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9522B1 - 싱크대용 정수기 - Google Patents

싱크대용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9522B1
KR101719522B1 KR1020160142761A KR20160142761A KR101719522B1 KR 101719522 B1 KR101719522 B1 KR 101719522B1 KR 1020160142761 A KR1020160142761 A KR 1020160142761A KR 20160142761 A KR20160142761 A KR 20160142761A KR 101719522 B1 KR101719522 B1 KR 101719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water
tap water
delete delete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2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민
Original Assignee
율진프라임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율진프라임 (주) filed Critical 율진프라임 (주)
Priority to KR1020160142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95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9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9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6Filters making use of electricity or magnet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145Ultra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147Micro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3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household-typ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itchers, bottles, faucet mounted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ultrafiltration or micro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C02F1/4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using permanent 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40Arrangement of water treatment devices in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싱크대에 장착되는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정수기는 외부의 수돗물을 인입하는 수도관과 연통되게 연결되는 인입호스; 상기 인입호스에서 인입된 수돗물을 정화하는 정화통; 및 상기 정화통에서 정화된 수돗물을 수도꼭지의 냉,온수관과 연결되는 배출호스로 구성되고, 상기 정화통은 중공부가 형성되고 일단이 개방된 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어 수돗물을 정화하는 필터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필터터부재와 상기 하우징 사이의 공간에는 영구자석으로 안착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기존의 싱크대에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고, 상기 자석구슬에 의하여 수돗물에 포함된 녹(산화철)을 먼저 제거하게 되므로 필터의 교체주기가 증대되어 유지비가 절감되고. 또한 상기 정화통의 상기 캡에 의하여 전문가가 아닌 일반사용자들도 필터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Description

싱크대용 정수기{A WATER PURIFIER USING RECEIPT FOR SINK}
본 발명은 싱크대용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돗물을 정화하는 정화통이 싱크대 내부 공간에 비치할 수 있고. 자석으로 이루어진 구슬에 의하여 녹물을 제거할 수 있고, 간단한 구성에 의하여 제조원가가 저렴하고, 사용자가 손쉽게 필터를 교체할 수 있는 싱크대용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정수기는 통에 담겨진 생수를 공급받아 정수기에 거꾸로 장착한 상태에서 필요할 때마다 조금씩 배수시키며 사용하는 것과, 관체에 의해 수도꼭지와 연결되어 수도꼭지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에 함유된 콜로이드, 유기물, 이온 같은 용존 물질을 삼투압, 역삼투막, 중공 사막식 필터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분리 제거하며 자체적으로 정화 및 소독하며 사용하는 것으로 크게 나누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정수기는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고, 고가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노후화된 수도관에서 발생된 녹물을 필터에 의하여 제거하기 때문에 필터의 교체주기가 단축되어서 유지비가 많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1: 공개특허공보 10-2004-0105186호(2004.12.14. 공개) 문헌2: 등록특허공보 10-1133245호(2012.04.05. 공고) 문헌3: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93011호(2002.10.25.