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9533B1 - 샤워용 이온수 및 마이크로버블수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샤워용 이온수 및 마이크로버블수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9533B1
KR101849533B1 KR1020160143584A KR20160143584A KR101849533B1 KR 101849533 B1 KR101849533 B1 KR 101849533B1 KR 1020160143584 A KR1020160143584 A KR 1020160143584A KR 20160143584 A KR20160143584 A KR 20160143584A KR 101849533 B1 KR101849533 B1 KR 101849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ionized
ionized water
generating
sh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3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용
김환욱
김환홍
김효정
Original Assignee
주에너지원닥터
김현용
김환욱
김환홍
김효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너지원닥터, 김현용, 김환욱, 김환홍, 김효정 filed Critical 주에너지원닥터
Priority to KR1020160143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95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9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9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C02F1/4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using permanent mag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2Diffusers
    • B01F23/23121Diffusers having injection means, e.g. nozzles with circumferential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10Mixing by creating a vortex flow, e.g. by tangential introduction of flow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30Injector mixers
    • B01F25/31Injector mixers in conduits or tubes through which the main component flows
    • B01F25/312Injector mixers in conduits or tubes through which the main component flows with Venturi elements; Details thereof
    • B01F3/04248
    • B01F5/0057
    • B01F5/0413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06Mounted on or being part of a faucet, shower handle or showerhea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샤워용 이온수 및 마이크로버블수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으로는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비되고, 타측으로는 전환밸브를 구비하는 하우징; 유입구와 전환밸브 사이의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메인 파이프의 일측에서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가 와류를 발생하면서 통과하는 원수에 의해 발생되는 미세전류와 영구자석에 의해 이온화되도록 하는 제1 이온수 형성부; 제1 이온수 형성부로부터 유입되는 원수를 압축과 와류형성 및 확산시키는 수압 변화에 의해 유속이 빨라지도록 하면서 이온화되도록 하고, 이온화시킨 이온수가 복수의 미세홀을 통과하면서 확산되도록 하여 유속이 증가되도록 하는 제2 이온수 형성부; 하우징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면서 메인 파이프 내부에서 제1 이온수 형성부의 선단과 제2 이온수 형성부의 후단에서 기포가 발생되도록 하는 기포발생부; 제2 이온수 형성부를 통과하면서 기포가 포함된 이온수를 샤워수관 또는 버블수관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전환밸브를 통해 이온수 또는 마이크로버블수가 선택적으로 급수되도록 하는 급수부로서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샤워용 이온수 및 마이크로버블수 발생장치{Apparatus for generating ion water and micro bubble water for shower}
본 발명은 샤워용 이온수 및 마이크로버블수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동하는 물의 수압이 자동으로 조절되면서 자화 및 이온화가 활성화되도록 하여 염소와 중금속이 제거되도록 하고, 마이크로버블수 생성에 의해 음이온수 입자를 더욱 미립화하여 피부 자극이 없으면서 세정력이 우수한 샤워용 이온수 및 마이크로버블수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샤워기는 가정이나 대중 목욕탕 등에서 수도꼭지에 호스를 연결하여 수돗물을 분수처럼 분출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샤워기는 샤워기 호스와 샤워기 몸체로서 이루어지며, 이때의 샤워기 몸체는 샤워기 호스와 연결되는 연결구가 구비된 손잡이, 그리고 분출공이 다수로 형성된 노즐공이 형성된 샤워기 헤드로 이루어진다.
샤워기 호스를 통해 샤워기 헤드 내부로 공급되는 원수에는 소독처리를 위한 염소성분이 잔류하여 유해균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지만, 원수 내에 용해된 잔류염소는 수돗물 특유의 냄새를 유발하여 사용자에게 혐오감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민감한 피부와 반응하여 각종 피부 트러블을 야기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원수에 잔류하는 염소는 샤워 중 인체에 유해할 수가 있으므로 제거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잔류 염소의 제거를 위한 필터링 기능이 부가된 다양한 샤워기가 이미 이전부터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원수의 필터링 기능 뿐만 아니라 피부 미용을 위한 비타민을 추가 공급해주는 비타민 필터까지 제안되고 있다.
