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9649B1 - 정수 기능을 갖는 물통 - Google Patents

정수 기능을 갖는 물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9649B1
KR101159649B1 KR1020090082927A KR20090082927A KR101159649B1 KR 101159649 B1 KR101159649 B1 KR 101159649B1 KR 1020090082927 A KR1020090082927 A KR 1020090082927A KR 20090082927 A KR20090082927 A KR 20090082927A KR 101159649 B1 KR101159649 B1 KR 101159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ucket
ionization
discharge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2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4790A (ko
Inventor
심학섭
Original Assignee
(주)진행워터웨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행워터웨이 filed Critical (주)진행워터웨이
Priority to KR1020090082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9649B1/ko
Publication of KR20110024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4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9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9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9/20Portable or detachable small-scale multistage treatment devices, e.g. point of use or laboratory water purification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02F2001/42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using anionic excha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돗물은 물론 야외의 개천에서 흐르는 물 등을 물통에 채워 물통에 채워진 물을 정수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정수 기능을 갖는 물통에 관한 것으로, 물이 투입되는 개방부를 포함하는 물통과, 고정수단을 통해 상기 개방부를 커버하며 물 배출부를 포함하는 커버부와, 상기 개방부에 상부 둘레가 걸리게 이탈 가능하게 삽입되어 물통 내부의 물이 통과되면서 정수되어 정수된 물이 상기 물 배출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정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물통, 정수기, 운모성분 흡착층, 이온화부

Description

정수 기능을 갖는 물통{A water bottle with the water cleaning function}
본 발명은 정수 기능을 가진 물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돗물은 물론 야외의 개천에서 흐르는 물 등을 물통에 채워 물통에 채워진 물을 정수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정수 기능을 갖는 물통에 관한 것이다.
인간 생활에 있어서 물의 섭취는 무엇보다도 중요한 생활요소 중의 하나이다. 인간이 문명생활을 시작하면서, 산업화과정을 겪어오고, 산업화에 다량의 물을 필요로 하여 이를 공업용수로 활용하여 왔다. 이러한 공업용수는 필연적으로 환경오염의 문제를 야기해 왔으며, 이를 시정하기 위한 많은 노력들이 시행되고 있다.
오늘날 산업의 고도화는 한편으로 인간의 생활을 편리하고 윤택하게 만들어 줌으로써 생활의 질을 향상시키고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 각종의 공해와 환경의 오염문제라는 부작용을 동시에 제공하고 있다. 산업화의 부산물인 각종 공해 및 환경의 오염문제 중에서도 가장 심각한 문제는 상수원의 오염 내지 안정적이고 위생적인 물의 공급이라고 할 수 있다.
상수원의 오염은 공장, 축산농가 등에서 배출하는 각종 오폐수와 생활하수의 의하여 주로 발생되었고, 이러한 상수원의 오염문제는 상수원 지역에서의 공장 건 설 불허, 축산농가의 시설개량 등을 통하여 어느 정도 해결의 실마리를 풀어가고 있다. 또한, 상수원 또는 수원지에서 집수된 물을 대단위 정수장에서 여과하고 멸균시켜서 일반 가정으로 공급하는 시스템을 갖춤으로써, 상수원의 오염 문제를 해결해 나가고 있다.
한편, 정수장에서 깨끗하게 여과하고 멸균시킨 수돗물을 일반 도시민들에게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각종의 수도관을 이용하고 있는데, 수도관의 노후화 및 공급 관로의 부식으로 인한 수돗물의 오염이 문제되고 있다. 이것은 정수장에서 아무리 1급수로 생산되고 공급된다고 할지라도, 수도관을 통하여 일반가정으로 유입된 수돗물은 그대로 음용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최근에는 각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수돗물을 그대로 마시는 경우는 거의 없고, 천연 생수를 구입하여 마시거나, 다양한 종류의 정수기를 사용한 정수된 물을 마시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오늘날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각종의 정수기들은 각종의 이온의 형태로 존재하는 중금속 성분들을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고 있으며, 설혹 중금속 성분을 제거한다고 할지라도, 그와 동시에 인체에 유익한 각종의 미네날 성분들을 제거해버리게 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본 출원인이 기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특허 제10-791223호의 "수도직결식 정수기"(이하, "종래의 수도직결식 정수기"라 한다.)가 알려져 있다.
