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8067B1 - 관리 장치, 설비 기기용 장치 및 통신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관리 장치, 설비 기기용 장치 및 통신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8067B1
KR101178067B1 KR1020107012637A KR20107012637A KR101178067B1 KR 101178067 B1 KR101178067 B1 KR 101178067B1 KR 1020107012637 A KR1020107012637 A KR 1020107012637A KR 20107012637 A KR20107012637 A KR 20107012637A KR 101178067 B1 KR101178067 B1 KR 101178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tification
equipment
command
prohibi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2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6065A (ko
Inventor
세이지 카와이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76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6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8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8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5Retrieval of network configuration; Tracking network configuration history
    • H04L41/0853Retrieval of network configuration; Tracking network configuration history by actively collect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r by backing up configuration inform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6Improving electric energy efficiency or sa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2Discovery or management of network topolog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one central controller connected to several sub-cont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네트워크를 통하여 복수의 설비 기기(40)를 관리하는 관리 장치(10)이고, 통보 수신부(11)와 기억부(12)와 등록 판정부(13)와 통보 금지 지령 작성부(14)와 지령 송신부(19)를 구비한다. 통보 수신부(11)는, 설비 기기로부터 통보를 수신한다. 기억부(12)는, 설비 기기의 식별 정보와 설비 기기의 등록의 유무를 나타내는 등록 정보를 보지(保持)한다. 등록 판정부(13)는, 통보 수신부(11)에 의하여 통보를 수신한 경우, 식별 정보 및 등록 정보를 참조하여, 설비 기기의 등록의 유무를 판정한다. 통보 금지 지령 작성부(14)는, 설비 기기(40)의 등록이 없다고 판정된 경우, 통보 금지 지령을 작성한다. 지령 송신부(19)는, 통보 금지 지령을 설비 기기로 송신한다.

Description

관리 장치, 설비 기기용 장치 및 통신 제어 방법{MANAGEMENT DEVICE, EQUIPMENT ITEM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설비 기기용 장치, 관리 장치, 설비 기기 관리 시스템, 설비 기기 및 관리 장치 간의 통신 제어 방법 및 통신 제어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복수의 장소에 설치된 설비 기기를, 외부 네트워크를 통하여 관리 센터에 접속하고, 원격 관리하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4-005496호
설비 기기가 각 유저의 장소에 설치된 후, 네트워크에 접속되면, 관리 센터와의 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그 후, 관리 센터가 설치된 설비 기기를 식별할 수 있도록, 관리 센터 측에서 설비 기기를 등록하는 처리가 행하여진다. 이 등록은, 예를 들어, 설비 기기의 시운전을 통하여 행하여진다.
한편, 설비 기기는 미등록이라도, 관리 센터와 통신 가능한 상태가 되면, 그 기기에 관한 정보를 관리 센터로 송신(이하, 통보라고 부른다)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통보는, 성공할 때까지 리트라이(retry)된다.
따라서, 설비 기기가 설치되고 네트워크에 접속된 후, 시운전이 행하여지기 전은, 관리 센터는, 미등록의 설비 기기로부터의 통보를 수신하게 된다. 그러나, 관리 센터는 미등록의 설비 기기를 식별할 수 없기 때문에, 설비 기기 측에 대하여 통보가 실패이다 등의 리스폰스(response)를 회신하게 된다. 이 리스폰스에 대하여, 설비 기기는 리트라이를 반복하게 된다. 이 결과, 설비 기기와 관리 센터의 사이에서 불필요한 네트워크 트래픽이 발생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설비 기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불필요한 네트워크 트래픽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 발명에 관련되는 관리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복수의 설비 기기를 관리하는 관리 장치이고, 통보 수신부와 기억부와 등록 판정부와 통보 금지 지령 작성부와 지령 송신부를 구비한다. 통보 수신부는 설비 기기로부터 통보를 수신한다. 기억부는, 설비 기기의 식별 정보와, 설비 기기의 등록의 유무를 나타내는 등록 정보를 보지(保持)한다. 등록 판정부는, 통보 수신부에 의하여 통보를 수신한 경우, 식별 정보 및 등록 정보를 참조하여, 설비 기기의 등록의 유무를 판정한다. 통보 금지 지령 작성부는, 설비 기기의 등록이 없다고 판정된 경우, 통보 금지 지령을 작성한다. 지령 송신부는, 통보 금지 지령을 설비 기기로 송신한다.
여기서, 관리 장치가 설비 기기로부터 통보를 수신하는 것이나 설비 기기로 송신하는 것에는, 설비 기기의 일부에 짜 넣어진 장치(어댑터 장치 등) 혹은 별도로 설치되고 설비 기기에 접속되는 장치와의 송수신이 포함된다.
여기에서는, 미등록의 설비 기기로부터의 통보를 억제하는 것에 의하여, 관리 장치와 설비 기기의 사이의 불필요한 네트워크 트래픽을 제외할 수 있다.
제2 발명에 관련되는 관리 장치는, 제1 발명에 관련되는 관리 장치이고, 설비 기기가 통보 금지 상태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통보 금지 정보를 보지하는 제2의 기억부와, 통보 금지 정보를 참조하여, 설비 기기가 통보 금지 상태에 있는지 여부의 판정을 행하고, 동 판정에 따라 통보 금지 정보를 갱신하는 통보 금지 상태 판정부를 더 구비한다.
여기에서는, 관리 장치 측에 있어서, 설비 기기의 상태, 즉 설비 기기가 통보 금지 상태에 있는지 여부의 정보를 적의(適宜) 갱신할 수 있다.
