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3352B1 - 싱크대용 정수기 - Google Patents

싱크대용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3352B1
KR101923352B1 KR1020180094811A KR20180094811A KR101923352B1 KR 101923352 B1 KR101923352 B1 KR 101923352B1 KR 1020180094811 A KR1020180094811 A KR 1020180094811A KR 20180094811 A KR20180094811 A KR 20180094811A KR 101923352 B1 KR101923352 B1 KR 101923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ink
filter
shower hea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4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병욱
Original Assignee
지병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병욱 filed Critical 지병욱
Priority to KR1020180094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33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6Adding soap, disinfectant, or the like in the supply line or at the water outlet
    • E03C1/0465Adding soap, disinfectant, or the like in the supply line or at the water outlet by mounting an independent soap dispenser to outlet of tap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8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g. anti-splash devices
    • E03C1/086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asily mountable on the outlet of tap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40Arrangement of water treatment devices in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52Water filt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방의 싱크대에서 사용하는 수돗물 속의 각종 이물질이나 세균을 제거할 수 있고, 음식 조리에 사용하는 수돗물을 기능성 조리수로 만들어줄 수 있는 싱크대용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싱크대의 샤워헤드에 각종 기능성 물질은 물론 필터링 물질을 내장하여 싱크대에서 사용하는 수돗물을 정수함과 더불어 기능성 조리수로 만들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정수기를 구현함으로써, 음식이나 과일을 안심하고 씻어서 먹을 수 있음은 물론 깨끗하게 정수된 물로 음식을 조리할 수 있고, 각종 세균이 제거되고 미네랄이 풍부한 약알카리성의 깨끗한 물을 음용할 수 있으며, 별도의 공간을 확보하지 않게 됨은 물론 정수기의 수리 및 교체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싱크대용 정수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싱크대용 정수기{WATER PURIFIER FOR SINK}
본 발명은 싱크대용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방의 싱크대에서 사용하는 수돗물 속의 각종 이물질이나 세균을 제거할 수 있고, 음식 조리에 사용하는 수돗물을 기능성 조리수로 만들어줄 수 있는 싱크대용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의 발달로 인한 수질오염으로 가정집이나 직장에서 수돗물을 식수로 직접 이용하지 않고 보리, 옥수수, 오미자, 결명자, 작약, 구기자 등을 넣어 끓인 다음, 이를 식혀 식수로 사용하거나 별도의 정수기를 이용하여 정수된 물을 식수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환경오염이 심각해짐에 따라 가정이나 직장에서는 수돗물을 직접 식수로 사용하지 않고 별도의 정수기를 이용하여 정수된 물을 식수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 최근의 추세이다.
보통 정수기는 수도 전으로부터 급수되는 수돗물, 즉 원수를 별도의 여과수단 내로 통과시켜 원수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게 하는 장치로서, 최근 들어 유흥업소는 물론이고 가정에까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정수기는 원수가 여러 단계의 여과필터를 차례로 통과되도록 하여 원수에 포함된 각종 불순물질과, 세균, 중금속 등을 여과시키는 단순 정수기능만을 갖는 일반 정수기와, 일반 정수기의 기능에 냉각장치 및 가열장치를 부가하여 원수를 정수한 후에 이를 곧바로 냉각 또는 가열하여 냉수 및 온수를 제공하는 냉ㆍ온 정수기로 구분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정수기를 사용하는 가정에서는 대부분 원수를 공급받을 수 있는 위치인 주방에 설치하게 되는 것이며, 특히 싱크대의 상부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상기 싱크대는 주방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서 제작되는 것으로 정수기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정수기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싱크대의 일부 공간을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싱크대의 상부에 정수기를 설치할 경우에는 주방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서 제작된 주방의 미관을 손상시키게 되는 등의 단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최근에는 싱크대의 내부에 정수기를 내장시키는 경우도 있으나, 이렇게 내장되는 정수기가 싱크대의 가장 안쪽에 위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인 관계로 정기적으로 필터를 교환하거나 수리를 할 경우에는 싱크대에 보관되어 있는 그릇, 주방용품 등과 같은 각종 물품을 치운 후에 작업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719522호 한국 공개특허 제10-2004-0080962호 한국 공개특허 제10-2004-0105186호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93011호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10203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싱크대의 샤워헤드에 각종 기능성 물질은 물론 필터링 물질을 내장하여 싱크대에서 사용하는 수돗물을 정수함과 더불어 기능성 조리수로 만들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정수기를 구현함으로써, 음식이나 과일을 안심하고 씻어서 먹을 수 있음은 물론 깨끗하게 정수된 물로 음식을 조리할 수 있고, 각종 세균이 제거되고 미네랄이 풍부한 약알카리성의 깨끗한 물을 음용할 수 있으며, 별도의 공간을 확보하지 않게 됨은 물론 정수기의 수리 및 교체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싱크대용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싱크대용 정수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싱크대용 정수기는 조리수의 토출을 위한 상단 전면의 출수부를 가지는 싱크대 샤워헤드부와 수돗물 유입을 위한 하단의 수돗물 유입구를 가지는 싱크대 샤워보디부의 