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2614A - 샤워 헤드 - Google Patents

샤워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2614A
KR20160062614A KR1020140165600A KR20140165600A KR20160062614A KR 20160062614 A KR20160062614 A KR 20160062614A KR 1020140165600 A KR1020140165600 A KR 1020140165600A KR 20140165600 A KR20140165600 A KR 20140165600A KR 20160062614 A KR20160062614 A KR 20160062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hower
spray
head
shower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5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보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미지펙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미지펙토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미지펙토리
Priority to KR1020140165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2614A/ko
Publication of KR20160062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26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8Roses; Shower heads
    • B05B1/185Roses; Shower heads characterised by their outlet element; Mounting arrangement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치 않은 가정내 상수도 압력에 대응하여 최적의 살수 조건과 변동적인 상수도 압력에 대응하여 균일한 토출압과 살수형상을 유지하도록 되고, 물 분자를 와류형상과 파동형상으로 분해하여 레너드 효과(LenHrd effect)로 인한 음이온 발생구조를 최적화하는 샤워 헤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샤워 헤드의 풍부한 물줄기는 샤워효율을 증대시키고, 분사되는 물줄기는 마사지효과를 증대시킴과 아울러 작고 미세한 물줄기는 피부가 약한 사람이나 어린아이들도 거부감이나 불쾌감없을 뿐만 아니라, 샤워 헤드로 공급되는 물은 이중으로 형성된 살수판을 거치면서 미세한 물 입자로 분해함과 동시에 물 분자를 와류형상과 파동형상으로 분해하여 최적의 음이온을 발생시킴에 따라 욕실내의 공기정화 및 인체의 피부에 균일하게 분사되어 샤워 효율을 가일층 증대시키는데 크게 기여하며, 향 카트리지는 세면이나 샤워시 향수가 사람에게 공급되어 욕실을 포함한 샤워를 마친 사람의 몸에서 향기를 발산하게 되고, 향필터의 교환을 통해 여러 가지 향기를 가진 향수가 배출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샤워 헤드{shower heHd}
본 발명은 욕실의 샤워호스(shower hose)에 접속되는 샤워 헤드(shower heHd)에 관한 것이다.
공기 중에는 양이온(plus ion)과 음이온(minus ion)이 균등하게 공존하지만 공기가 오염된 도시지역에서는 공기 중에 양이온이 더 많이 포함되어 있는 반면 삼림, 온천지, 폭포의 주위, 분수 근처 경우에는 공기 중에 음이온이 더 많이 관측되고, 공기 중의 음이온이 많은 환경에서는 사람의 일능률, 쾌적성, 피로도, 치유 등에 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음이온은 폭포 주변에 다수 발생하며 낙하하는 물이 분쇄될 때에 음이온이 발생하는 레너드 효과(LenHrd effect)는 샤워수를 방출하는 샤워 헤드를 사용한 경우에도 음이온이 발생한다.
샤워 헤드는 냉수와 온수의 양을 조절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적당한 온도의 물(샤워수)을 분출시키도록 샤워룸이나 욕실 등 각종 샤워시설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샤워 헤드는 그 선단에 동일 크기의 작은 살수 구멍이 다수 천공된 평판의 살수판이 장착되어 샤워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살수판의 살수 구멍으로 분산 배출시키며 샤워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보다 효과적인 샤워 기능을 위해 살수공의 개수와 면적 및 분포상태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샤워 헤드는 다수개의 살수 구멍으로 일정 굵기의 물줄기가 여러 줄 나오는 하나의 형태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가정에서 사용시 어린아이가 샤워하기에 수압이 강하고 물 분사량이 많아 불편한 경우가 많다.
