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728Y1 - 용수여과기의 여과스크린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용수여과기의 여과스크린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728Y1
KR200401728Y1 KR20-2005-0025927U KR20050025927U KR200401728Y1 KR 200401728 Y1 KR200401728 Y1 KR 200401728Y1 KR 20050025927 U KR20050025927 U KR 20050025927U KR 200401728 Y1 KR200401728 Y1 KR 2004017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water
main body
upper flange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59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호
Original Assignee
(주) 코리아 인바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코리아 인바이텍 filed Critical (주) 코리아 인바이텍
Priority to KR20-2005-00259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7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17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7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3Supported fil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4Seals or gaske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수여과기의 여과스크린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여과스크린의 설치 및 분리작업을 수월하게 진행하도록, 상기 여과스크린을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개선시킨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용수여과기의 여과스크린 개폐장치는, 상부는 개방되었으며, 내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수흡입구가 형성된 분리벽이 수평으로 배치되어 유입실 및 유출실로 구획되고, 상기 유입실에는 유입관이 연결되었으며, 상기 유출실에는 유출관이 연결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를 밀폐시키며, 결합시 상기 본체의 분리벽에 형성된 각 용수흡입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공이 형성 되되, 상기 관통공의 내측 면은 단턱지게 형성된 상부플랜지;와 상기 유출실에 장착되되, 하부는 개방되어 상기 분리벽에 형성된 용수흡입구와 연결되고, 상부는 상기 상부플랜지의 관통공 내측에 안착하며, 하부의 용수흡입구로부터 용수를 수용하여 측면의 미세한 틈으로 용수를 통과시켜 부유물을 걸러내는 여과스크린;과 상기 상부플랜지의 관통공의 내측에 삽입되되, 상기 여과스크린의 상부에서 가압수단에 의해 가압 되어, 상기 유출실의 용수가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상부플랜지의 관통공 내에 삽입되며, 하부는 상기 실링커버의 상부면과 대응하는 원판 형상이고, 상기 실링커버의 상부에서 상기 실링커버를 가압하는 누름판; 상기 상부플랜지의 관통공 상부에 위치하되, 중앙에 형성된 볼트구멍을 통해 볼트조임을 하여 상기 누름판을 가압하며, 볼트조임이 느슨해졌을 시, 볼트구멍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한 누름쇠; 및 상기 상부플랜지의 관통공 둘레 상부면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누름쇠의 볼트조임으로 상기 누름판을 가압할 시 상기 누름쇠의 양측을 상향지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누름쇠의 회전이 가능한 슬라이딩 구간이 마련되며, 가압수단을 해체하여 상기 여과스크린을 본체로부터 분리할 시 상기 누름쇠를 수직 상방향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 구간의 종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 누름쇠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용수여과기의 여과스크린 개폐장치{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FILTER SCREEN OF WATER FILTER}
본 고안은 용수여과기의 여과스크린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여과스크린의 설치 및 분리작업을 수월하게 진행하도록, 상기 여과스크린을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개선시키는 기술이 개시된다.
일반적으로, 용수 여과기는 각종 찌꺼기가 함유된 용수를 여과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1 및 도2에는 본 출원인의 종래 출원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54482호(2001년11월06일) '용수 여과기'에 대한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용수 여과기는 통체(1)의 내부가 분리벽체(2)에 의하여 유입관(3)이 연결되는 유입실(4)과 유출관(6)이 연결되는 유출실(5)로 구획된다. 통체(1)는 상부가 원주방향으로 배열되는 볼트(8)들에 의하여 고정되는 상부플랜지(7)에 의하여 밀폐된다. 이러한 상부플랜지(7)는 유출실(5)의 중심으로부터 동심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관통공(9)들이 형성된다. 상부플랜지(7)에는 도2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관형체(10)들이 설치되며, 이러한 관형체(10)들은 상부플랜지(7)에 형성된 각각의 관통공(9)들을 에워싼다. 이러한 다수의 관형체(10)들에는 통체(1)로 유입된 용수중의 찌꺼기를 여과하기 위한 여과스크린(11)들이 각각 설치된다. 여과스크린(11)들은 관형체(10)를 통하여 유출실(5)로 연장하며, 하단 부분이 유입실(4)로 개방하도록 분리 벽체(2)에 의해 지지된다.
