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8733A - 휴대용 정수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8733A
KR20220048733A KR1020200131962A KR20200131962A KR20220048733A KR 20220048733 A KR20220048733 A KR 20220048733A KR 1020200131962 A KR1020200131962 A KR 1020200131962A KR 20200131962 A KR20200131962 A KR 20200131962A KR 20220048733 A KR20220048733 A KR 20220048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water
disposed
storage space
top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1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3271B1 (ko
Inventor
강외석
박준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알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알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알이엔지
Priority to KR1020200131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3271B1/ko
Publication of KR20220048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8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3Filter condition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26Filters with built-in pumps filters provided with a pump mounted in or on the ca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2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small portabl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ersonal travel or emergency equipment, survival kits, combat gea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측에 개구면이 형성되고, 내부를 제1저장공간 및 제2저장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와 조립되는 탑케이스; 상기 제1저장공간에 배치된 제1필터어셈블리; 상기 탑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제2저장공간의 물을 순환시키는 강제여과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개구면을 제1개구면 및 제2개구면으로 구획하는 수직격벽; 상기 수직격벽 및 물탱크의 내측면을 연결하는 수평격벽; 상기 수평격벽을 관통하여 상기 제1저장공간 및 제2저장공간을 연통시키는 관통구;를 포함하고, 상기 강제여과장치는, 상기 개구면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탑케이스; 상기 탑케이스에 조립된 제2필터어셈블리; 상기 탑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제2필터어셈블리에 연결된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는 상기 제2필터어셈블리를 통해 상기 제2저장공간의 물을 흡입하고, 상기 제2필터어셈블리를 통해 여과된 물을 상기 제2저장공간으로 토출한다.
본 발명은 원수의 상태에 따라 제1필터어셈블리를 통해 자연여과방식으로 물을 여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필터어셈블리에 의해 여과된 제1여과수를 강제여과장치를 구동하여 제2여과수로 정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정수기{Portable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휴대용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화의 발달에 따라 환경 오염도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환경 오염의 일례로 물에 대한 오염도 증가하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시설물에는 정수시설을 통해 정수된 수돗물이 공급되고 있으나, 환경오염이 증가됨에 따라 수돗물에 대한 불신도 증가하고 있다.
또한, 최근들어 레저 열풍과 함께 야외로 외출시 약수, 지하수 또는 암반수와 같은 자연수를 음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나, 이러한 자연수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간편하게 들고다니면서 물을 정수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정수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정수기는 중력을 통해 자연여과 방식으로 물을 여과하거나 전기 장치에 의해 물을 정수하기 때문에, 취수원에 따라 다양하게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31826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8540호
본 발명은 원수의 상태에 따라 자연여과방식으로 물을 여과하더나 강제여과방식을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알카리수 또는 산성수와 같은 기능성 물을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여과된 기능수를 사용자에게 명확하게 알려줄 수 있는 휴대용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측에 개구면이 형성되고, 내부를 제1저장공간 및 제2저장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와 조립되는 탑케이스; 상기 제1저장공간에 배치된 제1필터어셈블리; 상기 탑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제2저장공간의 물을 순환시키는 강제여과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개구면을 제1개구면 및 제2개구면으로 구획하는 수직격벽; 상기 수직격벽 및 물탱크의 내측면을 연결하는 수평격벽; 상기 수평격벽을 관통하여 상기 제1저장공간 및 제2저장공간을 연통시키는 관통구;를 포함하고, 상기 강제여과장치는, 상기 개구면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탑케이스; 상기 탑케이스에 조립된 제2필터어셈블리; 상기 탑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제2필터어셈블리에 연결된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는 상기 제2필터어셈블리를 통해 상기 제2저장공간의 물을 흡입하고, 상기 제2필터어셈블리를 통해 여과된 물을 상기 제2저장공간으로 토출한다.
