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3296Y1 - 휴대용 정수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3296Y1
KR910003296Y1 KR2019890002471U KR890002471U KR910003296Y1 KR 910003296 Y1 KR910003296 Y1 KR 910003296Y1 KR 2019890002471 U KR2019890002471 U KR 2019890002471U KR 890002471 U KR890002471 U KR 890002471U KR 910003296 Y1 KR910003296 Y1 KR 9100032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ntainer
water purification
filter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24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7058U (ko
Inventor
재 엽 원
Original Assignee
원재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재엽 filed Critical 원재엽
Priority to KR20198900024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3296Y1/ko
Publication of KR9000170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70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32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2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2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small portabl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ersonal travel or emergency equipment, survival kits, combat gea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3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household-typ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itchers, bottles, faucet mounted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04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pitcher or ju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휴대용 정수기
제 1 도는 본 고안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요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컵 (2) : 정수용기
(3) : 안내판 (4) : 지지용기
(4') : 여과필터 (5) : 활성탄
(6) : 제 2 필터 (7) : 하측마개
(8) : 깔대기 (8') : 제 1 필터
(9) : 뚜껑체 (10) : 상측마개
본 고안은 컵의 내부에 정수장치를 결합하고 있는 정수용기와 깔대기를 내장하여 뚜껑체로 컵의 입구를 막으면 적은 부피로 되는 것이어서 휴대가 용이하게 되고 아울러 야외의 시냇물이나 수돗물 등을 마실때 컵에서 정수용기와 깔대기를 분리하여 정수가 가능토록 조립을 하면 시냇물이나 수도물 등에 포함되어 있는 여러가지의 불순물을 제거한 깨끗하고 맑은 물을 얻을수 있어 위생적인 물을 마실수 있도록 안출된 휴대용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정수기는 대부분이 부피가 크고 장치가 대규모 적이어서 일반적으로 사무실이나 가정등지에서 많이 애용될 뿐 등산이나 낚시등을 할때에는 흐르는 시냇물이나 아니면 가정에서 별도의 물병에 담아온 물을 이용하여 음료수용 내지는 취사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인 것이다.
그러나 야외의 시냇물이나 강물등에는 여러가지 불순물과 병균이 현존해 있는 실정이므로 이러한 물을 그냥 마셨을 경우에는 배탈이나 설사등을 부르게 되는 비위생적인 폐단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폐단점을 해결 보안하기 위하여 컵과 정수 장치가 있는 정수용기 그리고 깔대기를 컵내부에 결합 내지는 분해할수 있도록 함으로서 휴대시에는 적은부피로 휴대가 가능하면서 물을 마실때에는 정수용기와 깔대기를 컵의 상측에 조립하여 물을 부으면 정수용기의 정수 작용에 의해 깨끗하고 맑은 물이 컵에 모이게 되는 것이므로 항상 위생적인 물을 마실수 있는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손잡이(1')를 일측에 형성하고 있는 컵(1)의 내부로 바닥면에 수개의 고정편(2')을 돌설하고 있는 정수용기(2)를 안착시키되, 정수용기(2)의 중간부에 수개의 여과필터(4')를 결합하고 있는 지지용기(4)를 제 2 필터(6)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활성탄(5)상측에 결합한후 지지용기(4)의 상측으로 중앙에 안내관(3')을 착설하고 있는 안내판(3)을 결합한뒤 정수용기(2)의 저면 중앙에는 유출공(2")을 천공하여 이에 하측 마개(7)를 결합하며 정수 용기(2)의 상측 외주면으로 제 1 필터(8')를 결합하고 있는 깔대기(8)를 씌워 결합하고 컵(1)의 개구부에는 삽입공(9')에 상측마개(10)를 결합하고 있는 고정체(9")의 요소요소에 접촉면(9")을 형성하고 있는 뚜껑체(9)를 결합한 구성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1은 패킹 12는 유출구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평상시 즉, 사용을 안하고 휴대를 할때에는 제 1 도와 같이 정수용기(2)와 깔대기(8)가 결합된 상태로 컵(1)에 내장되어 있으므로 휴대가 간편하다.
그러나 야외로 등산이나 낚시 또는 야유회를 나가서 시냇물이나 강물 또는 직장의 수돗물이나 공원등지의 수도물을 마시고자 할때에는 제 1 도와 같은 상태에서 뚜껑체(9)를 컵(1)으로부터 분리하여 컵(1)내부에 안착되어 있는 정수용 용기(2)와 깔대기(8)를 외부로 이탈시킨후 다시 뚜껑체(9)를 컵(1)에 결합시켜 상측마개(10)를 고정체(9")의 삽입공(9')으로부터 분리시키고 정수용기(2)의 유출공(2")에 결합되어 있는 하측마개(7)를 분리시킨후 뚜껑체(1)의 고정체(9")중앙에 천공된 삽입공(9')으로 삽입시키면 정수용기(2)의 바닥면에 돌설된 수개의 고정편(2')이 제 3 도와 같이 고정체(9")의 접촉면(9")에 가상선으로 표현한 것과 같이 위치되어지고 정수용기(2)를 임의의 방향으로 약간 회전시켜 고정편(2')이 고정체(9")의 외주면에 실선으로 표현한 것과 같이 탄지되도록 한후 깔대기(8)를 정수용기(2)로 부터 분리시켜 거꾸로 뒤집어서 제 2 도와 같이 정수용기(2)의 상측으로 결합시키면 패킹(11)에 의해 정수용기(2)의 내주벽에 긴밀하게 겹합되어 지는 상태가 된다.