도 12는 종래의 수도직결식 정수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종래 수도 직결식 정수기(100)는, 수도관(10)에 연결되어 있고 수돗물이 유입되는 유입부(110)와; 철(Fe)에 비하여 그 이온화 경향이 큰 금속을 선택하되, 상기 금속은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아연(Zn)으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상기 금속을 이온화시켜서 상기 수돗물 속으로 용해시키는 이온화부(120)와; 상기 이온화부(120)에 연결관으로 연접되어 있고, 상기 이온화부(120)의 유속에 비하여 느리게 흘러가면서 상기 수돗물을 여과시키는 활성탄 여과부(130)와; 상기 활성탄 여과부(130)에 연접하여 있고, 상기 이온화부(120)의 작용에 의해 중금속 성분으로 전환된 중금속 성분을 자석에 의해 상기 수돗물로부터 제거하는 중금속 제거부(140)와; 중금속 성분이 제거된 수돗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유출부(112)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수도직결식 정수기는, 수도관에 직접 연결하여 수돗물 중의 중금속과 유해물질 제거하면서도 수돗물 속의 미네랄 성분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도직결식 정수기는, 수도관에 장착한 상태에서 수돗물을 정수하는데 그 범위가 한정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이온화부를 통과하는 수돗물에 포함된 중금속 성분을 자석을 통해 제거함에 있어서, 장시간이 경과되어 자석의 자력이 저하되면 중금속 성분의 제거 성능이 저감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수돗물은 물론 야외의 개천에서 흐르는 물 등을 물통에 채워, 물통에 채워진 물을 정수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정수 기능을 갖는 물통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정화부를 구성하는 활성탄 여과부와 광석층의 사이에 운모성분 흡착층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운모성분 흡착층에서 이온화부를 통과한 수돗물에 포함된 중금속 성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정수 기능을 갖는 물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수부에 통과되는 물의 체류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정수 기능을 갖는 물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물이 투입되는 개방부를 포함하는 물통과, 고정수단을 통해 상기 개방부를 커버하며 물 배출부를 포함하는 커버부와, 상기 개방부에 상부 둘레가 걸리게 이탈 가능하게 삽입되어 물통 내부의 물이 통과되면서 정수되어 정수된 물이 상기 물 배출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정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수기는, 상,하부가 개방되고 상부 둘레에 상기 개방부에 걸리는 돌출턱이 구비된 관 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물통의 물을 통과시킴에 따라 음이온이 부여된 정수된 물을 상기 배출부로 배출되게 하는 이온 화 정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정수기 상부에 잔류된 물이 물통으로 회수 되도록 다수의 상,하 연결대에 의해 고정되고 상부가 개방되며 하부에는 체크밸브가 구비된 물 회수관이 더 구비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온화 정수부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와 물 회수관의 외측 사이에 구비되며, 하부에 상부의 수평 차단망부로 지지되게 구비되고,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아연(Zn)으로 구성된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금속으로 구성되되, 상기 금속을 이온화시켜 수돗물을 이온화시키는 다수의 물 통과홀이 형성된 판 형상의 이온화부와; 상기 이온화부의 상부에 다단으로 구비된 수평 차단망부를 통해 구획되게 구비되고, 하부로부터 물의 통과 유속을 줄여 여과시키는 활성탄 여과층과 중금속을 제거하는 운모성분 흡착층 및 미네랄 성분을 물 속으로 용출해주는 화강암 광석층이 순서적으로 적층된 정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 차단망부는 물 통과망과 물 통과망의 하부에 형성되는 보강 리브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보강 리브판은 중앙에 구비되어 상기 물 회수관에 삽입되는 내측링과 몸체부의 측벽에 고정되는 외측링 및 그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의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수기는; 상부 중앙 둘레에 다수의 배출홀이 형성된 상판과 하부 외측 둘레에 다수의 투입홀이 형성된 하판을 포함하고, 상부 둘레에는 상기 개방부에 걸리는 돌출턱이 구비된 관 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물통의 물을 통과시킴에 따라 음이온이 부여된 정수된 물을 상기 배출부로 배출되게 하는 이온화 정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온화 정수부는, 상기 몸체부 내부의 외측 둘레에 상기 투입홀과 연통되는 외측 물 유입공간이 구비되게 관 형상으로 세워져 고정되며, 상부 둘레에는 내측에 수직 차단망이 구비된 다수의 상부 물 통과홀이 형성되고,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아연(Zn)으로 구성된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금속으로 구성되되, 상기 금속을 이온화시켜 상부 물 통과홀에 통과되는 물을 이온화시키는 이온화부와; 상기 이온화부의 외측에 다수의 관형 차단망부를 통해 구획되게 구비되고,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물의 통과 유속을 줄여 여과시키는 활성탄 여과층과 중금속을 제거하는 운모성분 흡착층 및 미네랄 성분을 물 속으로 용출해주는 화강암 광석층이 순서적으로 적층된 정수부와; 정수부의 내측에 상기 배수홀과 연통된 물 통과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활성탄 여과층의 내측 둘레에 구비된 관형 차단망부는 하부 둘레에 물 통과망이 구비된 