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7141A -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 - Google Patents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7141A
KR20220087141A KR1020200177547A KR20200177547A KR20220087141A KR 20220087141 A KR20220087141 A KR 20220087141A KR 1020200177547 A KR1020200177547 A KR 1020200177547A KR 20200177547 A KR20200177547 A KR 20200177547A KR 20220087141 A KR20220087141 A KR 20220087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jig
water
storage unit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7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9347B1 (ko
Inventor
이인규
이종일
이종국
Original Assignee
이인규
이종일
이종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규, 이종일, 이종국 filed Critical 이인규
Priority to KR1020200177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9347B1/ko
Publication of KR20220087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7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2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having inlet or outlet 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40Special measures for connecting different parts of the fil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정수를 통해 싱크대에 급수하도록 싱크대 급수장치에 설치되는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에 있어서, 상부가 개구된 내부공간을 갖는 용기 형상으로 벽이 이중으로 마련되며, 상기 내부공간에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을 정수하고 상기 물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의 상부에 결합되고, 외부의 물이 유입되는 입수구와 상기 저장부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출수구가 마련되며 상기 입수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과 출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물이 서로 분리되는 뚜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온수와 냉수를 동시에 정수가능하고 저장된 온수와 냉수를 바로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가 접촉하여도 열전달이 되지 않아 안전하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특별한 도구나 기술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필터 교체가 간단하다.

Description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 { STORAGE CONTAINER WITH FILTER FOR WATER SUPPLLY APPLIANCE OF SINK }
본 발명은 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물을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걸러 정수하여 사용자에게 깨끗한 물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종래에는 통에 담겨진 생수를 공급받아 정수기에 거꾸로 장착한 상태에서 필요할 때마다 조금씩 배수시키며 사용하는 것과, 관체에 의해 수도꼭지와 연결되어 수도꼭지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에 함유된 콜로이드, 유기물, 이온 같은 용존 물질을 삼투압, 역삼투막, 중공 사막식 필터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분리 제거하며 자체적으로 정화 및 소독하며 사용하는 것으로 크게 나누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정수장치들은 직접 마시는 물을 정수하는 것에 집중하여 개발되었고, 생활용수는 불순물을 걸러내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또한 최근의 수돗물에서 벌레의 유충 또는 녹과 같은 이물질이 계속 발견됨에 따라 음용수 뿐만 아니라 생활용수에까지 관심이 높아지며, 그에 따른 더욱 확실한 정수가 필요한 상황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19522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싱크대에 설치되는 정수장치에 있어서, 온수와 냉수를 동시에 정수가능하고 저장된 온수와 냉수를 싱크대에 설치된 수도꼭지를 통하여 바로 사용할 수 있고, 필터 교체시 사용자가 접촉하여도 안전하도록 열의 전달이 최소화된 저장공간을 갖는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특별한 도구나 기술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필터 교체가 간단한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는, 정수를 통해 싱크대에 급수하도록 싱크대 급수장치에 설치되는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에 있어서, 상부가 개구된 내부공간을 갖는 용기 형상으로 벽이 이중으로 마련되며, 상기 내부공간에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을 정수하고 상기 물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의 상부에 결합되고, 외부의 물이 유입되는 입수구와 상기 저장부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출수구가 마련되며 상기 입수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과 출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물이 서로 분리되는 뚜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의 벽은, 외측에 위치한 외벽; 및 상기 외벽의 내측에 상기 외벽과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배치된 내벽;을 포함하고, 상기 외벽과 내벽 사이는 진공층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내벽의 상단은 상기 외벽의 상단보다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내벽의 상부 외주면과 상기 뚜껑부의 하부 외주면은 상호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방이 개구된 내부공간을 갖는 용기형상으로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물을 정수하고 저장하는 필터용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필터용기와 상기 벽 사이에는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되고, 물이 유입되는 유입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유입유로의 물은 상기 필터용기의 하측을 통해 상기 필터용기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필터용기 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용기의 내부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필터용기마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필터용기마개는, 판체형상으로 상기 필터용기 상단에 배치되는 마개뚜껑; 및 상기 마개뚜껑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외측면이 상기 내벽의 상부 내주면과 나사결합하는 마개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는, 일단이 상기 뚜껑부의 출수구와 연결되는 출수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마개뚜껑은, 상기 필터용기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출수구로 배출되는 물의 배출유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출수관의 타단과 결합가능하게 형성된 결합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마개뚜껑은, 상기 입수구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상기 필터용기와 상기 벽 사이에 유입되도록 상기 유입유로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유입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마개뚜껑은, 상기 필터용기의 상부를 개폐가능하게 회전가능하도록 상면에 마련된 마개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의 외면을 적어도 일부 감싸도록 마련되며, 상기 저장부의 이동을 위해 사용자가 파지가능한 지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지그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저장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저장부의 외면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지그; 상기 상부지그의 양단을 연결하고 상기 저장부의 외면을 감싸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당겨짐으로써 상기 저장부의 외주면을 압박가능한 상부지그조임끈;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저장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저장부의 외면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지그; 상기 하부지그의 양단을 연결하고 상기 저장부의 외면을 감싸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당겨짐으로써 상기 저장부의 외주을 압박가능한 하부지그조임끈; 및 상기 상부지그와 하부지그를 연결하며 사용자가 파지가능한 지그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그는, 상기 상부지그조임끈의 양단이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상부지그발; 상기 하부지그는, 상기 하부지그조임끈의 양단이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하부지그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상부지그발 사이와 상기 제1 및 제2하부지그발 사이에는 상기 저장부를 향해 볼록하게 돌출되고 상기 저장부와 맞닿는 볼록지지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지그부는, 상기 저장부의 외면 상부에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상부지그끈과, 상기 상부지그끈에 고정되게 연결되는 상부고정체를 포함하는 상부지그부; 상기 저장부의 외면 하부에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하부지그끈과, 상기 하부지그끈에 고정되게 연결되는 하부고정체를 포함하는 하부지그부; 및 상기 상부지그부와 하부지그부를 상호 연결하여 사용자가 파지가능한 지그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그손잡이부는, 상기 상부고정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회동체; 상기 하부고정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회동체; 및 상기 상부회동체와 하부회동체를 상호 연결하는 지그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지그손잡이부는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을 때 중력에 의해 하측으로 처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에 의하면, 온수와 냉수를 동시에 정수가능하고, 정수된 온수와 냉수를 싱크대에 설치된 수도꼭지를 통하여 바로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접촉하여도 열전달이 되지 않아 안전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에 의하면, 사용자가 특별한 도구나 기술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필터 교체가 간단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가 싱크대 급수장치에 설치된 모습을 정면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을 측면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2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1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가 설치되는 싱크대 급수장치의 필터부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가 설치되는 싱크대 급수장치의 제2필터부를 저면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6을 정면에서 바라본 투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가 설치되는 싱크대 급수장치의 필터부를 평면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9는 도 8을 정면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10은 도 8의 'A'를 나타낸 일부 발췌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B'를 나타낸 일부 발췌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가 설치되는 싱크대 급수장치의 저장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C'를 나타낸 일부 발췌도이다.
