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3453Y1 - 수전구 연결 아답터 - Google Patents

수전구 연결 아답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3453Y1
KR200273453Y1 KR2020010040710U KR20010040710U KR200273453Y1 KR 200273453 Y1 KR200273453 Y1 KR 200273453Y1 KR 2020010040710 U KR2020010040710 U KR 2020010040710U KR 20010040710 U KR20010040710 U KR 20010040710U KR 200273453 Y1 KR200273453 Y1 KR 2002734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water
faucet
valve
water pur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407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만
박정민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407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34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34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3453Y1/ko

Links

Landscapes

  • Multiple-Way Valve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수기, 온수세정기 또는 연수기용으로 사용되는 수전구 연결 아답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아답터는 양측에 원수 유입구와 수도꼭지로 향한 제1 배출구가 구비된 아답터몸체와, 상기 몸체의 직하방에 연결되어 제2 배출구측에 내포된 볼 스템과 볼트로 연결된 레버를 구비한 밸브의 조절에 의하여 개폐되는 분지관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본 고안에 따른 아답터는 볼밸브를 아답터몸체가 아닌 정수기 등으로 향한 분지관측에 설치함으로써, 종래의 아답터와 동일한 유량의 원수를 배출하면서도 아답터의 전체 크기를 보다 소형화시킬 수 있고, 노출된 수전금구에 이러한 본 고안의 아답터가 설치할 경우 미관상 조화됨과 아울러 기존에 설치된 수전금구의 노출정도를 거의 동일하게 유지하는 상태로 아답터를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아답터의 분지관에 장착된 밸브의 원수 차단/개방에 대한 작동신뢰성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고, 갑작스럽게 원수가 수도꼭지로 분출하여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수전구 연결 아답터{CONNECTING ADAPTER FOR FAUCET}
본 고안은 정수기, 온수세정기 또는 연수기용으로 사용되는 수전구 연결 아답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볼밸브를 정수기, 온수세정기 또는 연수기로 향하는 분지관측에 설치하여 밸브를 오래 사용하더라도 지속적인 작동신뢰성을 보장하고, 동일한 유량의 물이 흐르는 아답터의 크기를 소형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음관 또는 아답터는 도관을 잇는데 사용하는 장치로서, 관의 종류/크기/사용처 등에 따라 여러 가지 타입이 있다. 예를 들어, 나사를 이용하여 체결되는 이음에는 직각으로 접속하는 엘보우(elbow), T자형으로 접속하는 것, Y자형으로 접속하는 것, 십자형으로 접속하는 것, U자형으로 접속하여 귀환되도록 하는 것(return bend), 관이 서로 동축이 아닐 경우에 사용되는 것(socket) 등이 있다.
또한 밸브는 관로의 도중에 또는 용기에 설치하여 유체의 유량/압력 등을 제어하는 기구로서, 일반적으로 스톱밸브(글로브 밸브 및 앵글밸브)/슬루스 밸브/체크밸브/감압밸브 등이 있다.
한편 정수기, 온수세정기 또는 연수기용으로 사용되는 종래의 아답터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아답터(101)는 양측에원수 유입구(111)와 수도꼭지로 향한 제1 배출구(113)가 구비되어 있고, 볼(131) 스템과 볼트로 연결된 레버를 구비한 밸브가 장착된 아답터몸체(110)와, 상기 몸체의 직하방에 연결되어 상기 레버의 회전에 따른 볼(131) 유출공(131a)의 위치가변에 따라 제2 배출구(121)가 개폐되도록 되어 있는 분지관(120)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1에서 상기 레버, 볼스템(stem)은 도시되어 있지 않고, 상기 볼(131)이 회전되는 회전축(137)을 십자표시[+]로 나타내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아답터(101)는 통상 노출된 수전금구에 설치되는데, 상기 제1 배출구(113)로는 정수 또는 연수되지 않은 원수가 배출되고, 상기 분지관(120)의 제2 배출구(121)로는 정수기, 온수세정기 또는 연수기로 향하는 원수가 배출된다. 도 1에 도시된 단면도에서는 정수기 등으로 향하는 분지관(120)이 폐쇄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의 레버를 회전시키면 분지관(120)의 제2 배출구(121)가 개방되면서 원수가 정수기 등으로 흐르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를 개방하면 제1 배출구(113)를 통하여 수전금구로 향하는 원수의 수압은 강해지게 된다. 또한 제2 배출구를 통하여 정수기 등으로 향하는 원수의 량은 볼의 방향성으로 인하여 상기 분지관(120)의 내경을 전체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원하는 원수 유입량을 얻기 위하여 아답터(101)의 크기는 커질 수밖에 없고, 이러한 확대된 크기는 아탑터(101)가 일반적으로 노출된 수전금구에 설치되는 것을 고려하여 볼 때 미관상 좋지 못하다.
이와 더불어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전금구의 밸브가 원터치 밸브인 것을 고려하여 볼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지관(120)이 개방된 상태에서 원터치 밸브를 개방하게 되면 수압이 강해진 상태에서 원수가 수도꼭지로 배출되게 되므로 수돗물이 방산하게 되어 사용자가 옷을 버릴 수 있고, 바닥에 원수가 떨어지는 등 불편함을 일으키게 된다.
또한 장기간 사용시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기 밸브(131)와 아답터몸체(110) 사이에 부착/퇴적되므로 볼(131)의 회전이 매끄럽지 못하고, 이에 따라 레버의 회전을 위하여 가해지는 힘이 과도하게 되고 레버 회전에 있어 최초에 설정된 한도(예를 들어 45。 회전)를 제한하고 있는 걸림턱(미도시 됨)이 파손되어, 레버는 제한없이 회전되게 되므로 사용자가 개폐상태를 확신할 수 없고 정수기 등으로 향하는 원수의 개방/차단이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어서 밸브의 작동신뢰성이 떨어지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정수기, 온수세정기 또는 연수기용으로 사용되는 연결 아답터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첫째, 볼밸브를 아답터몸체가 아닌 정수기 등으로 향한 분지관측에 설치하여 종래의 아답터와 동일한 유량의 원수를 배출하면서도 아답터의 전체 크기를 소형화시키는 것과,
