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647A - 물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물공급방법 - Google Patents
물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물공급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00647A KR20220000647A KR1020200078527A KR20200078527A KR20220000647A KR 20220000647 A KR20220000647 A KR 20220000647A KR 1020200078527 A KR1020200078527 A KR 1020200078527A KR 20200078527 A KR20200078527 A KR 20200078527A KR 20220000647 A KR20220000647 A KR 2022000064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unit
- faucet
- filter
- module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6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1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2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4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4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3809 water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2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0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QWPPOHNGKGFGJK-UHFFFAOYSA-N hypochlorous acid Chemical compound ClO QWPPOHNGKGFGJ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ZAMOUSCENKQFHK-UHFFFAOYSA-N Chlorine atom Chemical compound [Cl] ZAMOUSCENKQFH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801 chl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0 chl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1385 heavy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223 reverse osm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108 ultra-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471 micro-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51 dish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68 electroly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41 food compon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17 food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57 ice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JEIPFZHSYJVQDO-UHFFFAOYSA-N iron(III) oxide Inorganic materials O=[Fe]O[Fe]=O JEIPFZHSYJVQD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4 osmo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23 sterile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1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upplied from water mai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2001/0093—Val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67D2001/075—Sanitising or sterilising the apparatu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13—Sterilising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물공급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케이스(21)의 내부에 설치되고, 원수를 정화시키는 정수부(22,26)와 상기 정수부(22,26)를 통과하여 정화된 물을 전기분해시켜 살균수로 만드는 살균부(24)를 포함하는 수처리모듈(20)과,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정수부(22,26)와 상기 살균부(24)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정수부(22,26)를 통해 정화된 물이 상기 살균부(24)로 선택적으로 공급되게 하는 배관모듈(30)을 포함한다. 그리고 파우셋(70)은 원수를 직접 공급받거나, 상기 배관모듈(30)의 제어를 통해 상기 정수부(22,26) 및 상기 살균부(24)를 모두 통과하여 생성된 살균수 또는 상기 정수부(22,26)만을 통과하여 생성된 정화수를 공급받아 선택적으로 취출한다. 급수기(90)는 상기 파우셋(70)과 이격되어 독립적으로 설치되는데, 상기 급수기(90)는 상기 배관모듈(30)의 제어를 통해 원수를 곧바로 공급받거나, 상기 정수부(22,26) 또는 상기 살균부(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과하여 생성된 정화수 또는 살균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물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물공급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에서 공급된 원수를 정화하여 싱크대나 정수기 등에 공급할 수 있는 물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공급장치는 사용자에게 물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 사용자가 물공급장치를 조작하면 물공급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저장수나 외부에서 공급되는 원수가 물공급장치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물공급장치의 예로는 정수기를 들 수 있으며, 정수기는 독립적으로 사용되거나 냉장고에 내장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최근에는 물공급장치의 정화수단이 싱크대의 아래쪽에 설치되는 언더싱크 정수기도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언더싱크 정수기는 부피가 큰 정화수단과 물이 취출되는 파우셋(faucet)을 서로 분리하여 공간활용률을 높인 것이다. 사용자가 레버나 버튼을 조작하면, 정화수단을 통해 정수된 물이 파우셋을 통해 공급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9-0091102에는 정화를 위한 언더싱크부가 싱크대 아래쪽에 설치되고, 파우셋이 싱크대 위쪽으로 돌출되어 물을 취출하는 구조가 공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19522에는 정화통이 싱크내 내부에 설치된 구조가 공개되어 있다.
이러한 물공급장치를 이용하면, 사용자는 정화된 물을 직접 마시거나, 싱크대에서 음식조리를 위해 사용할 수도 있고, 정화된 물을 이용해서 싱크대에서 식재료를 세척할 수도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직접 마시는 물과 식재료를 세척 또는 조리하기 위한 물의 용도는 서로 다름에도 불구하고, 물공급장치는 한 종류의 정화수만 공급하는 한계가 있다.
특히, 식재료를 세척하거나 조리할 때는 정화수의 유량이 많아야 하는데, 원수가 정화수단을 거치게 되면 공급되는 유량이 줄어들어 사용에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물공급장치는 부엌에서 많이 사용되는데, 예를 들어 독립된 데스크탑형 정수기, 싱크대용 정수기, 냉장고에 내장된 정수기, 식기 세척기 등에 물공급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런데, 이렇게 서로 인접하여 설치됨에도 불구하고, 각각의 제품들 내부에 물공급장치가 개별적으로 내장되면, 각 제품의 부피가 커지고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용도에 따라 서로 다른 방식으로 정화된 물을 파우셋이나 정수기 등으로 공급하는 물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재료의 세척을 위한 세척수나 음식조리를 위한 조리수는 직접 음용하기 위한 음용수 보다 취출 유량이 많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나의 물공급장치로 여러대의 물사용 제품에 각각 용도에 맞는 종류의 정화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물공급장치에는 원수를 정화수로 만들거나, 정화수를 다시 전기분해시켜 살균수로 만들 수 있는 수처리모듈이 있다. 이러한 정화수나 살균수는 파우셋을 통해 배출될 수 있고, 또한 파우셋과 독립된 급수기로 공급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물공급장치는 정화수나 살균수 등 다양한 종류의 물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데, 이때 제공되는 물은 배관모듈의 제어를 통해서 파우셋 또는 급수기(정수기) 등으로 분배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하는 용도의 물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수처리모듈은 정수부와 살균부를 포함하는데, 원수가 상기 정수부의 제1필터를 통과하여 1단계정화수인 조리수가 되거나, 상기 제1필터를 거친 조리수가 다시 살균부를 거쳐 살균수가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척수와 조리수는 하나의 필터만 거친 후에 공급된다. 따라서 모든 필터를 거친 음용수에 비해 공급되는 유량이 많아지게 되고, 음식조리나 식재료 세척이 보다 편리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물공급장치에는 파우셋 뿐 아니라, 급수기가 연결되어 물공급장치에서 처리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여기서 급수기는 정수기, 식기세척기, 냉장고, 식물재배기, 홈브루장치 등을 포함하는 제품일 수 있고, 물공급장치는 이러한 제품들에 용도에 맞는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물공급장치는 원수의 정화 및 분배 기능을 하는 허브(hub)장치가 될 수 있고, 따라서 하나의 물공급장치로 여러대의 물사용 제품에 각각 용도에 맞는 종류의 정화수를 제공해줄 수 있다.
