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1826A - 휴대용 정수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1826A
KR20120031826A KR1020100093441A KR20100093441A KR20120031826A KR 20120031826 A KR20120031826 A KR 20120031826A KR 1020100093441 A KR1020100093441 A KR 1020100093441A KR 20100093441 A KR20100093441 A KR 20100093441A KR 20120031826 A KR20120031826 A KR 20120031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erration
water storage
storage unit
water purifi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3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용연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3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1826A/ko
Publication of KR20120031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18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7/00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 B01D27/08Construction of the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centrifugal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04Supports for the filtering elements
    • B01D2201/0461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4Seals or gaskets for filtering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휴대용 정수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정수기는 원수 저장부 및 원수 저장부의 외측에 원수 저장부와 연통하도록 제공된 정수 저장부를 갖는 본체부; 본체부의 상부를 밀폐하도록 제공되는 커버부; 원수 저장부와 정수 저장부 사이에 설치된 필터; 및 원수 저장부에 저장된 원수가 필터를 통과하여 정수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원심력을 발생시키는 원심력 발생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정수기 {PORTABLE WATER PURIFIER }
본 발명은 휴대용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화의 발달에 따라 환경 오염도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환경 오염의 일례로 물에 대한 오염도 증가하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시설물에는 정수시설을 통해 정수된 수돗물이 공급되고 있으나, 환경오염이 증가됨에 따라 수돗물에 대한 불신도 증가하고 있다.
또한, 최근들어 레저 열풍과 함께 야외로 외출시 약수, 지하수 또는 암반수와 같은 자연수를 음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나, 이러한 자연수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간편하게 들고다니면서 물을 정수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정수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정수기는 전기 장치에 의해 물을 정수하도록 이루어져 야외에서 사용이 제한되고, 크기가 커 휴대가 불편하였다.
한편, 종래의 휴대용 정수기는 대부분 필터식으로 이루어져 중력등을 이용한 자연압력식으로 물을 정수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물을 정수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려 사용에 제한이 있으며, 자연압력을 이용하는 것만으로는 물을 충분히 정수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휴대가 간편하며, 정수속도를 증가시키고, 신뢰성 있는 정수품질을 갖도록 한 휴대용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정수기는 원수 저장부 및 원수 저장부의 외측에 원수 저장부와 연통하도록 제공된 정수 저장부를 갖는 본체부; 본체부의 상부를 밀폐하도록 제공되는 커버부; 원수 저장부와 정수 저장부 사이에 설치된 필터부; 및 원수 저장부에 저장된 원수가 필터를 통과하여 정수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원심력을 발생시키는 원심력 발생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원심력 발생부는 원수 저장부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수차부재와, 수차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차부재는 상부에 설치되는 수차커버를 더 포함하고, 구동부는 수차커버의 회전축선상에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선부가 형성된 연장관과, 연장관 및 상기 커버부를 관통하여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 나선부와 치합되는 나선돌기가 형성된 누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는 수차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주면에 나선부가 형성된 연장관이 수차부재의 회전축상에 형성된 수차커버와, 연장관 및 커버부를 관통하여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 나선부와 치합되는 나선돌기가 형성된 누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는 누름부재의 이동량을 제한하는 이동제한부가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제한부는 누름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스토퍼부재와, 커버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돌출부의 외측이 걸리도록 제공된 걸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휴대용 정수기는 누름부재를 원상태로 복원시키기 위한 복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복귀부는 스토퍼부재와 커버부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구동부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수차부재는 원수 저장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원통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원통부재의 내주면에는 다수의 수차날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차부재는 원수 저장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기둥부재와, 기둥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수차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체부는 내측 저면 중앙부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고, 수차부재의 저면부에는 가이드 돌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커버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정수 저장부와 연통하는 배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수부에는 캡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크기를 소형화하여 휴대를 간편하게 할 수 있고, 별도의 전원을 필요로 하지 않아 장소나 환경에 구애를 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휴대용 정수기는 누름부재를 눌러 수차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이 간편하다. 또한, 물에 원심력을 발생시켜, 이 원심력에 의해 필터를 통과하며 이물질을 여과하도록 이루어져 정수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정수과정에서 압력(원심력)을 이용하므로 필터를 조밀하게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미세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어 정수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정수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정수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정수기의 일부 절결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정수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정수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정수기의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정수기(10)는 원수 저장부(14)와 정수 저장부(16)가 구비된 본체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정수 저장부(16)는 원수 저장부(14)의 외측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2)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 본체부(12)는 내부에 원수 저장부(14)와 정수 저장부(16)를 구획하기 위한 구획판(15)이 설치될 수 있다.
