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5365B1 - 스트레이너 - Google Patents

스트레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5365B1
KR101175365B1 KR1020050051566A KR20050051566A KR101175365B1 KR 101175365 B1 KR101175365 B1 KR 101175365B1 KR 1020050051566 A KR1020050051566 A KR 1020050051566A KR 20050051566 A KR20050051566 A KR 20050051566A KR 101175365 B1 KR101175365 B1 KR 101175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rod
strainer
main body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1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8386A (ko
Inventor
가즈미 무라까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벤
하라다 요이찌
유겐가이샤 세이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벤, 하라다 요이찌, 유겐가이샤 세이케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벤
Publication of KR20060048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8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5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5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4Seals or gaskets for filtering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가공정밀도를 과도하게 높이지 않고, 가압수단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여 제조원가를 줄이는 동시에 가압수단에 이물질이 끼어들어가지 않도록 하여 가압수단의 기능을 확실하게 발휘시킬 수 있도록 한다.
가압수단(P)을 본체(20)의 유로를 형성하는 내벽(30)에 형성되는 요부(80)와 한쪽끝(81)측에 요부(80)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철부(82)를 가지고 타단(84)측에 수나사(83)를 가진 로드(R)와 로드(R)에 형성되는 원추대부(85,86)와 로드(R)의 수나사(83)에 나사 맞춤하는 암나사(89)를 가지며, 상대회전에 의하여 로드(R)의 타단(84)측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88)와 요부(80)와 서로 대향하는 쪽의 내벽(30)에 형성되어 이동부재(88)를 계지하는 계지부(95)와 원추대부(85,86)의 원추면(85a, 86a)에 접촉하는 테이퍼면(61a, 61b)를 가지며, 로드(R)의 상대이동에 의하여 스크린(40)을 끝부지지부(35)의 스텝부(34)에 향하여 가압하는 가압부재(60)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였다.
Figure R1020050051566
스트레이너, 가압수단, 스크린

Description

스트레이너{Strainer}
도 1 본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스트레이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본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스트레이너를 도시한 도 1 중 A-A 선 단면도이다.
도 3 본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스트레이너를 도시한 도 1 중 B-B 선 단면도이다.
도 4 본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스트레이너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본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스트레이너의 차압검지를 하는 관로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본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스트레이너의 이동부재를 로드에 나사 맞춤한 상태를 도시하며, (a)돌조가 없는 쪽을 계지부에 향하게 한 상태, (b)돌조를 계지부로 향하게 한 상태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본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스트레이너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며, (a)는 가압수단에 의한 스크린의 가압 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b)는 가압수단에 의한 스크린의 가압 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본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스트레이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 본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스트레이너의 가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 본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스트레이너에 있어서 스크린을 장착할때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 종래의 스트레이너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종래의 스트레이너의 별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1, S2: 스트레이너 R: 로드
P: 가압수단 20: 본체
21: 유입구 21a, 22a: 플랜지
22: 유출구 23: 출입용 구멍
24: 덮개 25: 암나사
26: 볼트 26a: 너트
27: 패킹 30: 내벽
31, 32: 가이드 돌기 31a, 32a: 접촉면
34: 스텝부 35: 끝부지지부
40: 스크린 41: 개구
41a: 개구끝부 41b: 개구끝면
42: 저부 43: 컵체
44: 보강체 45: 손잡이
46: 네트 47: 접촉부재
60: 가압부재 61a, 61b: 테이퍼면
62: 링 64: 삽통구멍
65: 블록체 66: 세로기둥
67: 가로기둥 80: 요부
81: 한쪽끝 82: 철부
83: 수나사 84: 다른쪽끝
85, 86: 원추대부 85a, 86a: 원추면
87: 계합부 88: 이동부재
89: 암나사 90: 레버
91: 돌조 95: 계지부
100: 관로 101: 플로우검출기
105: 차압밸브 106: 1차 개구
107: 2차 개구 108: 구체
109: 탄성체 109a: 코일스프링
110: 원호면
본발명은 물, 기름 등의 유체가 흐르는 관로에 있어서 이 유체 내에 함유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스크린을 구비한 스트레이너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스트레이너로서는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평11-244622호공보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스트레이너(Sa)는 유입구(1) 및 유출구(2)를 가진 유로를 구비한 본체(3)와, 이 본체(3)의 유로 내에 형성된 개구(4) 및 저부(5)를 가진 컵형상의 스크린(6)과, 본체(3)의 측면에 설치되고 스크린(6)을 넣었다 뺏다(이하, 왕복운동이라 함) 하기 위한 출입용 구멍(7)과, 출입용 구멍(7)을 폐쇄하는 착탈가능한 덮개(8)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3)의 유입구(1)측의 유로를 형성하는 내벽 내주에는 스크린(6)의 개구끝부(4a)가 감입되는 감합부(9)가 형성되어 있다.
스크린(6)은 스테인레스 등으로 형성되고 펀칭 등의 수단으로 전체면에 복수의 여과용 작은구멍(10)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양끝외주(4b,5b)와 중간외주(6b)에 보강링(11)이 용접되어 있다. 그리고 스크린(6)의 중간외주(6b)의 보강링(11)의 위치에 보강링(11)과 함께 스크린(6)의 지름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멍(1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크린(6)은 스크린(6)의 중간외주(6b)를 본체(3)에 형성한 보스부(13)와 덮개(8)에 형성한 보스부(14)로 계지하고, 보스부(13)의 장착구멍(15)과 보스부(14)의 장착구멍(16)에 스크린(6)의 관통구멍(12)을 관통한 핀(17)을 박아서 이 스크린(6)을 그 축방향과 유로방향을 일치시켜서 본체(3)에 유지하고 있다.
이 스트레이너(Sa)에 의하면 본체(3)의 유입구(1)로부터 유입된 유체는 스크린(6)의 개구(4)로부터 스크린(6) 내로 들어가고, 스크린(6)의 저부(5)를 포함한 전체주위로부터 유출구(2)측으로 유출되고, 스크린(6)에 의하여 유체 내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여과된다.
그러나, 스크린(6)의 여과정밀도를 높이기 위하여 스크린(6)의 작은구멍(10)을 작게하거나, 스크린(6)의 안쪽에 눈이 미세한 네트(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하기도 하지만, 이 스트레이너(Sa)에 있어서는 스크린(6)을 중간외주(6b)의 핀(17)으로 유지하고 있으므로 스크린(6)의 개구끝부(4a)와 감합부(9)와의 사이에 근소한 틈(갭(d))이 생기므로, 유체가 갭(d)으로 흘러서 이 갭(d)으로 흐르는 유체에 함유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스크린(6)의 눈보다 커도 스크린(6)에 여과되지 않고 통과해버리는 경우가 있으므로, 작은 구멍(10)이나 네트의 눈을 미세하게 한 효과가 상실되어 실질적으로 여과정밀도를 높일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발명자들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에 설명하는 스트레이너를 발명하고 먼저 일본국 특원 2003-73715호를 출원하였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스트레이너(Sb)는 유입구(21) 및 유출구(22)를 가진 유로를 구비한 본체(20)와 이 본체(20)의 유로 내에 형성되어 개구(41) 및 저부(42)를 가진 컵형상의 스크린(40)을 구비하고 있다.
