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4463B1 - 수도 직결식 휴대용 정수기 - Google Patents

수도 직결식 휴대용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4463B1
KR101124463B1 KR1020090082926A KR20090082926A KR101124463B1 KR 101124463 B1 KR101124463 B1 KR 101124463B1 KR 1020090082926 A KR1020090082926 A KR 1020090082926A KR 20090082926 A KR20090082926 A KR 20090082926A KR 101124463 B1 KR101124463 B1 KR 101124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ionization
net
unit
discharg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2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4789A (ko
Inventor
심학섭
Original Assignee
(주)진행워터웨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행워터웨이 filed Critical (주)진행워터웨이
Priority to KR1020090082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4463B1/ko
Publication of KR20110024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4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4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4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2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small portabl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ersonal travel or emergency equipment, survival kits, combat gea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8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for producing "ionised" acidic or basic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06Mounted on or being part of a faucet, shower handle or showerhea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어 야외 활동이나 여행 중 사용이 용이함은 물론, 정수된 물을 간편하게 병에 채울 수 있도록 하는 수도 직결식 휴대용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에 수도관과 직결되어 내부로 수돗물을 공급시키는 착탈 연결부가 구비되고 하부에 배출홀이 구비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착탈 연결부로부터 유입된 수돗물을 통과시킴에 따라 음이온이 부여된 정수된 물을 상기 배출홀로 배출되게 하는 이온화 정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정수기, 휴대, 수도, 직결

Description

수도 직결식 휴대용 정수기{Carrying water purifier directiy connected to faucet}
본 발명은 수도 직결식 휴대용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어 야외 활동이나 여행 중 사용이 용이함은 물론, 정수된 물을 간편하게 병에 채울 수 있도록 하는 수도 직결식 휴대용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인간 생활에 있어서 물의 섭취는 무엇보다도 중요한 생활요소 중의 하나이다. 인간이 문명생활을 시작하면서, 산업화과정을 겪어오고, 산업화에 다량의 물을 필요로 하여 이를 공업용수로 활용하여 왔다. 이러한 공업용수는 필연적으로 환경오염의 문제를 야기해 왔으며, 이를 시정하기 위한 많은 노력들이 시행되고 있다.
오늘날 산업의 고도화는 한편으로 인간의 생활을 편리하고 윤택하게 만들어 줌으로써 생활의 질을 향상시키고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 각종의 공해와 환경의 오염문제라는 부작용을 동시에 제공하고 있다. 산업화의 부산물인 각종 공해 및 환경의 오염문제 중에서도 가장 심각한 문제는 상수원의 오염 내지 안정적이고 위생적인 물의 공급이라고 할 수 있다.
상수원의 오염은 공장, 축산농가 등에서 배출하는 각종 오폐수와 생활하수의 의하여 주로 발생되었고, 이러한 상수원의 오염문제는 상수원 지역에서의 공장 건설 불허, 축산농가의 시설개량 등을 통하여 어느 정도 해결의 실마리를 풀어가고 있다. 또한, 상수원 또는 수원지에서 집수된 물을 대단위 정수장에서 여과하고 멸균시켜서 일반 가정으로 공급하는 시스템을 갖춤으로써, 상수원의 오염 문제를 해결해 나가고 있다.
한편, 정수장에서 깨끗하게 여과하고 멸균시킨 수돗물을 일반 도시민들에게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각종의 수도관을 이용하고 있는데, 수도관의 노후화 및 공급 관로의 부식으로 인한 수돗물의 오염이 문제되고 있다. 이것은 정수장에서 아무리 1급수로 생산되고 공급된다고 할지라도, 수도관을 통하여 일반가정으로 유입된 수돗물은 그대로 음용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최근에는 각 가정이나 사무실 들에서 수돗물을 그대로 마시는 경우는 거의 없고, 천연 생수를 구입하여 마시거나, 다양한 종류의 정수기를 사용한 정수된 물을 마시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오늘날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각종의 정수기들은 각종의 이온의 형태로 존재하는 중금속 성분들을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고 있으며, 설혹 중금속 성분을 제거한다고 할지라도, 그와 동시에 인체에 유익한 각종의 미네랄 성분들을 제거해버리게 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본 출원인이 기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특허 제10-791223호의 "수도 직결식 정수기"(이하, "종래의 수도 직결식 정수기"라 한다.)가 알려져 있다.
