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2113A - 정수 및 절수 기능을 구비한 자동 살균 수도꼭지 - Google Patents

정수 및 절수 기능을 구비한 자동 살균 수도꼭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2113A
KR20230092113A KR1020210181161A KR20210181161A KR20230092113A KR 20230092113 A KR20230092113 A KR 20230092113A KR 1020210181161 A KR1020210181161 A KR 1020210181161A KR 20210181161 A KR20210181161 A KR 20210181161A KR 20230092113 A KR20230092113 A KR 20230092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aucet
filter
brass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1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3144B1 (ko
Inventor
지병욱
Original Assignee
지병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병욱 filed Critical 지병욱
Priority to KR1020210181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3144B1/ko
Publication of KR20230092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2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3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3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6Filters making use of electricity or magnet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C02F1/4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using permanent magn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06Mounted on or being part of a faucet, shower handle or showerh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 기능과 절수 기능을 물론 각종 세균과 바이러스에 대한 살균 기능을 갖춘 수도꼭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황동과 자석볼, 그리고 은 플레이트의 유기적인 조합을 이용하여 수돗물 속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유해 세균 및 바이러스를 반영구적으로 자동 살균할 수 있음은 물론, 물 속의 유기 염소 화학물질 생성을 차단하여 안심하고 수돗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필터와 황동관의 효율적인 배치 등을 이용하여 수돗물의 흐름을 개선함으로써 절수 기능을 확보하고 수압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타입의 정수 및 절수 기능을 구비한 자동 살균 수도꼭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정수 및 절수 기능을 구비한 자동 살균 수도꼭지{AUTO STERILIZATION FAUCET WITH WATER PURIFIER AND WATER SAVING}
본 발명은 주방, 욕실 등에서 사용되는 수도꼭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수 기능과 절수 기능을 물론 각종 세균과 바이러스에 대한 살균 기능을 갖춘 수도꼭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업소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수돗물은 정수장에서 염소 성분을 투입하여 소독하고 있으나, 이러한 염소 성분은 정수 과정 및 각 가정으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일부는 대기 속으로 휘발되어 자연적으로 제거되기도 하지만,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대부분 물 속에 용해되어 잔류하면서 수돗물 특유의 냄새를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이렇게 수돗물 속에 잔류 염소량이 높을 경우에 어린이나 피부가 약한 사람에게는 피부염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거나, 또한 수돗물을 데워서 사용할 경우 가열 시에 발생하는 증기에도 염소 성분이 포함되기 때문에 이러한 염소 성분으로 인해 기관지나 폐가 약한 사람에게 매우 나쁜 영향을 주게 된다.
이와 같이, 인체에 유해한 잔류 염소 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싱크대나 욕실 등의 수전에 필터 등을 갖춘 정수기를 부착하기도 하지만, 이 역시 잔류 염소의 제거능력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수압에 영향을 끼쳐 가정에서 사용하는데 불편한 점이 있다.
그러나, 기존의 정수기에서 가장 큰 문제점은 사용 후에 정수기 내부와 필터는 항상 습기로 젖어 있고 온도가 적당하여 변기 속보다 더 많은 세균이 검출된다는 점이다.
특히, 정수기의 필터는 수돗물의 녹, 부유물, 유해물질 등이 필터에 여과된 후 오히려 그것들이 세균들의 먹이와 영양분이 되어 각종 세균의 온상지가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오래 사용하여 노후된 수도관은 녹물과 이물질 등에 의해 부식되기 쉽고 이러한 부식물이 염소과 결합하여 응결작용을 일으키게 됨으로써 대장균 등의 세균이나 미생물이 쉽게 번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그동안의 정수기들은 은 폼이나 은 나노볼, 항균볼 등을 이용한 살균 방법을 사용하여 왔는데, 순간 발수되는 정수기에서의 살균기능이 거의 없거나 미미하고, 정수기를 떨어뜨리거나 장시간 사용 시 중금속인 은가루나 입자가 떨어져 나와서 유아나 어린이가 목욕 중에 삼킨다거나 양치할 때 체내 세포에 박혀 수년 후 세포변이가 발생될 우려가 있어서 부적합한 것이 사실이다.
최근에는 주로 오염된 물에 기생하는 뇌를 먹는 아메바의 출연으로 많은 사람들의 목숨을 앗아가는 일이 발생하면서 심각한 충격을 주고 있다.