조립형태로 구성되는 싱크대 샤워헤드와, 상기 싱크대 샤워헤드부의 내부 앞쪽으로 위치되면서 물 속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부직포 필터 및 부직포 필터 케이스와, 상기 싱크대 샤워헤드부의 내부 뒷쪽으로 위치되면서 물 입자를 미세화시켜주고 물 속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블록형 카본 필터부와, 상기 싱크대 샤워보디부의 내부 윗쪽에 위치되면서 상단 중심부를 통해 싱크대 샤워헤드부의 샤워헤드부 입구에 연결되고 바깥쪽 둘레에서 중심쪽으로 물의 흐름을 유도하여 물 속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원통형의 면상 카본 필터 및 면상 카본 필터 하우징과, 상기 싱크대 샤워보디부의 내부 아래쪽에 위치되면서 상단부를 통해 면상 카본 필터 하우징에 결합되는 동시에 하단 중심부를 통해 수돗물 유입구에 연결되고 중심쪽에서 바깥쪽 둘레로 물의 흐름을 유도하여 내부에 채워지는 기능성 볼을 이용하여 물 속의 이물질이나 유해성분을 제거하는 원통형의 새디먼트 필터 및 새디먼트 필터 하단캡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싱크대용 정수기는 싱크대 샤워헤드부의 입구에 설치되어 물의 유속에 의해 자유롭게 유동되면서 자화육각수를 생성하는 회전형 자석볼과 회전형 자석볼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형 자석볼 하우징의 재질은 PP(폴리프로필렌)나 PE(폴리에틸렌) 등 플라스틱은 물론, 회전 자석의 자기(磁氣)와 금속 이온으로 전기 발생이 가능한 금이나 은, 동, 아연 등 금속으로 된 회전형 자석볼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싱크대용 정수기는 면상 카본 필터 하우징과 새디먼트 필터 하우징의 사이에 개재되어 하우징 중심부 간의 물의 흐름을 차단함과 더불어 자화육각수를 생성하는 고정형 자석판 및 고정형 자석판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싱크대 샤워헤드부의 출수부는 싱크대 샤워헤드부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헤드캡과, 복수의 분사홀을 가지면서 헤드캡의 안쪽으로 설치되는 출수판과, 상기 헤드캡의 안쪽에서 출수판의 이면과 부직포 필터 케이스의 전면 사이에 개재되어 헤드캡의 체결부위에 대한 기밀을 유지시켜주는 실리콘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록형 카본 필터부는 중심부의 축공을 가지는 원통형 블록 형태의 카본 블록과, 상기 카본 블록의 축공의 앞쪽과 뒷쪽에 각각 동축구조로 결합되는 한 쌍의 원형의 마개와, 상기 카본 블록의 축공 내부에서 삽입되는 은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원형의 마개는 동축을 이루며 서로 앞뒤로 연접 위치되는 제1마개와 제2마개로 구성되고, 상기 제1마개는 방사상으로 뻗어나가는 직선살 형태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상기 제2마개는 직경을 달리하는 다수의 원을 동심원 상으로 배치한 원형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한 쌍으로 이루어진 원형의 마개 중에서 카본 블록의 앞쪽으로 결합되는 1개의 마개는 제1마개가 앞쪽을 향해, 제2마개가 뒷쪽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뒷쪽으로 결합되는 다른 1개의 마개는 제2마개가 앞쪽을 향해, 제1마개가 뒷쪽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싱크대용 정수기의 부직포 필터 케이스는 서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케이스 본체와 케이스 캡으로 구성하여, 부직포 필터 교체 시 케이스 본체(16a)로부터 케이스 캡을 분리하여 부직포 필터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싱크대용 정수기, 예를 들면 싱크대 샤워헤드의 내부에 각종 기능성 볼, 자석, 카본 필터, 순은 플레이트 등을 내장함과 더불어 물의 흐름과 관련한 내부 구조를 개선한 새로운 형태의 싱크대용 정수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깨끗하게 정수된 물로 쌀이나 음식을 씻어서 조리할 수 있고 과일을 안심하고 씻어서 먹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각종 세균 등 유해성분이 함유되어 있지 않고 미네랄이 풍부한 약알카리수이며 물분자(클러스트)가 작고 활성수소가 풍부한 물을 음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음이온성 물질이 포함되어 미용수로 사용할 수 있어 건강한 피부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우수한 살균과 세정력으로 주방의 식기, 도마, 행주 살균에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식중독의 원인균인 살모넬라, 쉬겔라, 녹농균, 대장균 등을 제거된 청결한 조리수로 음식을 조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정수기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확보하지 않아도 되므로 싱크대 주변 공간을 넓게 활용할 수 있고, 수리 및 교체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등 취급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정수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정수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정수기의 주요 부분을 나타내는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정수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정수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정수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정수기의 주요 부분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싱크대용 정수기는 싱크대 샤워헤드부(11)와 싱크대 샤워보디부(13)의 조립형태로 구성되는 싱크대 샤워헤드(14)를 포함한다.
상기 싱크대 샤워헤드(14)의 싱크대 샤워헤드부(11)는 깨끗하게 정화된 조리수를 토출하는 부분으로서, 앞쪽과 아래쪽이 뚫려 있고 내부에 앞쪽과 아래쪽을 관통하는 공간이 조성되어 있는 대략 "ㄱ"자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며, 싱크대 샤워보디부(13)는 수돗물을 인입하는 부분으로서, 속이 비어 있는 원통형의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싱크대 샤워헤드부(11)와 싱크대 샤워보디부(13)는 나사 체결구조에 의해 서로 분해 및 결합이 가능한 구조로 조립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싱크대 샤워헤드부(11)의 내부 일측, 예를 들면 앞쪽 부분과 아래쪽 부분의 경계위치에서 아래쪽 부분의 내부 일측에는 아래쪽에서 올라오는 물을 앞쪽으로 연락하는 통로 역할의 샤워헤드부 입구(18)가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되는 샤워헤드부 입구(18)에는 후술하는 회전형 자석볼(24)과 회전형 자석볼 하우징(25)이 설치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싱크대 샤워헤드부(11)의 상단부 전면, 즉 샤워헤드부 앞쪽 부분의 전면에는 조리수를 최종 토출하는 역할을 하는 출수부(10)가 장착되고, 상기 싱크대 샤워보디부(13)의 하단에는 수돗물을 유입하는 역할을 하는 나사관 형태의 수돗물 유입구(12)가 형성되며, 이에 따라 수돗물 유입구(12)를 통해 싱크대 샤워헤드(14)의 내부로 들어온 수돗물은 각종 불순물과 세균이 제거되고 자화수로 만들어진 상태의 조리수로 전환되어 출수부(10)를 통해 토출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출수부(10)는 조리수 분사를 위한 출수판(30), 기밀 유지를 위한 실리콘링(31), 마감부재로서의 헤드캡(28)으로 구성된다.