본체(20)는 그 유로를 직선 형상으로하는 관체로서 주물로 형성되어 있다. 본체(20)의 측면에는 스크린(40)의 왕복운동을 위한 출입용 구멍(23)이 형성되어 있다. (24)는 출입용 구멍(23)을 폐쇄하는 착탈가능한 덮개이다.
본체(20)의 유로를 형성하는 내벽(30)에는 본체(20)의 축과 스크린 (40)의 축이 동축이 되도록 스크린(40)을 지지하여 가이드하는 복수의 가이드 돌기(31,3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20)의 유입구(21)측의 유로를 형성하는 내벽(30)의 내주에는 스크린(40)의 개구끝부(41a)가 삽입되어 개구끝면(41b)이 접촉가능한 스텝부(34)를 가진 끝부지지부(35)가 형성되어 있다. 끝부지지부(35)의 스텝부(34) 및 스크린(40)의 개구끝면(41b)은 서로 밀접가능한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크린(40)은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으로 형성되는 컵체(43)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컵체(43)의 측면 또는 저부(42)에는 작은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다수 형성되어 유로를 흐르는 유체는 이 작은 구멍을 통과한다.
그리고, 이 컵체(43)의 안쪽에는 유로를 흐르는 유체에 함유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여과하여 분리하는 네트(46)가 구비되어 있다. 네트(46)는 예를들면 100메쉬(1인치 사방에 1 ×104개의 눈을 가진 것) 이상이며, 눈의 크기가 0.15mm이하의 것이 사용된다.
컵체(43)에는 개구(41)를 보강하는 스테인레스제의 링형상의 보강체(4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보강체(44)의 끝면이 끝부지지부(35)의 스텝부(34)에 밀접하는 평면으로 형성된 개구끝면(41b)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스크린(40)에는 손잡이(45)가 설치되어 있다.
스트레이너(Sb)는 스크린(40)의 개구끝면(41b)이 끝부지지부(35)의 스텝부(34)에 밀착하도록 스크린(40)을 가압하는 가압수단(P)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가압수단(P)은 본체(20)의 유로를 형성하는 내벽(30)으로서, 스크린(40)의 저부(42)보다 유출구(22)측에 형성되는 암나사부(50)와, 한쪽끝에 암나사부(50)에 나사 맞춤되는 수나사부(52)를 가지는 볼트(53)와, 볼트(53)에 동축으로 형성되어 볼트(53)의 타단측을 향해서 끝이 펼쳐지는 원추대부(圓錐臺部)(54a, 54b)와, 원추대부(54a, 54b)의 원추면(55a, 55b)에 접촉하는 테이퍼면(61a 61b)을 가지며, 볼트(53)의 암나사부(50)에 대하여 나사를 틀어넣음으로써 스크린(40)을 끝부지지부(35)의 스텝부(34)를 향해서 가압하는 가압부재(60)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암나사부(50)는 놋쇠 등의 금속제 부시(50a)에 형성되어 있다. 이 부시(50a)는 본체(20)의 유출구(22)측에 나사 수단에 의하여 고착되어 있다.
또한, 볼트(53)의 상측에는 원추대부(54a)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원추대부(54b)가 형성되어 있다.
가압부재(60)는 스크린(40)의 저부(42)에 형성되고 저부(42)의 외주에 고정설치된 링(62)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가압부재(60)인 링(62)에는 외주에 상측의 원추대부(54a)의 원추면(55a)에 접촉하는 테이퍼면(61a)이 형성되고, 링(62)의 내주에 하측의 원추대부(54b)의 원추면(55b)에 접촉하는 테이퍼면(61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20)의 내벽(30)에는 볼트(53)의 상측 원추대부(54a)의 원기둥부(54c)를 슬라이드 접촉시켜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37)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이 스트레이너(Sb)에 있어서 스크린(40)을 장착할 때는 먼저 덮개(24)를 벗기고 스크린(40)의 손잡이(45)를 잡고서 출입용 구멍(23)으로부터 스크린(40)을 본체(20) 내에 넣고, 개구끝부(41a)를 끝부지지부(35)에 삽입한다. 그리고 볼트(53)의 수나사부(52)를 암나사부(50)에 나사 맞춤하여 볼트(53)의 머리를 고정구로 회전시켜서 틀어넣는다. 볼트(53)는 가이드부재(37)에 의하여 가이드되어 암나사부(50)에 바르게 틀어넣어진다.
이때, 원추대부(54a, 54b)의 원추면(55a, 55b)이 링(62)에 형성된 테이퍼면(61a, 62b)을 서서히 밀어 내린다. 그리고 링(62)은 스크린(40)의 저부에 고착되고, 또한 스크린(40)은 가이드 돌기(31,32)에 올려놓여 있으므로 볼트(53)의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가이드 돌기(31,32)를 따라 유입구(21)측으로 진행한다.
이로서, 스크린(40)의 개구끝부(41a)가 스텝부(34) 방향으로 이동하고 개구끝면(41b)이 스텝부(34)에 밀착된다.
이로서, 개구끝면(41b)이 균일하게 스텝부(34)에 밀착되는 동시에 스크린(40)이 후류측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되고, 개구끝면(41b)이 스텝부(34)에 밀착된다. 그러므로 스텝부(34)와 개구끝면(41b)과의 사이의 갭(d)이 거의 없어지고 스크린(40)의 네트(46)의 메쉬의 눈보다 작아진다.
그후, 덮개(24)를 출입용 구멍(23)에 씌워서 덮개(24)를 고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스크린(40)이 장착된 스트레이너(Sb)에 유체가 흐르면, 상기 유체에 혼재하는 이물질이 스크린(40)에서 여과된다.
이 경우, 스크린(40)의 개구끝면(41b)이 스텝부(34)에 밀착되어 갭(d)이 거의 없으므로 유체가 상기 스크린(40)의 개구끝면(41b)과 스텝부 사이를 흐르는 일이 거의 없어지고, 그로인해 먼지 등의 이물질도 상기 스크린(40)의 개구끝면(41b)과 스텝부(34) 사이를 흐르는 일이 거의 없어진다. 그러므로 대부분의 먼지 등의 이물질은 스크린(40)에 포획된다.
그리고, 스크린(40)에 이물질이 고여 스크린(40)을 교환할 때에는, 덮개(24)를 벗기고 볼트(53)를 풀어서 스크린(40)을 분리하고, 상기 스크린(40)을 세척하거나 또는 별도의 새 스크린(40)을 상기와 같이 스트레이너(Sb)에 장착한다.
