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7669Y1 - 휴대용 정수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7669Y1
KR200237669Y1 KR2020010011598U KR20010011598U KR200237669Y1 KR 200237669 Y1 KR200237669 Y1 KR 200237669Y1 KR 2020010011598 U KR2020010011598 U KR 2020010011598U KR 20010011598 U KR20010011598 U KR 20010011598U KR 200237669 Y1 KR200237669 Y1 KR 2002376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housing
water purifier
inlet
portabl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15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진
Original Assignee
김동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진 filed Critical 김동진
Priority to KR20200100115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76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76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7669Y1/ko

Links

Landscapes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써, 본 고안에 의하면, 원통형상의 실린더(12), 피스톤 로드(13) 및 피스톤 헤드(14)로 이루어지고, 상기 실린더(12)의 하부에는 유입구(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입구(11)에는 물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볼밸브(17)가 설치되어 있는 펌프부(10)와; 원통형상의 하우징(22)과, 상기 하우징(22) 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필터 카트리지(23)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22)의 상단에는 유출구(21)가 형성된 하우징 커버(24)가 패킹(24a)을 개재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펌프부(10)의 하류측에 상기 펌프부(10)와 나란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필터부(20)와; 상기 펌프부의 유입구(11)에 설치된 볼 밸브(17)와 협동하여, 상기 펌프부(10)의 작동에 의해 상기 펌프부(10)와 상기 필터부(20) 사이에 형성된 연결통로(31)를 통하여 상기 필터부(20)로 공급되는 물이 역류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밸브부(30);로 이루어져 있는 휴대용 정수기가 제공됨으로써, 휴대가 간편하여 야외에서도 손쉽게 물을 정수하는 것이 가능한 동시에 이물질과 세균 등을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어 안심하고 정수된 물을 식수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휴대용 정수기{Portable water purifier}
본 고안은 이물질이 섞인 물을 깨끗하게 정수해 주는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야외에서 강물 또는 호수물 등의 물을 손쉽게 정수시켜 식수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산이나 낚시 등을 즐길 수 있는 여행지 등에서는 야외에서 구할 수 있는 물이 깨끗하지 않기 때문에 음용 가능한 식수를 구하기가 쉽지 않았다. 또한, 자주 야외에서 훈련을 실시하는 군인들에게도 식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쉽지 않은 문제였다.
야외에서 깨끗한 물을 얻기 위해서는, 물을 받아놓은 상태에서 일정시간동안 방치하여 이물질이 가라앉은 다음 가열하여 끓이는 등의 방법을 주로 사용해 왔으나, 이 방법은 시간과 절차가 복잡하며, 물속의 이물질이나 세균 등을 완전히 제거할 수 없어 비위생적이었다.
그렇지 않으면 물통에 식수를 담아 출발시부터 배낭 등에 보관, 운반하여 사용하였으나, 식수의 무게로 인하여 운반과 휴대가 쉽지 않았으며, 준비해간 식수가 고갈될 경우에는 역시 상기된 방법을 사용할 수밖에 없었다.
본 고안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가 간편하여 야외에서도 손쉽게 물을 정수하는 것이 가능한 동시에 이물질과 세균 등을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어 안심하고 정수된 물을 식수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정수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피스톤이 하사점에 위치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정수기의 측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휴대용 정수기의 측면도,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휴대용 정수기 내부에 설치된 밸브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1의 휴대용 정수기를 실내에서 사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여, 원통형상의 실린더, 피스톤 로드 및 피스톤 헤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실린더의 하부에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입구에는 물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볼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펌프부와; 원통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필터 카트리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는 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커버가 패킹을 개재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펌프부의 하류측에 상기 펌프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필터부와; 상기 펌프부의 유입구에 설치된 볼 밸브와 협동하여, 상기 펌프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펌프부와 상기 필터부 사이에 형성된 연결통로를 통하여 상기 필터부로 공급되는 물이 역류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밸브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필터 카트리지는, 외측으로부터 마이크로 필터, 은활성탄 필터 및 중공사막 필터가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원통형상을 이루고 있는 동시에 상기 하우징 내부 벽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밸브부는, 상기 필터부의 하우징 하면에 상기 연결통로와 연통되도록 관통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구멍을 상기 펌프부의 작동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환형 고무판과, 상기 환형 고무판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수기가 제공된다.