이때 시냇물이나 강물등을 깔대기(8)내부로 부으면 깔대기(8)의 제 1 필터(8')에 의해 1차적인 여과를 하게 되고 정수용기(2)로 유입된 물은 안내판(3')을 통과하여 지지용기(4)에 부딪치면서 선회를 하게 되고 선회작용을 마친 물은 수개의 여과필터(4')에 의해 2차적인 여과공정을 거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여과필터(4')를 통과한 물은 활성탄(5)을 통과하면서 살균 작용을 하게 되는 3차적인 여과를 하는 것이며, 활성탄(5)을 통과한 물은 다시 제 2 필터(6)의 양측을 통과하면서 4차적인 여과를 하게 되고 제 2 필터를 통과한 물은 유출공(2")과 삽입공(9')을 통과하여 비로소 컵(1)내부에 도어 유출구(12)에 의해 따라 마실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컵(1)내부에 모인물은 4차적인 여과공정을 거친 물이므로 상당히 깨끗하고 맑은 물로 정수된 상태여서 뚜껑체(9)를 분리시켜 컵(1)의 손잡이(1')를 파지하고 물을 마시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물을 마신후에는 전술한 바와 역순으로 조립을 하면 휴대가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컵 내부에 정수용기와 깔대기를 내장하여 휴대가 편리하고 간단한 조립에 의해 야외의 시냇물이나 강물등을 즉석에서 마실수 있는 것이므로 상당히 위생적이고 편리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손잡이(1')를 일측에 형성하고 있는 캡(1)의 내부로 바닥면에 수개의 고정편(2')을 돌설하고 있는 정수용기(2)를 안착시키되,정수용기(2)의 중간부에 수개의 여과필터(4')를 결합하고 있는 지지용기(4)를 제 2 필터(6)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활성탄(5)상측에 결합한후 지지용기(4)의 상측으로 중앙에 안내판(3')을 착설하고 있는 안내판(3)을 결합한 뒤 정수용기(2)의 저면 중앙에는 유출공(2")을 천공하여 이에 하측마개(7)를 결합하며 정수용기(2)의 상측외주면으로 제 1 필터(8')를 결합하고 있는 깔대기(8)를 씌워 결합하고 컵(1)의 개구부에는 삽입공(9')에 상측마개(10)를 결합하고 있는 고정체(9")의 요소 요소에 접촉면(9")을 가지고 있는 뚜껑체(9)를 결합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수기.
KR2019890002471U 1989-03-03 1989-03-03 휴대용 정수기 KR9100032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2471U KR910003296Y1 (ko) 1989-03-03 1989-03-03 휴대용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2471U KR910003296Y1 (ko) 1989-03-03 1989-03-03 휴대용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7058U KR900017058U (ko) 1990-10-05
KR910003296Y1 true KR910003296Y1 (ko) 1991-05-18

Family

ID=19284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2471U KR910003296Y1 (ko) 1989-03-03 1989-03-03 휴대용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329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4306A (ko) * 2002-11-21 2004-05-28 박노인 휴대용 정수기
KR100762171B1 (ko) * 2007-06-20 2007-10-04 (주)동신아이피씨 조립식 간이 정수처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4306A (ko) * 2002-11-21 2004-05-28 박노인 휴대용 정수기
KR100762171B1 (ko) * 2007-06-20 2007-10-04 (주)동신아이피씨 조립식 간이 정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7058U (ko) 199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6458B1 (ko) 수평형 유입채널식 정수기
KR101177929B1 (ko) 휴대용 정수기
US4700412A (en) Universal trap
KR910003296Y1 (ko) 휴대용 정수기
KR102308013B1 (ko) 수도 여과장치
JP2000042536A (ja) 家庭用浄水器
CN210124518U (zh) 一种滤水壶
CN202116352U (zh) 一种超滤净水器
CN201200240Y (zh) 净化水杯
JPH10211954A (ja) 水処理用カートリッジおよびこのカートリッジと飲料ボトルとの組合せ構造ならびにこのカートリッジを用いた水処理方法
KR910003297Y1 (ko) 휴대용 정수기
WO2010010572A2 (en) A system and method for water purification
KR890002198Y1 (ko) 음료수 여과기
CN217408406U (zh) 一种茶壶杯
KR20110006832U (ko) 휴대용 정수기
KR200189405Y1 (ko) 생수통과 냉온수기 간의 연결 지지장치
KR200147582Y1 (ko) 유아용 우유젖병 필터장치
CN202284155U (zh) 双重净水过滤装置
CN201602530U (zh) 一种集成净水器的水壶
CN215015880U (zh) 一种新型防溅出水杯
JPS638463Y2 (ko)
KR890006561Y1 (ko) 수도 직결형 정수기의 유출 밸브
KR0118122Y1 (ko) 휴대용 정수, 살균포트
CN2397857Y (zh) 装有净水器的饮水机供水装置
CN2261783Y (zh) 卫生饮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