상기 출수판(30)은 스테인레스 스틸 소재 등으로 이루어진 얇은 원판 형태로서, 이러한 출수판(30)에는 전체 면적에 걸쳐 다수의 분사홀(29)이 형성되며, 헤드캡(29)의 이면부 내측에 위치되면서 헤드캡 내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41)에 안착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상기 실리콘링(31)은 헤드캡(28)의 안쪽에서 출수판(30)의 이면과 부직포 필터 케이스(16)의 전면 사이에 개재되는 구조로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되는 실리콘링(31)은 싱크대 샤워헤드부(11)에 체결되는 헤드캡(28)의 나사 체결부위로 물이 누수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캡(28)은 내주면의 나사부를 이용하여 싱크대 샤워헤드부(11)의 앞쪽 부분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부에 체결되는 구조로 설치되며, 이렇게 싱크대 샤워헤드부(11)에 헤드캡(28)이 체결됨에 따라 출수판(30)과 실리콘링(31)은 물론 그 뒷쪽의 부직포 필터(15)가 들어 있는 부직포 필터 케이스(16) 및 블록형 카본 필터부(17)가 싱크대 샤워헤드부(11)의 바깥쪽으로 빠지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싱크대 샤워헤드부(11)와 싱크대 샤워보디부(13)의 조립형태로 구성되는 싱크대 샤워헤드(14)는 싱크대 샤워보디부(13)에 형성되어 있는 수돗물 유입구(12)를 이용하여 수도관(미도시)이 배관되어 있는 싱크대 수전금구(미도시)측에 연결 설치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싱크대 샤워헤드(14)의 경우 싱크대 수전금구측으로부터 길게 빼낸 상태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싱크대 샤워보디부(13)를 손잡이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의 상기 싱크대 샤워헤드(14)의 싱크대 샤워헤드부(11)와 싱크대 샤워보디부(13)는 인체에 무해하고 안전성과 내구성을 고려한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등과 같은 소재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싱크대 정수기는 물 속의 불순물, 이물질 등을 제거하는 수단으로 부직포 필터(15) 및 부직포 필터 케이스(16)를 포함한다.
상기 부직포 필터(15)는 얇은 원형의 부직포를 여러 겹으로 적층 결합시킨 원형의 블록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며, 부직포 필터 케이스(16)의 내부에 배치되어 물 속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이나 이물질, 카본 블록에서 떨어져나오는 미세한 입자 등을 여과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부직포 필터 케이스(16)는 앞쪽이 뚫려 있는 원형의 케이스 형태로 이루어진 케이스 본체(16a)와, 상기 케이스 본체(16a)의 앞쪽 개방 부위를 마감하는 원형 형태의 케이스 캡(16b)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 본체(16a)의 케이스 바닥판과 케이스 캡(16b)에는 물의 통과를 위한 다수의 홀(38)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케이스 본체(16a)의 케이스 바닥판에 형성되어 있는 홀(38)을 통해 케이스 본체(16a)의 내부로 들어온 물은 부직포 필터(15)를 거친 후에 케이스 캡(16b)에 형성되어 있는 홀(38)을 통해 케이스 본체(16a)의 밖으로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부직포 필터 케이스(16)의 케이스 본체(16a)와 케이스 캡(16b)은 서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구조로 조립되는데, 예를 들면 케이스 캡(16b)의 안쪽면에는 케이스 본체(16a)의 내경에 꼭맞는 크기의 직경으로 이루어진 링 모양의 결합용 돌기(39)가 형성되며, 이에 따라 케이스 캡(16b)은 케이스 본체(16a)의 앞쪽 개방 부위에 동심원 상으로 밀착됨과 더불어 개방용 돌기(39)를 이용하여 케이스 본체(16a)의 내측에 끼워지는 구조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싱크대 샤워헤드부(11)에 있는 헤드캡(28)을 분리한 상태에서, 케이스 캡(16b)을 잡아 당기면서 케이스 본체(16a)의 내측에 끼워져 있는 개방용 돌기(39)를 빼내면, 케이스 캡(16b)을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되고, 결국 케이스 본체(16a) 내의 부직포 필터(15) 또한 손쉽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케이스 캡(16b)의 바깥쪽면에는 원형의 간격유지용 돌기(40)가 형성되며, 이때의 간격유지용 돌기(40)는 출수부(10)에 속해 있는 출수판(30)의 이면에 밀착 지지되면서 출수판(30)과 부직포 필터 케이스(16) 간의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부직포 필터(15)를 수용하고 있는 부직포 필터 케이스(16)는 싱크대 샤워헤드부(11)의 내부 앞쪽으로 배치됨과 더불어 부직포 필터 케이스(16)의 외주면은 싱크대 샤워헤드부(11)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이 상태에서 앞쪽의 출수판(30)과 뒷쪽의 블록형 카본 필터부(17) 사이에 밀착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싱크대용 정수기는 싱크대 샤워헤드부(11)의 내부 뒷쪽, 즉 부직포 필터(15)가 들어 있는 부직포 필터 케이스(16)의 바로 뒷쪽으로 연접 위치되면서 물 입자를 미세하게 쪼개주고 또 물 속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수단으로 블록형 카본 필터부(17)를 포함한다.
상기 블록형 카본 필터부(17)는 중심부를 관통하는 형태의 축공(32)을 가지는 원통형 블록 형태의 카본 블록(33)을 포함하며, 이러한 카본 블록(33)에 형성되어 있는 축공(32)의 앞쪽과 뒷쪽에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마개(34)가 동축 구조로 각각 결합된다.
예를 들면, 상기 카본 블록(33)의 축공(32)에는 내주면 둘레를 따라 가면서 일정간격으로 위치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 홈(44)이 형성되고, 상기 마개(34)의 외주면에는 외주면 둘레를 따라 가면서 일정간격, 즉 가이드 홈(44)의 간격에 상응하는 간격으로 위치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 돌기(43)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마개(34)는 가이드 돌기(43)를 이용하여 가이드 돌기(43)에 끼워지는 구조로 축공(32) 내에 동축구조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원형의 마개(34) 중 하나 이상은 금, 은, 동, 아연 등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카본 블록(33)의 축공(32)의 내부 공간, 즉 축공(32)의 앞쪽과 뒷쪽에 결합되는 한 쌍의 마개(34) 사이의 공간에는 다수의 홀을 가지는 원판 형태의 은 플레이트(35)가 삽입 설치되며, 이때의 은 플레이트(35)는 순은 99.99%의 은판으로서 카본 블록(33)의 축공(32)을 통과하는 물 속의 각종 세균을 멸균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다른 예로서, 상기 카본 블록(33)의 축공(32) 내부에는 회전 자석체(미도시)가 삽입 설치될 수도 있게 된다.