둘째, 이에 따라 노출된 수전금구에 본 고안의 아답터가 설치될 경우 미관상조화됨과 아울러 기존에 설치된 수전금구의 노출정도를 거의 동일하게 유지하는 상태로 아답터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셋째, 아답터에 장착된 밸브의 작동신뢰성을 오랫동안 유지하도록 하는 것과,
넷째, 갑작스럽게 원수가 수도꼭지로 분출하여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정수기, 온수세정기 또는 연수기용으로 사용되는 본 고안에 따른 수전구 연결 아답터는 양측에 원수 유입구와 수도꼭지로 향한 제1 배출구가 구비된 아답터몸체와, 상기 몸체의 직하방에 연결되어 제2 배출구측에 내포된 볼 스템과 볼트로 연결된 레버를 구비한 밸브의 조절에 의하여 개폐되는 분지관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정수기, 온수세정기 또는 연수기용으로 사용되는 수전구 연결 아답터의 개폐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 온수세정기 또는 연수기용으로 사용되는 수전구 연결 아답터의 개폐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종래 아답터 및 도 3의 본 고안에 따른 아답터를 수전금구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아답터 10: 아답터몸체
11: 유입구 13: 제1 배출구
20: 분지관 21: 제2 배출구
30: 밸브 31: 볼
31a: 유출공 33: 스템(stem)
35: 레버 B: 볼트
S: 실링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 온수세정기 또는 연수기용으로 사용되는 수전구 연결 아답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정수기 등으로 향한 분지관(20)이 폐쇄되어 있다. 도 3에서, 본 고안에 따른 아답터(1)는 크게 아답터몸체(10)와 정수기 등으로 향하는 분지관(20)과 이 분지관(20)에 내포된 볼(31)을 가변시키는 레버(35)를 포함하는 밸브(3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아답터몸체(10)는 일반적으로 노출된 수전금구에 설치되어 원수가 들어오는 유입구(11)와 정수 또는 연수 등이 되지 않은 원수가 수도꼭지로 배출되게 되는 제1 배출구(13)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분지관(20)은 상기 아답터몸체(10) 직하방에 연통되어 있고, 밸브(30)가 개방될 경우 제2 배출구(21)를 통하여 원수는 정수기 또는 연수기 등으로 흐르게 되어 정수 또는 연수되게 된다.
상기 밸브(30)는 상기 분지관(20) 도중에 설치된 볼(31)과, 이 볼(31)의 회전축 역할을 하는 스템(33, stem)과, 이 스템(33)과 볼트(B)에 의하여 연결된 레버(35)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볼(31) 주변에는 수밀성을 위하여 실링재(S)가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지관(20)이 폐쇄된 상태로부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30)의 레버(35)를 회전시켜 볼(31)의 유출공(31a)이 분지관(20)의 유통로와 일치되도록 하면 원수는 상기 제1 배출구(13) 뿐만 아니라 상기 제2 배출구(21)로도 흐르게 된다.
또한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종래 아답터 및 도 3의 본 고안에 따른 아답터를 욕실용으로 사용되는 수전금구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로서, 통상 연수기에 원수를 공급하기 위한 설치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b에서, 이상에서 설명한 구조와 동작기능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 온수세정기 또는연수기용으로 사용되는 수전구 연결 아답터(1)의 분지관(20)으로는 연수기로 향하는 배관(P)이 연결된다. 도 5b에서의 설치상태는 도 5a의 것과 동일하다. 도 5a 및 도 5b에서 미설명 부호 F는 수전금구, W는 욕실벽, 135는 밸브(도 5a)이다. 동일한 원수유량을 기준으로 도 5a에서 종래의 아답터(101)의 길이(ℓ1)는 도 5b에 도시된 본 고안의 아답터(1)의 길이(ℓ2) 보다 길어서 적어도 1㎝ 이상 더 돌출되게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에 따른 아답터(1)는 소형화되었다는 것은 명백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 온수세정기 또는 연수기용으로 사용되는 수전구 연결 아답터는,
첫째, 볼밸브를 아답터몸체가 아닌 정수기 등으로 향한 분지관측에 설치함으로써, 종래의 아답터와 동일한 유량의 원수를 배출하면서도 아답터의 전체 크기를 보다 소형화시킬 수 있고,
둘째, 노출된 수전금구에 이러한 본 고안의 아답터가 설치할 경우 미관상 조화됨과 아울러 기존에 설치된 수전금구의 노출정도를 거의 동일하게 유지하는 상태로 아답터를 설치할 수 있으며,
셋째, 상기 아답터의 분지관에 장착된 밸브의 원수 차단/개방에 대한 작동신뢰성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넷째, 갑작스럽게 원수가 수도꼭지로 분출하여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볼밸브가 구비된 수전구 연결 아답터에 있어서,
    양측에 원수 유입구(11)와 수도꼭지로 향한 제1 배출구(13)가 구비된 아답터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직하방에 연결되어 제2 배출구(21)측에 내포된 볼(31) 스템(33)과 볼트(B)로 연결된 레버(35)를 구비한 밸브(30)의 조절에 의하여 개폐되는 분지관(20)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온수세정기 또는 연수기용 수전구 연결 아답터(1).
KR2020010040710U 2001-12-28 2001-12-28 수전구 연결 아답터 KR2002734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0710U KR200273453Y1 (ko) 2001-12-28 2001-12-28 수전구 연결 아답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0710U KR200273453Y1 (ko) 2001-12-28 2001-12-28 수전구 연결 아답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3453Y1 true KR200273453Y1 (ko) 2002-05-03