도 15는 도 14에서 판막이 쳐진 형상을 나타낸 실시예를 나타낸 발췌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D'를 나타낸 일부 발췌도이다.
도 17은 도 12를 평면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의 필터용기마개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을 'E'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20은 도 18을 평면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의 저장부를 파지하는 지그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의 저장부에 마련되는 지그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가 싱크대 급수장치에 설치된 모습을 정면에서 바라본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을 측면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며, 도 3은 도 2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10)는 본체부(1000)와 필터부(2000) 저장부(3000) 및 뚜껑부(4000)를 포함할 수 있다.
싱크대 급수장치(10)는 싱크대의 일측에 설치되고 정수된 물을 공급하여 요리와 설거지 등에 쓰이도록 하거나 음용수를 공급할 수 있다.
본체부(1000)는 바닥부(1100)와 세로부(1200) 및 천장부(130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1100)와 세로부(1200) 및 천장부(1300)는 'ㄷ'자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본체부(1000)는 전방과 양측방이 개구된 내부공간(1110)을 갖는 형상일 수 있다.
바닥부(1100)는 미리 정해진 두께를 가지는 판체 형상으로 바닥에 놓이며, 일측에 배수구(11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배수구(1130)측으로 중력에 의해 버려지는 물이 쏠려 배수가 용이하도록 바닥부(1100)는 배수구(1130)쪽으로 점차 기울어지도록 형성 또는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바닥부(1100)는 배수구(1130)가 마련된 쪽으로 두께가 점차 얇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세로부(1200)는 바닥부(1100)의 후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또는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세로부(1200)는 냉수유입구(1210)와 냉수배출구(1220), 온수유입구(1230) 및 온수배출구(12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냉수유입구(1210)와 냉수배출구(1220), 온수유입구(1230) 및 온수배출구(1240)는 별도의 관(미도시)과 연결되어 냉수의 유입 및 배출, 온수의 유입 및 배출을 실시할 수 있다. 참고로 냉수배출구(1220)는 후술하는 필터부(2000)와 연결관(1221)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필터부(2000)를 통과하여 필터링된 물은 음용수로 사용될 수 있다.
세로부(1200)는 후술하는 천장부(1300)의 회동을 제한하는 경사면(1250)과 회동방지턱(126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냉수유입구(1210)와 온수유입구(1230)는 밸브(1211, 1231)가 마련되어 외부의 냉수와 온수의 유입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밸브(1211, 1231)를 조작함으로써 필터의 교체시 외부의 냉수와 온수의 유입을 일시적으로 폐쇄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저장부(3000)에 수용된 냉수 또는 온수가 미리 설정된 높이 또는 양에 도달하게 되면, 밸브(1211, 1231)는 저장부(3000)에 냉수 또는 온수가 더 이상 유입되지 않도록 냉수유입구(1210)와 온수유입구(1230)를 폐쇄할 수 있다.
바닥부(1100)는 세로부(1200)와 이어진 리브(1120)를 포함할 수 있다. 리브(1120)는 바닥부(1100)와 세로부(1200)의 상호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다. 리브(1120)는 내부공간(1110)을 냉수거치공간(1111)과 온수거치공간(1112)으로 구분할 수 있다. 냉수거치공간(1111)과 온수거치공간(1112)에는 후술하는 저장부(3000)가 배치될 수 있고, 냉수거치공간(1111)의 저장부(3000)에는 냉수가, 온수거치공간(1112)의 저장부(3000)에는 온수가 저장될 수 있다.