본 발명에는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원수를 정화시키는 정수부와 상기 정수부를 통과하여 정화된 물을 전기분해시켜 살균수로 만드는 살균부를 포함하는 수처리모듈이 있다. 그리고, 배관모듈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정수부를 통해 정화된 물이 상기 살균부로 선택적으로 공급되게 하며, 파우셋은 원수를 곧바로 공급받거나, 상기 배관모듈의 제어를 통해 상기 정수부 및 상기 살균부를 모두 통과하여 생성된 살균수 또는 상기 정수부만을 통과하여 생성된 정화수를 공급받아 선택적으로 취출할 수 있다. 그리고 급수기는 상기 파우셋과 이격되어 독립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배관모듈의 제어를 통해 원수를 곧바로 공급받거나, 상기 정수부 또는 상기 살균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과하여 생성된 정화수 또는 살균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러한 정수부와 살균부는 배관모듈을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원수를 정화할 수 있고, 정화된 물은 파우셋이나 정수기 등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수부에는 원수를 정화시켜 1단계정화수를 생성하는 제1필터와, 제1필터를 통과한 1단계정화수를 다시 정화하여 2단계정화수를 생성하는 제2필터가 서로 연결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필터 또는 상기 제2필터에는 상기 살균부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필터를 통과한 물이나 제2필터까지 통과한 물이 살균부를 통과하여 살균되면, 세척수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관모듈에는 상기 원수를 공급받는 원수공급부와 상기 정수부 사이에 설치되는 게이트밸브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밸브는 원수를 상기 정수부에 전달하거나 또는 원수를 상기 파우셋으로 전달할 수 있다. 즉, 게이트밸브는 원수를 정수부에 전달하여 정화시킬 수도 있지만, 곧바로 파우셋으로 전달하여 사용하게 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사용자는 다양한 종류의 물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관모듈에는 상기 정수부를 구성하는 제1필터 및 제2필터의 사이에 설치되는 분배밸브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분배밸브는 상기 제1필터에 의해 생성된 1단계정화수를 상기 제2필터, 상기 살균부 또는 상기 파우셋 중 어느 하나로 전달해줄 수 있다. 이러한 분배밸브에 의해 세척수와 조리수는 정수부에 내장된 다수개의 필터 중에서 하나의 필터만 거친 후에 공급된다. 따라서 모든 필터를 거친 음용수에 비해 공급되는 유량이 많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부만을 통과하여 생성된 정화수와, 상기 정수부 및 상기 살균부를 통과하여 생성된 살균수는 서로 독립된 취출배관을 통해서 상기 파우셋에 전달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는 살균수의 공급경로를 독립시켜 안전성을 높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기에는 상기 정수부를 통과한 정화수가 전달되어 취출노즐을 통해 음용수를 공급하고, 상기 급수기의 내부에는 가열부 또는 냉각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즉, 급수기에는 별도의 필터를 두지 않아도 되므로, 급수기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파우셋에는 서로 독립된 노즐을 갖는 다수개의 취출구가 있고, 상기 다수개의 취출구를 통해서 상기 정수부를 구성하는 제1필터를 통과한 1단계정화수 및 상기 제1필터와 상기 살균부를 통과한 살균수가 각각 취출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종류로 정화된 물을 독립적인 경로를 통해서 공급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수개의 취출구는 상기 파우셋에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구비되고, 상기 다수개의 취출구는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취출구의 회전을 통해서 싱크볼 내부에 보다 쉽게 물을 취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취출구 중 어느 하나가 회전하면, 메인제어부는 이를 감지하여 회전된 취출구에 연결된 배관을 통해 1단계정화수 또는 살균수가 공급되도록 상기 배관모듈을 조절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일일이 처리수의 모드를 선택할 필요가 없이, 사용하고자 하는 취출구를 회전시키기만 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배관모듈은 메인제어부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메인제어부는 컨트롤러에 의해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에는 상기 메인제어부의 제어상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컨트롤러를 조작하여, 물의 공급 모드를 쉽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 및 배관모듈은 싱크대의 하부에 수납되고, 상기 파우셋은 상기 싱크대의 상부에 노출될 수 있다. 즉, 정수부, 살균부및 배관모듈은 싱크대의 하부 등에 보이지 않게 수납되고, 파우셋은 싱크볼 쪽에 노출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물공급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고, 사용자는 음식조리시나 세척시에 정수기를 이용하기 위해 이동할 필요 없이 파우셋을 통해서 정화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관모듈은 메인제어부에 의해 조절되는데,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배관모듈을 조절하여 상기 정수부와 상기 살균부를 통과하면서 생성된 살균수를 상기 파우셋 또는 상기 급수기의 내부배관으로 전달하여 살균시킬 수도 있다. 즉, 수처리모듈을 통해 생성된 살균수를 이용하여 내부배관을 살균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파우셋은 서로 독립적으로 설치된 제1파우셋과 제2파우셋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파우셋은 원수를 공급받아 출수하며, 상기 제2파우셋은 상기 정수부 또는 상기 살균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과하여 생성된 정화수 또는 살균수를 공급받아 출수할 수 있다. 이처럼 기능수는 별도로 독립된 제2파우셋을 통해서만 취출하도록 하여 물의 최총공급부를 이원화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내부에 정화공간이 있는 케이스와, 원수를 정화시켜 정화수를 생성하는 정수모듈 및 상기 정수모듈을 통과하여 정화된 정화수를 전기분해시켜 살균수로 만드는 살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배관모듈은 다수개의 밸브로 구성되는데,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정수모듈과 상기 살균모듈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정수모듈을 통해 정화된 정화수가 상기 살균모듈로 선택적으로 공급되게 한다. 컨트롤러는 상기 배관모듈을 제어하여 원수가 상기 정수모듈 또는 상기 살균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통과할 수 있게 하며, 파우셋은 원수를 직접 공급받거나, 상기 배관모듈의 제어를 통해 상기 정수모듈 및 상기 살균모듈를 통과하여 생성된 살균수 또는 상기 정수부만을 통과하여 생성된 정화수를 공급받아 선택적으로 취출하되, 서로 독립된 취출배관을 통해서 상기 살균수와 상기 정화수를 전달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물공급방법에는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메인제어부가 배관모듈을 구동시키는 모드선택단계가 있고, 상기 배관모듈이 수처리모듈 내부의 물공급경로를 설정하는 경로설정단계가 이어진다. 그리고 수처리단계에서는 설정된 물공급경로를 따라 원수가 유동하면서 선택적으로 수처리되고, 물취출단계에서는 수처리된 정화수나 미처리상태의 원수가 파우셋 또는 상기 파우셋과 이격되어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급수기를 통해 공급된다. 이때, 상기 수처리모듈의 내부에는 정수부 및 살균부가 포함되며, 상기 배관모듈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정수부와 상기 살균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정수부를 통해 정화된 물이 상기 살균부로 선택적으로 공급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로설정단계에서 상기 배관모듈은 (i) 원수를 곧바로 상기 파우셋 또는 상기 급수기로 공급하거나, (ii) 상기 정수부의 제1필터 및 상기 살균부를 통과하여 생성된 살균수를 상기 파우셋 또는 상기 급수기로 공급하거나, (iii) 상기 정수부의 제1필터만을 통과하여 생성된 1단계정화수를 상기 파우셋 또는 상기 급수기로 공급하거나, 또는 (iv) 상기 정수부의 제1필터 및 제2필터를 통과하여 생성된 음용수를 상기 파우셋 또는 상기 급수기로 공급할 수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물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물공급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물공급장치는 수처리모듈을 통해 원수를 정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수처리모듈에 포함된 정수부와 살균부를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원수를 정화할 수 있다. 즉, 물공급장치는 용도에 따라 서로 다른 방식으로 정화된 물을 파우셋이나 정수기 등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하는 용도의 물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물공급장치는 두 개 이상의 필터를 갖는 정수부와 살균부중 어느 하나 또는 다수개를 원수가 통과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그 결과 (i) 정화되지 않은 원수, (ii) 식재료 등의 세척을 위한 세척수, (iiii) 음식의 조리에 사용하는 조리수, (iv) 곧바로 음용하기 위한 음용수를 모두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하나의 물공급장치가 다양한 종류의 물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여러 종류의 정화장치를 둘 필요가 없고, 물공급장치의 활용폭이 넓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물공급장치를 통해서 공급받는 물 중에서, 세척수와 조리수는 정수부에 내장된 다수개의 필터 중에서 하나의 필터만 거친 후에 공급된다. 따라서 모든 필터를 거친 음용수에 비해 공급되는 유량이 많아지게 되고, 음식조리나 식재료 세척이 보다 편리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물공급장치에는 파우셋 뿐 아니라, 급수기가 연결되어 물공급장치에서 처리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여기서 급수기는 정수기, 식기세척기, 냉장고, 식물재배기, 홈브루장치 등과 같이 부엌안 또는 부엌에서 가까운 위치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제품일 수 있고, 물공급장치는 이러한 제품들에 용도에 맞는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물공급장치는 원수의 정화 및 분배 기능을 하는 하나의 허브(hub)장치가 될 수 있고, 따라서 각 제품의 내부에서 정화장치를 생략할 수 있어 제품의 소형화 및 부품수절감이 가능하며, 사용자는 중앙제어방식을 통해 하나의 물공급장치만 관리하면 되므로 관리편의성도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물공급장치를 구성하는 정수부, 살균부 및 배관모듈은 싱크대의 하부 등에 보이지 않게 수납되고, 파우셋은 싱크볼 쪽에 노출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물공급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고, 사용자는 음식조리시나 세척시에 정수기를 이용하기 위해 이동할 필요 없이 파우셋을 통해서 정화된 물을 공급받을 수 있어 편리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물공급장치를 구성하는 정수부, 살균부는 싱크대의 하부에 설치되므로 충분히 넓은 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필터의 교체가 용이하고, 모듈의 유지보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물공급장치에서 음용수를 생성한 후에 이를 싱크대 상부에 설치된 급수기인 정수기 쪽으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정수기 내부에는 별도의 필터를 둘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정수기를 소형화하여 공간활용률을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물공급장치를 구성하는 파우셋에는 서로 독립된 노즐을 갖는 다수개의 취출구가 있고, 다수개의 취출구 중 어느 하나에서는 제1필터만 통과한 1단계정화수(조리수)가 취출되고, 다른 하나에서는 제1필터와 살균부를 모두 통과한 살균수가 취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각 용도에 따른 처리수를 구분하여 공급받을 수 있고,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는 살균수의 공급경로를 독립시켜 안전성을 높일 수도 있다.