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운모성분 흡착층의 내측 둘레에 구비된 관형 차단망부는 상부 둘레에 물 통과망이 구비된 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화강암 광석층의 내측 둘레에 구비된 관형 차단망부는 하부 둘레에 물 통과망이 구비된 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통은, 물을 배출시키기 위해 누름 변형 후 복원되는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개방부의 외측 둘레에 형성된 나선부와, 상기 커버부 내부의 하부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나선부에 체결되는 탭부와, 상기 커버부의 내부 둘레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의 상부 둘레를 눌러주어 몸체부의 유동을 방지하는 누름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의 상부는 수평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배출부는 수평판의 중앙에 구비된 배출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평판의 상부에는 상기 배출관을 커버하는 음용커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는, 수돗물은 물론 야외의 개천에서 흐르는 물 등을 물통에 채워, 물통에 채워진 물을 정수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야외에서 운동을 하거나 여행을 갈 때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군인들의 야외 훈련시 개천의 물을 정수하여 음용할 수 있어 군용 수통으로도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화부의 중간에 운모성분 흡착층을 구비하여 이온화부를 통과한 수돗물에 포함된 중금속 성분을 제거함으로써, 장기간 동안 사용하더라도 중금속 성분의 제거 효율이 저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수부에 통과되는 물의 체류 시간을 길게 함으로써, 물통에 채워진 물의 정수 효과를 좀더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물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물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정수 기능을 갖는 물통은, 야외에서 수돗물 또는 개천의 물을 물통(1)에 채워 정수를 시키면서 물을 음용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물통(1)의 개방부(11)에 착탈이 가능한 정수기(4)를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물통은, 물이 투입되는 개방부(11)를 포함하는 물통(1)과, 고정수단(3)을 통해 상기 개방부(11)를 커버하며 물 배출부(22)를 포함하는 커버부(2)와, 상기 개방부(11)에 상부 둘레가 걸리게 이탈 가능하게 삽입되어 물통 내부의 물이 통과되면서 정수되어 정수된 물이 상기 물 배출부(22)로 배출되도록 하는 정수기(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정수기(4)는 상,하부가 개방되고 상부 둘레에 상기 개방부에 걸리는 돌출턱(51)이 구비된 관 형상의 몸체부(5)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정수기는 상기 몸체부(5)의 내부에 구비되어 물통(1)의 물을 통과시킴에 따라 음이온이 부여된 정수된 물을 상기 물 배출부(22)로 배출되게 하는 이온화 정수부(6)를 포함하는데, 정수부(62)의 구체적인 구성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물통(1)은 누름 변형 후 복원되는 합성수지재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물통(1)을 압축하여 누르는 과정에서 물통(1)에 채워진 물이 정 수기(4)를 강제적으로 통과되면서 정수되어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3)은, 개방부(11)의 외측 둘레에 형성된 나선부(31)와, 상기 커버부(2) 내부의 하부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나선부에 체결되는 탭부(32)를 포함한다.
그리고 고정수단(3)은, 상기 커버부(2)의 내부 둘레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5)의 상부 둘레를 눌러주는 누름부(33)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누름부(33)의 누름을 통해 물통(1)이 유동되더라도 몸체부(5)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커버부(2)는 물통(1) 개방부(11)의 상부인 정수기(4)의 상부를 커버하면서 정수된 물을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래서 상기 커버부(2)의 상부는 수평판(21)으로 구성되고, 물통의 물이 배출되는 상기 물 배출부(22)는 수평판(21)의 중앙에 구비된 배출관(221)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판(21)의 상부에는, 상기 배출관(221)을 커버하고 물을 음용할 경우에만 개방시키는 음용커버(23)가 더 구비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물통의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물통을 구성하는 정수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물통에 포함된 정수기의 수평 차단망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에, 상기 몸체부(5)의 중앙에는, 정수기(4) 상부에 잔류된 물이 물통(1)으로 회수 되도록 다수의 상,하 연결대(522)에 의해 고정되고 상부가 개방되며 하부에는 체크밸브(521)가 구비된 물 회수관(52)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체크밸브(521)는, 물이 상부에서 하부로 유입되도록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회수관(661)의 하부에 형성된 다수의 물 통과홀과, 상부에서 하부로만 물이 통과되게 상기 물 통과홀(611)의 하부를 막는 개폐판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온화 정수부(6)는, 상기 몸체부(5)의 내부와 물 회수관(52)의 외측 사이에 구비되어 물통(1)으로부터 유입된 물을 통과시킴에 따라 음이온이 부여된 정수된 물을 커버부에 구비된 물 배출부(22)를 통해 배출시키는 것이다.