천장부(1300)는 세로부(1200)의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천장부(1300)는 어느 일측에 하방으로 돌출된 제1돌기(1310)가 마련될 수 있고, 제1돌기(1310)와 세로부(1200)의 상단은 제1회동핀(1320)에 의해 관통될 수 있으며, 천장부(1300)는 제1회동핀(1320)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다. 천장부(1300)는 세로부(1200)의 경사진 경사면(1250)에 의해 걸려 회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천장부(1300)는 세로부(1200)의 전측에 마련된 회동방지턱(1260)에 걸림으로써 천장부(1300)의 전방이 하측으로 회동되며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천장부(1300)는 전측에 하방으로 돌출된 제2돌기(1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돌기(1330)는 후술하는 저장부(3000)의 회동을 위해 마련된 회동링크(1350)의 일단과 함께 제2회동핀(1340)에 의해 관통될 수 있고, 회동링크(1350)는 제2회동핀(1340)을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하다. 이때, 회동링크(1350)의 타단은 저장부(3000)의 상부에 마련된 뚜껑부(4000)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천장부(1300)는 상부에는 후술하겠지만 필터부(2000)가 결합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가 설치되는 싱크대 급수장치의 필터부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가 설치되는 싱크대 급수장치의 제2필터부를 저면에서 바라본 개념도이고, 도 7은 도 6을 정면에서 바라본 투시 개념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가 설치되는 싱크대 급수장치의 필터부를 평면에서 바라본 개념도이고, 도 9는 도 8을 정면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며, 도 10은 도 8의 'A'를 나타낸 일부 발췌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B'를 나타낸 일부 발췌도이다.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가 설치되는 싱크대 급수장치는 필터부(2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부(2000)는 본체부(1000)의 천장부(1300)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1필터부(2100)와 제2필터부(220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부(2000)는 필터(F)의 보다 용이한 교체를 위해 제1필터부(2100)와 제1필터부(2100)에 대하여 양측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한 제2필터부(2200)로 분리할 수 있다.
제1필터부(2100)는 천장부(130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베이스부(2110)와 제1필터고정부(2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베이스부(2110)는 천장부(1300)의 상면에 놓여질 수 있고, 고정수단(미도시)에 의해 천장부(130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베이스부(2110)는 양측방향으로 길이방향이 형성된 슬라이딩돌기(2111)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돌기(2111)는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슬라이딩돌기(2111)는 평행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제2필터부(2200)의 슬라이딩을 안내할 수 있다. 슬라이딩돌기(2111)는 단면이 직사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필터고정부(2120)는 유입관(2121)과 배출관(212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세로부(1200)의 냉수배출구(1220)와 연결된 연결관(1221)을 통해 저장부(3000)의 냉수가 유입관(2121)을 통해 유입될 수 있고, 필터(F)를 통해 필터링된 후 배출관(2122)으로 배출되어 음용수로 사용될 수 있다.
필터(F)의 끝단이 위치한 제1필터고정부(2120)의 구멍에는 탄성을 가진 오링(2123)이 배치될 수 있다.
제1필터고정부(2120)는 유입공간(2130)이 마련될 수 있다. 유입공간(2130)의 일측에는 저장부(3000)의 물이 유입되는 유입관(2121)이 설치될 수 있다.
유입공간(2130)에는 밸브(2131)가 설치되어 필터(F)에 물이 선택적으로 유입될 수 있다. 밸브(2131)는 판체(2132)와 머리(2133) 및 바디(2134)를 포함할 수 있다.
판체(2132)는 필터(F)의 끝단이 유입공간(2130)측으로 삽입되는 구멍보다 넓게 형성되어 밸브(2131)가 상기 구멍(2134a)을 효과적으로 폐쇄할 수 있다. 판체(2132)는 후술하는 탄성부재(2136)에 의해 탄성지지될 수 있다.
머리(2133)는 판체(2132)의 일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머리(2133)는 후술하는 탄성부재(2136)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즉, 탄성부재(2136)의 일측단에 머리(2133)가 삽입되며, 탄성부재(2136)는 머리(213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1필터고정부(2120)의 유입공간(2130) 내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돌기(미부호)가 마련되고 탄성부재(2136)의 타측단에 삽입되어, 탄성부재(2136)는 상기 돌기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2136)는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성부재(2136)는 양단이 머리(2133)와 상기 돌기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설치된 자리에서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바디(2134)는 판체(2132)의 타측면에 머리(2133)의 돌출방향에 반대되게 돌출형성될 수 있다. 바디(2134)는 돌출된 방향이 개구된 기둥형상일 수 있고, 구멍(2134a)이 복수 개 형성되어 내부와 바디(2134)의 외부가 관통될 수 있다.
바디(2134)는 필터(F)의 끝단이 유입공간(2130)측으로 삽입되는 구멍보다 좁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고, 필터(F)의 끝단에 결합가능하도록 대응되는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2134)는 탄성재질의 오링(2135)을 포함할 수 있다. 오링(2135)은 밸브(2131)가 필터(F)의 끝단이 유입공간(2130)측으로 삽입되는 구멍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보다 효과적으로 폐쇄가능하다.
제1필터고정부(2120)는 필터(F)가 삽입되는 구멍을 향해 테이퍼진 테이퍼부(2140)가 형성될 수 있다. 테이퍼부(2140)는 필터(F)가 상기 구멍에 제대로 삽입되지 않더라도 테이퍼부(2140)의 끝단을 경사진 면을 따라 유도하여 상기 구멍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필터(F)를 제1필터고정부(2120)에 보다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제2필터부(2200)는 제1베이스부(211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베이스부(2210)와 제2필터고정부(2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베이스부(2210)는 제1베이스부(2110)의 상면에 놓여질 수 있다. 제2베이스부(2210)는 길이방향이 양측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딩홈(2211)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홈(2211)은 복수 개의 슬라이딩돌기(2111)에 대응하여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슬라이딩홈(2211)은 평행하게 마련될 수 있다. 슬라이딩홈(2211)은 슬라이딩돌기(2111)에 대응하여 단면이 직사각 형태의 홈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1베이스부(2110)에 슬라이딩돌기(2111)가 형성되고 제2베이스부(2210)에 슬라이딩홈(2211)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제1베이스부(2110)에 슬라이딩홈(2211)이 형성되고 제2베이스부(2210)에 슬라이딩돌기(21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베이스부(2110)의 상측에서 제2베이스부(2210)가 슬라이딩 가능하기만 하면 어떠한 구성 또는 방법을 적용해도 무방하다.