도 8은 종래의 수도 직결식 정수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종래 수도 직결식 정수기(100)는, 수도관(10)에 연결되어 있고 수돗물이 유입되는 유입부(110)와; 철(Fe)에 비하여 그 이온화 경향이 큰 금속을 선택하되, 상기 금속은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아연(Zn)으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상기 금속을 이온화시켜서 상기 수돗물 속으로 용해시키는 이온화부(120)와; 상기 이온화부(120)에 연결관(111)으로 연접되어 있고, 상기 이온화부(120)의 유속에 비하여 느리게 흘러가면서 상기 수돗물을 여과시키는 활성탄 여과부(130)와; 상기 활성탄 여과부(130)에 연접하여 있고, 상기 이온화부(120)의 작용에 의해 중금속 성분으로 전환된 중금속 성분을 자석에 의해 상기 수돗물로부터 제거하는 중금속 제거부(140)와; 중금속 성분이 제거된 수돗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유출부(112)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수도 직결식 정수기는, 수도관(10)에 직접 연결하여 수돗물 중의 중금속과 유해물질 제거하면서도 수돗물 속의 미네랄 성분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도 직결식 정수기는, 수도관에 유입부를 통해 연결되는 이온화부와 몸체부가 상호 분리되어 연결관으로 연결되어 있음에 따라, 휴대가 불편하여 야외용 또는 여행용으로는 사용이 부적합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이온화부를 통과하는 수돗물에 포함된 중금속 성분을 자석을 통해 제거함에 있어서, 장시간이 경과되어 자석의 자력이 저하되면 중금속 성분의 제거 성능 이 저감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수도관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수돗물의 수압으로 인하여 몸체부가 유동됨에 따라, 사용자가 몸체부를 잡지 않을 경우에는 물이 사방으로 튀면서 배출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몸체부의 내부에서는 수돗물이 저속으로 이동됨에 따라, 이온화부와 몸체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관의 수압이 급격히 상승됨으로써, 연결관 양단의 연결 부분에서 누수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몸체부의 상,하부에 수도관에 착탈되는 착탈 연결부와 정수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부를 구비하고 내부에는 이온화부와 정수부를 함께 구비함으로써, 이온화부와 정수부를 별도의 연결관으로 연결할 필요가 없는 원통 형상의 수도 직결식 휴대용 정수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정화부를 구성하는 활성탄 여과부와 광석층의 사이에 운모성분 흡착층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운모성분 흡착층에서 이온화부를 통과한 수돗물에 포함된 중금속 성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수도 직결식 휴대용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수부에 통과되는 수돗물의 체류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수도 직결식 휴대용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부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부에 체결 마개를 사용하는 병을 체결 고정한 다음, 병 내부의 공기 배출을 통해 정화된 물을 채울 수 있도록 하는 수도 직결식 휴대용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에 수도관과 직결되어 내부로 수돗물을 공급시키는 착탈 연결부가 구비되고 하부에 배출홀이 구비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착탈 연결부로부터 유입된 수돗물을 통과시킴에 따라 음이온이 부여된 정수된 물을 상기 배출홀로 배출되게 하는 이온화 정수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이온화 정수부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 상부에 하부의 수평 차단망부로 지지되게 구비되고,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아연(Zn)으로 구성된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금속으로 구성되되, 상기 금속을 이온화시켜 수돗물을 이온화시키는 다수의 물 통과홀이 형성되고, 둘레에는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황동이나 구리로 구성된 둘레층이 구비되어 있는 판 형상의 이온화부와, 상기 이온화부의 하부에 다단으로 구비된 수평 차단망부를 통해 구획되게 구비되고, 상부로부터 물의 통과 유속을 줄여 여과시키는 활성탄 여과부와 중금속을 제거하는 운모성분 흡착층 및 미네랄 성분을 물 속으로 용출해주는 화강암 광석층이 순서적으로 적층된 정수부를 포함하고 있는 수도 직결식 휴대용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수평 차단망부는 물 통과망과 물 통과망의 하부에 형성되는 보강 리브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보강 리브판은 중앙의 원판과 외측링 및 그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의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원판의 