이러한 뇌를 먹는 아메바는 수영하는 사람의 코를 통해 뇌로 들어가 뇌세포를 파괴하는 것으로 이와 관련하여 최근 사망자가 증가하고 있어 전 세계에 충격을 안겨주고 있다.
일 예로서, 지난 2015년 여름 미국 오클라호마주에 사는 한 남성이 뇌 먹는 아메바에 감염되 목숨을 잃었다.
오클라호마주에서는 1999년 이후로 7건의 감염 사례가 보고됐다.
그 뿐만 아니라 상수원에서 수영을 하던 청년 세 명이 사망한 것도 뇌 먹는 아메바 감염이 그 원인으로 밝혀져 사태의 심각성이 두드러졌다.
이후 2016년에는 래프팅, 카약, 산악자전거 등의 아웃도어 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유명 시설에서도 뇌 먹는 아메바가 검출되어 보건 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다른 예로서, 미국 텍사스주에서 6세 소년이 공원 물놀이장에서 놀다가 뇌를 먹는 아메바에 감염돼 결국 사망했다고 AP통신이 보도했으며, 지난해 9월에는 텍사스주 레이크잭슨시에서 네글레리아 파울러리가 검출됨에 따라 브라조리아 카운티 전역에 재난 경보가 선언되면서 하루 동안 수돗물 사용이 중단됐다.
등록특허공보 제10-1719522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80962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105186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3011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0203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황동과 자석볼, 그리고 은 플레이트의 유기적인 조합을 이용하여 수돗물 속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유해 세균 및 바이러스를 반영구적으로 자동 살균할 수 있음은 물론, 물 속의 유기 염소 화학물질 생성을 차단하여 안심하고 수돗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필터와 황동관의 효율적인 배치 등을 이용하여 수돗물의 흐름을 개선함으로써 절수 기능을 확보하고 수압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타입의 정수 및 절수 기능을 구비한 자동 살균 수도꼭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정수 및 절수 기능을 구비한 자동 살균 수도꼭지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정수 및 절수 기능을 구비한 자동 살균 수도꼭지는 싱크대나 세면대의 수전에 연결되는 상단의 물도입부와 헤드부측에 결합되는 하단의 체결부를 가지는 원통형의 수도꼭지 본체와, 상기 수도꼭지 본체의 체결부에 결합되는 외곽쪽의 상단의 체결부와 필터측에 결합되는 중심쪽의 상단의 물유입부를 가지면서 물을 분사하는 헤드부와, 상기 수도꼭지 본체의 내벽 둘레의 전체 면적에 걸쳐 설치되는 황동관과, 상단의 중심쪽에 물도입부를 통해 들어온 물을 외곽쪽으로 유도하는 필터캡을 가지면서 수도꼭지 본체의 중심쪽에 동축 구조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필터와, 상기 수도꼭지 본체의 물도입부의 내측에 설치되는 1차 물확산체와, 상기 필터의 내부 아래쪽으로 위치됨과 더불어 헤드부의 물유입부의 상단과 접하는 구조로 설치되는 2차 물확산체 및 상기 2차 물확산체의 내측에 설치되는 필터측 황동링 및 자석볼과, 상기 헤드부의 물유입부 내에 설치되는 헤드부측 황동링 및 헤드부측 은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정수 및 절수 기능을 구비한 자동 살균 수도꼭지는 수도꼭지 본체의 중심쪽에 위치한 물도입부를 통해 들어온 물은 1차 물확산체에 의해 확산되는 동시에 필터캡에 부딪혀 외곽쪽으로 유도되어 황동관에 접촉되고, 계속해서 필터의 외곽쪽에서 중심쪽으로 투과된 후, 필터의 내측에 있는 2차 물확산체와 필터측 황동링, 그리고 자석볼을 거치는 동시에 헤드부의 중심쪽에 위치한 물유입부 내의 헤드부측 황동링과 헤드부측 은플레이트를 거친 후에 헤드부을 통해 분사될 수 있도록 된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정수 및 절수 기능을 구비한 자동 살균 수도꼭지는 수도꼭지 본체의 물도입부에 설치되면서 수전측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내측에 상단 암나사부 및 하단 암나사부와 어댑터측 은플레이트 및 실링부재를 가지는 어댑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황동관의 외주면에는 황동관 변색을 가려주는 광고용 스티커가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캡에는 중심부에 오목한 홈 형태의 완충공간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상면에 완충공간부의 둘레로 다수 개의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정수 및 절수 기능을 구비한 자동 살균 수도꼭지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유속에 의해 회전하는 자석볼과 전기전도율이 뛰어난 황동링에 의해 금속이온과 전ㆍ자기 발생으로 화학물질 없이 반영구적 완전 자동으로 항ㆍ살균 작용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2)강력한 자기장을 형성하여 물 속 유기물과 잔류 염소의 화학결합을 막아 인체에 유해한 유기 염소 화학물질의 생성을 차단하고, 강력한 자화육각수를 생성하여 식수에 적합하고 인체에 유익한 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3)일체의 화학약품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수압의 유속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하는 자석과 황동, 구리 등의 소재로 이루어진 링에 의해 전ㆍ자기장이 발생되어 미생물을 자동으로 살균해주는 친환경 살균제품으로 공인시험기관에서 폐렴균, 녹농균, 대장균, 포도상구균 등 유해세균 99.9%의 살균감소율을 인정받은 효과가 있다.