상기 필터 카트리지의 상하부에는, 중앙의 중공사막 필터 부분에 상응하는 부분이 개구된 링 형상을 가지고 있는 상부 마감재와, 디스크 형상으로서 복수개의 돌기에 의해 상기 필터부의 하우징 내에 지지되어 있는 하부 마감재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 카트리지는 상기 하우징 내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필터 카트리지가 필터로서의 수명을 다하게 되면 교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는,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필터부의 하우징 커버 상부에 수납시킬 수 있지만, 사용시에는 상기 필터부의 하우징 커버로부터 빼내어 180도 선회시킨 후 파지하여 펌핑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정수기는, 상기 하우징 커버의 유출구 측에 결합 가능한 토출관과, 상기 휴대용 정수기의 하부 형상에 상응하는 오목부가 형성된 받침대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받침대는, 측면에 형성된 흡입구와, 내부에 구비된 프리 카본 블록 필터와, 상기 오목부의 상기 유입구에 상응하는 위치에 연결구멍을 가지면서 형성된 연결돌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된 물은, 상기 받침대 내부에 구비된 별도의 프리 카본 블록 필터에 의해 일차적으로 정수된 후 상기 유입구에 패킹을 개재하여 삽입되는 연결돌기에 형성된 연결구멍을 통하여 상기 휴대용 정수기의 펌프부 내로 공급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정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정수기는, 하부에 유입구(11)가 형성된 원통형의 펌프부(10)와, 상기 펌프부(10)와 나란한 방향으로 일체로 설치되며 유출구(21)가 형성된 필터부(20)와, 상기 펌프부(10)에 의해 유입된 물을 상기 필터부(20)로 보내기 위한 밸브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펌프부(10)는, 원통형상의 실린더(12), 피스톤 로드(13) 및 피스톤 헤드(14)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실린더(12)의 상부에는 실린더 커버(15)가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실린더(12)의 하부에는 유입구(1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 로드(13)의 상단, 즉 상기 실린더 커버(15)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상기 피스톤 로드(13)의 상기 피스톤 헤드(14) 반대쪽 끝에는, 상기 피스톤 헤드(14)가 상기 실린더(12) 내에서 왕복운동 할 수 있도록 작동시키기 위한 손잡이(16)가 마련된다.
상기 유입구 및 유출구(11, 21)에는 각각 관이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관을 통하여 물이 유입되고 유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때, 유입구(11)에 연결되는 유입관(도시생략)에는, 유입되는 물 속의 비교적 큰 입자를 걸러내기 위한 프리필터(pre-filter; 도시생략)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유출구(12)에 연결되는 유출관(도시생략)에는 유출되는 물이 컵 속에 안정적으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보조하기 위한 컵 마운터(cup mounter)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구(11)에는 볼밸브(17)가 설치되어 물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펌프부(10)의 하류측에는 구비되는 필터부(20)는, 원통형상의 하우징(22)과, 상기 하우징(22) 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필터 카트리지(23)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22)의 상단에는 유출구(21)가 형성된 하우징 커버(24)가 패킹(24a)을 개재하여 설치된다.
상기 필터부(20)의 하우징(22)은 상기 펌프부(10)의 실린더(12)와 나란한 방향으로 일체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본 고안의 휴대용 정수기는 직경이 상이한 2개의 원통이 서로 나란히 연결되어 있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 필터 카트리지(23)는, 외측으로부터 0.2μ마이크로 필터(25), 은활성탄 필터(26) 및 중공사막 필터(27)가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원통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22) 내부 벽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크기를 가진다.
