서들(542) 및/또는 다른 제어 신호들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고 그리고/또는 하나 이상의 출력 디바이스들(544)로 제어 신호들을 출력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제어 시스템(540)은 ABS(anti-lock braking system), 네비게이션 시스템, 텔레매틱스 시스템, 차량 텔레매틱스 시스템, 차선 이탈 경보 시스템(lane departure system), 적응형 크루즈 제어(adptive cruise control) 시스템, 스테레오, DVD, 콤팩트 디스트등과 같은 자동차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의 일부일 수 있다. 다른 구현예들이 더 고려된다.
파워트레인 제어 시스템(532)은 비휘발성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대용 량 데이터 저장장치(546)와 통신할 수 있다. 대용량 데이터 저장장치(546)는 광 및/또는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및/또는 DVD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DVD가 도 6에서 도시된 구성을 갖는다. 파워트레인 제어 시스템(532)은 RAM, ROM,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로우 레이턴시 비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다른 적당한 전자 데이터 저장장치와 같은 메모리(547)에 연결될 수 있다. 파워트레인 제어 시스템(532)은 또한 WLAN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48)를 통해 WLAN과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제어 시스템(540)은 또한 대용량 데이터 저장장치, 메모리 및/또는 WLAN 인터페이스(모두 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이 셀룰러 안테나(551)를 포함할 수 있는 셀룰러 폰(550) 내에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9의 (552)에 일반적으로 나타낸 신호 처리 및/또는 제어 회로들 중 하나 또는 모두, 그리고/또는 셀룰러 폰(550)의 WLAN 인터페이스 및/또는 대용량 데이터 저장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셀룰러 폰(550)은 마이크로폰(556), 및 스피커 및/또는 오디오 출력 잭과 같은 오디오 출력(558), 및 디스플레이(560) 및/또는 키패드, 포인팅 디바이스, 보이스 액추에이션 및/또는 다른 입력 디바이스와 같은 입력 디바이스(562)를 포함한다. 신호 처리 및/또는 제어 회로들(552) 및/또는 셀룰러 폰(550) 내의 다른 회로들(도시되지 않음)은 데이터를 처리하고, 코딩 및/또는 암호화를 수행하고, 연산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포맷하고 그리고/또는 다른 셀룰러 폰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셀룰러 폰(550)은 광 및/또는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HDD 및/또는 DVD와 같은 비휘발성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대용량 데이터 저장장치(564)와 통신할 수 있다. 적어도 한개의 DVD가 도 6에 도시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셀룰러 폰(550)은 RAM, ROM, 및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로우 레이턴스 비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다른 적당한 전자 데이터 저장장치와 같은 메모리(566)에 연결될 수 있다. 셀룰러 폰(550)은 또한 WLAN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68)를 통해 WLAN과의 연결을 지원할 수 있다.
이제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셋톱박스(580) 내에 구현될 수있다. 본 발명은 도 10의 (584)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내어지는 신호 처리 및/또는 제어 회로들 중 하나 또는 그들 모두, 셋톱박스(580)의 WLAN 인터페이스 및/또는 대용량 데이터 저장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셋톱박스(580)는 브로드밴드 소스와 같은 소스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고 텔레비전 및/또는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588) 및/또는 다른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들에 적합한 표준 및/또는 고해상도 오디오/비디오 신호들을 출력한다. 신호 처리 및/또는 제어 회로들(584) 및/또는 셋톱박스(580)의 다른 회로들(도시되지 않음)은 데이터를 처리하고, 코딩 및/또는 암호화를 수행하고, 연산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포맷하고 그리고/또는 임의의 다른 셋톱박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셋톱박스(580)는 비휘발성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대용량 데이터 저장 장치(590)와 통신할 수 있다. 대용량 데이터 저장장치(590)는 광학 및/또는 자기 저장 장치,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및/또는 DVD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DVD가 도 6에 보인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셋톱박스(580)는 RAM, ROM, 그리고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로우 레이턴시 비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다른 적당한 전자 데이터 저장장치와 같은 메모리(594)에 연결될 수 있다. 셋톱박스(580)는 또한 WLAN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96)를 통해 WLAN과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제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미디어 플레이어(600) 내에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11의 (604)에 일반적으로 나타낸 신호 처리 및/또는 제어 회로들 중 하나 또는 그들 모두, 미디어 플레이어(600)의 WLAN 인터페이스 및/또는 대용량 데이터 저장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몇몇 구현예들에서, 미디어 플레이어(600)는 디스플레이(607) 및/또는 키패드, 터치패드등의 유저 입력(608)을 포함한다. 