4)우리나라의 가정에 연결된 수도관은 상당수가 20년 이상의 노후 배관이며 수돗물 속의 이물질과 눈에 보이지 않는 유해세균, 잔류 염소, 철분을 포함한 모든 중금속으로부터 사용자의 건강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5)정수기 내부에 물 확산체를 설치하여 물을 잘게 쪼개면서 미립화시킴으로써, 자극이 없고 부드러운 물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6)필터의 둘레를 황동링으로 마감함과 더불어 금속링에 광고 효과를 위한 스티커를 부착함으로써, 필터 변색으로 인한 사용 시의 불쾌감을 배제할 수 있고, 오랫동안 사용 후에 황동링이 변색되는 경우에도 이를 스티커가 가려줄 수 있는 등 수도꼭지의 외관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7) 수도꼭지 본체 내의 유로 전 구간에 걸쳐 황동링을 배치하여 충분한 살균 구간을 확보할 수 있고, 또 수돗물의 유입측은 물론 필터를 거쳐 빠져나가는 배출측에 황동과 은플레이트를 배치하여 두 차례에 걸쳐 수돗물을 살균할 수 있는 등 수돗물 살균 기능을 한층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8) 수도꼭지의 내부로 들어온 수돗물을 필터 외곽쪽으로 진행시킨 다음, 계속해서 필터 외곽쪽에서 필터 중심쪽으로 유도한 후에 직하방으로 빠져나가도록 하는 수돗물을 흐름을 확보함으로써, 수돗물의 유속 증대와 수압 상승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및 절수 기능을 구비한 자동 살균 수도꼭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및 절수 기능을 구비한 자동 살균 수도꼭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및 절수 기능을 구비한 자동 살균 수도꼭지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및 절수 기능을 구비한 자동 살균 수도꼭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및 절수 기능을 구비한 자동 살균 수도꼭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정수 및 절수 기능을 구비한 자동 살균 수도꼭지는 필터(14) 등을 수용하면서 싱크대나 세면대 등의 수전에 연결되는 수도꼭지 본체(13)를 포함한다.
상기 수도꼭지 본체(13)는 투명한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하우징 형태로서, 이러한 수도꼭지 본체(13)의 상단부에는 중심쪽에 수돗물이 들어오는 물도입부(10)가 형성되는 동시에 하단부에는 헤드부(11)측과 결합되는 체결부(12a), 즉 하우징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수도꼭지 본체(13)는 물도입부(10)를 이용하여 수전측에 직접 또는 어댑터(28)를 매개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물도입부(10)는 수도꼭지 본체(13)의 직경 대비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이때의 물도입부(10)에는 외주면에 수전측 또는 어댑터측과의 체결을 위한 수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정수 및 절수 기능을 구비한 자동 살균 수도꼭지는 사용처에 물을 분사하는 수단으로 헤드부(11)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부(11)의 상단부 외곽쪽에는 수도꼭지 본체(13)의 체결부(12a)에 결합되는 체결부(12b), 즉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단부 중심쪽에는 수도꼭지 본체(13)측에서 보내지는 물(예컨대, 살균 및 정화 처리를 마친 물)이 들어오는 입구인 원형의 물유입부(15)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헤드부(11)가 체결부(12b)와 물유입부(15)를 이용하여 수도꼭지 본체(13)측과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면, 수도꼭지 본체(13)측의 물은 물유입부(15)를 통해 헤드부(11)의 내부로 들어온 후에 하단부(저면부)의 출수부(미도시)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11)에는 전환레버(32)가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되는 전환레버(32)를 선택적으로 누르게 되면, 헤드부(11)의 출수부에서 나오는 물줄기가 가운데로 집중되는 형태 또는 사방으로 넓게 퍼지는 형태로 전환되면서 토출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전환레버(32)를 포함하는 헤드부(11)의 내부 구조는 공지의 구조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정수 및 절수 기능을 구비한 자동 살균 수도꼭지는 물과의 접촉을 통해 물 속의 세균과 바이러스를 살균하는 수단으로 황동관(16)을 포함한다.