최근, 샤워 헤드는 사용 수량(水量)을 절약하기 위한 절수 기능을 부가 즉, 살수판에 가공되는 살수구멍의 총 개구 면적(구멍의 수를 줄이거나 구멍의 직경)을 작게 형성하는 방안이 개시되었으나, 살수판의 살수구멍 수를 줄일 경우 절수 효과는 있지만 샤워수가 분산되는 퍼짐이나 세정작용이 저하되고, 살수구멍을 작게 형성하는 경우 분사압이 높아져 신체에 접촉했을 때 고통을 느끼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통상 수돗물은 정수장에서 염소 성분을 투입하여 소독하게 되는데 상기 염소 성분은 정수 과정 또는 각 가정으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일부 대기 속으로 휘발되어 제거되지만 대부분의 염소 성분은 제거되지 않고 물 속에 용해되어 잔류하기 때문에 수돗물 특유의 냄새를 제공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잔류 염소량이 높을 경우, 어린이나 피부가 약한 사람에게 피부염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거나 잔류 염소량이 높은 물을 데워 사용할 경우는 증기 속에 포함된 염소 성분이 기관지 또는 폐가 약한 사람에게 매우 나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할 수 있도록 특별한 기능이 부가된 다양한 종류의 샤워 헤드들이 개발되기도 하였다.
일예로 인체에 유해한 잔류 염소 성분을 제거할 수 있는 여과필터(장치)를 구비한 샤워 헤드는 투명 카트리지 내부에 비타민 C가 충진되는 필터(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1-68335호)를 내장되게 설치하여 비타민 C의 화학반응을 통해 수돗물 내에 함유되어 있는 염소 성분을 제거하고, 실용신안등록 제20-0335084호는 투명 카트리지 내부에 내부충진물 및 1 내지 3 종류의 세라믹볼이 충진되는 여과필터를 샤워 헤드부 또는 손잡이부에 수납되게 구성하여 잔류 염소 성분을 제거를 꾀하였으나 수압에 영향을 받아 저 수압 가정에서는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특허공개번호 제10-1999-0081256호에 개시된 '향 샤워기'는 수도꼭지를 통해 배출되는 냉수 및 온수의 양을 조절하는 밸브, 플렉시블 호스를 통해 전달된 물을 배출하는 샤워꼭지, 상기 수도꼭지에 설치되어 내부에 향필터가 장착되는 향수기가 구비되어 샤워 후 사람의 몸에서 향기를 풍기는 미용효과 발휘하는 기능이 부가된 샤워 헤드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샤워 헤드의 향필터는 사용 용도에 따라 일반용 향필터와, 비누형 향필터 및 샴푸형 향필터로 구분되며, 일반용 향필터는 단순히 물에 녹아 향을 풍기도록 되고, 비누형 향필터는 비누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여 찌든 때를 없애줌과 동시에 향을 제공하며, 샴푸형 향필터는 샴푸 역할을 하여 머리속의 먼지 및 피지 등을 제거함과 동시에 향을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나 향을 제공하는 향 샤워기의 경우 향수기가 별개로 구성되어 밸브에 조립되는 조립식으로 구성함에 따라 구조가 복잡하고 유지 보수 등에 어려움이 있고, 장치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외관 등이 미려하지 않다.
종래의 샤워 헤드는 살수공의 구경이 1m/m이상으로 상수도의 수압이 저압인 경우에는 토출 수압이 극히 미약하여 샤워가 불가능하고, 고압일 경우에는 체감하는 살수압력이 너무 높고 토출수가 산란하여 불쾌감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샤워 헤드는 가압의 목적으로 살수 공을 작게하고 가압을 위해 살수공의 수를 적게하여 인입 압력에 비해 토출 압력을 증가시키는 단순구조는 샤워 체감조건을 무시한 구조로 샤워 헤드와 인체의 최적거리 간격을 감안치 않고 무조건적으로 가압만 고려하고 있다.