제3 발명에 관련되는 관리 장치는, 제1 발명에 관련되는 관리 장치이고, 통보 수신부가 제2의 통보를 수신한 경우, 설비 기기의 통보 금지 상태의 해제 지령을 작성하는 해제 지령 작성부를 더 구비한다. 또한, 지령 송신부는, 해제 지령을 설비 기기로 송신한다.
여기서, 제2의 통보란, 예를 들어 통보 상태 금지 상태에 있는 설비 기기로부터 강제적으로 송신되는 통보를 말한다.
여기에서는, 통보 금지 상태에 있는 설비 기기를 신속하게 통보 가능한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제4 발명에 관련되는 관리 장치는, 제1 발명에 관련되는 관리 장치이고, 등록 판정부가 설비 기기의 등록이 있다고 판정한 경우이고, 또한 통보 금지 상태 판정부가 설비 기기가 통보 금지 상태에 있다고 판정한 경우, 설비 기기의 통보 금지 상태의 해제 지령을 작성하는 해제 지령 작성부를 더 구비한다. 또한, 지령 송신부는, 해제 지령을 설비 기기로 송신한다.
여기에서는, 통보 금지 상태에 있는 설비 기기를 신속하게 통보 가능한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제5 발명에 관련되는 설비 기기용 장치는, 설비 기기에 접속되고, 네트워크를 통하여 관리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설비 기기용 장치이고, 지령 수신부와 통보 송신부와 통보 금지 실행부를 구비한다. 지령 수신부는, 관리 장치로부터 지령을 수신한다. 통보 송신부는, 관리 장치로의 통보를 소정 시간 간격으로 송신한다. 통보 금지 실행부는, 관리 장치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관리 장치로의 통보를 금지한다.
여기서, 설비 기기에 접속되는 설비 기기용 장치란, 설비 기기의 일부에 짜 넣어진 장치(어댑터 장치 등)나 별도로 설치되고 설비 기기에 접속되는 장치를 포함한다.
제6 발명에 관련되는 설비 기기용 장치는, 제5 발명에 관련되는 설비 기기용 장치이고, 통보 금지 실행부에 의한 통보 금지 후, 소정 시간 후에 통보 금지 상태를 해제하는 통보 금지 해제부를 더 구비한다.
여기에서는, 통보 금지 상태를 소정 시간 후에 해제하도록 설정하는 것에 의하여, 잘못하여 통보 금지 상태를 계속하고 있었다고 하여도, 확실히 통보 가능한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제7 발명에 관련되는 설비 기기용 장치는, 설비 기기에 접속되고, 네트워크를 통하여 관리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설비 기기용 장치이고, 지령 수신부와 통보 금지 실행부와 통보 금지 해제부와 통보 송신부를 구비한다. 지령 수신부는, 관리 장치로부터 지령을 수신한다. 통보 금지 실행부는, 관리 장치로의 통보를 금지한다. 통보 금지 해제부는, 관리 장치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통보 금지 실행부에 의한 통보 금지 상태를 해제한다. 통보 송신부는, 관리 장치로의 통보를 송신한다.
제8 발명에 관련되는 설비 기기용 장치는, 제5 또는 제7 발명에 관련되는 설비 기기용 장치이고, 지령 수신부는, 설비 기기를 위한 시운전 프로그램으로부터의 지령을 수신하고, 통보 송신부는, 시운전 프로그램으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강제적으로, 관리 장치에 대하여 제2의 통보를 송신한다.
여기에서는, 시운전 완료 후 통보 금지 상태에 있는 설비 기기를 신속하게 통보 가능한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삭제
제10 발명에 관련되는 통신 제어 방법은, 복수의 설비 기기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관리하는 관리 장치와, 설비 기기에 접속되고 관리 장치와의 통신을 행하는 설비 기기용 장치의 사이의 통신 제어 방법이고, 통보 송신 스텝과 통보 수신 스텝과 등록 판정 스텝과 통보 금지 지령 작성 스텝과 지령 송신 스텝과 지령 수신 스텝과 통보 금지 스텝을 구비한다. 통보 송신 스텝에서는, 설비 기기용 장치가 관리 장치로의 통보를 소정 시간 간격으로 송신한다. 통보 수신 스텝에서는, 관리 장치가 설비 기기용 장치로부터 통보를 수신한다. 등록 판정 스텝에서는, 관리 장치가 통보를 수신한 경우, 미리 기억된 설비 기기의 식별 정보 및 설비 기기의 등록의 유무를 나타내는 등록 정보를 참조하여, 설비 기기의 등록의 유무를 판정한다. 통보 금지 지령 작성 스텝에서는, 관리 장치는, 설비 기기의 등록이 없다고 판정한 경우, 통보 금지 지령을 작성한다. 지령 송신 스텝에 있어서는, 관리 장치가 통보 금지 지령을 설비 기기용 장치로 송신한다. 지령 수신 스텝에 있어서는, 설비 기기용 장치가 관리 장치로부터 통보 금지 지령을 수신한다. 통보 금지 스텝에 있어서는, 설비 기기용 장치는, 통보 금지 지령을 수신하면, 통보의 송신을 금지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설비 기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불필요한 네트워크 트래픽을 제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조 관리 시스템의 개략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조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되는 관리 장치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공조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공조 관리 시스템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관련되는 어댑터 장치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관련되는 어댑터 장치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1. 실시예
1.1. 공조 관리 시스템의 개략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조 관리 시스템(1)에 의하여 실행되는 처리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조 관리 시스템(1)의 전체 구성도이다. 공조 관리 시스템(1)은, 도 1 및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건물 내에 설치되는 설비 기기의 하나인 공조기(40, 예를 들어, 실내기나 실외기)와, 그 공조기(40)에 설치된 어댑터 장치(20)와, 원격의 관리 센터에 설치되고, 어댑터 장치(20)와, 네트워크(50)를 통하여 통신 가능하게 설치된 관리 장치(10)를 구비한다. 네트워크(50)는 인터넷 등의 외부 네트워크나 LAN 등의 내부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덧붙여, 도시에서는 생략하고 있지만, 관리 장치(1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에 있는 복수의 건물에 설치된 복수의 공조기(40)를 관리한다.