즉 상기 이온화부(61)는, 몸체부(5)의 내부 상부에 구비되어 물통(1)에서 배출되는 물을 이온화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이온화 경향이 큰 금속 성분을 이온화시켜 수돗물 속으로 상기의 금속성분을 용해시키고 물 속에 음이온(e-1)을 부여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이온화 경향이 큰 금속 성분은,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아연(Zn) 중의 어느 하나를 예시할 수 있는데, 상기 금속 성분중 아연(Zn)이 가장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의 금속 성분은 철(Fe)에 비하여 그 이온화 경향이 큰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온화 경향이 너무 클 경우 물 속에서 순수하게 이온으로 존래하기 어렵고 또한 상온에서 다른 비금속 원소와 결합되기 쉬워서 순수한 금속성분으로 존재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으므로, 이온화 경향이 너무 큰 금속은 바람직스 럽지 못한 이유로 아연(Zn)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연(Zn)은 인체에 무해할 뿐 아니라, 인체에 흡수될 경우, 인체 내에서 세포를 구성하고 생리적인 기능을 조절하는 대표적인 무기물질 중 하나이고, 또한 인슐린과 핵산, 단백질을 합성하는 효소의 활성에 필요한 물질이기 때문에 아연(Zn)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이온화부(61)의 둘레에는 황동이나 구리로 구성된 둘레층(612)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즉 상기 황동이나 구리로 구성된 둘레층(612)으로 인하여 전위차를 발생시킴으로써, 아연(Zn) 등으로 구성된 이온화부(61)가 물에 쉽게 녹게 함에 따라 물속으로 이온화 물질의 침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이온화부(61)는, 몸체부(5)의 하부에 상부의 수평 차단망부(63)로 지지되게 구비되고,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아연(Zn)으로 구성된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금속으로 구성되되, 상기 금속을 이온화시켜 수돗물을 이온화시키는 다수의 물 통과홀(611)이 형성된 판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온화부(61)는 판형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다수의 물 통과홀(611)을 형성함으로써, 다수의 물 통과홀(611)을 통해 배출되는 물과 금속이 충분히 접촉됨에 따라 배출되는 물의 이온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온화부(61)의 상부에 구비되는 정수부(62)는, 상기 이온화부(61)의 상부에 다단으로 구비된 수평 차단망부(63)를 통해 구획되게 구비되고, 하부로부터 물의 통과 유속을 줄여 여과시키는 활성탄 여과층(621)과 중금속을 제거하는 운모성부 흡착층(622) 및 미네랄 성분을 물 속으로 용출해주는 화강암 광석층(623)이 순서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수평 차단망부(6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 차단망부(63)는 물 통과망(662)과 물 통과망(662)의 하부에 형성되는 보강 리브판(632)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보강 리브판(632)은 중앙에 구비되어 상기 회수관에 삽입되는 내측링(633)과 몸체부(5)의 측벽에 고정되는 외측링(634) 및 그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의 리브(635)를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물 통과망(662)은 물만을 통과시키고, 활성탄 여과층(621)과 운모성부 흡착층(622) 및 화강암 광석층(623)을 구성하는 입자의 통과는 막음으로써, 각 층이 혼합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충분한 정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물통의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물통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통을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커버부(2)를 회전시켜 물통(1)으로부터 커버부(2)를 분리시킨 다음, 물통(1)의 개방부(11)에 삽입되어 있는 정수기(4)의 상단 둘레를 잡고 정수기(4)를 물통으로부터 이탈시킨다.
그런 다음, 물통에 수돗물이나 개천의 물을 채운다.
그리고 다시 물통(1)의 개방부(11)에 정수기를 삽입한 후 커버부(2)를 장착 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물통의 물을 음용할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을 거꾸로 세운 다음, 물통(1)의 주위를 누르게 되면 물이 압력을 가지면서 정수기(4)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이온화되고 정수된 후, 커버부(2)에 구비된 물 배출부(22)를 통해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이 정수기의 내부로 물통의 물이 통과되는 과정에서는, 먼저 물통의 물은 이온화부(61)의 물 통과홀(611)을 통과하면서 물 속으로 이온화부(61)의 금속 성분이 용해되어 물 속에 음이온(e-1)이 부여됨에 따라, 수돗물이 이온화 된다.