이때, 다수개의 취출구 중 어느 하나가 회전되면, 메인제어부는 이를 감지하여 회전된 취출구에 연결된 공급경로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일일이 처리수의 모드를 선택할 필요가 없이, 사용하고자 하는 취출구를 회전시키기만 하면 되고, 이를 통해 물공급장치의 사용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물공급장치의 일실시례가 적용된 싱크대의 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물공급장치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수처리모듈과 배관모듈이 적용된 싱크대의 내부구성을 자세히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통해서 미처리수인 원수를 파우셋으로 공급하는 과정을 보인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통해서 원수를 1단계정화수인 조리수로 만들어 파우셋으로 공급하는 과정을 보인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통해서 원수를 살균수로 만들어 파우셋으로 공급하는 과정을 보인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통해서 원수를 음용수로 만들어 급수기로 공급하는 과정을 보인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물공급장치의 제2실시례가 적용된 싱크대의 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물공급장치의 제3실시례가 적용된 싱크대의 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의한 물공급장치의 제3실시례에 포함된 파우셋의 사용모습을 각각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물공급장치의 제4실시례가 적용된 싱크대의 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물공급장치의 제5실시례가 적용된 싱크대의 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물공급장치의 일실시례가 다수개의 급수기에 연결된 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물공급장치를 이용해서 물을 공급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물공급장치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수처리모듈과 배관모듈이 적용된 싱크대의 내부구성을 자세히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통해서 미처리수인 원수를 파우셋으로 공급하는 과정을 보인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통해서 원수를 1단계정화수인 조리수로 만들어 파우셋으로 공급하는 과정을 보인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통해서 원수를 살균수로 만들어 파우셋으로 공급하는 과정을 보인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통해서 원수를 음용수로 만들어 급수기로 공급하는 과정을 보인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물공급장치의 제2실시례가 적용된 싱크대의 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물공급장치의 제3실시례가 적용된 싱크대의 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의한 물공급장치의 제3실시례에 포함된 파우셋의 사용모습을 각각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물공급장치의 제4실시례가 적용된 싱크대의 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물공급장치의 제5실시례가 적용된 싱크대의 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물공급장치의 일실시례가 다수개의 급수기에 연결된 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물공급장치를 이용해서 물을 공급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물처리장치는 외부수원에서 공급된 원수(原水)를 다양한 방식으로 수처리하여, 파우셋(faucet)이나 다른 급수기에 공급한다. 여기서 원수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로, 수돗물일 수 있다. 물처리장치에 의한 수처리는 정화(淨化)를 의미하는데,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화는 정수부(22,26)의 필터를 통해 수처리하는 것과 살균부(24)를 통해 전기분해하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서 급수기는 물을 공급받아 사용하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수기, 냉온수기, 홈브루장치, 식기세척기, 식물재배기, 얼음정수기 등이 내장된 냉장고 등과 같이, 물을 사용하는 제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가 적용된 싱크대(10)의 모습이 서로 다른 형태로 표현되어 있다. 이들을 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수처리모듈(20)은 싱크대(10)의 하부에 설치된다. 싱크대(10)의 하부를 보면, 도어(12)의 안쪽에 있는 빈 공간(14)에 원수가 공급되는 원수공급부(1,2)가 있다. 상기 원수공급부(1,2)는 가열되지 않은 상태의 원수가 공급되는 메인공급부(1)와, 가열된 원수가 공급되는 온수공급부(2)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수처리모듈(20)은 메인공급부(1)에만 연결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처리모듈(20)이 온수공급부(2)에도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싱크대(10)의 상부에는 싱크볼(15)이 있다. 상기 싱크볼(15)에 인접한 위치에는 파우셋(70)과, 급수기인 정수기(90)가 설치된다. 상기 파우셋(70)의 파우셋노즐(75)은 싱크볼(15)의 안쪽을 향해 개방되므로, 수처리모듈(20)로 처리된 처리수는 싱크볼(15) 안쪽으로 취출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파우셋(70)은 정수기(90)를 포함하거나, 상기 급수기는 냉장고 등 다른 제품을 의미할 수도 있다.
상기 수처리모듈(20)은 케이스(21)가 외관을 형성하는데, 상기 케이스(21)는 상기 싱크대(10)의 하부에 설치되어 평소에는 차폐된다. 이와 달리, 상기 수처리모듈(20)은 싱크대(10)의 하부가 아니라, 싱크대(10)와 구별되는 별도의 공간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21)의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정수부(22,26)와 살균부(24)가 내장되고, 수처리모듈(2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배관모듈(30)이 연결된다.
상기 수처리모듈(20)의 정수부(22,26)는 원수를 정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수개의 필터를 포함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정수부(22,26)는 제1필터(22) 및 제2필터(26)로 구성된다. 상기 제1필터(22)와 제2필터(26)는 각각 케이스(21)의 내부에 설치되는데, 제1필터(22)는 원수 내부의 염소 및 중금속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고, 제2필터(26)는 제1필터(22)에 의해 걸러진 1단계정화수를 다시 정화하여 원수에 내포된 세균과 미세입자를 걸러내어 냄새제거 및 물맛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수처리모듈(20)은 원수를 정화시켜 정화수를 생성할 수 있는데, 여기서 정화수란, 원수가 제1필터(22)만을 통과하여 생성되는 1단계정화수인 조리수와, 조리수가 다시 제2필터(26)를 통과하여 생성되는 2단계정화수인 음용수를 포함하는 것이다. 여기서 조리수는 음식물의 조리를 위해 사용되는 물이고, 음용수는 사용자가 직접 음용할 수 있는 물을 의미한다.
보다 자세히 보면, 상기 제1필터(22)는 세디먼트(sediment)필터, 프리카본(pre-carbon)필터 또는 멤브레인(membrane)필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세디먼트필터는 부유물질, 모래, 녹 등 비교적 큰 찌꺼기와 불순물을 제거하고, 프리카본필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프리카본필터는 휘발성 유기물질을 제거하고 염소흡착 및 트리할로메탄(THM)을 흡착하여 제거한다. 멤브레인필터는 미세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기공의 크기에 따라 정밀여과(microfiltration, MF), 한외여과(ultrafitlration, UF), 역삼투(revere osmosis, RO)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제2필터(26)는 제1필터(22)에 연결되어, 1단계정화수를 다시 한번 수처리하여 정화해준다. 상기 제2필터(26)로는 한외여과(ultrafitlration, UF) 복합필터가 사용되거나, 역삼투(revere osmosis, RO)멤브레인필터와 포스트카본(post-carbon)필터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삼투멤브레인필터는 제1필터(22)를 통과하며 정수된 물에 삼투압 이상의 압력을 가하여 물을 여과할 수 있고, 포스트카본필터는 유입되는 물의 냄새 등을 제거하고 물맛을 향상시킨다
본 실시례에서 원수가 상기 제1필터(22)를 통과하면 정화되어 1단계정화수가 되는데, 이러한 1단계정화수는 조리수로 사용될 수 있다. 조리수는 음식을 조리할 때 사용되는 물로, 끓여서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직접 음용하는 음용수 보다는 상대적으로 정화도가 낮더라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제1필터(22)를 통과한 1단계정화수(조리수)가 제2필터(26)를 거치면 2단계정화수인 음용수가 된다. 제2필터(26)를 거쳐 냄새가 제거되고 물맛이 향상된 음용수는 사용자가 직접 음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정수기(90) 등에 연결된다. 본 실시례에서 제2필터(26)를 거친 상기 음용수는 급수기인 정수기(90)에 공급된다.