덧붙여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베이스부(2110)로부터 가장 멀리 돌출된 슬라이딩돌기(2111)의 끝부분에는 제1베이스부(2110)와 평행한 날개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가 삽입되도록 제2베이스부(2210)의 슬라이딩홈(2211)에 연장된 날개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날개부가 상기 날개홈에 삽입됨으로써 제1베이스부(2110)의 상측에서 제2베이스부(2210)는 슬라이딩 가능하고, 제1베이스부(2110)와 제2베이스부(2210)는 상호 결합되어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제2베이스부(2210)는 상측에 필터(F)를 고정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필터클립(2212)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클립(2212)은 필터(F)를 삽입 또는 인출을 위해 벌려질 때 오므려지려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제2베이스부(2210)는 제1베이스부(2110)의 상면에 놓여지는 판체로 형성되되, 전단과 후단에 상방으로 돌출된 측벽(미부호)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측벽에는 제2필터고정부(2220)를 향하여 돌출되고 서로 마주보며 볼록한 슬라이딩후크(2213)가 마련될 수 있다. 슬라이딩후크(2213)는 후술하는 고정홈(2224)에 삽입되면서 제2베이스부(2210)와 제2필터고정부(2220)는 결합될 수 있다. 참고로 슬라이딩후크(221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가 α와 β를 합한 값이지만, 제2베이스부(2210)에 탄성적으로 연결되므로 제2베이스부(2210)와 제2필터고정부(2220)가 슬라이딩 결합할 때 슬라이딩후크(2213)는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벌어졌다가 고정홈(2224)에 삽입될 수 있다.
제2베이스부(2210)의 하면에는 후술하는 연결체(2222)와 이탈방지체(2224)가 삽입 및 슬라이딩되는 연결홈(2214)과 이탈방지홈(2215)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홈(2214)과 이탈방지홈(2215)은 천장부(1300)를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이탈방지홈(2215)의 전측과 후측 사이의 폭은 연결홈(2214)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필터고정부(2220)는 제1베이스부(2110)의 상측에 놓여질 수 있고, 제2베이스부(2210)와 결합할 수 있다.
제2필터고정부(2220)는 순환관(22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필터고정부(2220)는 테이퍼부(2230)를 포함할 수 있고, 테이퍼부(2230)는 필터(F)의 일단이 삽입되며 고정될 수 있다.
도 4와 도 5에는 필터(F)와 테이퍼부(2230)가 2개씩 도시되었고, 순환관(2221)은 한 쌍의 테이퍼부(2230)를 연통되도록 연결할 수 있다. 즉, 테이퍼부(2230)에 결합되는 필터의 일단은 순환관(2221)과 연통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유입관(2121)을 통해 유입되는 물이 어느 한 필터(F)를 통해 필터링되며, 상기 필터링된 물은 순환관(2221)을 통해 다른 필터(F)로 이동되어 재차 필터링되어 배출관(2122)으로 배출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필터(F)와 테이퍼부(2140, 2230)의 개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순환관(2221)의 형태는 변화될 수 있으며, 제1필터고정부(2120)에도 순환관(2221)이 마련될 수 있다.
제2필터고정부(2220)의 하측에는 제1베이스부(2110) 방향으로 돌출된 연결체(2222)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체(2222)는 연결홈(2214)에 삽입가능하며, 제2필터고정부(2220)가 좌우 양측방향으로 슬라이딩할 때 연결홈(2214)에 삽입된 상태에서 좌우 양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연결체(2222)의 끝단에는 이탈방지체(2224)가 마련될 수 있다. 이탈방지체(2224)는 연결체(2222)의 전측과 후측 사이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이탈방지체(2224)는 이탈방지홈(2215)에 대응하여 삽입될 수 있고, 이탈방지체(2224)는 이탈방지홈(2215) 내부에서 제2필터고정부(2220)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다.
한편, 이탈방지체(2224)는 이탈방지홈(2215)과 폭이 작게 형성된 연결홈(2214) 사이에 형성된 턱에 의해 슬라이딩이 제한될 수 있고, 제2필터고정부(2220) 역시 슬라이딩이 제한될 수 있으며, 제2필터고정부(2220)는 제2베이스부(2210)로부터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제2필터고정부(2220)의 전측면과 후측면에는 슬라이딩후크(2213)에 대응하여 오목한 고정홈(2224)이 마련될 수 있다. 고정홈(2224)에 슬라이딩후크(2213)가 삽입됨으로써 제2베이스부(2210)와 제2필터고정부(2220)는 결합될 수 있다.
필터(F)의 끝단이 위치한 제2필터고정부(2220)의 구멍에는 탄성을 가진 오링(2225)이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도 4에서는 제1필터고정부(2120)와 제2필터고정부(2220)에 삽입되지 않는 길이로 보일 수 있으나, 이는 필터(F)가 설치되는 것을 도시하기 위한 것일 뿐으로 실제로는 필터(F)의 양단은 제1 및 제2필터고정부(222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이해해야할 것이다.
또한 도면에는 필터부(2000)를 덮는 뚜껑(미도시)을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는 필터부(2000)를 설명하기 위하여 생략한 것일 뿐으로 뚜껑은 존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며 뚜껑의 재질 또는 형상 등은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가 설치되는 싱크대 급수장치의 저장부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종단면도이며, 도 14는 도 13의 'C'를 나타낸 일부 발췌도이고, 도 15는 도 14에서 판막이 쳐진 형상을 나타낸 실시예를 나타낸 발췌도이며, 도 16는 도 13의 'D'를 나타낸 일부 발췌도이고, 도 17은 도 12를 평면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의 필터용기마개의 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8을 'E'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며, 도 20은 도 18을 평면에서 바라본 개념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의 저장부를 파지하는 지그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2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싱크대 급수장치(10)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싱크대 급수장치(10)에 저장부(3000)와 뚜껑부(4000)가 설치될 수 있다.