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싱크대에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고, 필터의 교체주기를 증대시켜서 유지비를 절감하고, 또한 전문가가 아닌 일반사용자들도 필터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특히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싱크대용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며,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싱크대 수납용 정수기는 외부의 수돗물을 인입하는 수도관과 연통되게 연결되는 인입호스와; 상기 인입호스에서 인입된 수돗물을 정화하는 정화통; 및 상기 정화통에서 정화된 수돗물을 수도꼭지의 냉,온수관과 연결되는 배출호스로 구성되고, 상기 정화통은 중공부가 형성되고 일단이 개방된 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어 수돗물을 정화하는 필터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에는 탈부착되는 캡이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의 타단에는 정화된 수돗물이 배출되는 출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면에는 수돗물이 인입되는 입수공이 형성되며,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안착되며, 일측은 상기 출수공 내측에 안착되는 형상의 출수측지지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안착되며 개방부에 안착되는 상기 캡에 의하여 지지되는 캡측지지대와; 상기 출수측지지대와 상기 캡측지지대 사이에 안착되는 필터로 구성되어, 상기 입수공에서 인입된 수돗물이 상기 필터를 경유하여 상기 출수공으로 배출되고, 상기 필터부재와 상기 하우징 사이의 공간에는 녹물을 제거하는 그물망부재가 안착되고, 상기 그물망부재는 원통관 형상의 그물망으로 이루어진 자석그물관과; 상기 자석그물관의 양단에 형성되는 테두리; 및 상기 자석그물관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수차로 구성되고, 상기 자석그물관은 철로된 그물관이 자화(磁化)되고, 상기 테두리는 에코놀(ekonol) 수지나 폴리이미드(polyimide) 수지가 포함된 테플론(polytetrafluoroetylene)재나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 수지 재로 성형되고, 상기 수차는 원통관 형상의 외주면에 톱니 형상의 수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입수공에 의하여 인입되는 수돗물에 의하여 상기 그물망부재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기존의 싱크대에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고, 상기 자석구슬 또는 상기 그물망부재에 의하여 수돗물에 포함된 녹(산화철)을 먼저 제거하게 되므로 필터의 교체주기가 증대되어 유지비가 절감되고. 또한 상기 정화통의 상기 캡에 의하여 전문가가 아닌 일반사용자들도 필터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특히,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그물망부재는 상기 수차에 의하여 회전되면서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자석그물관의 전체 표면에 의하여 녹물이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싱크대용 정수기가 장착된 상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정화통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화통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화통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정화통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정화통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정화통의 단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그물망부재의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싱크대용 정수기가 장착된 상태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정화통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 부호 10으로 도시한 본 발명에 의한 싱크대용 정수기는 인입호스(3), 배출호스(5), 정화통(2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인입호스(3)는 수도관과 연결되어서 수돗물을 인입하게 되고, 상기 정화통(30)은 상기 인입호스(3)에서 인입된 수돗물을 정화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정화통(30)에서 정화된 수돗물은 상기 배출호스(5)에 의하여 수도꼭지의 냉,온수관(150)에 공급하게 된다. 상기 인입호스(3), 배출호스(5), 정화통(20) 등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대(100)의 내부에 수납되게 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상기 정화통(20)은 중공부가 형성되고 일단이 개방된 형상의 하우징(30)과, 상기 하우징(30)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어 수돗물을 정화하는 필터부재(40)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30)의 개방부에는 캡(31)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30)의 타단에는 정화된 수돗물이 배출되는 출수공(3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30) 외부면에는 수돗물이 인입되는 입수공(3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필터부재(40)는 상기 하우징(30)의 내부에 안착되며, 일측은 상기 출수공(33) 내측에 안착되는 형상의 출수측지지대(41)와, 상기 하우징(30)의 내부에 안착되며 개방부에 안착되는 상기 캡(31)에 의하여 지지되는 캡측지지대(43)와, 상기 출수측지지대(41)와 상기 캡측지지대(43) 사이에 안착되는 필터(51)로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는 원통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마이크로필터(51)로 이루어진다. 상기 마이크로필터(Micro Filter, 51)는 공업용수의 정수, 순수제조장치 또는 역삼투시스템이나 한외여과(Ultra Filtration)의 전처리용 등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상기 마이크로필터(51)는 여과 입도 범위가 1 10로서, 주로 카트리지 타입이며, 재료는 쓰레드(Thread),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을 사용한다. 그리고 일정기간 사용한 후에 교체하게 된다.