외경은 상기 배출홀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부에 수도관(5)과 직결되어 내부로 수돗물을 공급시키는 착탈 연결부가 구비되고 하부에 배출홀이 구비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착탈 연결부로부터 유입된 수돗물을 통과시킴에 따라 음이온이 부여된 정수된 물을 상기 배출홀로 배출되게 하는 이온화 정수부;를 포함하고 있는 수도 직결식 휴대용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이온화 정수부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 중앙에 수돗물이 내부로 유입되게 수직으로 구비되고, 하부 둘레에는 외측에 수직 차단망이 구비된 다수의 하부 물 통과홀이 형성되며,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아연(Zn)으로 구성된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금속으로 구성되되, 상기 금속을 이온화시켜 수돗물을 이온화시키는 하부가 막힌 관 형상의 이온화부와; 상기 이온화부(44)의 외측에 다수의 관형 차단망부를 통해 구획되게 구비되고, 내측 둘레부터 물의 통과 유속을 줄여 여과시키는 활성탄 여과부와 중금속을 제거하는 운모성분 흡착층 및 미네랄 성분을 물 속으로 용출해주는 화강암 광석층이 순서적으로 적층된 정수부와; 정수부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홀과 연통부를 통해 연통되게 구비된 물 통과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활성탄 여과부의 외측 둘레에 구비된 관형 차단망부는 상부 둘레에 물 통과망이 구비된 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운모성분 흡착층의 외측 둘레에 구비된 관형 차단망부는 하부 둘레에 물 통과망이 구비된 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화강암 광석층의 외측 둘레에 구비된 관형 차단망부는 상부 둘레에 물 통과망이 구비된 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홀의 하부 둘레에는 체결 마개를 사용하는 병의 입구가 체결되는 탭부가 더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부의 하판에는 상기 배수홀을 외부로 연통되게 하는 외부 연통홀이 더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부 연통홀의 내측에는 상기 탭부에 체결되는 병의 입구 내부로 삽입됨에 따라 물의 주입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관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착탈 연결부는, 몸체부의 상판에 구비되고 상부 둘레에는 상부 탭부가 형성된 유입홀과, 상기 상부 탭부에 체결되고 내부홀의 상부에는 패킹에 의해 수도관의 하단 둘레가 밀봉되게 삽입되며 측벽에는 수도관의 둘레를 고정하는 다수 나비볼트가 관통 체결되어 있는 연결소켓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는, 몸체부의 내부에 물이 순서적으로 통과되는 이온화부와 정수부를 함께 구비하여 단일 원통 형상으로 정수기를 제조함으 로써, 여행 또는 야외 나들이를 할 경우에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으며, 사용중 물이 사방으로 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이온화부와 정수부를 수돗물의 수압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몸체부의 내부에 구비함에 따라 수압으로 인한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화부의 중간에 운모성분 흡착층을 구비하여 이온화부를 통과한 수돗물에 포함된 중금속 성분을 제거함으로써, 장시간 동안 사용하더라고 중금속 성분의 제거 효율이 저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수부에 통과되는 수돗물의 체류 시간을 길게 함으로써, 수돗물의 정수 효과를 좀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부의 하부로 정화되어 배출되는 정수된 물을 별도의 체결 마개를 사용하는 병에 낭비 없이 용이하게 채울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정수기를 나타낸 일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로서 연결소켓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휴대용 정수기는, 휴대가 간편하게 단일품을 구성되는 것으로, 수도관(5; 도4참조)에 직결되는 원통형상의 몸체부(1)와, 몸체부(1)의 내부에 구비되어 수돗물을 이온화 시키고 정수시키는 이온화 정수부(4)를 포함한다.
이에, 상기 몸체부(1)는,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온화 정수부(4)가 장착되는 내부 공간과, 수도관(5)과 직결되게 상부에 구비되어 수돗물을 내부 공간으로 공급되게 하는 착탈 연결부(2)와, 내부 공간과 연통되게 하부에 구비되어 물이 배출되는 배출홀(3)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이온화 정수부(4)는, 몸체부(1)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착탈 연결부(2)로부터 유입된 수돗물을 통과시킴에 따라 음이온이 부여된 정수된 물을 상기 배출홀(3)로 배출되게 하는 것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적층된 이온화부(41)와 정수부(42)로 구성된다.