도2를 참조하면, 각각의 여과스크린(11)은 상부에 원판 형상의 플랜지(11a)를 가지며, 관형체(10)는 여과스크린(11)의 플랜지(11a)가 걸리도록 하는 내측에 턱(10a)이 형성된다. 턱(10a)에는 오링(12)이 안치되는 홈이 형성된다. 오링(12)이 관형체(10)의 턱(10a)에 형성된 홈에 안치된 상태에서, 여과스크린(11)이 관형체(10)에 삽입되어 위치된다. 여과스크린(11)의 플랜지(11a)가 관형체(10)의 턱(10a) 위에 위치 되었을 때, 여과스크린(11)은 가압수단에 의하여 하방으로 가압되어, 여과스크린(11) 내를 통과하는 용수가 통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여과스크린(11)의 가압수단은 막대부재(14), 나사부재(15), 및 가압판(16)을 구비한다. 막대부재(14)는 도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중앙에 나사공(14a)이 형성되고 관형체(10)의 양측에 형성된 개구부(13a,13b)를 통하여 삽입되어 관형체(10)를 가로지르도록 관형체(10)의 개구부(13a,13b)에 위치된다. 나사부재(15)는 상부로부터 막대부재(14)에 형성된 나사공(14a)에 나사 결합되고, 가압판(16)은 나사부재(15)의 하부에 위치되어, 관형체(10)에 수용된 여과 스크린(11)의 플랜지(11a)의 상부에 위치된다. 가압판(16)은 바람직하게 여과스크린(11)의 플랜지(11a)의 상부를 균일하게 가압하도록 여과스크린(11)의 상부플랜지(11a)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가압판(16)의 하부면은 여과스크린(11)의 플랜지(11a)의 상부면과 밀착하도록 평면 형상을 가지며, 상부 중앙 부분에는 나사부재(15)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홈(16a)이 형성된다.
따라서, 나사부재(15)가 회전됨으로써, 막대부재(14)는 상방으로 이동하고, 막대부재(14)가 나사부재(15)의 나선운동에 의하여 관형체(10)의 양측에 형성된 개구부(13a,13b)의 상부면에 닿게 되면, 가압판(16)은 막대부재(14)의 나사공(14a)에 대한 나사부재(15)의 체결력에 의하여 하방으로 이동하여, 여과스크린(11)의 상부플랜지(11a)를 균일하게 가압한다. 여과스크린(11)의 플랜지(11a)가 하방으로 가압됨으로써, 관형체(10)의 내부턱(10a)과 여과스크린(11)의 플랜지(11a) 사이에 제공되는 오링(12)이 가압 되어, 관형체(11)와 여과스크린(11) 사이의 밀봉성이 유지된다.
이러한 용수여과기의 상기 가압수단 구조는, 여과스크린(11)의 설치 및 분리 작업이 빈번하여, 막대부재(14)의 나사공(14a)이 파손된 경우에, 막대부재(14)와 나사부재(15)만 교체함으로써, 상부플랜지(7) 전체를 교체할 필요성이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여과스크린(11)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막대부재(14)를 상기 관형체(10)의 개구부(13a,13b)를 통해 빼내야 하기 때문에, 상기 나사부재(15)를 상기 막대부재(14)로부터 완전 분리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여과스크린의 빈번한 설치 및 정비를 위한 분리작업이 있더라도, 상부플랜지 전체를 교체할 필요 없이, 마모된 막대부재와 나사부재만을 교체할 수 있되, 상기 막대부재 및 나사부재의 빈번한 설치 및 분리작업에도 마모를 최대한 적게하도록 하면서 손쉽게 여과스크린을 설치 및 분리할 수 있는 가압수단의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부는 개방되었으며, 내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수흡입구가 형성된 분리벽이 수평으로 배치되어 유입실 및 유출실로 구획되고, 상기 유입실에는 유입관이 연결되었으며, 상기 유출실에는 유출관이 연결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를 밀폐시키며, 결합시 상기 본체의 분리벽에 형성된 각 용수흡입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공이 형성 되되, 상기 관통공의 내측 면은 단턱지게 형성된 상부플랜지;와 상기 유출실에 장착되되, 하부는 개방되어 상기 분리벽에 형성된 용수흡입구와 연결되고, 상부는 상기 상부플랜지의 관통공 내측에 안착하며, 하부의 용수흡입구로부터 용수를 수용하여 측면의 미세한 틈으로 용수를 통과시켜 부유물을 걸러내는 여과스크린;과 상기 상부플랜지의 관통공의 내측에 삽입되되, 상기 여과스크린의 상부에서 