그리고 도 4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화통(20)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필터부재(40)에 사용되는 필터는 원통관 형상의 상기 마이크로필터(51) 내부 공간에 활성탄(55)이 추가로 안착된다. 상기 활성탄(55)은 입자의 크기에 따라서 입상 활성탄(GAC)과 분말 활성탄(PAC)으로 대별되는데, 타 흡착제에 비하여 미세흡착공(Micropore)이 잘 발달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활성탄(55)은 활성탄 섬유(Activated Carbon Felt)가 바람직한데, 상기 활성탄섬유는 천연섬유 혹은 인조 섬유를 탄화과정을 거쳐서 형성된다. 상기 활성탄섬유는 입자형 활성탄보다 흡착능력이 매우 양호하며, 흡착속도도 빠르다. 특히 수차례의 흡착과 탈착의 과정에서 꾸준히 본래의 흡착성능을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활성탄섬유를 원기둥형상으로 성형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는 원통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마이크로필터(51)와 UF 멤브레인필터(53)로 이루어진다. 상기 UF 멤브레인필터(53)는 아토마이징 처리된 음으로 대전된 미세한 제강슬래그볼 또는 아토마이징 처리된 제강슬래그볼이 미세하게 분쇄된 제강슬래그볼분말과 고령토(CLAY)를 원통관으로 소결성형시켜 극히 미세한 무수한 다수의 공극이 형성되고 제강슬래그볼이 자체적으로 띠고 있는 자성과 정전기를 이용하여 수돗물이 다수의 공극을 통하여 수돗물에 함유된 오염물질이 효과적으로 제거된다.
도 6에는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관 형상의 상기 필터부재(40)와 상기 하우징(30) 사이의 공간에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진 자석구슬(57)이 내장된다.
따라서 수도관에 연결되어 수돗물이 상기 인입호스(3)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30) 내부로 유입되면, 수돗물에 포함된 녹(酸化鐵)은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진 상기 자석구슬(57)에 부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자석구슬(57)에 의하여 녹(산화철)이 제거되면, 상기 필터(51, 53)를 통과하면서 수돗물에 함유된 콜로이드, 유기물, 이온 같은 용존 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자석구슬(57)에 의하여 수돗물에 대량으로 포함된 녹이 먼저 제거되므로 상기 필터(51, 53)의 사용기간이 증대되게 된다.
그리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기 자석구슬(57)에 녹이 대량으로 흡착되거나 필터(51, 53)의 정화 능력이 저하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캡(31)을 상기 하우징(30)에서 분리한 후에, 상기 필터부재(40)를 인출하면 상기 자석구슬(57)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게 된다.
사용자는 외부로 배출된 자석구슬(57)의 표면에 부착된 산화철을 깨끗하게 제거하고, 새로운 필터(51, 53)로 교체한 후에 상기 정화통(20)을 조립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 정화통(20)의 조립시에는 상기 하우징(30) 내부에 필터부재(40)를 삽입하여 안착하고, 상기 자석구슬(57)은 상기 하우징(30)과 상기 필터부재(4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순차적으로 투입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캡(31)으로 상기 하우징(30)의 개방부를 밀폐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필터부재(40)와 상기 하우징(30) 사이의 공간에는 녹물을 제거하는 그물망부재(70)가 추가로 안착된다.
도 8에 도시된 상기 그물망부재(70)는 원통관 형상의 그물망으로 이루어진 자석그물관(77)과 상기 자석그물관(77)의 양단에 형성되는 테두리(71) 및 상기 자석그물관(77)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수차(75)로 구성된다.
상기 자석그물관(77)은 철로된 그물관이 자화(磁化)되는데, 먼저 철선으로 그물망을 형성한 후에 자화시켜서 제조할 수도 있고, 철판으로 원통관을 형성한 후에 복수의 관통공을 형성하고 자화시켜서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자석그물관은 희토류 원소를 포함한 재질을 그물망의 원통관으로 소결 성형한 네오디움자석(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71)는 상기 자석그물관(77)의 양단부 가장자리에 장착되는데, 에코놀(ekonol) 수지나 폴리이미드(polyimide) 수지가 포함된 테플론(polytetrafluoroetylene)재나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 수지 재로 성형된다.