상기 제2필터어셈블리는, 제1필터, 제2필터 및 상기 제1필터 및 제2필터를 연결하는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필터는, 내부에 제1필터공간이 형성된 제1필터하우징; 상기 제1필터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저장공간의 물이 흡입되는 제1필터흡입부; 상기 제1필터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필터토출부; 상기 제1필터공간에 배치되는 제1충진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필터는, 내부에 제2필터공간이 형성된 제2필터하우징; 상기 제2필터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제1필터를 통과한 제1필터여과수가 흡입되는 제2필터흡입부; 상기 제2필터하우징에 배치되는 제2필터토출부; 상기 제2필터공간에 배치되는 제2충진재를 포함하며,상기 연결관은 상기 제1필터토출부 및 제2필터흡입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1필터흡입부는 상기 제2저장공간의 물에 잠기게 배치되고, 상기 제2필터토출부는 상기 제2저장공간의 물에 잠기게 배치되며, 상기 제1필터토출부는 상기 탑케이스에 조립되고, 상기 제2필터흡입부는 상기 탑케이스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 탑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펌프가 설치되는 펌프설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펌프설치부는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탑케이스 상측에 상기 펌프가 배치되고, 상기 탑케이스 하측에 상기 제1필터 및 제2필터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탑케이스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설치홀 및 제2설치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필터토출부는 상기 제1설치홀에 조립되고, 상기 제2필터흡입부는 상기 제2설치홀에 조립되며, 상기 제1설치홀이 상기 제2저장공간 및 펌프설치부를 연통시키고, 상기 제2설치홀이 상기 제2저장공간 및 펌프설치부를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관이 상기 펌프설치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원수의 상태에 따라 제1필터어셈블리를 통해 자연여과방식으로 물을 여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필터어셈블리에 의해 여과된 제1여과수를 강제여과장치를 구동하여 제2여과수로 정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강제여과장치에 연결된 제1필터의 제1충진재 또는 제2필터의 제2충진재를 통해 알카리수 또는 산성수와 같은 기능성 물을 제공할 수 있는 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강제여과장치의 작동 시 여과된 기능수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명확하게 알려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강제여과장치의 제1필터 및 제2필터가 제2저장공간에 잠기게 배치되기 때문에 제2필터어셈블리의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적어도 제1필터 및 제2필터가 탑케이스를 관통하여 탑케이스 상측에 배치된 펌프와 연결되기 때문에, 강제여과장치의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정수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3에 도시된 강제여과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강제여과장치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정수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물탱크가 분리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정수기는, 제1여과공간(101) 및 제2여과공간(102)으로 구분되어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100)와, 상기 물탱크(100)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제1여과공간(101)에 배치된 제1필터어셈블리(200)와, 상기 물탱크(100)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제2여과공간(102)의 물을 순환 및 여과시키는 강제여과장치(300)를 포함한다.
상기 물탱크(100)는 상측이 개구된 아우터탱크(110)와, 상기 아우터탱크(110)의 내부를 연통가능한 2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벽(12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아우터탱크(110)는 사각통 형태로 형성되고, 상측이 개구된다. 상기 아우터탱크(110)의 개구된 상측을 개구면(111)이라 정의한다.
상기 아우터탱크(110)는 외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월(115)과, 바닥을 형성하는 바텀월(116)을 포함한다.
상기 격벽(120)은 상기 아우터탱크(110) 내부를 제1여과공간(101) 및 제2여과공간(102)으로 구획한다.
상기 제1여과공간(101) 및 제2여과공간(102)의 상측이 상기 개구면(111)을 형성한다. 상기 개구면(111)은 제1여과공간(101)과 연통된 제1개구면(111a)과, 상기 제2여과공간(102)가 연통된 제2개구면(111b)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여과공간(101)의 부피가 제2여과공간(102) 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격벽(120)은 상기 아우터탱크(110) 내부를 좌우 방향으로 구획하는 수직격벽(122)과, 상기 수직격벽(122)의 하단과 연결되고, 상기 아우터탱크(110) 내부를 상하 방향으로 구획하는 수평격벽(124)와, 상기 수평격벽(124)에 형성되고, 상기 수평격벽(124)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125)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격벽(124)은 상기 수직격벽(122) 및 사이드월(115)을 연결한다.
상기 수평격벽(124)은 상기 바텀월(116)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바텀월(116)과 이격된다.