가압수단에 의해 가압 되어, 상기 유출실의 용수가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커버;를 포함하는 용수여과기에 있어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여과스크린 개폐장치를 위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상부플랜지의 관통공 내에 삽입되며, 하부는 상기 실링커버의 상부면과 대응하는 원판 형상이고, 상기 실링커버의 상부에서 상기 실링커버를 가압하는 누름판; 상기 상부플랜지의 관통공 상부에 위치하되, 중앙에 형성된 볼트구멍을 통해 볼트조임을 하여 상기 누름판을 가압하며, 볼트조임이 느슨해졌을 시, 볼트구멍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한 누름쇠; 및 상기 상부플랜지의 관통공 둘레 상부면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누름쇠의 볼트조임으로 상기 누름판을 가압할 시 상기 누름쇠의 양측을 상향지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누름쇠의 회전이 가능한 슬라이딩 구간이 마련되며, 가압수단을 해체하여 상기 여과스크린을 본체로부터 분리할 시 상기 누름쇠를 수직 상방향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 구간의 종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 누름쇠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의 유입실측인 하부에는 침적된 찌꺼기 및 잔유 용수를 배출시키도록 하는 드레인노즐이 더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링커버는, 상기 상부플랜지의 관통공 내측에 삽입되는 원판형상의 패킹; 및 상기 패킹의 둘레 저면에 위치하는 오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링커버는 또한, 상기 상부플랜지의 관통공 내측에 삽입되는 원판형상이며, 저면에는 그 둘레를 따라 돌기가 형성된 패킹인 것일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목적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수여과기로는, 본체 내부에 1개의 여과스크린만 구성된 것을 도시하였지만, 본 고안이 제공하고자 하는 요지는 여과스크린을 본체로부터 분리하기 편하도록 하는 개폐장치의 구조이므로, 여과스크린의 개수가 본 고안의 사상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님을 당업자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수여과기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수여과기는 본체(310), 상부플랜지(320), 여과스크린(330), 실링커버(340) 및 누름판(351), 누름쇠(352), 누름쇠지지체(354)로 구성된 가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310)는 상부는 개방되었으며, 내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수흡입구(311a)가 형성된 분리벽(311)으로 유입실(312) 및 유출실(313)로 구획된다. 상기 유입실(312)에는 여과대상이 되는 오염된 용수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유입관(314)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310)의 하부에는 침적되는 찌꺼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드레인노즐(316)이 더 연결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드레인노즐(316)을 통해 찌꺼기 및 잔류 용수의 배출을 조절하는 드레인밸브(317)를 더 포함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분리벽(311)으로 상기 본체(310) 내부를 유입실(312) 및 유출실(313)로 분리할 때는 상기 분리벽(311)이 수평으로 설치되어 유입실(312)을 본체(310)의 하부로, 유출실(313)을 본체(310)의 상부로 구분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출실(313)에는 이후 서술할 여과스크린(330)을 통해 여과된 용수를 배출시키는 유출관(315)이 연결 된다.