공조 관리 시스템(1)에 있어서, 어댑터 장치(20)는, 공조기(40)와 함께 설치된 후, 네트워크(50)에 접속된다. 이 네트워크 접속 후, 어댑터 장치(20)는, 관리 센터에 있어서의 관리 장치(10)와 통신 가능한 상태가 되어, 통보를 개시한다.
이 통보는, 예를 들어 공조기(40)의 구성 정보나 어댑터 장치(20)에 관한 정보, 혹은 공조기(40)의 운전 정보 등이며, 공조기의 관리나 감시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어댑터 장치(20)로부터 통보를 받은 관리 장치(10)는, 어댑터 장치(20)에 접속되는 공조기(40)가 관리 장치(10)에 있어서 등록된 것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등록 판정). 관리 장치(10)는, 동 공조기(40)가 미등록이면, 어댑터 장치(20)에 대하여 통보 금지 지령을 송신한다. 통보 금지 지령을 받은 어댑터 장치(20)는, 관리 장치(10)로의 통보를 멈춘다.
그 후, 시운전 등을 통하여 관리 장치(10)로의 공조기(40)의 등록을 행한다. 통보 금지 상태에 있는 어댑터 장치(20)는, 강제적으로 관리 장치(10)에 대하여 통보를 행한다. 이 강제 통보를 받은 관리 장치(10)는, 어댑터 장치(20)에 대하여 통보 금지 해제 지령을 송신한다. 어댑터 장치(20)는, 이 통보 금지 해제 지령에 의하여, 통보 금지 상태를 풀고, 통보를 개시한다. 이 통보를 받은 관리 장치(10)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등록 판정을 행하고, 공조기(40)가 등록이 끝난 것이라고 판정하여, 동 통보를 유효한 것으로 하여 수신한다.
덧붙여, 어댑터 장치(20) 및 공조기(40)는 건물 내의 내부 네트워크 상에 있다. 시큐어리티 상 등의 관점으로부터, 어댑터 장치(20)와 관리 장치(10)의 접속은, 어댑터 장치(20)로부터 접속 요구하고, 관리 장치(10)가 응답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1.2. 관리 장치
도 2는,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조 관리 시스템(1)의 전체 구성도이며, 관리 장치(10) 및 어댑터 장치(20)의 각 구성을 도시한다.
관리 장치(10)는, 통보 수신부(11)와 기억부(12)와 등록 판정부(13)와 통보 금지 지령 작성부(14)와 통보 금지 상태 판정부(15)와 해제 지령 작성부(16)를 포함한다.
통보 수신부(11)는, 어댑터 장치(20)로부터 네트워크(50)를 통하여 송신되는 통보를 수신한다. 이 통보는, 예를 들어 공조기(40)의 구성 정보나 어댑터 장치(20)에 관한 정보, 혹은 공조기(40)의 운전 정보 등의 통상 통보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어댑터 장치(20)가 통보 금지 상태에 있을 때에 어댑터 장치(20)가 강제적으로 발신하는 강제 통보를 포함한다. 통보 수신부(11)는, 통보가 강제 통보인 경우, 식별 정보나 등록 정보를 참조한 다음 공조기를 특정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해제 지령을 작성한다.
기억부(12)는, 식별 정보, 등록 정보 및 통보 금지 정보를 기억한다. 식별 정보는, 각 공조기(40)의 식별 정보이며, 예를 들어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이다. 등록 정보는, 공조기(40)가 관리 장치(10)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등록 정보에는, 공조기(40)의 유저 정보나 관리자 정보가 포함된다. 이 공조기(40)의 등록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시운전을 통하여 행하여진다. 통보 금지 상태 판정부(15)는, 어댑터 장치(20)로부터의 통보가 금지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플래그(flag)의 유무 등에 의하여 나타낸 것이다.
등록 판정부(13)는, 통보 수신부(11)로부터의 통상 통보를 받아, 기억부(12)의 식별 정보 및 등록 정보를 참조하여 공조기(40)를 특정하는 것과 함께, 그 공조기(40)가 관리 장치(10)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통보 금지 지령 작성부(14)는, 등록 판정부(13)에 의한 공조기(40)의 미등록이라는 판정을 받아, 통보 금지 지령을 작성한다. 이 통보 금지 지령은, 어댑터 장치(20)에 대하여 통보 실패의 통지와 통보 송신을 금지 상태로 하는 지령을 포함한다.
통보 금지 상태 판정부(15)는, 통보 금지 지령이 작성되는 것을 받아, 당해 어댑터 장치(20)가 통보 금지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동 판정에 따라 기억부(12)의 통보 금지 정보를 갱신한다. 구체적으로는, 통보 금지 정보에 의하여 당해 어댑터 장치(20)가 통보 금지 상태에 있는 경우(예를 들어, 통보 금지 정보에 플래그 있음의 경우)는, 갱신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갱신하지 않는다. 한편, 당해 어댑터 장치(20)가 통보 금지 상태에 없는 경우(예를 들어, 통보 금지 정보에 플래그 없음의 경우)는, 통보 금지 정보를 있음으로 하도록 갱신한다. 또한, 통보 금지 상태 판정부(15)는, 후술하는 해제 지령 작성부(16)의 해제 지령 작성을 받아, 통보 금지 정보를 갱신한다. 구체적으로는, 통보 금지 정보에 플래그가 있을 경우는, 통보 금지 정보에 플래그 없음으로 하여 통보 금지 정보를 갱신한다.
