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6053B1 - 기체 용해수 생성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샤워기 - Google Patents

기체 용해수 생성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샤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6053B1
KR102346053B1 KR1020200010575A KR20200010575A KR102346053B1 KR 102346053 B1 KR102346053 B1 KR 102346053B1 KR 1020200010575 A KR1020200010575 A KR 1020200010575A KR 20200010575 A KR20200010575 A KR 20200010575A KR 102346053 B1 KR102346053 B1 KR 102346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issolved water
gas dissolved
fluid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0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6916A (ko
Inventor
문홍연
김민철
구정인
김인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보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보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보터스
Priority to KR1020200010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6053B1/ko
Priority to JP2022546372A priority patent/JP2023511751A/ja
Priority to CN202190000286.7U priority patent/CN218437336U/zh
Priority to PCT/KR2021/001202 priority patent/WO2021154023A1/ko
Publication of KR20210096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6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8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g. anti-splash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8Roses; Shower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1/302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 gate valve, a sliding valve or a c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018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devices for making foa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8Water installations especially for sh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40Arrangement of water treatment devices in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전으로부터 제공된 유체를 기체 용해수로 생성하여 공급 및 기체 용해수를 마이크로 버블의 유체로 분사하는 기체 용해수 생성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샤워기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체 용해수 생성 조립체는 수전에 결합되어 수전으로부터 제공되는 유체가 공급되는 공급구와 공급구로부터 공급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하우징 내부의 공급구와 배출구 사이에 배치되며 공급구로부터 공급된 유체에 기포를 발생시켜 하우징 내부에 기체 용해수로 제공하는 기포 생성부 및 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며 하우징 내부에 제공된 기체 용해수와 하우징 외부로 배출되는 기체 용해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하여 하우징 내부에 잔류된 기체 용해수를 하우징 외부로 배수하는 드레인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체 용해수 생성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샤워기{ASSEMBLY FOR GENERATING WATER DISSOLVED GAS AND SHOWER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기체 용해수 생성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샤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전으로부터 제공된 유체를 기체 용해수로 생성하여 공급 및 기체 용해수를 마이크로 버블의 유체로 분사하는 기체 용해수 생성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샤워기에 관한 것이다.
세척 대상물은 식기 및 야채 등과 같은 물품 및 식품류, 그리고 사람 및 동물과 같은 생물류가 될 수 있다. 세척 대상물은 그 재질에 따라 고유한 표면 거칠기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식기 등의 재질에 따른 고유 표면 거칠기와 인체의 피부의 고유 표면 거칠기는 상이하며, 각각 세척 시간 및 방법 등의 상이점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세척을 위해 주로 사용되는 물은 표면장력이 다른 물질에 비해 큰 물질 중 하나이다. 물을 이용한 세척 대상물의 세척은 물의 표면장력을 이용하여 세척이 진행되나, 실질적으로 물이 세척 대상물의 표면에 남아 있는 오염물질까지 침투하지 못 하기 때문에 세척 효율이 저하된다. 이러한 물 세척 시 세척 효율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계면 활성제가 첨가된 세제 및 비누 등을 사용하여 식기 등의 세척 및 인체에 사용되나, 일반적으로 계면 활성제가 첨가된 제품에는 인체에 유해한 화학 성분이 포함된 경우가 많다.
한편, 인체의 세척, 예를 들어 샤워 같은 인체의 세척 과정을 진행할 때 일반적으로 세척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계면 활성제가 첨가된 샴푸 및 바디워시 등이 사용되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인체에 유해한 화학 성분이 포함된 경우가 많아 대체적인 방법이 요구되었다. 예를 들면,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6334434호의 "미세기포 생성 장치 및 미세기포 생성 방법"에 게재된 바와 같이 수전으로부터 공급된 유체(여기서, 유체는 일반적인 물을 의미함)를 물리적인 요인을 부가하여 기체 용해수를 생성하고 마이크로 버블의 유체로 분사하여 세척력을 증가시킴과 함께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적인 세척 방법을 제공하였다.
