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2862Y1 - 연수기용 역류 및 퇴수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연수기용 역류 및 퇴수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2862Y1
KR200262862Y1 KR2020010033777U KR20010033777U KR200262862Y1 KR 200262862 Y1 KR200262862 Y1 KR 200262862Y1 KR 2020010033777 U KR2020010033777 U KR 2020010033777U KR 20010033777 U KR20010033777 U KR 20010033777U KR 200262862 Y1 KR200262862 Y1 KR 2002628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oftener
valve
pipe
water sof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37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국
Original Assignee
김성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국 filed Critical 김성국
Priority to KR20200100337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28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28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2862Y1/ko

Links

Landscapes

  • Check Valve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수기의 역류 및 퇴수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수도관과 수도밸브사이에 설치되는 연수기에서는 수도관으로 연수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으로 사용되고; 수도관의 수도밸브를 지나서 설치된 연수기에서는 퇴수를 방지하는 수단으로 사용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연수탱크(11)에 이온교환수지(17)가 충진되고 입수부(12)및 출수부(14)가 구비된 연수기에 있어서, 연수기(10)의 입수부(12)에 유체개폐장치(20)를 설치하되 유체개폐장치(20)는 결합관체(21)에 메쉬망(24)이 부착된 연결관(23)이 결합되고 통수구멍(25) 중간부분의 밸브작동공간부(26)에 스프링(33)으로 탄성지지된 개폐밸브(30)가 유동되면서 통수구멍(25)을 개폐시킬수 있게 한 구성으로 역류방지기능을 갖도록한 연수기의 역류방지장치와, 상기 유체개폐장치(20)를 연수기(10)의 출수부(14)에 설치하여 퇴수방지기능을 하도록한 연수기의 퇴수방지장치이다.