하지만, 어린 아이나 애완동물은 일반 성인들보다 피부가 민감하고, 특히 수질에 의한 피부병이 급증하고 있으며, 종래의 다양한 필터링 구성은 자정 능력의 한계가 있어 주기적으로 교체해주어야만 하므로 유지비용이 부담스러운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0325272호(2003.08.22.)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유동하는 물이 와류를 발생하도록 하면서 유속의 가감속 및 미세전류의 발생으로 이온화가 촉진되게 하므로서 절수, 수질정화능력과 보습력 및 세정력이 뛰어난 샤워용 이온수 및 마이크로버블수 발생장치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이크로버블수 생성에 의하여 피부자극은 최소화되도록 하면서 세정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샤워용 이온수 및 마이크로버블수 발생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의 샤워용 이온수 및 마이크로버블수 발생장치는, 일측으로는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비되고, 타측으로는 전환밸브를 구비하는 하우징; 후단부측 외경이 유입구와 전환밸브 사이의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메인 파이프의 내경에 맞춤 결합되도록 하고 선단부측으로부터 일정 길이의 외주면은 메인 파이프의 내경보다는 일정 폭 작게 형성되도록 하면서 외주면으로 제1 와류발생용 요철면을 이루며 일정 직경으로 관통되게 형성한 복수의 제2 홀의 내주면에는 제2 와류발생용 요철면을 형성하는 홀더와, 상기 홀더의 중앙에 삽입되는 영구자석과, 유입구측 단면에서 판면에는 상기 홀더의 제2 홀과 연통되도록 제1 홀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영구자석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커버하면서 상기 홀더에 스크류 체결에 의해 결합되는 캡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가 상기 제1홀을 통과하면서 미세전류가 발생되고, 상기 제1 와류발생용 요철면과 제2 와류발생용 요철면을 통과하면서 와류가 형성되며, 상기 영구자석에 의해 이온화되도록 하는 제1 이온수 형성부; 제1 이온수 형성부로부터 유입되는 원수를 압축과 와류형성 및 확산시키는 수압 변화에 의해 유속이 빨라지도록 하면서 이온화되도록 하고, 이온화시킨 이온수가 복수의 미세홀을 통과하면서 확산되도록 하여 유속이 증가되도록 하는 제2 이온수 형성부; 하우징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면서 메인 파이프 내부에서 제1 이온수 형성부의 선단과 제2 이온수 형성부의 후단에서 기포가 발생되도록 하는 기포발생부; 제2 이온수 형성부를 통과하면서 기포가 포함된 이온수를 샤워수관 또는 버블수관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전환밸브를 통해 이온수 또는 마이크로버블수가 선택적으로 급수되도록 하는 급수부;로서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샤워용 이온수 및 마이크로버블수 발생장치는 내부로 공급되는 원수의 유속을 가감하면서 이온화에 의해 음이온 발생이 증가되도록 하고, 절수, 수질정화능력과 보습력 및 세정력을 극대화시키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음이온과 마이크로버블의 발생으로 피부에 자극적이지 않으면서 더욱 세정력이 향상되도록 하여 어린이나 애완동물을 보다 안전하고 건강하게 씻길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용 이온수 및 마이크로버블수 발생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이온수 형성부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이온수 형성부의 벤츄리관을 예시한 반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이온수 형성부의 절수용 다공판을 예시한 일부 단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샤워용 이온수 및 마이크로버블수 발생장치의 제1 이온수 형성부를 통한 이온수 생성 작동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용 이온수 및 마이크로버블수 발생장치의 제2 이온수 형성부를 통한 이온수 생성 작동 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샤워용 이온수 및 마이크로버블수 발생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용 이온수 및 마이크로버블수 발생장치의 단면도이다.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샤워용 이온수 및 마이크로버블수 발생장치는 하우징(10)과 제1 이온수 형성부(20)와 제2 이온수 형성부(30)와 기포발생부(40) 및 급수부(50)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구성에서 하우징(10)은 외부를 커버하는 구성이며, 하우징(10)의 일측으로는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가 구비되고, 타측으로는 전환밸브(12)가 구비되는 구성이다.