따라서 가정용 샤워 헤드의 구조를 설계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는 각 가정내의 상수도 압력이 일정하지 않아(1.6Kg/cm²- 7Kg/cm²) 체감하는 수압을 일정수준으로 조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샤워 헤드의 다양한 부가적인 기능(염소제거, 향, 음이온 기능)들이 각각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 해소를 위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일정치 않은 가정내 상수도 압력에 대응하여 최적의 살수 조건을 갖도록 설계된 샤워 헤드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변동적인 상수도 압력에 대응하여 균일한 형상의 토출압과 일정하고 균일한 살수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살수판의 특수구조 설계로 물 분자를 와류형상과 파동형상으로 분해하여 레너드 효과(LenHrd effect)로 인한 음이온 발생구조를 최적화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해결 수단은, 헤드부(10)와 그립부(20)로 구성되는 샤워 헤드(S)의 내측에 살수판(30)이 구비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10)는 다수의 살수구멍(311,321)들이 천공되는 한쌍의 살수판(30)과, 헤드부(10)의 전면으로 탈착되는 전면커버(12)와, 헤드부(10)의 수납공간(102)으로 취부되는 향카트리지(40)와, 상기 헤드부(10)와 전면커버(12) 사이로 개제되는 장식링(14)을 더 포함하고,
상기 그립부(20)는 헤드부(10)의 나사부(101)와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203)와 샤워호스(H)가 접속되는 나사부(204)가 구비된 소켓(205)이 몸체(201)와 결합되어 그 내측으로 필터부재(50)가 수납되고,
상기 살수판(30)은 2개가 한쌍으로 되어 양쪽에 서로 마주하도록 나란히 배치하되, 직경0.05mm이상이고 0.2mm이하로 되는 다수의 제1,2살수구멍(311,321)들이 천공되는 내측살수판(310)과 전면살수판(320) 사이에 살수판가이드(330)가 게재되고 상기 전면살수판(320)의 제2살수구멍(321)의 전면부(토출측)는 원형 구멍(322)으로 되고 그 배면부(유입측)는 삼각형 구멍(323)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측살수판(310)의 제1살수구멍(311)들은 전면살수판(320)의 제2살수구멍(321) 수 보다 2배수 많게 형성되고,
상기 향카트리지(40)는 내측에 고형화 시킨 천연 또는 인공 향(43)을 수용할 수 있는 수납공간(42)이 구비되는 케이스(41)와 상기 케이스(41)에 수용되는 향(43)이 유실됨이 없도록 차폐하는 뚜껑(44)으로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41)와 뚜껑(44)에는 물이 순환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구멍(441)이 천공되고,
상기 필터부재(50)는 내부가 다단으로 구획되는 몸체(51)와, 상기 몸체(51)의 개구부로 결합되는 뚜껑(53)으로 되고, 상기 몸체(51)와 뚜껑(53)에는 필터링부재(55)와 물이 접촉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구멍(54)이 천공되고, 필터링부재(55)는 항균볼(551), 맨박석 볼(552), 바이오볼(55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헤드를 제공한다.
상기 향카트리지(40)의 향 소재는 레몬과 쟈스민, 라벤더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샤워 헤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샤워 헤드에 의하면, 샤워효율을 증대시키고, 분사되는 물줄기는 마사지효과를 증대시킴과 아울러 작고 미세한 물줄기는 피부가 약한 사람이나 어린아이들도 거부감이나 불쾌감없이 샤워하기에 적당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샤워 호스를 통해 샤워 헤드로 공급되는 물은 이중으로 형성된 살수판의 제1,2살수구멍을 거치면서 미세한 물 입자로 분해함과 동시에 물 분자를 와류형상과 파동형상으로 분해하게 되어 최적의 음이온을 발생시킴에 따라 욕실내의 공기정화 및 인체의 피부에 균일하게 분사되어 샤워 효율을 가일층 증대시키는데 기여한다.
또한, 샤워 헤드에 염소제거 및 수질정화용 필터부재가 구비하고 있어 깨끗하고 위생적인 물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향 카트리지는 세면이나 샤워시 향수가 사람에게 공급되어 욕실을 포함한 샤워를 마친 사람의 몸에서 향기를 발산하게 되고, 향필터의 교환을 통해 여러 가지 향기를 가진 향수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 헤드의 구성을 나타낸 일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샤워 헤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 헤드의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살수판에 천공되는 제2살수구멍의 예시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 헤드의 유체의 인입과 토출구조에 따른 유체 흐름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시물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 헤드의 살수 영상을 확대한 영상의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 헤드의 구성을 나타낸 일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샤워 헤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 헤드의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수도관과 연결되는 샤워호스(H), 상기 샤워호스(H)가 접속되는 샤워 헤드(S)는 헤드부(10)와 그립부(20)로 구성되고 상기 헤드부(10)의 내측에 살수판(30)이 설치되어 샤워호스(H)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샤워 헤드(S)의 살수판(30) 살수구멍들을 통해 샤워수를 외부로 분출하도록 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샤워 헤드(S)는 샤워호스(H)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외부로 분출하는 헤드부(10), 상기 헤드부(10)의 나사부(101)와 대응되는 암나사(201)가 구비되는 그립부(20)로 되고, 상기 헤드부(10)와 그립부(20)는 합성수지 사출물로 이루어져 나사 결합방식에 의해 상호 분해 조립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헤드부(10)는 전면에 동일한 크기로 되는 다수의 제1,2살수구멍(311,321)들이 천공되는 한쌍의 살수판(30)과, 상기 살수판(30) 고정을 위해 헤드부(10)의 전면으로 탈착되는 전면커버(12)와, 헤드부(10)의 수납공간(102)으로 취부되어 물에 녹는 향이 장입되는 향카트리지(40)와, 상기 헤드부(10)와 전면커버(12) 사이로 개제되는 장식링(14)을 더 포함하고 있다.