해제 지령 작성부(16)는, 통보 수신부(11)로부터의 강제 통보를 받아, 어댑터 장치(20)의 통보 금지 상태를 해제하는 지령을 작성한다.
지령 송신부(19)는, 어댑터 장치(20)로부터의 통보에 대한 응답으로서, 통보 금지 지령 작성부(14)에 의하여 작성된 통보 금지 지령이나, 해제 지령 작성부(16)에 의하여 작성된 해제 지령을, 어댑터 장치(20)로 송신한다.
덧붙여, 관리 장치(10)의 하드웨어 상의 구성에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것이다. 기억부(12)는 메모리이다. 통보 수신부(11), 등록 판정부(13), 통보 금지 지령 작성부(14), 통보 금지 상태 판정부(15), 해제 지령 작성부(16) 및 지령 송신부(19)는, 메모리에 인스톨된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 CPU가 제어나 연산을 실행하는 것에 의하여 실현된다.
1.3. 어댑터 장치
어댑터 장치(20)는, 공조기(40) 내에 장착되거나, 혹은 공조기(40)에 접속되어, 공조기(40)에 관한 정보를 관리 장치(10)로 송신하는 기능, 즉 통보 기능을 가진다.
어댑터 장치(20)는, 지령 수신부(21)와 메모리(22)와 통보 실행부(23)와 통보 금지 실행부(24)와 해제부(25)와 타이머(26)와 통보 송신부(29)를 가진다.
지령 수신부(21)는, 네트워크(50)를 통하여 관리 장치(10)로부터 송신되는 지령을 수신한다.
통보 실행부(23)는, 공조기(40)로부터 취득한 정보로부터 통상 통보를 생성한다. 통보 금지 실행부(24)는, 지령 수신부(21)를 통하여 수신한 통보 금지 지령에 따라, 통상 통보의 생성을 금지한다. 해제부(25)는, 통보 금지 실행부(24)에 의한 통상 통보의 금지 상태를 해제한다. 이 때, 타이머(26)는, 통보 금지 상태의 시간을 계측하고, 소정 시간이 경과 후(예를 들어, 24시간 경과 후)에, 해제부(25)가 자동적으로 통보 금지 상태를 해제하도록 한다.
통보 송신부(29)는, 통보 실행부(23)에 의하여 생성된 통상 통보를 관리 장치(10)로 송신한다.
덧붙여, 지령 수신부(21)와 통보 실행부(23)와 통보 금지 실행부(24)와 해제부(25)와 타이머(26)와 통보 송신부(29)는, 예를 들어, 메모리(22)에 인스톨된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 CPU가 제어나 연산을 실행하는 것에 의하여 실현된다.
1.4. 시운전 프로그램
시운전 프로그램(31)은, 어댑터 장치(20)에 접속된 PC(컴퓨터 단말, 30)에 인스톨되고, 동 PC 상에서 기동한다. 시운전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하여, 공조기(40)의 시운전이 실행된다.
나아가, 시운전 프로그램은, PC(30)로부터 관리 장치(10)로 액세스하고, 공조기(40)의 등록 처리가 행하여진다. 등록 완료 후, 시운전 프로그램은, 어댑터 장치(20)에 대하여 강제 통보를 내리도록 지령한다. 통보 금지 상태의 어댑터 장치(20)는, 이 지령에 기초하여, 관리 장치(10)로의 통보를 강제적으로 송신한다(강제 통보의 송신). 보다 구체적으로는, 통보 금지 상태의 어댑터 장치(20)는, 이 지령에 따라 관리 장치(10)로부터의 지령을 취하러 가고, 그 지령에 따라 관리 장치(10)로 강제 통보를 송신한다.
덧붙여, 시운전 프로그램은 PC(30)에 인스톨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관리 장치(10)나 그 밖의 외부 기기에 인스톨된 것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1.5. 공조 관리 시스템의 처리
도 3은,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관리 장치(10)를 주체로 한 처리 동작을 플로차트로 도시한 것이다.
S101 스텝:통보 수신부(11)가 어댑터 장치(20)로부터 통보를 수신한다.
S102 스텝:통보 수신부(11)는, 수신한 통보가 강제 통보인지 통상 통보인지를 판정한다. 강제 통보인 경우는, S107 스텝으로 진행되고, 통상 통보인 경우는 S103 스텝으로 진행된다.
S103 스텝:등록 판정부(13)는, 통보한 어댑터 장치(20)가 설치된 공조기(40)가, 관리 장치(10)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등록되어 있는 경우는 S109 스텝으로 진행되고, 미등록인 경우는 S104 스텝으로 진행된다.
S104 스텝:통보 금지 지령 작성부(14)는, 미등록의 판정을 받아 통보 금지 지령을 작성하고, 지령 송신부(19)는, 통상 통보에 대한 응답으로서 통보 금지 지령을 어댑터 장치(20)로 송신한다.
S105 스텝:통보 금지 상태 판정부(15)는, 통보 금지 지령 작성을 받아, 기억부(12)의 통보 금지 정보를 참조하는 것에 의하여, 당해 어댑터 장치(20)가 통보 금지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통보 금지 상태에 있는 경우는 처리를 종료하고, 통보 금지 상태에 없는 경우는 S106 스텝으로 진행된다.
S106 스텝:통보 금지 상태 판정부(15)는, 그 판정에 따라 통보 금지 정보를 갱신한다. 구체적으로는, 당해 어댑터 장치(20)는 통보 금지 상태로 해야 하기 때문에, 통보 금지 정보의 플래그를 있음으로 하도록 갱신한다.
