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6011B1 - 살균 정수기 - Google Patents

살균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6011B1
KR101316011B1 KR1020110067771A KR20110067771A KR101316011B1 KR 101316011 B1 KR101316011 B1 KR 101316011B1 KR 1020110067771 A KR1020110067771 A KR 1020110067771A KR 20110067771 A KR20110067771 A KR 20110067771A KR 101316011 B1 KR101316011 B1 KR 101316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unit
sterilization
cooking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7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6005A (ko
Inventor
장평순
박정우
김준수
김진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교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교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교원
Priority to KR1020110067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6011B1/ko
Publication of KR20130006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6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6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9/20Portable or detachable small-scale multistage treatment devices, e.g. point of use or laboratory water purification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Abstract

살균 정수기에서, 상기 정수기는 입수부, 제1 및 제2 정수부들, 조리수 출수부 및 살균부를 포함한다. 상기 입수부로 외부로부터 공급된 원수가 입수된다. 상기 제1 및 제2 정수부들은 상기 입수부와 연결되어 원수를 정수한다. 상기 조리수 출수부는 상기 제2 정수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정수부로부터 조리수를 제공받는다. 상기 살균부는 상기 조리수 제공 배관과 별도의 배관을 통해 상기 조리수 출수부에 살균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살균 정수기{STERILIZED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살균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수를 제공하는 살균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가정용, 업소용 등으로 흔히 사용되는 정수기는 일반적으로 복수 개의 정수 필터들을 이용해 물을 여과하고 이를 저장탱크에 저장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한다.
최근에는 음용이 가능한 정수를 제공하는 것 외에 조리수를 제공하는 정수기도 개발되고 있다. 상기 정수기에서 제공되는 조리수는 소정의 필터를 통과한 정수이며, 일반적으로 주방에서 식기, 과일 등의 세척용이나 음식의 요리 등에 주로 사용된다. 한편, 일반적인 조리수는 정수된 물에 불과하므로, 조리수를 이용하여 식기, 과일 등을 세척하는 경우 별도의 세척제, 살균제를 사용하거나, 최근에 개발되고 있는 살균기 등을 추가로 사용해야 세척 또는 살균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그러나, 세척제, 살균제 또는 살균기의 추가적인 사용은 불편할 수 있으며, 특히 세척제 또는 살균제의 사용으로 식기, 과일 등에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남기는 문제가 있다.
종래기술에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95959호(2008.10.30.),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08213호(2010.01.25.)와 같은 것들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살균수와 함께 조리수를 제공하는 살균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입수부, 제1 및 제2 정수부들, 조리수 출수부 및 살균부를 포함한다. 상기 입수부로 외부로부터 공급된 원수가 입수된다. 상기 제1 및 제2 정수부들은 상기 입수부와 연결되어 원수를 정수한다. 상기 조리수 출수부는 상기 제2 정수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정수부로부터 조리수를 제공받는다. 상기 살균수는 상기 조리수 제공 배관과 별도의 배관을 통해 상기 조리수 출수부에 살균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리수 출수부는 사용자에게 상기 조리수 또는 상기 살균수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정수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정수부로부터 정수를 제공받는 정수 출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정수 출수부 및 상기 조리수 출수부는 서로 다른 배관을 통해 상기 제2 정수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살균부는 제1 밸브, 및 상기 제1 밸브와 연결되어 살균수를 생성하는 살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밸브가 개방되어 살균수가 생성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알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밸브는 상기 입수부와 연결되어 상기 입수부로부터 상기 살균 모듈로의 원수 제공 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밸브는 상기 제1 정수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정수부로부터 상기 살균 모듈로의 정수 제공 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수기는 조리수 출수부를 포함하여 조리수를 출수함과 동시에, 상기 조리수 출수부를 통해 살균수를 선택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조리수와 살균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별도의 살균제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살균수 사용으로 살균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살균 모듈은 원수가 입수되는 입수부와 조리수 출수부 사이에 배치되어, 원수를 직접 살균수로 변형 생성하여 조리수 출수부로 제공하므로, 정수기 내부의 관로를 복잡하게 변형하지 않을 수 있어, 설계 및 제품 제조가 용이하다.
또한, 이와 달리, 살균 모듈이 제1 필터부와 조리수 출수부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라도, 정수기 내부의 관로를 복잡하게 변형하지 않을 수 있어, 설계 및 제품 제조가 용이하다.