그립부(20)는 중공 원통체로 몸체(201)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201)의 일측단에는 헤드부(10)의 나사부(101)와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203)가 구비하며 타측단에는 샤워호스(H)가 접속되는 나사부(204)가 구비된 소켓(205)이 결합된다. 상기 소켓(205)과 몸체(201)는 접착제 또는 고주파 접착기를 매개로 일체로 접합되게 구성하여 몸체(201)의 내측으로 염소제거제 또는 물을 정제하는 기능성 소재 등이 수용되는 필터부재(50)가 수납된다.
살수판(30)은 두께 0.4mm, 직경 80mm의 스테인리스(stHinless steel) 박판소재를 이용하여 원형으로 제작되고, 상기 살수판(30)에는 동일한 크기(직경0.05mm이상이고 0.2mm이하)로 되는 다수의 살수구멍(311,321)들이 천공된다.
상기 살수판(30)은 2개가 한쌍으로 되어 양쪽에 서로 마주하도록 나란히 배치하되, 샤워 헤드(S)의 헤드부(10) 내측는 직수 유출을 유도하는 내측살수판(310)이 배치되고, 샤워 헤드의 헤드부 바깥쪽에는 와류를 형성하는 전면살수판(320)이 배치되고, 상기한 내측살수판(310)과 전면살수판(320) 사이에는 일정 거리간격(틈새)만큼 이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살수판가이드(330)가 게재된다.
상기 내측살수판(310)의 제1살수구멍(311)은 통상의 원형구멍으로 형성되어 직수를 분출시키도록 되고, 전면살수판(320)의 제2살수구멍(32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면이 서로 다른 모양 즉, 전면부(토출측)는 원형 구멍(322)으로 형성한 반면 그 배면부(유입측)는 삼각형 구멍(323) 모양을 이루도록 상이하게 구성하여 제2살수구멍(321)으로 물이 통과할 경우 회전하는 와류를 형성하도록 유도하였다.
그리고 내측살수판(310)의 제1살수구멍(311)은 전면살수판(320)의 제2살수구멍(321) 수 보다 2배수 많게 형성되고, 상기한 살수판(30)의 살수구멍(311,321)들은 포토에칭을 통해 가공된다.