이 구획판(15)에는 다수의 통공(15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 통공(15a)을 통해 원수 저장부(14)에 저장된 물이 정수 저장부(16)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2)의 상부에는 커버부(17)가 설치될 수 있다. 이 커버부(17)는 본체부(12) 상부를 밀폐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커버부(17)는 본체부(12)의 구획판(15)과 맞물리며 연결부가 밀폐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체부(12)의 상단부와 커버부(17) 사이에는 나선체결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17)의 저면에는 구획판(15)이 끼워지도록 제공된 홈(17a)을 갖는 단턱부(18)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원수 저장부(14)와 정수 저장부(16) 사이에는 필터(20)가 설치될 수 있다.
필터(2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20)는 원수 저장부(14)에 설치될 수 있으며, 외둘레가 원수 저장부(14)의 내주면에 인접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필터(20)는 원수 저장부(14)에 저장된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 저장부(16)로 공급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휴대용 정수기(10)는 원수 저장부(14)에 저장된 원수가 필터(20)를 통과하여 정수 저장부(16)에 저장되도록 원심력을 발생시키는 원심력 발생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원심력 발생부(30)는 원수 저장부(14)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수차부재(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차부재(32)의 상부에는 수차커버(34)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수차부재(32)에는 구동부가 연결되며, 이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수차부재(3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차부재(32)가 회전하게 되면, 원수 저장부(14)에 저장된 물이 회전하게 되며 원심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원심력은 원수 저장부(14)에 저장된 물을 원주방향 즉, 정수 저장부(16)를 향하여 배출시키게 된다. 따라서, 원수 저장부(14)에 저장된 물은 원심력에 의해 필터(20)를 통과하여 정수 저장부(16)로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터(20)는 원심력에 의해 통과되는 물이 압력을 받게 되므로, 물의 여과량 및 여과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필터(20)는 여과입자 크기를 조밀하게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여과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구동부는 수차부재(32)를 회전시키기 위한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 구동부는 수차커버(34)의 회전축선상에 형성된 연장관(36)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연장관(36)의 내주면에는 나선부(36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차커버(34)의 연장관(36)에는 누름부재(38)가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 누름부재(38)는 커버부(17)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누름부재(38)의 외주면에는 수차커버(34)의 연장관(36)에 형성된 나선부(36a)와 치합되는 나선돌기(38a)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구동부는 사용자가 누름부재(38)를 누르게 되면, 이 누름부재(38)의 나선돌기(38a)가 연장관(36)의 나선부(36a)와 맞물리며 수차커버(34)를 회전시키게 된다. 수차커버(34)는 수차부재(32)를 회전시키며, 이에 따라 원수 저장부(14)에 저장된 물이 회전하며 원심력을 일으키게 된다.