저장부(3000)는 상부가 개구된 내부공간을 갖는 용기 형상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용기의 벽은 이중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저장부(3000)는 내부에 후술하는 필터용기(3200)를 수용하며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을 정수할 수 있고, 정수된 물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3000)의 벽(3100)은 외벽(3110)과 내벽(3120)을 포함할 수 있다.
외벽(3110)과 내벽(3120)은 상부가 개구된 내부공간을 갖는 용기형상으로, 외벽(3110)은 내벽(31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외측에 위치하고, 내벽(3120)은 외벽(31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내벽(3120)은 스테인리스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2㎜ 이상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비해, 저장부(3000)의 중량을 고려하여 외벽(3110)은 내벽(3120)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벽(3120)의 상단은 외벽(3110)의 상단보다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내벽(3120)의 상부 외주면에는 나사산(3121)이 형성되고, 후술하는 뚜껑부(4000)의 하부 외주면에 나사산(3121)에 대응되는 나사산(4210)이 형성되어 나사결합할 수 있다.
외벽(3110)과 내벽(3120) 사이에는 미리 정해진 만큼 이격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격된 공간은 진공상태일 수 있다. 즉, 외벽(3110)과 내벽(3120) 사이에는 진공층(3130)이 마련되어 상호간의 열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진공층(3130)이 존재하므로 저장부(3000) 내부의 온도가 외부로 방열되는 것을 줄일 수 있어 온수를 수용한 저장부(3000)의 표면과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하는 경우 화상을 방지할 수 있고, 결로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저장부(3000)의 내벽(3120) 내부에는 필터용기(3200)가 마련될 수 있다. 필터용기(3200)는 상방이 개구된 내부공간을 갖는 용기형상일 수 있다. 필터용기(3200)는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물을 정수하고 저장할 수 있다.
내벽(3120)과 필터용기(3200) 사이에는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이격된 공간에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물은 필터용기(3200)의 하측을 통해 필터용기(320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필터용기(3200)는 그 자체가 물을 필터링할 수 있는 필터일 수 있다.
한편, 내벽(3120)은 하측 바닥면에 상방으로 돌출된 받침턱(3122)이 마련되고, 받침턱(3122)는 필터용기(3200)의 밑면을 떠 받칠 수 있다. 이때, 받침턱(3122)는 볼록부(미부호)와 오목부(미부호)의 연속으로 형성될 수 있고, 유입되는 물이 받침턱(3122) 사이를 통해 필터용기(3200)로 들어갈 수 잇다.
저장부(3000)의 상부, 자세하게는 내벽(3120)과 필터용기(3200)의 상부에는 필터용기마개(3300)가 배치될 수 있다.
필터용기마개(3300)는 필터용기 상단에 배치되어 필터용기(3200) 내부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하다. 필터용기마개(3300)는 마개뚜껑(3310)와 마개지지체(3320) 및 판막(3330)을 포함할 수 있다.
마개뚜껑(3310)은 판체형상으로 필터용기(3200)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마개뚜껑(3310)은 유입공(3311)이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후술하는 뚜껑부(4000)는 입수구(4300)가 형성되고, 뚜껑부(4000)의 내부에는 일단이 입수구(4300)와 연결된 입수구(4300)이 마련될 수 있다.
유입공(3311)은 입수구(4300)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입수구(4300)의 타단을 통해 필터용기(3200)와 벽(3100) 사이에 유입되도록 상기 유입유로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유입공(3311)은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유입공(3311)은 마개뚜껑(3310)의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지름의 위치에 후술하는 마개지지체(3320)보다 바깥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마개뚜껑(3310)은 결합구(3312)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구(3312)는 마개뚜껑(3310)을 관통하는 형태로 일부는 필터용기(3200)의 내부공간에 수용되고 일부는 뚜껑부(4000) 내부에 수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뚜껑부(4000) 내부에 수용된 결합구(3312)는 외주면 하단, 즉 마개뚜껑(3310) 상면에 오링(3312a)이 마련될 수 있다.
후술하는 뚜껑부(4000)는 출수구(4400)가 마련되고, 출수구(4400)와 일단이 연통되게 연결되는 출수관(4410)이 마련될 수 있으며, 출수관(4410)은 내주면 일부와 결합구(3312)의 외주면 일부가 서로 접하도록 결합구(3312)가 출수관(4410)에 끼워질 수 있다. 즉, 출수관(4410)의 일단은 출수구(4400)와 연통되고, 출수관(4410)의 타단은 결합구(3312)와 연통되며, 필터용기(3200) 내부에 수용된 물은 결합구(3312)와 출수관(4410) 및 출수구(4400)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는 배출유로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에서 출수관(4410)이 결합구(3312)에 끼워지는 것으로 언급되었으나, 이는 통상적인 결합방법 중 하나일 뿐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결합구(3312)의 외측면 일부와 출수관(4410)의 내측면 일부에 각각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되어 나사결합할 수도 있다.
마개뚜껑(3310)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마개손잡이(3313)가 배치될 수 있다. 마개뚜껑(3310)은 필터용기(3200) 내주면과 나사결합하는데,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필터용기(3200)의 상부를 개폐가능하게 회전가능하도록 상면에 마개손잡이(3313)가 마련될 수 있다.
마개지지체(3320)는 마개뚜껑(3310)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나사산(3321)이 형성되며 필터용기(3200)의 상부 내주면과 나사결합할 수 있다.
