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5770B1 - 디스펜서가 구비된 휴대용 정수기 - Google Patents

디스펜서가 구비된 휴대용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5770B1
KR102005770B1 KR1020180126627A KR20180126627A KR102005770B1 KR 102005770 B1 KR102005770 B1 KR 102005770B1 KR 1020180126627 A KR1020180126627 A KR 1020180126627A KR 20180126627 A KR20180126627 A KR 20180126627A KR 102005770 B1 KR102005770 B1 KR 102005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ispenser
pumping
raw water
water pur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6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춘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도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도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도전자
Priority to KR1020180126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57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5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5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0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tored in a container, e.g. bottle, cartridge, bag-in-box, b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2001/0095Constructional details
    • B67D2001/0096Means for pressurizing liquid
    • B67D2001/0097Means for pressurizing liquid using a pu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야외 활동시에 휴대가 용이하여 캠핑이나 등산을 할 때 원수를 필터링하여 깨끗한 정수를 음용할 수 있으며 원수가 수용되는 물수용부가 정수기몸체 내부에 전체적으로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많은 양의 원수를 수용할 수 있으며 디스펜서의 펌핑동작에 의해 물수용부에 수용된 원수가 필터체에 의해 깨끗하게 정수되어 야외 활동시에 필터링 된 깨끗하고 안전한 정수를 음용할 수 있으며 펌핑구를 단계별로 펌핑시킬 수 있어 필터링된 정수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성에 의해 구입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필터체의 필터교체가 용이하여 누구나 쉽게 교체 사용할 수 있어 사용성은 물론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디스펜서가 구비된 휴대용 정수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디스펜서가 구비된 휴대용 정수기{potable water purifier with dispenser}
본 발명은 디스펜서가 구비된 휴대용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몸체 내부에 물을 넣은 후 디스펜서의 작용에 의해 넣어진 물이 정수되어 배출되도록 하여 가정은 물론 사무실이나 야외에서 정수된 깨끗한 물을 음용할 수 있도록 한 디스펜서가 구비된 휴대용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공급되는 물을 필터에 의해 필터링하여 물에 함유된 이물질은 물론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걸러내어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대개 원수가 공급되는 수도관과 연결되어 설치된다.
즉, 종래 정수기는 수도관이 구비되어 있는 주방의 씽크대 주변에 설치되어 수도관을 통해 공급되는 원수를 필터링하여 음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정수기는 부피가 크고 중량이 크며 지정된 공간에 고정시켜 사용하기 때문에, 야외활동을 할 경우 음료용 수 또는 취사용수는 정수기에서 배출되는 정수를 물통에 담아 음용하거나 하거나 생수를 구입하여 음용하게 되는 바, 물통에 담아 사용할 경우 휴대할 수 있는 물의 양이 한정되어 외부에서 장시간 체류할 경우에는 음료수를 보관 및 휴대하기가 불편하고, 생수를 구입하여 음용할 경우에는 생수구입비용에 적지 않은 부담을 갖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캠핑이나 등산을 할 때 약수물이나 산에서 흘러내리는 물을 그대로 음용하거나 취사용으로 사용하게 되는 바, 이 때 약수물이나 산에서 흘러내리는 물에 함유된 이물질은 물론 인체에 유해한 각종 세균을 같이 음용하기 때문에 비위생적인 문제점은 물론 배탈이나 설사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야외에서 물을 정수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정수기들이 안출된 바 있다.