S107 스텝:S102 스텝에 있어서, 수신한 통보가 강제 통보인 경우, 해제 지령 작성부(16)는, 어댑터 장치(20)의 통보 금지 상태를 해제하는 지령을 작성한다. 지령 송신부(19)는, 강제 통보에 대한 응답으로서 그 해제 지령을 어댑터 장치(20)로 송신한다.
S108 스텝:통보 금지 상태 판정부(15)는, 통보 금지 정보를 갱신한다. 구체적으로는, 통보 금지 정보에 플래그가 있을 경우는, 통보 금지 정보에 플래그 없음으로 하여 통보 금지 정보를 갱신한다.
S109 스텝:S103 스텝에 있어서 통보해 온 어댑터 장치(20)의 공조기(40)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 혹은 S102 스텝에 있어서 강제 통보라고 판정된 경우는, 관리 장치(10)는, 통보를 유효한 것으로 하여 처리한다.
덧붙여, 상기 처리는 일례이며, 그 처리 수순은 상기의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6. 본 실시예의 효과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조 관리 시스템(1)에 의하면, 공조기(40)가 설치되었지만 관리 장치(10)에 미등록인 경우, 관리 장치(10)로의 통보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관리 장치(10)와, 공조기(40)의 어댑터 장치(20)의 불필요한 네트워크 트래픽을 제외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장치(10)는, 어댑터 장치(20)로부터 강제 통보를 수신한 경우는, 통보 금지 해제 지령을 작성하여, 어댑터 장치(20)로 송신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하고 또한 간단하게 어댑터 장치(20)의 통보를 재개시킬 수 있다.
또한, 어댑터 장치(20) 측에서는, 소정 시간 후에 통보 금지 상태를 해제하기 때문에, 잘못하여 통보 금지 상태를 계속하고 있었다고 하여도, 확실히 통보 가능한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2. 변형예
2.1. 변형예 1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통보를 수신한 관리 장치(10)의 통보 수신부(11)는, 강제 통보와 통상 통보를 판별하지만,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보를 받으면 모두 등록 판정부(13)에서 등록의 유무를 판정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상술과 같이 PC(30) 상의 시운전 프로그램(31)에 의하여 공조기(40)의 등록은 완료한다. 따라서, 관리 장치(10)는, 강제 통보인지 여부를 판정하지 않고, 우선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등록이 끝나고 또한 당해 어댑터 장치(20)가 현재 통보 금지 상태에 있을 경우에는, 통보 금지 상태를 해제해야 하는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도 5는, 변형예 1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다.
S111 스텝:통보 수신부(11)가 어댑터 장치(20)로부터 통보를 수신한다.
S112 스텝:등록 판정부(13)는, 통보한 어댑터 장치(20)가 설치된 공조기(40)가, 관리 장치(10)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등록되어 있는 경우는 S116 스텝으로 진행되고, 미등록인 경우는 S113 스텝으로 진행된다.
S113 스텝:통보 금지 지령 작성부(14)는, 미등록의 판정을 받아 통보 금지 지령을 작성하고, 지령 송신부(19)는, 통보에 대한 응답으로서 통보 금지 지령을 어댑터 장치(20)로 송신한다.
S114 스텝:통보 금지 상태 판정부(15)는, 통보 금지 지령 작성을 받아, 기억부(12)의 통보 금지 정보를 참조하는 것에 의하여, 당해 어댑터 장치(20)가 통보 금지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통보 금지 상태에 있는 경우는 처리를 종료하고, 통보 금지 상태에 없는 경우는 S115 스텝으로 진행된다.
S115 스텝:통보 금지 상태 판정부(15)는, 그 판정에 따라 통보 금지 정보를 갱신한다. 구체적으로는, 당해 어댑터 장치(20)는 통보 금지 상태로 해야 하기 때문에, 통보 금지 정보의 플래그를 있음으로 하도록 갱신한다.
S116 스텝:S112 스텝에 있어서, 통보한 어댑터 장치(20)가 설치된 공조기(40)가 등록이 끝난 것이라고 판단된 경우, 통보 금지 상태 판정부(15)는, 기억부(12)의 통보 금지 정보를 참조하여, 통보 금지 정보의 유무를 판정한다. 통보 금지 정보에 플래그가 있을 경우는, S117 스텝으로 진행되고, 없는 경우는 S119 스텝으로 진행된다.
S117 스텝:통보 금지 상태에 있는 경우(통보 금지 정보에 플래그가 있는 경우)는, 해제 지령 작성부(16)에 의하여 통보 금지 해제 지령을 작성한다. 통보 금지 해제 지령은, 통보에 대한 응답으로서 지령 송신부(19)를 통하여 어댑터 장치(20)로 송신된다.
S118 스텝:통보 금지 상태 판정부(15)는, 통보 금지 정보를 갱신한다. 구체적으로는, 통보 금지 정보에 플래그가 있을 경우는, 통보 금지 정보에 플래그 없음으로 하여 통보 금지 정보를 갱신한다.
S119 스텝:관리 장치(10)는, 통보를 유효한 것으로 하여 처리한다.
덧붙여, 상기 처리는 일례이며, 그 처리 수순은 상기의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2.2. 변형예 2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어댑터 장치(20)는, 초기 상태, 즉 설치 시에 있어서는 통보 가능한 상태이다. 이것에 대신하여,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어댑터 장치(20)는, 초기 상태가 통보 금지 상태인 구성을 가지고 있어도 무방하다.
도 7은, 변형예 2에 관련되는 어댑터 장치(20)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다.
S121 스텝:시운전이 완료한다. 이 경우, 시운전 프로그램은,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PC(30)로부터 관리 장치(10)로 액세스하여, 공조기(40)의 등록 처리가 행하여진다. 등록 완료 후, 시운전 프로그램은, 어댑터 장치(20)에 대하여 강제 통보를 내리도록 지령한다.