상기 수직격벽(122)의 상단은 후술하는 탑케이스(36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관통구(125)는 제1개구면(111a)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관통구(125) 및 제1개구면(111a)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제1필터어셈블리(200)는 상기 제1여과공간(101)에 배치된다. 상기 제1필터어셈블리(200)는 상기 제1여과공간(101)에서 제1개구면(111a)을 통해 외부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어셈블리(200)는 상기 수평격벽(124)에 상측에 거치된다. 상기 제1필터어셈블리(200)의 평단면은 상기 제1여과공간(101)의 평단면을 꽉 채우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필터어셈블리(200)의 측면이 상기 아우터탱크(110)의 내측면 또는 수직격벽(122)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상기 제1개구면(111a)을 통해 공급된 물은 자중에 의해 상기 제1필터어셈블리(200)를 수직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탱크(110)는 외측으로 돌출된 핸들(112)과, 상기 제2저장공간(102)의 물을 따를 수 있는 스파우트(114)를 포함한다.
상기 핸들(112)은 상기 제1저장공간(101) 측에 배치되고, 상기 스파우트(114)는 상기 핸들(112)과 반대편에 배치된다.
상기 수직격벽(122)은 상기 핸들(112) 및 스파우트(114) 중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물을 따를 때 상기 스파우트(114) 측의 높이가 낮아지기 때문에, 상기 제1저장공간(101)의 물이 자중에 의해 상기 스파우트(114) 측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파우트(114)는 상기 강제여과장치(300)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파우트(114)는 상기 사이드월(115)의 상측단이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아우터탱크(110)를 관통하는 홀을 형성하여 상기 스파우트(114)를 형성시켜도 무방하다.
상기 제1필터어셈블리(200)는 서로 다른 다수개의 여과재(201)(202)(203)를 포함한다. 상기 여과재들(201)(202)(203)은 수직방향으로 적층된다.
상기 제1필터어셈블리(200)는 원수 중에 포함된 중금속 또는 이물질 등을 여과하기 위한 것으로서, 부직포 또는 활성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어셈블리(200)를 구성하는 부직포에는 은나노 입자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은나도 입자를 통해 원수를 살균할 수 있다. 상기 활성탄은 상기 여과재(201)(202)(20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어셈블리(200)에 공급되는 물을 원수라 정의하고, 상기 제1필터어셈블리(200)를 통과한 물을 제1여과수라 정의한다.
자연여과 방식의 여과재들은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강제여과장치(300)는, 상기 개구면(111)를 커버하는 탑케이스(360)와, 상기 탑케이스(360)에 조립되고, 직렬로 배열되어 물이 유동되는 복수개의 필터(310)(320)(330)(340)와, 상기 복수개의 필터(310)(320)(330)(340)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물을 펌핑하는 펌프(370)와, 상기 필터(310)(320)(330)(340)들을 연결하는 연결관(305)(306)(307)을 포함한다.
상기 강제여과장치(300)에 연결된 복수개의 필터(310)(320)(330)(340)들을 제2필터어셈블리라 한다.
상기 강제여과장치(300)를 거쳐 토출된 물을 제2여과수라 정의한다. 상기 제2저장공간(102)에는 제1여과수 및 제2여과수가 공존할 수 있다.
상기 강제여과장치(300)가 구동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2저장공간(102)에는 제1여과수만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강제여과장치(300)가 구동될 경우, 상기 제2저장공간(102)에는 제1여과수 및 제2여과수가 공존할 수 있다.
상기 제1여과수 및 제2여과수를 물리적으로 확연하게 구분할 수는 없지만, 상기 강제여과장치(300)의 구동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상기 제2여과수의 비율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강제여과장치(300)는 상기 필터(310)(320)(330)(340)를 제1여과수에 기능성을 부가할 수 있다. 즉 상기 강제여과장치(300)의 작동시간이 증가될 수록 상기 제2저장공간(102)에 저장된 물의 기능성분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강제여과장치(300)는 작동시간, 여과수의 PH 농도, 기능수와 같은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310)(320)(330)(340)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펌프(370)의 작동 시 제2저장공간(102)에서 흡입된 물은 상기 필터(310)(320)(330)(340)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필터(310)(320)(330)(340)들은 직렬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310)(320)(330)(340)는 4개가 배치된다.