일예로, 등록특허 10-0576353호인 휴대용 정수기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마개를 형성한 입수공을 갖는 급수조와 마개를 형성한 출수공을 갖는 정수조로 내부에서 분리형성 되도록 중앙에 상부일측에 상기 정수조와 연결된 공기 유입공과 하부타측에 상기 급수조와 연결된 공기 유출공을 각각 형성하며 하부에 격판을 갖는 실린더를 형성하고 상기 급수조의 하부에 연결된 유수공과 상기 정수조의 하부에 연결된 출수공을 갖는 결합공을 형성한 본체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피스톤핸들로 하부에 공기유출입공을 형성한 피스톤을 펌핑하여 공기압을 발생하도록 형성한 공기주입장치와, 상기 공기유입공과 상기 공기유출공과 상기 공기유출입공은 공기의 입출을 간섭하도록 형성한 개폐막과, 상기 결합공의 상기 입수공에 삽입되는 내부에 유에프막을 갖는 유입구와 상기 출수공에 삽입되어지는 내부에 중공사막을 형성한 유출구를 상부에 갖고 내부에 부직포재와 살균제와 활성탄을 갖는 여과필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실린더에서 공기주입장치를 이용하여 급수조로 공기압을 발생하게 하여 급수조의 물이 여과부재를 수용한 여과필터를 거쳐 정수조로 정수되도록 하고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경우, 급수조와 정수조가 하나의 본체에 구획되어 있기 때문에 급수조에 물이 저장되는 저장량이 적어 정수량이 적어지는 문제점은 물론, 정수된 물이 즉시 사용되지 않고 정수조에 저장됨에 따라 야외활동 도중 저장된 정수에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어 깨끗한 정수를 음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등록특허 10-0576353호(2006.04.26. 등록) 특허문헌 2 : 대한민국공고실용 20-1991-0001963호(1991.03.30. 공고)
본 발명은 몸체 내부에 물을 넣어 수용하고 수용된 물을 디스펜서에 의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필터체에 의해 정수되어 깨끗한 물을 음용할 수 있도록 하여 가정이나 사무실은 물론 야외활동에서 항상 정수된 물을 마시거나 취사용으로 사용하도록 하고 휴대가 용이함은 물론 간단한 구성에 의해 중량을 최소화하고 펌핑동작을 단계별로 진행하도록 하여 배출되는 정수의 배출량을 조절하도록 하여 사용성은 물론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디스펜서가 구비된 휴대용 정수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디스펜서가 구비된 휴대용 정수기는, 일측에 정수배출공간이 구비되고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물수용부가 구비되는 정수기몸체와, 상기 정수기몸체 개방된 상부를 덮는 덮개와, 상기 정수기몸체 내측 중앙에 구비되는 디스펜서와, 상기 정수기몸체의 물수용부에 수용된 물을 필터링하는 필터체로 이루어진 휴대용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덮개의 중앙 하부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정수기몸체의 물수용부측으로 인입되어 위치되는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의 상부측으로 연장되고 내주면에 걸림홈이 구비되는 덮개수용부와; 상기 덮개수용부의 걸림홈에 걸어지는 탄성걸림돌기가 구비되고 내측 중앙에 가이드구멍이 관통되는 디스펜서가이드로 구비되고,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디스펜서가이드 내측으로 인입되어 상기 지지구 내부에 위치되고 외면에 상하측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홈이 구비되며 하단에 제1스프링지지부가 구비되는 디스펜서몸체와; 상기 디스펜서몸체 외면에 끼워지되 하단이 상기 제1스프링지지부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스프링과; 상기 디스펜서몸체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홈으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제1스프링지지부와 대응되게 위치되어 상기 제1스프링지지부에 하단이 밀착되어 지지되는 상기 스프링의 상단이 밀착되어 지지되는 제2스프링지지부가 구비되며 내주면 상하측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구비되되 