이러한 블록형 카본 필터부(17)는 싱크대 샤워헤드부(11)의 내부 뒷쪽으로 위치되고, 싱크대 샤워헤드부(11)의 내벽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복수 개의 카본 블록 지지용 돌기(42), 예를 들면 싱크대 샤워헤드부 내벽 양편에 서로 마주대하며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는 2개의 카본 블록 지지용 돌기(42)에 끼워져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즉, 양쪽의 카본 블록 지지용 돌기(42) 사이에 카본 블록(33)의 외주면 2곳이 끼워짐에 따라 블록형 카본 필터부(17)가 고정 설치될 수 있게 되고, 이때 양쪽의 카본 블록 지지용 돌기(42) 간의 폭은 싱크대 샤워헤드부(11)의 뒷쪽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폭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카본 블록(33)을 뒷쪽으로 밀어 넣으면 카본 블록(33)이 양쪽의 카본 블록 지지용 돌기(42) 사이에 꽉 끼워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게 되며, 결국 블록형 카본 필터부(17)가 싱크대 샤워헤드부(11) 내의 뒷쪽에서 제위치를 잡을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카본 블록(33)의 축공(32) 내에 설치되는 원형의 마개(34)는 동축을 이루며 서로 앞뒤로 연접 위치되는 제1마개(34a)와 제2마개(34b)로 구성된다.
이때의 제1마개(34a)는 중심에서 외곽쪽을 향해 방사상으로 뻗어나가는 다수의 직선살(36)을 전체적으로 원형을 이루도록 배치한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고, 제2마개(34b)는 직경을 달리하는 다수의 원을 동심원 상으로 배치한 다수의 원형살(37), 즉 중심부에서 외곽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직경이 큰 원을 동심원 상으로 배치한 다수의 원형살(37)의 조합 형태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한 쌍으로 이루어진 원형의 마개(34) 중에서 카본 블록(33)의 앞쪽으로 결합되는 1개의 마개(34)에 속해 있는 제1마개(34a)는 블록형 카본 필터부 앞쪽을 향해, 제2마개(34b)는 블록형 카본 필터부 뒷쪽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뒷쪽으로 결합되는 다른 1개의 마개(34)에 속해 있는 제2마개(34b)가 블록형 카본 필터부 앞쪽을 향해, 제1마개(34a)는 블록형 카본 필터부 뒷쪽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블록형 카본 필터부(12)의 카본 블록(33)에 형성되어 있는 축공(32)을 경유하는 물은 축공(32)의 앞쪽과 뒷쪽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마개(34), 즉 한 쌍의 제1마개(34a)와 제2마개(34b)를 두차례 거치는 과정에서 직선살(36)과 원형살(37)의 조합에 부딪혀 충돌을 일으키게 되고, 그 결과 물 클러스터 입자가 미세하게 쪼개지게 되므로서, 조리수로 음식을 조리하는 경우 음식의 맛을 높일 수 있고 또 조리수를 그대로 음용하는 경우에도 신체의 흡수가 빨라 신체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블록형 카본 필터부(12)를 경유하는 물이 카본 블록(33)과 접촉 및 통과하게 되므로서, 수돗물 속의 염소성분 유기물 흡착 및 냄새 등 인체에 유해한 성분들이 제거될 수 있게 되고, 또 블록형 카본 필터부(12)의 카본 블록(33)에 형성되어 있는 축공(32)을 경유하는 물은 축공(32)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은 플레이트(35)와 부딪히면서 반응하게 되므로서, 수돗물 속에 포함되어 있는 세균, 박테리아, 바이러스 등이 멸균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싱크대용 정수기는 수돗물 속의 유해성분은 물론 불순물을 제거하는 수단으로 원통형의 면상 카본 필터(19) 및 면상 카본 필터 하우징(20)을 포함한다.
상기 면상 카본 필터(19)는 면 소재(綿 素材)에 카본 입자를 코팅 또는 도포하여 일체형으로 결합시킨 형태로서 원통형 하우징 형태의 면상 카본 필터 하우징(20)의 외주면 둘레에 여러 겹으로 감겨진 구조로 설치된다.
상기 면상 카본 필터 하우징(20)은 속이 비어 있는 격자형의 원통형 틀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때의 면상 카본 필터 하우징(20)의 상단부에는 중심부에 다수의 홀을 가지는 면상 카본 필터 상단캡(45)이 결합되고, 이러한 면상 카본 필터 하우징(20)의 외주면 둘레에는 면상 카본 필터(19)가 감겨지게 된다.
이와 같은 면상 카본 필터(19)가 감져져 있는 면상 카본 필터 하우징(20)은 싱크대 샤워보디부(13)의 내부 윗쪽에 위치되면서 싱크대 샤워보디부(13)의 중심축선을 따라 동축 구조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이렇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단 중심부, 즉 면상 카본 필터 상단캡(45)을 통해 싱크대 샤워헤드부(14)의 샤워헤드부 입구(18)에 설치되어 있는 후술하는 회전형 자석볼 하우징(25)의 저면에 밀착 지지됨과 더불어 하단부는 후술하는 고정형 자석판 하우징(27)을 매개로 하여 새디먼트 필터(22)의 상단측과 일체식으로 결합되어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수돗물은 면상 카본 필터(19)의 바깥쪽 둘레에서 면상 카본 필터(19)를 통과한 후에 면상 카본 필터 하우징(20)의 내부로 유입되고, 계속해서 이렇게 유입된 수돗물은 윗쪽의 면상 카본 필터 상단캡(45)에 형성되어 있는 홀을 통해 싱크대 샤워헤드부(11)의 샤워헤드부 입구(18), 즉 샤워헤드부 입구(18)에 설치되어 있는 회전형 자석볼 하우징(25)의 내부로 보내질 수 있게 되며, 이렇게 수돗물이 면상 카본 필터(19)를 통과하는 동안에 수돗물 속의 유해 성분이나 불순물 등이 제거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싱크대용 정수기는 수돗물 속의 이물질이나 유해성분을 제거하고 또 수돗물에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한 수단으로 새디먼트 필터(22) 및 새디먼트 필터 하단캡(23)을 포함한다.
