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172Y1 - 회전공구 사용이 가능한 샤워기 - Google Patents

회전공구 사용이 가능한 샤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172Y1
KR200480172Y1 KR2020150005729U KR20150005729U KR200480172Y1 KR 200480172 Y1 KR200480172 Y1 KR 200480172Y1 KR 2020150005729 U KR2020150005729 U KR 2020150005729U KR 20150005729 U KR20150005729 U KR 20150005729U KR 200480172 Y1 KR200480172 Y1 KR 2004801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using
gear
supply pip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7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영
장경민
Original Assignee
서동영
장경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동영, 장경민 filed Critical 서동영
Priority to KR20201500057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1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1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172Y1/ko
Priority to PCT/KR2016/009219 priority patent/WO201703424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A47K3/281Accessories for showers or bathing douches, e.g. cleaning devices for walls or floors of sh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4Mechanical washing or cleaning devices, hand or mechanically, i.e. power operated
    • A47K7/043Mechanical washing or cleaning devices, hand or mechanically, i.e. power operated hand oper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4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spou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회전공구 결합이 가능한 샤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압을 이용하여 회전공구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한 샤워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샤워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 종단에 형성되며, 외부의 제1 노즐이 체결되는 제1 노즐 체결부, 상기 제1 노즐 체결부와 연결되며, 외부의 제1 노즐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물 유입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하며, 물 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된 물이 이동하는 수로가 형성된 배관 연결밸브,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하며, 상기 배관 연결밸브가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인 제1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배관 연결밸브에 형성된 수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제1 공급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하며, 상기 배관 연결밸브가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인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배관 연결밸브에 형성된 수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제2 공급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하며, 상기 제1 공급관으로 공급된 물의 수압에 의해 회전하는 제1 기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하며, 상기 제1 기어에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제1 공급관으로 공급된 물의 수압에 의해 회전하는 제2 기어, 상기 제1 기어의 종단에 체결되며, 제1 기어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제1 베벨기어, 상기 제1 베벨기어에 맞물려 회전하며, 종단에 공구를 체결할 수 있는 나사선이 형성된 제2 베벨기어 및 상기 제2 공급관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샤워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회전공구 사용이 가능한 샤워기{Shower}
본 고안은 회전공구 사용이 가능한 샤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돗물의 수압을 이용하여 회전공구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한 샤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목욕을 할 때 사용하는 때밀이 타올은 표면이 거칠게 이루어져, 피부의 표면에 있는 때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 타올은 주로 장갑형태로 구성되어 손에 끼운 상태로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때밀이 타올의 재질은 흡수성과 투수성이 뛰어난 섬유재질로 제작되는게 일반적이다.
그런데, 이러한 때밀이 타올은 손에 끼워 사용하게 되므로, 손이 잘 닿지 않는 등부분의 때를 제거할 때는 사용이 불편하여, 다른 사람에게 부탁을 하거나, 수건 형상의 때밀이 타올을 사용하거나, 긴 막대의 단부에 때밀이 타올을 형성한 때밀이용 도구를 사용하여 때를 제거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때를 제거한 후에는 몸에 묻어 있는 때를 샤워기 등을 사용하여 씻어주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래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등록실용신안 제20-0212720호에 기재된 기술은 물의 흐름 즉, 유체역학적인 유체흐름을 이용하여 수차(임팰러)를 돌리는 고안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회전력을 발생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므로, 작은 공간에서 실용적인 회전력을 얻을 수 없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20-0212720호에 기재된 기술은 샤워기에 회전 가능한 브러시를 설치하여 때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별도로 때를 씻을 필요 없이 한번에 때의 제거와 씻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으나, 브러시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조가 복잡하여 쉽게 고장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종래 기술에서 제안하고 있는 샤워기는 회전 가능한 브러시를 이용하여 샤워를 하는 것은 일부 가능할 수 있으나, 공구를 부착하여 작업을 하기에는 충분한 회전력을 제공하지 못한다. 즉, 공구를 이용하여 욕실의 바닥 등을 포함한 간단한 청소를 하기 위해서는 기존 대비하여 높은 회전력을 요구한다. 