전환밸브(12)에는 통상 샤워기(미도시)에 연결되는 하나의 플렉시블 파이프가 연결되게 할 수도 있고, 2개의 플렉시블 파이프가 연결되게 할 수도 있다.
전환밸브(12)는 수동조작에 의해 작동되게 할 수도 있고, 간단한 스위치 조작에 의해서 작동되게 할 수도 있다.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유입구(11)와 전환밸브(12)의 사이에는 원수가 유동하면서 이온수 또는 마이크로버블수를 발생시키는 메인 파이프(13)가 형성된다.
이러한 메인 파이프(13)에서 유입구(11)측으로 구비되는 제1 이온수 형성부(20)는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가 와류를 발생하면서 통과하도록 하는 동시에 이온화가 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이온수 형성부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예시한 바와 같이 제1 이온수 형성부(20)는 홀더(21)와 영구자석(22) 및 캡(23)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제1 이온수 형성부(20)의 홀더(21)는 중앙에 영구자석(22)이 삽입되도록 하면서 캡(23)에 의해서는 영구자석(22)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홀더(21)와 캡(23)은 스크류 체결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되 이때의 스크류는 도전성이 양호한 재질로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홀더(21)는 후단부측 외경이 메인 파이프(13)의 내경에 맞춤결합되도록 하고, 선단부측으로부터 일정 길이의 외주면은 메인 파이프(13)의 내경보다는 일정 폭 작게 형성되도록 하되 홀더(21)의 외주면은 제1 와류발생용 요철면(210)을 이루며, 홀더(21)에는 일정 직경으로 관통하도록 복수의 제2 홀(211)이 형성되도록 하되 각 제2 홀(211)의 내주면에는 제2 와류발생용 요철면(212)을 이루도록 한다.
다만, 홀더(21)의 유입구(11)측 단면에서 스크류 결합되는 캡(23)의 판면에도 홀더(21)의 제2 홀(211)과 연통되도록 하는 제1 홀(230)이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제1 이온수 형성부(20)에서 홀더(21)는 아연 또는 망간 또는 이들을 결합한 합금으로 구비되도록 하며, 캡(23)은 테프론이나 카본 또는 세라믹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1 이온수 형성부(20)를 통과한 이온수는 제2 이온수 형성부(30)를 통과하면서 재차 이온수가 와류를 형성하도록 하면서 수압 변화에 의해 좀더 강력한 음이온수를 생성하도록 한다.
제2 이온수 형성부(30)는 벤츄리관(31)과 이 벤츄리관(31)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절수용 다공판(32)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제2 이온수 형성부(30)에서 벤츄리관(31)은 도 3에서와 같이 양측단부로부터 길이 중간 부위로 점차 내경이 축소되도록 하여 제1 이온수 형성부(20)에서 이온화된 세정수가 통과하면서 단면적이 점차 좁아지다 순간적으로 확장되게 함으로써 유속이 급격하게 빨라지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때, 단면이 가장 작은 길이 중간 부위는 일정 길이에 제3 와류발생용 요철면(310)이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벤츄리관(31)을 통과하면서 이온수는 유속이 급격하게 빨라지게 되면서 와류를 일으켜 이온화가 더욱 촉진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벤츄리관(31)의 중간 부위와 더불어 단면적이 좁아지는 입구 측의 형상도 도시된 바와 같이 와류를 형성하도록 요철면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이온수가 입구 측부터 와류를 형성하면서 유입되어 이온화를 더 촉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벤츄리관(31)의 재질은 황동, 아연, 테프론, 카본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벤츄리관(31)을 통과한 이온수는 도 4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절수용 다공판(32)을 통과하게 되며, 이때의 절수용 다공판(32)에는 판면에 미세한 직경의 미세홀(320)이 복수 개로서 형성되도록 하되 미세홀(320)들은 입구로부터 출구측으로 내경이 점차 확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즉, 절수용 다공판(32)에서는 벤츄리관(31)을 통과한 이온수의 통과 면적이 축소되게 함으로써 이온수의 통과량이 감소되게 함으로써 절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이온수가 확산 분사되도록 한다.