상기 새디먼트 필터(22)는 속이 비어 있는 원통형의 형태를 이루면서 물의 통과가 가능한 압축 섬유 소재, 또는 압축 종이 소재, 부직포 소재 등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새디먼트 필터(22)는 싱크대 샤워보디부(13)의 내부 아래쪽에 위치되면서, 즉 면상 카본 필터(19) 및 면상 카본 필터 하우징(30)의 아래쪽에 일렬로 나란하게 위치되면서 상단부를 통해 면상 카본 필터 하우징(30)의 하단측에 고정형 자석판 하우징(27)을 매개로 결합됨과 더불어, 하단부에 결합되는 새디먼트 필터 하단캡(23), 즉 중심부에 수돗물 통과를 위한 홀을 가지는 새디먼트 필터 하단캡(23)의 중심부를 이용하여 싱크대 샤워보디부(13)의 수돗물 유입구(12)에 연결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싱크대 샤워보디부(13)의 수돗물 유입구(12)를 통해 공급되는 수돗물은 새디먼트 필터(22)의 내부로 유입되고, 이렇게 새디먼트 필터(22)의 내부로 들어온 수돗물은 새디먼트 필터(22)를 통과한 후에 새디먼트 필터(22)의 바깥쪽 둘레로 빠져나가 싱크대 샤워보디부(13)의 내부 공간을 경유한 다음, 면상 카본 필터(19)측으로 진행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새디먼트 필터(22)의 내부에는 염소제거볼, 맥반석볼, 바이오볼 등과 같은 각종 기능성 볼(21)이 채워지게 되며, 이에 따라 새디먼트 필터(22)의 내부로 들어온 수돗물이 각종 기능성 볼(21)과 접촉 반응하게 됨으로써, 염소제거는 물론 중금속 등의 유해성분 분해, 미네랄(미량요소)용출, 수질과 산도 조절, 산소용출, 원적외선 방사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싱크대용 정수기는 면상 카본 필터 하우징(20)과 새디먼트 필터 하우징(25)의 사이에 개재되어 하우징 중심부 간의 물의 흐름을 차단함과 더불어 자화육각수를 생성하는 고정형 자석판(26) 및 고정형 자석판 하우징(27)을 포함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고정형 자석판 하우징(27)은 중심부에 홀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윗쪽과 아래쪽에 원통형의 하우징 끼움부(47)가 일체 형성되어 있는 원판형로 이루어지게 되고, 이때의 고정형 자석판 하우징(27)의 중심부 홀에 고정형 자석판(26)이 내장되는 동시에 고정형 자석판(26)이 내장되어 있는 중심부 홀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자석판 마개(46a,46b)가 장착되면서 중심부 홀이 마감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형 자석판(26)은 중간에 분리막(미도시)을 두고 극(極)과 극(極)이 같은 척력(斥力)으로 배치되거나, 극(極)과 극(極)이 다른 인력(引力)으로 배치되는 2개 이상의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자석판 마개(46a,46b)에 의해 마감된 상태로 내장되어 있는 고정형 자석판(25)을 포함하는 고정형 자석판 하우징(27)은 윗쪽의 하우징 끼움부(47)를 통해 면상 카본 필터 하우징(20)의 하단부 내측으로 끼워져 결합됨과 더불어 아래쪽의 하우징 끼움부(47)를 통해 새디먼트 필터(22)의 상단부 내측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면상 카본 필터 하우징(20), 고정형 자석판 하우징(27) 및 새디먼트 필터(22)는 일체형 원통형의 형태를 취하면서 하나로 결합되고, 이렇게 결합된 상태에서 싱크대 샤워 보디부(13)의 내부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동시에 면상 카본 필터 하우징(20)의 면상 카본 필터 상단캡(45)과 새디먼트 필터(22)의 새디먼트 필터 하단캡(23)을 이용하여 샤워헤드부 입구(18)와 수돗물 유입구(12)에 각각 연결되므로서, 수돗물 유입구(12)를 통해 새디먼트 필터(22)의 내부로 들어온 수돗물은 고정평 자석판 하우징(27)에 의해 막혀서 윗쪽으로는 곧바로 진행되지 못하고 새디먼트 필터(22)를 거쳐 외곽쪽으로 빠져나오게 되고, 이렇게 외곽쪽으로 빠져나온 수돗물은 재차 면상 카본 필터(19)를 거쳐 면상 카본 필터(19)의 중심부로 들어온 후에 샤워헤드 입구(18)를 통해 회전형 자석볼(24)이 있는 쪽으로 보내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새디먼트 필터(22)의 내부로 들어온 수돗물은 물론 면상 카본 필터 하우징(20)의 내부로 들어온 수돗물은 회전형 자석볼(24)과 고정형 자석볼(26)에 의한 자력의 영향을 받게 되고, 결국 이때의 수돗물은 자화육각수로 전환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일체식의 면상 카본 필터(19) 및 면상 카본 필터 하우징(20), 고정형 자석판(26)을 포함하는 고정형 자석판 하우징(27) 및 새디먼트 필터(22)의 경우, 싱크대 샤워헤드부(11)와 싱크대 샤워보디부(13)를 분리하면 쉽게 빼낼 수 있게 되므로, 교체 작업을 손쉽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싱크대용 정수기는 자석의 강력한 자력으로 수돗물의 자화육각수로 전환시켜주는 수단으로 회전형 자석볼(24)과 회전형 자석볼 하우징(25)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형 자석볼 하우징(25)은 상단이 개방되어 있고 하단은 중심의 홀을 제외하고 막혀 있는 원통형 하우징 형태로서, 싱크대 샤워헤드부(14)의 샤워헤드부 입구(18)의 하단에 결합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상기 회전형 자석볼(24)은 회전형 자석볼 하우징(25)의 내부 공간, 즉 샤워헤드부 입부(18)에 회전형 자석볼 하우징(25)이 결합됨에 따라 조성되는 샤워헤드부 입구(18)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어 물의 유속에 의해 자유롭게 유동되면서 물과 