향카트리지(40)는 헤드부(10)의 내측으로 수납되어 헤드부(10)로 유입되는 물에 의해 향이 일정기간 동안 서서히 녹아 내릴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향카트리지(40)는 내측에 고형화 시킨 천연 또는 인공 향(43)을 수용할 수 있는 수납공간(42)이 구비되는 케이스(41)와 상기 케이스(41)에 수용되는 향(43)이 유실됨이 없도록 차폐하는 뚜껑(44)으로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41)와 뚜껑(44)에는 수납공간으로 수납된 향(43)이 물과 접촉 및 순환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구멍(441)이 천공되고, 상기 향(43)은 물과 접촉에 의해 녹아내릴 수 있도록 젤타입이나 구슬 형태로 고형화하여 물과 접촉에 의해 일정기간 동안 녹아 내릴 수 있도록 유도하고, 향이 모두 소진된 후에는 추가적으로 충진주입 후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향카트리지(40)는 일정주기(약 3개월정도) 마다 교체가 가능하도록 헤드부(10)의 수납공간(102)으로 탈착되는 카트리지 타입으로 구성되어, 헤드부(10)의 수납공간(102)으로 취부된 향카트리지(40) 전체를 분리하야 새로운 향카트리지(40)로 간편하게 교환하는 것을 통해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향카트리지(40)의 내측으로 장입되게 되는 향(43)은 물에 녹아 향을 풍기는 일반적인 향을 이용하거나 기능성 향 즉, 비타민C 또는 아로마향 등과 같은 향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서는 기존의 일반용 향필터와 비누 또는 샴푸형 향필터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향카트리지(40)에 내장되는 향 소재는, 몸을 따뜻하게 하고 스트레스 해소 및 원기회복, 두통, 소화기능 강화에 도움을 주는 레몬;, 편안함을 느끼게 하는 달콤한 향기로 불안감, 초조감,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을 주는 쟈스민;, 피로회복과 머리를 맑게 해부고 불면증 해소에 도움을 주어 생활에 활략을 제공하는 라벤더; 등과 같은 천연 향을 소재로 제조되는 향 카트리지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향카트리지(40)의 내부에 향이 아닌 한방제, 비타민 등의 첨가물을 넣게 되면 사용자가 샤워시 은은한 향과 더불어 다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필터부재(50)는 그립부(20)의 내측에 수납되어 수도물에 포함된 염소 성분이나 유해 물질 등을 제거하는 필터링부재(55)가 구비된다.
상기 필터부재(50)는 일측단부가 개구되는 중공체로 형성되어 내부가 다단으로 구획되는 몸체(51)와, 상기 몸체(51)의 개구부로 결합되는 뚜껑(53)으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51)와 뚜껑(53)에는 필터부재(50)의 내측에 수용되는 필터링부재(55)에 그립부(20)로 유입되는 물이 접촉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구멍(54)들이 천공되어 있다.
필터링부재(55)는 항균볼(551), 맨박석 볼(552), 바이오볼(553)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필터링부재(55)에 있어, 항균볼(551)은 무수한 기공으로 이루어진 다공질속에 은(Ag) 나노 입자를 코팅 처리한 볼로 구성하여 물에 포함된 유해세균을 제거하는 살균작용을 하도록 되고, 맨반석 볼(552)은 오염물질, 중금속 등을 흡착, 분해하는 작용과 시멘트 독성중화, 탈취기능 및 인체에 활력을 주는 미네럴을 용출하여 신진대사와 피부 건강관리에 효과를 주고 산성이나 강한 알카리성 물을 pH7.2 ∼ 7.4의 약 칼리성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되며, 바이오 볼(553)은 10여종의 순수 천연 광물질을 혼합 조성하여 분쇄 등의 정제 처리과정을 통해 성형한 첨단 볼로서 생체 활성화의 근본 에너지인 원적외선(F.I.R) 복사열과 회전전자파(Electromagnetic wave) 기(氣)의 생성을 높이는 기능을 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 결합된 본 발명의 샤워 헤드(S)를 샤워호스(H)에 연결한 다음 급수밸브를 열게 되면, 수돗물은 샤워호스(H)와 샤워 헤드(S)의 그립부(20)를 통하여 헤드부(10)에 도달하고, 헤드부(10)로 유입된 물은 내측살수판(310)의 제1살수구멍(311)을 통해 가압되는 제트분수를 분출하게 되고, 제1살수구멍(311)을 통해 다량으로 분출되는 직수는 곧바로 외부로 분출되지 아니하고 전면살수판(320)에 부딪혀 살수판가이드(330)의 틈새 공간에 머물게 된다.
한편, 살수판가이드(330)의 내측 공간으로 유입된 물은 충돌에 의해 미세한 입자가 다량 발생하면서 전면살수판(320)에 천공된 제1살수구멍(321)을 통해 균일한 압력으로 확산되며 미세한 물줄기 형태의 샤워수를 분출하게 되어 샤워수와 접촉되는 피부의 세정작용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샤워 헤드의 이중 살수판을 통해 욕실로 분류 및 토출되게 되는 샤워수는 공기중의 음이온이 크게 증가하는 효과가 있게된다. 이는 살수판으로부터 분사되는 분사 수류의 개수가 많아짐에 따라서 사람의 피부나 두부에 접촉하게 되는 샤워수는 물의 입자가 서로 부딪힐 기회가 많아짐에 따라 미세한 물의 입자가 다량 발생한다.
