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8013B1 - 수도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수도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8013B1
KR102308013B1 KR1020200100314A KR20200100314A KR102308013B1 KR 102308013 B1 KR102308013 B1 KR 102308013B1 KR 1020200100314 A KR1020200100314 A KR 1020200100314A KR 20200100314 A KR20200100314 A KR 20200100314A KR 102308013 B1 KR102308013 B1 KR 102308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
central rod
uni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0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현진
Original Assignee
홍현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현진 filed Critical 홍현진
Priority to KR1020200100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80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8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8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2Devices for taking out of action one or more units of multi- unit filters, e.g. for regen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40Special measures for connecting different parts of the fil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시설에서 수도관을 통하여 사용자의 수도꼭지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수돗물에 포함될 수 있는 중금속, 미생물, 해충 등을 여과하기 위한 수도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입관이 상면에 관통 연결되고, 배출관이 하면에 형성된 밀폐된 통 형상의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밀폐된 내부 공간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주변에 유입된 물을 중공으로 여과하여 보내기 위한 여과부, 및 상기 여과부의 중공에 상기 바디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직립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하단 측벽에 투과공이 형성된 중심봉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관은 상기 중심봉의 하단에 연통된다. 따라서 여과부의 가운데 영역에 중심봉이 설치되어 여기에 여과부가 지지될 수 있으며, 여과부와 중심봉 사이의 사이 공간에서 여과수가 가속되어 이동함으로써 즉시 필요한 물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바디부가 상부 바디와 하부 바디의 클램핑 결합에 의하여 간편하게 여과부를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수도 여과장치{Water Filter}
본 발명은 정수시설에서 수도관을 통하여 사용자의 수도꼭지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수돗물에 포함될 수 있는 중금속, 미생물, 해충 등을 여과하기 위한 수도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식수로 사용되는 수돗물에 이물질이 섞여 배출되어 지역 사회의 문제가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소비자들은 정수장으로부터 배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수돗물을 그대로 식수로 사용하지 않고 끓이거나, 별도의 정수기를 설치하거나 플라스틱병으로 제공되는 생수를 사서 음용하는데, 끓이는 것은 다시 식히는 과정이 필요해서 번거롭고, 플라스틱병은 비용과 환경오염의 문제를 갖고 있으며, 정수기는 설치비용과 유지관리비용이 과다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고,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수도꼭지 전단에 설치하여 수돗물을 간단한 방식으로 여과하는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등록실용신안 제20-0118303호에서와 같이, 기본적으로 여과를 위한 하우징 내부에 원통형의 필터가 설치되고 필터의 외부에서 내부로 통과하는 과정에서 불순물이 여과되어 필터의 중심부의 여과된 물이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구조가 일반적인데, 종래의 장치들은 물이 여과되는 과정에서 유속이 느려져 원하는 양의 물을 즉시 사용할 수 없으며, 오랜 사용으로 필터의 교체 시기가 도달했을 때에 필터 교환을 일반인이 쉽게 할 수 없는 복잡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11830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수도꼭지 주변에 설치하고 여과 필터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상부 바디와 하부 바디를 클램핑부에 의하여 결합하도록 구성하고, 여과부의 내측에 여과수를 가속시키고 여과 효율을 높이기 위한 중심봉을 설치하여 여과수가 중심봉의 하단에 형성된 투과공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한 수도 여과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기타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수도 여과장치는 유입관이 상면에 관통 연결되고, 배출관이 하면에 형성된 밀폐된 통 형상의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밀폐된 내부 공간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주변에 유입된 물을 중공으로 여과하여 보내기 위한 여과부; 및 상기 여과부의 중공에 상기 바디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직립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하단 