그러나 , 상기 스트레이너(Sb)에 있어서는 스크린(40)을 교환할 때에, 스크린(40)을 분리한 다음 본체(20)의 내부에 나머지 스크린(40)을 통과하지 않은 유체가 후류측으로 흘러서, 이 유체에 섞인 먼지 등의 이물질이 암나사부(50)로 들어가는 일이 있으며, 그 후 새로운 스크린(40)의 장착을 위하여 이물질이 들어간 채로 암나사부(50)에 볼트(53)의 수나사부(52)가 틀어넣어지면 이물질이 끼어들어갈 우려가 있으며 만일 이물질이 들어가면 도중에서 볼트(53)의 틀어넣기가 불가능해질 염려가 있다.
이 경우 충분히 스크린(40)의 개구끝면(41b)을 스텝부(34)에 밀착시킬 수 없게된다. 또한, 이 경우 볼트(53) 및 암나사부(50)의 보수가 필요하지만 볼트(53)의 수나사부(52)가 이물질을 깊이 끌어들이면 암나사부(50)로부터 볼트(53)를 분리할 수 없게 되는 경우도 있으며, 스트레이너(Sb) 전체를 교환해야 할 우려가 있다. 특히, 스트레이너(Sb)가 접속되는 관체를 흐르는 유체의 종류에 대응시켜서 본체(20) 암나사부(50) 및 볼트(53)를 모두 스테인레스로 제조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스테인레스는 경질이므로 이물질을 끌어들이기 쉽다.
또한, 볼트(53)의 원추대부(54a)의 원기둥부(54c)를 슬라이드 접촉시켜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37)에 의하여 볼트(53)의 수나사부(52)가 암나사부(50)에 바르게 틀어 넣어지도록 상기 가이드부재(37)를 원기둥부(54c)의 축과 암나사부(50)의 축이 맞도록 가이드부재(37)의 슬라이드 접촉면을 정밀도 높게 가공해야 한다. 그러므로 이 가이드부재(37)의 가공이 번잡하며 제조 원가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가공정밀도를 과도하게 높이는 일 없이, 가압수단을 제조할 수 있도록하여 제조 원가를 저감하는 동시에 가압수단이 이물질에 의하여 말려들지 않도록 하고 가압수단의 기능을 확실하게 발휘시킬수 있도록 한 스트레이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발명의 스트레이너는 유입구 및 유출구를 가진 유로를 구비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유로 내에 형성된 개구 및 저부를 가진 컵형상의 스크린과, 상기 본체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의 왕복운동을 위한 출입용 구멍과, 상기 출입용 구멍을 폐쇄하는 착탈가능한 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유입구측의 유로를 형성하는 내벽 내주에 상기 스크린의 개구끝부가 삽입되어 개구끝면이 접촉가능한 스텝부를 가진 끝부지지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스트레이너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의 개구끝면이 상기 끝부지지부의 스텝부에 밀착하도록 상기 스크린을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가압수단을 상기 본체의 유로를 형성하는 내벽이며 스크린의 저부 보다 유출구 측에 형성된 요부와, 한끝쪽에 상기 요부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철부를 가지고 타단측에 수나사를 가진 막대형상의 로드와, 상기 로드에 동축으로 설치되고 상기 로드의 타단측을 향해서 끝이 펼쳐진 원추대부와, 상기 로드의 수나사에 나사 맞춤하는 암나사를 가지고 상대회전에 의하여 상기 로드의 타단측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와, 상기 요부와 서로 대향하는 측의 본체의 내벽에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의 상기 로드의 타단측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이동부재를 계지하고, 상기 본체의 내벽에 대하여 상기 로드를 로크(lock)하는 계지부와, 상기 원추대부의 원추면에 접촉하는 테이퍼면을 가지고 상기 이동부재의 계지에 의한 상기 로드의 상대이동에 의하여 상기 스크린을 상기 끝부지지부의 스텝부에 향해서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스트레이너에 스크린을 장착할 때는 우선 덮개를 벗기고, 스크린을 출입용 구멍으로부터 본체 안으로 넣고 개구끝부를 끝부지지부에 삽입한다. 이어서 로드를 스크린의 저부측에서 유출구측으로 끼워 넣어 철부를 요부에 삽입한다. 이 상태에서 로드를 이동부재에 대하여 상대회전시키고 이동부재를 로드의 타단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경우, 이동부재가 계지부에 계지되면 로드의 이동부재에 대한 상대이동에 따라 로드가 요부측으로 밀려 본체의 내벽에 대하여 로크됨과 동시에, 로드가 요부측에 밀려 원추대부의 원추면이 가압부재의 테이퍼면을 서서히 밀어내린다. 이에 따라 가압부재에 의하여 스크린의 개구끝부가 스텝부를 향하여 가압되고, 스크린의 개구끝부가 스텝부에 밀착된다.
이 때 로드는 요부에 단순히 삽입만 될 뿐이므로, 종래에 비하여 로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설치하지 않아도 바르게 삽입된다. 따라서 가이드부재가 불필요하게 되고, 가공정밀도를 그만큼 높이지 않아도 되므로, 용이한 가공으로 가압수단을 제조할 수 있게 되어 제조 원가가 저감된다.
또한 스크린의 개구끝면을 스텝부에 밀착시키는 것은 로드를 이동부재에 대하여 상대회전시켜 이동부재를 로드의 타단측으로 이동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어서 덮개를 출입용 구멍에 씌워 볼트 및 너트로 본체에 고정한다.
이렇게 하여 스크린이 장착된 스트레이너에 유체가 흐르면, 상기 유체에 혼재하는 이물질이 스크린에서 여과된다. 이 경우, 스크린의 개구끝면이 스텝부에 밀착되어 갭이 거의 없으므로, 유체가 상기 스크린의 개구끝면과 스텝부 사이를 흐르게 되는 일은 거의 없고, 따라서 먼지 등의 이물질도 상기 스크린의 개구끝면과 스텝부 사이를 흐르는 일은 거의 없게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먼지 등의 이물질은 스크린에 포획된다.
이어서 스크린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고여서 상기 스크린을 세정 또는 교환할 때에는 스트레이너로의 유체 유입을 일시적으로 멈추고 덮개를 벗겨 로드를 이동부재에 대하여 상대회전시켜 이동부재를 한쪽 끝으로 이동시키고, 본체에 대한 로드의 로크를 해제한다. 그리고 로드 및 이동부재를 본체로부터 꺼내는 동시에 스크린을 분리한다.
이 경우, 이동부재는 로드와 함께 본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고, 이동부재의 암나사 및 로드의 수나사에는 본체에 남은 스크린을 통과하지 않은 유체가 걸리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 유체에 섞여 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암나사 및 수나사의 사이에 들어가지 않게 되고, 다음 스크린을 본체에 장착할 때에 수나사와 암나사 사이에 끼어들어가지 않게 되어 로드의 이동부재에 대한 상대회전이 확실하게 실시되고, 가압수단의 기능이 확실하게 발휘된다.