그리고 이온화부(61)를 통과하여 이온화된 수돗물은, 이온화부(61)의 상부에 구비된 활성탄 여과층(621)을 느리게 통과하면서 여과되게 된다. 즉 활성탄 여과층(621)에서는 수돗물 속에 남아있는 잔류 염소 및 불순물을 입상의 활성탄에 의해 제거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활성탄 여과층(621)을 통과하여 이물질이 제거된 물은 운모성부 흡착층(622)을 통과하면서 중금속 성분이 제거된다.
특히 상기 운모성부 흡착층(622)은 활성탄 여과층(621)과 연접되어 있는 것으로, 고온에서 소성하여 가공한 운모성분의 흡착제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물에 함유된 중금속으로서는 예컨대 망간(Mn), 알루미늄(Al), 수은(Hg), 납(Pb), 구리(Cu)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중금속은 운모성분의 흡착제 로 구성된 운모성분 흡착층(622)에서 제거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운모성분 흡착층(622)은, 운모를 고온에서 소성하고 이를 분쇄하여 가공한 흡착제를 이용하는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 중의 하나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상기 운모성부 흡착층(622)을 구비하여 이온화부(61)를 통과한 수돗물에 포함된 중금속 성분을 제거함으로써, 장시간 동안 사용하더라도 중금속 성분의 제거 효율이 저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아울러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자석의 자력 상실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장점도 가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운모성분 흡착층(622)을 통과하여 중금속이 제거된 물은, 화강암 광석층(623)을 통과하면서 인체에 유익한 미네랄 성분이 물 속으로 용출되게 된다.
특히 상기 화강암 광석층(623)은, 수용성 미네랄 예컨대, Ca(HCO3)2, Mg(HCO3)2 및 KHCO3와 같은 탄산형 이온성 미네랄을 물 속으로 용출시키게 되고, 이로써 이를 통과하는 수돗물을 약산성으로 전환시켜서 약산성으로 전환시켜서 약알칼리성 물로 바꾸어 주게되는 것이다.
최종적으로, 약알칼리성으로 바뀐 물은 물 배출부(22)의 의해 외부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물의 섭취후 커버부(2)와 정수기(4) 상부의 사이에 잔류된 물은, 물통을 다시 수직으로 세우는 과정을 통해 물 회수관(52)을 통해 체크밸브(521)를 통과하여 물통(1)의 내부로 다시 유입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물통(1)은, 수돗물은 물론 야외의 개천에서 흐르는 물 등을 물통에 채워, 물통에 채워진 물을 정수하여 음용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야외에서 운동을 하거나 여행을 갈 때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군인들의 야외 훈련시 개천의 물을 정수하여 음용할 수 있어 군용 수통으로도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물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물통을 구성하는 정수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물통에 포함된 정수기의 관형 차단망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인 물통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물통은, 정수기를 제외하는 타 구성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의 물통과 동일함을 전제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물통을 구성하는 정수기(4)는, 상부 중앙 둘레에 다수의 배출홀(531)이 형성된 상판(53)과 하부 외측 둘레에 다수의 투입홀(541)이 형성된 하판(54)을 포함하고, 상부 둘레에는 상기 개방부에 걸리는 돌출턱(51)이 구비된 관 형상의 몸체부(5)와; 상기 몸체부(5)의 내부에 구비되어 물통의 물을 통과시킴에 따라 음이온이 부여된 정수된 물을 상기 물 배출부(22)로 배출되게 하는 이온화 정수부(6)를 포함한다.
즉 상기 이온화 정수부(6)는, 상기 몸체부(5) 내부의 외측 둘레에 상기 투입홀(541)과 연통되는 외측 물 유입공간(67)이 구비되게 관 형상으로 세워져 고정되 며, 상부 둘레에는 내측에 수직 차단망이 구비된 다수의 상부 물 통과홀(641)이 형성되고,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아연(Zn)으로 구성된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금속으로 구성되되, 상기 금속을 이온화시켜 상부 물 통과홀(641)에 통과되는 물을 이온화시키는 이온화부(6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이온화 정수부(6)는, 상기 이온화부(64)의 내측에 다수의 관형 차단망부(66)를 통해 구획되게 구비되고,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물의 통과 유속을 줄여 여과시키는 활성탄 여과층(651)과 중금속을 제거하는 운모성부 흡착층(652) 및 미네랄 성분을 물 속으로 용출해주는 화강암 광석층(653)이 순서적으로 적층된 정수부(65)를 포한한다.
