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267U - 샤워기 및 주방수전의 필터 오염 확인구조 - Google Patents

샤워기 및 주방수전의 필터 오염 확인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267U
KR20210000267U KR2020190003114U KR20190003114U KR20210000267U KR 20210000267 U KR20210000267 U KR 20210000267U KR 2020190003114 U KR2020190003114 U KR 2020190003114U KR 20190003114 U KR20190003114 U KR 20190003114U KR 20210000267 U KR20210000267 U KR 2021000026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protective cover
contamination
head
filt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31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4161Y1 (ko
Inventor
김용문
김남곤
Original Assignee
(주)미륭이엔씨
주식회사 미륭티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륭이엔씨, 주식회사 미륭티엔지 filed Critical (주)미륭이엔씨
Priority to KR20201900031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161Y1/ko
Publication of KR202100002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2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1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1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3Filter condition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샤워기 및 주방수전의 필터 오염 확인구조에 관한 고안이 개시된다.
개시된 샤워기 및 주방수전의 필터 오염 확인구조는, 샤워기 및 주방수전의 본체에 필터 케이스를 보호하는 보호커버 구비에 의해, 필터 케이스의 외부 요인에 의한 손상 혹은 변형이 없도록 보호할 수 있게 하고, 그리고 필터의 오염 확인은 필터 케이스의 어느 일 부분으로부터 상기 보호커버와 수평면을 이루면서 빈틈 없이 결합할 수 있게 형성한 투시용 돌출부를 통해 확인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들이 필터의 상시 오염 상태를 보게 됨으로 인한 불편감을 해소하고, 아울러 투시용 돌출부의 주위로 이물질이 끼는 일이 없는 청결을 유지할 수 있게 하였다.