또한, 만약 요부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들어가더라도 철부는 요부에 끼워맞추는 형식이므로 다음에 스크린을 본체에 장착할 때 로드가 말려들어가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이 점에 있어서도 로드의 이동부재에 대한 상대회전이 확실하게 실시되어 가압수단의 기능이 확실하게 발휘된다.
그 후 스크린을 청소하거나 또는 새로운 것으로 교환하고, 상기와 같이 스크린을 장착함과 동시에 상기 스트레이너에 유체를 다시 흐르게 하여 여과를 실시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로드의 타단측에 상기 로드를 회전시키는 공구를 계합하는 계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이동부재에 레버를 돌출설치한다.
이 경우, 스크린의 장착 또는 분리시에 있어서, 로드의 이동부재로의 상대회전할 때 로드의 계합부에 스패너 등의 공구를 계합함과 동시에 레버를 밀어 이 상태에서 공구를 이용하여 로드를 이동부재에 대하여 상대회전시킨다. 이 때 이동부재의 레버에 의하여 이동부재가 로드와 같이 움직이지 않도록 눌려 있으므로, 용이하게 로드를 이동부재에 대하여 상대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계지부를 상기 출입용 구멍의 개구 가장자리 안쪽에 형성하고, 상기 이동부재의 측부에 상기 계지부에 계지되는 돌조(突條)를 형성한다.
이 경우, 이동부재의 암나사와 로드의 수나사의 사이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있고, 만일 이것이 끼어들어가 로드를 이동부재에 대하여 상대회전시킬 수 없게 되는 경우에는 이동부재를 같이 움직이도록 로드를 회전시키고, 돌조를 계지부로부터 떼어 이동부재의 돌조가 없는 부분을 계지부측을 향하게 하여 로드를 분리한다. 따라서 종래에 비하여 수나사와 암나사의 사이에 이물질이 끼어들어가 있더라도 로드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체를 교환할 필요 없이 로드의 교환만으로 보수를 마칠 수 있게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가압부재를 스크린의 저부에 형성한다.
가압부재에 의하여 저부가 가압되므로, 그만큼 스크린의 지지가 확실하게 됨과 동시에 스크린의 저부가 휘어져 팽출하여도 로드로 누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부품의 개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가압부재를 상기 스크린의 저부 외주에 고정설치한 링으로 구성한다.
링은 스크린과 일체이므로 유로를 방해하는 사태가 방지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로드의 상하에 상기 원추대부를 한쌍 설치하고 상기 링의 외주에 상기 상측의 원추대부에 접촉하는 테이퍼면을 형성하고 상기 링의 내주에 상기 하측의 원추대부의 원추면에 접촉하는 테이퍼면을 형성한다.
가압부재는 상측 원추대부와 하측 2개의 원추대부에서 가압되므로, 가압력은 균일하게 스크린에 작용하므로 개구끝면을 스텝부에 치우침 없이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가압부재를 상기 볼트에 삽통되고 상기 볼트보다 지름이 큰 삽통구멍을 가지며 상기 스크린의 저부에 접촉가능한 블록체로 형성하고, 이 삽통구멍의 개구 가장자리에 상기 원추대부의 원추면이 접촉하는 원추형 형상의 테이퍼면을 형성한다.
이 경우 가압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다음 첨부 도면에 따라 본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스트레이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종래의 것과 같은 것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스트레이너(S1)를 도시하고 있다. 이 스트레이너(S1)는 유입구(21) 및 유출구(22)를 가진 유로를 구비한 본체(20)와, 본체(20)의 유로 내에 형성된 개구(41) 및 저부(42)를 가진 컵형상의 스크린(40)과, 본체(20)의 측면에 형성되고 스크린(40)의 왕복운동을 위한 출입용구멍(23)과, 출입용구멍(23)을 폐쇄하는 착탈가능한 덮개(24)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20)는 그 유로를 직선형상으로 하는 관체로서 주물로 형성되어 있다. 본체(20)의 유입구(21) 및 유출구(22)의 외부 가장자리에는 각각 볼트 및 너트로 조여서 다른 관체에 장착하기 위한 플랜지(21a,22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덮개(24)는 본체(20)와 같은 주물로 형성되어 있다. 본체(20)의 출입용 구멍(23)의 주위에는 덮개(24)를 고정하기 위한 암나사(25)가 형성되고, 덮개(24)에는 상기 암나사(25)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에 너트(26a)가 부착된 볼트(26)를 삽통하여 암나사(25)에 틀어넣어 너트(26a)를 조임으로서, 덮개(24)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덮개(24)와 본체(20)와의 접촉면에는 링형상의 패킹(27)이 구비되어 유체가 본체(2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리고 본체(20)의 유로를 형성하는 내벽(30)에는 본체(20)의 축과 스크린(40)의 축이 동축이 되도록 스크린(40)을 지지하여 가이드하는 복수의 가이드 돌기(31,32)가 형성되어 있다. 유입구(21)측의 가이드돌기(31)는 본체(20)의 내벽(30)의 하면 및 양측면으로서, 후술하는 끝부지지부(35)에 연속하여 3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31)는 스크린(40)의 개구끝부(41a)측을 지지하고 있다. 또한, 유출구(22)측의 가이드돌기(32)는 본체(20)의 내벽(30)의 하면 및 양측면에 3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32)는 스크린(40)의 저부(42)측을 지지하고 있다. 가이드돌기(31,32)의 스크린(40)과 접촉하는 접촉면(31a, 32a)은 스크린(40)의 외측에 따르도록 원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20)의 유입구(21)측의 유로를 형성하는 내벽(30)의 내주에는 스크린(40)의 개구끝부(41a)가 삽입되고, 개구끝면(41b)이 접촉가능한 스텝부(34)를 가진 끝부지지부(35)가 형성되어 있다. 끝부지지부(35)의 스텝부(34) 및 스크린(40)의 개구끝면(41b)은 서로 밀접가능한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크린(40)은 예를들면,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으로 형성되는 컵체(43)를 구비하고 있다. 이 컵체(43) 측면 또는 저부(42)에는 작은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다수 형성되고, 유로를 흐르는 유체는 이 작은 구멍을 통과한다. 그리고 이 컵체(43)의 안쪽에는 유로를 흐르는 유체에 함유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여과하여 분리하는 네트(46)가 구비되어 있다. 네트(46)는 예를들면, 100메쉬(1인치 사방에 1 ×104개의 눈을 가진것)이상에서 눈의 크기가 0.15mm 이하의 것이 사용된다.