상기 수차(75)는 원통관 형상의 외주면에 톱니 형상의 수판(76)으로 구성되어, 상기 입수공(35)에 의하여 인입되는 수돗물에 의하여 상기 그물망부재(7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71)를 이루는 상기 수지는 마찰계수가 적어서 상기 필터부재(40)와 상기 하우징(30) 사이에 안착되는 상기 그물망부재(70)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질로 이루어진 상기 인입호스(3)나 상기 배출호스(5)는 무게축(200)에 의하여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용 정수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정수기, 20: 정화통,
30: 하우징, 31: 캡,
33: 출수공, 35: 입수공,
40: 필터부재. 41: 출수측지지대,
43: 캡측지지대, 51: 마이크로필터,
53: UF 멤브레인필터, 55: 활성탄,
57: 자석구슬, 70: 그물망부재,
71: 테두리, 75: 수차,
76: 수판, 77: 자석그물관

Claims (11)

  1. 외부의 수돗물을 인입하는 수도관과 연통되게 연결되는 인입호스와; 상기 인입호스에서 인입된 수돗물을 정화하는 정화통; 및 상기 정화통에서 정화된 수돗물을 수도꼭지의 냉,온수관과 연결되는 배출호스로 구성되고,
    상기 정화통은 중공부가 형성되고 일단이 개방된 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어 수돗물을 정화하는 필터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에는 탈부착되는 캡이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의 타단에는 정화된 수돗물이 배출되는 출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면에는 수돗물이 인입되는 입수공이 형성되며,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안착되며, 일측은 상기 출수공 내측에 안착되는 형상의 출수측지지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안착되며 개방부에 안착되는 상기 캡에 의하여 지지되는 캡측지지대와; 상기 출수측지지대와 상기 캡측지지대 사이에 안착되는 필터로 구성되어, 상기 입수공에서 인입된 수돗물이 상기 필터를 경유하여 상기 출수공으로 배출되고,
    상기 필터부재와 상기 하우징 사이의 공간에는 녹물을 제거하는 그물망부재가 안착되고,
    상기 그물망부재는 원통관 형상의 그물망으로 이루어진 자석그물관과; 상기 자석그물관의 양단에 형성되는 테두리; 및 상기 자석그물관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수차로 구성되고,
    상기 자석그물관은 철로된 그물관이 자화(磁化)되고, 상기 테두리는 에코놀(ekonol) 수지나 폴리이미드(polyimide) 수지가 포함된 테플론(polytetrafluoroetylene)재나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 수지 재로 성형되고, 상기 수차는 원통관 형상의 외주면에 톱니 형상의 수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입수공에 의하여 인입되는 수돗물에 의하여 상기 그물망부재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수납용 정수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60142761A 2016-10-31 2016-10-31 싱크대용 정수기 KR101719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761A KR101719522B1 (ko) 2016-10-31 2016-10-31 싱크대용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761A KR101719522B1 (ko) 2016-10-31 2016-10-31 싱크대용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9522B1 true KR101719522B1 (ko) 2017-03-24

Family

ID=58500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2761A KR101719522B1 (ko) 2016-10-31 2016-10-31 싱크대용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9522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3352B1 (ko) 2018-08-14 2019-02-27 지병욱 싱크대용 정수기
KR102136585B1 (ko) 2020-01-30 2020-07-23 지수진 기능성 샤워기
KR102155960B1 (ko) 2019-04-25 2020-09-14 지병욱 기능성 필터 샤워기
KR20220000647A (ko) 2020-06-26 2022-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물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물공급방법
KR102349534B1 (ko) 2021-03-29 2022-01-10 지병욱 싱크대용 정수기
WO2022126210A1 (pt) * 2020-12-14 2022-06-23 Da Fonseca Larissa Maciel Filtro multicamadas e sistema de filtragem para retenção de microplásticos