몇몇 구현예들에서, 미디어 플레이어(600)는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607) 및/또는 유저 입력(608)을 통한 메뉴, 드롭 다운 메뉴, 아이콘, 및/또는 포인트-앤드-클릭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를 사용할 수 있다. 미디어 플레이어(600)는 스피커 및/또는 오디오 출력잭과 같은 오디오 출력(60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처리 및/또는 제어 회로(604) 및/또는 미디어 플레이어(600)의 다른 회로들(도시되지 않음)은 데이터를 처리하고, 코딩 및/또는 암호화를 수행하고, 연산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포맷 및/또는 임의의 다른 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미디어 플레이어(600)는 압축된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콘텐츠와 같은 데이터를 비휘발성 방식으로 저장하는 대용량 데이터 저장장치(610)와 통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압축된 오디오 파일들은 MP3 포맷 또는 다른 적당한 압축된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포맷들과 호환되는 파일들을 포함한다. 대용량 데이터 저장장치는 광학 및/또는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및/또는 DVD를 포함할 수 잇다. 적어도 하나의 DVD는 도 6에 도시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미디어 플레이어(600)는 RAM, ROM,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로우 레이턴시 비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다른 적절한 전자 데이터 저장장치와 같은 메모리(614)에 연결될 수 있다. 미디어 플레이어(600)는 또한 WLAN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16)를 통해 WLAN과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이 안테나(618)를 포함할 수 있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전화기(650) 내에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12의 (604)에 일반적으로 나타내어진 신호 처리 및/또는 제어 회로들 중 하나 또는 모두, VoIP 전화기(650)의 무선 인터페이스 및/또는 대용량 데이터 저장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VoIP 전화기(650)는 부분적으로, 마이크로폰(610), 스피커 및/또는 오디오 출력 잭과 같은 오디오 출력(612), 디스플레이 모니터(614), 키패드, 포인팅 디바이스, 보이스 액츄에이션 및/또는 다른 입력 디바이스들과 같은 입력 디바이스들(616), 그리고 Wi-Fi(Wireless Fidelity) 통신 모듈(608)을 포함한다. 신호 처리 및/또는 제어 회로들(604) 및/또는 VoIP 전화기(650) 내의 다른 회로들(도시되지 않음)은 데이터를 처리하고, 코딩 및/또는 암호화를 수행하고, 연산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포맷하고 그리고/또는 다른 VoIP 전화기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VoIP 전화기(650)는 광학 및/또는 자기 저장 디바이스,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들(HDD) 및/또는 DVD와 같은 비휘발성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대용량 데이터 저장장치(602)와 통신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DVD가 도 6에 도시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VoIP 전화기(650)는 RAM, ROM, 그리고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로우 레이턴시 비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다른 적당한 전자 데이터 저장장치일 수 있는 메모리(606)에 연결될 수 있다. VoIP 전화기(650)는 Wi-Fi 통신 모듈(608)을 통해 VoIP 네트워크(도시되지 않음)와 통신 링크를 구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것에 추가적으로 다른 실시예들이 고려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들은 반도체, ASIC, PLA,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 및 모듈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다른 하드웨어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며, 이것들에 제한되지는 않는 전용 하드웨어 구현과 함께 시행되도록 의도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컴퓨터 프로세서상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과 함께 시행되도록 의도된다. 더욱이, 분산 처리 또는 콤포넌트/객체 분산 처리, 병렬 처리, 가상 머신 처리, 임의의 후속적인 개선들 또는 임의의 후속적인 프로토콜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을 구현하기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발명의 소프트웨어 구현들은, 디스크 또는 테잎과 같은 자기 매체; 디스크와 같은 광자기(magneto-optical) 또는 광 매체; 또는 메모리 카드, 또는 하나 이상의 판독-전용(비휘발성) 메모리들, RAM들, 또는 다른 재기록가능한(휘발성) 메모리들을 하우징하는 다른 패키지와 같은 고체 매체(solid state medium)와 같은 유형(tangible) 저장 매체상에 선택적으로 저장된다. e-mail에 첨부된 디지털 파일 또는 다른 자기완결형(self-contained) 정보 아카이브(archive) 또는 아카이브들의 세트가 유형 저장 매체와 같은 분포 매체로 고려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문헌에 열거된 바와 같은 유형 저장 매체 또는 분포 매체를 포함하며, 본 명세서의 소프트웨어 구현들이 저장되는 등가물들 또는 후속적인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관하여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들은 본 발명이 첨부의 청구항들의 정신 및 범주 내에서 수정되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예로서, 본 발명의 스테이션들은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는 임의의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IEEE 802.11 표준 외의 표준들은 블루투스 및 유사한 표준들과 같이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예들은 단지 예시이며, 본 발명의 모든 가능한 디자인, 실시예, 응용, 또는 수정을 완전히 열거하고자 의도된 것은 아니다.