컵체(43)의 개구(41)에는 개구(41)를 보강하는 스테인레스제 링형상의 보강체(44)가 설치되어 있다. 이 보강체(44)의 끝면이 끝부지지부(35)의 스텝부(34)에 밀접하는 평면으로 형성된 개구끝면(41b)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컵체(43)의 외측면에는 출입용 구멍(23)에서 넣었다 뺏다 할때에 잡는 손잡이(4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관한 스트레이너(S1)는 스크린(40)의 개구끝면(41b)이 끝부지지부(35)의 스텝부(34)에 밀착하도록 스크린(40)을 가압하는 가압수단(P)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가압수단(P)은 본체(20)의 유로를 형성하는 내벽(30)으로서 스크린(40)의 저부(42)보다 유출구(22)측에 형성되는 요부(80)와, 한쪽끝(81)측에 요부(80)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철부(82)를 가지며 타단(84)측에 수나사(83)를 가진 봉형상의 로드(R)와, 로드(R)에 동축으로 설치되어 로드(R)의 타단(84)측으로 향해서 끝이 펼쳐진 원추대부(85,86)와, 로드(R)의 수나사(83)에 나사 맞춤하는 암나사(89)를 가지며, 상대회전에 의하여 로드(R)의 타단(84)측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88)와, 요부(80)와 서로 대향하는 측의 본체(20)의 내벽(30)에 형성되어 이동부재(88)의 로드(R)의 타단(84)측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이동부재(88)를 계지하고, 본체(20)의 내벽(30)에 대하여 로드(R)를 로크하는 계지부(95)와, 원추대부(85,86)의 원추면(85a, 86a)에 접촉하는 테이퍼면(61a, 61b)을 가지며, 이동부재(88)의 계지에 의한 로드(R)의 상대 이동에 의하여 스크린(40)을 끝부지지부(35)의 스텝부(34)에 향해서 가압하는 가압부재(60)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요부(80)는 놋쇠 등의 금속제 부시(80a)에 형성되고, 이 부시(80a)는 본체(20)의 유출구(22)측에 나사 수단에 의하여 고착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드(R)는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로드(R)에는 그 타단(84)측에 로드(R)를 회전시키는 공구가 계합하는 계합부(87)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계합부(87)는 스패너 등의 공구가 계합가능한 육각형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수나사(83)의 상측에 용접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로드(R)는 로드(R)의 축선과 스크린(40)의 축선이 직교하도록 요부(80)에 삽입되어 있다.
이동부재(88)는 금속제이며, 원추대부(85,86)의 원기둥부의 지름과 같은 크기의 지름을 가진 원기둥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이동부재(88)의 외주는 철부(82)를 요부(80)에 삽입하였을때, 출입용 구멍(23)의 개구(41)에 접촉한다.
또한, 이 이동부재(88)에는 레버(90)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이 레버(90)는 이동부재(88)를 로드(R)에 대하여 상대회전 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동부재(88)의 측부의 아래쪽에는 계지부(95)에 계지되는 돌조(91)가 형성되어 있다.
계지부(95)는 출입용 구멍(23)의 개구(41) 가장자리 안쪽에 형성되어 있다. 실시형태의 스트레이너(S1)에 있어서는, 유출구(22)측의 출입용 구멍(23)의 개구(41) 가장자리 안쪽에 형성되고, 돌조(91)가 계지되는 스텝에 형성되어 있다.
원추대부(85,86)는 로드(R)의 상측(85) 및 하측(86)에 한쌍 형성되어 있다.
가압부재(60)는 스크린(40)의 저부(42)에 설치되고, 가압부재(60)를 스크린(40)의 저부(42) 외주에 고정설치한 링(62)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압부재(60)인 링(62)의 외주에 상측의 원추대부(85)의 원추면(85a)에 접촉하는 테이퍼면(61a)이 형성되고, 링(62)의 내주에 하측의 원추대부(86)의 원추면(86a)에 접촉하는 테이퍼면(61b)이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면(61a) 및 원추대부(85)의 원추면(85a)과, 테이퍼면(61b) 및 원추대부(86)의 원추면(86a)은 서로 접합하는 적당한 경사각도로 형성되어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테이퍼면(61a,61b)과 원추대부(85)(86)의 원추면(85a,86a)의 경사각도는 45도이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62)사이에는 스크린(40)의 저부(42)에 접촉하는 十자형 접촉부재(4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에 관한 스트레이너(S1)에 있어서, 본체(20)의 외부에는 본체(20)의 유입구(21)측과 유출구(22)측을 단락하는 관로(100)가 설치되어 있다. 이 관로(100)에는 유출구(22)측을 흐르는 유체의 압력이 유입구(21)측을 흐르는 유체의 압력보다 소정압력 만큼 낮아지면 관로(100)를 개방하여 관로(100)에 유체를 흐르게 하는 차압밸브(105)와, 관로(100) 내의 유체의 흐름을 검출하는 플로우검출기(101)가 설치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압밸브(105)에는 1차개구(106)와 2차개구(107)가 구비되어, 차압밸브(105)의 1차개구(106)를 폐쇄할 수 있는 크기의 금속으로 형성되는 구체(球體)(108)와 구체(108)를 차압밸브(105)의 1차 측에 항상 힘을 가하는 탄성체(109)가 구비되어 있다. 차압밸브(105)의 1차개구(106)측에는 구체(108)가 접촉하고 밀봉 가능한 원호면(11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탄성체(109)는 코일스프링(109a)으로 형성되고, 구체(108)에 접촉하여 구체(108)보다 2차개구(107)측에 구비되고, 구체(108)를 1차개구(106)측으로 항상 힘을 가하고 있다. 또한, 차압밸브(105)의 검출하한치는 이 코일스프링(109a)의 탄성력에 따라 변경할 수가 있으며, 본 실시형태의 경우, 코일스프링(109a)을 예를들면 1차측과 2차측에 0.05MPa의 차압이 생겼을때에 차압밸브(105)가 작동하는 탄성력으로 정하고 있다.
또한, 플로우검출기(101)의 내부에는 관로(100) 내의 유로의 축과 동축인 나선형의 유색 핀(fin)(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로우검출기(101)의 측면에는 핀을 보기 위한 창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관로(100)의 유입구(21)측의 입구에는 이 유입구(21)측의 유로에 노출되고 스크린(40)보다 눈이 미세한 컵형상의 필터(102)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스트레이너(S1)에 있어서, 스크린(40)을 장착할때는 먼저 덮개(24)를 벗기고 스크린(40)의 손잡이(45)를 잡고, 출입용구멍(23)으로 부터 스크린(40)을 본체(20) 내에 넣어, 가이드돌기(31)(32)에 올려놓고, 개구끝부(41a)를 끝부지지부(35)에 삽입한다. 다음에 이동부재(88)를 로드(R)에 대하여 상대회전시켜서, 이동부재(88)를 한쪽 끝(81)측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이동부재(88)의 돌조(91)가 없는 쪽을 유출구(22)측으로 향하여 로드(R)를 스크린(40)의 저부(42)측에서 유출구(22)측으로 삽입하여, 철부(82)를 요부(80)에 삽입한다. 다음에,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부재(88)의 돌조(91)를 계지부(95)에 계지 가능하도록 이동부재(88)의 레버(90)에 의하여 이동부재(88)를 로드(R)에 대하여 상대회전시켜서 상기 돌조(91)를 유출구(22)측으로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로드(R)의 계합부(87)에 스패너를 계합하는 동시에 레버(90)를 누르고 스패너를 사용하여 로드(R)를 이동부재(88)에 대하여 상대회전시켜서, 이동부재(88)를 로드(R)의 타단(84)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이동부재(88)의 레버(90)에 의하여 이동부재(88)가 로드(R)와 같이 이동하지 않도록 눌려지므로, 용이하게 로드(R)를 이동부재(88)에 대하여 상대회전 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이동부재(88)가 계지부(95)에 계지되면, 로드(R)의 이동부재(88)에 대한 상대이동에 따라서, 로드(R)가 요부(80)측으로 눌려서 본체(20)의 내벽(30)에 대하여 로크되는 동시에, 로드(R)가 요부(80)측으로 눌림으로서 원추대부(85,86)의 원추면(85a,86a)이 링(62)에 형성되는 테이퍼면(61a,61b)을 서서히 밀어 내린다. 이 경우, 링(62)은 스크린(40)의 저부(42)에 고착되고, 또한 스크린(40)은 가이드 돌기(31,32)에 올려놓여 있으므로, 로드(R)의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가이드돌기(31,32)의 접촉면(31a,32a)을 따라서 유입구(21)측으로 진행한다. 이로서 도 1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린(40)의 개구끝부(41a)가 스텝부(34)방향으로 이동하고, 개구끝면(41b)이 스텝부(34)에 밀착된다.