Description

샤워기 및 주방수전의 필터 오염 확인구조{Filter Contamination Inspection Structure of Showerhead and Faucet}
본 고안은 샤워기 및 주방수전의 필터 오염 확인구조에 관한 것이다.
특히 필터의 오염 여부 확인을 위해 설치한 필터 케이스를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하여 사용자가 필터 오염부분을 상시 보게 됨으로 인한 심리적 불편함을 없게 하면서도 필터의 오염 여부는 헤드의 어느 일측에 이물질이 끼이지 않는 구조로 마련된 투시용 돌출부를 통해 확인할 수 있게 한 샤워기 및 주방 수전의 필터 오염 확인구조에 관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 필터는 샤워기 헤드 또는 각종 수전류에 설치하여 수돗물에 포함된 녹물,이물질, 중금속,잔류 염소 등을 제거하여, 사용자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음용하거나 사용하게 되는 수돗물을 여과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트러블을 일으킬 수 요인을 제거하는 기능을 하는 것임은 주지된 사실이다.
이러한 정수 필터를 갖는 샤워기 헤드 및 수전류의 일예가 특허문헌에 공표되어 있다.
특허문헌1에는 '본 발명은 샤워기를 구성하는 샤워기 헤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샤워기 내부 구성을 간단하게 하여 조립이 용이하면서 물의 토출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나아가 내부에 구비된 부직포를 통하여 필터링 기능이 부여된 샤워기 헤드에 관한 것으로, 일단에는 필터링된 물이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필터링된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헤드용 바디를 포함한 샤워기헤드부와, 그리고 상기 샤워기헤드부로부터 분리, 체결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필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헤드용 바디와 분리,체결되는 필터용 바디와, 상기 필터용 바디 내부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물의 필터링을 위한 부직포로 이루어진 필터체와, 상기 필터체의 상단과 결합하는 것으로 관통공이 형성된 상단캡과, 그리고 상기 필터체의 하단과 결합하는 하단캡으로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샤워기 헤드에 내장된 필터의 오염 여부 확인은 사용자들이 샤워기 헤드를 일일이 분리해야 만 하는 불편과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 해소를 위하여 제안된 것이 하기 특허문헌2,3에 개시된 수전 및 샤워기 헤드이다.
특허문헌2는 '필터가 장착된 수도꼭지 보조헤드에 관한 것으로서, 수도꼭지와 연결되는 연결관을 구비한 수도꼭지 보조헤드에 있어서, 연결관과 보조헤드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수도물을 안내할수 있는 투명관을 연결되게 장착하고, 투명관은 상부캡과 하부캡으로 나누며, 투명관내에는 여과망에 의해 감싸진 활성탄 필터가 내장되고, 상기 상부캡 하단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이 나사산과 하부캡의 나사홈 사이에 고무패킹을 삽입후 나사식으로 결합되게 구성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수도물을 여과시켜 식수로 사용할수 있고, 또한 별도의 크기가 큰 정수기가 필요없을 뿐 아니라 설치가 간편하며, 가격이 저렴하여 경제적 부담이 적고, 사용하기 편리하다.'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2는 투명관을 통해 활성탄 필터의 오염 여부는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투명관 전체가 외부로 그대로 노출된 구성이어서 외부 환경에 의한 파손이나 투명도 저하 등의 변질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고 문제가 있다.
한편, 특허문헌3은 '샤워기 헤드의 내부에 장착되는 필터를 장착하고 외부에서 용이하게 점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필터의 외측에 위치하는 몸체의 일부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외부에서도 필터의 요염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므로 사용자는 샤워기 헤드의 필터를 인출하여 청소를 하거나 교체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3은 외부 케이스에 직접 설치한 개구부를 통한 필터의 오염 여부 확인 구조이어서, 외부 케이스의 강도 저하는 물론 개구부를 통한 투시 케이시의 손상 우려가 있다. 특히 외부의 환경요인에 의해 발생되는 오염물이 외부 케이스의 개구부를 통해 케이스 내부로 유입될 우려가 있고, 오염물의 유입은 내부 투시 케이스 및 외부 케이스의 오염 요인이 되게 하고 있다.
따라서 필터의 오염여부를 외부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하면서도 필터 투시용 케이스를 파손이나 오염에 의한 변질이 없게 보호할 수 있는 샤워기 및 주방 수전 헤드의 필터 오염 확인구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KR 특허공개번호 제10-2012-0126486호 KR 실용 공개번호 제2000-0006039호 KR 특허공개번호 제10-2017-0042200호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다양한 추가 장점들을 제공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샤워기 및 주방수전의 헤드에 필터 케이스의 보호커버 구비에 의해, 필터 케이스가 외부 요인에 의해 손상이나 혹은 변형이 없도록 보호되게 하였고, 또한 상기 필터의 오염 여부는 필터 케이스의 어느 일측에 상기 보호커버와 수평면을 이루면서 상기 보호커버와의 밀착으로 빈틈 없이 설치되는 소정 크기의 투시용 돌출부 만을 통해 확인할 수 있게 하여, 기존에 필터의 오염부분을 사용자가 항시 보게됨으로 인한 심리적 불편 현상을 없게 하였고, 또한 투시용 돌출부의 주위로 이물질의 끼임 현상을 없게하여 항시 위생적인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게 한 샤워기 및 주방수전의 필터 오염 확인구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제공되는 샤워기 및 주방수전의 필터 오염 확인 구조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고안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샤워기 및 주방수전의 필터 오염 확인 구조는, 물 토출구를 갖는 헤드와 연락되게 설치되어 물을 정수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를 수납하는 상태로 결합하는 관형상의 필터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 케이스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필터 케이스를 가리는 상태로 씌워서 상기 헤드에 결합한 관형상의 보호커버; 상기 보호커버와 상기 필터 케이스의 어느 일부위 만을 외부로 개방하여 상기 필터의 오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한 