따라서, 원활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간단하면서 충분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샤워기의 개발이 요구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33580호(고안의 명칭: 수압이용 때밀이기) 한국공개특허 제2011-0115213호(발명의 명칭: 세척기 겸용 샤워기)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사용자가 원하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샤워기를 제안함에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회전공구를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충분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샤워기를 제안함에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필요한 경우에는 샤워기 또는 회전공구를 회전시키기는 장비로 활용이 가능한 샤워기를 제안함에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회전공구의 탈부착이 간편한 샤워기를 제안함에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구조가 간단한 회전공구의 탈부착이 간편한 샤워기를 제안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샤워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 종단에 형성되며, 외부의 제1 노즐이 체결되는 제1 노즐 체결부, 상기 제1 노즐 체결부와 연결되며, 외부의 제1 노즐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물 유입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하며, 물 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된 물이 이동하는 수로가 형성된 배관 연결밸브,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하며, 상기 배관 연결밸브가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인 제1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배관 연결밸브에 형성된 수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제1 공급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하며, 상기 배관 연결밸브가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인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배관 연결밸브에 형성된 수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제2 공급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하며, 상기 제1 공급관으로 공급된 물의 수압에 의해 회전하는 제1 기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하며, 상기 제1 기어에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제1 공급관으로 공급된 물의 수압에 의해 회전하는 제2 기어, 상기 제1 기어의 종단에 체결되며, 제1 기어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제1 베벨기어, 상기 제1 베벨기어에 맞물려 회전하며, 종단에 공구를 체결할 수 있는 나사선이 형성된 제2 베벨기어 및 상기 제2 공급관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샤워부재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회전공구 결합이 가능한 샤워기는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물의 수압을 이용하여 결합된 회전공구를 회전시키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와 물의 수압을 이용하여 회전공구를 회전시킴으로써, 전동공구를 사용할 경우 발생하는 감전의 위험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회전공구를 회전시키기 위한 토크를 증가시켜 작업자가 원하는 작업을 무리없이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밸브를 이용하여 평상시에는 샤워기의 본래의 기능을 수행하며, 나사선을 이용하여 회전공구를 체결함으로써 다양한 회전공구를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샤워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 역시 종래 샤워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샤워기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배관 연결밸브의 회전에 따른 물의 이동 경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샤워기의 하우징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샤워기에 장착하여 사용 가능한 회전공구를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고안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이러한 실시 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수압을 이용한 샤워기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3을 이용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수압을 이용한 샤워기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3에 의하면, 수압을 이용한 샤워기(100)는 하우징(105), 제1 노즐 체결부(110), 제2 노즐 체결부(115), 배관 연결밸브(120), 유입관(125), 제1 공급관(130), 제2 공급관(135), 유출관(140), 제1 기어(145), 제2 기어(150), 제1 베벨기어(155), 제2 베벨기어(160), 샤워부재(165)를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본 고안에서 제안하는 샤워기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본 고안의 샤워기는 기어가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기어가 내장된 하우징에 베어링이 형성된다.
하우징(105)은 샤워기를 구성하는 본체이며, 내부 또는 외부에 본 고안의 샤워기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실장된다. 하우징(105)은 전체적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바 타입으로 구성된다. 하우징(105)은 원기둥 또는 타원 기둥 형태로 구성되거나,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05)의 일측 종단에는 제1 노즐 체결부(110)와 제2 노즐 체결부(115)가 형성된다. 제1 노즐 체결부(110)는 외부의 제1 노즐이 체결되며, 제2 노즐 체결부(115)는 외부의 제2 노즐이 체결된다. 물론 제1 노즐 체결부(110)는 외부의 제1 노즐과 체결되는 반면 제2 노즐 체결부(115)는 외부의 제2 노즐이 체결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노즐은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제1 노즐 체결부(110)로 공급하며, 제2 노즐은 제2 노즐 체결부(115)로부터 물을 공급받는다. 따라서, 제2 노즐 체결부(115)는 별도의 제2 노즐에 체결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유입관(125)은 일측은 제1 노즐 체결부(110)와 연결되며, 타측은 배관 연결밸브(120)와 연결된다. 즉, 제1 노즐 체결부(110)를 통해 유입관(125)으로 유입된 물은 배관 연결밸브(120)로 공급된다.