S122 스텝:통보 금지 상태의 어댑터 장치(20)는, 시운전 완료에 수반하는 S121 스텝의 강제 통보의 지령에 기초하여, 통보 송신부(29)로부터 관리 장치(10)로의 통보를 강제적으로 송신한다.
S123 스텝:어댑터 장치(20)의 지령 수신부(21)는, 관리 장치(10)로부터 통보 금지 해제 지령을 수신한다. 덧붙여, S122 스텝과 S123 스텝의 사이에 행하여지는 관리 장치(10) 측의 처리는, 상기 실시예에 관련되는 도 2 및 3에 도시하는 처리, 혹은 변형예 1에 관련되는 도 4 및 5의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S124 스텝:S123 스텝의 지령을 수신하는 것에 의하여, 어댑터 장치(20)의 해제부(25)는 통보 금지 실행부(24)에 대하여 통보 금지 상태의 해제를 행한다. 이 해제에 의하여, 통보 실행부(23)는 통보 가능한 상태로 되고, 통보 송신부(29)를 통하여 통보를 행한다.
덧붙여, 상기 처리는 일례이며, 그 처리 수순은 상기의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2.3. 그 밖의 변형예
2.3.1.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어댑터 장치(20)를 장착하는 대상의 기기로서 공조기(40)를 예로 들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설비 기기이고 네트워크의 노드(node)로 될 수 있는 것이면 모두 포함된다.
2.3.2.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어댑터 장치(20)를 예시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설비 기기에 장착되거나 혹은 접속되는 장치이면, 어떠한 태양(態樣)이라도 무방하다.
2.3.4.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어댑터 장치(20)는 해제부(25) 및 타이머(26)를 구비하고, 소정 시간 후 통보 금지 상태를 해제하고 있지만, 이들을 설치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시운전이 완료할 때까지 통보 금지 상태를 유지시켜도 무방하다.
2.3.5.
상기 실시예 및 상기 변형예에 있어서는, 관리 장치(10)의 지령 송신부(19)는, 어댑터 장치(20)로부터의 통보에 대한 응답으로서, 그 지령을 어댑터 장치(20)로 송신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관리 장치(10)로부터 어댑터 장치(20)에 접속 요구를 하여 지령을 송신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해제 지령에 관해서는, 시운전 프로그램의 실행 중에 있어서, 어댑터 장치(20)가 관리 장치(10)에 대하여 제어 파일을 취득할 때에, 송신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은, 설비 기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네트워크 트래픽의 삭감을 행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가지고, 설비 기기용 장치, 관리 장치, 설비 기기 관리 시스템, 설비 기기 및 관리 장치 간의 통신 제어 방법 및 통신 제어 프로그램으로서 유용하다.
1: 공조 관리 시스템(설비 기기 관리 시스템)
10: 관리 장치
11: 통보 수신부
12: 기억부
13: 등록 판정부
14: 통보 금지 지령 작성부
15: 통보 금지 상태 판정부
16: 해제 지령 작성부
19: 지령 송신부
20: 어댑터 장치(설비 기기용 장치)
21: 지령 수신부
22: 메모리
23: 통보 실행부
24: 통보 금지 실행부
25: 해제부(통보 금지 해제부)
26: 타이머
30: PC
31: 시운전 프로그램
40: 공조기(설비 기기)
50: 네트워크

Claims (10)

  1. 네트워크를 통하여 복수의 설비 기기(40)를 관리하는 관리 장치(10)이고,
    상기 설비 기기(40)로부터 통보를 수신하는 통보 수신부(11)와,
    상기 설비 기기(40)의 식별 정보와, 상기 설비 기기(40)의 등록의 유무를 나타내는 등록 정보를 보지(保持)하는 기억부(12)와,
    상기 통보 수신부에 의하여 통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등록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설비 기기(40)의 등록의 유무를 판정하는 등록 판정부(13)와,
    상기 설비 기기(40)의 등록이 없다고 판정된 경우, 통보 금지 지령을 작성하는 통보 금지 지령 작성부(14)와,
    상기 통보 금지 지령을 상기 설비 기기(40)로 송신하는 지령 송신부(19)
    를 구비하는,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 기기(40)가 통보 금지 상태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통보 금지 정보를 보지하는 제2의 기억부(12)와,
    상기 통보 금지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설비 기기(40)가 통보 금지 상태에 있는지 여부의 판정을 행하고, 상기 판정에 따라 상기 통보 금지 정보를 갱신하는 통보 금지 상태 판정부(15)
    를 더 구비하는, 관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보 수신부(11)가 제2의 통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설비 기기(40)의 통보 금지 상태의 해제 지령을 작성하는 해제 지령 작성부(16)
    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령 송신부(19)는, 상기 해제 지령을 상기 설비 기기로 송신하는,
    관리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판정부(13)가 상기 설비 기기(40)의 등록이 있다고 판정한 경우이고, 또한 상기 통보 금지 상태 판정부(15)가 상기 설비 기기(40)가 상기 통보 금지 상태에 있다고 판정한 경우, 상기 설비 기기(40)의 통보 금지 상태의 해제 지령을 작성하는 해제 지령 작성부(16)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령 송신부(19)는, 상기 해제 지령을 상기 설비 기기(40)로 송신하는,
    관리 장치.
  5. 설비 기기(40)에 접속되고, 네트워크(50)를 통하여 관리 장치(10)와 통신을 행하는 설비 기기용 장치(20)이고,
    상기 관리 장치(10)로부터 지령을 수신하는 지령 수신부(21)와,
    상기 관리 장치(10)로의 통보를 소정 시간 간격으로 송신하는 통보 송신부(29)와,
    상기 지령에 따라, 상기 관리 장치(10)로의 상기 통보를 금지하는 통보 금지 실행부(24)
    를 구비하는, 설비 기기용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보 금지 실행부(24)에 의한 통보 금지 후, 소정 시간 후에 상기 통보 금지 상태를 해제하는 통보 금지 해제부(25)
    를 더 구비하는, 설비 기기용 장치.