확인용 투시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확인용 투시구는 상기 보호커버의 어느 일측에 상기 보호커버의 일부위 만을 절제하여 상기 필터 케이스의 일부 만을 외부로 노출되게 하는 개방홈과 상기 필터 케이스의 상기 개방홈과의 대응 부위로부터 상기 개방홈과 같은 크기와 형태를 이루면서 볼록렌즈 형태로 돌출되어 상기 개방홈과 수평면을 이루며 상기 개방홈에 빈틈 없이 결합되게 한 투시용 돌출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필터 케이스 및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헤드로부터 교체할 수 있게 상기 헤드에 대하여 탈착되게 결합 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필터의 오염 여부 확인용 투명 케이스를 외부 요인에 의한 손상이나 변형이 없도록 한 효과를 부여하고, 특히 필터의 오염 여부는 투명재질의 필터 케이스로부터 상기 보호커버와 수평면을 이루면서 빈틈없이 결합되게 한 투시용 돌출부를 통해 확인할 수 있게 한 것에 의해, 사용자들로 하여금 오염 상태를 상시 보게 됨으로 인한 불편감을 없게 한 효과를 부여하고, 또한 투시용 돌출부의 주위로 이물질이 끼는 일이 없는 위생적인 청결 효과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필터 오염 확인 구조를 갖는 주방수전의 외관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1에서 주방수전 헤드 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a,도 4b, 및 도4c는 도2의 변형 예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샤워기 및 주방수전의 필터 오염 확인구조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필터 오염 확인 구조를 갖는 주방수전의 외관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1에서 주방수전의 헤드부위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리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필터 오염 확인 구조를 갖는 주방수전(10)을 일 예로 들어 표시하였으나, 샤워기에 적용되는 필터 오염 확인 구조 또한 상기 주방수전(10)의 필터 오염 확인 구조와 동일하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주방수전의 필터 오염 확인구조는 물을 토출하는 토출구(112)를 갖는 헤드(110)와 연락되게 설치되어 상기 토출구(112)를 통해 토출되는 물을 정수하는 필터(120)와, 상기 필터(120)를 수납하는 상태로 하여 상기 헤드(110)측으로 결합하도록 하고자 상기 필터(120)의 외형에 상응하는 내부가 빈(空) 관형상을 이루게 한 필터 케이스(13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필터 케이스(130)는 상기 헤드(110)에 결합되게 하는 중공(中空)구조를 이루게 한 관형상의 보호커버(140)에 의해 전체가 보호되는 상태로 씌워져서 보호하도록 하였다. 상기 필터 케이스(130)를 상기 보호커버(140)에 의해 보호하는 이유는, 상기 필터 케이스(130)가 물리적 혹은 화학적인 외부 요인으로부터 손상이나 혹은 변형됨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보호커버(140)는 화학적 혹은 물리적으로 변형이나 손상을 없게 하는 강도를 이루게 성형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커버(140)에 의해 전체가 보호되게 한 상기 필터 케이스(130)는 투명 재질로 형성함이 보통인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기 필터 케이스(130)가 상기 보호커버(140)에 의하여 보호되는 구조이어서 하기 확인용 투시구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불 투명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보호커버(140)와 상기 필터 케이스(130)에는 어느 일부위 만을 외부로 개방하여 상기 필터(120)의 오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한 확인용 투시구(150)를 마련하였다.
상기 확인용 투시구(150)는, 상기 보호커버(140)의 어느 일측에 상기 보호커버(140)의 일부위 만을 소정 넓이로 절제(切除)하는 형태로 형성하여 상기 필터 케이스(130)의 일부 만을 외부로 노출되게 하는 개방홈(152)과 상기 필터 케이스(130)의 상기 개방홈(152)과의 대응 부위로부터 상기 개방홈(152)과 같은 크기와 형태를 이루면서 볼록렌즈 형태로 돌출되게 하여 상기 개방홈(152)과 수평면을 이루며 빈틈 없이 밀착 상태로 결합되게 한 투시용 돌출부(154)로 구성하였다.
상기 확인용 투시구(150)를 상기 보호커버(120)의 전체가 아닌 상기 보호커버(120)의 일부에 만 설치한 이유는, 외부로부터 투명한 상기 필터 케이스(130)를 통하여 상기 필터(120)의 오염 부분을 보게 됨으로 인한 사용자들의 심리적 불편함을 줄이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투시용 돌출부(154)를 상기 보호커버(140)의 상기 개방홈(152)의 내면과 밀착되게 하면서 상기 개방홈(152)과 수평면을 이루게 구성하였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개방홈(152)과 상기 투시용 돌출부(154)의 사이에 틈새를 없도록 하여 상기 투시용 돌출부(154)의 주위로 이물질이 끼이게 되는 일이 없는 위생적인 청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유리한 이점이 있다.
상기 투시용 돌출부(154)는 볼록렌즈 형태로 구성하여, 상기 필터(120)의 오염 상태를 잘 확인하게 할 수도 있다. 오염된 필터의 교체 용이를 위해 상기 필터케이스(130) 및 상기 보호커버(140)는 상기 헤드(110)로부터 탈착되게 결합되게 구성하여, 종래 접착제에 의한 결합으로부터 유해 성분의 배출 염려가 없게되는 유리한 점도 있다.
도 4a,4b, 4c는 도2의 변형 예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헤드(110a,110b,110c)에 설치되는 확인용 투시구(150a ,150b,150c)를 상기 일 실시예의 도 1내지 도3에서 보아 도면에서 보아 헤드(110)의 우측 상부에 설치한 것과는 달리, 헤드(110a)의 좌측 상부(도 4a의 투시구(150a) 참조), 헤드(110b)의 좌측 하부(도 4b의 투시구(150b) 참조), 헤드(110c)의 우측 하부(도 4c의 투시구(150c) 참조)에 각각 설치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 밖의 구성 및 작용은 상기 일 실시예와 동일하여 생략한다.
이번에 개시된 실시 형태는 예시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 설명한 범위가 아니라,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의해 개시되며, 실용 신안등록 청구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에서의 모든 변경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10 : 필터 오염 확인 구조를 갖는 주방수전
110 : 헤드
112 : 토출구
120 : 필터
130 : 필터 케이스
140 : 보호 커버
150 : 확인용 투시구
152 : 개방홈
154 : 투시용 돌출부