배관 연결밸브(120)는 유입관(125)과 연결되며, 유입관(125)으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제1 공급관(130) 또는 제2 공급관(135) 중 어느 하나의 배관으로 공급한다. 일 예로 배관 연결밸브(12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공급받은 물은 제1 공급관(130)으로 공급되며, 배관 연결밸브(12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공급받은 물은 제2 공급관(135)으로 공급된다. 이를 위해 배관 연결밸브(120)는 물이 이동하는 수로가 형성되며, 배관 연결밸브(120)의 회전에 따라 수로의 타측은 제1 공급관(130)과 연결되거나, 제2 공급관(135)과 연결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배관 연결밸브의 회전에 의한 유입된 물의 이동 경로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4를 이용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배관 연결밸브의 회전에 의한 유입된 물의 이동 경로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관 연결밸브(120)의 회전에 의해 유입된 물은 제1 공급관(130) 또는 제2 공급관(135) 중 어느 하나의 배관으로 공급된다.
먼저 도 4(a)는 유입된 물이 제2 공급관(135)으로 공급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2 공급관(135)으로 공급된 물은 샤워부재(165)로 공급된다. 도 4(a)에 의하면, 배관 연결밸브(120)는 유입관(125)으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제1 공급관(130) 또는 제2 공급관(135) 중 어느 하나의 배관으로 공급하기 위한 수로가 형성된다. 유입관(125)은 배관 연결밸브(120)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 공급받은 물을 제1 공급관(130) 또는 제2 배관(135)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배관 연결밸브(120)와 체결되는 부분의 직경을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배관 연결밸브(12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뿐만 아니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에도 유입관(125)으로 유입된 물은 제1 공급관(130) 또는 제2 공급관(135)으로 공급된다. 즉, 유입관(125)의 직경은 배관 연결밸브(120)에 형성된 수로의 회전각도를 고려하여 수로가 최대한 회전한 경우에도 유입관(120)과 연결될 수 있도록 배관의 직경을 다른 부분에 비해 크게 형성한다. 도 4(a)에 의하면, 배관 연결밸브(12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이에 따라 공급받은 물을 제2 공급관(135)으로 공급한다.
이에 비해 도 4(b)는 배관 연결밸브(120)는 반시계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한 상태이며, 이 경우 배관 연결밸브(120)에 형성된 수로는 제1 공급관(130) 또는 제2 공급관(135)과 연결되지 않으며, 이로 인해 배관 연결밸브(120)는 공급받은 물을 제1 공급관(130) 또는 제2 공급관(135)으로 공급할 수 없게 된다.
도 4(c)는 배관 연결밸브(120)의 수로가 제1 공급관(130)과 연결되며, 이로 인해 배관 연결밸브(120)는 공급받은 물을 제1 공급관(130)으로 공급한다. 물론 제1 공급관(130)으로 공급된 물은 내부의 제1 기어(145) 및 제2 기어(150)를 회전시킨 후 유출관(140)을 통해 외부로 유출된다.
제1 기어(145)와 제2 기어(150)는 하우징(105) 내부에 실장되며, 제1 기어(145)와 제2 기어(150)는 일정 길이를 갖는다, 제1 기어(145)와 제2 기어(150)의 일측 종단은 하우징(105)의 일측에 체결되며, 제1 기어(145)와 제2 기어(150)의 타측 종단은 하우징(105)의 타측에 체결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기어(145) 또는 제2 기어(150)가 체결되는 하우징(105)은 제1 기어(145) 또는 제2 기어(150)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베어링이 형성된다. 즉, 제1 기어(145)와 하우징(105) 사이, 제2 기어(150)와 하우징(105) 사이에는 베어링이 형성되며, 형성된 베어링에 의해 제1 기어(145)와 제2 기어(150)는 하우징(105) 내부에서 최소한 마찰력으로 회전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1 기어와 제2 기어가 형성된 하우징의 단면(A-A')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 5를 이용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1 기어와 제2 기어가 형성된 하우징의 단면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5에 의하면, 하우징(105)의 단면은 제1 기어(145), 제2 기어(150), 제1 공급관(130), 제2 공급관(135) 및 유출관(140)을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하우징(105)의 단면은 타원 형상을 가지며, 타원 형상의 내부에는 제1 기어(145)와 제2 기어(150)가 내장된다. 이외에도 제1 기어(145)와 제2 기어(150)를 중심으로 일측에는 제1 공급관(130)이 위치하며, 맞은편에는 유출관(140)이 위치한다.