한편, 상기 제1필터(22)에는 살균부(24)가 연결되는데, 상기 살균부(24)는 제1필터(22)에서 여과된 정수를 전기분해하여 살균력 있는 살균수를 생성한다. 여기서 살균수란 차아염소산(HClO) 등과 같은 살균력 있는 이온이나 염을 포함한 물을 말한다. 이러한 살균부(24)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극, 스페이서, 제1전극단자, 제2전극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살균부(24)는 상기 수처리모듈(20)의 케이스(21)에 설치되지만, 이와 달리 케이스(21)의 외부에 독립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살균부(24)는 일종의 전해살균기로, 살균부(24)로 유입된 물은 살균부(24) 내부에서 전기 분해되어 차아염소산 등의 살균 성분을 생성시키고, 이후 차아염소산 등의 살균 성분을 포함한 물인 살균수는 식재료 등을 세척하는 세척수로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살균수가 이동되는 배관경로는 살균수로 자연스럽게 살균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살균부(24)는 제1필터(22)에 연결되어 1단계정화수를 공급받지만, 이와 달리 제2필터(26)에 연결되어 제2필터(26)도 거친 2단계정화수인 음용수를 공급받아 살균수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필터(22) 및 제2필터(26)는 상기 살균부(24)와 구별되어 하나의 독립된 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 상기 제1필터(22)와 상기 제2필터(26)는 정수모듈이 되고, 상기 살균부(24)는 살균모듈이 된다. 상기 정수모듈과 상기 살균모듈은 하나의 케이스(21) 내부에 설치되거나, 서로 다른 케이스(21)에 각각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수처리모듈(20)은 배관모듈(30)에 의해 물의 흐름이 제어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배관모듈(30)은 다수개의 밸브와 공급관을 포함한다. 다수개의 밸브와 공급관은 사용자의 입력을 받은 메인제어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데, 메인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배관모듈(30)은 특정 경로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배관모듈(30)은 파우셋(70)에 원수를 곧바로 공급하거나, 1단계정화수(조리수) 또는 살균수를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배관모듈(30)은 싱크대(10)에 내장된 것이거나, 또는 상기 수처리모듈(20)의 일부로 볼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배관모듈(30)의 구성을 보면, 원수공급부(1,2) 중 메인공급부(1)는 제1공급관(P1)에 의해 게이트밸브(V1)에 연결된다. 상기 게이트밸브(V1)는 상기 메인공급부(1)에서 공급된 원수를 곧바로 파우셋(70)에 전달하거나, 상기 수처리모듈(20) 쪽으로 공급하도록 원수의 흐름을 제어한다. 이러한 배관모듈(30)은 모터 액츄에이터(미도시)로 작동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메인공급부(1)와 상기 게이트밸브(V1)의 사이에는 감압밸브가 설치되어, 급수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게이트밸브(V1)에는 제2공급관(P2)이 연결되는데, 제2공급관(P2)의 투입관(P2a)은 수처리모듈(20) 안쪽으로 연결되어 상기 게이트밸브(V1)와 상기 정수부(22,26)의 제1필터(22) 사이를 연결한다. 상기 투입관(P2a)에 의해 원수가 상기 제1필터(22)에 전달되면, 제1필터(22)에 의해 정화된다.
상기 제1필터(22)는 상기 제2필터(26) 및 살균부(24)와 서로 연결되는데, 이들 사이에는 분배밸브(V2)가 위치한다. 상기 분배밸브(V2)를 중심으로, 상기 제1필터(22), 제2필터(26) 및 살균부(24)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필터(22)와 상기 분배밸브(V2) 사이는 밸브연결관(P2a)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다.
상기 분배밸브(V2)는 상기 제1필터(22)에서 배출된 1단계정화수(조리수)를 (i) 파우셋(70)으로 공급하거나, (ii) 제2필터(26)에 전달하여 2단계정화수(음용수)를 생성하게 하거나, (iii) 살균부(24)에 전달하여 살균수가 생성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분배밸브(V2)에는 상기 제2필터(26)에 연결되는 제2필터연결관(P2c), 상기 살균부(24)에 연결되는 살균부연결관(P2d) 및 상기 파우셋(70)에 연결되는 파우셋연결관(P2e)이 연결된다. 따라서 하나의 분배밸브(V2)로 1단계정화수를 총 3개의 경로로 분배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분배밸브(V2)는 다시 다수개로 구성되어 1단계정화수를 3개의 경로로 전달하는 역할이 각 밸브로 분산될 수도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2필터(26)는 상기 케이스(21)에 설치되지 않고, 급수기인 정수기(9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케이스(21)에는 제1필터(22)만 설치되고, 음용수를 생성하기 위한 제2필터(26)는 정수기(90)에 내장되는 것이다. 음용수는 상기 파우셋(70)으로 취출되지 않고, 정수기(90)를 통해서만 취출되게 할 수도 있는데, 따라서 제2필터(26)는 정수기(90)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게이트밸브(V1)에는 원수공급관(P3)이 연결되는데, 상기 원수공급관(P3)은 상기 메인공급부(1)의 원수를 상기 게이트밸브(V1)가 아니라 곧바로 파우셋(70) 쪽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조리수, 음용수 또는 살균수가 아니라 원수를 직접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원수가 수처리모듈(20)를 거치지 않고 원수공급관(P3)을 통해서 곧바로 파우셋(70)을 통해 취출되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도 2에서 도면부호 P3'은 온수공급부(2)에서 파우셋(70)으로 온수가 곧바로 공급되는 배관을 나타낸다.
상기 수처리모듈(20)을 통과한 물은 1단계정화수(조리수) 또는 살균수(세척수)가 되는데, 이들은 각각 처리수공급관(P4)을 통해서 파우셋(70)으로 전달된다. 이때, 처리수공급관(P4)은 제1처리수공급관(P4a) 및 제2처리수공급관(P4b)으로 구성되고, 제1처리수공급관(P4a) 및 제2처리수공급관(P4b)은 서로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상기 제1처리수공급관(P4a)에는 1단계정화수가 공급되고, 제2처리수공급관(P4b)에는 살균수(세척수)가 공급된다.
이와 같이, 1단계정화수(조리수) 또는 살균수(세척수)가 서로 독립된 경로를 통해서 파우셋(70)에 공급되므로, 사용자는 각 용도에 따른 처리수를 구분하여 공급받을 수 있고, 특히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는 살균수의 공급경로를 독립시킴으로써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물론, 구조의 간소화를 위해서 처리수공급관(P4)을 하나의 경로로 일원화하고, 2단계정화수인 살균수를 사용한 후에는 처리수공급관(P4)을 자동세척하는 기능을 수처리모듈(20)에 둘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2필터(26)를 거친 2단계정화수는 정화수공급관(P5)을 통해서 정수기(90)에 공급된다. 상기 정화수공급관(P5)은 2단계정화수인 음용수를 정수기(90)에 공급하여 사용자가 정수기(90)를 통해서 음용수를 공급받을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정화수공급관(P5)은 파우셋(70)으로 연결되는 처리수공급관(P4)과 분리되어 독립적인 경로를 만든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수처리모듈(20)은 2개의 필터(22,26)를 갖는데, 1단계정화수(조리수)와 살균수(세척수)는 2개의 필터(22,26) 중에서 하나의 필터(제1필터(22))만 거친 후에 공급된다. 이렇게 되면 모든 필터(22,26)를 거친 음용수에 비해 정화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아지고, 공급되는 유량이 많아질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시간동안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유량이 많아지게 되므로, 음식조리나 식재료 세척이 보다 편리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례의 물공급장치를 이용해서 원수를 처리하고 처리된 물을 공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6에는 각각 서로 다른 종류의 물이 물공급장치를 통해서 파우셋(70) 또는 급수기 중 정수기(90)로 공급되는 경로가 표현되어 있다.