또한, 조리수 출수부를 통해 살균수가 출수되는 경우, 별도의 알람기능을 포함하므로, 사용자가 살균수의 제공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1)는 입수부(10), 제1 정수부(20), 제2 정수부(30), 제2 밸브(40), 조리수 출수부(50) 및 살균부(60)를 포함한다.
상기 정수기(10)는 상기 입수부(10)를 통해 원수를 공급받는다. 일반적으로 상기 입수부(10)는 별도의 원수 공급관을 통해 외부의 수도관과 연결되며, 상기 입수부(10)에는 원수의 입수를 조절하는 입수 조절 밸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입수부(10)를 통과한 원수는 후술할 상기 제1 정수부(20)로 전달되거나 상기 살균부(6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살균부(60)로 전달되는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상기 제1 정수부(20)는 상기 입수부(10)에 연결되어 상기 입수된 원수를 일차적으로 정수한다. 상기 제1 정수부(20)는 상기 입수된 원수를 일차적으로 정수할 수 있는 정수 필터를 포함하며, 예를 들면 상기 제1 정수부(20)는 세디먼트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정수부(20)는 일차적인 여과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제1 정수부(20)를 통과한 물은 일정량의 미네랄 등의 살균 매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정수부(30)는 상기 제1 정수부(20)를 통과한 물을 여러 단계로 정수할 수 있는 복수의 정수 필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정수부(30)는 프리 카본 필터(31), 역삼투압 필터(32)(Reverse Osmosis: RO), 및 포스트 카본 필터(33)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역삼투압 방식 필터(32)는 중공사막 방식(Ultra Filtration: UF) 필터로 대체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정수부(30)를 통과한 물은 완전히 정수된 정수로서 식용이 가능한 상태이다.
한편, 상기 제2 정수부(30)를 통과한 정수는 정수 출수부(40)를 통해 정수로 출수될 수 있으며, 상기 조리수 출수부(50)를 통해 조리수로도 출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정수 출수부(40)와 상기 조리수 출수부(50)는 서로 다른 배관 즉, 상기 조리수 출수부(50)는 제1 배관(50a)을 통해 연결된다면, 상기 정수 출수부(40)는 상기 제1 배관(50a)과 다른 제2 배관(40a)을 통해 상기 제2 정수부(30)와 각각 연결된다. 즉, 상기 제2 정수부(30)에서 정수된 정수는 두 개의 서로 다른 배관을 통해 상기 조리수 출수부(50) 및 상기 정수 출수부(40)로 제공된다. 다만, 상기 제2 정수부(30)와 상기 정수 출수부(40) 사이 즉, 상기 제2 배관 상에는 상기 제2 밸브(41)가 위치하여, 상기 정수 출수부(40)로 출수되는 정수의 압력을 조절하고 필요한 경우 정수 출수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정수 출수부(40)를 통해 정수가 출수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상기 제2 정수부(30)에서 정수된 정수는 별도의 냉수 저장부 또는 온수 저장부로 이동되어 냉수 또는 온수로 저장된 후, 사용자에게 냉수 또는 온수로 출수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냉수 저장부 또는 온수 저장부에 저장되지 않고 순간 냉각 또는 순간 가열되어 냉수 또는 온수로 출수될 수도 있다.
상기 조리수 출수부(50)는 상기 제1 배관(50a)을 통해 상기 제2 정수부(30)와 직접 연결되어, 상기 제2 정수부(30)에서 정수된 정수를 조리수로 출수한다. 이 경우, 상기 조리수 출수부(50)는 일정 압력으로 유지되어, 사용자가 조리수 밸브(미도시)를 개폐(開閉)함에 따라 언제든지 조리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살균부(60)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입수부(10)와 연결되며, 상기 살균부(60)를 통해 변환 생성된 살균수는 상기 제1 배관(50a)과 다른 별도의 제3 배관(60a)으로 연결되어 상기 조리수 출수부(50)를 통해 소정의 살균수를 선택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살균부(60)는 제1 밸브(61), 살균 모듈(62) 및 체크밸브(63)를 포함하며, 상기 체크밸브(63)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제1 밸브(61)는 상기 입수부(10)와 상기 살균 모듈(62) 사이에 위치하여, 외부의 신호에 의해 개폐(開閉)된다. 즉, 사용자가 살균수 출수 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제1 밸브(61)는 개방되어 상기 입수부(10)를 통해 유입된 원수는 상기 살균 모듈(62)로 제공된다. 이와 달리, 사용자가 살균수 출수 모드를 선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밸브(61)는 차단되어 상기 입수부(10)를 통해 유입된 원수는 상기 제1 정수부(20)로만 제공된다.