Description

연수기용 역류 및 퇴수방지장치{BACK FLOW AND DRAINAGE PREVENTER FOR SOFT WATER}
본 고안은 연수기의 역류 및 퇴수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수도관과 수도밸브사이에 설치되는 연수기에서는 수도관으로 연수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으로 사용되고; 수도관의 수도밸브를 지나서 설치된 연수기에서는 퇴수를 방지하는 수단으로 사용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수기는 다량의 이온교환수지가 충진되어 이온교환작용에 의해 수도물, 자연수등의 원수에 포함된 경수성분인 마그네슘이온, 칼슘이온등과 반응하여 경수를 연수로 변환시키므로서 생활수로 이용할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연수기는 대체적으로 수도관과 수도밸브사이에 연수기가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는 구성이거나, 수도밸브를 지나서 연수기가 설치되고 연수기의 하단출수부에 샤워기등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수도관과 수도밸브사이에 설치된 연수기에서는 수도밸브에 의해 연수된 물을 필요량만큼만 공급받을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수도관에서 연수기의 입수부에 직접연결되어 있으므로 수도밸브가 닫힌상태에서 연수기의 수도관과 분기상태로 연결되어 있는 인접한 수도관에서 수도물사용이 이루어지면 연수기 쪽의 수압이 떨어지면서 연수기내의 물이 수도관으로 역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다른 구성으로 수도관의 수도밸브를 지나서 설치되는 연수기에서는 수도밸브가 닫힌 상태에서도 연수기내에 잔류된 물이 하단 출수부로 계속적으로 퇴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압에 의한 유체통로의 개폐수단을 가진 유체개폐장치를 구비하여 연수기의 입수부쪽에 설치하였을때는 연수기의 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기능을 하고, 연수기의 출수부쪽에 설치하였을때는 연수기내의 물이 퇴수되는것을 방지하는 퇴수방지기능을 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역류방지장치가 구비된 연수기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역류방지장치가 결합된 연수기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역류방지기능의 유체개폐장치로서 통수공 개방상태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역류방지기능의 유체개폐장치로서 통수공 차단상태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개폐밸브전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퇴수방지장치가 구비된 연수기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퇴수방지장치가 결합된 연수기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퇴수방지기능의 유체개폐장치로서 통수공 개방상태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퇴수방지기능의 유체개폐장치로서 통수공 차단상태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수기 11 : 연수탱크
12 : 입수부 14 : 출수부
20 : 유체개폐장치 21 : 결합관체
23 : 연결관 24 : 메쉬망
25 : 통수구멍 26 : 밸브작동공간부
27 : 입수구 28 : 출수구
29 : 통수차단부 30 : 개폐밸브
31 : 받침부 32 : 통수안내홈
33 : 스프링
본 고안에 따른 유체개폐장치(20)는 나사부(22)(22')가 형성된 결합관체(21)에 메쉬망(24)이 부착된 연결관(23)이 결합되고 통수구멍(25)중간부분에 형성시킨 밸브작동공간부(26)에서 스프링(33)으로 탄성지지된 개폐밸브(30)가 유동되어 통수구멍(25)을 개폐시키되 역류방지수단에서는 개폐밸브(30)의 통수차단부(29)가 메쉬망(24)반대편의 입수구(27)쪽에 형성되고, 퇴수방지수단에서는 개폐밸브(30)의 통수차단부(29)를 출수구(28)반대편의 메쉬망(24)쪽에 형성되어 밸브개폐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개폐밸브(30)는 스프링(33)을 탄성지지하는 받침부(31)에 통수안내홈(32)이 형성되어 유체흐름이 용이하도록 하고 메쉬망(24)은 이온교환수지(17)의 유입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역류방지수단으로 사용되는 유체개폐장치(20)는 도1에서와 같이 수도관(40)과 수도밸브(41)사이에 설치되는 연수기(10)의 입수부(12)에 결합되어 연수기(10)내의 연수된 물이 수도관(40)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퇴수방지수단으로 사용되는 유체개폐장치(20)는 도 6에서와 같이 수도관(40)의 수도밸브(41)를 지나서 설치되는 연수기(10)의 출수부(14)에 결합되어 수도밸브(41)차단시에 연수기(10)내의 연수된 물이 퇴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연수기(10)는 연수탱크(11)에 이온교환수지(17)가 충진되어 입수부(12)로 유입된 물이 이온교환수지(17)를 통해 연수된 다음 출수부(14)로 배출되며 연수탱크(11)내에 격벽(13a) 또는 입수유도관(13b)등이 형성되고 메쉬망(16)을 가진 입수관(13)과 출수관(15)이 결합되어 있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은 유체개폐장치(20)를 연수기(10)에 결합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 역류방지수단으로 사용될때는 수도관(40)과 수도밸브(41)사이에 설치되는 연수기(10)의 입수부(12)에 유체개폐장치(20)를 결합하여 연수기(10)에서 수도관(40)으로 역류될때 유체개폐장치(20)의 개폐밸브(30)가 입수부(12)에 위치한 통수구멍(25)을 차단하는 수단으로 역류방지기능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역류방지는 도 2에서와 같이 연수기(10)의 입수부(12)에 유체개폐장치(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수도밸브(14)를 개방하여 수도관(40)에서 직접연결된 연수기(10)를 거쳐 개방된 수도밸브(41)를 통해 배출되도록하면 도3에서와 같이 개폐밸브(30)가 연수기로 유입되는 수압에 의해 통수차단부(29)에서 이격되면서 통수시킬수 있게 되고, 수도밸브(41)를 차단하여 연수기(10)내의 물이 출수되지 않은 상태이고 수도관(40)과 분기상태이고 인접한 주방등에서 수도물 사용으로 연수기내의 물이 수압이 떨어지면서 연수기 내의 물이 수도관으로 역류되려고 할때에는 도4에서와 같이 개폐밸브(30)가 스프링(33)의 탄발력으로 통수차단부(29)에 밀착되는 수단으로 통수구멍(25)을 차단하여 역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 퇴수방지수단으로 사용될때는 수도관(40)의 수도밸브(41)를 지나서 설치되는 연수기(10)의 출수부(14)에 유체개폐장치(20)를 결합하여 수도관(40)에서 연수기(10)내로 유체유입이 차단되면 유체개폐장치(20)의 개폐밸브(30)가 출수부(14)에 위치한 통수구멍(25)을 차단하는 수단으로 퇴수방지기능을 하게 된다.
즉, 상기 퇴수방지는 도7에서와 같이 연수기(10)의 출수부(14)에 유체개폐장치(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수도밸브(41)를 개방하여 수도관(40)에서 수도밸브(41)를 통해 연수기(10)를 거쳐 배출이 이루어지면 도 8에서와 같이 수도관(40)에서 유입되는 수압에 의해 개폐밸브(30)가 통수차단부(29)에서 이격되면서 통수시킬수 있게 되고, 수도밸브(41)를 차단하게 되면 연수기(10)내에 물이 유입되지 않게 되므로 도 9에서와 같이 배출수압이 크게 떨어지면서 개폐밸브(30)가 스프링(33)의 탄발력으로 통수구멍(25)을 차단하여 연수기(10)내의 연수된 물이 퇴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의 연수기의 역류및 퇴수방지장치는 연수기에서 연수된 물이 수도관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연수기의 출수부로 불필요하게 퇴수되는 것을 방지하여 연수기의 연수효율및 수명이 크게 향상되고 물의 낭비를 최소화 할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연수탱크(11)에 이온교환수지(17)가 충진되고 입수부(12)및 출수부(14)가 구비된 연수기에 있어서, 연수기(10)의 입수부(12)에 유체개폐장치(20)를 설치하되 유체개폐장치(20)는 결합관체(21)에 메쉬망(24)이 부착된 연결관(23)이 결합되고 통수구멍(25) 중간부분의 밸브작동공간부(26)에 스프링(33)으로 탄성지지된 개폐밸브(30)가 유동되면서 통수구멍(25)을 개폐시킬수 있게 한 구성으로 역류방지기능을 갖도록한 연수기의 역류방지장치
  2. 연수탱크(11)에 이온교환수지(17)가 충진되고 입수부(12)및 출수부(14)가 구비된 연수기에 있어서, 연수기(10)의 출수부(14)에 유체개폐장치(20)를 설치하되 유체개폐장치(20)는 결합관체(21)에 메쉬망(24)이 부착된 연결관(23)이 결합되고 통수구멍(25) 중간부분의 밸브작동공간부(26)에 스프링(33)으로 탄성지지된 개폐밸브(30)가 유동되면서 통수구멍(25)을 개폐시킬수 있게한 구성으로 퇴수방지기능을 갖도록한 연수기의 퇴수방지장치
KR2020010033777U 2001-11-05 2001-11-05 연수기용 역류 및 퇴수방지장치 KR2002628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3777U KR200262862Y1 (ko) 2001-11-05 2001-11-05 연수기용 역류 및 퇴수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3777U KR200262862Y1 (ko) 2001-11-05 2001-11-05 연수기용 역류 및 퇴수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2862Y1 true KR200262862Y1 (ko) 2002-03-18