측벽에 투과공이 형성된 중심봉;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관은 상기 중심봉의 하단에 연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유입관을 고정하는 상부 바디, 상기 배출관이 고정된 하부 바디, 상기 상부 바디와 상기 하부 바디를 서로 결합하기 위한 클램핑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상부 바디와 상기 하부 바디의 가장자리에서 바깥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장자리 연장면을 각각 안착하기 위한 안착 홈이 형성된 링 형상의 연장면 안착링, 및 상기 연장면 안착링의 양측에 안착된 상기 상부 바디와 상기 하부 바디의 가장자리 연장면을 함께 클램핑하여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로 구성되고, 상기 연장면 안착링은 밀폐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연성의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바디부의 바닥면에서 위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여과부의 내면에 삽입되도록 상기 여과부를 수용하기 위한 하단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관은 상기 중심봉의 하단부를 수용하여 고정하도록 상단부에 폭이 확장된 확관부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여과부의 상단면을 포획하여 아래로 가압하기 위한 포획 리브가 형성되고, 하면에는 상기 중심봉의 상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부가 하방으로 형성되고, 상면에는 회전노브가 형성된 나비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수도 여과장치에 의하면, 여과부의 가운데 영역에 중심봉이 설치되어 여기에 여과부가 지지될 수 있으며, 여과부와 중심봉 사이의 사이 공간에서 여과수가 가속되어 이동함으로써 즉시 필요한 물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바디부가 상부 바디와 하부 바디의 클램핑 결합에 의하여 간편하게 여과부를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수도 여과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상부 바디를 하부 바디에서 분리하고 여과부가 분리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수도 여과장치의 내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수도 여과장치에서 여과부가 중심봉에 지지되어 설치된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수도 여과장치를 통하여 물이 여과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 및
도 6은 본 발명에서 연장면 안착링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수도 여과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상부 바디를 하부 바디에서 분리하고 여과부가 분리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수도 여과장치의 내부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수도 여과장치에서 여과부가 중심봉에 지지되어 설치된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수도 여과장치는 바디부(100), 여과부(200), 및 중심봉(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디부(100)는 유입관(11)이 상면에 관통 연결되고, 배출관(21)이 하면에 형성되며, 외관 형상은 밀폐된 통 형상으로서 일반적으로는 원통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세로로 세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수평으로 설치하여 유입관을 통하여 유입되는 물을 정수하여 배출관으로 보내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여과부(200)는 상기 바디부(100)의 밀폐된 내부 공간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주변에 유입된 물을 중공(201)으로 여과하여 보낸다. 여과부(200)는 일반적으로 충분한 두께를 갖는 원통 형상이고 일단이 막히고 그 반대 측은 개방된 구조로서 외주면을 통하여 외부의 물이 중공(201)으로 유입되면서 여과되고 개방된 쪽으로 여과된 물이 배출되는 구조이다.
상기 중심봉(300)은 상기 여과부(200)의 중공(201)에 상기 바디부(10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직립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하단 측벽에 투과공(310)이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
종래에는 여과부(200)의 중공(201)에 유입된 여과된 물이 그대로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구조였는데, 본 발명에서는 중공(201)에 중심봉(300)이 더 설치되어 여과된 물이 흐르는 공간의 폭을 줄여 유속을 강화하였으며, 또한 중심봉(300)의 주위로 자연적 회전력이 발생하도록 하여 여과부(200)를 통과하는 물에도 영향을 미쳐 여과부에서의 체류 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여과 성능을 강화하였다.
특히, 중심봉(300)의 존재에 따른 유속의 증가에 의하여 사용자는 충분히 정수된 물을 오래 기다리지 않고 즉시 마시거나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배출관(21)은 상기 중심봉(300)의 하단에 연통되어 중심봉(300)의 투과공(310)으로 유입된 여과수를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봉(300)의 투과공(310)은 서로 마주하는 한 쌍(311)과 그 아래 측에 수직 방향에 마주하는 한 쌍(313)으로 구성되어 비교적 구경이 작은 중심봉(300)의 사방에서 물이 자연스럽게 배출관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바디부(100)는 상기 유입관(11)을 고정하는 상부 바디(110), 상기 배출관(21)이 고정된 하부 바디(120), 상기 상부 바디(110)와 상기 하부 바디(120)를 서로 결합하기 위한 클램핑부(400)를 포함하여, 클램핑부(400)의 단순한 조작으로 하부 바디(120)에 대하여 상부 