상기 황동관(16)은 황동 재질로 이루어진 원형의 관 형태로서, 수도꼭지 본체(13)의 내경에 상응하는 직경 및 수도꼭지 본체(13)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게 된다.
이러한 황동관(16)은 수도꼭지 본체(13)의 내벽 둘레의 전체 면적에 걸쳐 설치되며, 이에 따라 수도꼭지 본체(13)의 내부 중심쪽에서 외곽쪽으로 유도되는 물은 황동관(16)과 충분한 면적에 걸쳐 접촉될 수 있게 되고, 결국 물 속에 포함되어 있는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이 황동의 살균 작용에 의해 거의 대부분 사멸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황동관(16)이 수도꼭지 본체(13)의 내벽 둘레에 설치됨으로써, 그 내측으로 위치되는 필터(14) 또한 황동관(16)에 의해 가려질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필터(14)가 누렇게 변색되어도(예컨대, 기능에는 문제가 없지만) 황동관(16)이 이를 가려주게 되므로 필터 변색에 따른 외관 저하 문제를 완전히 배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황동관(17)의 외주면에는 광고용 스티커(29)가 부착되며, 이때의 광고용 스티커(29)는 광고 효과 이외에도 오래 사용함으로 인해 황동관(17)이 변색되어도(예컨대, 기능에는 문제가 없지만) 이러한 변색 상태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정수 및 절수 기능을 구비한 자동 살균 수도꼭지는 수돗물 속의 각종 이물질과 불순물을 정화하는 수단으로 필터(14)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14)는 속이 비어 있는 원통형의 관 형태로서, 면 소재(綿 素材)에 카본 입자를 코팅 또는 도포하여 원통형의 관 형태로 제작한 형태 또는 물의 통과가 가능한 압축 섬유 소재, 또는 압축 종이 소재, 부직포 소재 등을 원통형의 관 형상으로 제작한 형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필터(14)는 수도꼭지 본체(13)의 중심쪽에 동축 구조로 나란하게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되는 필터(14)의 상면부는 수도꼭지 본체(13)의 천장면과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되고, 하면부는 헤드부(11)의 상면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필터(14)의 외주면과 황동관(16)의 내주면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조성되고, 이렇게 조성되는 공간으로 물이 유도되며, 공간 내의 물은 외곽쪽에서 중심쪽으로 흐르면서 필터(14)를 투과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14)의 상단 중심쪽에는 물도입부(10)를 통해 들어온 물을 외곽쪽으로 유도하는 필터캡(17)이 설치된다.
이때의 필터캡(17)은 원판 형태로서, 필터(14)의 상단부를 막아주는 형태로 설치되며, 이에 따라 수도꼭지 본체(13)의 물도입부(10)를 통해 들어온 물은 필터캡(17)의 중심쪽에 부딪힌 후에 외곽쪽으로 흘러갈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필터캡(17)의 중심부에는 오목한 홈 형태의 완충공간부(30), 즉 필터(14)의 중심 관통부위에 끼워지는 오목한 홈 형태의 완충공간부(30)가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되는 완충공간부(30)는 물도입부(10)측에서 들어오는 물을 일정량 담아놓을 수 있는 일종의 버퍼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필터캡(17)의 상면에는 완충공간부(30)의 둘레로 다수 개의 돌기부(31)가 형성되며, 이때의 돌기부(31)가 수도꼭지 본체(13)의 천장면에 닿게 되므로서, 필터캡(17)과 수도꼭지 본체(13)의 천장면 사이에는 물이 외곽쪽으로 흐를 수 있는 간격이 만들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정수 및 절수 기능을 구비한 자동 살균 수도꼭지는 물의 흐름을 잘게 쪼개주면서 넓게 확산시켜주는 수단으로 1차 물확산체(18)를 포함한다.