이 경우, 로드(R)에 의하여 스크린(40)을 고정하여 후류측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개구끝면(41b)이 스텝부(34)에 밀착된다. 그러므로 스텝부(34)와 개구끝면(41b) 사이의 갭(d)이 거의 없어지고, 스크린(40)의 네트(46)의 메쉬의 눈보다 작아진다.
또한, 이 경우 요부(80)에 철부(82)를 단순히 삽입만 할 뿐이므로, 종래와 비교하여 로드(R)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설치하지 않아도 바르게 삽입된다. 그러므로 가이드부재가 불필요해지고 가공정밀도를 그만큼 높이지 않아도 되므로 가공이 용이해지고 제조원가가 저감된다.
또한, 이경우 스크린(40)은 가이드 돌기(31)(32)에 가이드 되므로 흔들림이없이 원활하게 이동된다. 이로서 개구끝면(41b)이 균일하게 스텝부(34)에 밀착된다.
또한, 가압부재(60)인 링(62)은 상측 원추대부(85)와 하측 원추대부(86)의 상하 2개의 원추대부(85,86)로 가압되므로, 가압력이 균일하게 스크린(40)에 작용한다. 그러므로 개구끝면(41b)을 스텝부(34)에 치우침이 없이 밀착시킬 수가 있다. 또한, 링(62)은 스크린(40)의 저부(42)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부품 수가 적어지게 되고 착탈이 용이해진다.
다음, 덮개(24)를 출입용 구멍(23)에 씌워서 볼트(26) 및 너트(26a)로 본체(20)에 고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스크린(40)이 장착된 스트레이너(S1)에 유체가 흐르게 되면 상기 유체에 혼재하는 이물질이 스크린(40)에서 여과된다. 이 경우 스크린(40)의 개구끝면(41b)이 스텝부(34)에 밀착되어 갭(d)이 거의 없으므로 유체가 상기 스크린(40)의 개구끝면(41b)과 스텝부(34) 사이를 흐르는 일이 거의 없어지고, 그러므로 먼지 등의 이물질도 상기 스크린(40)의 개구끝면(41b)과 스텝부(34) 사이를 흐르는 일이 거의 없어진다. 그러므로 대부분의 먼지 등의 이물질은 스크린(40)에 포획된다. 즉, 이것은 스크린(40)의 네트(46)의 매쉬에 미세한 것을 사용하여도 상기 메쉬보다 굵은 먼지 등의 이물질이 스크린(40)의 개구끝면(41b)과 스텝부(34) 사이로부터 빠져나가는 일이 없이, 눈이 미세한 스크린(40)에도 적응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스크린(40)의 네트(46)의 선택으로, 유로를 흐르는 유체로부터 원하는 크기 이상의 이물질의 분리 여과를 할 수가 있다.
이 때, 스크린(40)의 저부(42)는 접촉부재(47)에 의하여 보강되므로, 저부(42)가 휘어서 팽출하는 사태가 방지된다. 또한, 스크린(40)의 저부(42)가 팽출하려고 하여도 로드(R)로 누룰 수가 있다.
또한, 스크린(40)에서 유출구(22)측으로 로드(R)가 있으나, 로드(R)는 비교적 미세하므로 유체의 흐름을 저해하는 일이 없이, 유체는 원활하게 흘러간다. 그리고 또한, 가압부재(60)를 링(62)으로 구성하였으므로 이러한 점에서도 유로를 저해하는 일이 없이 유체를 원활하게 흐르게 할 수가 있다.
유체가 흐르고 있을때, 스크린(40)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여과되어 고이게 되면 스크린(40)을 유체가 통과하기 어려워지므로, 유출구(22)측의 유체의 압력이 유입구(21)측보다 낮아진다. 그 때, 유입구(21)측과 유출구(22)측의 유체의 차압이 0.05MPa 이상이 되면, 유입구(21)측의 유체가 탄성체(109)의 힘에 대항하여 차압밸브(105)의 구체(球體)(108)가 열리고 유체가 관로(100)로 흐르게 되어 플로우검출기(101)의 핀을 회전시킨다.
이로서 플로우검출기(101)가 유체의 흐름을 검출하였을때에는 스크린(40)의 눈막힘 상태가 있는 것이라고 파악할 수 있으므로, 플로우검출기(101)를 정기적으로 점검하면 스크린(40)의 세정 시기나 교환 시기 또는 이상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차압밸브(105)에 의하여 관로(100)를 개폐하므로 응답성이 좋고, 확실하게 흐름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관로(100)의 유입구(21)측의 입구에는, 유입구(21)측의 유로에 노출되어 스크린(40)의 눈과 같은, 또는 그보다 눈이 미세한 필터(102)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스크린(40)의 네트(46)의 매쉬에 미세한 것을 사용해도, 이 메쉬보다 굵은 먼지 등의 이물질이 관로(100)를 지나 빠져나가는 일이 없고, 눈이 미세한 스크린(40)에도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필터(100)는 유입구(21)측의 유로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유로를 흐르는 유체에 항상 노출되며, 그러므로 필터(102)에 포착된 이물질을 씻어내어 필터(100)를 항상 세정할 수 있으므로 유지, 보수가 용이해진다.