절수용 다공판(32)은 전도성이 양호한 재질로 형성되도록 하며, 미세홀(320)을 통과 시 미세 전류가 발생되도록 한다.
따라서 절수용 다공판(32)은 황동판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만, 하우징(10)의 내부에서 메인 파이프(13)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기포발생부(40)가 구비되도록 한다.
기포발생부(40)는 기포기(41)와 기포 발생노즐(42)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서, 기포기(41)는 기포를 발생시키는 장치이며, 교류전원(AC)이나 직류전원(DC)으로 구동 및 제어될 수 있다. 참고로, AC를 이용할 경우 이동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으므로, DC를 공급하는 배터리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휴대, 이동 가능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기포발생부(40)의 기포 발생노즐(42)은 기포기(41)에서 발생되는 기포가 방출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기포기(41)로부터 발생되는 기포는 메인 파이프(13)에서 복수의 위치에 공급되도록 하며, 예시한 도면에서 기포 발생노즐(42)은 유입구(11)와 제1 이온수 형성부(20) 사이와 절수용 다공판(32)의 후방에 형성되도록 한다.
기포 발생노즐(42)은 관형상의 주면으로 미세한 직경의 노즐공(420)들이 무수하게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급수부(50)는 차단판(51)과 샤워수관(52)과 버블수관(53) 및 마이크로버블수 생성노즐(54)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즉, 급수부(50)의 차단판(51)은 절수용 다공판(32)을 통과한 이온수에 기포 발생노즐(42)로부터 발생되는 기포가 혼합되도록 한 이온수의 공급로를 차단하도록 하고, 차단판(51)에는 샤워수관(52)의 일단과 버블수관(53)의 일단이 연결되도록 하며, 이때 버블수관(53)의 차단판(51)측 단부에는 마이크로버블수 생성노즐(54)이 구비되도록 한다.
샤워수관(52)과 버블수관(53)의 각 타단은 전환밸브(12)에 각각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샤워수관(52)으로는 이온수가 공급되도록 하고, 마이크로버블수 생성노즐(54)을 통해 생성되는 마이크로버블수는 버블수관(53)을 통하여 전환밸브(12)로 공급되도록 한다.
전환밸브(12)에서 선택 전환된 이온수 또는 마이크로버블수가 샤워기를 통해 분사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전환밸브(12)에 의해 이온수와 마이크로버블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전환밸브를 조절을 통해 이온수와 마이크로버블수를 함께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0)의 상부에는 일정 높이로 샤워기 고정홀더(미도시)가 구비되게 함으로써 어린 아이나 애완동물을 목욕 시 샤워기를 잡지 않고도 손쉽게 목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샤워용 이온수 및 마이크로버블수 발생장치의 작용과 효과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샤워용 이온수 및 마이크로버블수 발생장치는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를 이온화하면서 샤워기를 통하여 이온수 또는 마이크로버블수가 분사되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샤워용 이온수 및 마이크로버블수 발생장치의 제1 이온수 형성부를 통한 이온수 생성 작동 상태도이다.
예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유입구(11)로부터 메인 파이프(13)의 일측으로 유입되는 원수는 제1 이온수 형성부(20)의 캡(23)에 형성되는 제1 홀(230)을 통과하게 되며, 이때 제1 홀(230)을 통과하면서 캡(23)에는 유동대전(流動帶電)에 의해 미세 전류가 발생되고, 이렇게 발생되는 전류는 제1 홀(230)을 통과하는 원수에 전달된다.
또한 캡(23)에서 발생되는 미세 전류는 홀더(21)와 연결하는 스크류를 통해서 홀더(21)에 전달된다.
캡(23)은 홀더(21)와 결합되며, 홀더(21)에는 캡(23)과 동일한 위치에 제2홀(211)이 형성되고, 제2 홀(211)의 내주면에는 제2 와류발생용 요철면(212)이 형성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제2 홀(211)을 통과하면서 미세 전류가 흐르는 원수가 와류를 형성하면서 통과하게 된다.