상기 1차 물확산체(18)는 수도꼭지 본체(13)의 물도입부(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수도꼭지 본체(13)의 내부로 들어오는 물을 잘게 쪼개주면서 확산시켜줌으로써, 최종적으로 출수부를 통해 토출되는 물을 부드럽게 만들어주면서 사용자 피부에 자극을 줄여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1차 물확산체(18)는 물확산체 보디, 원형 리브 및 방사형 리브 등을 포함한다.
상기 물확산체 보디는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원형의 캡 형태로 이루어져 물도입부(10)의 내주면에 삽입됨과 더불어 물도입부 상단 턱 부분에 얹혀지는 구조로 설치된다.
상기 원형 리브와 방사형 리브는 실질적으로 물을 잘게 쪼개주는 수단으로서, 물확산체 보디의 바닥측에 일체형의 상하 적층구조를 이루며 물확산체 보디에 일체 형성된다.
상기 원형 리브는 직경을 달리하면서 동심원을 이루며 배치되는 다수 개로 이루어지게 된다.
예를 들면, 다수 개의 원형 리브는 상대적으로 가장 직경이 작은 원형 리브가 중심쪽에 배치되고, 점차적으로 큰 직경를 갖는 원형 리브가 일정 간격을 두고 외곽쪽으로 배치되는 형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방사형 리브는 중심쪽에서 외곽쪽을 향해 직선상으로 뻗어가는 동시에 원형 리브들과 교차하면서 전체적으로 방사형의 형태를 이루는 다수 개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러한 방사형 리브는 상면부는 각 원형 리브의 저면부에 일체형으로 접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1차 물확산체(18)에는 원형 리브와 방사형 리브 간의 교차 구조에 의해 다수의 미세한 홀이 만들어지게 되고, 결국 이러한 미세한 홀을 물이 통과하게 됨에 따라 물이 잘게 쪼개지면서 확산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정수 및 절수 기능을 구비한 자동 살균 수도꼭지는 물의 확산과 더불어 살균 기능과 잔류 염소 제거 기능을 발휘함은 물론 기능성 물을 만들어주는 수단으로 2차 물확산체(19), 필터측 황동링(20) 및 자석볼(21)을 포함한다.
상기 2차 물확산체(19)와 그 내측에 들어 있는 필터측 황동링(20) 및 자석볼(21)은 필터(14)의 내부 공간 아래쪽으로 끼워지면서 헤드부(11)에 있는 물유입부(15)의 상단과 접하는 구조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2차 물확산체(19)는 물도입부(10)에 설치되는 1차 물확산체(18)와 기능이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필터측 황동링(20)과 자석볼(21)은 물 속에서 회전(유동)하는 자석과 황동의 조합을 통해 강력한 전ㆍ자기장을 발생시켜서 각종 세균을 살균하고, 또 강력한 자기장을 이용하여 물 속 유기물과 잔류 염소의 화학결합을 막아 인체에 유해한 유기염소 화학물질의 생성을 차단하며, 강력한 자기 에너지를 담은 자화육각수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필터측 황동링(20)은 황동 소재 이외에도 금, 은, 황동, 구리, 아연,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티타늄 등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필터측 황동링(20)은 2차 물확산체(19)의 내측에 끼워져 고정되는 구조로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필터측 황동링(20)의 내측 영역으로 자석볼(21)이 위치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자석볼(21)은 물의 유속에 의해 필터측 황동링(20)으로 둘러싸여 있는 공간 내에서 이때의 필터측 황동링(20)과 간헐적으로 부딪히면서 유동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자석볼(21)의 동작 특성과 필터측 황동링(20)의 소재 특성에 의해 각종 유해세균의 살균에 필요한 전ㆍ자기장은 물론, 자화육각수 생성을 위한 강력한 자기 에너지이 발생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자석볼(21)의 경우 물이 계속해서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지속적으로 유동되면서 달그락거리는 소리를 내게 되므로서, 사용자에게 청각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물이 통과하는 경로 상에서 자석볼(21)이 자유롭게 유동되면서 물과 지속적으로 접촉하게 되므로서, 자석의 매우 강력한 자력에 의해 물 분자구조가 이온활성화된 물, 즉 자화육각수로 전환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자석볼(21)과 필터측 황동링(20)에서 발생하는 강력한 네오디뮴 영구자석의 자력(9,000G∼13,000G)에 물을 통과시켜 이온활성화시킴으로써, 물 입자(클러스터)가 미세하고, 용존산소 함유량이 높고, 미네랄이 풍부하고, 약 알카리수이고, 육각고리 구조의 육각수로 이루어진 기능성 물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정수 및 절수 기능을 구비한 자동 살균 수도꼭지는 살균 기능을 한층 더 강화시켜주는 수단으로 헤드부측 황동링(22)과 헤드부측 은플레이트(23)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부측 황동링(22) 및 헤드부측 은플레이트(23)는 헤드부(11)의 물유입부(15)의 내측에 설치된다.