그런데, 종래의 문헌에 기재된 바와 같이 기체 용해수를 생성하여 세척을 위한 마이크로 버블의 유체를 제공할 수 있으나, 마이크로 버블의 유체 제공 후 용기 내부에 잔류된 기체 용해수가 배수되지 않음에 따라 용기 내부에서 오염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용기 내부에서 잔류된 기체 용해수의 오염에 따라 악취 등이 발생하여 샤워 시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6334434호 : 미세기포 생성 장치 및 미세기포 생성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기체 용해수를 생성하여 제공함과 함께 기체 용해수 배출 후 잔류된 기체 용해수를 배수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기체 용해수 생성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샤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에 따라 수전에 결합되어 상기 수전으로부터 제공되는 유체가 공급되는 공급구와 상기 공급구로부터 공급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의 상기 공급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공급구로부터 공급된 유체에 기포를 발생시켜 상기 하우징 내부에 기체 용해수로 제공하는 기포 생성부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 제공된 기체 용해수와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배출되는 기체 용해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잔류된 기체 용해수를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배수하는 드레인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 용해수 생성 조립체에 의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드레인 밸브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기체 용해수가 수용될 때 잔류된 기체 용해수가 배수되는 배수 유로를 폐쇄하는 폐쇄위치와,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외부로 기체 용해수가 배출된 후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잔류된 유체 및 마이크로 버블의 유체가 배수되는 상기 배수 유로를 개방하는 개방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밸브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배수 유로와 연통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잔류된 기체 용해수가 배수되는 드레인 유로가 형성된 밸브 몸체와, 상기 밸브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폐쇄위치와 상기 개방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드레인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 스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밸브는 상기 밸브 스풀이 상기 폐쇄위치에서 상기 개방위치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밸브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기체 용해수가 수용될 때 압력 상승에 따라 상기 배수 유로를 폐쇄하는 상기 폐쇄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기체 용해수가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될 때 압력 해소에 따라 상기 배수 유로를 개방하는 상기 개방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기체 용해수 생성 조립체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공급구에 유체의 유동 방향을 따라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으로 단면적이 증가하는 스커트(skirt) 형상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배치되어 상기 수전으로부터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체를 분사하는 확산 노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포 생성부는 상기 하우징의 단면 지름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지름을 가지고 일측에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공급구로부터 제공된 유체와의 충돌에 의해 기포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기포 생성부는 상기 하우징의 지름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지름을 가지고 배치되며 상기 공급구로부터 제공된 유체가 유입되는 개방부 및 상기 개방부에 대향 배치되어 유입된 유체와 충돌하는 폐쇄부가 형성된 기포 생성부용 하우징과, 상기 폐쇄부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기포 생성부용 하우징의 저부에 체류된 기체 용해수를 상기 기포 생성부용 하우징의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에 따라 마이크로 버블의 유체를 분사하는 샤워헤드와, 상기 샤워헤드에 연결되어 상기 샤워헤드로 마이크로 버블의 유체로 분사되기 위한 기체 용해수를 제공하며 잔류된 기체 용해수를 배출하는 전술한 구성들 중 어느 하나의 기체 용해수 생성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에 의해서도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샤워헤드는 상기 기체 용해수 생성 조립체와 연결되는 제 1몸체와, 상기 제 1몸체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마이크로 버블의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구가 형성된 제 2몸체와, 상기 제 1몸체와 제 2몸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몸체로부터 상기 제 2몸체로 유동되는 기체 용해수의 유동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샤워헤드는 상기 제 1몸체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 2몸체로 유동되는 기체 용해수에 녹 성분이 함유될 때 기체 용해수에 함유된 녹 성분을 필터링 하는 녹물 방지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샤워헤드는 상기 분사구와 상기 개폐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유동 유로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단면적을 갖는 복수 개의 오리피스로 