Claims (30)

  1. 제1 및 제2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애드혹 네트워크에서의 절전(power saving) 방법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 스테이션 각각은 서로 직접 통신할 수 있는 무선 성능을 지니며,
    상기 제2 스테이션에게, 상기 제1 스테이션에 대해 의도된 데이터 트래픽을 제1 소정의 기간 동안 버퍼링하라는 요청을 발행하는 단계와;
    데이터 트래픽을 버퍼링하라는 상기 요청을 승인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소정의 기간 동안 상기 제1 스테이션을 제1 절전 모드에 진입하게 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제2 스테이션이 상기 제1 스테이션에 대해 의도된 데이터 트래픽을 상기 제1 소정의 기간 동안 버퍼링할 수 있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드혹 네트워크에서의 절전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정의 기간이 경과한 후, 상기 제1 스테이션을 상기 제1 절전 모드로부터 벗어나게(exit) 하는 단계와;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 트래픽을 상기 제1 스테이션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드혹 네트워크에서의 절전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 트래픽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 트래픽을 상기 제2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제1 스테이션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드혹 네트워크에서의 절전 방법.
  4. 제2 항에 있어서,
    제2 소정의 기간 동안 상기 제1 및 제2 스테이션들을 동시에 상기 제1 절전 모드와 다른 제2 절전 모드에 진입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드혹 네트워크에서의 절전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테이션에 대해 의도된 데이터 트래픽을 버퍼링하는 상기 제2 스테이션의 마스터 성능을 광고(advertising)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드혹 네트워크에서의 절전 방법.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테이션이 상기 제2 절전 모드로부터 벗어나기 전에, 상기 제2 스테이션을 상기 제2 절전 모드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드혹 네트워크에서의 절전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애드혹 네트워크는 IEEE 802.11 표준들 및 블루투스 표준들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무선 네트워크임을 특징으로 하는 애드혹 네트워크에서의 절전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테이션이 상기 제1 스테이션에 대해 의도된 데이터 트래픽을 버퍼링하는 성능을 지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드혹 네트워크에서의 절전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테이션에게, 상기 제2 스테이션에 대해 의도된 데이터 트래픽을 제2 소정의 기간 동안 버퍼링하라는 요청을 발행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스테이션에 대해 의도된 데이터 트래픽을 버퍼링하라는 상기 요청을 승인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소정의 기간 동안 상기 제2 스테이션을 상기 제1 절전 모드와 다른 제2 절전 모드에 진입하게 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제1 스테이션이 제2 스테이션에 대해 의도된 상기 데이터 트래픽을 상기 제2 소정의 기간 동안 버퍼링할 수 있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드혹 네트워크에서의 절전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소정의 기간이 경과한 후, 상기 제2 스테이션을 상기 제2 절전모드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 트래픽을 상기 제2 스테이션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드혹 네트워크에서의 절전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 트래픽을 상기 제2 스테이션으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 트래픽을 상기 제1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제2 스테이션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드혹 네트워크에서의 절전 방법.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테이션이 상기 제2 스테이션에 대해 의도된 데이터 트래픽을 버퍼링하는 성능을 지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드혹 네트워크에서의 절전 방법.