바디(110)를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바디(120)에 장착된 여과부(200)를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핑부(400)는 상기 상부 바디(110)와 상기 하부 바디(120)의 가장자리에서 바깥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장자리 연장면(118, 128)을 각각 안착하기 위한 안착 홈(418, 428)이 형성된 링 형상의 연장면 안착링(410), 및 상기 연장면 안착링(410)의 양측에 안착된 상기 상부 바디(110)와 상기 하부 바디(120)의 가장자리 연장면(118, 128)을 함께 클램핑하여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420)로 구성함으로써 상부 바디(110)와 하부 바디(120) 사이의 완전한 밀폐 구조를 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장면 안착링(410)은 밀폐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연성의 재료로 구성됨으로써 클램프(420)에 의하여 가압될 때에 가장자리 연장면(118, 128)이 안착 홈(418, 428)을 눌러 들어가도록 함으로써 더욱 완전한 밀폐 구조를 달성할 수 있게 되며, 연장면 안착링(410)에는 내측으로 상방 지지리브(415)가 더 형성되어 바디부(100)의 내측에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비틀림을 억제하여 더욱 안정적인 밀폐 구조를 달성할 수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 지지리브(415)에 반대측으로 하방 지지리브(416)가 더 형성되어 더욱 안정적인 밀폐 구조를 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바디부(100)의 바닥면에서 위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여과부(200)의 내면에 삽입되도록 상기 여과부(200)를 수용하기 위한 하단 지지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투과공(310)은 하단 지지부재(500)의 위로 노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여과수의 신속한 배출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배출관(21)은 상기 중심봉(300)의 하단부를 수용하여 고정하도록 상단부에 폭이 확장된 확관부(25)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중심봉(300)의 구경과 배출관(21)의 구경을 일치시켜 여과부(200)와 중심봉(300) 사이의 공간에서 발생되는 여과수의 유속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여과부(200)를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 나비볼트(6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나비볼트(600)의 외주면에는 상기 여과부의 상단면(203)을 포획하여 아래로 가압하기 위한 포획 리브(610)가 형성되어 여과부의 상단면(203)을 일정 깊이 눌러 내측으로 밀어 넣어 완전한 밀폐 구조를 이루어 여과되지 않은 물이 여과부(200)의 내부로 진입되지 못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나비볼트(600)의 하면에는 상기 중심봉(300)의 상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부(620)가 하방으로 형성될 수 있고, 나비볼트(600)의 상면에는 회전노브(630)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회전노브(630)를 간단히 돌리는 동작으로 중심봉(300)으로부터 분리하여 여과부(300)를 꺼내어 새로운 것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도 여과장치에 유입관을 통하여 유입된 물이 진행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는데, 여과부(200)의 외부면을 통하여 내부로 진입한 물은 여과부(200)의 중심에 위치하는 중심봉(300)의 존재로 진입 과정에서 일정한 회전류가 형성됨으로써 여과부(200)에서의 체류 시간이 지연됨과 동시에 여과부와 중심봉(300)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한 여과수는 중심봉(300)의 존재로 인하여 폭이 좁아진 공간을 더욱 빠른 속도로 진행하게 되고, 중심봉(300)의 하단에 형성된 투과광(310)을 통하여 충분한 속도로 배출관(21)으로 배출되어 진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사항은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며, 다양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1: 유입관 21: 배출관
100: 바디부 110: 상부 바디
120: 하부 바디 200: 여과부
300: 중심봉 310: 투과공

Claims (3)

  1. 유입관이 상면에 관통 연결되고, 배출관이 하면에 형성된 밀폐된 통 형상의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밀폐된 내부 공간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주변에 유입된 물을 중공으로 여과하여 보내며, 충분한 두께를 갖는 원통형상으로 일단이 막히고 그 반대 측은 개방된 구조로서 외주면을 통하여 외부의 물이 중공으로 유입되면서 여과되고 개방된 쪽으로 여과된 물이 배출되는 구조인 여과부;
    상기 여과부의 중공에 상기 바디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직립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하단 측벽에 투과공이 형성된 중심봉;
    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관은 상기 중심봉의 하단에 연통되며,
    상기 여과부를 통해 여과된 물이 흐르는 공간의 폭을 줄여 유속을 강화하고 중심봉의 주위로 자연적 회전력이 발생하도록 하여 여과부를 통과하는 물에도 영향을 미쳐 여과부에서의 체류시간을 증가시켜 여과 성능을 강화하고,
    상기 중심봉의 투과공은 서로 마주하는 한 쌍과 그 아래 측에 수직 방향에 마주하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비교적 구경이 작은 중심봉의 사방에서 물이 자연스럽게 배출관으로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 바디부는 상기 유입관을 고정하는 상부 바디, 상기 배출관이 고정된 하부 바디, 상기 상부 바디와 상기 하부 바디를 서로 결합하기 위한 클램핑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상부 바디와 상기 하부 바디의 가장자리에서 바깥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장자리 연장면을 각각 안착하기 위한 안착 홈이 형성된 링 형상의 연장면 안착링, 및 상기 연장면 안착링의 양측에 안착된 상기 상부 바디와 상기 하부 바디의 가장자리 연장면을 함께 클램핑하여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로 구성되고,