형성되어 상기 개폐부로부터 상기 분사구로 유동되는 기체 용해수의 유속을 증가시키는 노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샤워헤드는 상기 분사구와 상기 개폐부 사이에 배치되어 기체 용해수에 함유된 잔류 염소 및 박테리아를 필터링 하는 비타민 필터 및 항균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체 용해수 생성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샤워기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체 용해수를 생성하는 하우징 내부의 배수 유로를 드레인 밸브로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하우징 내부에 잔류된 기체 용해수를 하우징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므로, 잔류된 기체 용해수의 오염 방지와 함께 하우징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마이크로 버블의 유체를 분사하는 샤워헤드의 내부에 녹물, 잔류 염소 및 박테리아를 필터링 하는 필터들을 배치함과 함께 개폐부를 이용하여 샤워헤드를 통해 마이크로 버블의 유체로 분사되는 기체 용해수의 유동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으므로, 샤워헤드의 작동 신뢰성 및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샤워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기체 용해수 생성 조립체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Ⅲ-Ⅲ 선의 제 1작동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 영역의 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Ⅲ-Ⅲ 선의 제 2작동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B 영역의 확대 단면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Ⅲ-Ⅲ 선의 제 3작동 단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C 영역의 확대 단면도,
도 9는 도 2에 도시된 Ⅲ-Ⅲ 선의 제 4작동 단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D 영역의 확대 단면도,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샤워헤드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ⅩⅡ-ⅩⅡ 선의 단면도,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ⅩⅢ-ⅩⅢ 선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샤워기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샤워기의 기체 용해수 생성 조립체는 단독으로 샤워기 이외에 세면대에 연결 또는 주방용 수도꼭지 등에 연결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샤워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기체 용해수 생성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샤워기(10)는 기체 용해수 생성 조립체(100) 및 샤워헤드(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샤워기(10)는 기체 용해수를 생성하는 기체 용해수 생성 조립체(100)와 샤워헤드(500)를 연결하여 샤워를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체 용해수 생성 조립체(100)는 샤워헤드(500)와 분리되어 주방용 수도꼭지(미도시) 등에 독립적으로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Ⅲ-Ⅲ 선의 제 1작동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 영역의 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Ⅲ-Ⅲ 선의 제 2작동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B 영역의 확대 단면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Ⅲ-Ⅲ 선의 제 3작동 단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C 영역의 확대 단면도, 도 9는 도 2에 도시된 Ⅲ-Ⅲ 선의 제 4작동 단면도, 그리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D 영역의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체 용해수 생성 조립체(100)는 도 3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20), 기포 생성부(140) 및 드레인 밸브(19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체 용해수 생성 조립체(100)는 확산 노즐부(160) 및 공기배출부(17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체 용해수 생성 조립체(100)는 미도시된 수전과 샤워헤드(500)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주방용 수도꼭지와 같이 다양한 시설에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120)은 수전에 결합되어 수전으로부터 제공되는 유체를 수용한다. 본 발명의 하우징(120)은 하우징 몸체(122), 공급구(124) 및 배출구(126)를 포함한다. 또한, 하우징(120)은 배수 유로(128)를 더 포함한다.
하우징 몸체(122)는 유체가 제공되는 수전에 결합된다. 하우징 몸체(122)에는 수전으로부터 제공되는 유체가 공급되는 공급구(124)가 형성되고, 하우징 몸체(122)의 하부에는 공급구(124)로부터 공급된 유체 및 기체 용해수가 샤워헤드(500)로 배출되는 배출구(126)가 형성된다. 여기서, 공급구(124)와 배출구(126)는 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알파벳 L자 형상으로 배치된다. 즉, 공급구(124)로부터 낙하된 유체 및 공급된 유체에 의해 생성된 기체 용해수는 하우징 몸체(122)의 내부에 수용되고 수용된 기체 용해수는 하우징 몸체(122)의 하부에 수평으로 배치된 배출구(126)를 통해 배출된다. 한편, 하우징 몸체(122)의 하부에는 공급구(124)와 같은 방향으로 잔류된 기체 용해수를 배수하는 배수 유로(128)가 형성된다.
기포 생성부(140)는 하우징(120) 내부의 공급구(124)와 배출구(126) 사이에 배치된다. 기포 생성부(140)는 공급구(124)로부터 공급된 유체에 기포를 생성하여 하우징(120) 내부로 제공한다. 상세하게 기포 생성부(140)는 바닥으로 공급된 유체에 기포가 발생되도록 하고, 기포 생성부(140) 내부에 발생된 기포는 기포 생성부(140)의 내벽을 따라 흘러 넘친다. 이때, 기포 생성부(140)로부터 범람하는 기포와 하우징(120) 내부의 공기가 용해되어 하우징(120) 내부에는 기체 용해수가 생성된다. 본 발명의 기포 생성부(140)는 기포 생성부용 하우징(142), 배수 홀(144), 개방부(146) 및 폐쇄부(148)를 포함한다.