각각 서로 대응되게 위치되는 제1고정홈 및 제2고정홈이 복수개 구비되는 펌핑가이드와; 상기 펌핑가이드 내측에 끼워지고 상기 펌핑가이드의 복수개 구비되는 제1고정홈 및 제2고정홈 중 어느 하나의 고정홈에 걸어져 고정되는 탄성고정부가 구비되며 상기 디스펜서몸체 하부측으로 눌러줄 때 상기 펌핑가이드가 하강되어 스프링이 눌러지고 눌러짐을 해제할 때 하강된 펌핑가이드가 상기 스프링에 의해 승강되어 상기 디스펜서몸체 내부에 펌핑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펌핑구와; 상기 펌핑가이드와 상기 디스펜서몸체를 밀폐차단하는 밀폐부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야외 활동시에 휴대가 용이하여 캠핑이나 등산을 할 때 원수를 필터링하여 깨끗한 정수를 음용할 수 있으며 원수가 수용되는 물수용부가 정수기몸체 내부에 전체적으로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많은 양의 원수를 수용할 수 있으며 디스펜서의 펌핑동작에 의해 물수용부에 수용된 원수가 필터체에 의해 깨끗하게 정수되어 야외 활동시에 필터링 된 깨끗하고 안전한 정수를 음용할 수 있으며 펌핑구를 단계별로 펌핑시킬 수 있어 필터링된 정수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성에 의해 구입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필터체의 필터교체가 용이하여 누구나 쉽게 교체 사용할 수 있어 사용성은 물론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인 디스펜서가 구비된 휴대용 정수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디스펜서가 구비된 휴대용 정수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디스펜서가 구비된 휴대용 정수기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인 디스펜서가 구비된 휴대용 정수기의 펌핑구의 승강 위치가 가변된 상태를 각각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디스펜서가 구비된 휴대용 정수기의 펌핑구의 승강동작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디스펜서가 구비된 휴대용 정수기의 탄성걸림구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가 구비된 휴대용 정수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측에 정수배출공간(11)이 구비되고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물수용부(12)가 구비되는 정수기몸체(10)와, 상기 정수기몸체(10) 개방된 상부를 덮는 덮개(20)와, 상기 정수기몸체(10) 내측 중앙에 구비되는 디스펜서(30)와, 상기 정수기몸체(10)의 물수용부(12)에 수용된 물을 필터링하는 필터체(40)로 이루어진 휴대용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디스펜서가 구비된 휴대용 정수기는, 상기 정수기몸체(10)의 물수용부(12)에 원수를 넣어 수용한 후 상기 디스펜서(30)를 펌핑동작하는 것에 의해 물수용부(12)에 수용된 원수가 상기 필터체(40)에 의해 필터링되고 필터링 정수된 물이 배출되어 음용자가 야외 활동시에도 깨끗하고 청결하며 위생적인 물을 음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덮개(20)는, 상기 덮개(20)의 중앙 하부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정수기몸체(10)의 물수용부(12)측으로 인입되어 위치되는 지지구(21)와, 상기 지지구(21)의 상부측으로 연장되고 내주면에 걸림홈(22)이 구비되는 덮개수용부(23)와, 상기 덮개수용부(23)의 걸림홈(22)에 걸어지는 탄성걸림돌기(24)가 구비되고 내측 중앙에 가이드구멍(25)이 관통되는 디스펜서가이드(26)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덮개(20)는 상기 정수기몸체(10)의 상부를 덮어 개방된 정수기몸체(10)의 상부를 차단하는 것으로, 상기 덮개(20)를 정수기몸체(10) 상단에 안착시키는 것에 의해 정수기몸체(10) 상부를 덮어 준다.
상기 지지구(21)는 상기 정수기몸체(10)의 물수용부(12) 내측으로 인입되되 상기 정수기몸체(10)의 상하측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되어 상기 디스펜서(30)를 지지한다.