  13.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테이션이 상기 제1 스테이션에게 상기 제2 스테이션에 대해 의도된 상기 데이터 트래픽을 버퍼링하라고 요청하는 경우, 상기 제1 스테이션이 상기 제1 절전 모드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제1 스테이션이 상기 제2 스테이션에게 상기 제1 스테이션에 대해 의도된 상기 데이터 트래픽을 버퍼링하라고 요청하는 경우, 상기 제2 스테이션이 상기 제2 절전 모드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드혹 네트워크에서의 절전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테이션이 상기 제1 절전 모드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스테이션이 그러한 요청을 송신한 때로부터 소정의 기간 내에 상기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발생하며,
    상기 제2 스테이션이 상기 제2 절전 모드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스테이션이 그러한 요청을 송신한 때로부터 소정의 기간 내에 상기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드혹 네트워크에서의 절전 방법.
  15. 복수의 스테이션들을 포함하는 애드혹 네트워크에서의 절전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테이션들은 마스터 스테이션, 및 다른 스테이션들에 대한 트래픽을 버퍼링하지 못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스테이션을 포함하며, 각각의 스테이션은 다른 스테이션들과 직접 통신할 수 있는 무선 성능을 지니며,
    상기 마스터 스테이션에게, 상기 슬레이브 스테이션에 대해 의도된 데이터 트래픽을 소정의 기간 동안 버퍼링하라는 요청을 발행하는 단계와;
    데이터 트래픽을 버퍼링하라는 상기 요청을 승인하는 단계와;
    상기 소정의 기간 동안 상기 슬레이브 스테이션을 절전 모드에 진입하게 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마스터 스테이션이 상기 슬레이브 스테이션에 대해 의도된 데이터 트래픽을 상기 소정의 기간 동안 버퍼링할 수 있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드혹 네트워크에서의 절전 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기간이 경과한 후, 상기 슬레이브 스테이션을 상기 절전 모드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마스터 스테이션이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 트래픽을 상기 슬레이브 스테이션으로 송신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드혹 네트워크에서의 절전 방법.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상기 복수의 스테이션들 중 임의의 스테이션에 대해 의도된 데이터 트래픽을 버퍼링하는 상기 마스터 스테이션의 마스터 성능을 광고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마스터 스테이션이 상기 복수의 스테이션들 중 하나에 대해 의도된 데이터 트래픽을 버퍼링하는 상기 마스터 성능을 지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 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드혹 네트워크에서의 절전 방법.
  18.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애드혹 네트워크는 IEEE 802.11 표준들 및 블루투스 표준들로 이루어진 그룹 중 선택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무선 네트워크임을 특징으로 하는 애드혹 네트워크에서의 절전 방법.
  19. 애드혹 네트워크로서,
    무선 통신 성능을 지닌 제1 스테이션 - 상기 제1 스테이션은 상기 애드혹 네트워크 내의 다른 스테이션들에 대해 의도된 데이터 트래픽을 제1 소정의 기간 동안 버퍼링하는 마스터 성능을 지닌 스테이션이 상기 애드혹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는지 판단하도록 되어 있으며 - 과; 그리고
    무선 통신 성능 및 상기 마스터 성능을 지닌 제2 스테이션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스테이션은 상기 제1 스테이션이 제1 절전 모드에 진입할 수 있게 해 달라는 상기 제1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요청을 승인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스테이션은 상기 제2 스테이션이 상기 요청을 승인할 때 상기 제1 소정의 기간 동안 상기 제1 절전 모드에 진입하며, 상기 제2 스테이션은 상기 제1 소정의 기간 경과후 상기 제1 스테이션으로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 트래픽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드혹 네트워크.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테이션은 상기 애드혹 네트워크 내의 다른 스테이션들에 대해 의도된 데이터 트래픽을 제2 소정의 기간 동안 버퍼링하는 마스터 성능을 지니며, 상기 제2 스테이션이 상기 제1 절전 모드와 다른 제2 절전 모드에 진입할 수 있게 해 달라는 상기 제2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요청을 승인하도록 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제2 스테이션은 상기 애드혹 네트워크 내에 마스터 성능을 갖는 임의의 스테이션이 있는지 판단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드혹 네트워크.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테이션은, 상기 제1 스테이션이 상기 제2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요청을 승인하는 때, 상기 제2 소정의 기간 동안 상기 제2 절전 모드에 진입하며, 상기 제1 스테이션은, 상기 제2 소정의 기간이 경과한 후 상기 제2 스테이션으로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 트래픽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드혹 네트워크.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테이션이 상기 제1 스테이션에게 상기 제2 스테이션에 대해 의도된 상기 데이터 트래픽을 버퍼링하라고 요청 하는 경우, 상기 제1 스테이션은 상기 제1 절전 모드에 진입하지 않게 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제1 스테이션이 상기 제2 스테이션에게 상기 제1 스테이션에 대해 의도된 상기 데이터 트래픽을 버퍼링하라고 요청하는 경우, 상기 제2 스테이션은 상기 제2 절전 모드에 진입하지 않게 되 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드혹 네트워크.