Claims (3)

  1. 물 토출구를 갖는 헤드와 연락되게 설치되어 물을 정수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를 수납하는 상태로 결합하는 관형상의 필터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 케이스가 외부로 노출되어 보이지 않도록 상기 필터 케이스를 보호하는 상태로 씌워서 상기 헤드에 결합한 관형상 보호커버; 및
    상기 보호커버와 상기 필터 케이스의 어느 일부위 만을 외부로 개방하여 상기 필터의 오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한 확인용 투시구;를 포함하는 샤워기 및 주방수전의 필터 오염 확인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의 어느 일측에 상기 보호커버의 일부위 만을 소정 형태로 절제(切除)하여 상기 필터 케이스의 일부 만을 외부로 노출되게 하는 개방홈과 상기 필터 케이스의 상기 개방홈과의 대응 부위로부터 상기 개방홈과 같은 형태를 이루면서 볼록렌즈 형태로 돌출되어 상기 개방홈과 수평면을 이루며 빈틈 없이 결합되게 한 투시용 돌출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및 주방수전의 필터 오염 확인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케이스 및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헤드로부터 교체할 수 있도록 탈착되게 결합 됨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및 주방수전의 필터 오염 확인구조.
KR2020190003114U 2019-07-25 2019-07-25 샤워기 및 주방수전의 필터 오염 확인구조 KR2004941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114U KR200494161Y1 (ko) 2019-07-25 2019-07-25 샤워기 및 주방수전의 필터 오염 확인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114U KR200494161Y1 (ko) 2019-07-25 2019-07-25 샤워기 및 주방수전의 필터 오염 확인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267U true KR20210000267U (ko) 2021-02-03
KR200494161Y1 KR200494161Y1 (ko) 2021-08-18

Family

ID=74562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114U KR200494161Y1 (ko) 2019-07-25 2019-07-25 샤워기 및 주방수전의 필터 오염 확인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16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5807A (ko) 2021-12-07 2023-06-14 유승식 세척수의 채수 수단 겸 영상 촬영과 전송 수단 및 이를 이용하는 상수도관 세척 공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039A (ko) 1998-06-09 2000-01-25 오우라 히로시 범프형성방법및범프
KR200237578Y1 (ko) * 2001-04-02 2001-10-10 주식회사 명진아이피 주방용 수도꼭지의 분사헤드
KR20120126486A (ko) 2011-05-12 2012-11-21 시앤케이전자(주) 원활한 토출기능과 필터기능이 구비된 샤워기헤드
KR20160062614A (ko) * 2014-11-25 2016-06-02 주식회사 이미지펙토리 샤워 헤드
KR20170042200A (ko) 2015-10-08 2017-04-18 홍기 샤워기 헤드의 필터점검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039A (ko) 1998-06-09 2000-01-25 오우라 히로시 범프형성방법및범프
KR200237578Y1 (ko) * 2001-04-02 2001-10-10 주식회사 명진아이피 주방용 수도꼭지의 분사헤드
KR20120126486A (ko) 2011-05-12 2012-11-21 시앤케이전자(주) 원활한 토출기능과 필터기능이 구비된 샤워기헤드
KR20160062614A (ko) * 2014-11-25 2016-06-02 주식회사 이미지펙토리 샤워 헤드
KR20170042200A (ko) 2015-10-08 2017-04-18 홍기 샤워기 헤드의 필터점검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161Y1 (ko) 202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75740B2 (ja) 浄水器、および浄水器用カートリッジ
KR101148053B1 (ko) 정수기 필터 조립체
WO2012029412A1 (ja) 浄水カートリッジ、当該浄水カートリッジを備えた浄水装置および当該浄水装置を備えた流し台
KR20210000267U (ko) 샤워기 및 주방수전의 필터 오염 확인구조
JP5954346B2 (ja) 蛇口直結型浄水器
JP5491249B2 (ja) 蛇口直結型浄水器
US7138054B2 (en) Cartridge filter system
JP2003071436A (ja) 浄水器
KR101306776B1 (ko) 정수기 필터 조립체
US20130025463A1 (en) Air filter
CN208700822U (zh) 热水器前置过滤器
KR200461433Y1 (ko) 세척기능이 구비된 정수필터 교환용 카트리지
KR200452261Y1 (ko) 공기배출 필터드레인 밸브
CN217287298U (zh) 一种拆装便捷的过滤器滤芯
KR102496078B1 (ko) 필터가 내장된 휴대용 물병 뚜껑
JP5601544B2 (ja) 浄水カートリッジを備えている水栓
CN204798974U (zh) 滤水器的改良结构
CN215559412U (zh) 滤芯装置及净水器
KR0127634Y1 (ko) 정수기의 정수저장장치
KR102223924B1 (ko) 정수기
KR20110079963A (ko) 필터 어셈블리
KR101483526B1 (ko) 비데용 필터 조립체
CN211570276U (zh) 一种更换便捷的净水机滤芯
CN210340437U (zh) 一种水路阻垢装置的前置过滤组件
KR101763680B1 (ko) 스트레이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