상기 디스펜서가이드(26)는 상기 덮개수용부(23)에 구비되는 걸림홈(22)에 상기 탄성걸림돌기(24)가 탄성적으로 연결되어 걸려 고정되는 것으로, 이는 디스펜서가이드(26)를 상기 덮개수용부(23)와 견고하게 고정함은 물론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여 상기 디스펜서(30)와 필터체(40)를 정수기몸체(10) 물수용부(12)로부터 꺼내 세척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디스펜서(30)는, 상기 디스펜서가이드(26) 내측으로 인입되어 상기 지지구(21) 내부에 위치되고 외면에 상하측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홈(31a)이 구비되며 하단에 제1스프링지지부(31b)가 구비되는 디스펜서몸체(31)와, 상기 디스펜서몸체(31) 외면에 끼워지되 하단이 상기 제1스프링지지부(31b)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스프링(32)과, 상기 디스펜서몸체(31)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홈(31a)으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제1스프링지지부(31b)와 대응되게 위치되어 상기 제1스프링지지부(31b)에 하단이 밀착되어 지지되는 상기 스프링(32)의 상단이 밀착되어 지지되는 제2스프링지지부(33)가 구비되며 내주면 상하측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구비되되 각각 서로 대응되게 위치되는 제1고정홈(34) 및 제2고정홈(35)이 복수개 구비되는 펌핑가이드(36)와, 상기 펌핑가이드(36) 내측에 끼워지고 상기 펌핑가이드(36)의 복수개 구비되는 제1고정홈(34) 및 제2고정홈(35) 중 어느 하나의 고정홈에 걸어져 고정되는 탄성고정부(37)가 구비되며 상기 디스펜서몸체(31) 하부측으로 눌러줄 때 상기 펌핑가이드(36)가 하강되어 상기 스프링(32)이 눌러지고 눌러짐을 해제할 때 하강된 펌핑가이드(36)가 상기 스프링(32)에 의해 승강되어 상기 디스펜서몸체(31) 내부에 펌핑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펌핑구(38)와, 상기 펌핑가이드(36)와 상기 디스펜서몸체(31)를 밀폐차단하는 밀폐부(39)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디스펜서(30)는, 상기 펌핑구(38)를 눌러 하강시키는 동작에 의해 상기 디스펜서몸체(31) 내측에 구비되는 펌핑가이드(36)가 하강되어 상기 디스펜서몸체(31) 내부에 펌핑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펌핑구(38)를 눌러주는 동작에 의해 펌핑가이드(36)가 눌러질 때 상기 스프링(32)이 눌러지면서 압축되었다가 상기 펌핑구(38)의 누르는 힘을 해제하는 동작에 의해 상기 눌러진 스프링(32)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는 복귀력에 의해 상기 펌핑가이드(36)와 상기 펌핑구(38)가 승강된다.
이와 같이 스프링(32)의 압축과 복귀에 의해 상기 펌핑구(38)와 펌핑가이드(36)가 눌러졌다가 빠르게 눌러진 펌핑구(38)와 펌핑가이드(36)가 승강되는 동작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디스펜서몸체(31) 내부에서 펌핑작용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상기 필터체(40)를 통해 원수가 유입되어 상기 디스펜서몸체(31) 내부로 공급되었다가 다시 필터체(40)를 통해 필터링되어 배출된다.
본 발명의 펌핑구(38)는, 상기 펌핑가이드(36)에 구비되는 제1고정홈(34) 및 제2고정홈(35)과 이 제1고정홈(34) 및 제2고정홈(35)에 걸어지는 탄성고정부(37)에 의해 펌핑구(38)가 상기 덮개(20)의 상부측으로 돌출되는 높이가 가변되기 때문에 펌핑구(38)의 돌출높이에 따라 펌핑구(38)의 눌러지는 간격이 가변되어 펌핑구(38)에 의한 정수의 배출량이 조절된다.