  23.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테이션이 상기 제1 절전 모드에 진입하지 않는 것은, 상기 제1 스테이션이 그러한 요청을 송신한 때로부터 소정의 기간 내에 상기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에 발생하며; 그리고
    상기 제2 스테이션이 상기 제1 절전 모드에 진입하지 않는 것은, 상기 제2 스테이션이 그러한 요청을 송신한 때로부터 소정의 기간 내에 상기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드혹 네트워크.
  24.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애드혹 네트워크는 IEEE 802.11 표준들 및 블루투스 표준들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무선 네트워크임을 특징으로 하는 애드혹 네트워크.
  25. 애드혹 네트워크로서,
    무선 통신 성능, 및 상기 애드혹 내트워크 내의 다른 스테이션들에 대해 의도된 데이터 트래픽을 소정의 기간 동안 버퍼링하는 마스터 성능을 지닌 마스터 스테이션과;
    무선 통신 성능을 지닌 다른 스테이션들에 대한 상기 트래픽을 버퍼링할 수 없으며, 상기 마스터 스테이션이 상기 애드혹 네트워크 내에서 사용가능한지 판단하도록 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스테이션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슬레이브 스테이션이 제1 절전 모드에 진입할 수 있게 해 달라는 상기 슬레이브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요청을 상기 마스터 스테이션이 승인한 때, 상기 슬레이브 스테이션은 상기 소정의 기간 동안 상기 제1 절전 모드에 진입하며, 상기 마스터 스테이션은 상기 소정의 기간이 경과한 후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 트래픽을 상기 슬레이브 스테이션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드혹 네트워크.
  26.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및 슬레이브 스테이션들은 제2 소정의 기간 동안 동시에 상기 제1 절전 모드와 다른 제2 절전 모드에 진입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드혹 네트워크.
  27.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스테이션은 상기 슬레이브 스테이션이 상기 제2 절전 모드로부터 벗어나기 전에, 상기 제2 절전 모드로부터 벗어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드혹 네트워크.
  28.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애드혹 네트워크는 IEEE 802.11 표준들 및 블루투스 표준들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선택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무선 네트워크임을 특징으로 하는 애드혹 네트워크.
  29. 제1 및 제2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애드혹 네트워크에서의 절전(power saving)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 스테이션 각각은 서로 직접 통신하는 무선 성능을 지니며,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제2 스테이션에게, 상기 제1 스테이션에 대해 의도된 데이터 트래픽을 제1 소정의 기간 동안 버퍼링하라는 요청을 발행하기 위한 수단과;
    데이터 트래픽을 버퍼링하라는 상기 요청을 승인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제1 소정의 기간 동안 상기 제1 스테이션을 제1 절전 모드에 진입하게 하기 위한 수단과; 그리고
    상기 제2 스테이션이 상기 제1 스테이션에 대해 의도된 데이터 트래픽을 상기 제1 소정의 기간 동안 버퍼링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드혹 네트워크에서의 절전 시스템.