접촉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물이 통과하는 경로 상에서 회전형 자석볼(24)이 자유롭게 유동되면서 물과 지속적으로 접촉하게 되므로서, 자석의 매우 강력한 자력에 의해 물 분자구조가 이온활성화된 물, 즉 자화육각수로 전환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회전형 자석볼(24)과 고정형 자석볼(25)에서 발생하는 강력한 네오디뮴 영구자석의 자력(9,000∼13,000G)에 물을 통과시켜 이온활성화시킴으로써, 물 입자(클러스터)가 미세하고, 용존산소 함유량이 높고, 미네랑이 풍부하고, 약 알카리수이고, 육각고리 구조의 육각수로 이루어진 조리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형 자석볼(24)의 경우 물이 계속해서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지속적으로 유동되면서 달그락거리는 소리를 내게 되고, 또 사용자가 회전형 자석볼(24)의 움직임을 육안으로 볼 수 있게 되므로서, 사용자에게 청각적 효과는 물론 시각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정수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싱크대용 정수기는 수도관(미도시)이 배관되어 있는 싱크대 수전금구(미도시)에 설치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이때의 싱크대용 정수기는 싱크대 수전금구측에 고정시킨 상태, 또는 싱크대 수전금수측에서 길게 빼낸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싱크대용 정수기의 연결부, 즉 싱크대 샤워보디부(13)의 수돗물 유입구(12)를 싱크대 수전금구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수도관에 연결하고, 싱크대 수전금구의 레버(미도시)를 조작하여 수돗물을 틀면 이때의 수돗물은 싱크대용 정수기를 통해 정화된 후에 조리수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싱크대 수전금구측에서 공급되는 수돗물은 수돗물 유입구(12)→기능성 볼(21)이 들어 있는 새디먼트 필터(22)의 중심부→새디먼트 필터(22)의 외곽부→면상 카본 필터(19)의 외곽부→면상 카본 필터(19)의 중심부→회전형 자석(24)이 수용되어 있는 회전형 자석볼 하우징(25)의 내부→블록형 카본 필터부(17)의 카본 블록(33) 및 마개(34)→부직포 필터(15)→출수부(10)의 분사홀(29)을 통해 토출되므로서 음식 조리에 사용되는 조리수나 사용자가 음용할 수 있는 음용수로 이용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수돗물이 다양한 각각의 필터층, 기능성 볼, 자석, 은 플레이트 등을 거치게 되므로서, 음식 조리는 물론 음용 시 깨끗하게 정수된 물로 음식을 조리할 수 있는 동시에 각종 세균이 제거되고 미네랄이 풍부하며 자화육각수를 음용할 수 있고, 또 샤워헤드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서 설치 시에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게 되며, 헤드캡을 분리하거나 싱크대 샤워헤드부와 싱크대 샤워보디부를 분리하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정수기의 수리 및 교체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싱크대의 샤워헤드에 각종 염소제거볼, 맥반석볼, 바이오볼, 자석, 은 플레이트 등과 같은 기능성 물질은 물론 부직포, 카본 블록 등과 같은 필터링 물질을 내장하여 싱크대에서 사용하는 수돗물을 정수 및 살균함과 더불어 기능성 조리수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싱크대용 정수기를 제공함으로써, 음식이나 과일을 안심하고 씻어서 먹을 수 있음은 물론 깨끗하게 정수되고 세균이 제거된 물로 음식을 조리할 수 있는 동시에 미네랄이 풍부한 약알카리성의 깨끗한 물을 음용할 수 있으며, 싱크대에 샤워헤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는 등 별도의 공간을 확보하지 않아도 되고, 정수기의 수리 및 교체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10 : 출수부 11 : 싱크대 샤워헤드부
12 : 수돗물 유입구 13 : 싱크대 샤워보디부
14 : 싱크대 샤워헤드 15 : 부직포 필터
16 : 부직포 필터 케이스 17 : 블록형 카본 필터부
18 : 샤워헤드부 입구 19 : 면상 카본 필터
20 : 면상 카본 필터 하우징 21 : 기능성 볼
22 : 새디먼트 필터 23 : 새디먼트 필터 하단캡
24 : 회전형 자석볼 25 : 회전형 자석볼 하우징
26 : 고정형 자석판 27 : 고정형 자석판 하우징
28 : 헤드캡 29 : 분사홀
30 : 출수판 31 : 실리콘링
32 : 축공 33 : 카본 블록
34 : 마개 35 : 은 플레이트
36 : 직선살 37 : 원형살
38 : 홀 39 : 결합용 돌기
40 : 간격유지용 돌기 41 : 걸림턱
42 : 카본 블록 지지용 돌기 43 : 가이드 돌기
44 : 가이드 홈 45 : 면상 카본 필터 상단캡
46a,46b : 자석판 마개 47 : 하우징 끼움부

Claims (12)

  1. 조리수의 토출을 위한 상단 전면의 출수부(10)를 가지는 싱크대 샤워헤드부(11)와 수돗물 유입을 위한 하단의 수돗물 유입구(12)를 가지는 싱크대 샤워보디부(13)의 조립형태로 구성되는 싱크대 샤워헤드(14);
    상기 싱크대 샤워헤드부(11)의 내부 앞쪽으로 위치되면서 물 속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부직포 필터(15) 및 부직포 필터 케이스(16);
    상기 싱크대 샤워헤드부(11)의 내부 뒷쪽으로 위치되면서 물 입자를 미세화시켜주고 물 속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블록형 카본 필터부(17);