이를 위해 상기 탄성고정부(37)는, 상기 펌핑구(38) 외면에 구비되는 제1인출입구멍(371) 및 제2인출입구멍(372)과, 상기 제1인출입구멍(371)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고정홈(34)에 걸어지거나 또는 제1인출입구멍(371)측으로 인입되어 제1고정홈(34)으로부터 걸림이 해제되는 제1탄성걸림구(373)와, 상기 제2인출입구멍(372)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고정홈(35)에 걸어지거나 또는 제2인출입구멍(372)측으로 인입되어 제2고정홈(35)으로부터 걸림이 해제되는 제2탄성걸림구(374)와, 상기 제1탄성걸림구(373)에 일측이 밀착되고 상기 제2탄성걸림구(374)에 타측이 밀착되는 탄성스프링(375)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탄성고정부(37)는, 상기 펌핑구(38)의 제1인출입구멍(371)과 제2인출입구멍(372)으로부터 상기 제1탄성걸림구(372)와 제2탄성걸림구(373)가 인출되어 상기 제1고정홈(34)과 제2고정홈(35)에 각각 걸어진 상태에서 상기 펌핑구(38)를 눌렀을 때 상기 펌핑가이드(36)의 하강동작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펌핑구(38)를 누르지 않고 상기 펌핑구(38)를 일방향으로 돌려주면 상기 제1고정홈(34)과 제2고정홈(35)에 각각 걸어진 제1탄성걸림구(372)와 제2탄성걸림구(373)가 상기 펌핑구(38)의 회전방향과 동일하게 회전되면서 제1고정홈(34)과 제2고정홈(35)으로부터 빠져나와 상기 제1인출입구멍(371)과 제2인출입구멍(372)측으로 인입되고, 이 때 펌핑구(38)를 승강시키거나 하강시키면 상기 펌핑구(38)가 상기 펌핑가이드(36)의 내면을 타고 승강되거나 하강되었다가 상기 펌핑가이드(36)의 상하측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구비되는 제1고정홈(34)과 제2고정홈(35)에 위치될 때 상기 제1탄성걸림구(373)와 제2탄성걸림구(374)가 상기 제1인출입구멍(371)과 제2인출입구멍(372)으로부터 인출되어 제1고정홈(34)과 제2고정홈(35)에 끼워져 걸어진다.
이에 따라 펌핑구(38)의 승강된 높이를 조절하여 펌핑구(38)를 동작시킬 수 있기 때문에 펌핑구(38)의 가변되는 승강높이에 따라 정수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탄성걸림구(373)와 제2탄성걸림구(374)가 상기 제1인출입구멍(371)과 제2인출입구멍(372)으로 인입되거나 또는 인출됨이 가능한 이유는, 상기 일측이 제1탄성걸림구(373)에 밀착되고 타측이 제2탄성걸림구(374)에 밀착되는 탄성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기 필터체(40)는, 상기 디스펜서몸체(31) 하단에 끼워지고 상단 일측에 정수유출부(41)가 구비되며 개폐밸브(42)를 갖는 밸브수용부(43)와, 상기 밸브수용부(43)가 상단에 연결되고 내측에 상기 밸브수용부(43)와 대응되게 위치되는 원수유입부(44)를 갖는 필터체하우징(45)과, 상기 필터체하우징(45)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원수유입부(44)를 통해 유입된 원수를 필터링하여 상기 정수유출부(41)측으로 정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필터(46)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필터체(40)의 정수유출부(41)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정수기몸체(10)의 정수배출공간(11)에 위치되는 정수배출관(47)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필터(46)가 수용되는 필터체하우징(45)은 상기 밸브수용부(43)와 끼움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끼움 연결되는 것으로, 이에 따라 상기 밸브수용부(43)를 필터체하우징(45) 상부로부터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필터체하우징(45)에 수용되는 상기 필터(46)의 교체는 물론 필터(46)의 세척 후 재사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상기 필터체(40)는 펌핑구(38)의 펌핑동작에 의해 상기 몸체(10)의 물수용부(12)에 담겨져 수용된 원수가 상기 원수유입부(44)와 상기 원수유입부(44) 상단에 구비되는 개폐밸브(42)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펌핑구(38)의 펌핑작용이 이루어지는 상기 디스펜서몸체(31) 내부로 유입되었다가 상기 필터(46)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이나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필터링된 후 정수된 물이 상기 정수배출관(47)을 통해 배출된다.