  30.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복수의 스테이션들을 구비한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절전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이 저장된 기계-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복수의 스테이션들 중 제1 스테이션이 제2 스테이션에 대해 의도된 데이터 트래픽을 버퍼링하는 성능을 지니는지를 판단하게 하기 위한 명령어들과;
    상기 제1 스테이션에게 상기 제2 스테이션에 대해 의도된 데이터 트래픽을 제1 소정의 기간 동안 버퍼링하라고 요청하게 하기 위한 명령어들과;
    상기 제2 스테이션에 대해 의도된 데이터 트래픽을 버퍼링하라는 요청을 승인하게 하기 위한 명령어들과;
    상기 제2 스테이션으로 하여금 상기 제1 소정의 기간 동안 제1 절전 모드에 진입하게 하기 위한 명령어들과;
    상기 제1 스테이션이 상기 제2 스테이션에 대해 의도된 데이터 트래픽을 제2 소정의 기간 동안 버퍼링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명령어들과;
    상기 제1 소정의 기간이 경과한 후, 상기 제2 스테이션을 상기 제1 절전 모드로부터 벗어나게 하기 위한 명령어들과; 그리고
    상기 제2 스테이션으로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 트래픽을 송신하게 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판독가능 매체.
KR1020097007680A 2006-09-14 2007-09-13 애드혹 네트워크 절전 시스템 및 방법 KR1014991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2561106P 2006-09-14 2006-09-14
US60/825,611 2006-09-14
PCT/US2007/019885 WO2008033438A2 (en) 2006-09-14 2007-09-13 Ad-hoc network power save system an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032A KR20090085032A (ko) 2009-08-06
KR101499118B1 true KR101499118B1 (ko) 2015-03-05

Family

ID=39184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7680A KR101499118B1 (ko) 2006-09-14 2007-09-13 애드혹 네트워크 절전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8315193B2 (ko)
EP (1) EP2069953B1 (ko)
JP (1) JP5090455B2 (ko)
KR (1) KR101499118B1 (ko)
CN (2) CN101652766B (ko)
TW (1) TWI426740B (ko)
WO (1) WO200803343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52766B (zh) 2006-09-14 2012-07-04 马维尔国际贸易有限公司 自组织网络功率节省系统和方法
JP4929040B2 (ja) * 2007-05-10 2012-05-0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JP2009088818A (ja) * 2007-09-28 2009-04-23 Rohm Co Ltd 情報通信端末、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
US20090141661A1 (en) * 2007-11-29 2009-06-04 Nokia Siemens Networks Oy Residual traffic state for wireless networks
US8059570B2 (en) * 2008-01-11 2011-11-15 Apple Inc. Mobile network device battery conservation system and methods
JP5270937B2 (ja) 2008-03-17 2013-08-2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7979097B2 (en) * 2008-03-18 2011-07-12 Kyocera Corporation Power management for multimo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8060054B1 (en) * 2008-11-13 2011-11-15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reactive power-saving
US8149750B2 (en) * 2009-04-07 2012-04-03 Intel Corporation Device power management in a wireless network
US8542620B2 (en) 2009-05-05 2013-09-24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energy saving mechanism for access points
US8769108B2 (en) 2009-06-24 2014-07-01 Intel Corporation Peer-to-peer negotiation in a wireless network
US8965283B2 (en) * 2009-08-10 2015-02-24 Qualcomm Incorporated Setting up a direct link in a peer to peer wireless network
US8576761B1 (en) 2009-09-18 2013-11-05 Qualcomm Incorporated Power save delivery mechanism for wireless communication traffic
US9264992B2 (en) * 2009-09-22 2016-0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announcement time of idle timeout for power saving operations in wireless networks
KR101718768B1 (ko) * 2009-12-21 2017-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8537733B1 (en) * 2010-02-12 2013-09-17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power mode switch in a wireless ad-hoc system
US9311446B1 (en) 2010-03-19 2016-04-12 Qualcomm Incorporated Multicast transmission for power management in an ad-hoc wireless system
US8588156B1 (en) 2010-04-27 2013-11-19 Qualcomm Incorporated Direct data communication in infrastructure mod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526346B1 (en) 2010-04-28 2013-09-03 Qualcomm Incorporated Power save communication mechanism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101527120B1 (ko) * 2010-08-17 2015-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유저의 txop 파워 세이빙을 위한 액티브 모드에서의 단말 및 액세스 포인트의 통신 방법