상기 제2저장공간(102)의 물이 흡입되어 이동되는 순서로 제1필터(310), 제2필터(320), 제3필터(330) 및 제4필터(340)라 한다.
상기 제4필터(340)를 통과한 물은 다시 상기 제2저장공간(102)으로 토출된다. 상기 강제여과장치(300)는 상기 제2저장공간(102)의 물을 재순환시킬 수 있다. 상기 강제여과장치(300)의 작동시간이 증가할 수록 상기 제2저장공간(102)에 저장된 물의 기능성 및 여과도가 증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필터(310), 제2필터(320), 제3필터(330) 및 제4필터(340)의 구조는 동일하고, 제1필터(310), 제2필터(320), 제3필터(330) 및 제4필터(340)를 구성하는 재질 또는 성분이 다를 수 있다.
상기 제1필터(310)는 제2저장공간(102)의 물을 흡입한다.
상기 제1필터(310)는 내부에 제1필터공간(311)이 형성된 필터하우징(312)과, 상기 필터하우징(312)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저장공간(102)의 물이 흡입되는 필터흡입부(313)와, 상기 필터하우징(312)의 상부에 배치되고, 연결관(305)이 연결되는 필터토출부(314)와, 상기 제1필터공간(311)에 배치되는 제1충진재(315)를 포함한다.
제1필터(310), 제2필터(320), 제3필터(330) 및 제4필터(340)의 구성이 유사하기 때문에, 도면번호가 상이하나 동일한 명칭이 사용될 수 있다.
제1필터(310), 제2필터(320), 제3필터(330) 및 제4필터(340)이 각 구성을 구분할 필요가 있을 때, "제1", "제2", "제3" 또는 "제4"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필터하우징(312)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필터하우징(312)의 평단면은 사각형 또는 원형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하우징(312)의 평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필터하우징(312)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제1충진재(315)가 배치된다.
상기 필터흡입부(313)를 통해 흡입된 물은 상기 제1충진재(315)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필터흡입부(313)는 물은 통과되되 상기 제1충진재(315)는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메시망 또는 투과성 멤브레인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토출부(314)에도 상기 메시망 또는 투과성 멤브레인 등이 배치될 수 있다.
구분을 위해 상기 필터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된 메시망 또는 투과성 멤브레인을 흡입투과부재(316)라 하고, 상부에 배치된 것을 토출투과부재(317)라 한다.
상기 제1충진재(315)는 부직포 및 게르마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충진재(315)는 상기 게르마늄을 통해 미네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게르마늄은 칼슘, 마그네슘, 칼륨 또는 나트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르마늄은 상기 제1충진재(315)의 15% 내지 49%의 비율일 수 있다.
상기 제1저장공간 및 제2저장공간의 총 부피가 3리터이고, 상기 게르마늄이 15%이며, 상기 강제순환장치(300)에 의해 분당 1리터의 물이 순환될 경우, 사용자에게 충분한 미네랄워터를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필터토출부(314)는 호스형태의 연결관(305)이 결합될 수 있도록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305)(306)(307)은 탄성 및 연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혀엉될 수 있다.
상기 제2필터(320)는 제1필터(310)에서 토출된 물을 공급받는다. 상기 제1필터(310)에서 토출된 물을 제1필터여과수라 정의한다.
상기 제2필터(320)는 상기 제1필터(310)와 연결된다. 상기 제2필터(320) 및 제1필터(310)는 연결관(305)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제2필터(320)는 내부에 제2필터공간(321)이 형성된 필터하우징(322)과, 상기 필터하우징(322)에 배치되고, 상기 제1필터여과수의 물이 흡입되는 필터흡입부(323)와, 상기 필터하우징(322)에 배치되고, 연결관(306)이 연결되는 필터토출부(324)와, 상기 제2필터공간(321)에 배치되는 제2충진재(325)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하우징(322)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필터하우징(322)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제2충진재(325)가 배치된다.