기포 생성부용 하우징(142)은 도 3, 5, 7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의 공급 방향의 가로 방향으로 하우징 몸체(122)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마련된다. 상세하게 기포 생성부용 하우징(142)은 하우징 몸체(122)의 단면 지름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지름을 가지고 마련된다.
배수 홀(144)은 폐쇄부(148)에 관통 형성된다. 배수 홀(144)은 기포 생성부용 하우징(142)의 저부에 수용된 기체 용해수를 기포 생성부용 하우징(142) 외부로 배수한다. 상세하게 배수 홀(144)은 원통 형상을 갖는 기포 생성부용 하우징(142)의 저부에 유체 및/또는 기체 용해수가 체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기포 생성부용 하우징(142)의 저부에 수용된 유체 및/또는 기체 용해수를 기포 생성부용 하우징(142)의 외부로 배수한다.
개방부(146) 및 폐쇄부(148)는 각각 기포 생성부용 하우징(142)에 형성된다. 개방부(146)는 하우징(120)의 공급구(124)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공급구(124)를 통해 공급된 유체가 기포 생성부용 하우징(142)으로 공급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폐쇄부(148)는 개방부(146)와 대향된 기포 생성부용 하우징(142)의 하부에 형성된다. 폐쇄부(148)는 개방부(146)를 통해 공급된 유체와 충돌하여 기포 생성부용 하우징(142) 내부에 기포를 생성한다.
확산 노즐부(160)는 하우징(120)의 공급구(124)에 유체의 유동 방향을 따라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으로 단면적이 증가하는 스커트(skirt) 형상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배치된다. 확산 노즐부(160)는 수전으로부터 하우징(120) 내부로 유체를 분사, 특히 기포가 생성되도록 기포 생성부(140) 내부로 유체를 분사한다.
공기배출부(170)는 하우징(120)의 상부에 배치되어 하우징(120) 내부의 압력을 해소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공기배출부(170)는 하우징(120) 내부의 압력이 일정 이상의 압력보다 높을 때 하우징(120) 내부의 압력을 저감하기 위해 하우징(120) 내부로 외부의 공기를 유입할 때 사용한다.
다음으로 드레인 밸브(190)는 하우징(120)의 하부에 배치된다. 드레인 밸브(190)는 하우징(120) 내부에 수용되는 기체 용해수와 하우징(120) 외부로 배출되는 기체 용해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한다. 드레인 밸브(190)는 하우징(120) 내부에 잔류된 기체 용해수를 하우징(120) 외부로 배수한다. 예를 들어, 샤워기(10)를 통해 하우징(120) 내부에 수용된 기체 용해수가 배출구(126)를 통해 배출된 후, 수전 및 샤워헤드(500)의 잠금 시 드레인 밸브(190)는 하우징(120) 내부에 잔류된 기체 용해수를 하우징(120) 외부로 배수한다. 이렇게 드레인 밸브(190)는 잔류된 기체 용해수를 하우징(120) 외부로 배수하여 하우징(120) 내부에서 잔류된 기체 용해수가 오염됨과 함께 하우징(120)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드레인 밸브(190)는 하우징(120) 내부에 기체 용해수가 수용될 때 잔류된 기체 용해수가 배수되는 배수 유로(128)를 폐쇄하는 폐쇄위치와, 배출구(126)를 통해 하우징(120) 외부로 기체 용해수가 배출된 후 하우징(120) 내부에 잔류된 기체 용해수가 배수되는 배수 유로(128)를 개방하는 개방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레인 밸브(190)는 개방위치에 위치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레인 밸브(190)는 유체의 공급에 의해 기체 용해수가 하우징(120)에 수용되기 시작하면 압력 상승에 의해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로 위치된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레인 밸브(190)는 기체 용해수가 계속 생성될 때 압력 상승에 의해 폐쇄위치에 위치된다. 사용자에 의해 샤워 또는 수전의 잠금 시 하우징(120) 내부에 수용된 기체 용해수는 배출구(126)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드레인 밸브(19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20) 내부의 압력 해소가 발생함에 따라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이동된다. 그러면, 드레인 밸브(190)가 개방위치에 위치되면 배수 유로(128)와 드레인 유로(194)를 통해 잔류된 기체 용해수가 하우징(120) 외부로 배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드레인 밸브(190)는 밸브 몸체(192), 드레인 유로(194), 밸브 스풀(196) 및 탄성부재(198)를 포함한다. 밸브 몸체(192)는 하우징(120)의 배수 유로(128)와 연통되며 하우징(120) 내부에 잔류된 기체 용해수가 배수되는 드레인 유로(194)가 형성된다. 밸브 스풀(196)은 밸브 몸체(192)의 내부에 배치된다. 밸브 스풀(196)은 폐쇄위치와 개방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되어 드레인 유로(194)를 개폐한다. 탄성부재(198)는 밸브 스풀(196)이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즉, 탄성부재(198)는 하우징(120) 내부의 압력 상승에 의해 밸브 스풀(196)이 폐쇄위치로 이동된 후, 하우징(120) 내부의 압력 해소가 발생하면 밸브 스풀(196)을 개방위치로 이동하도록 밸브 스풀(196)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샤워헤드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ⅩⅡ-ⅩⅡ 선의 단면도, 그리고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ⅩⅢ-ⅩⅢ 선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샤워헤드(500)는 제 1몸체(510), 제 2몸체(520) 및 개폐부(53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샤워헤드(500)는 녹물 방지 필터(540), 노즐부(560), 비타민 필터(580) 및 항균 필터(590)를 더 포함한다.