Family

ID=73111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3777U KR200262862Y1 (ko) 2001-11-05 2001-11-05 연수기용 역류 및 퇴수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286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086B1 (ko) * 2008-12-09 2011-03-14 로얄앤컴퍼니 주식회사 자동퇴수밸브장치
KR101134344B1 (ko) 2009-10-15 2012-04-09 주식회사 서원기술 자동 배수 밸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086B1 (ko) * 2008-12-09 2011-03-14 로얄앤컴퍼니 주식회사 자동퇴수밸브장치
KR101134344B1 (ko) 2009-10-15 2012-04-09 주식회사 서원기술 자동 배수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62862Y1 (ko) 연수기용 역류 및 퇴수방지장치
JPH04213634A (ja) 給水栓装置
KR20060115436A (ko) 정수기용 필터카트리지 연결구조
KR200391700Y1 (ko) 정수기용 필터카트리지 연결구조
KR20100114980A (ko) 생활오수를 활용한 절수 시스템
KR20110091255A (ko) 체크밸브 내장형 배관 분기용 연결구
KR200239577Y1 (ko) 하수관용 역류방지구
KR200273453Y1 (ko) 수전구 연결 아답터
KR200360049Y1 (ko) 세면기용 배수관 연결구조
KR200322082Y1 (ko) 수도와 저장수조의 용수 자동 개.폐장치
KR200198110Y1 (ko) 절수기능을 가진 밸브 유니온
KR200223334Y1 (ko) 탕수혼합수전의 역류방지장치_
KR20000071966A (ko) 절수기능을 가진 밸브 유니온
KR20040077434A (ko) 위생기구 블록
KR200305387Y1 (ko) 배수용 트랩
JP7424405B2 (ja) 水供給装置
KR101223160B1 (ko) 압력변화에 따라 유량이 조절되는 유량조절밸브가 설치된 수도꼭지
RU2008570C1 (ru) Электроводонагреватель
KR200285997Y1 (ko) 급수관과 수도꼭지의 연결관
KR20020081849A (ko) 하수관용 역류방지구
KR200385679Y1 (ko) 체크 유니트가 내장된 상수도 밸브
KR100341351B1 (ko) 절수형 세면기
KR100433999B1 (ko) 연수기용 헤드 어셈블리 및 그를 이용한 연수기
KR200382611Y1 (ko) 풋밸브용 수도꼭지구조
KR200338514Y1 (ko) 연수기의 유로절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