또한, 상기 정수배출관(47)에 연결되어 정수배출관(47)을 통해 배출되는 정수를 배출하는 정수배출구(48)가 구비되고, 상기 정수배출구(48)는, 배출되는 정수의 배출각도를 가변시키도록 상기 정수배출관(47)과 구형연결부(49)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정수배출관(47)을 통해 배출되는 정수는 상기 정수배출구(48)를 통해 배출되어 음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 때 상기 정수배출구(48)가 구형연결부(49)에 의해 상기 정수배출관(47)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정수배출구(48)를 통해 배출되는 정수의 배출각도를 원하는 방향으로 가변시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필터체(40)의 밸브수용부(43)에 구비되는 개폐밸브(42)는, 상기 필터체하우징(45) 내부와 연통되는 원수유입공간(421)을 갖는 원수유입막(422)과, 상기 밸브수용부(43)에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원수유입부(44) 상단을 덮어주어 상기 원수유입부(44)측으로 원수가 유입될 때 상부측으로 젖혀져 원수유입부(44) 상단을 개방하고 상기 원수유입부(44)측으로 원수의 유입이 중지될 때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어 원수유입부(44) 상단을 덮어 차단하는 개폐막(423)과, 상기 원수유입막(422)과 상기 개폐막(423)의 일측을 상기 밸부수용부(43)에 고정하는 고정구(424)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개폐밸브(42)는 상기 펌핑구(38)의 펌핑동작에 의해 상기 원수유입부(44)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가 펌핑압력에 의해 상기 개폐밸브(42)를 밀어내어 상기 개폐막(423)이 상부측으로 젖혀지면서 원수유입부(44)의 상부가 개방되어 원수가 디스펜서몸체(31) 내부로 유입된다.
또한 상기 디스펜서몸체(31) 내부로 유입된 원수는 상기 펌핑구(38)의 계속적인 펌핑동작에 의해 상기 원수유입막(422)의 원수유입공간(421)을 통해 상기 필터체하우징(45) 내부로 유입되어 필터(46)에 의해 필터링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정수기몸체 11 : 정수배출공간
12 : 물수용부 20 : 덮개
21 : 지지구 22 : 걸림홈
23 : 덮개수용부 24 : 탄성걸림돌기
25 : 가이드구멍 26 : 디스펜서가이드
30 : 디스펜서 31 : 디스펜서몸체
31a : 슬라이딩홈 31b : 제1스프링지지부
32 : 스프링 33 : 제2스프링지지부
34 : 제1고정홈 35 : 제2고정홈
36 : 펌핑가이드 37 : 탄성고정부
38 : 펌핑구 39 : 밀폐부
40 : 필터체 41 : 정수유출부
42 : 개폐밸브 43 : 밸브수용부
44 : 원수유입부 45 : 필터체하우징
46 : 필터 47 : 정수배출관
48 : 정수배출구 49 : 구형연결부
371 : 제1인출입구멍 372 : 제2인출입구멍
373 : 제1탄성걸림구 374 : 제2탄성걸림구
375 : 탄성스프링 421 : 원수유입공간
422 : 원수유입막 423 : 개폐막
424 : 고정구

Claims (5)

  1. 일측에 정수배출공간(11)이 구비되고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물수용부(12)가 구비되는 정수기몸체(10)와,
    상기 정수기몸체(10) 개방된 상부를 덮는 덮개(20)와,
    상기 정수기몸체(10) 내측 중앙에 구비되는 디스펜서(30)와,
    상기 정수기몸체(10)의 물수용부(12)에 수용된 물을 필터링하는 필터체(40)로 이루어진 휴대용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덮개(20)는,
    상기 덮개(20)의 중앙 하부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정수기몸체(10)의 물수용부(12)측으로 인입되어 위치되는 지지구(21)와;
    상기 지지구(21)의 상부측으로 연장되고 내주면에 걸림홈(22)이 구비되는 덮개수용부(23)와;
    상기 덮개수용부(23)의 걸림홈(22)에 걸어지는 탄성걸림돌기(24)가 구비되고 내측 중앙에 가이드구멍(25)이 관통되는 디스펜서가이드(26)로 구비되고,
    상기 디스펜서(30)는,
    상기 디스펜서가이드(26) 내측으로 인입되어 상기 지지구(21) 내부에 위치되고 외면에 상하측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홈(31a)이 구비되며 하단에 제1스프링지지부(31b)가 구비되는 디스펜서몸체(31)와;
    상기 디스펜서몸체(31) 외면에 끼워지되 하단이 상기 제1스프링지지부(31b)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스프링(32)과;