또한 누름부재(38)의 단부에는 사용자가 누르기 용이하도록 누름면적을 증가시키는 누름판(39)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구동부는 누름부재(38)의 이동량을 제한하는 이동제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제한부는 누름부재(38)가 수차커버(34)의 연장관(36)으로 필요이상 삽입되거나 누름부재(38)가 연장관(36)으로 필요이상 인출되는 것을 제한하여, 누름부재(38)가 수차커버(34)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 이동제한부는 누름부재(38)의 일측에 형성된 스토퍼부재(4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부재(40)는 연장관(36)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누름부재(38)가 연장관(36)으로 과도하게 삽입될 경우, 연장관(36)의 상단에 걸려 더 이상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스토퍼부재(40)는 누름부재(38)가 수차부재(32)를 충분히 회전시킬 수 있는 길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누름부재(38)의 단부로부터 소정거리 떨어져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동제한부는 커버부(17)의 상부에 결합되는 걸이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걸이부(42)는 스토퍼부재(40)의 외측을 감싸도록 연장 형성되며, 이에 따라 누름부재(38)가 필요이상 인출시 스토퍼부재(40)가 걸이부(42)의 내측에 걸리도록 하여 누름부재(38)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구동부는 사용자가 누름부재(38)를 누르거나 빼는 동작을 반복하여 원수 저장부(14)에 저장된 물을 회전시키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구동부는 본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구동부는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거나 빼진 누름부재(38)를 원상태로 복원시키기 위한 복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에에서 복귀부는 스토퍼부재(40)와 커버부(17)의 상단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4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귀부의 일례인 스프링(44)은 사용자가 누름부재(38)를 누를 경우, 압축되었다가 누르는 것을 멈추게 되면 팽창하여 스토퍼부재(40)를 밀어 누름부재(38)를 인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구동부는 사용자는 누름부재(38)를 누르는 작업에만 힘을 소모하게 되며, 누름부재(38)를 빼는 힘은 스프링(44)의 탄성력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부는 누름부재(38)가 왕복이동함에 따라 수차부재(32)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수차부재(32)와 연결된 봉부재에서 원주방향으로 돌출된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구동부는 레버를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봉부재에 의해 회전력이 전달되어 수차부재(32)를 회전시키게 된다.
여기서, 봉부재는 수차부재(32)와 직접 연결될 수 있으며, 기어부재 등을 연결하여 감속 또는 가속되도록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구동부는 모터에 의해 수차부재(32)를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즉, 모터의 회전축이 수차부재(32)와 직접 연결되거나, 기어부재 등을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다. 이때 모터는 별도로 구비된 외장 배터리에 의해 작동할 수 있으며, 외부 전원을 연결하여 작동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수차부재(32)는 필터(20)의 내주면에 인접하며 다수의 구멍(33a)이 형성된 원통부재(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수차부재(32)는 구동부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원수 저장부(14)에 저장된 물을 회전시킨다.
더불어, 수차부재(32)의 내주면에는 다수의 (도시되지 않은) 수차날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 수차날개는 회전방향과 직교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차부재(32)의 회전시 물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켜 물의 회전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수차부재(32)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원통부재(33)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수차부재(32)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며 물의 회전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수차부재(32)는 회전축상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기둥부재와, 이 기둥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수차날개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체부(12)는 내측 저면, 즉 원수 저장부(14)의 중앙부에 수차부재(32)의 회전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돌기(12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차부재(32)의 저면부에는 이 가이드 돌기(12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홈(33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차부재(32)는 가이드 돌기(12a)에 의해 중심부가 구속되며, 이에 따라 회전시 필터(20) 등과 일정 거리를 유지하며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커버부(17)의 일측에는 정수 저장부(16)와 연통하는 배수부(19)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 배수부(19)에는 배수부(19)의 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캡이 더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커버부(17)를 열지 않고도 정수된 물을 배출하여 음용 또는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배수부(19)를 통해 빨대 또는 호스 등을 연결하여 휴대용 정수기(10)를 기울이지 않고도 정수된 물을 음용 또는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 : 휴대용 정수기 12 : 본체부
12a : 가이드 돌기 14 : 원수 저장부
15 : 구획판 15a : 통공
16 : 정수 저장부 17 : 커버부
17a : 홈 18 : 단턱부
19 : 배수부 20 : 필터
30 : 원심력 발생부 32 : 수차부재
33 : 원통부재 33a : 구멍
33b : 홈 34 : 수차커버
36 : 연장관 36a : 나선부
38 : 누름부재 38a : 나선돌기
39 : 누름판 40 : 스토퍼부재
42 : 걸이부 44 : 스프링

Claims (14)

  1. 원수 저장부 및 상기 원수 저장부의 외측에 상기 원수 저장부와 연통하도록 제공된 정수 저장부를 갖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를 밀폐하도록 제공되는 커버부;
    상기 원수 저장부와 상기 정수 저장부 사이에 설치된 필터; 및
    상기 원수 저장부에 저장된 원수가 상기 필터를 통과하여 상기 정수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원심력을 발생시키는 원심력 발생부;
    를 포함하는 휴대용 정수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심력 발생부는
    상기 원수 저장부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수차부재와,
    상기 수차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수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차부재는 상부에 설치되는 수차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수차커버의 회전축선상에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선부가 형성된 연장관과, 상기 연장관 및 상기 커버부를 관통하여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 상기 나선부와 치합되는 나선돌기가 형성된 누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수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누름부재의 이동량을 제한하는 이동제한부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수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동제한부는
    상기 누름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스토퍼부재와,
    상기 커버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토퍼부재의 외측이 걸리도록 제공된 걸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수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정수기는 상기 누름부재를 원상태로 복원시키기 위한 복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수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복귀부는 상기 스토퍼부재와 상기 커버부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수기.