다음에 스크린(40)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고여서 이 스크린(40)을 세정 또는 교환할 때에는, 스트레이너(S1)로의 유체의 유입을 일시적으로 정지하고, 덮개(24)를 분리하고 로드(R)의 계합부(87)에 스패너를 계합하여 로드(R)를 이동부재(88)에 대하여 상대회전시켜서, 이동부재(88)를 한쪽끝(81) 측으로 이동시켜 로드(R)의 본체(20)에 대한 로크를 해제하는 동시에, 레버(90)를 돌려 돌조(91)를 유입구(21)측으로 향하게 한다. 이 때, 이동부재(88)를 로드(R)와 같이 이동하게 하여 돌조(91)를 계지부(95)로부터 분리해도 된다. 그리고 로드(R)를 본체(20)로부터 꺼내는 동시에 손잡이(45)를 잡고, 스크린(40)을 분리한다.
이 때, 이동부재(88)는 로드(R)와 함께 분리되므로, 이동부재(88)의 암나사(89) 및 로드(R)의 수나사(83)에는 스크린(40)을 통과하지 않은 유체가 걸리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이 유체에 섞인 먼지 등의 이물질이 암나사(89) 및 수나사(83) 사이로 들어가지 않게 되고 다음에 스크린(40)을 본체(20)에 장착할때에 수나사(83)와 암나사(89) 사이로 끼어들어가지 않게 되어, 로드(R)의 이동부재(88)에 대한 상대회전이 확실하게 이루어지며, 가압수단(P)의 기능이 확실하게 발휘된다.
이 경우, 가령 요부(80)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들어가도 철부(82)는 요부(80)로의 삽입식이므로 다음에 스크린(40)을 본체(20)에 장착할때에, 로드(R)가 끼어들어가는 사태가 방지된다. 이러한 점에서도 로드(R)의 이동부재(88)에 대한 상대회전이 확실하게 이루어지며, 가압수단(P)의 기능이 확실하게 발휘된다.
또한, 이동부재(88)의 암나사(89)와 로드(R)의 수나사(83) 사이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있어, 만일 이것이 끼어 들어가서 로드(R)를 이동부재(88)에 대하여 상대회전 할 수 없게 되는 경우에는, 계합부(87)에 계합한 스패너에 의하여 이동부재(88)를 같이 이동시켜서 로드(R)를 회전시키고, 돌조(91)를 계지부(95)로부터 분리하여, 이동부재(88)의 돌조(91)가 없는 부분을 계지부(95)측으로 향하여 로드(R)를 분리한다. 그러므로 종래에 비하여 수나사(83)와 암나사(89)의 사이에 이물질이 끼어 있어도, 로드(R)를 분리할 수 있게되어 스트레이너(S1) 전체를 교환하지 않고, 로드(R)의 교환만으로 보수를 마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때 스크린(40)의 손잡이(45)를 잡고 분리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그 후, 스크린(40)을 청소하거나 또는 새로운 것으로 교환하여 상기와 같이 스크린(40)을 장착한다.
도 8 및 도 10에는 본발명의 별도의 실시형태에 관한 스트레이너(S2)를 도시하고 있다. 별도의 실시형태의 관한 스트레이너(S2)는 상기와 거의 같이 구성되어 있으나, 상기 실시형태에 것과는 가압부재(60)의 구성이 다르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가압부재(60)는 로드(R)보다 지름이 큰 삽통구멍(64)을 가지고 있으며, 스크린(40)의 저부에 접촉가능한 블록체(65)로 형성되어 있다. 블록체(65)는 금속으로 형성되고, 한쪽면이 스크린(40)의 저부에 접촉하여 세로 기둥(66) 및 가로 기둥(67)을 각각 한쌍 구비하여 형성되는 사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삽통구멍(64)은 가로 기둥(67)의 중앙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삽통구멍(64)의 개구 가장자리에는 로드(R)에 형성된 1쌍의 원추대부(85,86)의 원추면(85a, 86a)이 접촉하는 원추형 테이퍼면(61a,61b)이 형성되어 있다.
기타 구성은 상기와 같다.
따라서, 이 스트레이너(S2)에 스크린(40)을 장착할 때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부재(60)를 유출구(22)측으로 이동시켜서 삽통구멍(64)과 로드(R)를 도면 중 e만큼 편심시키고, 끝부지지부(35)와 가압부재(60)와의 간격을 넓혀서, 이 상태로 스트레이너(S2)의 가이드돌기(31,32)에 스크린(40)을 올려놓는다. 다음에 가압부재(60)의 삽통구멍(64)에 삽통한 로드(R)의 철부(82)를 요부(80)에 삽입한다. 그리고 이동부재(88)를 로드(R)에 대하여 상대회전시키고, 돌조(91)를 계지부(95)측으로 향하게 한다. 다음에 스패너를 계합부(87)에 계합하는 동시에 로드(R)를 이동부재(88)에 대하여 상대회전 시키고, 이동부재(88)를 로드(R)의 타단(84)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이동부재(88)의 돌조(91)가 계지부(95)에 계지되면 로드(R)가 요부(80)측으로 눌려서 본체(20)의 내벽(30)에 대하여 로크된다. 그리고 로드(R)가 요부(80)측으로 이동하고, 원추대부(85,86)가 블록체(65)의 테이퍼면(61b, 62b)을 밀어내리고 상기 가압부재(60)를 유입구(21)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므로 스크린(40)의 개구끝면(41b)이 스텝부(34)와 밀착된다. 이 때, 스크린(40)의 가압을 가압부재(60)인 블록체(65)의 접촉면 전체로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욱 균일하게 스크린(40)을 가압할 수 있으며, 스텝부(34)와 개구끝면(41b)에 생기는 갭(d)을 제거할 수 있다. 다른 작용효과는 상기와 같다.
또한, 플로우검출기(101)를 관로(100)의 유체가 흐르면 라인의 스위치를 ON으로 하는 센서로 구성해도 되며 적당히 변경하여도 무방하다.
본발명의 스트레이너에 의하면 로드의 타단측에 형성한 수나사에 나사 맞춤하는 암나사를 가진 이동부재를 구비하였으므로, 스크린의 교환시에 로드 뿐만이 아니라 이동부재도 본체의 내부로부터 꺼낼수 있으며, 이 이동부재의 암나사 및 로드의 수나사에는 스트레이너를 통과하지 않은 유체가 걸리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암나사 및 수나사 사이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게 되고, 다음에 스크린을 본체에 장착할때의 수나사 및 암나사의 사이가 말려들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로드의 이동부재에 대한 상대회전을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가압수단의 기능을 확실하게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요부에 이물질이 들어가더라도 철부는 요부로의 삽입식이므로 상기 이물질이 끼어들어가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고, 이 점에 있어서도 로드의 이동부재에 대한 상대회전을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가압수단의 기능을 확실하게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단순히 요부에 로드의 철부를 삽입할 뿐이므로, 종래와 같이 로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가 없어도 요부에 철부를 바르게 삽입할 수 있으므로, 가공정밀도를 과도하게 높이지 않고 제조할 수 있다.

