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7108B1 - 연수기용 배관연결 어댑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연수기용 배관연결 어댑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7108B1
KR100487108B1 KR10-2003-0027281A KR20030027281A KR100487108B1 KR 100487108 B1 KR100487108 B1 KR 100487108B1 KR 20030027281 A KR20030027281 A KR 20030027281A KR 100487108 B1 KR100487108 B1 KR 100487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astening
hole
discharge pip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7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2860A (ko
Inventor
이봉수
Original Assignee
이봉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봉수 filed Critical 이봉수
Priority to KR10-2003-0027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7108B1/ko
Publication of KR20040092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2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7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71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01R31/065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with built-in electric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수기와 수도배관을 연결하는 연수기용 배관연결 어댑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외부면 가공작업이 불필요하면서 동시에 부분품의 체결 및 조립에 의해 간단히 제조되고 소재가 현저히 절감되도록 하는 연수기용 배관연결 어댑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방법은 소재를 인발하여 상부로 돌턱을 갖는 팔각형의 봉을 형성하는 인발단계와; 상기한 팔각형의 봉을 상기 수도관연결체의 길이로 절단하여 수도관연결체를 형성하는 절단단계와; 상기 수도관연결체의 내부에 관통공과 유입관체결공 및 배출관체결공 그리고 에어배출관체결공을 가공하는 체결부 가공단계와; 상기 돌턱에 수직으로 연결공을 가공하고, 상기 연결공의 일측으로 상기 돌턱의 일부를 절개하여 이동홈을 가공하며, 상기 수도관연결체의 일단의 내부와 타단의 외부로 내측나선 및 외측나선을 가공하는 설치부 가공단계와; 상기 유입관체결공에 상기 유입관을 체결하고, 상기 배출관체결공에 상기 배출관을 체결하며, 상기 에어배출관체결공에 에어배출관을 체결하여 조립하는 체결관 조립단계와; 상기 연결공에 대응하는 상기 관통공의 내부로 시트링에 의해 안착되는 볼밸브체를 삽입하고, 상기 연결공을 통해 상기 볼밸브체와 핸들을 설치하며, 상기 내측나선에 너트가 걸리도록 너트걸림구를 체결하여 조립하는 밸브체 및 너트 조립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면서 제조원가가 현저히 절감되고, 배관의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해지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연수기용 배관연결 어댑터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adapter for linking pipe using water softener}
본 발명은 연수기와 수도배관을 연결하는 연수기용 배관연결 어댑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외부면 가공작업이 불필요하면서 동시에 부분품의 체결 및 조립에 의해 간단히 제조되고 소재가 현저히 절감되도록 하는 연수기용 배관연결 어댑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수기는 수돗물 등에 포함된 광물질 등을 걸러내어 경수를 연수로 만드는 것으로, 이 연수는 피부 미용, 온천욕 효과, 피부염 예방, 모발 보호, 세제 절감 및 세탁 효과, 식물생장촉진 등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상기한 연수기는 수도배관이나 혼합수전구 등에 설치되어 수돗물을 연수로 만들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연수기를 수도배관이나 혼합수전구에 연결하기 위해 다양한 배관연결 어댑터가 사용되고 있다.