제1 공급관(130)으로 공급된 물은 수압에 의해 제1 기어(145)와 제2 기어(150)를 회전시킨다. 도 5에 의하면, 제1 기어(145)와 제2 기어(150)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다수의 기어가 서로 맞물리도록 배치된다. 즉, 제1 공급관(130)으로 공급된 물은 제1 기어(145)와 제2 기어(150)에 형성된 기어를 가압하며, 가압된 힘에 의해 제1 기어(145)와 제2 기어(150)가 회전한다. 특히, 제1 공급관(130)으로 공급된 물의 수압에 의해 제1 기어(145)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제1 기어(145)에 맞물려 있는 제2 기어(15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 기어(145)와 제2 기어(150)를 회전시킨 물은 유출관(140)을 통해 외부로 유출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제1 공급관(130)으로 공급된 물을 통해 제1 기어(145)와 제2 기어(150)를 회전시키며, 제1 기어(145)와 제2 기어(150)를 회전시킨 물은 유출관(140)을 통해 외부로 유출된다. 제2 공급관(135) 역시 하우징(105)의 내부에 위치하며, 제2 공급관(135)으로 공급된 물은 샤워부재(165)로 공급된다. 즉, 제2 공급관(135)으로 공급된 물은 제1 기어(145)와 제2 기어(150)를 회전하는데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샤워부재(165)로 공급된다.
제1 베벨기어(155)는 제1 기어(145)의 타측 종단에 체결된다. 제1 베벨기어(155)의 일측 종단은 제1 기어(145)의 타측 종단에 체결되며, 제1 베벨기어(155)의 타측 종단은 기어를 형성하고 있다. 제1 베벨기어(155)의 타측 종단에는 제2 베벨기어(160)가 형성된다. 제1 베벨기어(155)의 회전에 의해 제2 베벨기어(160) 역시 회전한다. 또한, 제2 베벨기어(160)는 상대적으로 높은 토크를 형성하기 위해 제1 베벨기어(155)의 회전횟수와 제2 베벨기어(160)의 회전횟수가 상이하도록 한다. 즉, 제1 베벨기어(155)에 형성된 톱니 형상의 기어의 개수는 제2 베벨기어(160)에 형성된 톱니 형상의 기어의 개수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1 베벨기어(155)가 회전하는 동안 제2 베벨기어(160)는 제1 베벨기어(155)보다 상대적으로 적게 회전하며, 이로 인해 제2 베벨기어(160)의 토크는 증가한다. 제2 베벨기어(160)의 회전축의 종단은 나사선을 형성하며, 회전축에 형성된 나사선에 다양한 회전공구를 체결한다.
샤워부재(165)는 제2 공급관(135)과 연결되며, 제2 공급관(135)을 통해 공급받은 물을 샤워노즐을 통해 외부로 유출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배관 연결밸브(120)에 형성된 물이 이동하는 수로가 제1 공급관(130)과 연결되는 경우에는 수압을 이용하여 회전공구를 회전시키기 회전력을 공급하며, 제2 공급관(135)과 연결되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샤워기로 사용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샤워기에 장착 가능한 회전공구를 도시하고 있다. 도 6 의하면, 회전공구는 브러쉬 솔, 때밀이 부재, 조임넛트를 포함한 세척공구(일 예로 자동차 세차용 세척공구)가 포함된다. 물론 상술한 회전공구 이외에 다른 공구도 샤워기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00: 샤워기 105: 하우징
110: 제1 노즐 체결부 115: 제2 노즐 체결부
120: 배관 연결밸브 125: 유입관
130: 제1 공급관 135: 제2 공급관
140: 유출관 145: 제1 기어
150: 제2 기어 155: 제1 베벨기어
160: 제2 베벨기어 165: 샤워부재

Claims (4)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 종단에 형성되며, 외부의 제1 노즐이 체결되는 제1 노즐 체결부;
    상기 제1 노즐 체결부와 연결되며, 외부의 제1 노즐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물 유입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하며, 물 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된 물이 이동하는 수로가 형성된 배관 연결밸브;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하며, 상기 배관 연결밸브가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인 제1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배관 연결밸브에 형성된 수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제1 공급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하며, 상기 배관 연결밸브가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인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배관 연결밸브에 형성된 수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제2 공급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하며, 상기 제1 공급관으로 공급된 물의 수압에 의해 회전하는 제1 기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하며, 상기 제1 기어에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제1 공급관으로 공급된 물의 수압에 의해 회전하는 제2 기어;