즉 상기 이온화부(41)는, 몸체부(1)의 내부 상부에 구비되어 착탈 연결부(2)를 통해 유입된 수돗물을 이온화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이온화 경향이 큰 금속 성분을 이온화시켜 수돗물 속으로 상기의 금속성분을 용해시키고 물 속에 음이온(e-1)을 부여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이온화 경향이 큰 금속 성분은,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아연(Zn) 중의 어느 하나를 예시할 수 있는데, 상기 금속 성분 중 아연(Zn)이 가장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의 금속 성분은 철(Fe)에 비하여 그 이온화 경향이 큰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온화 경향이 너무 클 경우 물 속에서 순수하게 이온으로 존 재하기 어렵고 또한 상온에서 다른 비금속 원소와 결합되기 쉬워서 순수한 금속성분으로 존재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으므로, 이온화 경향이 너무 큰 금속은 바람직스럽지 못한 이유로 아연(Zn)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연(Zn)은 인체에 무해할 뿐 아니라, 인체에 흡수될 경우, 인체 내에서 세포를 구성하고 생리적인 기능을 조절하는 대표적인 무기물질 중 하나이고, 또한 인슐린과 핵산, 단백질을 합성하는 효소의 활성에 필요한 물질이기 때문에 아연(Zn)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이온화부(41)의 둘레에는 황동이나 구리로 구성된 둘레층(412)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즉 상기 황동이나 구리로 구성된 둘레층(412)으로 인하여 전위차를 발생시킴으로써, 아연(Zn) 등으로 구성된 이온화부(61)가 물에 쉽게 녹게 함에 따라 물속으로 이온화 물질의 침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이온화부(41)는 몸체부(1)의 내부 상부에 하부의 수평 차단망부(43)로 지지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아연(Zn)으로 구성된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금속으로 구성되되, 상기 금속을 이온화시켜 수돗물을 이온화시키는 다수의 물 통과홀(411)이 형성된 판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즉 룹 중 어느 하나이온화부(41)는 판형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다수의 물 통과홀(411)이 형성됨으로써, 다수의 물 통과홀(411)을 통해 수돗물과 금속이 충분히 접촉함에 따라 수돗물의 이온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온화부(41)의 하부에 구비되는 정수부(42)는, 상기 이온화부(41)의 하부에 다단으로 구비된 수평 차단망부(43)를 통해 구획되게 구비되고, 상부로부터 물의 통과 유속을 줄여 여과시키는 활성탄 여과부(421)와 중금속을 제 거하는 운모성분 흡착층(422) 및 미네랄 성분을 물 속으로 용출해주는 화강암 광석층(423)이 순서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수평 차단망부(4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통과망(431)과 물 통과망(431)의 하부에 형성되는 보강 리브판(432)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보강 리브판(432)은 중앙 관통홀(434)이 형성된 원판(433)과 외측링(435) 및 그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의 리브(436)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원판(433)의 외경은 상기 배출홀(3)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정수된 물은 제일 하부에 위치된 수평 차단망부(43)를 구성하는 원판(433)의 중앙 관통홀(434) 및 원판(433)의 둘레의 외측을 통과하여 배출홀(3)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물 통과망(431)은 물만을 통과시키고, 활성탄 여과부(421)와 운모성분 흡착층(422) 및 화강암 광석층(423)을 구성하는 입자의 통과는 막음으로써, 각 층이 혼합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충분한 정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 실시예의 정수기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인 정수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B부 확대도이며, 도 4c는 도 4a의 C부 확대도이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홀(3)의 하부 둘레에는 체결마개를 사용하는 병(6)의 입구(61)가 체결되는 탭 부(31)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를 구성하는 하판에는 상기 배출홀(3)을 외부로 연통되게 하는 외부 연통홀(32)이 더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부 연통홀(32)의 내측에는 상기 탭부(31)에 체결되는 병(6)의 입구 내부로 삽입됨에 따라 물의 주입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관(33)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의 상부에 구비되어 수도관(5)에 직결되는 착탈 연결부(2)는, 몸체부(1)의 상판에 구비되고 상부 둘레에는 상부 탭부(211)가 형성된 유입홀(21)을 포함한다.
그리고 착탈 연결부(2)는, 상기 상부 탭부(211)에 체결되고 내부홀(221)의 상부에는 패킹(222)에 의해 수도관(5)의 하단 둘레가 밀봉되게 삽입되며 측벽에는 수도관(5)의 둘레를 고정하는 다수 나비볼트(223)가 관통 체결되어 있는 연결소켓(22)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나비볼트(223)의 조임을 통해 연결소켓(22)과 수도관(5)을 상호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정수기의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몸체부(1)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는 연결소켓(22)을 수도관(5)의 물 배출측에 삽입한다. 그리고 연결소켓(22)의 둘레에 구비되어 있는 나비볼트(223)를 조임으로써 몸체부(1)와 수도관(5)을 상호 연결한다.