또한 홀더(21)의 메인 파이프(13) 내주면과 일정 간극 이격되도록 축소되도록 한 외주면에도 제1 와류발생용 요철면(210)이 형성되게 함으로써 홀더(21)의 외주면과 메인 파이프(12)의 내주면 사이로 원수는 와류를 형성하면서 돌아 나오게 되고, 캡(23)과 홀더(21)의 제1 홀(230)과 제2 홀(211)을 통하여 다시 와류를 형성하면서 제2 이온수 형성부(30)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제1 이온수 형성부(20)를 통과하면서 1차 유속은 감속이 이루어지게 되며, 홀더(21)에 결합된 영구자석(22)에 의한 자성과 미세 전류 및 와류에 의하여 원수에서는 이온화가 발생된다.
즉, 제1 이온수 형성부(20)를 지나면서 원수는 유속이 감속되면서 원수를 이온화시키게 되므로 음이온이 다량으로 형성된다.
제1 이온수 형성부(20)에서 이온화되는 이온수는 도 6에서와 같이 제2 이온수 형성부(30)를 지나면서 이온화가 가속시켜 더욱 많은 음이온을 생성하게 된다.
다시 말해 제1 이온수 형성부(20)를 통과한 이온수는 제2 세정수(30)의 벤츄리관(31)에서 수압이 상승되도록 하다 벤츄리관(31)의 제3 와류발생용 요철면(310)을 통과하면서 유속을 급격하게 상승되도록 하는 동시에 와류를 일으키며, 제3 와류발생용 요철면(310)을 형성한 홀을 통과한 이온수는 더욱 이온화가 촉진된다.
벤츄리관(31)을 통과한 이온수는 다시 절수용 다공판(32)에 이르러 유속이 감속되면서 제3 홀(320)을 통과하게 되는 유량이 줄어든다.
절수용 다공판(32)을 통과한 이온수는 다시 기포 발생노즐(42)로부터 발생되는 기포와 섞이게 되고, 기포가 혼합된 이온수는 차단판(51)에 부딪쳐 일부는 샤워수관(52)을 통해 전환밸브(12)로 유도되고, 다른 일부는 마이크로버블수 생성노즐(54)을 통과하면서 형성한 마이크로버블수를 버블수관(53)을 통하여 전환밸브(12)로 유도한다.
따라서 샤워수관(52)과 버블수관(53)을 통해 전환밸브(12)에는 항상 이온수 또는 이온화된 마이크로버블수가 공급되며, 다만 사용자는 전환밸브(12)를 조작하여 이온수 또는 마이크로버블수를 선택적으로 공급 단속하거나 동시에 공급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전환밸브(12)에는 샤워수관(52)과 버블수관(53)을 통해 이온수와 이온화된 마이크로버블수가 공급되도록 하고, 전환밸브(12)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서 샤워를 하거나 욕조에서 마이크로버블수에 의해 목욕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온수 또는 이온화된 마이크로버블수에 의해 원수에서의 염소와 각종 중금속이 제거되게 함으로써 살균력 및 정수효율이 보다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되는 이온수 또는 마이크로버블수는 수질 정화력 뿐만 아니라 샤워를 하거나 욕조에서의 목욕 시 피부에 자극적이지 않으면서도 비누나 바디샴프 이상의 세정력을 갖게 된다.
이온수의 무자극 세정력에 의한 효과와 함께 이온화된 마이크로버블수는 더욱 물의 입자를 미립화하여 피부에 접촉하게 되므로 피부의 모공 속 이물질을 세분화시키도록 하고, 흡착력이 강해 모공 속의 이물질들을 강력하게 흡착하여 분리시키게 되므로 보다 강력한 세정력을 발휘하도록 한다.
따라서 무자극의 이온수 또는 마이크로버블수에 의한 샤워나 목욕은 피부가 여린 어린 아이들이나 애완용 동물들에게 더욱 적합하며, 보습력이 뛰어나므로 건조한 피부나 알레르기성 피부에서 유발되는 아토피 예방 및 치료에 더욱 효과적이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이온수는 수많은 기포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자연스럽게 공기 중의 산소가 포함된다. 따라서, 산소수 샤워기능도 가능한 장점이 있다.