도 3을 보면, 메인공급부(1)에서 공급된 원수는 제1공급관(P1)을 통해 공급된 후에 게이트밸브(V1) 방향(화살표 ①)으로 전달된다. 상기 게이트밸브(V1)는 원수를 수처리모듈(20)이 아니라 파우셋(70) 방향으로 전달한다. 즉, 게이트밸브(V1)에 의해 제2공급관(P2) 방향으로의 이동은 가로막히고, 원수가 원수공급관(P3) 쪽(화살표 ②)으로 유도된다.
이렇게 되면, 수처리모듈(20)에 의해 처리되지 않은 원수는 그대로 파우셋(70)을 통해 공급될 수 있다. 사용자가 조리수, 음용수 또는 살균수가 아니라 원수를 곧바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예를 들어 식기를 세척하는 등의 목적으로 물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원수가 굳이 수처리모듈(20)를 거치지 않고 원수공급관(P3)을 통해서 곧바로 파우셋(70)을 통해 취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에 수처리모듈(20)은 동작되지 않을 수 있다.
도 4를 보면, 원수를 처리하여 1단계정화수인 조리수를 사용하기 위한 수처리 경로와 물공급경로가 표현되어 있다. 메인공급부(1)에서 공급된 원수는 제1공급관(P1)을 통해 공급된 후에 게이트밸브(V1) 방향(화살표 ①)으로 전달된다. 상기 게이트밸브(V1)는 원수를 수처리모듈(20)로 전달하는데, 보다 정확하게는, 제2공급관(P2)을 통해서 수처리모듈(20)로 원수가 공급된다.
그리고, 원수는 제2공급관(P2)의 투입관(P2a)을 통해서 수처리모듈(20) 안쪽(화살표 ②)으로 전달된다. 상기 투입관(P2a)에 의해 원수가 상기 제1필터(22)에 전달되면, 원수는 상기 제1필터(22)에 의해 정화된다. 제1필터(22)에 의해 정화된 1단계정화수는 파우셋연결관(P2e)을 통해서 파우셋(70) 방향(화살표 ③)으로 안내된다.
이때, 상기 제1필터(22)에 의해 정화된 1단계정화수는 제2필터(26) 또는 살균부(24)로 이동하지 않고, 파우셋(70) 쪽으로 전달되는 것인데, 이것은 상기 분배밸브(V2)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분배밸브(V2)는 상기 제1필터(22)와 제2필터(26) 사이에 위치함과 동시에, 상기 제1필터(22)와 상기 살균부(24) 사이에 위치하고 있어서 1단계정화수의 이동경로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달리, 상기 제1필터(22)와 제2필터(26)는 서로 직접 연결되고 상기 분배밸브(V2)는 정수부(22,26)와 살균부(24)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분배밸브(V2)는 상기 제1필터(22)와 제2필터(26)를 모두 통과한 2단계정화수를 파우셋(70) 또는 급수기로 전달하거나, 2단계정화수를 살균부(24)로 전달해서 살균수가 생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1단계정화수는 파우셋연결관(P2e)을 통해서 상기 파우셋(70)에 전달되고, 파우셋(70)을 통해서 취출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파우셋(70)을 통해 취출된 1단계정화수로 음식을 조리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1단계정화수는 상기 제2필터(26)는 거치지 않았으나, 제1필터(22)를 통해서 원수 내부의 염소 및 중금속가 제거된 상태이므로, 원수를 곧바로 조리수로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안전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이어서 도 5를 보면, 상기 도 5에는 원수를 처리하여 살균수를 제공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살균수는 세척수로 활용할 수 있는데, 살균수는 차아염소산(HClO) 등과 같은 살균력 있는 이온이나 염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살균수의 생성을 위해서, 먼저 메인공급부(1)에서 공급된 원수는 제1공급관(P1)을 통해 공급된 후에 게이트밸브(V1) 방향(화살표 ①)으로 전달된다. 상기 게이트밸브(V1)는 원수를 수처리모듈(20)로 전달하는데, 보다 정확하게는, 제2공급관(P2)을 통해서 수처리모듈(20)로 원수가 공급된다.
그리고, 원수는 제2공급관(P2)의 투입관(P2a)을 통해서 수처리모듈(20) 안쪽(화살표 ②)으로 전달된다. 상기 투입관(P2a)에 의해 원수가 상기 제1필터(22)에 전달되면, 원수는 상기 제1필터(22)에 의해 정화된다. 제1필터(22)에 의해 정화된 1단계정화수는 살균부연결관(P2d)을 통해서 상기 살균부(24) 방향(화살표 ③)으로 유도된다. 이와 같이 1단계정화수가 살균부(24) 방향으로 유도되는 것은 분배밸브(V2)의 동작에 의한 것으로, 제2필터(26) 및 파우셋(70) 방향의 유동은 분배밸브(V2)에 의해 막힌 상태다.
상기 살균부(24)를 통과한 1단계정화수는 살균수가 되어 요리재료의 세척수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살균수는 처리수공급관(P4)을 통해서 파우셋(70)으로 전달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처리수공급관(P4) 중에서 제2처리수공급관(P4b)을 통해서 살균수가 파우셋(70)으로 공급된다. 사용자는 파우셋(70)을 통해서 취출된 살균수를 이용하여 요리재료 등을 세척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는 음용수를 제공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음용수는 사용자가 직접 마실 수 있는 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정수기(90)에서 정수된 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음용수는 적어도 2회 이상 필터에 의해 걸러져 이물질과 중금속 등이 제거되어야 한다.
이러한 음용수의 생성을 위해서, 먼저 메인공급부(1)에서 공급된 원수는 제1공급관(P1)을 통해 공급된 후에 게이트밸브(V1) 방향(화살표 ①)으로 전달된다. 상기 게이트밸브(V1)는 원수를 수처리모듈(20)로 전달하는데, 보다 정확하게는, 제2공급관(P2)을 통해서 수처리모듈(20)로 원수가 공급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분배밸브(V2)에는 상기 제2필터(26)에 연결되는 제2필터연결관(P2c), 상기 살균부(24)에 연결되는 살균부연결관(P2d) 및 상기 파우셋(70)에 연결되는 파우셋연결관(P2e)이 연결된다. 따라서 하나의 분배밸브(V2)로 1단계정화수를 총 3개의 경로로 분배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분배밸브(V2)는 다시 다수개로 구성되어 1단계정화수를 3개의 경로로 전달하는 역할을 분산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원수는 제2공급관(P2)의 투입관(P2a)을 통해서 수처리모듈(20) 안쪽(화살표 ②)으로 전달된다. 상기 투입관(P2a)에 의해 원수가 상기 제1필터(22)에 전달되면, 원수는 상기 제1필터(22)에 의해 정화된다. 제1필터(22)에 의해 정화된 1단계정화수는 제2필터연결관(P2c)을 통해서 제2필터(26) 방향(화살표 ③)으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1단계정화수가 제2필터(26) 방향으로 유도되는 것은 분배밸브(V2)의 동작에 의한 것으로, 살균부(24) 및 파우셋(70) 방향의 유동은 분배밸브(V2)에 의해 막힌 상태다.
1단계정화수가 제2필터(26)를 통과하면 2단계정화수가 되는데, 2단계정화수는 제2필터(26)를 구성하는 포스트카본필터 등을 거치면서 물의 냄새 등이 제거되고 물맛이 향상된 상태가 된다.
상기 제2필터(26)를 통과한 2단계정화수는 음용수가 되어 사용자가 곧바로 음용할 수 있는 물이 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음용수는 정화수공급관(P5)을 통해서 정수기(90)에 공급된다. 상기 정화수공급관(P5)은 2단계정화수인 음용수를 정수기(90)에 공급하여 사용자가 정수기(90)를 통해서 음용수를 공급받을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정화수공급관(P5)은 파우셋(70)으로 연결되는 처리수공급관(P4)과 분리되어 독립적인 경로이다.