즉, 상기 헤드부측 황동링(22)은 물유입부(15)의 내부에 끼워지는 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헤드부측 은플레이트(23)는 헤드부측 황동링(22)의 하단부에 얹혀져 바닥을 이루는 구조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헤드부측 은플레이트(23)는 원판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며, 물의 통과를 위한 다수 개의 관통홀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측 황동링(22)의 경우에도 황동 소재 이외에도 금, 은, 황동, 구리, 아연,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티타늄 등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황동 소재 특성을 이용하여 각종 유해 세균과 바이러스를 살균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헤드부측 은플레이트(23)는 99.99%의 강력한 살균력을 발휘하여 물과 접촉하면서 물 속의 대장균, 폐렴균 등의 같은 각종 세균이나 코로나19 등과 같은 각종 바이러스를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정수 및 절수 기능을 구비한 자동 살균 수도꼭지는 다양한 사양의 수전에 수도꼭지를 용이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수단으로 어댑터(28)를 포함한다.
상기 어댑터(28)는 원형의 관 형태로서, 수도꼭지 본체(13)의 물도입부(10)에 설치되면서 수전측에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어댑터(28)의 내측에는 수전측과의 연결을 위한 상단 암나사부(24)와 수도꼭지 본체(13)측과의 연결을 위한 하단 암나사부(25)가 형성되며, 이때의 상단 암나사부(24)는 수전측 수나사부(미도시)에, 하단 암나사부(25)는 물도입부(10)에 있는 수나사부에 각각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어댑터(28)의 내측에는 수전측과의 기밀유지를 위한 실링부재(27), 예를 들면 실리콘 소재나 고무 소재 등으로 만든 링 모양의 실링부재(27)와 물 속의 세균과 바이러스를 살균하기 위한 어댑터측 은플레이트(26)가 차례로 적층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및 절수 기능을 구비한 자동 살균 수도꼭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도꼭지 본체(11)의 중심쪽에 위치한 물도입부(10)를 통해 들어온 물은 1차 물확산체(18)에 의해 확산되는 동시에 어댑터측 은플레이트(26)에 의해 1차 살균 처리된다.
계속해서, 물은 필터캡(17)에 의해 부딪힌 후에 외곽쪽으로 유도되면서 필터(14)의 외주면과 황동관(16)의 내주면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어 황동관(16)에 접촉된다.
이때, 상기 물이 필터캡(17)과 수도꼭지 본체(13)의 천장면 사이의 틈새를 통해 외곽쪽으로 유도될 때, 좁은 틈새를 빠져나가면서 물의 유속이 증가할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물은 필터(14)의 외곽쪽에서 중심쪽으로 투과되고, 이때 물 속의 각종 불순물이나 이물질이 정화된다.
계속해서, 상기 필터(14)의 내부로 들어온 정화된 물은 필터(14)의 내측에 있는 2차 물확산체(19)와 필터측 황동링(20), 그리고 자석볼(21)을 거치면서 미세화 및 2차 살균 처리됨과 더불어 기능성 물로 전환된 후, 헤드부(11)의 물유입부(15)측으로 보내지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헤드부(11)의 중심쪽에 위치한 물유입부(15)로 들어온 물은 헤드부측 황동링(22)과 헤드부측 은플레이트(23)를 거치면서 2차 살균 처리된 후,헤드부(11)의 출수부를 통해 외부로 분사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황동관 및 황동링, 자석볼, 은 플레이트의 유기적인 조합을 적용함과 더불어 필터와 황동관의 효율적인 배치 등을 이용하여 수돗물의 흐름을 개선한 새로운 형태의 수도꼭지를 제공함으로써, 수돗물 속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유해 세균 및 바이러스를 반영구적으로 자동 살균할 수 있고, 물 속의 유기 염소 화학물질 생성을 차단하여 안심하고 수돗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절수 기능을 확보함과 더불어 수도꼭지의 수압을 높일 수 있다.