JP5858626B2 (ja) * 2011-02-25 2016-02-10 任天堂株式会社 無線通信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US8611268B1 (en) * 2011-04-15 2013-12-17 Qualcomm Incorporated Access point power save mechanism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9001720B2 (en) 2011-08-31 2015-04-07 Maarten Menzo Wentink Power save with data fetch time, with end of data indication, and with more data acknowledgement
US9049658B2 (en) 2012-03-06 2015-06-02 Qualcomm Incorporated Power save mechanism for peer-to-peer communication networks
US9485728B1 (en) * 2012-05-15 2016-11-01 Marvell International Ltd. Power saving with WNM-sleep mode
WO2014087042A1 (en) * 2012-12-07 2014-06-12 Nokia Corporation Packet measurements and reporting in wireless network
US8971229B1 (en) 2013-10-08 2015-03-03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WLAN power management
CA2856027A1 (en) 2014-03-18 2015-09-18 Smartrek Technologies Inc. Mesh network system and techniques
US9801039B2 (en) * 2015-01-08 2017-10-24 Intel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on data between awareness networking devices
US9998879B2 (en) 2015-01-08 2018-06-12 Intel IP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traffic to a plurality of wireless devices
US9602998B2 (en) 2015-01-21 2017-03-21 Intel IP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in a data link group
US11301406B2 (en) * 2016-08-16 2022-04-12 Intel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role transfer functionality for a bus master
US11160018B2 (en) * 2018-11-08 2021-10-26 Apple Inc. Coordinated multi-role access-point oper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63702A (ja) * 2003-06-02 2004-12-24 Seiko Epson Corp 通信制御システム、マスタ通信端末、スレーブ通信端末、マスタ通信端末用プログラム及びスレーブ通信端末用プログラム、並びに通信制御方法
EP1681806A1 (en) * 2005-01-18 2006-07-19 Marvell World Trade Ltd. New WLAN TDM protocol
JP2007528641A (ja) * 2003-12-19 2007-10-11 モトローラ・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リアルタイム通信のための無線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ハイブリッド省電力送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37167B1 (en) 1993-08-31 2009-05-26 Broadcom Corporation Modular, portable data processing terminal for use in a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network
USRE40032E1 (en) * 1993-03-06 2008-01-22 Agere Systems Inc. Wireless data communication system having power saving function
GB9304638D0 (en) * 1993-03-06 1993-04-21 Ncr Int Inc Wireless data communication system having power saving function
US6170041B1 (en) * 1998-09-24 2001-01-02 Integrated Silicon Soulution, Inc. Integrated circuit memory with a bus transceiver
US6804542B1 (en) 2000-09-22 2004-10-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leep modes in peer-to-peer communications
US6882677B2 (en) * 2001-02-28 2005-04-19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handoff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6842460B1 (en) * 2001-06-27 2005-01-11 Nokia Corporation Ad hoc network discovery menu
US6842831B2 (en) * 2002-04-25 2005-01-11 Intel Corporation Low latency buffer control system and method
US7142524B2 (en) 2002-05-01 2006-11-28 Mesh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n ad-hoc routing algorithm based on activity detection in an ad-hoc network
US7564810B2 (en) * 2002-05-08 2009-07-21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power consumption of a network interface module in a wireless computing device
JP2004165791A (ja) * 2002-11-11 2004-06-10 Fujitsu Ltd 複数の無線端末と通信可能な無線基地局用の装置、無線基地局と通信する無線端末、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および方法
CN1194566C (zh) * 2002-11-13 2005-03-23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组建时分双工的自组织移动通信系统的方法
WO2004071022A1 (ja) * 2003-02-03 2004-08-19 Sony Corporation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660578B2 (en) * 2003-05-02 2010-02-09 Nokia Corporation Method for saving power in a wireless terminal and a terminal
FI20030660A0 (fi) * 2003-05-02 2003-05-02 Nokia Corp Menetelmä päätelaitteen tehonsäästöön langattomassa lähiverkossa ja päätelaite
JP4251010B2 (ja) 2003-05-08 2009-04-08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
US20040264396A1 (en) * 2003-06-30 2004-12-30 Boris Ginzburg Method for power saving in a wireless LAN