Claims (7)

  1. 유입구 및 유출구를 가진 유로를 구비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유로 내에 형성되어 개구 및 저부를 가진 컵 형상의 스크린과, 상기 본체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의 왕복운동을 위한 출입용 구멍과, 상기 출입용 구멍을 폐쇄하는 착탈가능한 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유입구 측의 유로를 형성하는 내벽 내주에 상기 스크린의 개구끝부가 삽입되어 개구끝면이 접촉가능한 스텝부를 가진 끝부지지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스트레이너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의 개구끝면이 상기 끝부지지부의 스텝부에 밀착하도록 상기 스크린을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형성하고,
    상기 가압수단을 상기 본체의 유로를 형성하는 내벽이며, 스크린의 저부보다 유출구측으로 형성된 요부와, 일단측에 상기 요부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철부를 가지고 타단측에 수나사를 가진 봉 형상의 로드와, 상기 로드에 동축으로 형성되어 상기 로드의 타단측으로 향하여 끝이 펼쳐진 원추대부와, 상기 로드의 수나사에 나사 맞춤하는 암나사를 가지며, 상대회전에 의하여 상기 로드의 타단측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와, 상기 요부와 서로 대향하는 측의 본체 내벽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상기 로드의 타단측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이동부재를 계지하고, 상기 본체의 내벽에 대하여 상기 로드를 로크하는 계지부와 상기 원추대부의 원추면에 접촉하는 테이퍼면을 가지고 상기 이동부재의 계지에 의한 상기 로드의 상대 이동에 의하여 상기 스크린을 상기 끝부지지부의 스텝부에 향하여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스트레이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타단측에 상기 로드를 회전시키는 공구가 계합하는 계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이동부재에 레버를 돌출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이너.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계지부를 상기 출입용 구멍의 개구 가장자리 안쪽에 형성하고, 상기 이동부재의 측부에 상기 계지부에 계지되는 돌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이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를 스크린의 저부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이너.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를 상기 스크린의 저부 외주에 고정설치한 링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이너.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상하에 상기 원추대부를 1쌍 형성하고 상기 링의 외주에 상기 상측 원추대부에 접촉하는 테이퍼면을 형성하고 상기 링의 내주에 상기 하측 원추대부의 원추면에 접촉하는 테이퍼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이너.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를, 볼트에 삽통되어 상기 볼트보다 지름이 큰 삽통구멍을 가지고 상기 스크린의 저부에 접촉가능한 블록체로 형성하고, 상기 삽통구멍의 개구 가장자리에 상기 원추대부의 원추면이 접촉하는 원추형상의 테이퍼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이너.
KR1020050051566A 2004-06-17 2005-06-15 스트레이너 KR1011753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80096 2004-06-17
JP2004180096A JP4405322B2 (ja) 2004-06-17 2004-06-17 ストレーナ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8386A KR20060048386A (ko) 2006-05-18
KR101175365B1 true KR101175365B1 (ko) 2012-08-20

Family

ID=35769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1566A KR101175365B1 (ko) 2004-06-17 2005-06-15 스트레이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405322B2 (ko)
KR (1) KR101175365B1 (ko)
CN (1) CN10057725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247B1 (ko) 2009-06-02 2012-01-03 유체기술 주식회사 스트레이너 상태 표시 장치
WO2011099050A1 (ja) * 2010-02-09 2011-08-18 株式会社ベン ストレーナ
JP2012024666A (ja) * 2010-07-21 2012-02-09 Yoshitake Inc ストレーナ
JP2012024667A (ja) * 2010-07-21 2012-02-09 Yoshitake Inc ストレーナ
JP5946263B2 (ja) * 2011-11-15 2016-07-06 株式会社ベン ストレーナ
CN104436821B (zh) * 2014-12-09 2016-08-24 重庆共创二次供水设备有限责任公司 供水管道过滤装置
JP7250603B2 (ja) * 2019-04-23 2023-04-03 ヤマシンフィルタ株式会社 フィルタエレメント及びフィルタ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61517A (ja) * 1984-06-07 1985-12-24 Toshiba Corp ストレ−ナ
KR920006348U (ko) * 1990-09-24 1992-04-21 주식회사 대건기계 원사와인더의 권사안내장치
JPH11244622A (ja) * 1998-03-03 1999-09-14 Kitz Corp ストレーナ
JP2004275958A (ja) * 2003-03-18 2004-10-07 Ben:Kk ストレーナ
JP2006116366A (ja) * 2004-10-18 2006-05-11 Danrei:Kk ストレーナ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66349U (zh) * 1990-02-14 1990-11-28 自贡高压阀门总厂研究所 能清管的在线过滤器
JPH0716512A (ja) * 1993-06-30 1995-01-20 Yamaho Giken Kk 噴霧器用クリーナ
CN2179780Y (zh) * 1994-01-28 1994-10-19 张斌 管道式过滤净水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61517A (ja) * 1984-06-07 1985-12-24 Toshiba Corp ストレ−ナ
KR920006348U (ko) * 1990-09-24 1992-04-21 주식회사 대건기계 원사와인더의 권사안내장치
JPH11244622A (ja) * 1998-03-03 1999-09-14 Kitz Corp ストレーナ
JP2004275958A (ja) * 2003-03-18 2004-10-07 Ben:Kk ストレーナ
JP2006116366A (ja) * 2004-10-18 2006-05-11 Danrei:Kk ストレー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14907A (zh) 2006-01-04
CN100577253C (zh) 2010-01-06
JP4405322B2 (ja) 2010-01-27
JP2006000761A (ja) 2006-01-05
KR20060048386A (ko) 2006-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5365B1 (ko) 스트레이너
EP2313176B9 (en) Assembly for a filter
EP3034147B1 (en) Oil filter assembly having rotation type drain pin
DE60312284T2 (de) Flüssigkeitsfilter, Entleer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ntleerung des Filters
JP4272907B2 (ja) ストレーナ
US20150343349A1 (en) High capacity filter element end cap
US6814243B2 (en) Replaceable filter with locking mechanism
KR101190220B1 (ko) 오일필터모듈
US6354565B1 (en) Washer assembly for a faucet
US7137406B2 (en) Self-cleaning filter
KR100868810B1 (ko) 인라인형 스트레이너
EP2913568B1 (en) Valve having at least one hourglass stud for coupling to diaphragm and compressor/spindle components
JP2008280897A (ja) 流体フィルタ及びそのドレン用弁体
CN114151166B (zh) 一种船用主滑油投油滤器及其使用方法
KR200401728Y1 (ko) 용수여과기의 여과스크린 개폐장치
JP2006082010A (ja) 流体濾過フィルタ
WO2017080606A1 (en) Oil filter assembly having rotation type drain pin
KR102244868B1 (ko) 차량용 엔진오일 필터 조립체
JP5875836B2 (ja) 流体装置
JP5988687B2 (ja) 弁装置
JP2011125792A (ja) 縦形ストレーナ
US20060231481A1 (en) Filter device
US20020043506A1 (en) Slip resistant filter housing
JP4366271B2 (ja) 作動油タンクのサクションフィルタ固定装置
JP5946263B2 (ja) ストレー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