10 : 물도입부
11 : 헤드부
12a,12b : 체결부
13 : 수도꼭지 본체
14 : 필터
15 : 물유입부
16 : 황동관
17 : 필터캡
18 : 1차 물확산체
19 : 2차 물확산체
20 : 필터측 황동링
21 : 자석볼
22 : 헤드부측 황동링
23 : 헤드부측 은플레이트
24 : 상단 암나사부
25 : 하단 암사나부
26 : 어댑터측 은플레이트
27 : 실링부재
28 : 어댑터
29 : 광고용 스티커
30 : 완충공간부
31 : 돌기부
32 : 전환레버

Claims (4)

  1. 싱크대나 세면대의 수전에 연결되는 상단의 물도입부(10)와 헤드부(11)측에 결합되는 하단의 체결부(12a)를 가지는 원통형의 수도꼭지 본체(13)와, 상기 수도꼭지 본체(13)의 체결부(12a)에 결합되는 외곽쪽의 상단의 체결부(12b)와 필터(14)측에 결합되는 중심쪽의 상단의 물유입부(15)를 가지면서 물을 분사하는 헤드부(11)와, 상기 수도꼭지 본체(13)의 내벽 둘레의 전체 면적에 걸쳐 설치되는 황동관(16)과, 상단의 중심쪽에 물도입부(10)를 통해 들어온 물을 외곽쪽으로 유도하는 필터캡(17)을 가지면서 수도꼭지 본체(13)의 중심쪽에 동축 구조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필터(14)와, 상기 수도꼭지 본체(13)의 물도입부(10)의 내측에 설치되는 1차 물확산체(18)와, 상기 필터(14)의 내부 아래쪽으로 위치됨과 더불어 헤드부(11)의 물유입부(15)의 상단과 접하는 구조로 설치되는 2차 물확산체(19) 및 상기 2차 물확산체(19)의 내측에 설치되는 필터측 황동링(20) 및 자석볼(21)과, 상기 헤드부(11)의 물유입부(15) 내에 설치되는 헤드부측 황동링(22) 및 헤드부측 은플레이트(23)를 포함하며,
    상기 수도꼭지 본체(11)의 중심쪽에 위치한 물도입부(10)를 통해 들어온 물은 1차 물확산체(18)에 의해 확산되는 동시에 필터캡(17)에 부딪혀 외곽쪽으로 유도되어 황동관(16)에 접촉되고, 계속해서 필터(14)의 외곽쪽에서 중심쪽으로 투과된 후, 필터(14)의 내측에 있는 2차 물확산체(19)와 필터측 황동링(20), 그리고 자석볼(21)을 거치는 동시에 헤드부(11)의 중심쪽에 위치한 물유입부(15) 내의 헤드부측 황동링(22)과 헤드부측 은플레이트(23)를 거친 후에 헤드부(11)을 통해 분사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및 절수 기능을 구비한 자동 살균 수도꼭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도꼭지 본체(13)의 물도입부(10)에 설치되면서 수전측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내측에 상단 암나사부(24) 및 하단 암나사부(25)와 어댑터측 은플레이트(26) 및 실링부재(27)를 가지는 어댑터(2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및 절수 기능을 구비한 자동 살균 수도꼭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황동관(17)의 외주면에는 황동관 변색을 가려주는 광고용 스티커(29)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및 절수 기능을 구비한 자동 살균 수도꼭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캡(17)에는 중심부에 오목한 홈 형태의 완충공간부(30)가 형성되는 동시에 상면에 완충공간부(30)의 둘레로 다수 개의 돌기부(3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및 절수 기능을 구비한 자동 살균 수도꼭지.