  8. 청구항 2에서,
    상기 구동부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수기.
  9.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차부재는 상기 원수 저장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외주면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원통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수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재의 내주면에는 다수의 수차날개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수기.
  11.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차부재는 상기 원수 저장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기둥부재와, 상기 기둥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수차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수기.
  12.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내측 저면 중앙부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수차부재의 저면부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수기.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정수 저장부와 연통하는 배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수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에는 캡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수기.
KR1020100093441A 2010-09-27 2010-09-27 휴대용 정수기 KR201200318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441A KR20120031826A (ko) 2010-09-27 2010-09-27 휴대용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441A KR20120031826A (ko) 2010-09-27 2010-09-27 휴대용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1826A true KR20120031826A (ko) 2012-04-04

Family

ID=46135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3441A KR20120031826A (ko) 2010-09-27 2010-09-27 휴대용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182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5770B1 (ko) * 2018-10-23 2019-10-02 주식회사 선도전자 디스펜서가 구비된 휴대용 정수기
CN110693183A (zh) * 2019-10-25 2020-01-17 台州椒江月回户外用品科技有限公司 一种在户外使用的手动净水壶
KR20220048733A (ko) 2020-10-13 2022-04-20 주식회사 제이알이엔지 휴대용 정수기
KR102457677B1 (ko) 2022-01-20 2022-10-24 주식회사 넥스피아 모터의 착탈이 용이한 휴대용 정수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5770B1 (ko) * 2018-10-23 2019-10-02 주식회사 선도전자 디스펜서가 구비된 휴대용 정수기
CN110693183A (zh) * 2019-10-25 2020-01-17 台州椒江月回户外用品科技有限公司 一种在户外使用的手动净水壶
KR20220048733A (ko) 2020-10-13 2022-04-20 주식회사 제이알이엔지 휴대용 정수기
KR102457677B1 (ko) 2022-01-20 2022-10-24 주식회사 넥스피아 모터의 착탈이 용이한 휴대용 정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03007A1 (en) Portable water filtration device
KR20120031826A (ko) 휴대용 정수기
CN201454183U (zh) 一种便携式净化水滤芯和设有该滤芯的容器
CN103657314A (zh) 螺旋管气液分离装置
KR20110133745A (ko) 휴대용 정수기
CN201366268Y (zh) 自来水净水器
US6379544B1 (en) Portable device for supplying filtered water
US20090084726A1 (en) Multi-functional dual filtering kettle
CN203591665U (zh) 一种螺旋管气液分离机构
CN101502731A (zh) 便携式净水器
CN208700722U (zh) 便携式口吸管净水器
CN107986466A (zh) 复合滤芯、用于净水器的复合滤芯组件和净水器
CN201082860Y (zh) 便携式制氧器
CN205517747U (zh) 便携式金属吸收装置
CN203591666U (zh) 一种复合式气液分离装置
CN202282156U (zh) 一种可调节发声频率的求救哨
CN209322541U (zh) 一种多功能矿化滤芯
CN202785750U (zh) 一种快装式ro滤芯结构
CN209271060U (zh) 一种气体净化器
CN207671811U (zh) 气压式过滤器结构
CN207313170U (zh) 净水壶
CN205547852U (zh) 一种小型单兵野战净水壶
KR20120094022A (ko) 정수기
CN211901717U (zh) 一种飞灰螯合剂制备防溢流装置
CN206857434U (zh) 垃圾收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