Family

ID=73115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40710U KR200273453Y1 (ko) 2001-12-28 2001-12-28 수전구 연결 아답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345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7108B1 (ko) * 2003-04-29 2005-05-04 이봉수 연수기용 배관연결 어댑터의 제조방법
KR100737925B1 (ko) * 2006-07-07 2007-07-10 노응석 연결 아답터
KR200478638Y1 (ko) * 2015-05-14 2015-11-06 김윤수 튜빙관 중간 연결체
KR20190086983A (ko) 2018-01-15 2019-07-24 원현준 수전금구용 멀티 유로 전환밸브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7108B1 (ko) * 2003-04-29 2005-05-04 이봉수 연수기용 배관연결 어댑터의 제조방법
KR100737925B1 (ko) * 2006-07-07 2007-07-10 노응석 연결 아답터
KR200478638Y1 (ko) * 2015-05-14 2015-11-06 김윤수 튜빙관 중간 연결체
KR20190086983A (ko) 2018-01-15 2019-07-24 원현준 수전금구용 멀티 유로 전환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5703B2 (en) Thermostatically controlled bypass valve
US8522814B2 (en) Water control valve assembly
US5653260A (en) Flow-rate limiting valve for inserting between a shower hose and a hand shower
FI87248B (fi) Luftventil foer sanitetsanordningar speciellt foer att monteras vid sanitetsarmatur.
US6449784B1 (en) Easy operating diverter tub spout
US5279324A (en) Anti-siphoning valve assembly and plumbing fixture including same
KR200273453Y1 (ko) 수전구 연결 아답터
US11028942B2 (en) Fluid control valve
JP3377778B2 (ja) 浄水器
KR100478083B1 (ko) 보조공급수 연결용 튜브가 접속되는 수도꼭지 연결구
KR20110091255A (ko) 체크밸브 내장형 배관 분기용 연결구
KR200334828Y1 (ko) 이중 배출구를 갖는 수도꼭지
KR200420699Y1 (ko) 밸브를 겸하는 배관 분기용 연결구
KR200299784Y1 (ko) 수전용 관붙이 앵글밸브
EP4105394A1 (en) Plumbing fitting
KR200233804Y1 (ko) 연수기용 연결관
KR200262862Y1 (ko) 연수기용 역류 및 퇴수방지장치
JP2000170979A (ja) 分岐水栓
JP2000110209A (ja) 水 栓
AU2003100311A4 (en) Plumbing fitting
KR200314022Y1 (ko) 이중 배출구를 갖는 수도꼭지
US6718564B2 (en) Adapter for converting a flushometer valve to a water source
KR0134506Y1 (ko) 수전기에 부착사용하는 지레의 원리를 이용한 지수장치기
KR200173127Y1 (ko) 가정용 정수기 연결장치
KR200256125Y1 (ko) 역류방지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