따라서, 샤워수가 사람 피부나 두부에 접촉할 때의 충돌속도도 커지고, 이 큰 충돌에너지 때문에 물이 미세하게 분쇄되게 된다. 또, 충돌에너지가 크기 때문에, 충돌면에 접촉한 물방울이 분쇄되어 비산하게 되어, 비산된 물방울이 다른 물방울에 재충돌하는 비율도 증가한다.
또한, 살수판의 살수구멍에 의해 살수되는 물이 인체의 피부에 골고루 분사되도록 하여 샤워 효율을 가일층 증대시키며, 특히 삼각형으로 형성되는 살수구멍을 통하여 살수되는 물은 삼각형 살수구멍을 거치면서 마찰을 일으키며 분사되도록 하여 음이온이 증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립부(20)에는 필터부재(50)가 구비되어 물과 함께 유입되는 배관등에서 발생되는 녹가루 및 이물질 등은 상기 필터부재에 의해 걸러진 후 헤드부(10)로 공급되게 되어 살수판의 살수구멍이 이물질에 의해 막히게 되는 현상을 방지시킬 수 있으며, 상기 필터부재는 카트리지 타입으로 구성되어 그립부에서 쉽게 분해되어 청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헤드부(10)에 수납되는 향카트리지(40)는 물과 접촉에 의해 향을 서서히 녹임에 따라 헤드부를 통해 분류되는 물은 향기를 품게 되고, 이들 향기를 품고 있는 물은 향수가 되어 사용자의 몸에서 향기가 풍기게 하는 미용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샤워 헤드의 유체의 인입과 토출구조에 따른 유체 흐름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시물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인입 압력 조건을 가정내의 욕실 상수도압이 평균 최저상태 1.2Kg/cm²이고, 토출 압력 조건은 실내 대기압에 실험한 결과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일정치 않은 가정내 상수도 압력에 대응하여 최적의 살수 조건을 갖도록 설계된 샤워 헤드가 제공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 헤드의 유체의 인입과 토출구조에 따른 유체 흐름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시물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인입 수압을 통상의 상수도 압인 3.6Kg/cm²으로 설정하여 시물레이션 한 결과도 저압일 때와 해석 결과는 동일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샤워 헤드는 변동적인 상수도 압력에 대응하여 균일한 형상의 토출압과 일정하고 균일한 살수형상을 유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 헤드에 의한 살수 영상을 확대한 영상의 정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살수판의 특수구조 설계를 통해 물 분자를 와류형상과 파동형상으로 분해하여 레너드 효과(LenHrd effect)로 인한 음이온 발생구조를 최적화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러한 변형 및 모방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헤드부 12: 전면커버
14: 장식링 20: 그립부
30: 살수판 40: 향카트리지
41: 케이스 42: 수납공간
43: 향 44: 뚜껑
50: 필터부재 51,201: 몸체
53: 뚜껑 54: 구멍
55: 필터링부재 102: 수납공간
101, 204: 나사부 203: 암나사
205: 소켓 310: 내측살수판
311: 제1살수구멍 320: 전면살수판
321: 제2살수구멍 322: 원형 구멍
323: 삼각형 구멍 330: 살수판가이드
441: 구멍 551: 항균볼
552: 맨박석 볼 553: 바이오볼

Claims (1)

  1. 헤드부(10)와 그립부(20)로 구성되는 샤워 헤드(S)의 내측에 살수판(30)이 구비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10)는 다수의 살수구멍(311,321)들이 천공되는 한쌍의 살수판(30)과, 헤드부(10)의 전면으로 탈착되는 전면커버(12)와, 헤드부(10)의 수납공간(102)으로 취부되는 향카트리지(40)와, 상기 헤드부(10)와 전면커버(12) 사이로 개제되는 장식링(14)을 더 포함하고,
    상기 그립부(20)는 헤드부(10)의 나사부(101)와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203)와 샤워호스(H)가 접속되는 나사부(204)가 구비된 소켓(205)이 몸체(201)와 결합되어 그 내측으로 필터부재(50)가 수납되고,