상기 살균 모듈(62)은 상기 제1 밸브(61) 및 상기 체크 밸브(63)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밸브(61)를 통해 유입된 원수를 가공하여 살균 기능을 가진 살균수로 변형 생성한다. 예를 들면, 상기 살균 모듈(62)은 저온 플라즈마 방식으로 물에 포함된 염소 등을 활성화시켜 살균수를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살균 모듈(62)에서 생성된 살균수는 상기 살균 모듈(62)이 상기 조리수 출수부(50) 사이에 위치한 상기 체크 밸브(63)를 통과한 후, 상기 제3 배관(60a)을 거쳐 상기 조리수 출수부(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이 경우, 상기 체크 밸브(63)는 상기 살균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밸브로서, 생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조리수 출수부(50)는 사용자가 살균수 출수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살균수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살균수 출수 모드를 선택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에게 조리수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살균수와 조리수를 사용하여 이용의 편의성을 도모한다. 이를 위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입수부(10)에서 상기 살균부(60)를 통과하여 상기 조리수 출수부(50)로 연결되는 제3 배관(60a)과, 상기 입수부(10)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정수부들(20, 30)을 통과하여 상기 조리수 출수부(50)로 연결되는 제1 배관(50a)은 서로 구별되는 별도의 배관으로 형성된다.
또한, 사용자가 살균수 출수 모드를 선택하여 상기 조리수 출수부(50)로부터 살균수가 제공되는 경우, 사용자의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알람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알람 기능은 벨소리 또는 램프의 점등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살균 모듈(62)을 통과한 살균수는 상기 체크 밸브(63) 및 상기 조리수 출수부(50)를 통과하므로, 상기 체크 밸브(63) 및 상기 조리수 출수부(50)에 기생하는 세균 등을 살균할 수도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살균부(60)는 상기 살균 모듈(62)과 상기 조리수 출수부(50) 사이에 살균수를 저장할 수 있는 살균수 저장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살균수를 임시로 저장하였다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조리수 출수부(50)를 통해 살균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2)는 도 1에서 설명한 정수기(1)와 살균부(60)의 제1 밸브(61)가 제1 정수부(20)와 연결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2)에서, 상기 살균부(60)의 제1 밸브(61)는 상기 제1 정수부(20)와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살균수 출수 모드를 선택하여 상기 제1 밸브(61)가 개방되면, 상기 제1 정수부(20)를 통과하여 일차적으로 정수된 정수가 상기 살균 모듈(62)로 전달되어 살균수로 변환 생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정수부(20)를 통과한 정수는 일정량의 미네랄 등의 살균 매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정수기는 조리수 출수부를 포함하여 조리수를 출수함과 동시에, 상기 조리수 출수부를 통해 살균수를 선택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조리수와 살균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별도의 살균제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살균수 사용으로 살균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살균 모듈은 원수가 입수되는 입수부와 조리수 출수부 사이에 별도의 제3 배관(60a)으로 연결, 배치되어, 원수를 직접 살균수로 변형 생성하여 조리수 출수부로 제공하므로, 정수기 내부의 관로를 복잡하게 변형하지 않을 수 있어, 설계 및 제품 제조가 용이하다.
또한, 이와 달리, 살균 모듈이 제1 정수부와 조리수 출수부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라도, 정수기 내부의 관로를 복잡하게 변형하지 않을 수 있어, 설계 및 제품 제조가 용이하다.