도 3은 종래의 일예를 보인 블록도이고, 도 4는 상기 도 3의 제조방법에 따른 어댑터의 단조 후의 상태를 보인 평면도로써, 종래 어댑터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의 제조방법은 소재를 단조하여 유입관(101)과 배출관(102) 그리고 에어배출관(103)을 수도관연결체(100)에 일체로 형성하는 단조단계(S100)와, 상기 단조단계(S100)의 이후에 단조품의 외부로 형성된 단조귀(200)를 트리밍하고 이 단조품의 외부면을 가공하는 트리밍단계(S200)와, 상기 트리밍단계(S200)에 의해 외부면의 가공이 완료된 후에 상기 수도관연결체(100)와 유입관(101), 배출관(102), 그리고 에어배출관(103)의 내부를 가공하여 서로 관통되도록 하는 기계가공단계(S300)와, 상기 기계가공단계(S300)가 완료된 후에 밸브체를 상기 수도관연결체(100)에 조립하는 조립단계(S400)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단조된 이후에 단조귀를 트리밍하거나 단조품의 외부면을 매끄럽게 가공하는 등 외부면의 가공이 필수적으로 필요함으로써, 제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트리밍된 단조귀 등 고가의 소재가 폐기물이 되며 소재의 과다공급으로 제조원가의 상승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수도관연결체의 외부로 다수의 배관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내경가공 등 기계가공이 까다롭고 가공중에 불량품이 발생할 우려가 상존하며 사용중에 배관의 교체가 불가능하여 배관의 손상으로 어댑터 전체를 교체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별도의 외부면 가공작업이 불필요하면서 동시에 부분품의 체결 및 조립에 의해 간단히 제조되고 소재가 현저히 절감되도록 하는 연수기용 배관연결 어댑터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볼밸브체와 시트링이 적절히 안착되도록 하는 연수기용 배관연결 어댑터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입관과 배출관의 체결이 용이하면서 동시에 배수량이 증대되도록 하는 연수기용 배관연결 어댑터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수도관연결체에 유입관 및 배출관과 에어배출관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연수기용 배관연결 어댑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소재를 인발하여 상부로 돌턱을 갖는 팔각형의 봉을 형성하는 인발단계와; 상기한 팔각형의 봉을 절단하여 상기 수도관연결체를 형성하는 절단단계와; 상기 수도관연결체의 내부에 관통공을 가공을 한 후에 상기 수도관연결체의 일측에 수직으로 유입관체결공 및 배출관체결공을 가공하고, 상기 수도관연결체의 하부에서 수직으로 에어배출관체결공을 가공하는 체결부 가공단계와; 상기 유입관체결공에 대응되는 상기 돌턱에 수직으로 연결공을 가공하고, 상기 연결공의 일측으로 상기 돌턱의 일부를 절개하여 이동홈을 가공하며, 상기 수도관연결체의 일단의 내부와 타단의 외부로 내측나선 및 외측나선을 가공하는 설치부 가공단계와; 상기 유입관체결공에 상기 유입관을 체결하고, 상기 배출관체결공에 상기 배출관을 체결하며, 상기 에어배출관체결공에 상기 에어배출관을 체결하여 조립하는 체결관 조립단계와; 상기 연결공에 대응하는 상기 관통공의 내부로 시트링에 의해 안착되는 볼밸브체를 삽입하고, 상기 연결공을 통해 상기 볼밸브체와 연결한 후에 상기 돌턱의 상부로 상기 이동홈에 재치되도록 핸들을 설치하며, 상기 내측나선에 너트가 걸리도록 너트걸림구를 체결하여 조립하는 밸브체 및 너트 조립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부분품의 체결에 의해 어댑터의 제조가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체결부 가공단계에서 상기 관통공의 내부에 상기 볼밸브체와 시트링이 안착되도록 중앙에 수류공을 갖는 수직격벽이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볼밸브체와 시트링이 관통공의 내부에 적절히 안착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유입관체결공과 배출관체결공에 체결되는 상기 유입관 및 배출관의 중앙에 체결턱이 가공되고, 상기 체결턱을 중심으로 상기 유입관 및 배출관의 상부의 직경이 하부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배수량의 증대가 가능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을 보인 블록도로 본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어댑터의 제조방법은 소재를 인발하는 인발단계(S1)와, 인발된 소재를 절단하는 절단단계(S2)와, 절단된 소재의 체결부를 가공하는 체결부 가공단계(S3)와, 상기한 소재의 설치부를 가공하는 설치부 가공단계(S4)와, 가공이 완료된 소재에 체결관을 조립하는 체결관 조립단계(S5)와, 상기한 소재에 밸브체와 너트를 조립하는 밸브체 및 너트 조립단계(S6)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보다 상세한 설명으로, 상기 인발단계(S1)는 소재를 인발하여 상부로 돌턱을 갖는 팔각형의 봉을 형성하는 단계를 