상기 상부플랜지(320)는 상기 본체(310)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310)를 밀폐시키며, 상기 본체(310)에 결합시 상기 본체의 분리벽(311)에 형성된 각 용수흡입구(311a)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공(321)이 형성된다. 이는 여과스크린(330)을 상기 유출실(313)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할 시, 여과스크린(330)의 하부는 상기 분리벽(311)의 용수흡입구(311a)에 위치시키고, 상부는 상기 상부플랜지(320)의 관통공(321)에 위치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관통공(321)은 내측을 단턱지게 하되 상부의 직경이 하부의 직경보다 더 크게 하여, 이후 서술될 여과스크린(330)의 상부를 통해 유출실(313)의 용수가 관통공(321)을 통해 배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실링커버(340)가 얹혀지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여과스크린(330)의 상부가 안착할 수 있고, 또한 실링커버(340)가 얹혀지도록 하기 위한 상기 관통공(321)의 내측 구조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관통공(321) 둘레 저면에 상부스크린가이드(322)를 설치하도록 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스크린가이드(322)는 상기 상부플랜지(320)의 관통공(321) 둘레 저면을 따라 형성되되, 그 상부 내측의 직경은 상기 상부플랜지(320)의 관통공(321) 직경과 같고, 하부 내측의 직경은 상부 내측의 직경보다 작도록 턱(322a)이 진 형태이다. 또한 상기 턱(322a)의 상부면 둘레를 따라서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후 서술할 실링커버(340)를 얹혔을 시, 용수의 누수차단을 극대화하기 위해, 상기 실링커버(340)의 저면과 대응하는 구조로 형성 시키기 위함이며, 자세한 설명은 실링커버(340)와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여과스크린(330)은 상기 상부플랜지(320)의 관통공(321)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유출실(313)에 장착된다. 상기 여과스크린(330)은 하부는 개방되어 상기 분리벽(311)에 형성된 용수흡입구(311a)와 연결되고, 상부는 상기 상부스크린가이드(322)의 하부 내측에 안착하며, 하부의 용수흡입구(311a)로부터 용수를 수용하여 측면의 미세한 틈으로 용수를 통과시켜 부유물을 걸러낸다.
상기 여과스크린(330)을 유출실(313)에 장착할 시에는 여과스크린(330)의 하부를 원하는 위치로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상기 분리벽(311)의 용수흡입구(311a) 둘레의 상부면에 하부스크린가이드(311b)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여과스크린(330)은 양측의 두께가 서로 다른 금속을 내측에 두꺼운 부분이 오도록 하여 나선형으로 감아 놓은 형태로 만들어진다. 즉, 원통형의 스프링 형상과 유사하며, 이때 원통형의 여과스크린(330)의 상부 및 하부는 제작과정의 특성상 평탄하지 못하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상기 여과스크린(330)의 상부 및 하부에 상부엔드링(331) 및 하부엔드링(332)을 둘러싸도록 형성시킴으로써, 여과스크린(330)의 상부 및 하부를 평탄한 면과 대응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여과스크린(330)이 유출실(313)에 장착이 되면, 용수의 누수를 막기 위해 상기 여과스크린(330)의 상부에 실링커버(340)를 얹어서 가압수단으로 가압한다.
상기 실링커버(340)는 상기 상부스크린가이드(322)의 하부 내측의 직경보다는 크도록하며, 상기 상부스크린가이드(322)의 상부 내측보다는 작도록 형성된 원판형상이며, 저면에는 그 둘레를 따라 돌기가 형성된 패킹이다. 즉 상기 돌기는 상기 상부스크린가이드(322)의 턱(322a) 상부면에 형성된 홈에 안착하여 상기 실링커버(340)를 상부에서 가압할 시, 상기 실링커버(340)와 상부스크린가이드(322) 사이의 틈새를 완벽하게 막아주어 용수의 누수를 차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링커버(340)는 상술한 돌기가 형성된 패킹의 구조 외에도, 상하부가 평탄한 원판형상의 패킹과 상기 돌기의 역할을 대신하는 오링을 포함시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실링커버(340)를 가압하는 가압수단은 누름판(351), 누름쇠(352) 및 누름쇠지지체(354)이며, 도4 및 도5에 자세히 도시 되어 있다.
먼저 도3 및 도5를 참조하여 상기 누름판(351)을 설명하면, 상기 누름판(351)은 상기 실링커버(340)의 상부에서 상기 실링커버(340)와 직접 접촉하여 가압하는 부분이며, 상기 실링커버(340)의 전체에 고르게 힘을 전달할 수 있도록, 저면이 평탄하다. 또한 이후 서술할 볼트(353)의 위치를 잡아줄 수 있도록, 상부 중앙부에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누름판(351)을 제거하기 편리하도록 상부에 손잡이(미도시)가 더 포함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손잡이를 더 포함시킬 시에는 이후 서술할 누름쇠(352)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충분히 작은 크기로 제작되어야 한다.