KR1020210181161A 2021-12-17 2021-12-17 정수 및 절수 기능을 구비한 자동 살균 수도꼭지 KR102653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1161A KR102653144B1 (ko) 2021-12-17 2021-12-17 정수 및 절수 기능을 구비한 자동 살균 수도꼭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1161A KR102653144B1 (ko) 2021-12-17 2021-12-17 정수 및 절수 기능을 구비한 자동 살균 수도꼭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2113A true KR20230092113A (ko) 2023-06-26
KR102653144B1 KR102653144B1 (ko) 2024-03-29

Family

ID=86947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1161A KR102653144B1 (ko) 2021-12-17 2021-12-17 정수 및 절수 기능을 구비한 자동 살균 수도꼭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3144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8010U (ja) * 2000-11-29 2001-06-22 勝利 吉田 浴室のシャワー用浄水具
KR200293011Y1 (ko) 2002-07-30 2002-10-25 홍원방 싱크대 내장형 정수기
KR200310203Y1 (ko) 2003-01-07 2003-04-10 홍원방 정수기와 살균기가 구비된 싱크대
KR20040080962A (ko) 2003-10-29 2004-09-20 이중호 싱크대용 상냉(온) 정수기
KR20040105186A (ko) 2003-06-05 2004-12-14 주식회사 엔텍 싱크대 수납용 정수기
KR20160018057A (ko) * 2014-08-07 2016-02-17 김춘식 은을 이용한 복합 정수용 싱크대 수도꼭지
KR101670202B1 (ko) * 2016-02-24 2016-10-27 지병욱 수소수 및 자화수 생성 물병
KR101719522B1 (ko) 2016-10-31 2017-03-24 율진프라임 (주) 싱크대용 정수기
KR102136585B1 (ko) * 2020-01-30 2020-07-23 지수진 기능성 샤워기
CN214714876U (zh) * 2020-11-27 2021-11-16 株式会社源奉 水栓用净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8010B2 (ja) 1990-11-30 2000-08-21 株式会社東芝 固体撮像装置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8010U (ja) * 2000-11-29 2001-06-22 勝利 吉田 浴室のシャワー用浄水具
KR200293011Y1 (ko) 2002-07-30 2002-10-25 홍원방 싱크대 내장형 정수기
KR200310203Y1 (ko) 2003-01-07 2003-04-10 홍원방 정수기와 살균기가 구비된 싱크대
KR20040105186A (ko) 2003-06-05 2004-12-14 주식회사 엔텍 싱크대 수납용 정수기
KR20040080962A (ko) 2003-10-29 2004-09-20 이중호 싱크대용 상냉(온) 정수기
KR20160018057A (ko) * 2014-08-07 2016-02-17 김춘식 은을 이용한 복합 정수용 싱크대 수도꼭지
KR101670202B1 (ko) * 2016-02-24 2016-10-27 지병욱 수소수 및 자화수 생성 물병
KR101719522B1 (ko) 2016-10-31 2017-03-24 율진프라임 (주) 싱크대용 정수기
KR102136585B1 (ko) * 2020-01-30 2020-07-23 지수진 기능성 샤워기
CN214714876U (zh) * 2020-11-27 2021-11-16 株式会社源奉 水栓用净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3144B1 (ko) 2024-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6585B1 (ko) 기능성 샤워기
KR102360290B1 (ko) 세면대용 정수기
KR101923352B1 (ko) 싱크대용 정수기
KR20160018055A (ko) 은을 이용한 복합 정수용 샤워기
KR20160018057A (ko) 은을 이용한 복합 정수용 싱크대 수도꼭지
KR102349534B1 (ko) 싱크대용 정수기
CN203440185U (zh) 一种多功能花洒
KR102155960B1 (ko) 기능성 필터 샤워기
KR20230092113A (ko) 정수 및 절수 기능을 구비한 자동 살균 수도꼭지
KR200294241Y1 (ko) 비타민필터가 내장된 샤워기
KR200278146Y1 (ko) 동섬유를 이용한 염소제거 및 살균 수도꼭지 어셈블리
KR101849533B1 (ko) 샤워용 이온수 및 마이크로버블수 발생장치
KR102363673B1 (ko) 항균 및 살균 기능을 갖는 기능성 샤워기
KR102370316B1 (ko) 샤워호스 연결용 다기능 직수 정화필터
KR102532918B1 (ko) 항균 및 살균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정수기
KR102429798B1 (ko) 살균기능을 갖는 필터 샤워기
KR101830499B1 (ko) 정수용 항균 캡슐
KR20160018056A (ko) 은을 이용한 복합 정수용 연수기
KR101690106B1 (ko) 살균 필터 및 이를 구비한 수전
KR20230151165A (ko) 자동 살균 필터샤워기
CN205653277U (zh) 一种带紫外杀菌的超滤净水机
KR102492011B1 (ko) 자동 살균 수도꼭지
KR20230134248A (ko) 정수기용 필터 어셈블리
CN205500873U (zh) 用水终端及其起泡器
CN212712843U (zh) 一种水龙头紫外led杀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