  7. 설비 기기(40)에 접속되고, 네트워크(50)를 통하여 관리 장치(10)와 통신을 행하는 설비 기기용 장치(20)이고,
    상기 관리 장치(10)로부터 지령을 수신하는 지령 수신부(21)와,
    상기 관리 장치(10)로의 통보를 금지하는 통보 금지 실행부(24)와,
    상기 지령에 따라, 상기 통보 금지 실행부(24)에 의한 통보 금지 상태를 해제하는 통보 금지 해제부(25)와,
    상기 관리 장치(10)로의 통보를 송신하는 통보 송신부(29)
    를 구비하는, 설비 기기용 장치.
  8. 제5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령 수신부(21)는, 상기 설비 기기(40)를 위한 시운전 프로그램(31)으로부터의 지령을 수신하고,
    상기 통보 송신부(29)는, 상기 시운전 프로그램(31)으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강제적으로, 상기 관리 장치(10)에 대하여 제2의 통보를 송신하는,
    설비 기기용 장치.
  9. 삭제
  10. 복수의 설비 기기(40)를 네트워크(50)를 통하여 관리하는 관리 장치(10)와, 상기 설비 기기(40)에 접속되고, 상기 관리 장치(10)와의 통신을 행하는 설비 기기용 장치(20)의 사이의 통신 제어 방법이고,
    상기 설비 기기용 장치(20)가 상기 관리 장치(10)로의 통보를 소정 시간 간격으로 송신하는 통보 송신 스텝과,
    상기 관리 장치(10)가 상기 설비 기기용 장치(20)로부터 상기 통보를 수신하는 통보 수신 스텝과,
    상기 관리 장치(10)가 상기 통보를 수신한 경우, 미리 기억된 상기 설비 기기(40)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설비 기기의 등록의 유무를 나타내는 등록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설비 기기(40)의 등록의 유무를 판정하는 등록 판정 스텝과,
    상기 관리 장치(10)는, 상기 설비 기기(40)의 등록이 없다고 판정한 경우, 통보 금지 지령을 작성하는 통보 금지 지령 작성 스텝과,
    상기 관리 장치(10)가 상기 통보 금지 지령을 상기 설비 기기용 장치(20)로 송신하는 지령 송신 스텝과,
    상기 설비 기기용 장치(20)가 상기 관리 장치(10)로부터 상기 통보 금지 지령을 수신하는 지령 수신 스텝과,
    상기 설비 기기용 장치(20)는, 상기 통보 금지 지령을 수신하면, 상기 통보의 송신을 금지하는 통보 금지 스텝
    을 구비하는, 통신 제어 방법.
KR1020107012637A 2007-11-21 2008-11-18 관리 장치, 설비 기기용 장치 및 통신 제어 방법 KR1011780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302241A JP4281836B2 (ja) 2007-11-21 2007-11-21 設備機器用装置、管理装置、設備機器管理システム、設備機器及び管理装置間の通信制御方法及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JPJP-P-2007-302241 2007-11-21
PCT/JP2008/070886 WO2009066643A1 (ja) 2007-11-21 2008-11-18 設備機器用装置、管理装置、設備機器管理システム、設備機器及び管理装置間の通信制御方法及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6065A KR20100076065A (ko) 2010-07-05
KR101178067B1 true KR101178067B1 (ko) 2012-08-30

Family

ID=40667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2637A KR101178067B1 (ko) 2007-11-21 2008-11-18 관리 장치, 설비 기기용 장치 및 통신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00250724A1 (ko)
EP (1) EP2219384B1 (ko)
JP (1) JP4281836B2 (ko)
KR (1) KR101178067B1 (ko)
CN (1) CN101868980B (ko)
AU (1) AU2008327246B2 (ko)
ES (1) ES2778862T3 (ko)
WO (1) WO20090666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12243B (zh) * 2012-06-26 2018-03-30 三菱电机株式会社 设备管理系统、设备管理装置以及设备管理方法
JP6021768B2 (ja) * 2013-09-09 2016-11-09 三菱電機株式会社 空調システム
JP6147355B2 (ja) * 2013-11-13 2017-06-14 三菱電機株式会社 監視システム、通信アダプタ、監視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5262773B (zh) * 2015-11-09 2019-03-08 北京世纪龙脉科技有限公司 一种物联网系统的验证方法及装置
JP6584533B2 (ja) * 2016-02-17 2019-10-02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システム
CN109790991B (zh) * 2016-09-30 2021-05-25 大金工业株式会社 机器设备管理系统、空调机管理系统、通信条件调整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5101A (ja) 1997-07-25 1999-02-16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監視制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0692A (ja) * 1992-01-31 1993-08-20 Fujitsu Ltd 集中監視制御方法
JP3113422B2 (ja) * 1992-11-11 2000-11-27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アドレス自動設定方式
SE503155C2 (sv) * 1994-07-28 1996-04-01 Comasec International Sa Sätt och anordning för funktionskontroll vid andningsapparat
JP3379357B2 (ja) * 1995-11-17 2003-02-24 三菱電機株式会社 空調機
US6115607A (en) * 1998-01-30 2000-09-0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messaging traffic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00266390A (ja) * 1999-03-18 2000-09-29 Mitsubishi Electric Corp 空調機の遠隔制御システム
JP4875796B2 (ja) * 1999-07-30 2012-02-15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記憶媒体
DE19936596C1 (de) * 1999-08-04 2001-01-18 Daimler Chrysler Ag Verfahren zur Funktionsprüfung einer Fahrdynamikregelungssensorik
WO2002097542A1 (en) * 2001-05-31 2002-12-05 Omron Corporation Slave, network system, slav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information collection method
JP2003004281A (ja) * 2001-06-25 2003-01-08 Toho Gas Co Ltd Ghp遠隔監視装置
JP3733955B2 (ja) 2002-04-12 2006-01-1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設備機器の遠隔制御システム、設備機器コントローラおよびサーバ
JP4698129B2 (ja) * 2003-03-31 2011-06-08 シャープ株式会社 制御装置
US20040199493A1 (en) * 2003-04-04 2004-10-07 Tim Ruiz Method for registering a stream of domain names received via a registrar's web site
JP4311636B2 (ja) * 2003-10-23 2009-08-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記憶装置を複数の計算機で共用する計算機システム