판막(3330)은 마개뚜껑(3310)의 하부, 마개지지체(3320)의 외측, 내벽(312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판막(3330)은 탄성을 가진 실리콘 재질일 수 있다. 판막(3330)은 외측보다 내측이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판막(3330)은 일종의 오링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유입구(3311)를 통해 물이 유입되는 경우, 탄성이 있는 판막(3330)의 내측은 유입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하측으로 쳐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유입유로가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반대로 저장부(3000)와 뚜껑부(4000)의 분리시 판막(3330)은 쳐지지 않아 온전하게 상기 유입유로를 폐쇄하므로, 저장부(3000)에 수용된 물은 판막(3330)에 의해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다. 즉, 지름방향으로 변화되는 판막(3330)의 두께로 인해 저장부(3000)로의 물의 유입만 허용하고, 저장부(3000)에서 외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저장부(3000)는 지그부(3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그부(3400)는 저장부의 외면을 적어도 일부 감쌀 수 있다. 지그부(3400)는 사용자가 파지함으로써 저장부(3000)의 이동이 용이하다.
지그부(3400)는 상부지그(3410)와 하부지그(3420) 및 지그손잡이(3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지그(3410)는 적어도 일부가 저장부(300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저장부(3000)의 외면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지그(3410)는 저장부(3000)의 외주면, 즉 원주를 모두 감쌀 필요가 없이 일부만 감싸고, 나머지 부분은 상부지그조임끈(3413)이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부지그조임끈(3413)은 상부지그(3410)의 양단을 연결하고 저장부(3000)의 외주면을 감싸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당겨짐으로써 저장부(3000)의 외면을 압박가능하다. 결국, 상부지그(3410)와 상부지그조임끈(3413)이 저장부(3000)의 외주면, 원주를 감쌀 수 있다.
이때, 상부지그(3410)는 저장부(3000)의 외주면과 접하는 제1상부지그발(3411)과 제2상부지그발(3412)을 포함하며, 제1상부지그발(3411)과 제2상부지그발(3412)을 상부지그조임끈(3413)이 연결할 수 있다.
하부지그(3420)는 적어도 일부가 저장부(300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저장부(3000)의 외면 하부에 상부지그(3410)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하부지그(3420)는 저장부(3000)의 외주면, 즉 원주를 모두 감쌀 필요가 없이 일부만 감싸고, 나머지 부분은 하부지그조임끈(3423)이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하부지그조임끈(3423)은 하부지그(3420)의 양단을 연결하고 저장부(3000)의 외주면을 감싸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당겨짐으로써 저장부(3000)의 외면을 압박가능하다. 결국, 하부지그(3420)와 하부지그조임끈(3423)이 저장부(3000)의 외주면, 원주를 감쌀 수 있다.
이때, 하부지그(3420)는 저장부(3000)의 외주면과 접하는 제1하부지그발(3421)과 제2하부지그발(3422)을 포함하며, 제1하부지그발(3421)과 제2하부지그발(3422)을 하부지그조임끈(3423)이 연결할 수 있다.
지그손잡이(3430)는 상부지그(3410)와 하부지그(3420)를 연결하며 사용자가 파지가능하다.
볼록지지체(3440)는 제1상부지그발(3411)과 제2상부지그발(3412) 사이 또는 제1하부지그발(3421)과 제2하부지그발(3422) 사이에 볼록하게 돌출되어 저장부(3000)의 외주면과 접할 수 있다. 볼록지지체(3440)는 상부 및 하부지그조임끈(3423)이 조여짐에 따라 저장부(3000)의 외면을 압박하며 지그부(3400)가 저장부(3000)를 공고하게 조일 수 있게 도와줄 수 있다.
저장부(3000)의 상부에는 뚜껑부(4000)가 마련될 수 있다. 뚜껑부(4000)는 저장부(300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의 저장부에 마련되는 지그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는 지그부(3400)의 변형예로써 지그부(3500)가 마련될 수 있다.
지그부(3500)는 상부지그부(3510)와 하부지그부(3520) 및 지그손잡이부(35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지그부(3510)는 저장부(3000)의 외면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부지그부(3510)는 상부지그끈(3511)과 상부고정체(35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지그끈(3511)은 저장부(3000)의 상부 외주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부고정체(3512)는 상부지그끈(3511)에 고정되게 연결될 수 있다.
하부지그부(3520)는 상부고정체(351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저장부(3000)의 외면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하부지그부(3520)는 하부지그끈(3521)과 하부고정체(352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지그끈(3521)은 저장부(3000)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하부고정체(3522)는 하부지그끈(3521)에 고정되게 연결될 수 있다.
지그손잡이부(3530)는 상부지그부(3510)와 하부지그부(3520)를 상호 연결하여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다. 지그손잡이부(3530)는 상부회동체(3532), 하부회동체(3533) 및 지그손잡이(35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회동체(3532)는 상부고정체(3512)에 회동핀(미부호)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하부회동체(3533)는 하부고정체(3522)에 회동핀(미부호)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지그손잡이(3531)는 상부회동체(3532)와 하부회동체(3533)를 상호 연결하고, 사용자가 파지가능하다.
지그손잡이부(3530)는 상기에서 언급한 상부회동체(3532)와 하부회동체(3533)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을 때 중력에 의해 하측으로 처질 수 있고, 이로써 차지하는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뚜껑부(4000)는 뚜껑외피(4100)와 뚜껑내피(4200)를 포함할 수 있다. 뚜껑외피(4100)와 뚜껑내피(4200)는 2중으로 구성되어 유입되는 물의 압력을 견딜 수 있다.