이와 같이, 하나의 물공급장치는 미처리된 원수, 제1필터(22)를 거친 조리수, 2차필터까지 거친 음용수 및 제1필터(22)와 살균부(24)를 거친 살균수를 모두 제공할 수 있고, 파우셋(70) 또는 이와 이격되어 설치되는 급수기(정수기(90)) 등을 통해서 취출되어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물공급장치에는 컨트롤러(50)가 있다. 상기 컨트롤러(50)는 배관모듈(30)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는 컨트롤러(50)를 통해서 배관모듈(30)을 조작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배관모듈(30)은 메인제어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메인제어부는 컨트롤러(50)에 의해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메인제어부는 컨트롤러(50)에 내장되거나 또는 컨트롤러(50)와 별개물로 물공급장치에 설치된 것일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컨트롤러(50)를 통해서 선택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데,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선택신호를 입력하면 메인제어부가 배관모듈(30)을 구동시키는 모드선택단계가 이루어진다.(S10) 그리고 상기 배관모듈(30)은 입력된 선택신호에 따라 수처리모듈(20) 내부의 물공급경로를 설정하는 경로설정단계가 이루어지고(S20), 원수는 설정된 원수공급경로를 따라 유동하면서 선택적으로 수처리된다.(S30)
상기 컨트롤러(50)에는 상기 메인제어부의 제어상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51)가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51)는 현재 물공급장치의 상태를 표시해줄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물공급장치가 도 3 내지 도 6 중 어느 하나의 상태인 것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물공급장치의 이상유무와 세척필요상태 등도 상기 디스플레이부(51)를 통해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50)는 상기 메인제어부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싱크대(10)의 상부에 고정되게 설치되거나, 메인제어부와 블루투스, WIFI, 지그비 등의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싱크대(10)에서 분리될 수 있는 구조도 가능하다.
상기 싱크대(10)에는 파우셋(70)이 설치된다. 상기 파우셋(70)은 물의 취출을 위한 것으로, 레버(72)와 파우셋노즐(75)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컨트롤러(50)를 조작해서 물공급장치를 원하는 모드, 예를 들어 세척수공급모드로 설정한 후에, 상기 파우셋(70)의 레버(72)를 조작하여 파우셋노즐(75)로부터 세척수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싱크대(10)에는 급수기(90)가 설치되는데, 상기 급수기는 정수기(90)일 수 있다. 상기 정수기(90)는 내부에 별도의 필터를 구비하지 않고, 앞서 설명한 수처리모듈(20)의 제1필터(22) 및 제2필터(26)를 거친 2단계정화수를 공급받아 단순히 취출하거나, 또는 내장된 가열부 및 냉각부를 통해서 2단계정화수를 순간적으로 가열하거나 냉각하여 온수/냉수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정수기(90)의 내부에 필터가 생략되므로, 정수기(90)가 소형화되고, 싱크대(10) 상부의 공간활용률이 개선된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필터(22)는 상기 수처리모듈(20)에 있고, 제2필터(26)는 정수기(90)에 내장될 수 있다. 이렇게 되더라도 정수기(90)에서 제1필터(22)는 생략되므로 정수기(90)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물공급장치의 제2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앞선 실시례와 동일한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례의 물공급장치에서 급수기인 정수기(90)에는 원수가 곧바로 공급된다. 즉, 원수가 수처리모듈(20)을 거치면서 정화되지 않고, 원수가 미처리수로 정수기(90)에 공급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수처리모듈(20)의 게이트밸브(V1)가 잠기면, 원수는 수처리모듈(20) 또는 원수공급관(P3) 쪽으로 유동하지 못하고, 원수전달관(P5')을 통해서 급수기인 정수기(90) 쪽으로 공급된다. 이 경우에, 상기 정수기(90)에는 별도의 필터가 내장되어 정수기(90)가 독립적으로 물을 정화시킬 수 있다.
한편, 파우셋(70)에 제공되는 물은 수처리모듈(20)을 거쳐 수처리된 것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파우셋(70)에는 상기 수처리모듈(20)의 제1필터(22)를 거쳐 1단계정화수가 되는 조리수가 공급되거나, 제1필터(22) 및 살균부(24)를 각각 거쳐 생성된 살균수인 세척수가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수처리모듈(20)은 파우셋(70)에는 정화된 물을 공급하되, 급수기에는 원수가 직접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8에는 본 발명에 의한 물공급장치의 제3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앞선 실시례와 동일한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례의 물공급장치에는 2개의 파우셋(70)이 포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면, 파우셋은 제1파우셋(70)과 제2파우셋(80)으로 구성되는데, 제1파우셋(70)은 원수가 곧바로 공급되어 출수되는 것이고, 제2파우셋(80)은 상기 제1파우셋(70)과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제2파우셋(80)을 통해서는 원수를 수처리한 조리수나 살균수가 출수될 수 있다. 도 8에서 수처리모듈(20)로부터 상기 제2파우셋(80)으로 물이 공급되는 공급관은 앞서 제1파우셋(70)으로 공급되는 처리수공급관(P4)과 구별하여 제2처리수공급관(P4')으로 표시되어 있고, 이는 아래의 도 11 및 도 12에도 마찬가지이다.
이때, 상기 제1파우셋(70)은 일반적인 수전으로 구성되지만, 제2파우셋(80)에는 다수개의 취출구가 있다. 도 9를 보면, 제2파우셋(80)의 메인관(82)에 서로 독립된 노즐을 갖는 두 개의 취출구가 있는데, 상대적으로 상부에는 제1취출구(85)가 있고, 하부에는 제2취출구(87)가 있다. 이 중에서, 상부에 있는 제1취출구(85)를 통해서는 상기 정수부(22,26)를 구성하는 제1필터(22)를 통과한 1단계정화수(조리수)가 취출된다. 도 9(a)를 보면, 제1취출구(85)를 통해 공급되는 1단계정화수를 냄비(B)에 받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취출구(87)에서는 상기 정수부(22,26)의 제1필터(22)와 상기 살균부(24)를 연속하여 통과한 살균수가 취출된다. 도 9(b)를 보면, 제2취출구(87)에서 취출된 살균수로 음식재료(A)가 세척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취출구(85)와 제2취출구(87)는 서로 독립적으로 구성되고, 제1취출구(85)는 처리수공급관(P4) 중 제1처리수공급관(P4a, 도 5참조)을 통해서 조리수를 공급받고, 제2취출구(87)는 처리수공급관(P4) 중 제2처리수공급관(P4b, 도 5참조)을 통해서 살균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1단계정화수(조리수) 또는 살균수(세척수)가 서로 독립된 경로를 통해서 제2파우셋(80)에 공급되므로, 사용자는 각 용도에 따른 처리수를 구분하여 공급받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는 살균수의 공급경로를 독립시킴으로써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이때, 도 9에서 보듯이, 상기 제1취출구(85)와 제2취출구(87)는 서로 상대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취출구(85)는 고정되고, 제2취출구(87)만 회전되거나, 제2취출구(87)는 고정되고 제1취출구(85)만 회전될 수 있고, 제1취출구(85)와 제2취출구(87)가 모두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1취출구(85)의 출수노즐과, 제2취출구(87)의 출수노즐이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취출구(85) 또는 제2취출구(87) 중 어느 하나가 회전하면, 메인제어부는 이를 감지하여 회전된 취출구에 연결된 공급관을 통해 1단계정화수인 조리수 또는 살균수가 공급되도록 상기 배관모듈(30)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b)와 같이 제2취출구(87)가 회전하여 싱크볼(15)을 향할 경우에, 앞서 설명한 살균수모드(도 5참조)가 되고, 사용자가 컨트롤러(50)나 취출구의 레버(미도시) 또는 온/오프 스위치를 조작하면 제2취출구(87)를 통해서 살균수가 취출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동은 제2파우셋(80)에 내장된 홀센서 등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파우셋(80)에는 두 개의 취출구가 있지만, 상기 취출구는 3개 이상이 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2파우셋(80)의 취출구들을 통해서, 1단계정화수(조리수), 살균수(세척수) 및 제1필터(22) 및 제2필터(26)를 모두 통과한 음용수가 각각 취출될 수 있다.