아울러 상기 이온화 정수부(6)는, 상기 정수부(65)의 내측에 상기 배출홀(531)과 연통된 물 통과공간(68)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활성탄 여과층(651)의 내측 둘레에 구비된 관형 차단망부(66)는 하부 둘레에 물 통과망(662)이 구비된 관(661)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운모성분 흡착층(652)의 내측 둘레에 구비된 관형 차단망부(66)는 상부 둘레에 물 통과망(662)이 구비된 관(661)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화강암 광석층(653)의 내측 둘레에 구비된 관형 차단망부(66)는 하부 둘레에 물 통과망(662)이 구비된 관(661)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이온화부(64), 활성탄 여과층(651), 운모성부 흡착층(652), 화강암 광석층(653)을 통한 물의 이온화 작용과 정수작용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작용과 동일함으로, 그 구체적인 작용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활성탄 여과층(651)과 운모성부 흡착층(652) 및 화강암 광석층(653)을 수직으로 구비하고, 물통을 거꾸로 한 상태에서 배출되는 물이 활성탄 여과층(651)에서 상승하고, 운모성부 흡착층(652)에서 하강하며, 화강암 광석층(653)에서 다시 상승한 후, 물 통과공간(68)을 통해 배출홀(531)을 통과하여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활성탄 여과층(651)과 운모성부 흡착층(652) 및 화강암 광석층(653)에서 통과 배출되는 물의 체류시간을 길게 함으로써, 배출되는 물의 정수 효과를 최대로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관 형상의 이온화부(64)의 중간에는,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황동 또는 구리로 구성된 전위차 발생관(643)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황동이나 구리로 구성된 전위차 발생관(643)과 아연(Zn) 등의 사이에서 전위차를 발생시킴으로써, 아연(Zn) 등으로 구성된 이온화부(64)가 물에 쉽게 녹게 함에 따라 물속으로 이온화 물질의 침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능을 갖는 물통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는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물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물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물통을 구성하는 정수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물통에 포함된 정수기의 수평 차단망부 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물통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물통을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물통을 구성하는 정수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물통에 포함된 정수기의 관형 차단망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인 물통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종래의 수도 직결식 정수기를 나타낸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물통
11 : 개방부
2 : 커버부
21 : 수평판
22 : 물 배출부
221 : 배출관
23 : 음용커버
3 : 고정수단
31 : 나선부
32 : 탭부
33 : 누름부
4 : 정수기
5 : 몸체부
51 : 돌출턱
52 : 물 회수관
521 : 체크밸브, 522 : 연결대
53 : 상판
531 : 배출홀
54 : 하판
541 : 투입홀
6 : 이온화 정수부
61 : 이온화부
611 : 물 통과홀, 612 : 둘레층
62 : 정수부
621 : 활성탄 여과층, 622 : 운모성분 흡착층,
623 : 화강암 광석층
63 : 수평 차단망부
631 : 물 통과망, 632 : 보강 리브판, 633 : 내측링,
634 : 외측링, 635 : 리브
64 : 이온화부
641 : 상부 물 통과홀, 642 : 수직 차단망, 643 : 전위차 발생관
65 : 정수부
651 : 활성탄 여과층, 652 : 운모성분 흡착층,
653 : 화강암 광석층
66 : 관형 차단망부
661 : 관, 662 : 물 통과망
67 : 외측 물 유입공간
68 : 물 통과공간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물이 투입되는 개방부(11)를 포함하는 물통(1)과, 고정수단(3)을 통해 상기 개방부(11)를 커버하며 물 배출부(22)를 포함하는 커버부(2)와, 상기 개방부(11)에 상부 둘레가 걸리게 이탈 가능하게 삽입되어 물통 내부의 물이 통과되면서 정수되어 정수된 물이 상기 물 배출부(22)로 배출되도록 하는 정수기(4)를, 포함하고;
    상기 정수기(4)는, 상,하부가 개방되고 상부 둘레에 상기 개방부(11)에 걸리는 돌출턱(51)이 구비된 관 형상의 몸체부(5)와, 상기 몸체부(5)의 내부에 구비되어 물통(1)의 물을 통과시킴에 따라 음이온이 부여된 정수된 물을 상기 물 배출부(22)로 배출되게 하는 이온화 정수부(6)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5)의 중앙에는, 정수기 상부에 잔류된 물이 물통으로 회수 되도록 다수의 상,하 연결대(522)에 의해 고정되고 상부가 개방되며 하부에는 체크밸브(521)가 구비된 물 회수관(52)이 더 구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기능을 갖는 물통.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화 정수부(6)는,
    상기 몸체부(5)의 내부와 물 회수관(52)의 외측 사이에 구비되며, 하부에 상부의 수평 차단망부(63)로 지지되게 구비되고,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아연(Zn)으로 구성된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금속으로 구성되되, 상기 금속을 이온화시켜 수돗물을 이온화시키는 다수의 물 통과홀(611)이 형성되고, 둘레에는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황동이나 구리로 구성된 둘레층(612)이 구비되어 있는 판 형상의 이온화부(61)와;
    상기 이온화부(61)의 상부에 다단으로 구비된 수평 차단망부(63)를 통해 구획되게 구비되고, 하부로부터 물의 통과 유속을 줄여 여과시키는 활성탄 여과층(621)과 중금속을 제거하는 운모성부 흡착층(622) 및 미네랄 성분을 물 속으로 용출해주는 화강암 광석층(623)이 순서적으로 적층된 정수부(6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기능을 갖는 물통.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차단망부(63)는 물 통과망(662)과 물 통과망(662)의 하부에 형성되는 보강 리브판(632)으로 구성되고,
    상기 보강 리브판(632)은 중앙에 구비되어 상기 물 회수관(52)에 삽입되는 내측링(633)과 몸체부(5)의 측벽에 고정되는 외측링(634) 및 그 사이를 연결하는 다수의 리브(6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기능을 갖는 물통.