    상기 연장면 안착링은 밀폐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연성의 재료로 구성되며,
    상기 바디부의 바닥면에서 위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여과부의 내면에 삽입되도록 상기 여과부를 수용하기 위한 하단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관은 상기 중심봉의 하단부를 수용하여 고정하도록 상단부에 폭이 확장된 확관부가 형성되어 중심봉의 구경과 배출관의 구경을 일치시켜 여과부의 중심봉 사이의 공간에서 발생되는 여과수의 유속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하고,
    외주면에 상기 여과부의 상단면을 포획하여 아래로 가압하기 위한 포획 리브가 형성되고, 하면에는 상기 중심봉의 상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부가 하방으로 형성되고, 상면에는 회전노브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회전노브를 간단히 돌리는 동작으로 중심봉으로부터 분리하여 여과부를 꺼내어 새로운 것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 나비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여과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00100314A 2020-08-11 2020-08-11 수도 여과장치 KR102308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314A KR102308013B1 (ko) 2020-08-11 2020-08-11 수도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314A KR102308013B1 (ko) 2020-08-11 2020-08-11 수도 여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8013B1 true KR102308013B1 (ko) 2021-10-01

Family

ID=78115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0314A KR102308013B1 (ko) 2020-08-11 2020-08-11 수도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80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70203A1 (en) * 2021-10-29 2023-05-04 H2O Innovation Inc. Filter cartridge assembly and cartridge support for same
CN116550027A (zh) * 2023-05-31 2023-08-08 唐山市生态环境局古冶区分局 工业废水用的环保过滤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8303Y1 (ko) 1995-03-25 1998-04-23 김형수 수도 직결형 정수기용 여과기
KR200401728Y1 (ko) * 2005-09-08 2005-11-21 (주) 코리아 인바이텍 용수여과기의 여과스크린 개폐장치
KR101124463B1 (ko) * 2009-09-03 2012-03-16 (주)진행워터웨이 수도 직결식 휴대용 정수기
KR101288692B1 (ko) * 2012-01-12 2013-07-22 유총재 수처리 유닛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8303Y1 (ko) 1995-03-25 1998-04-23 김형수 수도 직결형 정수기용 여과기
KR200401728Y1 (ko) * 2005-09-08 2005-11-21 (주) 코리아 인바이텍 용수여과기의 여과스크린 개폐장치
KR101124463B1 (ko) * 2009-09-03 2012-03-16 (주)진행워터웨이 수도 직결식 휴대용 정수기
KR101288692B1 (ko) * 2012-01-12 2013-07-22 유총재 수처리 유닛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70203A1 (en) * 2021-10-29 2023-05-04 H2O Innovation Inc. Filter cartridge assembly and cartridge support for same
CN116550027A (zh) * 2023-05-31 2023-08-08 唐山市生态环境局古冶区分局 工业废水用的环保过滤系统
CN116550027B (zh) * 2023-05-31 2023-10-10 唐山市生态环境局古冶区分局 工业废水用的环保过滤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8013B1 (ko) 수도 여과장치
US7713483B2 (en) Portable filter cap
US5569374A (en) Portable drinking water filtration apparatus
AU200235989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and filtering particles and organisms from flowing liquids
CN201609187U (zh) 便携式净水杯
US2997178A (en) Water filter
KR101414744B1 (ko) 휴대용 정수기
CN202343104U (zh) 一种罐式中空纤维膜组件
KR20200060566A (ko) 정수기용 ro필터를 갖는 복합 정수필터
KR101770652B1 (ko) 물 여과장치
KR20090098581A (ko) 원터치 착탈식 어댑터
KR102182530B1 (ko) 중금속 제거와 천연미네랄 용출 및 살균의 복합기능을 갖춘 가정용 정수기
CN208234644U (zh) 一种自清洗直饮水机
CN208104101U (zh) 一种污水处理箱
KR101861614B1 (ko) 정수기 필터
JP2000225391A (ja) 携帯用浄水装置
KR102350558B1 (ko) 정수용 중금속 성분 제거장치
CN215559623U (zh) 一种多级过滤净水系统及净水器
KR102315167B1 (ko) 정수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빗물정수시스템
CN211963358U (zh) 一种消毒液沉淀分离装置
CN111217464A (zh) 净水器用复合型净水过滤器
CN209481379U (zh) 一种具备消毒灭菌功能的纯水设备
KR910003296Y1 (ko) 휴대용 정수기
KR20190000115A (ko) 무동력 휴대용 간이정수장치
KR102364228B1 (ko) 수전 직결식 정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