KR20220087141A (ko) 2020-12-17 2022-06-24 이인규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
KR20220095980A (ko) 2020-12-30 2022-07-07 지병욱 살균기능을 갖는 필터 샤워기
KR20230092113A (ko) 2021-12-17 2023-06-26 지병욱 정수 및 절수 기능을 구비한 자동 살균 수도꼭지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9760U (ja) * 1994-09-30 1995-04-11 株式会社生研クリーン 酒、飲料水等の飲料磁化処理具
KR200293011Y1 (ko) 2002-07-30 2002-10-25 홍원방 싱크대 내장형 정수기
KR20040105186A (ko) 2003-06-05 2004-12-14 주식회사 엔텍 싱크대 수납용 정수기
JP2005111453A (ja) * 2003-10-10 2005-04-28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マグネットフィルタ
KR101133245B1 (ko) 2011-08-23 2012-04-05 감재천 언더싱크형 정수기용 필터
KR20120004703U (ko) * 2010-12-21 2012-06-29 오교선 녹물 제거 필터의 카트리지 구조
US9327219B2 (en) * 2013-12-12 2016-05-03 James J. Brunswick Spiral irrigation filter clean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9760U (ja) * 1994-09-30 1995-04-11 株式会社生研クリーン 酒、飲料水等の飲料磁化処理具
KR200293011Y1 (ko) 2002-07-30 2002-10-25 홍원방 싱크대 내장형 정수기
KR20040105186A (ko) 2003-06-05 2004-12-14 주식회사 엔텍 싱크대 수납용 정수기
JP2005111453A (ja) * 2003-10-10 2005-04-28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マグネットフィルタ
KR20120004703U (ko) * 2010-12-21 2012-06-29 오교선 녹물 제거 필터의 카트리지 구조
KR101133245B1 (ko) 2011-08-23 2012-04-05 감재천 언더싱크형 정수기용 필터
US9327219B2 (en) * 2013-12-12 2016-05-03 James J. Brunswick Spiral irrigation filter cleaning apparatus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3352B1 (ko) 2018-08-14 2019-02-27 지병욱 싱크대용 정수기
KR102155960B1 (ko) 2019-04-25 2020-09-14 지병욱 기능성 필터 샤워기
KR102136585B1 (ko) 2020-01-30 2020-07-23 지수진 기능성 샤워기
KR20220000647A (ko) 2020-06-26 2022-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물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물공급방법
WO2022126210A1 (pt) * 2020-12-14 2022-06-23 Da Fonseca Larissa Maciel Filtro multicamadas e sistema de filtragem para retenção de microplásticos
KR20220087141A (ko) 2020-12-17 2022-06-24 이인규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
KR20220095980A (ko) 2020-12-30 2022-07-07 지병욱 살균기능을 갖는 필터 샤워기
KR102349534B1 (ko) 2021-03-29 2022-01-10 지병욱 싱크대용 정수기
KR20230092113A (ko) 2021-12-17 2023-06-26 지병욱 정수 및 절수 기능을 구비한 자동 살균 수도꼭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9522B1 (ko) 싱크대용 정수기
KR101124463B1 (ko) 수도 직결식 휴대용 정수기
KR101510571B1 (ko) 정수기필터구조
JP2004050083A (ja) 浄水器
CN105016548A (zh) 杀菌净水器
CN104743703A (zh) 一种适用于震后灾区的无动力应急净水器
KR20170130703A (ko) 정수용 복합필터
CN209759177U (zh) 一种新型净水机
KR101707026B1 (ko) 가정용 수처리 장치
CN203668172U (zh) 净水机
JP4603303B2 (ja) 水処理装置
KR101313631B1 (ko) 필터관 및 이를 이용한 정수장치
TWM582422U (zh)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KR101507986B1 (ko) 기능성 정수장치
CN204356162U (zh) 一种净水器
CN215756703U (zh) 一种复合滤芯端套
CN220684797U (zh) 一种新型磁性过滤滤芯
CN212334685U (zh) 一种自清洗净水器
KR200370743Y1 (ko) 정수용 전처리침전필터
JP5629677B2 (ja) 携帯型浄水器
KR200317263Y1 (ko) 정수기용 필터 카트리지
CN205740572U (zh) 一种带有两级核孔膜的自来水净化滤件
CN201598215U (zh) 直接可饮用的净水机水路系统
JP5081750B2 (ja) 浄水器用カートリッジ
CN108025225B (zh) 家用水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