상기 누름쇠(352)는 상기 상부플랜지(320)의 관통공(321) 상부에 위치하되, 중앙부에 형성된 볼트구멍(352a)을 통해 볼트조임을 하여 상기 누름판(351)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누름쇠지지체(354)는 상기 상부플랜지(320)의 관통공(321) 둘레 상부면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누름쇠(352)를 볼트(353)로 조여 상기 누름판(351)을 가압할 시 상기 누름쇠(352)의 양측을 상향지지하도록 하는 걸림턱(354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누름쇠(352)가 회전할 수 있는 슬라이딩구간(A)이 마련되며, 상기 슬라이딩구간(A)의 종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는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누름쇠(352)가 누름쇠지지체(354)의 개방된 부분으로 이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종래에는 여과스크린(330)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나사부재(15)(본 고안의 볼트(353))를 완전히 풀어서 제거한 후, 막대부재(14)(본 고안의 누름쇠(352))를 관형체(10)의 개구부(13a,13b)를 통해 빼 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러나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누름쇠(352)와 누름쇠지지체(354)의 관계를 살펴보면, 본 고안에서는 상기 볼트(353)를 살짝만 풀어 상기 누름쇠(352)가 상기 누름쇠지지체(354)의 걸림턱(354a)에서 이격되면 상기 누름쇠(352)를 슬라이딩구간(A)을 따라 일정 각 회전시켜서 위로 들어올리는 동작만으로 상기 누름쇠(352)를 분리할 수 있다.
즉 상기 볼트(353)를 완전히 제거할 필요가 없으므로, 볼트(353)와 볼트구멍(352a) 사이의 회전에 의한 마찰이 적어지므로, 볼트구멍의 마모로 인한 누름쇠(352) 및 볼트(353)의 교체 시기를 상당히 줄일 수 있다. 물론 도1 및 도2에 도시된 종래기술에서 추구하였던 상부플랜지(320)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을 제거하는 효과는 당연히 따라오는 것이다.
이상,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고안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누름쇠지지체의 가장자리가 원형인 구조를 채택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누름쇠지지체의 가장자리를 수차례 절곡한 다각형 구조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누름쇠지지체를 누름쇠가 회전할 수 있는 슬라이딩 구간과, 누름쇠를 상향 이탈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개방부를 형성시켜 구성함으로써, 볼트의 완전 제거 없이 간편한 작업만으로도 여과스크린을 빈번하게 삽입 및 교체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볼트와 볼트구멍 간의 마찰이 적어지므로, 마모에 의한 볼트와 누름쇠의 교체시기도 상당히 늦출 수 있는 장점이있다.
도1은 종래의 용수여과기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용수여과기의 가압수단을 포함한 개폐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수여과기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4는 도3에 도시된 용수여과기에 채용된 누름쇠와 누름쇠지지체의 구조를 나타내기위한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수여과기의 여과스크린 개폐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도4의 Ⅴ-Ⅴ선에 의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0 : 본체
311 : 분리벽
311a : 용수흡입구 311b : 하부스크린가이드
312 : 유입실 313 : 유출실
314 : 유입관 315 : 유출관
316 : 드레인노즐 317 : 드레인밸브
320 : 상부플랜지
321 : 관통공
322 : 상부스크린가이드
322a : 턱
330 : 여과스크린
331 : 상부엔드링 332 : 하부엔드링
340 : 실링커버
351 : 누름판
352 : 누름쇠
352a : 볼트구멍 353 : 볼트
354 : 누름쇠지지체
354a : 걸림턱

Claims (3)

  1.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는 유입관과 연결된 유입실과 유출관이 연결된 유출실 및 상기 유입실과 유출실을 구획하는 분리벽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를 밀폐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며 관통공이 형성된 상부플랜지와; 상기 상부플랜지의 관통공을 통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용수를 통과시켜 부유물을 걸러내는 미세한 틈이 형성된 여과스크린과; 상기 상부플랜지의 관통공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여과스크린의 일측을 가압함으로써 본체로 유입된 용수가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하는 용수여과기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여과스크린의 상부에 위치하는 실링커버;
    상기 상부플랜지의 관통공에 설치되어 상기 실링커버를 가압하는 누름판;
    상기 상부플랜지의 관통공 상부에 위치하며, 볼트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구멍을 통해 볼트가 결합되어 상기 누름판을 가압하는 누름쇠; 및
    상기 상부플랜지의 관통공 둘레에 설치되며, 원주방향 둘레의 일부분을 상방으로 차단하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누름쇠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구간이 마련되며, 상기 누름쇠를 수직 상방향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 구간의 종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 누름쇠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 여과기의 여과스크린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커버는,
    상기 상부플랜지의 관통공 내측에 삽입되는 원판형상이며, 저면에는 그 둘레를 따라 돌기가 형성된 패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 여과기의 여과스크린 개폐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유입실측인 하부에는 침적된 찌꺼기 및 잔류 용수를 배출시키도록 하는 드레인노즐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 여과기의 여과스크린 개폐장치.