상기 제1필터(310)와의 연결을 고려하여 상기 필터흡입부(323)는 필터하우징(322)의 상부에 배치되고, 필터토출부(324)는 필터하우징(322)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필터흡입부(323) 및 필터토출부(324)는 호스형태의 연결관(306)이 결합될 수 있도록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흡입부(323)를 통해 흡입된 물은 상기 제2충진재(325)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필터흡입부(323)에 흡입투과부재(326)가 배치될 수 있고, 필터토출부(324)에 토출투과부재(327)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충진재(325)는 부직포 및 구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리는 상기 제2충진재(325)의 27% 내지 53%의 비율일 수 있다.
상기 구리가 27%이고, 상기 강제순환장치(300)에 의해 분당 1리터의 물이 순환될 경우, 순환되는 물의 Ph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충진재(325)에서 용출된 구리이온을 통해 순환되는 물의 살균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제2필터(320)에서 토출된 물을 제2필터여과수라 정의한다.
상기 제3필터(330)는 내부에 제3필터공간(331)이 형성된 필터하우징(332)과, 상기 필터하우징(332)에 배치되고, 상기 제2필터여과수의 물이 흡입되는 필터흡입부(333)와, 상기 필터하우징(332)에 배치되고, 연결관(307)이 연결되는 필터토출부(334)와, 상기 제3필터공간(331)에 배치되는 제3충진재(335)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하우징(332)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필터하우징(332)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제3충진재(335)가 배치된다.
상기 제2필터(320)와의 연결을 고려하여 상기 필터흡입부(333)는 필터하우징(332)의 하부에 배치되고, 필터토출부(334)는 필터하우징(332)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필터흡입부(333) 및 필터토출부(334)는 호스형태의 연결관(307)이 결합될 수 있도록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흡입부(333)를 통해 흡입된 물은 상기 제3충진재(335)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필터흡입부(333)에 흡입투과부재(336)가 배치될 수 있고, 필터토출부(334)에 토출투과부재(337)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충진재(335)는 부직포 및 니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니켈은 상기 제3충진재(335)의 35% 내지 62%의 비율일 수 있다.
상기 니켈이 27%이고, 상기 강제순환장치(300)에 의해 분당 1리터의 물이 순환될 경우, 순환되는 물의 Ph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3필터(330)에서 토출된 물을 제3필터여과수라 정의한다.
상기 제4필터(340)는 내부에 제4필터공간(341)이 형성된 필터하우징(342)과, 상기 필터하우징(342)에 배치되고, 상기 제3필터여과수의 물이 흡입되는 필터흡입부(343)와, 상기 필터하우징(342)에 배치되는 필터토출부(344)와, 상기 제4필터공간(341)에 배치되는 제4충진재(345)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하우징(342)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필터하우징(342)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제4충진재(345)가 배치된다.
상기 제3필터(330)와의 연결을 고려하여 상기 필터흡입부(343)는 필터하우징(342)의 상부에 배치되고, 필터토출부(344)는 필터하우징(342)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필터흡입부(343)는 호스형태의 연결관(307)이 결합될 수 있도록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흡입부(343)를 통해 흡입된 물은 상기 제4충진재(345)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필터흡입부(343)에 흡입투과부재(346)가 배치될 수 있고, 필터토출부(344)에 토출투과부재(347)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4충진재(345)는 부직포, 니켈 및 활성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성탄은 상기 제4충진재(345)의 35% 내지 62%의 비율일 수 있다.
상기 니켈이 16%이고, 상기 강제순환장치(300)에 의해 분당 1리터의 물이 순환될 경우, 순환되는 물의 Ph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4필터(340)에서 토출된 물을 제2여과수라 정의한다.
본 실시예의 제1충진재(315), 제2충진재(325), 제3충진재(335) 또는 제4충진재(345)의 구성 및 성분비는 저장공간의 용량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펌프(370)는 제1필터(310) 및 제2필터(320) 사이, 제2필터(320) 및 제3필터(330) 사이, 제3필터(330) 및 제4필터(340)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3필터(330) 및 제4필터(340) 사이에 상기 펌프(370)가 배치된다.