다음 수도관(5)의 밸브 손잡이를 개방하여 몸체부(1)의 내부로 수돗물을 공급하면, 공급된 물은 이온화부(41)의 물 통과홀(411)을 통과하면서 수돗물 속으로 이온화부(41)의 금속 성분이 용해되어 물 속에 음이온(e-1)이 부여됨에 따라, 수돗물이 이온화 된다.
그리고 이온화부(41)를 통과하여 이온화된 수돗물은, 이온화부(41)의 하부에 구비된 활성탄 여과부(421)를 느리게 통과하면서 여과되게 된다. 즉 활성탄 여과부(421)에서는 수돗물 속에 남아있는 잔류 염소 및 불순물을 입상의 활성탄에 의해 제거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활성탄 여과부(421)를 통과하여 이물질이 제거된 물은 운모성분 흡착층(422)을 통과하면서 중금속 성분이 제거된다.
특히 상기 운모성분 흡착층(422)은 활성탄 여과부(421)와 연접되어 있는 것으로, 고온에서 소성하여 가공한 운모성분의 흡착제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물에 함유된 중금속으로서는 예컨대 망간(Mn), 알루미늄(Al), 수은(Hg), 납(Pb), 구리(Cu)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중금속은 운모성분의 흡착제로 구성된 운모성분 흡착층(422)에서 제거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운모성분 흡착층(422)은, 운모를 고온에서 소성하고 이를 분쇄하여 가공한 흡착제를 이용하는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 중의 하나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상기 운모성분 흡착층(422)을 구비하여 이온화부(41)를 통과한 수돗 물에 포함된 중금속 성분을 제거함으로써, 장시간 동안 사용하더라도 중금속 성분의 제거 효율이 저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아울러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자석의 자력 상실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장점도 가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운모성분 흡착층(422)을 통과하여 중금속이 제거된 물은, 화강암 광석층(423)을 통과하면서 인체에 유익한 미네랄 성분이 물 속으로 용출되게 된다.
특히 상기 화강암 광석층(423)은, 수용성 미네랄 예컨대, Ca(HCO3)2, Mg(HCO3)2 및 KHCO3와 같은 탄산형 이온성 미네랄을 물 속으로 용출시키게 되고, 이로써 이를 통과하는 수돗물을 약산성으로 전환시켜서 약알칼리성 물로 바꾸어 주게 되는 것이다.
최종적으로, 약알칼리성으로 바뀐 물은 배출홀(3)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정수기를 구성하는 몸체부(1)의 내부에 물이 순서적으로 통과되는 이온화부(41)와 정수부(42)를 함께 구비하여 단일 원통 형상으로 정수기를 제조함으로써, 여행 또는 야외 나들이를 할 경우에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정수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사용중 물이 사방으로 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더불어 이온화부(41)와 정수부를 수돗물의 수압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몸체 부(1)의 내부에 구비함으로써, 수압으로 인한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도 가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정수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배출홀(3)에 형성된 탭부(31)에 체결마개를 사용하는 병(6)의 입구(61)를 체결함으로써, 정수되어 배출되는 물을 용이하게 병에 채울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병(6)의 입구(61)를 몸체부(1)의 배출홀(3)에 체결한 후, 병(6)에 물을 채우는 과정에서는 병(6) 내부의 공기가 배기관(33)과 외부 연통홀(32)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물이 채워지는 과정에서 합성수지 재질로 된 병의 부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정수된 물을 병에 신속하게 채워 음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정수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정수기를 구성하는 관형 차단망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인 정수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정수기는, 이온화 정수부(4)와 몸체부(1)의 하부에 배출홀(3)과 연통되는 연통부(471)의 구성을 제외하고 타 구성은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함을 전제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정수기를 구성하는 이온화 정수부(4)는, 상기 몸체부(1)의 내부 중앙에 수돗물이 내부로 유입되게 수직으로 구비되고, 하부 둘레에는 외측에 수직 차단망(442)이 구비된 다수의 하부 물 통과홀(441)이 형성되며,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아연(Zn)으로 구성된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금속으로 구성되되, 상기 금속을 이온화시켜 수돗물을 이온화시키는 하부가 막힌 관 형상의 이온화부(44)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온화 정수부(4)는, 상기 이온화부(44)의 외측에 다수의 관형 차단망부(46)를 통해 구획되게 구비되고, 내측 둘레부터 물의 통과 유속을 줄여 여과시키는 활성탄 여과부(451)와 중금속을 제거하는 운모성분 흡착층(452) 및 미네랄 성분을 물 속으로 용출해주는 화강암 광석층(453)이 순서적으로 적층된 정수부(45)를 포함한다.