GB0329857D0 (en) * 2003-12-23 2004-01-28 Nokia Corp User registr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GB0402894D0 (en) * 2004-02-10 2004-03-17 Nokia Corp Controlling communication sessions in a communication system
US7215944B2 (en) * 2004-09-29 2007-05-08 Cingular Wireless Ii, Llc Inhibiting system traffic from unregistered mobile stations
JP4690705B2 (ja) * 2004-11-19 2011-06-01 株式会社東芝 医用機器
US7889854B2 (en) * 2004-11-24 2011-02-15 Siemens Enterprise Communications Gmbh & Co. Kg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handling connectivity loss
JP2006157612A (ja) * 2004-11-30 2006-06-15 Toshiba Corp ネットワーク電話システムとこのネットワーク電話システムのサーバ装置及び電話端末
US8000455B1 (en) * 2004-12-09 2011-08-16 Callwav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call processing
ATE541393T1 (de) * 2005-04-01 2012-01-15 Ericsson Telefon Ab L M Verfahren zur einleitung von ims-basierter kommunikation
US7490341B2 (en) * 2005-06-07 2009-02-10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associated termina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irectional channel browsing of broadcast content
US20060277577A1 (en) * 2005-06-07 2006-12-07 Nokia Corporation Termina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erforming operations with respect to broadcast content
CN100382503C (zh) * 2005-06-20 2008-04-1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在用户注册过程中注册异常的处理方法
CN100379316C (zh) * 2005-07-05 2008-04-02 华为技术有限公司 传统终端用户接入ims域的实现方法及系统
KR20070026948A (ko) * 2005-08-29 2007-03-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Sms 미등록 해제 서비스 제공 방법
US8576833B2 (en) * 2006-12-15 2013-11-0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Fault tolerant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systems and methods to operate the same
US8094037B2 (en) * 2007-03-30 2012-01-10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n electronic appliance
ES2518994T3 (es) * 2007-04-20 2014-11-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ratamiento de identidades de usuario en el Subsistema Multimedia IP
US8959618B2 (en) * 2008-02-05 2015-02-17 Red Hat, Inc. Managing password expiry
US20090260064A1 (en) * 2008-04-15 2009-10-15 Problem Resolution Enterprise, Llc Method and process for registering a device to verify transactio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5101A (ja) 1997-07-25 1999-02-16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監視制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19384A1 (en) 2010-08-18
AU2008327246A1 (en) 2009-05-28
EP2219384A4 (en) 2018-04-04
AU2008327246B2 (en) 2012-10-11
JP4281836B2 (ja) 2009-06-17
ES2778862T3 (es) 2020-08-12
EP2219384B1 (en) 2019-12-25
CN101868980A (zh) 2010-10-20
CN101868980B (zh) 2012-11-07
WO2009066643A1 (ja) 2009-05-28
KR20100076065A (ko) 2010-07-05
JP2009129115A (ja) 2009-06-11
US20100250724A1 (en) 2010-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8067B1 (ko) 관리 장치, 설비 기기용 장치 및 통신 제어 방법
EP291136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ccess information for registration of device in smart home service
JP5278272B2 (ja) ネットワーク通信装置及びその自動再接続方法
JP5200807B2 (ja) モバイル端末、データ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6848426B2 (ja)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通信制御方法
JP695022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70078074A (ko)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lan 기지국 및 이를 위해이용되는 설정 내용 확인/변경 방법
KR20120038548A (ko) 중계 통신 시스템 및 액세스 관리 장치
JP4626443B2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ゲートウェイ装置、及びセンタサーバ
JP2008066992A (ja)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端局
CN105814861A (zh) 用于传输数据的设备和方法
JP2014211833A (ja) 冷凍サイクル機器の遠隔制御システム
KR101480596B1 (ko) 실명제 등록 상태를 획득하는 방법과 장치, 및 단말기
JP2006314138A (ja) 無線lan端末の無線lanへの参加制御方法及び無線lan基地局装置並びに無線lan端末装置
WO2018186204A1 (ja) 通信システム
KR102410024B1 (ko) 차량 인포테인먼트 관리 시스템
JP6575240B2 (ja) カラオケシステム、アドレスリースサーバ
JP6492667B2 (ja) 機器制御システム
WO2022244202A1 (ja) 通信アダプタ、空調システム、データ転送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519068B1 (ko) 통신액세스관리장치 및 통신액세스관리장치의 동작 방법
JP7395984B2 (ja) 無線ネットワーク通信装置設定システム
JP7120643B2 (ja) 中継装置、接続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通信システム
JP6969801B2 (ja) 無線通信装置、通信制御方法及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WO2009150805A1 (ja) 設備機器管理装置、設備機器管理システム及び設備機器管理方法
JP6988542B2 (ja) エッジ装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