상기 제3필터(330) 및 제4필터(340) 사이에 상기 펌프(370)가 배치될 경우, 상기 제4필터(340)에서 토출되는 물의 유속을 증가시킬 수 있고, 제2저장공간(102)에 저장된 물의 대류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4필터토출부(344)는 하측을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바텀월(116)을 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1필터(310) 내지 제4필터(340) 중 상기 제4필터(340)가 상기 스파우트(114)에 가장 가깝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필터(310) 내지 제4필터(340)는 상기 제2저장공간(102)에 배치되기 때문에,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제품의 전체 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필터(340)의 필터토출구(344)가 제2저장공간(102) 내에 배치되기 때문에, 제2여과수를 유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호스가 요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상기 탑케이스(360)는 상기 개구면(111) 중 적어도 일부를 차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탑케이스(360)는 상기 물탱크(100)와 결합되고, 상기 물탱크(100)의 개구면(111) 전체를 커버한다.
상기 탑케이스(360)의 하부에는 상기 수직격벽(112)의 상단과 결합되는 격벽결합부(369)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격벽결합부(369)는 상측으로 오목한 홈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탑케이스(360)는 상기 제1저장공간(101) 및 제2저장공간(102)의 상부를 커버하여 물이 밖으로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탑케이스(360)는 원수가 공급되고, 상기 제1개구면(111a)과 연통된 원수공급부(361)를 더 포함한다. 상기 원수공급부(361)는 상기 제1개구면(111a)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탑케이스(36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다.
상기 원수공급부(361)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커버(380)가 배치된다. 상기 제1커버(380)는 상기 탑케이스(36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제1커버(380)는 상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원수공급부(361)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탑케이스(360)는 상기 펌프(370)가 설치되는 펌프설치부(3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펌프설치부(362)는 상기 탑케이스(360)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펌프설치부(362)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펌프설치부(362) 내부에 상기 펌프(370)가 수납된다. 상기 펌프(37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커버(39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390)는 상기 탑케이스(36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제2커버(390)는 상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펌프설치부(362)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380) 및 제2커버(390)는 연속된 평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탑케이스(360)에 상기 휴대용 정수기를 작동시키는 입력버튼(391)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입력버튼(391)의 의도치 않게 눌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커버(390)의 하측에 상기 입력버튼(391)이 배치된다.
상기 입력버튼(391)는 택트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펌프(370)에 전달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펌프(370)는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될 수도 있다. 외부전원을 공급받지 못하는 상황을 고려하여 상기 펌프(370)는 배터리의 전원을 통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는 상기 탑케이스(36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 및 펌프(370)의 설치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 상기 펌프(370)는 배터리와 일체화될 수 있다. 상기 펌프(370) 및 배터리를 일체화할 경우, 방수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배터리 및 펌프(370)를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 등의 부품을 최소화할 수 있다.
휴대용 정수기의 경우 외부 환경이 나쁜 곳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펌프(370) 및 배터리를 일체화할 경우, 방진 및 방수 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고, 청소 시 전력계통의 제품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390)는 상기 펌프설치부(362) 및 입력버튼(391)을 커버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펌프설치부(362) 및 입력버튼(391)으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390)가 닫힐 경우, 상기 탑케이스(360) 밖으로는 디스플레이(350)만 노출된다.
상기 디스플레이(350)는 강제여과장치(300)의 작동시간이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350)는 상기 강제여과장치(300)의 작동에 따른 제2여과수의 기능성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강제여과장치(300)의 작동시간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350)는 산성수 또는 알카리수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필터(310) 내지 제4필터(340)는 상기 탑케이스(360)에 조립된다. 본 실시예에 상기 제1필터(310) 내지 제4필터(340)는 상기 탑케이스(360)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제1필터(310) 내지 제4필터(340) 중 상부는 상기 탑케이스(360)에 조립되고, 나머지는 탑케이스(360)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1필터(310) 내지 제4필터(340)의 조립을 위해 상기 탑케이스(360)에 각각의 설치홀이 배치된다.
상기 탑케이스(360)는 제1설치홀(371), 제2설치홀(372), 제3설치홀(373) 및 제4설치홀(374)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필터(310)의 상부가 상기 제1설치홀(371)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조립된다. 상기 제2필터(320)의 상부가 상기 제2설치홀(372)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조립된다. 상기 제3필터(330)의 상부가 상기 제3설치홀(373)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조립된다. 상기 제4필터(340)의 상부가 상기 제4설치홀(374)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조립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설치홀(371), 제2설치홀(372), 제3설치홀(373) 및 제4설치홀(374)은 상기 펌프설치부(362)와 연통된다. 상기 제1설치홀(371), 제2설치홀(372), 제3설치홀(373) 및 제4설치홀(374)은 상기 탑케이스(36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다.