    상기 싱크대 샤워보디부(13)의 내부 윗쪽에 위치되면서 상단 중심부를 통해 싱크대 샤워헤드부(14)의 샤워헤드부 입구(18)에 연결되고 바깥쪽 둘레에서 중심쪽으로 물의 흐름을 유도하여 물 속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원통형의 면상 카본 필터(19) 및 면상 카본 필터 하우징(20);
    상기 싱크대 샤워보디부(13)의 내부 아래쪽에 위치되면서 상단부를 통해 면상 카본 필터 하우징(20)에 결합되는 동시에 하단 중심부를 통해 수돗물 유입구(12)에 연결되고 중심쪽에서 바깥쪽 둘레로 물의 흐름을 유도하여 내부에 채워지는 기능성 볼(21)을 이용하여 물 속의 이물질이나 유해성분을 제거하는 원통형의 새디먼트 필터(22) 및 새디먼트 필터 하단캡(23);
    을 포함하고,
    상기 블록형 카본 필터부(17)는 중심부의 축공(32)을 가지는 원통형 블록 형태의 카본 블록(33)과, 상기 카본 블록(33)의 축공(32)의 앞쪽과 뒷쪽에 각각 동축구조로 결합되는 한 쌍의 원형의 마개(34)와, 상기 카본 블록(33)의 축공(32) 내부에서 삽입되는 은 플레이트(35)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원형의 마개(34) 중 하나 이상은 금, 은, 동, 아연 등 금속으로 된 것과 상기 카본 블록(33)의 축공(32) 내부에 삽입되는 회전 자석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정수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싱크대 샤워헤드부(14)의 입구(18)에 설치되어 물의 유속에 의해 자유롭게 유동되면서 자화육각수를 생성하는 회전형 자석볼(24)과 회전형 자석볼 하우징(2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정수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면상 카본 필터 하우징(20)과 새디먼트 필터 하우징(25)의 사이에 개재되어 하우징 중심부 간의 물의 흐름을 차단함과 더불어 자화육각수를 생성하는 고정형 자석판(26) 및 고정형 자석판 하우징(2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정수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싱크대 샤워헤드부(11)의 출수부(10)는 싱크대 샤워헤드부(11)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헤드캡(28)과, 복수의 분사홀(29)을 가지면서 헤드캡(28)의 안쪽으로 설치되는 출수판(30)과, 상기 헤드캡(28)의 안쪽에서 출수판(30)의 이면과 부직포 필터 케이스(16)의 전면 사이에 개재되어 헤드캡(28)의 체결부위에 대한 기밀을 유지시켜주는 실리콘링(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정수기.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형의 마개(34)는 동축을 이루며 서로 앞뒤로 연접 위치되는 제1마개(34a)와 제2마개(34b)로 구성되고, 상기 제1마개(34a)는 방사상으로 뻗어나가는 직선살(36) 형태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상기 제2마개(34b)는 직경을 달리하는 다수의 원을 동심원 상으로 배치한 원형살(37)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정수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한 쌍으로 이루어진 원형의 마개(34) 중에서 카본 블록(33)의 앞쪽으로 결합되는 1개의 마개(34)는 제1마개(34a)가 앞쪽을 향해, 제2마개(34b)가 뒷쪽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뒷쪽으로 결합되는 다른 1개의 마개(34)는 제2마개(34b)가 앞쪽을 향해, 제1마개(34a)가 뒷쪽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정수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필터 케이스(16)는 서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케이스 본체(16a)와 케이스 캡(16b)으로 구성되며, 부직포 필터 교체 시 케이스 본체(16a)로부터 케이스 캡(16b)을 분리하여 부직포 필터(15)를 교체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정수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싱크대 샤워보디부(13)의 내부 위쪽에 위치되면서 상단 중심부를 통해 싱크대 샤워헤드부(14)의 샤워헤드부 입구(18)에 연결되고 바깥쪽 둘레에서 중심쪽으로 물의 흐름을 유도하여 물 속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원통형의 새디먼트 필터(22);
    상기 싱크대 샤워보디부(13)의 내부 아래쪽에 위치되면서 상단부를 통해 새디먼트 필터(22)에 결합되는 동시에 하단 중심부를 통해 수돗물 유입구(12)에 연결되고 중심쪽에서 바깥쪽 둘레로 물의 흐름을 유도하여 내부에 채워지는 기능성 볼(21)을 이용하여 물 속의 이물질이나 유해성분을 제거하는 원통형의 면상 카본 필터(19) 및 면상 카본 필터 하우징(2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정수기.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형 자석볼 하우징(25)의 재질은 회전형 자석볼(24)의 강력한 자기(磁氣)와 금속의 이온화 현상으로 전기(電氣) 발생이 가능한 금, 은, 동, 아연 중의 어느 하나의 금속재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정수기.
  11.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형 자석판(26)은 중간 분리 막을 두고 극(極)과 극(極)이 같은 척력(斥力)으로 배치되거나, 또는 극과 극이 다른 인력(引力)으로 배치되는 2개 이상의 자석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정수기.