부가적으로 이 본 발명은 수돗물이나 지하수 사용의 절수효과 및 잔류염소 감소, 스케일 제거, 녹물발생방지 등 수처리기로 사용 가능하다.
10 : 하우징 11 : 유입구
12 : 전환밸브 13 : 메인 파이프
20 : 제1 이온수 형성부 21 : 홀더
22 : 영구자석 23 : 캡
211 : 제2 홀 230 : 제1 홀
30 : 제2 이온수 형성부 31 : 벤츄리관
32 : 절수용 다공판 320 : 제3 홀
40 : 기포발생부 41 : 기포기
42 : 기포 발생노즐 50 : 급수부
51 : 차단판 52 : 샤워수관
53 : 버블수관 54 : 마이크로버블수 생성노즐

Claims (7)

  1. 일측으로는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비되고, 타측으로는 전환밸브를 구비하는 하우징;
    후단부측 외경이 유입구와 전환밸브 사이의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메인 파이프의 내경에 맞춤 결합되도록 하고 선단부측으로부터 일정 길이의 외주면은 메인 파이프의 내경보다는 일정 폭 작게 형성되도록 하면서 외주면으로 제1 와류발생용 요철면을 이루며 일정 직경으로 관통되게 형성한 복수의 제2 홀의 내주면에는 제2 와류발생용 요철면을 형성하는 홀더와, 상기 홀더의 중앙에 삽입되는 영구자석과, 유입구측 단면에서 판면에는 상기 홀더의 제2 홀과 연통되도록 제1 홀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영구자석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커버하면서 상기 홀더에 스크류 체결에 의해 결합되는 캡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가 상기 제1홀을 통과하면서 미세전류가 발생되고, 상기 제1 와류발생용 요철면과 제2 와류발생용 요철면을 통과하면서 와류가 형성되며, 상기 영구자석에 의해 이온화되도록 하는 제1 이온수 형성부;
    제1 이온수 형성부로부터 유입되는 원수를 압축과 와류형성 및 확산시키는 수압 변화에 의해 유속이 빨라지도록 하면서 이온화되도록 하고, 이온화시킨 이온수가 복수의 미세홀을 통과하면서 확산되도록 하여 유속이 증가되도록 하는 제2 이온수 형성부;
    하우징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면서 메인 파이프 내부에서 제1 이온수 형성부의 선단과 제2 이온수 형성부의 후단에서 기포가 발생되도록 하는 기포발생부;
    제2 이온수 형성부를 통과하면서 기포가 포함된 이온수를 샤워수관 또는 버블수관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전환밸브를 통해 이온수 또는 마이크로버블수가 선택적으로 급수되도록 하는 급수부;
    로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샤워용 이온수 및 마이크로버블수 발생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아연 또는 망간 또는 아연과 망간을 혼합한 합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캡은 테프론 또는 카본 또는 세라믹으로 이루어지는 샤워용 이온수 및 마이크로버블수 발생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온수 형성부는
    양측단부로부터 길이 중간 부위로 점차 내경이 축소되도록 하여 제1 이온수 형성부에서 이온화된 세정수가 통과하면서 단면적이 점차 좁아지다 순간적으로 확장되게 함으로써 유속이 급격하게 빨라지도록 하는 벤츄리관과,
    판면에는 미세한 직경의 미세홀들이 복수 개로서 형성하고, 미세홀들은 입구로부터 출구측으로 내경이 점차 확장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절수용 다공판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샤워용 이온수 및 마이크로버블수 발생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벤츄리관과 절수용 다공판은 전도성 황동으로 구비하는 샤워용 이온수 및 마이크로버블수 발생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벤츄리관의 내주면으로 제3 와류발생용 요철면을 형성하는 샤워용 이온수 및 마이크로버블수 발생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블수관의 입구에는 마이크로버블수 생성노즐이 구비되도록 하는 샤워용 이온수 및 마이크로버블수 발생장치.