또한 이온화 정수부(4)는, 상기 정수부(45)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홀(3)과 연통부(471)를 통해 연통되게 구비된 물 통과공간(47)을 포함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활성탄 여과부(451)의 외측 둘레에 구비된 관형 차단망부(46)는 상부 둘레에 물 통과망(462)이 구비된 관(461)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운모성분 흡착층(452)의 외측 둘레에 구비된 관형 차단망부(46)는 하부 둘레에 물 통과망(462)이 구비된 관(461)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화강암 광석층(453)의 외측 둘레에 구비된 관형 차단망부(46)는 상부 둘레에 물 통과망(462)이 구비된 관(461)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이온화부(44), 활성탄 여과부(451), 운모성분 흡착층(452), 화강암 광석층(453)을 통한 수돗물의 이온화 작용과 정수작용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작용과 동일함으로 그 구체적인 작용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활성탄 여과부(451)와 운모성분 흡착층(452) 및 화강암 광석층(453)을 수직으로 구비하고, 수돗물이 활성탄 여과부(451)에서 상승하고, 운모성분 흡착층(452)에서 하강하며, 화강암 광석층(453)에서 다시 상승한 후, 물 통과공간(47)을 통해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활성탄 여과부(451)와 운모성분 흡착층(452) 및 화강암 광석층(453)에서 통과되는 수돗물의 체류시간을 길게 함으로써, 수돗물의 정수 효과를 최대로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관 형상의 이온화부(44)의 중간에는,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황동 또는 구리로 구성된 전위차 발생관(443)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황동이나 구리로 구성된 전위차 발생관(443)과 아연(Zn) 등의 사이에서 전위차를 발생시킴으로써, 아연(Zn) 등으로 구성된 이온화부(44)가 물에 쉽게 녹게 함에 따라 물속으로 이온화 물질의 침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수도 직결식 휴대용 정수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는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정수기를 나타낸 일부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로서 연결소켓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정수기를 구성하는 수평 차단망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인 정수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B부 확대도이며,
도 4c는 도 4a의 C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정수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정수기를 구성하는 관형 차단망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인 정수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종래의 수도직결식 정수기를 나타낸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부
2 : 착탈 연결부
21 : 유입홀
211 : 상부 탭부
22 : 연결소켓
221 : 내부홀, 222 : 패킹, 223 : 나비볼트
3 : 배출홀
31 : 탭부
32 : 외부 연통홀
33 : 배기관
4 : 이온화 정수부
41 : 이온화부
411 : 물 통과홀, 412 : 둘레층
42 : 정수부
421 : 활성탄 여과부, 422 : 운모성분 흡착층,
423 : 화강암 광석층
43 : 수평 차단망부
431 : 물 통과망, 432 : 보강 리브판, 433 : 원판,
434 : 중앙 관통홀, 435 : 외측링, 436 : 리브
44 : 이온화부
441 : 하부 물 통과홀, 442 : 수직 차단망,
443 : 전위차 발생관
45 : 정수부
451 : 활성탄 여과부, 452 : 운모성분 흡착층,
453 : 화강암 광석층
46 : 관형 차단망부
461 : 관, 462 : 물 통과망
47 : 물 통과공간
471 : 연통부
5 : 수도관
6 : 병
61 : 입구

Claims (8)

  1. 상부에 수도관(5)과 직결되어 내부로 수돗물을 공급시키는 착탈 연결부(2)가 구비되고 하부에 배출홀(3)이 구비된 몸체부(1)와; 상기 몸체부(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착탈 연결부(2)로부터 유입된 수돗물을 통과시킴에 따라 음이온이 부여된 정수된 물을 상기 배출홀(3)로 배출되게 하는 이온화 정수부(4);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이온화 정수부(4)는,
    상기 몸체부(1)의 내부 상부에 하부의 수평 차단망부(43)로 지지되게 구비되고,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아연(Zn)으로 구성된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금속으로 구성되되, 상기 금속을 이온화시켜 수돗물을 이온화시키는 다수의 물 통과홀(411)이 형성되고, 둘레에는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황동이나 구리로 구성된 둘레층(412)이 구비되어 있는 판 형상의 이온화부(41)와,
    상기 이온화부(41)의 하부에 다단으로 구비된 수평 차단망부(43)를 통해 구획되게 구비되고, 상부로부터 물의 통과 유속을 줄여 여과시키는 활성탄 여과부(421)와 중금속을 제거하는 운모성분 흡착층(422) 및 미네랄 성분을 물 속으로 용출해주는 화강암 광석층(423)이 순서적으로 적층된 정수부(42)를 포함하고 있는 수도 직결식 휴대용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수평 차단망부(43)는 물 통과망(431)과 물 통과망의 하부에 형성되는 보강 리브판(432)으로 구성되고,
    상기 보강 리브판(432)은 중앙의 원판(433)과 외측링(435) 및 그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의 리브(436)를 포함하고,
    상기 원판(433)의 외경은 상기 배출홀(3)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직결식 휴대용 정수기.