    상기 디스펜서몸체(31)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홈(31a)으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제1스프링지지부(31b)와 대응되게 위치되어 상기 제1스프링지지부(31b)에 하단이 밀착되어 지지되는 상기 스프링(32)의 상단이 밀착되어 지지되는 제2스프링지지부(33)가 구비되며 내주면 상하측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구비되되 각각 서로 대응되게 위치되는 제1고정홈(34) 및 제2고정홈(35)이 복수개 구비되는 펌핑가이드(36)와;
    상기 펌핑가이드(36) 내측에 끼워지고 상기 펌핑가이드(36)의 복수개 구비되는 제1고정홈(34) 및 제2고정홈(35) 중 어느 하나의 고정홈에 걸어져 고정되는 탄성고정부(37)가 구비되며 상기 디스펜서몸체(31) 하부측으로 눌러줄 때 상기 펌핑가이드(36)가 하강되어 상기 스프링(32)이 눌러지고 눌러짐을 해제할 때 하강된 펌핑가이드(36)가 상기 스프링(32)에 의해 승강되어 상기 디스펜서몸체(31) 내부에 펌핑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펌핑구(38)와;
    상기 펌핑가이드(36)와 상기 디스펜서몸체(31)를 밀폐차단하는 밀폐부(39)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가 구비된 휴대용 정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체(40)는,
    상기 디스펜서몸체(31) 하단에 끼워지고 상단 일측에 정수유출부(41)가 구비되며 개폐밸브(42)를 갖는 밸브수용부(43)와;
    상기 밸브수용부(43)가 상단에 연결되고 내측에 상기 밸브수용부(43)와 대응되게 위치되는 원수유입부(44)를 갖는 필터체하우징(45)과;
    상기 필터체하우징(45)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원수유입부(44)를 통해 유입된 원수를 필터링하여 상기 정수유출부(41)측으로 정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필터(46)로 구비되며,
    상기 필터체(40)의 정수유출부(41)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정수기몸체(10)의 정수배출공간(11)에 위치되는 정수배출관(47)이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가 구비된 휴대용 정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구(38)에 구비되는 탄성고정부(37)는,
    상기 펌핑구(38) 외면에 구비되는 제1인출입구멍(371) 및 제2인출입구멍(372)과;
    상기 제1인출입구멍(371)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고정홈(34)에 걸어지거나 또는 제1인출입구멍(371)측으로 인입되어 제1고정홈(34)으로부터 걸림이 해제되는 제1탄성걸림구(373)와;
    상기 제2인출입구멍(372)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고정홈(35)에 걸어지거나 또는 제2인출입구멍(372)측으로 인입되어 제2고정홈(35)으로부터 걸림이 해제되는 제2탄성걸림구(374)와;
    상기 제1탄성걸림구(373)에 일측이 밀착되고 상기 제2탄성걸림구(374)에 타측이 밀착되는 탄성스프링(375)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가 구비된 휴대용 정수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체(40)의 밸브수용부(43)에 구비되는 개폐밸브(42)는,
    상기 필터체하우징(45) 내부와 연통되는 원수유입공간(421)을 갖는 원수유입막(422)과;
    상기 밸브수용부(43)에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원수유입부(44) 상단을 덮어주어 상기 원수유입부(44)측으로 원수가 유입될 때 상부측으로 젖혀져 원수유입부(44) 상단을 개방하고 상기 원수유입부(44)측으로 원수의 유입이 중지될 때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어 원수유입부(44) 상단을 덮어 차단하는 개폐막(423)과;
    상기 원수유입막(422)과 상기 개폐막(423)의 일측을 상기 밸브수용부(43)에 고정하는 고정구(424)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가 구비된 휴대용 정수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배출관(47)에 연결되어 정수배출관(47)을 통해 배출되는 정수를 배출하는 정수배출구(48)가 구비되고,
    상기 정수배출구(48)는, 배출되는 정수의 배출각도를 가변시키도록 상기 정수배출관(47)과 구형연결부(49)로 이루어진 디스펜서가 구비된 휴대용 정수기.