    상기 제1 기어의 종단에 체결되며, 제1 기어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제1 베벨기어;
    상기 제1 베벨기어에 맞물려 회전하며, 종단에 공구를 체결할 수 있는 나사선이 형성된 제2 베벨기어; 및
    상기 제2 공급관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샤워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하며, 상기 제1 공급관으로 공급받은 물이 유출되는 유출관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 종단에 형성되며, 상기 유출관으로 통해 유출되는 외부의 제2 노즐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외부의 제2 노즐이 체결되는 제2 노즐 체결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베벨기어에 형성된 톱니의 개수는 상기 제1 베벨기어에 형성된 톱니의 개수보다 상대적으로 많음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
KR2020150005729U 2015-08-27 2015-08-27 회전공구 사용이 가능한 샤워기 KR2004801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729U KR200480172Y1 (ko) 2015-08-27 2015-08-27 회전공구 사용이 가능한 샤워기
PCT/KR2016/009219 WO2017034248A1 (ko) 2015-08-27 2016-08-22 회전공구 사용이 가능한 샤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729U KR200480172Y1 (ko) 2015-08-27 2015-08-27 회전공구 사용이 가능한 샤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172Y1 true KR200480172Y1 (ko) 2016-04-20

Family

ID=55916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729U KR200480172Y1 (ko) 2015-08-27 2015-08-27 회전공구 사용이 가능한 샤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17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10574A2 (ko) 2009-03-26 2010-09-30 Yun Kwan-Sik 지방의 체내 이용효율을 향상시키는 동물용 담즙산염 보조제 및 이를 포함하는 동물 사료
KR200482404Y1 (ko) 2016-06-07 2017-01-18 서동영 회전공구 사용이 가능한 샤워기
CN107876223A (zh) * 2017-11-14 2018-04-06 厦门水大卫浴洁具有限公司 适应任意角度按压的发声件及按压切换出水机构与花洒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370Y1 (ko) 2004-03-22 2004-06-05 이종덕 자동 때밀이장치
KR200430066Y1 (ko) 2006-08-21 2006-11-02 영 근 송 지압기능을 갖춘 샤워헤드
KR200477130Y1 (ko) 2014-10-10 2015-05-11 이성기 전동 샤워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370Y1 (ko) 2004-03-22 2004-06-05 이종덕 자동 때밀이장치
KR200430066Y1 (ko) 2006-08-21 2006-11-02 영 근 송 지압기능을 갖춘 샤워헤드
KR200477130Y1 (ko) 2014-10-10 2015-05-11 이성기 전동 샤워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10574A2 (ko) 2009-03-26 2010-09-30 Yun Kwan-Sik 지방의 체내 이용효율을 향상시키는 동물용 담즙산염 보조제 및 이를 포함하는 동물 사료
KR200482404Y1 (ko) 2016-06-07 2017-01-18 서동영 회전공구 사용이 가능한 샤워기
CN107876223A (zh) * 2017-11-14 2018-04-06 厦门水大卫浴洁具有限公司 适应任意角度按压的发声件及按压切换出水机构与花洒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0172Y1 (ko) 회전공구 사용이 가능한 샤워기
KR101642455B1 (ko) 관로세척장치
JP2009285521A (ja) 管路洗浄装置
US20160121344A1 (en) Overhead showerhead enabling auto-cleaning of nozzle openings thereof
KR101224475B1 (ko) 양치 전용잭
KR20140085797A (ko) 온수세정기의 유량조절밸브 및 이를 이용한 마사지 방법
KR20160134300A (ko) 샤워호스용 꼬임 방지연결구
CN204523308U (zh) 一种新型花洒
US20210340744A1 (en) Sink spinner
JP4770433B2 (ja) 二重ホースの接続構造およびそれを備えた水処理装置
CN210449654U (zh) 一种可调节连接头及一种可调花洒支架
TWM512082U (zh) 立式水龍頭結構
CN204717058U (zh) 一种手持喷枪淋浴多功能水龙头
KR20170133901A (ko) 이중 샤워기를 갖는 필터식 수도전
JP5827106B2 (ja) 洗浄ノズルおよびホースの洗浄方法
CN104722420A (zh) 一种新型花洒
CN213452196U (zh) 一种水管用转接头
CN203329907U (zh) 一种新型花洒固定座
KR20150060140A (ko) 세차용 노즐
CN104959246A (zh) 一种多功能花洒
JP6432215B2 (ja) 水栓装置
JP2009040413A (ja) 洗車具及び洗車方法
JP2006021175A (ja) 高圧洗浄用ノズル部材
CN212155819U (zh) 防传染水龙头结构
TWM514820U (zh) 水流式沐浴清潔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