제 1몸체(510)는 기체 용해수 생성 조립체(100)와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호스 등으로 연결된다. 제 2몸체(520)는 제 1몸체(510)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기체 용해수 생성 조립체(100)로부터 유동된 기체 용해수를 마이크로 버블의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구(522)가 형성된다. 개폐부(530)는 제 1몸체(510)와 제 2몸체(520) 사이에 배치된다. 개폐부(530)는 제 1몸체(510)로부터 제 2몸체(520)로 유동되는 기체 용해수의 유동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개폐부(530)는 마이크로 버블의 유체가 선택적으로 분사되도록 기체 용해수의 유동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개폐부(5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슬라이딩 방식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슬라이딩 방식 이외에도 회전식과 같은 방식도 사용될 수 있다.
녹물 방지 필터(540)는 제 1몸체(510) 내부에 배치되어 제 2몸체(520)로 유동되는 기체 용해수에 녹 성분이 함유될 때, 기체 용해수에 함유된 녹 성분을 필터링 한다.
노즐부(560)는 분사구(522)와 개폐부(530) 사이에 배치되며 유동 유로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단면적을 갖는 복수 개의 오리피스로 형성된다. 노즐부(560)는 개폐부(530)로부터 분사구(522)로 유동되는 기체 용해수의 유체의 유속을 증가시킨다.
비타민 필터(580) 및 항균 필터(590)는 분사구(522)와 개폐부(530) 사이에 배치된다. 비타민 필터(580) 및 항균 필터(590)는 기체 용해수에 함유된 잔류 염소 및 박테리아를 필터링 한다. 물론, 샤워헤드(500)로 유동되는 기체 용해수에 잔류 염소 및 박테리아가 존재할 때 잔류 염소 및 박테리아는 비타민 필터(580) 및 항균 필터(590)에 의해 필터링 된다. 여기서, 비타민 필터(580) 및 항균 필터(590)는 한정적이지 않고, 항균 필터(590)를 포함하는 각종 세라믹 볼 필터가 사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이에, 기체 용해수를 생성하는 하우징 내부의 배수 유로를 드레인 밸브로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하우징 내부에 잔류된 기체 용해수를 하우징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므로, 잔류된 기체 용해수의 유체의 오염 방지와 함께 하우징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버블의 유체를 분사하는 샤워헤드의 내부에 녹물, 잔류 염소 및 박테리아를 필터링 하는 필터들을 배치함과 함께 개폐부를 이용하여 샤워헤드를 통해 마이크로 버블의 유체로 분사되는 기체 용해수의 유동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으므로, 샤워헤드의 작동 신뢰성 및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들이 변경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샤워기 100: 기체 용해수 생성 조립체
120: 하우징 124: 공급구
126: 배출구 128: 배수 유로
140: 기포 생성부 160: 확산 노즐부
190: 드레인 밸브 192: 밸브 몸체
194: 드레인 유로 196: 밸브 스풀
198: 탄성부재 500: 샤워헤드
510: 제 1몸체 520: 제 2몸체
530: 개폐부 540: 녹물 방지 필터
560: 노즐부 580: 비타민 필터
590: 항균 필터

Claims (13)

  1. 수전에 결합되어 상기 수전으로부터 제공되는 유체가 공급되는 공급구와, 상기 공급구로부터 공급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의 상기 공급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공급구로부터 공급된 유체에 기포를 발생시켜 상기 하우징 내부에 기체 용해수로 제공하는 기포 생성부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 제공된 기체 용해수와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배출되는 기체 용해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잔류된 기체 용해수를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배수하는 드레인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드레인 밸브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기체 용해수가 수용될 때 압력 상승에 따라 잔류된 기체 용해수가 배수되는 배수 유로를 폐쇄하는 폐쇄위치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된 기체 용해수가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외부로 기체 용해수가 배출될 때 상기 하우징 내부의 압력 해소에 따라 잔류된 기체 용해수가 배수되는 상기 배수 유로를 개방하는 개방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의 압력이 일정 이상의 압력보다 높을 때 상기 하우징 내부의 압력을 저감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는 공기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 용해수 생성 조립체.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밸브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배수 유로와 연통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잔류된 기체 용해수가 배수되는 드레인 유로가 형성된 밸브 몸체와;