말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인발단계(S1)에 의해 인발된 봉은 표면의 가공이 불필요하여 소재의 표면가공으로 발생하는 폐기물이 적절히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절단단계(S2)는 상기한 팔각형의 봉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수도관연결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말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체결부 가공단계(S3)는 수도관연결체의 내부에 관통공을 가공을 한 후에 상기 수도관연결체의 일측에 수직으로 유입관체결공 및 배출관체결공을 가공하고, 상기 수도관연결체의 하부에서 수직으로 에어배출관체결공을 가공하며, 상기 관통공의 내부에 수류공을 갖는 수직격벽을 가공하는 단계를 말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 가공단계(S3)는 수도관연결체에 유입관과 배출관 그리고 에어베출관이 연통된 상태로 체결되도록 관통공과 체결공을 가공하는 것으로, 상기한 체결공은 내주로 나선이 형성되도록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나선에 체결되는 상기의 유입관과 배출관 그리고 에어배출관은 체결부위의 외주로 나선이 형성되도록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설치부 가공단계(S4)는 유입관체결공에 대응되는 돌턱에 수직으로 연결공을 가공하고, 상기 연결공의 일측으로 상기 돌턱의 일부를 절개하여 이동홈을 가공하며, 수도관연결체의 일단의 내부와 타단의 외부로 내측나선 및 외측나선을 가공하는 단계를 말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설치부 가공단계(S4)에서 밸브체와 핸들 및 너트가 수도관연결체에 설치되도록 설치될 부위를 적절히 가공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체결관 조립단계(S5)는 유입관체결공에 상기 유입관을 체결하고, 상기 배출관체결공에 상기 배출관을 체결하며, 상기 에어배출관체결공에 에어배출관을 체결하여 조립하는 단계를 말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체결관 조립단계(S5)에서 유입관과 배출관 및 에어베출관이 수도관연결체에 적절히 체결되어 조립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밸브체 및 너트 조립단계(S6)는 밸브체연결공에 대응하는 관통공의 내부로 시트링을 설치하고에 의해 안착되는 볼밸브체를 삽입하고, 상기 연결공을 통해 상기 볼밸브체와 연결한 후에 상기 돌턱의 상부로 상기 이동홈에 재치되도록 핸들을 설치하며, 상기 내측나선에 너트가 걸리도록 너트걸림구를 체결하여 조립하는 단계를 말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제조방법은 별도의 표면가공이 불필요하여 소재를 절감하면서 동시에 간단한 체결 및 조립으로 제조가 간편하고 부분품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조공정을 보인 것으로,
도 2a는 인발된 봉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b는 수도관연결체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2c는 수도관연결체가 가공된 상태를 보인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2d는 수도관연결체에 배관이 조립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도 2로 본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 2a에 도시된 것처럼, 소재가 인발되면 상부 일면으로 돌턱(11)을 갖는 팔각형의 봉(10a)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봉(10a)은 인발에 의해 별도의 외부면의 가공이 불필요할 정도로 형성됨으로, 외부면의 가공작업이 불필요하여 제조시간이 단축되고 제작이 보다 용이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봉(10a)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도 2b에 도시한 것처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수도관연결체(10)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렇게 형성된 상기 수도관연결체(10)는 상기 도 2c에 도시한 것처럼, 기계가공을 하여 관통공(12)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12)과 연통되도록 유입관체결공(13) 및 배출관체결공(14) 그리고 에어배출관체결공(15)을 가공하여 형성하며, 상기 수도관연결체(10)의 돌턱(11)에 수직으로 연결공(16)과 이동홈(17)을 가공하여 형성하고, 상기 수도관연결체(10)의 양단으로 내측나선(18)과 외측나선(19)을 가공하여 형성하며, 상기 관통공(12)의 내부로 수류공(122)을 갖는 수직격벽(121)을 가공하여 형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수도관연결체(10)가 가공된 다음에 상기 도 2d에 도시한 것처럼, 유입관체결공(13)에 유입관(20)을 체결하고, 배출관체결공(14)에 