  6. 삭제
  7. 물이 투입되는 개방부(11)를 포함하는 물통(1)과, 고정수단(3)을 통해 상기 개방부(11)를 커버하며 물 배출부(22)를 포함하는 커버부(2)와, 상기 개방부(11)에 상부 둘레가 걸리게 이탈 가능하게 삽입되어 물통 내부의 물이 통과되면서 정수되어 정수된 물이 상기 물 배출부(22)로 배출되도록 하는 정수기(4)를, 포함하고,
    상기 정수기(4)는, 상부 중앙 둘레에 다수의 배출홀(531)이 형성된 상판(53)과 하부 외측 둘레에 다수의 투입홀(541)이 형성된 하판(54)을 포함하고, 상부 둘레에는 상기 개방부에 걸리는 돌출턱(51)이 구비된 관 형상의 몸체부(5)와; 상기 몸체부(5)의 내부에 구비되어 물통(1)의 물을 통과시킴에 따라 음이온이 부여된 정수된 물을 상기 물 배출부(22)로 배출되게 하는 이온화 정수부(6)를; 포함하며,
    상기 이온화 정수부(6)는, 상기 몸체부(5) 내부의 외측 둘레에 상기 투입홀(541)과 연통되는 외측 물 유입공간(67)이 구비되게 관 형상으로 세워져 고정되며, 상부 둘레에는 내측에 수직 차단망(642)이 구비된 다수의 상부 물 통과홀(641)이 형성되고,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아연(Zn)으로 구성된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금속으로 구성되되, 상기 금속을 이온화시켜 상부 물 통과홀(641)에 통과되는 물을 이온화시키는 이온화부(64)와; 상기 이온화부(64)의 외측에 다수의 관형 차단망부(66)를 통해 구획되게 구비되고,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물의 통과 유속을 줄여 여과시키는 활성탄 여과층(651)과 중금속을 제거하는 운모성부 흡착층(652) 및 미네랄 성분을 물 속으로 용출해주는 화강암 광석층(653)이 순서적으로 적층된 정수부(65)와; 정수부(65)의 내측에 상기 배출홀(531)과 연통된 물 통과공간(6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기능을 갖는 물통.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탄 여과층(651)의 내측 둘레에 구비된 관형 차단망부(66)는 하부 둘레에 물 통과망(662)이 구비된 관(661)으로 구성되고;
    상기 운모성부 흡착층(652)의 내측 둘레에 구비된 관형 차단망부(66)는 상부 둘레에 물 통과망(662)이 구비된 관(661)으로 구성되며;
    상기 화강암 광석층(653)의 내측 둘레에 구비된 관형 차단망부(66)는 하부 둘레에 물 통과망(662)이 구비된 관(661)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기능을 갖는 물통.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 형상의 이온화부(64)의 중간에는,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황동 또는 구리로 구성된 전위차 발생관(643)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기능을 갖는 물통.
  10. 제3항 내지 제5항 및 제 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1)은,
    물을 배출시키기 위해 누름 변형 후 복원되는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기능을 갖는 물통.
  11. 제3항 내지 제5항 및 제 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3)은,
    개방부의 외측 둘레에 형성된 나선부(31)와,
    상기 커버부(2) 내부의 하부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나선부(31)에 체결되는 탭부(32)와,
    상기 커버부(2)의 내부 둘레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5)의 상부 둘레를 눌러주어 몸체부(5)의 유동을 방지하는 누름부(3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기능을 갖는 물통.