상기 제1필터(310) 내지 제4필터(340) 상부가 상기 펌프설치부(362)에 노출되기 때문에 연결관(305)(307)의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 제1필터(310) 내지 제4필터(340) 상부가 상기 펌프설치부(362)에 노출되기 때문에 상기 연결관(305)(307)의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필터(310)의 필터토출부(314), 제2필터(320)의 필터흡입부(323), 제3필터(330)의 필터토출부(334) 및 제4필터(340)의 필터흡입부(343)가 탑케이스(360)의 각 설치홀(371)(372)(373)(374)에 배치되고, 상기 각 설치홀(371)(372)(373)(374)을 통해 상기 펌프설치부(362)에 노출된다.
상기 각 설치홀(371)(372)(373)(374)을 통해 상기 연결관(305)(307)이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연결관(305)(307)는 상기 펌프설치부(362)에 배치된다.
상기 필터하우징(312)(322)(332)(342)의 상부 일부는 탑케이스(360)의 각 설치홀(371)(372)(373)(374)에 조립된다.
상기 필터하우징(312)(322)(332)(342)의 상부 일부는 각 설치홀(371)(372)(373)(374)의 내경과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설치홀(371)(372)(373)(374)에 삽입되는 부분을 필터조립부(318)(328)(338)(348)이라 한다.
상기 각 필터조립부(318)(328)(338)(348)는 상기 필터하우징(312)(322)(332)(342)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필터조립부(318)(328)(338)(348)의 외경은 상기 각 설치홀(371)(372)(373)(374)의 내경과 같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물탱크 110 : 아우터탱크
101 : 제1저장공간 102 : 제2저장공간
120 : 격벽 200 : 제1필터어셈블리
300 : 강제여과장치 310 : 제1필터
320 : 제2필터 330 : 제3필터
340 : 제4필터 350 : 디스플레이
360 : 탑케이스 370 : 펌프
380 : 제1커버 390 : 제2커버

Claims (5)

  1. 상측에 개구면이 형성되고, 내부를 제1저장공간 및 제2저장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와 조립되는 탑케이스;
    상기 제1저장공간에 배치된 제1필터어셈블리;
    상기 탑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제2저장공간의 물을 순환시키는 강제여과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개구면을 제1개구면 및 제2개구면으로 구획하는 수직격벽; 상기 수직격벽 및 물탱크의 내측면을 연결하는 수평격벽; 상기 수평격벽을 관통하여 상기 제1저장공간 및 제2저장공간을 연통시키는 관통구;를 포함하고,
    상기 강제여과장치는,
    상기 개구면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탑케이스; 상기 탑케이스에 조립된 제2필터어셈블리; 상기 탑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제2필터어셈블리에 연결된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는 상기 제2필터어셈블리를 통해 상기 제2저장공간의 물을 흡입하고, 상기 제2필터어셈블리를 통해 여과된 물을 상기 제2저장공간으로 토출하는 휴대용 정수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필터어셈블리는, 제1필터, 제2필터 및 상기 제1필터 및 제2필터를 연결하는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필터는, 내부에 제1필터공간이 형성된 제1필터하우징; 상기 제1필터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저장공간의 물이 흡입되는 제1필터흡입부; 상기 제1필터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필터토출부; 상기 제1필터공간에 배치되는 제1충진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필터는, 내부에 제2필터공간이 형성된 제2필터하우징; 상기 제2필터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제1필터를 통과한 제1필터여과수가 흡입되는 제2필터흡입부; 상기 제2필터하우징에 배치되는 제2필터토출부; 상기 제2필터공간에 배치되는 제2충진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관은 상기 제1필터토출부 및 제2필터흡입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1필터흡입부는 상기 제2저장공간의 물에 잠기게 배치되고, 상기 제2필터토출부는 상기 제2저장공간의 물에 잠기게 배치되며,
    상기 제1필터토출부는 상기 탑케이스에 조립되고, 상기 제2필터흡입부는 상기 탑케이스에 조립된 휴대용 정수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탑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펌프가 설치되는 펌프설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펌프설치부는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탑케이스 상측에 상기 펌프가 배치되고, 상기 탑케이스 하측에 상기 제1필터 및 제2필터가 배치된 휴대용 정수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탑케이스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설치홀 및 제2설치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필터토출부는 상기 제1설치홀에 조립되고, 상기 제2필터흡입부는 상기 제2설치홀에 조립되며,
    상기 제1설치홀이 상기 제2저장공간 및 펌프설치부를 연통시키고,
    상기 제2설치홀이 상기 제2저장공간 및 펌프설치부를 연결시키는 휴대용 정수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이 상기 펌프설치공간에 배치된 휴대용 정수기.