  12. 삭제
KR1020180094811A 2018-08-14 2018-08-14 싱크대용 정수기 KR101923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811A KR101923352B1 (ko) 2018-08-14 2018-08-14 싱크대용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811A KR101923352B1 (ko) 2018-08-14 2018-08-14 싱크대용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3352B1 true KR101923352B1 (ko) 2019-02-27

Family

ID=65561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4811A KR101923352B1 (ko) 2018-08-14 2018-08-14 싱크대용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335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9129B1 (ko) * 2019-11-18 2020-06-26 선정완 자화수 생성 샤워 헤드
KR102136585B1 (ko) * 2020-01-30 2020-07-23 지수진 기능성 샤워기
KR102139814B1 (ko) * 2020-01-08 2020-07-29 김지호 2중 필터를 구비한 샤워 헤드 어셈블리
KR102155960B1 (ko) * 2019-04-25 2020-09-14 지병욱 기능성 필터 샤워기
KR20210010196A (ko) * 2019-07-19 2021-01-27 주식회사 에코노바 부분 교체가 가능한 생활용수용 흡착형 복합 필터
IT201900024424A1 (it) * 2019-12-18 2021-06-18 Rolss Italia S R L Dinamizzatore di acqua potabile
WO2021154023A1 (ko) * 2020-01-29 2021-08-05 주식회사 로보터스 기체 용해수 생성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샤워기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5292A (ja) * 2000-10-06 2002-04-19 Hayakawa Valve Seisakusho:Kk 浄水器を有した水栓、及びこれに使用する浄水器用のカートリッジ
KR200293011Y1 (ko) 2002-07-30 2002-10-25 홍원방 싱크대 내장형 정수기
KR200310203Y1 (ko) 2003-01-07 2003-04-10 홍원방 정수기와 살균기가 구비된 싱크대
WO2004067859A1 (en) * 2003-01-29 2004-08-12 Youngsung Industrial Co., Ltd. Multi-functional head apparatus used for aqueduct having purifying function
KR20040080962A (ko) 2003-10-29 2004-09-20 이중호 싱크대용 상냉(온) 정수기
KR20040105186A (ko) 2003-06-05 2004-12-14 주식회사 엔텍 싱크대 수납용 정수기
KR200463844Y1 (ko) * 2011-03-17 2012-11-28 강창순 유속에 의해 회전하는 자석 카트리지를 갖는 샤워기
KR101222813B1 (ko) * 2012-06-08 2013-01-15 지병욱 복합 정수필터
KR20150019237A (ko) * 2013-08-13 2015-02-25 지병욱 복합 정수기능을 갖는 샤워 헤드 겸용 휴대 정수기
KR20160018055A (ko) * 2014-08-07 2016-02-17 김춘식 은을 이용한 복합 정수용 샤워기
KR101719522B1 (ko) 2016-10-31 2017-03-24 율진프라임 (주) 싱크대용 정수기
KR20170102679A (ko) * 2016-03-02 2017-09-12 주식회사 케이엔텍 복합 필터가 구비된 샤워장치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5292A (ja) * 2000-10-06 2002-04-19 Hayakawa Valve Seisakusho:Kk 浄水器を有した水栓、及びこれに使用する浄水器用のカートリッジ
KR200293011Y1 (ko) 2002-07-30 2002-10-25 홍원방 싱크대 내장형 정수기
KR200310203Y1 (ko) 2003-01-07 2003-04-10 홍원방 정수기와 살균기가 구비된 싱크대
WO2004067859A1 (en) * 2003-01-29 2004-08-12 Youngsung Industrial Co., Ltd. Multi-functional head apparatus used for aqueduct having purifying function
KR20040105186A (ko) 2003-06-05 2004-12-14 주식회사 엔텍 싱크대 수납용 정수기
KR20040080962A (ko) 2003-10-29 2004-09-20 이중호 싱크대용 상냉(온) 정수기
KR200463844Y1 (ko) * 2011-03-17 2012-11-28 강창순 유속에 의해 회전하는 자석 카트리지를 갖는 샤워기
KR101222813B1 (ko) * 2012-06-08 2013-01-15 지병욱 복합 정수필터
KR20150019237A (ko) * 2013-08-13 2015-02-25 지병욱 복합 정수기능을 갖는 샤워 헤드 겸용 휴대 정수기
KR20160018055A (ko) * 2014-08-07 2016-02-17 김춘식 은을 이용한 복합 정수용 샤워기
KR20170102679A (ko) * 2016-03-02 2017-09-12 주식회사 케이엔텍 복합 필터가 구비된 샤워장치
KR101719522B1 (ko) 2016-10-31 2017-03-24 율진프라임 (주) 싱크대용 정수기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960B1 (ko) * 2019-04-25 2020-09-14 지병욱 기능성 필터 샤워기
KR20210010196A (ko) * 2019-07-19 2021-01-27 주식회사 에코노바 부분 교체가 가능한 생활용수용 흡착형 복합 필터
WO2021015371A1 (ko) * 2019-07-19 2021-01-28 주식회사 에코노바 부분 교체가 가능한 생활용수용 흡착형 복합 필터
KR102327425B1 (ko) * 2019-07-19 2021-11-17 주식회사 에코노바 부분 교체가 가능한 생활용수용 흡착형 복합 필터
KR102119129B1 (ko) * 2019-11-18 2020-06-26 선정완 자화수 생성 샤워 헤드
IT201900024424A1 (it) * 2019-12-18 2021-06-18 Rolss Italia S R L Dinamizzatore di acqua potabile
KR102139814B1 (ko) * 2020-01-08 2020-07-29 김지호 2중 필터를 구비한 샤워 헤드 어셈블리
WO2021154023A1 (ko) * 2020-01-29 2021-08-05 주식회사 로보터스 기체 용해수 생성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샤워기
KR20210096916A (ko) * 2020-01-29 2021-08-06 주식회사 로보터스 기체 용해수 생성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샤워기
KR102346053B1 (ko) * 2020-01-29 2022-01-03 주식회사 로보터스 기체 용해수 생성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샤워기
KR102136585B1 (ko) * 2020-01-30 2020-07-23 지수진 기능성 샤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3352B1 (ko) 싱크대용 정수기
KR102136585B1 (ko) 기능성 샤워기
KR102155960B1 (ko) 기능성 필터 샤워기
US7959872B2 (en) System and device for water filtration and purification
AU2017371317A1 (en) Drinking-water suppl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20160018057A (ko) 은을 이용한 복합 정수용 싱크대 수도꼭지
KR20140092676A (ko) 다기능 샤워기
KR20160018055A (ko) 은을 이용한 복합 정수용 샤워기
KR102349534B1 (ko) 싱크대용 정수기
KR200278146Y1 (ko) 동섬유를 이용한 염소제거 및 살균 수도꼭지 어셈블리
KR102532918B1 (ko) 항균 및 살균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정수기
KR102429798B1 (ko) 살균기능을 갖는 필터 샤워기
TWM483274U (zh) 具洗滌及飲用雙功能之淨水系統
KR20160018056A (ko) 은을 이용한 복합 정수용 연수기
KR101635844B1 (ko) 주방용 샤워기
KR102492011B1 (ko) 자동 살균 수도꼭지
US20040262422A1 (en) Water-activating shower apparatus
CN214940703U (zh) 一种厨房水龙头
KR101900642B1 (ko) 씽크대 수전
CN212713075U (zh) 一种远红外功能沐浴过滤器
KR200395066Y1 (ko) 살균필터를 이용한 살균수 공급수전
KR20230134248A (ko) 정수기용 필터 어셈블리
KR200253597Y1 (ko) 물 연수화 기능이 구비된 주방용 기기
CN214348265U (zh) 一种净化器
CN211734058U (zh) 一种简式过滤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