또한, 조리수 출수부를 통해 살균수가 출수되는 경우, 별도의 알람기능을 포함하므로, 사용자가 살균수의 제공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가정용 및 업소용으로 사용되는 냉온수 겸용 정수기에 사용될 수 있는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1, 2 : 정수기 10 : 입수부
20 : 제1 정수부 30 : 제2 정수부
40 : 정수 출수부 40a: 제2 배관
41 : 제2 밸브 50 : 조리수 출수부
50a: 제1 배관 60 : 살균부
60a: 제3 배관 61 : 제1 밸브
62 : 살균 모듈

Claims (7)

  1. 외부로부터 공급된 원수가 입수되는 입수부; 상기 입수부와 연결되어 원수를 정수하는 제1 및 제2 정수부들; 상기 제2 정수부로부터 제1 배관을 통해 조리수를 제공받는 조리수 출수부; 및 상기 조리수 출수부와 독립적으로 상기 제1 배관과 다른 제2 배관을 통해 상기 제2 정수부로부터 정수를 제공받는 정수 출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배관과 별도로 제3 배관을 통해 상기 조리수 출수부로 살균수를 제공하는 살균부가 구비되어 상기 조리수 출수부를 통해 조리수 또는 살균수의 제공을 선택할 수 있는 정수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는 제1 밸브, 및 상기 제1 밸브와 연결되어 살균수를 생성하는 살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가 개방되어 살균수가 생성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알람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는 상기 입수부와 연결되어 상기 입수부로부터 상기 살균 모듈로의 원수 제공 여부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는 상기 제1 정수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정수부로부터 상기 살균 모듈로의 정수 제공 여부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KR1020110067771A 2011-07-08 2011-07-08 살균 정수기 KR101316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771A KR101316011B1 (ko) 2011-07-08 2011-07-08 살균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771A KR101316011B1 (ko) 2011-07-08 2011-07-08 살균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005A KR20130006005A (ko) 2013-01-16
KR101316011B1 true KR101316011B1 (ko) 2013-10-10

Family

ID=47837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7771A KR101316011B1 (ko) 2011-07-08 2011-07-08 살균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60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395A (ko) 2015-07-02 2017-01-11 (주)이코존 세라믹 볼 필터가 구비된 살균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1995B1 (ko) * 2016-05-25 2023-11-14 쿠쿠홈시스 주식회사 살균수를 공급하는 정수 장치
KR20220055532A (ko) * 2020-10-26 2022-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20230115101A (ko) 2022-01-26 2023-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5959A (ko) * 2007-04-26 2008-10-30 앨트웰텍 주식회사 일체형 식재료의 세척수 및 요리수용 대용량 정수기와살균수기
KR20100008213A (ko) * 2008-07-15 2010-01-25 토시히로 하세가와 정수기 및 그 작동방법
KR20110044403A (ko) * 2009-10-23 2011-04-2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5959A (ko) * 2007-04-26 2008-10-30 앨트웰텍 주식회사 일체형 식재료의 세척수 및 요리수용 대용량 정수기와살균수기
KR20100008213A (ko) * 2008-07-15 2010-01-25 토시히로 하세가와 정수기 및 그 작동방법
KR20110044403A (ko) * 2009-10-23 2011-04-2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395A (ko) 2015-07-02 2017-01-11 (주)이코존 세라믹 볼 필터가 구비된 살균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005A (ko) 201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8469B1 (ko) 살균 기능 및 살균수 제공 기능을 갖는 정수기
KR101316011B1 (ko) 살균 정수기
KR102639274B1 (ko) 자가 관리형 정수기
CN203938551U (zh) 一种多功能纳滤直饮机
KR102634086B1 (ko) 수처리장치
CN202246289U (zh) 一种箱体型超滤膜净水器
CN204550311U (zh) 一种饮用水净水系统
KR101316012B1 (ko) 살균포트 내장형 정수기
JPH0259089A (ja) 創水器
CN104176872B (zh) 一种新型自来水灭菌直饮机
KR20170074641A (ko) 수처리장치
CN104649457A (zh) 一种多功能净水器
CN205170591U (zh) 医用水制备系统
CN202705160U (zh) 医院用恒温水生产装置
KR20220000647A (ko) 물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물공급방법
KR20130002546A (ko) 살균 정수기 및 이를 이용한 정수 살균 방법
JP2013063379A (ja) セントラル浄水装置および浄水システム
CN104787953A (zh) 一种具有消毒杀菌装置的净水设备
CN216073164U (zh) 一种温开水获取装置
CN203238070U (zh) 一种新型家用净水装置
KR101423385B1 (ko) 정수기
CN220132025U (zh) 一种农村饮用水处理用增压加热一体式净水器
CN214284513U (zh) 一种具有智能杀菌系统的饮水机
KR101556172B1 (ko)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231998B1 (ko) 정수기의 살균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