도 10에는 본 발명에 의한 물공급장치의 제4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앞선 실시례와 동일한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례의 물공급장치에는 별도의 독립된 급수기가 생략되고, 파우셋(70)에 급수기가 내장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파우셋(70)에 급수기인 정수기(90)가 내장되는 것인데, 파우셋(70)을 통해서 (i)미처리수인 원수, (ii) 제1필터(22)만 통과한 1단계정화수(조리수), (iii) 제1필터(22)와 살균부(24)를 통과한 살균수(세척수), (iv) 제1필터(22)와 제2필터(26)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음용수가 파우셋(70)을 통해서 모두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1에는 본 발명에 의한 물공급장치의 제5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앞선 실시례와 동일한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례의 물공급장치에는 파우셋(70) 중에서 앞서 설명한 제2파우셋(80)만 포함되고, 제1파우셋(70)은 생략된다.
상기 제2파우셋(80)은 두 개의 취출구를 갖고 있는데, 제1취출구(85)로는 (i) 미처리수인 원수, (ii) 제1필터(22)만 통과한 1단계정화수(조리수), (iii) 제1필터(22)와 제2필터(26)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음용수가 취출될 수 있고, 제2취출구(87)로는 제1필터(22)와 살균부(24)를 통과한 살균수(세척수)가 취출될 수 있다. 제1취출구(85)를 통해서 원수가 직접 취출되므로, 별도의 제1파우셋(70)을 생략한 것이다. 또한, 본 실시례는 별도의 급수기인 정수기(90)가 생략되고, 정수기(90)의 기능을 제2파우셋(80)이 갖는 구조이다.
도 1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물공급장치의 제6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앞선 실시례와 동일한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례의 물공급장치에는 다수개의 급수기가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면, 본 실시례의 물공급장치에는 파우셋(70)을 구성하는 제1파우셋(70) 및 제2파우셋(80)이 포함되어, 싱크볼(15)에 다양한 종류의 처리수 또는 미처리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물공급장치에는 급수기가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는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물공급장치에는 급수기 중 식기세척기(110)가 연결된다. 상기 식기세척기(110)에는 제1필터(22)와 살균부(24)를 통과한 살균수가 공급되어 식기세척(110)에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식기세척기(110)에는 원수도 직접 공급되어 헹굼에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물공급장치에는 급수기 중에서 정수기가 내장된 냉장고(120)가 연결된다. 상기 냉장고(120)에는 얼음, 냉수 또는 온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할 수 있는 정수장치(125)가 있는데, 이때 정수장치(125)에는 원수가 직접 공급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례에서는 제1필터(22)와 제2필터(26)를 거쳐 생성된 음용수가 공급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냉장고(120)의 정수장치(125)에는 얼음생성을 위한 구조와 냉/온수를 만들기 위한 구조만 내장되면 되고, 따라서 냉장고(120)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물공급방법을 살펴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는 컨트롤러(50)를 통해서 선택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종류의 물을 공급받기 위해서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인데, 이러한 신호입력은 컨트롤러(5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사용자가 선택신호를 입력하면 메인제어부가 배관모듈(30)을 구동시키는 모드선택단계가 이루어진다.(S10) 예를 들어, 사용자는 조리수를 얻기 위해서 조리수공급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조리수공급모드의 선택상태는 컨트롤러(50)의 디스플레이부(51)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관모듈(30)은 입력된 선택신호에 따라 수처리모듈(20) 내부의 물공급경로를 설정하는 경로설정단계가 이루어진다.(S20) 즉, 상기 배관모듈(30)은 사용자가 선택한 조리수공급모드에 따라서, 조리수를 공급할 수 있는 경로를 설정하는 것인데, 정확한 물공급경로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경로설정단계를 통해서 원수를 처리하여 1단계정화수인 조리수를 사용하기 위한 수처리 및 물공급경로가 설정된다. 상기 메인공급부(1)에서 공급된 원수는 제1공급관(P1)을 통해 공급된 후에 게이트밸브(V1) 방향(화살표 ①)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원수는 제2공급관(P2)의 투입관(P2a)을 통해서 수처리모듈(20) 안쪽(화살표 ②)으로 전달되는데, 상기 투입관(P2a)에 의해 원수가 상기 제1필터(22)에 전달되면, 원수는 상기 제1필터(22)에 의해 정화되는 수처리단계가 이루어진다.(S30)
이처럼 제1필터(22)에 의해 정화된 1단계정화수는 파우셋연결관(P2e)을 통해서 파우셋(70) 방향(화살표 ③)으로 안내된다. 이때, 상기 제1필터(22)에 의해 정화된 1단계정화수는 제2필터(26) 또는 살균부(24)로 이동하지 않고, 파우셋(70) 쪽으로 전달되는 것인데, 이것은 상기 분배밸브(V2)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분배밸브(V2)는 상기 제1필터(22)와 제2필터(26) 사이에 위치함과 동시에, 상기 제1필터(22)와 상기 살균부(24) 사이에 위치하고 있어서 1단계정화수의 이동경로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1단계정화수는 파우셋연결관(P2e)을 통해서 상기 파우셋(70)에 전달되고, 파우셋(70)을 통해서 취출되는 물취출단계가 이어진다.(S40)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파우셋(70)을 통해 취출된 1단계정화수로 음식을 조리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앞서 경로설정단계에서는 조리수의 공급을 위한 물공급경로가 형성되었다.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경로설정단계에서 상기 배관모듈(30)은 (i) 원수를 곧바로 공급하거나, (ii) 상기 정수부(22,26)의 제1필터(22) 및 상기 살균부(24)를 통과하여 생성된 살균수를 공급하거나, (iii) 상기 정수부(22,26)의 제1필터(22)만을 통과하여 생성된 1단계정화수를 공급하거나, 또는 (iv) 상기 정수부(22,26)의 제1필터(22) 및 제2필터(26)를 통과하여 생성된 음용수를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급되는 대상은 상기 파우셋(70) 또는 상기 급수기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싱크대
15: 싱크볼
20: 수처리모듈 21: 케이스
22,26: 정수부 22: 제1필터
24: 살균부 26: 제2필터
30: 배관모듈 50: 컨트롤러
70: 파우셋,제1파우셋 80: 제2파우셋
90, 110, 120: 급수기
20: 수처리모듈 21: 케이스
22,26: 정수부 22: 제1필터
24: 살균부 26: 제2필터
30: 배관모듈 50: 컨트롤러
70: 파우셋,제1파우셋 80: 제2파우셋
90, 110, 120: 급수기
Claims (15)
-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원수를 정화시키는 정수부와 상기 정수부를 통과하여 정화된 물을 전기분해시켜 살균수로 만드는 살균부를 포함하는 수처리모듈;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정수부를 통해 정화된 물이 상기 살균부로 선택적으로 공급되게 하는 배관모듈;
원수를 곧바로 공급받거나, 상기 배관모듈의 제어를 통해 상기 정수부 및 상기 살균부를 모두 통과하여 생성된 살균수 또는 상기 정수부만을 통과하여 생성된 정화수를 공급받아 선택적으로 취출하는 파우셋;
상기 파우셋과 이격되어 독립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배관모듈의 제어를 통해 원수를 곧바로 공급받거나, 상기 정수부 또는 상기 살균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과하여 생성된 정화수 또는 살균수를 공급받는 급수기;를 포함하는 물공급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수부에는 원수를 정화시켜 1단계정화수를 생성하는 제1필터와, 제1필터를 통과한 1단계정화수를 다시 정화하여 2단계정화수를 생성하는 제2필터가 서로 연결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1필터 또는 상기 제2필터에는 상기 살균부가 연결되는 물공급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관모듈에는 상기 원수를 공급받는 원수공급부와 상기 정수부 사이에 설치되는 게이트밸브가 포함되고, 상기 게이트밸브는 원수를 상기 정수부에 전달하거나 또는 원수를 상기 파우셋으로 전달하는 물공급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관모듈에는 상기 정수부를 구성하는 제1필터 및 제2필터의 사이에 설치되는 분배밸브가 포함되고, 상기 분배밸브는 상기 제1필터에 의해 생성된 1단계정화수를 상기 제2필터, 상기 살균부 또는 상기 파우셋 중 어느 하나로 전달하는 물공급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수부만을 통과하여 생성된 정화수와, 상기 정수부 및 상기 살균부를 통과하여 생성된 살균수는 서로 독립된 취출배관을 통해서 상기 파우셋에 전달되는 물공급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급수기에는 상기 정수부를 통과한 정화수가 전달되어 취출노즐을 통해 음용수를 공급하고, 상기 급수기의 내부에는 가열부 또는 냉각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되는 물공급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우셋에는 서로 독립된 노즐을 갖는 다수개의 취출구가 있고, 상기 다수개의 취출구를 통해서 상기 정수부를 구성하는 제1필터를 통과한 1단계정화수 및 상기 제1필터와 상기 살균부를 통과한 살균수가 각각 취출되는 물공급장치.