또한, 상기 필터 카트리지(23)의 상하부에는 각각 상하부 마감재(28, 29)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하부 마감재(29)는 대략 디스크 형상으로서 복수개의돌기(29a)에 의해 상기 필터부의 하우징(22) 내에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마감재(28)는 중앙의 중공사막 필터(27) 부분에 상응하는 부분이 개구된 링 형상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펌프부(10)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필터부(20)로 공급된 물은, 상기 하부 마감재(29)로 인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 벽면과 상기 필터 카트리지(23) 사이의 공간으로 보내져서, 상기 필터 카트리지(23)의 측면인 0.2μ 마이크로 필터(25)로부터 침입하여 은활성탄 필터(26)와 중공사막 필터(27)를 순차적으로 통과함으로써 여과된 후, 상기 상부 마감재(28)의 중앙 개구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손잡이(16)는,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상기 필터부의 하우징 커버(24) 상부에 수납시킬 수 있지만, 사용시에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부의 하우징 커버(24)로부터 빼내어 180도 선회시킨 후 파지하여 펌핑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부(30)는, 상기 펌프부의 유입구(11)에 설치된 볼 밸브(17)와 협동하여, 상기 펌프부(10)의 작동에 의해 상기 펌프부(10)와 상기 필터부(20) 사이에 형성된 연결통로(31)를 통하여 상기 필터부(20)로 공급되는 물이 역류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부(30)는, 상기 필터부의 하우징(22) 하면에 상기 연결통로(31)와 연통되도록 관통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구멍(31a)을 상기 펌프부(10)의 작동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환형 고무판(32)과, 상기 환형 고무판(32)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스토퍼(33)를 포함하고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휴대용 정수기의 동작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유입구에 연결된 유입관(도시생략)을 강이나 냇물 등에 담근 다음 손잡이(16)를 잡고 피스톤 헤드(14)를 상사점 위치까지 끌어올리게 되면, 실린더(12) 내에서 발생되는 부압에 의해 물이 유입관 및 유입구(11)를 통하여 흡인된다. 이 때, 상기 유입구(11)에 설치된 볼 밸브(17)는 개방되는 반면에 상기 필터부의 하우징(22) 하면에 설치된 관통구멍(31a)은 상기 밸브부(30)의 환형 고무판(32)에 의해 폐쇄되므로, 상기 필터부(20)로부터 상기 펌프부(10)로 물이 역류되는 것이 방지된다.
계속해서 사용자가 손잡이(16)를 아래로 내려 피스톤 헤드(14)를 하사점 위치까지 끌어내리면, 상기 유입구(11)는 볼밸브(17)에 의해 폐쇄되는 반면에 상기 밸브부의 환형 고무판(32)은 상기 스토퍼(33)에 의해 멈춰질 때까지 이동되어 상기 관통구멍(31a)을 개방시키므로, 상기 펌프부의 실린더(12) 내부로 흡인된 물은 상기 유입구(11)를 통하여 역류되는 것이 방지되는 동시에 상기 관통구멍(31a)을 통하여 상기 필터부(20)로 공급된다.
상기 필터부(20)로 공급된 물은 계속해서 상기 필터 카트리지(23)를 통과하여 정수된 후 상기 유출구(21)를 통해 배출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손잡이(16)를 파지하고 피스톤 헤드(14)를 상사점과 하사점 사이에서 왕복운동 시키는 것만으로,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식수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필터 카트리지(23)는, 필터로서의 수명을 다하게 되면 하우징 커버(24)를 하우징(22)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빼내어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부담해야 하는 유지비용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정수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 커버의 유출구(21) 측에 별도의 토출관(41)을 결합시키고, 상기 휴대용 정수기의 하부 형상에 상응하는 오목부가 형성된 받침대(42)를 하부에 결합시켜 가정용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받침대(42)의 측면에 형성된 흡입구(43)를 통하여 흡입된 물은, 상기 받침대(42) 내부에 구비된 별도의 프리 카본 블록 필터(44)에 의해 일차적으로 정수된 후 상기 유입구(11)에 패킹(45a)을 개재하여 삽입되는 연결돌기(45)에 형성된 연결구멍(46)을 통하여 상기 휴대용 정수기의 펌프부(10) 내로 공급된다.