뚜껑내피(4200)는 하단 내주면에 나사산(4210)이 형성될 수 있다. 나사산(3210)은 내벽(3120)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3121)과 상호 대응하여 나사결합할 수 있다. 이때, 나사산(3121, 4210)은 통상의 나사산이 아닌 보다 굵게 요철(凹凸)과 같이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입수구(4300)와 입수구(4300)을 통해 유입되는 물의 압력에도 뚜껑부(4000)가 저장부(30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뚜껑부(4000)는 외부의 물이 유입되는 입수구(4300)와 저장부(3000)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출수구(4400)가 마련될 수 있다. 뚜껑부(4000)의 내부공간에는 관체형상의 입수구(4300)과 출수관(4410)이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입수구(4300)은 일단이 입수구(4300)와 연결될 수 있고, 출수관(4410)은 일단이 출수구(4400)와 연결되며, 출수관(4410)의 타단은 결합구(3312)와 연결될 수 있다.
뚜껑부(4000)는 외측에 회동걸이구(4500)가 돌출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천장부(1300)의 회동링크(1350)는 천장부(1300)의 제2돌기(1330)와 회동걸이구(450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뚜껑부(4000)와 결합된 저장부(3000)는 뚜껑부(4000)와 함께 천장부(1300)를 중심으로 또는 회동걸이구(4500)를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하다.
한편, 뚜껑부(4000)를 포함하는 저장부(3000)는 본체부(1000)에 배치됨에 있어서, 바닥부(1100)와 접면가능하고, 세로부(1200)와 천장부(1300)와는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저장부(3000)가 회동되더라도 세로부(1200) 및 천장부(1300)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 싱크대 급수장치
1000 : 본체부 1100 : 바닥부 1110 : 내부공간
1111 : 냉수거치공간 1112 : 온수거치공간 1120 : 리브
1130 : 배수구 1200 : 세로부 1210 : 냉수유입구
1211 : 밸브 1220 : 냉수배출구 1221 : 연결관
1230 : 온수유입구 1231 : 밸브 1240 : 온수배출구
1250 : 경사면 1260 : 회동방지턱 1300 : 천장부
1310 : 제1돌기 1320 : 제1회동핀 1330 : 제2돌기
1340 : 제2회동핀 1350 : 회동링크
2000 : 필터부 2100 : 제1필터부 2110 : 제1베이스부
2111 : 슬라이딩돌기 2120 : 제1필터고정부 2121 : 유입관
2122 : 배출관 2123 : 오링 2130 : 유입공간
2131 : 밸브 2132 : 판체 2133 : 머리
2134 : 바디 2134a : 구멍 2135 : 오링
2136 : 탄성부재 2140 : 테이퍼부 2200 : 제2필터부
2210 : 제2베이스부 2211 : 슬라이딩홈 2212 : 필터클립
2213 : 슬라이딩후크 2214 : 연결홈 2215 : 이탈방지홈
2220 : 제2필터고정부 2221 : 순환관 2222 : 연결체
2223 : 이탈방지체 2224 : 고정홈 2225 : 오링
2230 : 테이퍼부
3000 : 저장부 3100 : 벽 3110 : 외벽
3120 : 내벽 3121 : 나사산 3122 : 받침턱
3130 : 진공층 3200 : 필터용기 3300 : 필터용기마개
3310 : 마개뚜껑 3311 : 유입공 3312 : 결합구
3312a : 오링 3313 : 마개손잡이 3320 : 마개지지체
3321 : 나사산 3330 : 판막 3400 : 지그부
3410 : 상부지그 3411 : 제1상부지그발 3412 : 제2상부지그발
3413 : 상부지그조임끈 3420 : 하부지그 3421 : 제1하부지그발
3422 : 제2하부지그발 3423 : 하부지그조임끈 3430 : 지그손잡이
3440 : 볼록지지체 3500 : 지그부 3510 : 상부지그부
3511 : 상부지그끈 3512 : 상부고정체 3520 : 하부지그부
3521 : 하부지그끈 3522 : 하부고정체 3530 : 지그손잡이부
3531 : 지그손잡이 3532 : 상부회동체 3533 : 하부회동체
4000 : 뚜껑부 4100 : 뚜껑외피 4200 : 뚜껑내피
4210 : 나사산 4300 : 입수구 4310 : 입수관
4400 : 출수구 4410 : 출수관 4500 : 회동걸이구
F : 필터

Claims (16)

  1. 정수를 통해 싱크대에 급수하도록 싱크대 급수장치에 설치되는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에 있어서,
    상부가 개구된 내부공간을 갖는 용기 형상으로 벽이 이중으로 마련되며, 상기 내부공간에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을 정수하고 상기 물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의 상부에 결합되고, 외부의 물이 유입되는 입수구와 상기 저장부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출수구가 마련되며 상기 입수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과 출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물이 서로 분리되는 뚜껑부;
    를 포함하는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의 벽은,
    외측에 위치한 외벽; 및
    상기 외벽의 내측에 상기 외벽과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배치된 내벽;
    을 포함하고,
    상기 외벽과 내벽 사이는 진공층이 마련된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의 상단은 상기 외벽의 상단보다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내벽의 상부 외주면과 상기 뚜껑부의 하부 외주면은 상호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결합하는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방이 개구된 내부공간을 갖는 용기형상으로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물을 정수하고 저장하는 필터용기;
    를 더 포함하는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용기와 상기 벽 사이에는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되고, 물이 유입되는 유입유로가 형성되는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유로의 물은 상기 필터용기의 하측을 통해 상기 필터용기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필터용기 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용기의 내부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필터용기마개;
    를 더 포함하는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용기마개는,
    판체형상으로 상기 필터용기 상단에 배치되는 마개뚜껑; 및
    상기 마개뚜껑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외측면이 상기 내벽의 상부 내주면과 나사결합하는 마개지지체;
    를 포함하는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는,
    일단이 상기 뚜껑부의 출수구와 연결되는 출수관;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마개뚜껑은,
    상기 필터용기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출수구로 배출되는 물의 배출유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출수관의 타단과 결합가능하게 형성된 결합구;
    를 더 포함하는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뚜껑은,