    상기 밸브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폐쇄위치와 상기 개방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드레인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 스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 용해수 생성 조립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밸브는 상기 밸브 스풀이 상기 폐쇄위치에서 상기 개방위치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 용해수 생성 조립체.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용해수 생성 조립체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공급구에 유체의 유동 방향을 따라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으로 단면적이 증가하는 스커트(skirt) 형상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배치되어, 상기 수전으로부터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체를 분사하는 확산 노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 용해수 생성 조립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 생성부는 상기 하우징의 단면 지름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지름을 가지고 일측에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공급구로부터 제공된 유체와의 충돌에 의해 기포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 용해수 생성 조립체.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 생성부는,
    상기 하우징의 지름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지름을 가지고 배치되며, 상기 공급구로부터 제공된 유체가 유입되는 개방부 및 상기 개방부에 대향 배치되어 유입된 유체와 충돌하는 폐쇄부가 형성된 기포 생성부용 하우징과;
    상기 폐쇄부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기포 생성부용 하우징의 저부에 체류된 기체 용해수를 상기 기포 생성부용 하우징의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 용해수 생성 조립체.
  9. 마이크로 버블의 유체를 분사하는 샤워헤드와;
    상기 샤워헤드에 연결되어 상기 샤워헤드로 마이크로 버블의 유체로 분사되기 위한 기체 용해수를 제공하며, 잔류된 기체 용해수를 배출하는 제 1항, 3항, 4항, 6항, 7항 또는 제 8항 중 어느 한 항의 기체 용해수 생성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샤워헤드는,
    상기 기체 용해수 생성 조립체와 연결되는 제 1몸체와;
    상기 제 1몸체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마이크로 버블의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구가 형성된 제 2몸체와;
    상기 제 1몸체와 제 2몸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몸체로부터 상기 제 2몸체로 유동되는 기체 용해수의 유동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샤워헤드는,
    상기 제 1몸체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 2몸체로 유동되는 기체 용해수에 녹 성분이 함유될 때, 기체 용해수에 함유된 녹 성분을 필터링 하는 녹물 방지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샤워헤드는,
    상기 분사구와 상기 개폐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유동 유로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단면적을 갖는 복수 개의 오리피스로 형성되어, 상기 개폐부로부터 상기 분사구로 유동되는 기체 용해수의 유속을 증가시키는 노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샤워헤드는,
    상기 분사구와 상기 개폐부 사이에 배치되어, 기체 용해수에 함유된 잔류 염소 및 박테리아를 필터링 하는 비타민 필터 및 항균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KR1020200010575A 2020-01-29 2020-01-29 기체 용해수 생성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샤워기 KR102346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575A KR102346053B1 (ko) 2020-01-29 2020-01-29 기체 용해수 생성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샤워기