  2. 상부에 수도관(5)과 직결되어 내부로 수돗물을 공급시키는 착탈 연결부(2)가 구비되고 하부에 배출홀(3)이 구비된 몸체부(1)와; 상기 몸체부(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착탈 연결부(2)로부터 유입된 수돗물을 통과시킴에 따라 음이온이 부여된 정수된 물을 상기 배출홀(3)로 배출되게 하는 이온화 정수부(4);를 포함하고 있는 수도 직결식 휴대용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이온화 정수부(4)는,
    상기 몸체부(1)의 내부 중앙에 수돗물이 내부로 유입되게 수직으로 구비되고, 하부 둘레에는 외측에 수직 차단망(442)이 구비된 다수의 하부 물 통과홀(441)이 형성되며,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아연(Zn)으로 구성된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금속으로 구성되되, 상기 금속을 이온화시켜 수돗물을 이온화시키는 하부가 막힌 관 형상의 이온화부(44)와;
    상기 이온화부(44)의 외측에 다수의 관형 차단망부(46)를 통해 구획되게 구비되고, 내측 둘레부터 물의 통과 유속을 줄여 여과시키는 활성탄 여과부(451)와 중금속을 제거하는 운모성분 흡착층(452) 및 미네랄 성분을 물 속으로 용출해주는 화강암 광석층(453)이 순서적으로 적층된 정수부(45)와;
    정수부(45)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홀(3)과 연통부(471)를 통해 연통되게 구비된 물 통과공간(4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직결식 휴대용 정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탄 여과부(451)의 외측 둘레에 구비된 관형 차단망부(46)는 상부 둘레에 물 통과망(462)이 구비된 관(461)으로 구성되고;
    상기 운모성분 흡착층(452)의 외측 둘레에 구비된 관형 차단망부(46)는 하부 둘레에 물 통과망(462)이 구비된 관(461)으로 구성되며;
    상기 화강암 광석층(453)의 외측 둘레에 구비된 관형 차단망부(46)는 상부 둘레에 물 통과망(462)이 구비된 관(461)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직결식 휴대용 정수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 형상의 이온화부(44)의 중간에는,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황동 또는 구리로 구성된 전위차 발생관(443)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직결식 휴대용 정수기.
  5. 제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홀(3)의 하부 둘레에는 체결 마개를 사용하는 병(6)의 입구(61)가 체결되는 탭부(31)가 더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부(1)의 하판에는 상기 배출홀(3)을 외부로 연통되게 하는 외부 연통홀(32)이 더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부 연통홀(32)의 내측에는 상기 탭부(31)에 체결되는 병(6)의 입구(61) 내부로 삽입됨에 따라 물의 주입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관(33)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직결식 휴대용 정수기.
  6. 제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연결부(2)는,
    몸체부(1)의 상판에 구비되고 상부 둘레에는 상부 탭부(211)가 형성된 유입홀(21)과,
    상기 상부 탭부(211)에 체결되고 내부홀(221)의 상부에는 패킹(222)에 의해 수도관(5)의 하단 둘레가 밀봉되게 삽입되며 측벽에는 수도관(5)의 둘레를 고정하는 다수 나비볼트(223)가 관통 체결되어 있는 연결소켓(2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직결식 휴대용 정수기.