배출관(30)을 체결하며, 에어배출관체결공(15)에 에어배출관(40)을 체결하고, 이동홈(17)에 재치되도록 핸들(52)을 연결공(16)을 통해 볼밸브체(50)와 연결하여 상기 볼밸브체(50)가 관통공(12)의 내부에서 수직격벽(121)에 안착된 시트링(51)의 사이로 조립하며, 내측나선(18)에 너트(61)가 걸리도록 너트걸림구(60)를 체결하여 조립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유입관(20)과 배출관(30)은 유입관체결공(13)과 배출관체결공(14)에 적절히 체결되도록 체결턱(21)(31)을 중심으로 그 하부에 나선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턱(21)(31)을 중심으로 상부의 직경이 하부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체결이 용이하면서 배수량이 증대되도록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별도의 외부면 가공작업이 불필요하면서 동시에 부분품의 체결 및 조립에 의해 간단히 제조되고 소재가 현저히 절감되도록 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면서 제조원가가 현저히 절감되고 배관의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볼밸브체와 시트링이 적절히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조립이 보다 간편해지고 볼밸브체의 작동성과 기밀성이 보다 증대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유입관과 배출관의 체결이 용이하면서 동시에 배수량이 증대되도록 함으로써, 유입관과 배출관의 조립이 보다 간편해지고 연수되는 수량의 적절한 확보가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조공정을 보인 것으로,
도 2a는 인발된 봉을 보인 사시도,
도 2b는 수도관연결체를 보인 사시도,
도 2c는 수도관연결체가 가공된 상태를 보인 부분 절개 사시도,
도 2d는 수도관연결체에 배관이 조립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일예를 보인 블록도,
도 4는 도 3의 제조방법에 따른 어댑터의 단조 후의 상태를 보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 : 봉
10 : 수도관연결체
11 : 돌턱 12 : 관통공 13 : 유입관체결공
14 : 배출관체결공 15 : 에어배출관체결공 16 : 연결공
17 : 이동홈 18 : 내측나선 19 : 외측나선
20 : 유입관 30 : 배출관 40 : 에어배출관
50 : 볼밸브체
51 : 시트링 52 : 핸들

Claims (3)

  1. 수도관연결체(10)에 유입관(20) 및 배출관(30)과 에어배출관(40)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연수기용 배관연결 어댑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소재를 인발하여 상부로 돌턱(11)을 갖는 팔각형의 봉(10a)을 형성하는 인발단계(S1)와;
    상기한 팔각형의 봉(10a)을 절단하여 상기 수도관연결체(10)를 형성하는 절단단계(S2)와;
    상기 수도관연결체(10)의 내부에 관통공(12)을 가공을 한 후에 상기 수도관연결체(10)의 일측에 수직으로 유입관체결공(13) 및 배출관체결공(14)을 가공하고, 상기 수도관연결체(10)의 하부에서 수직으로 에어배출관체결공(15)을 가공하는 체결부 가공단계(S3)와;
    상기 유입관체결공(13)에 대응되는 상기 돌턱(11)에 수직으로 연결공(16)을 가공하고, 상기 연결공(16)의 일측으로 상기 돌턱(11)의 일부를 절개하여 이동홈(17)을 가공하며, 상기 수도관연결체(10)의 일단의 내부와 타단의 외부로 내측나선(18) 및 외측나선(19)을 가공하는 설치부 가공단계(S4)와;
    상기 유입관체결공(13)에 상기 유입관(20)을 체결하고, 상기 배출관체결공(14)에 상기 배출관(30)을 체결하며, 상기 에어배출관체결공(15)에 상기 에어배출관(40)을 체결하여 조립하는 체결관 조립단계(S5)와;
    상기 연결공(16)에 대응하는 상기 관통공(12)의 내부로 시트링(51)에 의해 안착되는 볼밸브체(50)를 삽입하고, 상기 연결공(16)을 통해 상기 볼밸브체(50)와 연결한 후에 상기 돌턱(11)의 상부로 상기 이동홈(17)에 재치되도록 핸들(52)을 설치하며, 상기 내측나선(18)에 너트(61)가 걸리도록 너트걸림구(60)를 체결하여 조립하는 밸브체 및 너트 조립단계(S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용 배관연결 어댑터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 가공단계(S3)에서 상기 관통공(12)의 내부에 상기 볼밸브체(50)와 시트링(51)이 안착되도록 중앙에 수류공(122)을 갖는 수직격벽(121)이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용 배관연결 어댑터의 제조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체결공(13)과 배출관체결공(14)에 체결되는 상기 유입관(20) 및 배출관(30)의 중앙에 체결턱(21)(31)이 가공되고, 상기 체결턱(21)(31)을 중심으로 상기 유입관(20) 및 배출관(30)의 상부의 직경이 하부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용 배관연결 어댑터의 제조방법.