US7586864B2 (en) 2003-09-30 2009-09-08 Sharp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terminal,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anagement method, control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ntaining the same
JP3701663B2 (ja) 2003-09-30 2005-10-05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端末局、通信管理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それ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7542437B1 (en) * 2003-10-02 2009-06-02 Bbn Technologies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conserving energy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7436789B2 (en) * 2003-10-09 2008-10-14 Sarnoff Corporation Ad Hoc wireless node and network
JP2005159476A (ja) * 2003-11-20 2005-06-16 Canon Inc 通信切り換え方法および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
US6917598B1 (en) 2003-12-19 2005-07-12 Motorola, Inc. Unscheduled power save delivery method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for real time communication
JP4360552B2 (ja) 2004-03-29 2009-11-11 アバイア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無線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節電ステーションへのバッファ・フレームの配信
JP2005303827A (ja) * 2004-04-14 2005-10-27 Ntt Docomo Inc 無線基地局、通信経路制御方法およびパケット転送方法
EP1589702B1 (en) * 2004-04-21 2012-05-09 Avaya Inc. Organization of automatic power save delivery buffers at an acces point
US7697893B2 (en) * 2004-06-18 2010-04-13 Nokia Corporation Techniques for ad-hoc mesh networking
EP1677175B1 (en) * 2004-12-31 2013-08-28 ST-Ericsson SA Dynamic power management in system on chips (SOC)
US8068460B2 (en) * 2005-07-14 2011-11-29 Toshiba America Research, Inc. Dynamic packet buffering system for mobile handoff
WO2007029337A1 (ja) * 2005-09-09 2007-03-15 Fujitsu Limited データ損失を低減するアドホック系ネットワーク装置
JP4640812B2 (ja) * 2005-09-29 2011-03-02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KR100705577B1 (ko) * 2005-12-27 2007-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ad-hoc 네트워크에서의 패킷 스케줄링 방법 및 그장치
CN101512973A (zh) * 2006-08-29 2009-08-19 高通股份有限公司 在多个无线局域网中同时操作
CN101652766B (zh) 2006-09-14 2012-07-04 马维尔国际贸易有限公司 自组织网络功率节省系统和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63702A (ja) * 2003-06-02 2004-12-24 Seiko Epson Corp 通信制御システム、マスタ通信端末、スレーブ通信端末、マスタ通信端末用プログラム及びスレーブ通信端末用プログラム、並びに通信制御方法
JP2007528641A (ja) * 2003-12-19 2007-10-11 モトローラ・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リアルタイム通信のための無線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ハイブリッド省電力送出方法
EP1681806A1 (en) * 2005-01-18 2006-07-19 Marvell World Trade Ltd. New WLAN TDM protoc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032A (ko) 2009-08-06
WO2008033438A2 (en) 2008-03-20
TW200826550A (en) 2008-06-16
CN101652766A (zh) 2010-02-17
TWI426740B (zh) 2014-02-11
CN101652766B (zh) 2012-07-04
JP5090455B2 (ja) 2012-12-05
CN102740425A (zh) 2012-10-17
US20130010665A1 (en) 2013-01-10
EP2069953A2 (en) 2009-06-17
CN102740425B (zh) 2015-12-16
US8830891B2 (en) 2014-09-09
US20080069021A1 (en) 2008-03-20
US8315193B2 (en) 2012-11-20
WO2008033438A3 (en) 2008-05-29
EP2069953B1 (en) 2017-01-25
JP2010504029A (ja) 2010-02-04
EP2069953A4 (en) 2012-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9118B1 (ko) 애드혹 네트워크 절전 시스템 및 방법
US11044670B2 (en) Unscheduled peer power save mode
JP4921558B2 (ja) 無線lan用のdlsメカニズム
JP6271470B2 (ja) データフェッチ時間と、データ終了指示と、モアデータ肯定応答とを用いた省電力
US7881755B1 (en) Wireless LAN power savings
US8964550B1 (en) AD-hoc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th variable ATIM window
US96682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luetooth low energy suspend and resume
JP2017532864A (ja) ワイヤレス電力および性能を最適化するための協調的な要求ベースのデュアルモードWi−Fiネットワーク制御
TW201507517A (zh) 資訊處理裝置及資訊處理方法
US11310735B2 (en) Apparatus to save power smartly from Bluetooth audio visual remote control protocol notifications
US8380203B1 (en) Enhanced WLAN association for roaming
US8014369B2 (en) Adaptive power management methods and systems for wireless networks
WO2019028866A1 (zh) 数据传输方法及相关产品
WO2019028876A1 (zh) 数据传输方法及相关产品
WO2019028872A1 (zh) 数据传输方法及相关产品
US11457407B2 (en) Reliable multicast/broadcast transmission sche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