  7. 삭제
  8. 삭제
KR1020090082926A 2009-09-03 2009-09-03 수도 직결식 휴대용 정수기 KR101124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2926A KR101124463B1 (ko) 2009-09-03 2009-09-03 수도 직결식 휴대용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2926A KR101124463B1 (ko) 2009-09-03 2009-09-03 수도 직결식 휴대용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4789A KR20110024789A (ko) 2011-03-09
KR101124463B1 true KR101124463B1 (ko) 2012-03-16

Family

ID=43932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2926A KR101124463B1 (ko) 2009-09-03 2009-09-03 수도 직결식 휴대용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44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744B1 (ko) 2013-06-12 2014-07-04 (주)에이엠이엔지 휴대용 정수기
KR102308013B1 (ko) * 2020-08-11 2021-10-01 홍현진 수도 여과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931B1 (ko) * 2011-08-18 2013-07-22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정수기
KR102035760B1 (ko) * 2018-01-29 2019-10-23 (주)아모레퍼시픽 유효성분을 용해시켜 사용할 수 있는 수도꼭지 체결 장치
KR102011808B1 (ko) * 2019-05-21 2019-08-19 (주)아모레퍼시픽 유효성분을 용해시켜 사용할 수 있는 수도꼭지 체결 장치
KR102011809B1 (ko) * 2019-05-21 2019-08-19 (주)아모레퍼시픽 유효성분을 용해시켜 사용할 수 있는 수도꼭지 체결 장치
KR102011810B1 (ko) * 2019-05-21 2019-08-19 (주)아모레퍼시픽 유효성분을 용해시켜 사용할 수 있는 수도꼭지 체결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715B1 (ko) 2004-07-06 2005-03-31 이병걸 기능성 정수장치
KR20050121770A (ko) * 2004-06-23 2005-12-28 은나노기술주식회사 수도꼭지장착용 은용액제조장치
KR20070030554A (ko) * 2005-09-13 2007-03-16 김교훈 수처리기
KR100791223B1 (ko) * 2007-08-17 2008-01-04 심학섭 수도직결식 정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1770A (ko) * 2004-06-23 2005-12-28 은나노기술주식회사 수도꼭지장착용 은용액제조장치
KR100479715B1 (ko) 2004-07-06 2005-03-31 이병걸 기능성 정수장치
KR20070030554A (ko) * 2005-09-13 2007-03-16 김교훈 수처리기
KR100791223B1 (ko) * 2007-08-17 2008-01-04 심학섭 수도직결식 정수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744B1 (ko) 2013-06-12 2014-07-04 (주)에이엠이엔지 휴대용 정수기
KR102308013B1 (ko) * 2020-08-11 2021-10-01 홍현진 수도 여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4789A (ko) 2011-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4463B1 (ko) 수도 직결식 휴대용 정수기
KR101719522B1 (ko) 싱크대용 정수기
JP2009515675A (ja) 磁化濾過装置
CN207016651U (zh) 一种多级高效污水处理设备
KR20070056054A (ko) 정화장치, 인서트 및 액체 정화방법
KR100918827B1 (ko) 자석과 필터를 이용한 자화 정수기 구조 및 그 방법
CN106630270A (zh) 一种阻垢多膜过滤复合滤芯及滤水龙头
KR101159649B1 (ko) 정수 기능을 갖는 물통
KR101510571B1 (ko) 정수기필터구조
JP2004275929A (ja) 水改質器及びそれを使用した水改質装置
CN201614332U (zh) 一种便于更换滤芯及滤料的磁矿化净水器
CN204874077U (zh) 双重净化净水器
KR101457792B1 (ko) 휴대용 정수기
CN202191745U (zh) 一种具有硅灵晶净化器的四合一集成净水器
CN201593009U (zh) 一种便于更换过滤介质的逆冲洗净水器
CN201834827U (zh) 自助式多功能厨房净水器
KR20150144541A (ko) 다단 필터를 가지는 수도직결형 정수기
CN212687835U (zh) 一种新型饮用水净化装置
CN210065339U (zh) 一种净水装置
CN211078627U (zh) 一种超大流量净水器
CN105668906A (zh) 一种具有数码显示功能的净水器及其制作方法
CN202246295U (zh) 净矿化水直饮机
CN201626903U (zh) 一种紫外线及超纳滤联用净水器
CN211035426U (zh) 一种水龙头净水器
CN202700222U (zh) 用在水龙头上的过滤净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