KR1020200131962A 2020-10-13 2020-10-13 휴대용 정수기 KR102503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962A KR102503271B1 (ko) 2020-10-13 2020-10-13 휴대용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962A KR102503271B1 (ko) 2020-10-13 2020-10-13 휴대용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733A true KR20220048733A (ko) 2022-04-20
KR102503271B1 KR102503271B1 (ko) 2023-02-24

Family

ID=81403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1962A KR102503271B1 (ko) 2020-10-13 2020-10-13 휴대용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32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34804A1 (ru) * 2022-05-31 2023-12-07 Сергей Игоревич ОЗЕРОВ Устройство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санации баков установок для розлива питьевой воды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9933A (ja) * 1996-03-14 1997-11-25 Yoshio Harada 簡易置き型浄水器
KR200188540Y1 (ko) 2000-01-21 2000-07-15 최광순 휴대용 정수기
KR20010091137A (ko) * 2000-03-13 2001-10-23 서정주 휴대용 정수기
KR20050094164A (ko) * 2004-03-22 2005-09-27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정수기
KR20120031826A (ko) 2010-09-27 2012-04-0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휴대용 정수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9933A (ja) * 1996-03-14 1997-11-25 Yoshio Harada 簡易置き型浄水器
KR200188540Y1 (ko) 2000-01-21 2000-07-15 최광순 휴대용 정수기
KR20010091137A (ko) * 2000-03-13 2001-10-23 서정주 휴대용 정수기
KR20050094164A (ko) * 2004-03-22 2005-09-27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정수기
KR20120031826A (ko) 2010-09-27 2012-04-0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휴대용 정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34804A1 (ru) * 2022-05-31 2023-12-07 Сергей Игоревич ОЗЕРОВ Устройство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санации баков установок для розлива питьевой вод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3271B1 (ko) 2023-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51646B2 (ja) 液体浄化装置、挿入部品および浄化方法
US20170050127A1 (en) Water purification filter and system
KR20220048733A (ko) 휴대용 정수기
US20090289001A1 (en) Filtering Unit for an Aquarium
CN2894785Y (zh) 过滤器构造
CN108290758A (zh) 矿物质水获取装置
CN210580537U (zh) 一种基于水循环系统实现降噪新型水族箱
CN211987486U (zh) 净水器集成滤芯
KR102457677B1 (ko) 모터의 착탈이 용이한 휴대용 정수기
JP2715244B2 (ja) 受水型井戸水水質改善装置
JP2009045588A (ja) 浄水カートリッジ
KR20150081997A (ko) 거북용 수족관
WO2016153245A1 (ko) 수지세척장치를 구비한 정수기
US5766456A (en) Water purifer for a pool
CN213679894U (zh) 一种便于清洗的净水器
CN216837387U (zh) 一种污水分级过滤装置
CN206108942U (zh) 一种矿山开采用过滤机
CN218553309U (zh) 一种多级过滤污水处理池
CN204824252U (zh) 一种水过滤装置
CN218915269U (zh) 应用于空气净化器中的盐盒结构
CN213719336U (zh) 一种宠物饮水机
CN220684922U (zh) 一种水源保护地生活污水处理设备
CN215186959U (zh) 一种无动力油污水处理池的监控装置
CN215224077U (zh) 一种控制阀和一种水面收集装置
CN213446507U (zh) 一种烧结竹炭过滤滤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