KR1020180126627A 2018-10-23 2018-10-23 디스펜서가 구비된 휴대용 정수기 KR102005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627A KR102005770B1 (ko) 2018-10-23 2018-10-23 디스펜서가 구비된 휴대용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627A KR102005770B1 (ko) 2018-10-23 2018-10-23 디스펜서가 구비된 휴대용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5770B1 true KR102005770B1 (ko) 2019-10-02

Family

ID=68422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6627A KR102005770B1 (ko) 2018-10-23 2018-10-23 디스펜서가 구비된 휴대용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577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2816B1 (ko) * 1987-11-30 1990-05-01 주식회사 금성사 휴대용 정수기
KR910001963Y1 (ko) 1989-01-10 1991-03-30 송성강 휴대용 정수기
KR100576353B1 (ko) 2004-10-27 2006-05-03 배정석 휴대용정수기
KR100994802B1 (ko) * 2009-05-11 2010-11-17 김유권 휴대용 정수기
KR20120031826A (ko) * 2010-09-27 2012-04-0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휴대용 정수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2816B1 (ko) * 1987-11-30 1990-05-01 주식회사 금성사 휴대용 정수기
KR910001963Y1 (ko) 1989-01-10 1991-03-30 송성강 휴대용 정수기
KR100576353B1 (ko) 2004-10-27 2006-05-03 배정석 휴대용정수기
KR100994802B1 (ko) * 2009-05-11 2010-11-17 김유권 휴대용 정수기
KR20120031826A (ko) * 2010-09-27 2012-04-0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휴대용 정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22564A1 (en) Point-of-use water treatment system
JP6226812B2 (ja) 飲料を濾過又は処理するためのボトルシステム及び方法
AU2010300906B2 (en) Water treatment cartridge
US20110079572A1 (en) Bottle for water treatment device
US6602408B1 (en) Filtration system for water garden reservoir
KR102005770B1 (ko) 디스펜서가 구비된 휴대용 정수기
US10005658B2 (en) Water dispenser and detachable water container with lateral connector connected thereto
KR102365494B1 (ko) 도어 개폐시 연동되는 유로개폐용 밸브를 구비하는 정수기
AU2010300490B2 (en) Water treatment device for producing bottled water
KR100576353B1 (ko) 휴대용정수기
GB2380189A (en) Chemical feeder for use in water treatment
US7824546B1 (en) Canteen
KR101232223B1 (ko) 정수기
KR200237669Y1 (ko) 휴대용 정수기
KR200273299Y1 (ko) 휴대용 정수기
KR101104344B1 (ko) 음용수 공급장치용 안전취수 밸브
RU2653119C1 (ru) Устройство очистки жидкости
KR20160000184A (ko) 도어 개폐시 연동되는 유로개폐용 밸브를 구비하는 정수기
KR20200054668A (ko) 락 잠금 및 해제가 용이한 정수 물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