  12. 제3항 내지 제5항 및 제 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2)의 상부는 수평판(21)으로 구성되고,
    상기 물 배출부(22)는 수평판(21)의 중앙에 구비된 배출관(221)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평판(21)의 상부에는 상기 배출관(221)을 커버하는 음용커버(23)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기능을 갖는 물통.
KR1020090082927A 2009-09-03 2009-09-03 정수 기능을 갖는 물통 KR101159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2927A KR101159649B1 (ko) 2009-09-03 2009-09-03 정수 기능을 갖는 물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2927A KR101159649B1 (ko) 2009-09-03 2009-09-03 정수 기능을 갖는 물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4790A KR20110024790A (ko) 2011-03-09
KR101159649B1 true KR101159649B1 (ko) 2012-06-25

Family

ID=43932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2927A KR101159649B1 (ko) 2009-09-03 2009-09-03 정수 기능을 갖는 물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96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3431B1 (ko) 2015-08-27 2017-03-07 이덕희 블루투스 스피커와 led조명이 구비된 보틀용 캡
KR102241182B1 (ko) * 2020-04-28 2021-04-29 주식회사 리얼워터 음료용기 주입구 결합형 정수필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729Y1 (ko) 2000-10-19 2001-03-15 오민웅 휴대물병용 정수필터
KR200237650Y1 (ko) * 2001-04-17 2001-10-11 신영호 물병(음료수병) 및 물통(생수통)의 정수용 필터
KR200431991Y1 (ko) 2006-09-07 2006-11-27 최강수 휴대용 음용수 변환용기
KR100791223B1 (ko) 2007-08-17 2008-01-04 심학섭 수도직결식 정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729Y1 (ko) 2000-10-19 2001-03-15 오민웅 휴대물병용 정수필터
KR200237650Y1 (ko) * 2001-04-17 2001-10-11 신영호 물병(음료수병) 및 물통(생수통)의 정수용 필터
KR200431991Y1 (ko) 2006-09-07 2006-11-27 최강수 휴대용 음용수 변환용기
KR100791223B1 (ko) 2007-08-17 2008-01-04 심학섭 수도직결식 정수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3431B1 (ko) 2015-08-27 2017-03-07 이덕희 블루투스 스피커와 led조명이 구비된 보틀용 캡
KR102241182B1 (ko) * 2020-04-28 2021-04-29 주식회사 리얼워터 음료용기 주입구 결합형 정수필터
WO2021221231A1 (ko) * 2020-04-28 2021-11-04 주식회사 리얼워터 음료용기 주입구 결합형 정수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4790A (ko) 2011-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4463B1 (ko) 수도 직결식 휴대용 정수기
KR101159649B1 (ko) 정수 기능을 갖는 물통
CN201517056U (zh) 饮水机用臭氧净化水桶
CN202007172U (zh) 一种前中置双罐机械过滤器
CN201495147U (zh) 两级一体多介质快滤式净水器
CN207862102U (zh) 一种直饮水磁性净化处理装置
CN207862101U (zh) 一种便携式饮用水净化过滤装置
CN202860280U (zh) 一种具有中置净化筒的全自动旋流除砂净水器
CN207877469U (zh) 一种直饮水快速净化杀菌装置
CN202246325U (zh) 量子超滤直饮水机
CN201962103U (zh) 一种具有非亲水性滤膜及超滤膜的逆冲洗制水机
CN105251251A (zh) 一种具有除砷除氟功能的过滤器及制作方法
CN210065339U (zh) 一种净水装置
CN107840523A (zh) 一种便携式饮用水净化过滤装置
CN104003540A (zh) 一种净水装置
US20220387909A1 (en) Water purification housing and rainwater purif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CN105217813A (zh) 一种具有逆冲洗排污功能的净水机及制作方法
CN201660506U (zh) 一种地下地表水专用手自动一体排污及除铁锰净水器
CN105174592A (zh) 一种双罐多介质抗菌抑垢净水器的制作方法
CN201817353U (zh) 储压式逆冲洗排污及双罐多介质抗菌抑垢净水器
CN201634458U (zh) 一种具有显示功能的城乡家用精超滤便捷式净水器
CN201520694U (zh) 一种除铁锰及除砷氟多功能净水器
CN105254056A (zh) 一种具有原水过滤功能的便捷式净水器及制作方法
CN202139118U (zh) 一种双控膜陶瓷滤芯及多介质联用制水机
CN104326618A (zh) 一种具有排污功能的便捷式净水器及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