KR1020160143584A 2016-10-31 2016-10-31 샤워용 이온수 및 마이크로버블수 발생장치 KR101849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584A KR101849533B1 (ko) 2016-10-31 2016-10-31 샤워용 이온수 및 마이크로버블수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584A KR101849533B1 (ko) 2016-10-31 2016-10-31 샤워용 이온수 및 마이크로버블수 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9533B1 true KR101849533B1 (ko) 2018-06-11

Family

ID=62600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3584A KR101849533B1 (ko) 2016-10-31 2016-10-31 샤워용 이온수 및 마이크로버블수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95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2623A (ko) 2018-07-27 2020-02-05 (주)에너지원닥터 유체 디스펜싱 장치
KR20230068475A (ko) * 2021-11-10 2023-05-18 한국식품연구원 중공형 압축판을 포함하는 배열을 구비한 가압형 마이크로버블 발생장치용 토출부 및 이를 포함하는 가압형 마이크로버블 발생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5272B1 (ko) 1993-06-11 2002-06-20 나시모토 류우조오 반도체 기억장치
KR100824714B1 (ko) * 2007-04-23 2008-04-24 노복섭 마이크로버블 발생장치
JP4187747B2 (ja) * 2005-02-21 2008-11-26 栄治 松村 オゾン水生成装置、オゾン水生成方法及びオゾン水
KR101399450B1 (ko) * 2013-06-07 2014-06-27 김현용 스케일 생성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5272B1 (ko) 1993-06-11 2002-06-20 나시모토 류우조오 반도체 기억장치
JP4187747B2 (ja) * 2005-02-21 2008-11-26 栄治 松村 オゾン水生成装置、オゾン水生成方法及びオゾン水
KR100824714B1 (ko) * 2007-04-23 2008-04-24 노복섭 마이크로버블 발생장치
KR101399450B1 (ko) * 2013-06-07 2014-06-27 김현용 스케일 생성 방지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2623A (ko) 2018-07-27 2020-02-05 (주)에너지원닥터 유체 디스펜싱 장치
KR20230068475A (ko) * 2021-11-10 2023-05-18 한국식품연구원 중공형 압축판을 포함하는 배열을 구비한 가압형 마이크로버블 발생장치용 토출부 및 이를 포함하는 가압형 마이크로버블 발생장치
KR102564392B1 (ko) * 2021-11-10 2023-08-09 한국식품연구원 중공형 압축판을 포함하는 배열을 구비한 가압형 마이크로버블 발생장치용 토출부 및 이를 포함하는 가압형 마이크로버블 발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94103B2 (ja) シャワーヘッド
JP4736672B2 (ja) シャワー装置
JP4925310B2 (ja) シャワー装置
KR101602657B1 (ko) 살균정화 샤워기
KR101946170B1 (ko) 미세버블 샤워헤드
TW387026B (en) Cleaning water discharge device
KR101849533B1 (ko) 샤워용 이온수 및 마이크로버블수 발생장치
JP4915901B2 (ja) 洗面化粧台
CN108323907A (zh) 一种洗头装置
KR20150026013A (ko) 버블 샤워기
JP6947434B2 (ja) 便秘予防、宿便除去及び快便誘導用医療器
KR101410677B1 (ko) 두피마사지 기능 및 수량 조절기능을 구비한 음이온 샤워장치
KR20190027103A (ko) 워터랩 샤워기
JP2007089702A (ja) シャワー装置
KR20060059623A (ko) 샤워기용 다기능필터
KR101860451B1 (ko) 비타민c를 이용한 염소 제거 필터
KR20160062614A (ko) 샤워 헤드
KR101535394B1 (ko) 가정용 미세기포 발생 노즐
CN202445946U (zh) 带消毒系统的浴缸
CN208017082U (zh) 一种洗头装置
KR100696885B1 (ko) 샤워기 헤드
KR20150137522A (ko) 카트리지가 장착된 샤워기
KR102250713B1 (ko) 고압수 분사를 위한 와류 형성 장치
KR100680806B1 (ko) 좌욕기
KR20130127352A (ko) 절수장치등이 구비된 다용도 세척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