    상기 살수판(30)은 2개가 한쌍으로 되어 양쪽에 서로 마주하도록 나란히 배치하되, 직경0.05mm이상이고 0.2mm이하로 되는 다수의 제1,2살수구멍(311,321)들이 천공되는 내측살수판(310)과 전면살수판(320) 사이에 살수판가이드(330)가 게재되고 상기 전면살수판(320)의 제2살수구멍(321)의 전면부(토출측)는 원형 구멍(322)으로 되고 그 배면부(유입측)는 삼각형 구멍(323)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측살수판(310)의 제1살수구멍(311)들은 전면살수판(320)의 제2살수구멍(321) 수 보다 2배수 많게 형성되고,
    상기 향카트리지(40)는 내측에 고형화 시킨 천연 또는 인공 향(43)을 수용할 수 있는 수납공간(42)이 구비되는 케이스(41)와 상기 케이스(41)에 수용되는 향(43)이 유실됨이 없도록 차폐하는 뚜껑(44)으로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41)와 뚜껑(44)에는 물이 순환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구멍(441)이 천공되고,
    상기 필터부재(50)는 내부가 다단으로 구획되는 몸체(51)와, 상기 몸체(51)의 개구부로 결합되는 뚜껑(53)으로 되고, 상기 몸체(51)와 뚜껑(53)에는 필터링부재(55)와 물이 접촉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구멍(54)이 천공되고, 필터링부재(55)는 항균볼(551), 맨박석 볼(552), 바이오볼(55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헤드.
KR1020140165600A 2014-11-25 2014-11-25 샤워 헤드 KR201600626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5600A KR20160062614A (ko) 2014-11-25 2014-11-25 샤워 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5600A KR20160062614A (ko) 2014-11-25 2014-11-25 샤워 헤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2614A true KR20160062614A (ko) 2016-06-02

Family

ID=56135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5600A KR20160062614A (ko) 2014-11-25 2014-11-25 샤워 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261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9124B1 (ko) 2019-10-04 2020-06-26 선정완 샤워 헤드
KR20210000267U (ko) * 2019-07-25 2021-02-03 (주)미륭이엔씨 샤워기 및 주방수전의 필터 오염 확인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267U (ko) * 2019-07-25 2021-02-03 (주)미륭이엔씨 샤워기 및 주방수전의 필터 오염 확인구조
KR102119124B1 (ko) 2019-10-04 2020-06-26 선정완 샤워 헤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2657B1 (ko) 살균정화 샤워기
KR101946170B1 (ko) 미세버블 샤워헤드
KR101210305B1 (ko) 정수기능을 갖는 샤워기
CN108495715B (zh) 可安装在水龙头上的节水喷嘴
KR20160062614A (ko) 샤워 헤드
KR20130007072A (ko) 원적외선 엘이디 샤워기
KR20150026013A (ko) 버블 샤워기
KR101410677B1 (ko) 두피마사지 기능 및 수량 조절기능을 구비한 음이온 샤워장치
JP3691284B2 (ja) 浄水機能付きシャワーヘッド
KR200294241Y1 (ko) 비타민필터가 내장된 샤워기
CN208494615U (zh) 一种花洒
KR101849533B1 (ko) 샤워용 이온수 및 마이크로버블수 발생장치
KR20110138659A (ko) 버블 절수 샤워기
KR100536638B1 (ko) 필터형 카트리지 및 수처리 방법
WO2005063104A1 (en) Shower apparatus
KR20130019047A (ko) 피톤치드 캡슐 및 필터 부재가 수납된 샤워 헤드
KR100717263B1 (ko) 다기능 샤워기
US20040262422A1 (en) Water-activating shower apparatus
KR20060059624A (ko) 샤워기용 비타민필터
JP3098957U (ja) シャワーヘッド
KR20060083817A (ko) 다기능 볼
KR20130019053A (ko) 피톤치드 캡슐이 수납된 샤워 헤드 조립체 및 피톤치드 용출물 캡슐
KR20210000575A (ko) 석회생성 방지를 위한 샤워기
KR101548576B1 (ko) 샤워헤드와 드라이어가 몸체에 일체로 장착된 샤워기
US20120261485A1 (en) Spray nozz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