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취출구는 상기 파우셋에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구비되고, 상기 다수개의 취출구는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는 물공급장치.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취출구 중 어느 하나가 회전하면, 메인제어부는 이를 감지하여 회전된 취출구에 연결된 배관을 통해 1단계정화수 또는 살균수가 공급되도록 상기 배관모듈을 조절하는 물공급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관모듈은 메인제어부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메인제어부는 컨트롤러에 의해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으며, 상기 컨트롤러에는 상기 메인제어부의 제어상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있는 물공급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및 배관모듈은 싱크대의 하부에 수납되고, 상기 파우셋은 상기 싱크대의 상부에 노출되는 물공급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관모듈은 메인제어부에 의해 조절되고,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배관모듈을 조절하여 상기 정수부와 상기 살균부를 통과하면서 생성된 살균수를 상기 파우셋 또는 상기 급수기의 내부배관으로 전달하여 살균시키는 물공급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우셋은 서로 독립적으로 설치된 제1파우셋과 제2파우셋을 포함하고, 상기 제1파우셋은 원수를 공급받아 출수하며, 상기 제2파우셋은 상기 정수부 또는 상기 살균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과하여 생성된 정화수 또는 살균수를 공급받아 출수하는 물공급장치.
- 내부에 정화공간이 있는 케이스;
상기 정화공간에 설치되고, 원수를 정화시켜 정화수를 생성하는 정수모듈;
상기 정수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정수모듈을 통과하여 정화된 정화수를 전기분해시켜 살균수로 만드는 살균모듈;
밸브를 제어하여 원수가 상기 정수모듈 또는 상기 살균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통과하도록 하는 컨트롤러;
원수를 곧바로 공급받거나,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를 통해 상기 정수모듈 및 상기 살균모듈을 통과하여 생성된 살균수 또는 상기 정수모듈만을 통과하여 생성된 정화수를 공급받아 선택적으로 취출하되, 서로 독립된 취출배관을 통해서 상기 살균수와 상기 정화수를 전달받는 파우셋;을 포함하는 물공급장치.
-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메인제어부가 배관모듈을 구동시키는 모드선택단계;
상기 배관모듈은 수처리모듈 내부의 물공급경로를 설정하는 경로설정단계;
설정된 물공급경로를 따라 원수가 유동하면서 선택적으로 수처리되는 수처리단계;
수처리된 정화수나 미처리상태의 원수가 파우셋 또는 상기 파우셋과 이격되어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급수기를 통해 공급되는 물취출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처리모듈의 내부에는 정수부 및 살균부가 포함되며, 상기 배관모듈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정수부와 상기 살균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정수부를 통해 정화된 물이 상기 살균부로 선택적으로 공급되게 하고,
상기 경로설정단계에서 상기 배관모듈은 (i) 원수를 곧바로 상기 파우셋 또는 상기 급수기로 공급하거나, (ii) 상기 정수부의 제1필터 및 상기 살균부를 통과하여 생성된 살균수를 상기 파우셋 또는 상기 급수기로 공급하거나, (iii) 상기 정수부의 제1필터만을 통과하여 생성된 1단계정화수를 상기 파우셋 또는 상기 급수기로 공급하거나, 또는 (iv) 상기 정수부의 제1필터 및 제2필터를 통과하여 생성된 2단계정화수를 상기 파우셋 또는 상기 급수기로 공급하는 물공급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8527A KR20220000647A (ko) | 2020-06-26 | 2020-06-26 | 물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물공급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8527A KR20220000647A (ko) | 2020-06-26 | 2020-06-26 | 물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물공급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00647A true KR20220000647A (ko) | 2022-01-04 |
Family
ID=79342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78527A KR20220000647A (ko) | 2020-06-26 | 2020-06-26 | 물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물공급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00647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4219413A1 (en) * | 2022-01-26 | 2023-08-02 | LG Electronics Inc. | Water purifier |
WO2024096206A1 (ko) * | 2022-11-02 | 2024-05-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통합 정수 공급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19522B1 (ko) | 2016-10-31 | 2017-03-24 | 율진프라임 (주) | 싱크대용 정수기 |
KR20190091102A (ko) | 2018-01-26 | 2019-08-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워터 디스펜싱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2020
- 2020-06-26 KR KR1020200078527A patent/KR20220000647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19522B1 (ko) | 2016-10-31 | 2017-03-24 | 율진프라임 (주) | 싱크대용 정수기 |
KR20190091102A (ko) | 2018-01-26 | 2019-08-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워터 디스펜싱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4219413A1 (en) * | 2022-01-26 | 2023-08-02 | LG Electronics Inc. | Water purifier |
WO2023146047A1 (en) * | 2022-01-26 | 2023-08-03 | Lg Electronics Inc. | Water purifier |
WO2024096206A1 (ko) * | 2022-11-02 | 2024-05-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통합 정수 공급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708958B2 (en) | System and containers for water filtration and item sanitization | |
EP3388130B1 (en) | Water treatment device | |
US5976363A (en) | Compact water-conserving kitchen water station with sink for supplying copious purified water, particularly for restaurants | |
KR101143882B1 (ko) | 수소수 냉온수기 및 수소수 정수기 | |
EP3611134B1 (en) | Improved beverage dispenser and associated method for suppression of germ formation | |
KR20220000647A (ko) | 물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물공급방법 | |
CN103613217A (zh) | 一种可调节水质的净水机 | |
US10071402B2 (en) | Method for sterilizing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plurality of tanks | |
WO2004113232A2 (en) | System and containers for water filtration and item sanitization | |
CN101851035A (zh) | 一种自动清洗净水装置 | |
KR102605654B1 (ko) | 수처리장치 | |
CN201010530Y (zh) | 复合式净水系统 | |
KR101316011B1 (ko) | 살균 정수기 | |
CN209128238U (zh) | 微酸性次氯酸水生产设备 | |
KR102208345B1 (ko) | 물 여과를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 |
KR20130024534A (ko) | 플라즈마 살균세척기능을 지닌 정수기 | |
US10905986B2 (en) | Water treatment apparatus | |
TWI728776B (zh) | 智能殺菌淨水器 | |
CN210176649U (zh) | 卫生级直饮水净化系统 | |
KR20180111169A (ko) | 수전 및 조리수밸브에 동시에 사용가능한 직수형 정수기 | |
KR20130131964A (ko) | 수처리 장치의 물 살균 유로구조 | |
KR20170068926A (ko) | 탄산수를 이용한 살균 정수기 | |
CN205603377U (zh) | 一种饮用水制备设备 | |
CN217947879U (zh) | 一种节电型冷热直饮水机 | |
KR20020020426A (ko) | 다용도 복합정수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