이 때 상기 흡입구(43)는 별도의 유입관(도시생략)을 통하여 수도꼭지에 직접 연결되며, 피스톤 헤드(14)는 하사점에 위치된 상태로 사용된다. 수도꼭지를 틀게 되면, 피스톤을 작동시켜 부압을 발생시키지 않아도, 상기 흡입구(43)로부터 공급된 수돗물이 자체 수압에 의해 유입구(11), 펌프부(10), 연결통로(31), 밸브부(30), 필터부(20), 유출구(21)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여과된 후 토출관(41)을 통하여 배출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휴대가 간편하여 야외에서도 손쉽게 물을 정수하는 것이 가능한 동시에 이물질과 세균 등을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어 안심하고 정수된 물을 식수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정수기가 제공된다.
또한, 필터의 수명이 다한 경우에 필터 카트리지만을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유지비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동시에 제품의 수명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토출관과 받침대를 추가로 장착시켜 야외에서뿐만 아니라 실내에서도 사용 가능하게 구성되므로, 시간과 장소를 불문하고 물을 정수하여 식수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얻는다.

Claims (4)

  1. 원통형상의 실린더(12), 피스톤 로드(13) 및 피스톤 헤드(14)로 이루어지고, 상기 실린더(12)의 하부에는 유입구(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입구(11)에는 물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볼밸브(17)가 설치되어 있는 펌프부(10)와;
    원통형상의 하우징(22)과, 상기 하우징(22) 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필터 카트리지(23)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22)의 상단에는 유출구(21)가 형성된 하우징 커버(24)가 패킹(24a)을 개재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펌프부(10)의 하류측에 상기 펌프부(10)와 나란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필터부(20)와;
    상기 펌프부의 유입구(11)에 설치된 볼 밸브(17)와 협동하여, 상기 펌프부(10)의 작동에 의해 상기 펌프부(10)와 상기 필터부(20) 사이에 형성된 연결통로(31)를 통하여 상기 필터부(20)로 공급되는 물이 역류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밸브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필터 카트리지(23)는, 외측으로부터 마이크로 필터(25), 은활성탄 필터(26) 및 중공사막 필터(27)가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원통형상을 이루고 있는 동시에 상기 하우징(22) 내부 벽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크기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카트리지(23)의 상하부에는, 중앙의 중공사막 필터(27) 부분에 상응하는 부분이 개구된 링 형상을 가지고 있는 상부 마감재(28)와, 디스크 형상으로서 복수개의 돌기(29a)에 의해 상기 필터부의 하우징(22) 내에 지지되어 있는 하부 마감재(29)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 카트리지(23)는 상기 하우징(22) 내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필터 카트리지(23)가 필터로서의 수명을 다하게 되면 교체 가능하며,
    상기 밸브부(30)는, 상기 필터부의 하우징(22) 하면에 상기 연결통로(31)와 연통되도록 관통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구멍(31a)을 상기 펌프부(10)의 작동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환형 고무판(32)과, 상기 환형 고무판(32)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스토퍼(33)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수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6)는,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필터부의 하우징 커버(24) 상부에 수납시킬 수 있지만, 사용시에는 상기 필터부의 하우징 커버(24)로부터 빼내어 180도 선회시킨 후 파지하여 펌핑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수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정수기는,
    상기 하우징 커버의 유출구(21) 측에 결합 가능한 토출관(41)과, 상기 휴대용 정수기의 하부 형상에 상응하는 오목부가 형성된 받침대(42)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받침대(42)는, 측면에 형성된 흡입구(43)와, 내부에 구비된 프리 카본 블록 필터(44)와, 상기 오목부의 상기 유입구(11)에 상응하는 위치에 연결구멍(46)을 가지면서 형성된 연결돌기(45)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흡입구(43)를 통하여 흡입된 물은, 상기 받침대(42) 내부에 구비된 별도의 프리 카본 블록 필터(44)에 의해 일차적으로 정수된 후 상기 유입구(11)에 패킹(45a)을 개재하여 삽입되는 연결돌기(45)에 형성된 연결구멍(46)을 통하여 상기 휴대용 정수기의 펌프부(10) 내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수기.