KR10-2003-0027281A 2003-04-29 2003-04-29 연수기용 배관연결 어댑터의 제조방법 KR100487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7281A KR100487108B1 (ko) 2003-04-29 2003-04-29 연수기용 배관연결 어댑터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7281A KR100487108B1 (ko) 2003-04-29 2003-04-29 연수기용 배관연결 어댑터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2860A KR20040092860A (ko) 2004-11-04
KR100487108B1 true KR100487108B1 (ko) 2005-05-04

Family

ID=37373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7281A KR100487108B1 (ko) 2003-04-29 2003-04-29 연수기용 배관연결 어댑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710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3207A (ko) * 1994-02-15 1995-12-22 오오니시 유키오 자동혼합수전
KR20020024154A (ko) * 2002-01-25 2002-03-29 정승훈 배수 이음관 일체형 밸브 유니트
KR200273453Y1 (ko) * 2001-12-28 2002-05-03 웅진코웨이개발 주식회사 수전구 연결 아답터
KR200321436Y1 (ko) * 2003-04-29 2003-07-28 이봉수 연수기용 배관연결 어댑터
KR20040091864A (ko) * 2003-04-22 2004-11-02 이봉수 연수기용 배관연결 어댑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3207A (ko) * 1994-02-15 1995-12-22 오오니시 유키오 자동혼합수전
KR200273453Y1 (ko) * 2001-12-28 2002-05-03 웅진코웨이개발 주식회사 수전구 연결 아답터
KR20020024154A (ko) * 2002-01-25 2002-03-29 정승훈 배수 이음관 일체형 밸브 유니트
KR20040091864A (ko) * 2003-04-22 2004-11-02 이봉수 연수기용 배관연결 어댑터
KR200321436Y1 (ko) * 2003-04-29 2003-07-28 이봉수 연수기용 배관연결 어댑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2860A (ko) 2004-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92176C (zh) 自流式龙头
US4884596A (en) Plumbing fixture with interior insulating and adhesive foam
US7316423B2 (en) Fitting and pipe section for jetted bath heaters
KR100487108B1 (ko) 연수기용 배관연결 어댑터의 제조방법
US5156642A (en) Fluid distribution manifold with circularly arranged output ports
US5839662A (en) Water distribution system with variable water-saving diffusers
KR200480172Y1 (ko) 회전공구 사용이 가능한 샤워기
CN111503316B (zh) 分配装置和分配装置的组装方法
KR200321436Y1 (ko) 연수기용 배관연결 어댑터
JP2007139196A (ja) 流路ブロック
CN209853797U (zh) 一种压缩空气喷头及阳床树脂清洗装置
KR100392944B1 (ko) 보일러 난방 배관의 내경 세척 방법
US5868163A (en) Flow restriction device
EP1298258A2 (en) Single-control mixing faucet with a horizontal mixing cartridge
KR100397693B1 (ko) 식용오일클리너의 하우징조립체 및 그 여과필터 조립체
JP7297511B2 (ja) 水栓
CN212839687U (zh) 一种一体式水龙头主体
KR200260040Y1 (ko) 건물옥상 물탱크의 외부라인 필터 구조.
JPH049610Y2 (ko)
FR3112187B1 (fr) Prise murale de distribution de fluide médical à tubulure matricée
US5775356A (en) Method for assembling the control valve of a single-handle faucet
JP7266865B2 (ja) アダプタ、および、アダプタの製造方法
KR200287497Y1 (ko) 부품교환 및 수지세척이 용이한 연수기
JPS6299529A (ja) 水栓用吐水管
CN108425413B (zh) 一种建筑下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