    상기 입수구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상기 필터용기와 상기 벽 사이에 유입되도록 상기 유입유로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유입공;
    을 더 포함하는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뚜껑은,
    상기 필터용기의 상부를 개폐가능하게 회전가능하도록 상면에 마련된 마개손잡이;
    를 더 포함하는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의 외면을 적어도 일부 감싸도록 마련되며, 상기 저장부의 이동을 위해 사용자가 파지가능한 지그부;
    를 더 포함하는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저장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저장부의 외면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지그;
    상기 상부지그의 양단을 연결하고 상기 저장부의 외면을 감싸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당겨짐으로써 상기 저장부의 외주면을 압박가능한 상부지그조임끈;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저장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저장부의 외면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지그;
    상기 하부지그의 양단을 연결하고 상기 저장부의 외면을 감싸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당겨짐으로써 상기 저장부의 외주을 압박가능한 하부지그조임끈; 및
    상기 상부지그와 하부지그를 연결하며 사용자가 파지가능한 지그손잡이;
    를 더 포함하는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그는,
    상기 상부지그조임끈의 양단이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상부지그발;
    상기 하부지그는,
    상기 하부지그조임끈의 양단이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하부지그발;
    을 포함하는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상부지그발 사이와 상기 제1 및 제2하부지그발 사이에는 상기 저장부를 향해 볼록하게 돌출되고 상기 저장부와 맞닿는 볼록지지체;
    를 더 포함하는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부는,
    상기 저장부의 외면 상부에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상부지그끈과, 상기 상부지그끈에 고정되게 연결되는 상부고정체를 포함하는 상부지그부;
    상기 저장부의 외면 하부에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하부지그끈과, 상기 하부지그끈에 고정되게 연결되는 하부고정체를 포함하는 하부지그부; 및
    상기 상부지그와 하부지그를 상호 연결하여 사용자가 파지가능한 지그손잡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지그손잡이부는,
    상기 상부고정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회동체;
    상기 하부고정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회동체; 및
    상기 상부회동체와 하부회동체를 상호 연결하는 지그 손잡이;
    를 포함하며,
    상기 지그손잡이부는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을 때 중력에 의해 하측으로 처지는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
KR1020200177547A 2020-12-17 2020-12-17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 KR102499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547A KR102499347B1 (ko) 2020-12-17 2020-12-17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547A KR102499347B1 (ko) 2020-12-17 2020-12-17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141A true KR20220087141A (ko) 2022-06-24
KR102499347B1 KR102499347B1 (ko) 2023-02-15

Family

ID=82215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7547A KR102499347B1 (ko) 2020-12-17 2020-12-17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934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891Y2 (ja) * 1985-10-19 1994-05-18 石塚硝子株式会社 把手付ガラス壜
JP2004097892A (ja) * 2002-09-06 2004-04-02 Nok Corp 水浄化カートリッジ
JP2005232873A (ja) * 2004-02-20 2005-09-02 Yamaha Motor Co Ltd 流し台並びに流し台用アンダーシンク型浄水器
KR200421258Y1 (ko) * 2006-04-24 2006-07-10 윤기문 은나노가 함유된 이중용기
KR101719522B1 (ko) 2016-10-31 2017-03-24 율진프라임 (주) 싱크대용 정수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891Y2 (ja) * 1985-10-19 1994-05-18 石塚硝子株式会社 把手付ガラス壜
JP2004097892A (ja) * 2002-09-06 2004-04-02 Nok Corp 水浄化カートリッジ
JP2005232873A (ja) * 2004-02-20 2005-09-02 Yamaha Motor Co Ltd 流し台並びに流し台用アンダーシンク型浄水器
KR200421258Y1 (ko) * 2006-04-24 2006-07-10 윤기문 은나노가 함유된 이중용기
KR101719522B1 (ko) 2016-10-31 2017-03-24 율진프라임 (주) 싱크대용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9347B1 (ko) 2023-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4599B2 (en) Single lever faucet with spray
KR20030041251A (ko) 이중마개용 물통지지분배장치
KR20220087141A (ko) 필터가 장착된 싱크대 급수장치용 저장용기
KR200392670Y1 (ko) 정수기용 필터카트리지 결합 구조
US7354513B2 (en) Countertop water treatment unit
KR20130006021A (ko) 정수기 및 정수기의 배수구조 및 정수기
US20180050284A1 (en) Capsule intended for a liquid flow comprising an inner casing and an outer unit
KR102207803B1 (ko) 정수기용 취수 코크 유닛 및 이를 갖는 정수기
KR102005770B1 (ko) 디스펜서가 구비된 휴대용 정수기
JP2613753B2 (ja) 洗眼器
JP2002177950A (ja) アンダーシンク型浄水器
CN205978624U (zh) 一种水路改进的水龙头
JP3928465B2 (ja) 給湯装置
KR102452264B1 (ko) 샤워바 수전장치
KR200262862Y1 (ko) 연수기용 역류 및 퇴수방지장치
KR102414746B1 (ko) 필터를 구비한 수전금구
JP3774379B2 (ja) ホース収納式水栓の水切構造
KR102436363B1 (ko) 불순물 제거용 필터 카트리지
KR19990012584U (ko) 수도직결형 정수기
JP3678236B2 (ja) 水溜まり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有する給水装置
KR870004036Y1 (ko) 정 수 기
JP4308953B2 (ja) 加湿器及び水槽
KR20220111174A (ko) 관상어를 키울 수 있는 화분
KR200259790Y1 (ko) 냉온수기의 음용수 가이드 장치
KR200398047Y1 (ko) 캡슐형 악취유입방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