KR2020010011598U 2001-04-23 2001-04-23 휴대용 정수기 KR2002376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1598U KR200237669Y1 (ko) 2001-04-23 2001-04-23 휴대용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1598U KR200237669Y1 (ko) 2001-04-23 2001-04-23 휴대용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7669Y1 true KR200237669Y1 (ko) 2001-10-12

Family

ID=73065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1598U KR200237669Y1 (ko) 2001-04-23 2001-04-23 휴대용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766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1513B1 (ko) * 2002-06-18 2005-05-27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용 복합필터
KR101355383B1 (ko) * 2009-08-10 2014-01-24 조민재 휴대형 정수 장치
CN109987659A (zh) * 2019-04-26 2019-07-09 广东韦博科技有限公司 户外净水器
CN110981005A (zh) * 2019-12-05 2020-04-10 宁波攀登者品牌管理有限公司 一种户外用水质过滤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1513B1 (ko) * 2002-06-18 2005-05-27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용 복합필터
KR101355383B1 (ko) * 2009-08-10 2014-01-24 조민재 휴대형 정수 장치
CN109987659A (zh) * 2019-04-26 2019-07-09 广东韦博科技有限公司 户外净水器
CN110981005A (zh) * 2019-12-05 2020-04-10 宁波攀登者品牌管理有限公司 一种户外用水质过滤器
CN110981005B (zh) * 2019-12-05 2021-04-06 宁波攀登者品牌管理有限公司 一种户外用水质过滤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68621B2 (en) Water filter cartridge
US7507338B2 (en) Universal water purifier unit assembly device
KR100847208B1 (ko) 휴대용 정수기
US5549822A (en) Shower filter apparatus
KR20030033019A (ko) 역삼투 물 처리 시스템용 유량 제어 모듈
US20100320135A1 (en) Water purification kettle
JPH06182123A (ja) 携帯可能な水濾過装置及び水を濾過浄化する方法
US5256287A (en) Cartridge filter for faucet attachment
CN108585252B (zh) 一种环保家用净水器
JP2006095510A (ja) 浄水器
KR100521116B1 (ko) 정수기 필터에 구비된 정수 및 원수의 선별유동제어가가능한 유체차단수단
KR200237669Y1 (ko) 휴대용 정수기
WO2009025413A1 (en) Water purifier filter having a filter washing function
KR100944226B1 (ko) 정수기용 필터 장치
KR100336990B1 (ko) 휴대용 정수기
KR100576353B1 (ko) 휴대용정수기
KR102365494B1 (ko) 도어 개폐시 연동되는 유로개폐용 밸브를 구비하는 정수기
KR200237670Y1 (ko) 휴대용 정수기
JPH10211954A (ja) 水処理用カートリッジおよびこのカートリッジと飲料ボトルとの組合せ構造ならびにこのカートリッジを用いた水処理方法
KR20090098581A (ko) 원터치 착탈식 어댑터
KR100499804B1 (ko) 정수기의 필터 연결 장치
KR200317315Y1 (ko) 자동/수동 변환이 가능한 휴대용 정수장치
JP2000225391A (ja) 携帯用浄水装置
JPH11253936A (ja) 浄水器
KR200317263Y1 (ko) 정수기용 필터 카트리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