JP2022546372A JP2023511751A (ja) 2020-01-29 2021-01-29 気体溶解水生成アセンブリ及びこれを有するシャワー機
CN202190000286.7U CN218437336U (zh) 2020-01-29 2021-01-29 溶气水生成组件及具备其的淋浴器
PCT/KR2021/001202 WO2021154023A1 (ko) 2020-01-29 2021-01-29 기체 용해수 생성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샤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575A KR102346053B1 (ko) 2020-01-29 2020-01-29 기체 용해수 생성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샤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6916A KR20210096916A (ko) 2021-08-06
KR102346053B1 true KR102346053B1 (ko) 2022-01-03

Family

ID=77079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0575A KR102346053B1 (ko) 2020-01-29 2020-01-29 기체 용해수 생성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샤워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3511751A (ko)
KR (1) KR102346053B1 (ko)
CN (1) CN218437336U (ko)
WO (1) WO20211540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6479B1 (ko) * 2022-05-12 2024-02-14 주식회사 무진테크 버블 세면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7596B2 (ja) * 1995-01-30 2000-06-26 コクヨ株式会社 機器載置台
JP2008023304A (ja) * 2006-07-25 2008-02-07 Fuji Keiki Hanbai:Kk 簡易シャワー装置
JP2018058038A (ja) * 2016-10-06 2018-04-12 俊一 武藤 ファインバブル発生装置
KR101923352B1 (ko) * 2018-08-14 2019-02-27 지병욱 싱크대용 정수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4434A (ja) 1993-05-26 1994-12-02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平面アンテナ装置
JP3057596U (ja) * 1998-09-08 1999-06-02 岩輝 舘岡 シャワー用排水器具
WO2004067859A1 (en) * 2003-01-29 2004-08-12 Youngsung Industrial Co., Ltd. Multi-functional head apparatus used for aqueduct having purifying function
KR101635844B1 (ko) * 2014-08-20 2016-07-04 이희숙 주방용 샤워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7596B2 (ja) * 1995-01-30 2000-06-26 コクヨ株式会社 機器載置台
JP2008023304A (ja) * 2006-07-25 2008-02-07 Fuji Keiki Hanbai:Kk 簡易シャワー装置
JP2018058038A (ja) * 2016-10-06 2018-04-12 俊一 武藤 ファインバブル発生装置
KR101923352B1 (ko) * 2018-08-14 2019-02-27 지병욱 싱크대용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54023A1 (ko) 2021-08-05
JP2023511751A (ja) 2023-03-22
CN218437336U (zh) 2023-02-03
KR20210096916A (ko) 2021-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51621B2 (ja) 微細気泡を利用したシャワー及び洗浄装置
DE60306958T2 (de) Verbindung einer Flüssigkeitsleitung mit einer drehbaren Düse
JP4577186B2 (ja) 食器洗浄機
KR101441017B1 (ko) 친환경 마이크로 버블 세척기
US6289530B1 (en) Jetted laundry/utility/kitchen sink
KR102346053B1 (ko) 기체 용해수 생성 조립체 및 이를 갖는 샤워기
US20200001252A1 (en) Micro bubble device, system and methods related thereto
KR200456056Y1 (ko) 비데의 노즐 세척유닛
KR100585485B1 (ko) 비데 변좌 및 변기 제균장치
KR101929679B1 (ko) 애견 욕조 장치
KR20200056142A (ko) 애견 욕조 장치
JP2005087921A (ja) 排水管洗浄装置
KR101885055B1 (ko) 물때제거장치가 구비된 월풀욕조
US10537210B1 (en) Whirlpool bath with descaling function
JP2006239353A (ja) 炭酸泉生成方法および装置
CN101303093A (zh) 结合臭氧的水龙头
CN109394024B (zh) 一种清洗机
CN217447488U (zh) 一种新型节水自动清洗装置
KR100680806B1 (ko) 좌욕기
CN217390538U (zh) 一种新型自动清洗装置
CN108474200B (zh) 对用水设备的除菌水供给方法及水洗便器
KR20130108955A (ko) 다용도 세척기
KR102146444B1 (ko) 배관세척기능을 구비한 월풀욕조
KR102413099B1 (ko) 남성 소변 튐 방지 변기커버
KR20040101873A (ko) 오존공기부상을 이용한 초음파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