KR20-2005-0025927U 2005-09-08 2005-09-08 용수여과기의 여과스크린 개폐장치 KR2004017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927U KR200401728Y1 (ko) 2005-09-08 2005-09-08 용수여과기의 여과스크린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927U KR200401728Y1 (ko) 2005-09-08 2005-09-08 용수여과기의 여과스크린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728Y1 true KR200401728Y1 (ko) 2005-11-21

Family

ID=43702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5927U KR200401728Y1 (ko) 2005-09-08 2005-09-08 용수여과기의 여과스크린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72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5499B1 (ko) * 2014-06-09 2016-10-25 (주) 코리아 인바이텍 용수여과장치의 스크린 가압 구조
CN109011793A (zh) * 2018-09-25 2018-12-18 上海迈正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长条毛刷旋转滤筒式固液分离装置
KR102308013B1 (ko) * 2020-08-11 2021-10-01 홍현진 수도 여과장치
CN117504421A (zh) * 2024-01-06 2024-02-06 北京禹涛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屠宰废水的处理装置及处理工艺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5499B1 (ko) * 2014-06-09 2016-10-25 (주) 코리아 인바이텍 용수여과장치의 스크린 가압 구조
CN109011793A (zh) * 2018-09-25 2018-12-18 上海迈正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长条毛刷旋转滤筒式固液分离装置
CN109011793B (zh) * 2018-09-25 2024-05-10 宁强长江资源循环利用有限公司 一种长条毛刷旋转滤筒式固液分离装置
KR102308013B1 (ko) * 2020-08-11 2021-10-01 홍현진 수도 여과장치
CN117504421A (zh) * 2024-01-06 2024-02-06 北京禹涛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屠宰废水的处理装置及处理工艺
CN117504421B (zh) * 2024-01-06 2024-03-22 北京禹涛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屠宰废水的处理装置及处理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81171A (en) Self-cleaning filter assembly for solenoid-actuated valves
KR200401728Y1 (ko) 용수여과기의 여과스크린 개폐장치
EA008425B1 (ru) Пробка для сливного отверстия
KR100916650B1 (ko) 조립식 분배기를 갖는 자동여과장치
KR20180126913A (ko) 배관용 스트레이너
US20050000198A1 (en) Fuel filter
US6468421B2 (en) Bag filter wash-down system with vacuum break pulse
JP3117052B2 (ja) 流水管の夾雑物除去装置
JP4272907B2 (ja) ストレーナ
EP1973626B1 (en) Strainer device
KR100949076B1 (ko) 여과수단
KR200194074Y1 (ko) 파이프 라인 스트레이너의 이물질 확인장치
US5196119A (en) Filtering system utilizing rotational flow and dual chambers
US2859876A (en) Filter
KR100415648B1 (ko) 오일스컴 전처리용 필터링장치
US6712964B2 (en) Method of fastening filter media to flat circular support structure
KR100822344B1 (ko) 산업용 유체 여과장치
JPH0724222A (ja) 流水管内の夾雑物除去装置
RU116372U1 (ru) Фильтр картриджный гидроциклонный
CN219002283U (zh) 污水集中处理设备
RU246057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транспортируемого газа
KR200254482Y1 (ko) 용수 여과기
KR200202974Y1 (ko) 정수기의 휠터 카트리지 장착장치
US20170065913A1 (en) Upward flowing in-line strainer
KR20050011621A (ko) 멀티 사이클론을 이용한 유체 여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