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4482Y1 - 용수 여과기 - Google Patents

용수 여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4482Y1
KR200254482Y1 KR2020010024155U KR20010024155U KR200254482Y1 KR 200254482 Y1 KR200254482 Y1 KR 200254482Y1 KR 2020010024155 U KR2020010024155 U KR 2020010024155U KR 20010024155 U KR20010024155 U KR 20010024155U KR 200254482 Y1 KR200254482 Y1 KR 2002544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ular body
flange
filtration screen
filtratio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41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호
Original Assignee
(주) 코리아 인바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코리아 인바이텍 filed Critical (주) 코리아 인바이텍
Priority to KR20200100241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44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44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4482Y1/ko

Links

Landscapes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잦은 여과 스크린의 설치 및 분리 작업을 하는 경우에도, 여과 스크린이 설치되는 관형체가 파손되는 것으로 인한 유지 보수비용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용수 여과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용수 여과기는 내부가 분리 벽체에 의하여 유입관이 연결되는 유입실과 유출관이 연결되는 유출실로 구획되고, 유출실의 중심으로부터 동심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상부 플랜지에 의하여 밀폐되는 통체와, 상부 플랜지에 형성된 각각의 관통공을 에워싸도록 상부 플랜지의 상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관형체들과, 용수중의 찌꺼기를 여과하기 위하여 관형체를 통하여 유출실로 연장하며, 하단 부분이 유입실로 개방하는 다수의 여과 스크린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여과 스크린은 상부에 플랜지를 가지며, 여과 스크린의 플랜지와 관형체 사이에 밀봉을 위한 오-링이 제공되고, 여과 스크린의 플랜지가 관형체 내에 수용되었을 때 여과 스크린을 하방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용수 여과기{Water Strainer}
본 고안은 주로 수처리 공정에 사용되는 강제 세정식 용수 여과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수를 여과하기 위한 다수의 여과망을 개별적으로 세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용수 여과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수 여과기는 오수 정화에 사용되며, 각종 찌꺼기(고형분)가 함유된 용수를 여과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용수 여과기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용수 여과기는 통체(101)와 통체(101)의 상부를 개폐하기 위한 커버(110)를 가진다. 커버(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체(101)에 설치된 브라켓(112)에 힌지 방식으로 연결되는 연결 부재(111)를 통하여 통체(101)에 힌지 개폐될 수 있도록 연결된다. 커버(110)는 원주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는 다수의 볼트(106)에 의하여 통체(101)의 상부에 통체(101)를 밀봉할 수 있도록 고정된다.
통체(101)는 내부가 분리 벽체(102)에 의하여 유입실과 유출실로 구획되며,이러한 유입실 측에 용수 유입관(103)이 연결되고 유출실 측에 용수 유출관(104)이 연결된다. 분리 벽체(102)에는 용수가 통체(101)를 통과하는 동안, 용수에 함유된 찌꺼기를 여과하기 위한 여과망(105)이 제공된다.
용수가 여과망(105)을 통과하는 동안, 용수 중에 함유된 찌꺼기는 여과망(105)의 외주면에서 걸러지는 한편, 용수중의 일부 찌꺼기는 통체(101)의 하부로 침적된다. 통체(101)의 하부로 침전된 찌꺼기는 통체(101)의 하부에 제공되는 파이프(108)에 설치된 밸브(109)를 개폐하는 것에 의하여 드레인된다. 또한, 여과망(105)에서 걸러진 찌꺼기는 여과망(105)을 통체(101)로부터 분리한 후에, 브러시, 물세척등에 의하여 강제 제거된다.
여과망(105)은 상기된 바와 같이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볼트(106)를 푼 후에, 핸들(107)을 도 2의 상방으로 당기는 것에 의하여 커버(110)가 통체(101)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커버(110)가 통체(101)로부터 분리된 후에, 여과망(105)을 통체(101)로부터 분리하여 상기된 바와 같은 브러시, 물세척등을 이용하여, 여과망(105)에 걸러진 찌꺼기가 여과망(105)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용수 여과기는 찌꺼기가 많이 함유된 용수를 여과하는데 적합한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이와 같은 강제 세정식은 단일개의 스크린으로 용수를 여과하므로 대량의 용수를 처리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여과망(105)의 용량이 크고 여과망 정화 공간이 크기 때문에, 여과망(105)의 세정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1994년 07월 22일에 출원되어 1998년 07월 14일에 등록된 실용신안등록 제 126989 호에는 역세(逆洗) 세정식 용수 여과기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역세 세정식은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통체(201)의 내부가 분리 벽체(201a)에 의하여 유입실(211)과 유출실(212)로 상하로 구획되고, 용수중의 찌꺼기를 여과하기 위한 다수의 여과 스크린(220)들이 유출실(212)에서 유출실(212)의 중심으로부터 동심으로 배열된다. 이러한 여과 스크린(220)들은 하단 부분이 유입실(211)과 연통하도록 유입실(211)로 개방된다. 따라서, 용수 유입관(214)을 통하여 유입실(211)로 유입된 용수가 여과 스크린(211)의 하단 개방부를 통하여 유입되어 유출실(212)로 배출되는 동안, 용수중의 찌꺼기가 여과된 후에, 용수 유출관(215)을 통하여 배수된다.
유입실(211)과 유출실(212)에는 압력계(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고, 이러한 압력계 사이에는 차압 스위치(도시되지 않음)가 제공되고, 여과 스크린(220)에 찌꺼기가 일정량 이상 쌓이면, 유입실(211)과 유출실(212) 사이에 차압이 발생되고, 이러한 유입실(211)과 유출실(212) 사이의 차압에 의하여 차압 스위치가 작동된다.
이러한 차압 스위치의 작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차압 신호에 의하여 작동되는 감속 모터(213)에 의하여 흡입관 및 흡출관(241,242)이 회전되고, 여과 스크린(220)들과 흡출관(241,242)이 일치되는, 흡출관(241,242)의 대기압과 통체(201)의 내부압력 차이에 의하여 유출실(212)의 용수가 역류되어, 여과 스크린(220)의 내면에 걸린 찌꺼기가 세정된다. 따라서, 이는 다수개의 스크린을가지도록 함으로써, 대단위 용수를 처리하는데, 적합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도 4에는 이러한 종래의 역세 세정식 용수 여과기의 상부 플랜지(221)에 스크린이 결합되는 부분(A, 도 3 참조)을 확대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플랜지(221)에 형성된 다수의 스크린 삽입구(262)의 상부에는 암나사가 형성된 관형체(264)이 용접에 의하여 고정되고, 관형체(264)의 상부로부터 하방으로 여과 스크린(220)이 삽입된다. 관형체(264)에 형성된 암나사는 여과 스크린(220)의 상부 캡(268)의 외주에 형성된 수나사와 나사 결합되어, 여과 스크린(220)이 상부 플랜지(221)에 고정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관형체(264)에 형성된 암나사에 여과 스크린(220)의 상부 캡(268)의 외주에 형성된 수나사가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관형체(264)의 상단에 방수를 위한 방수 캡(272)이 오-링(166)과 함께 나사 결합된다.
그러므로, 상기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역세 세정 방식의 용수 여과기는 여과 스크린(220)의 세정이 필요할 때, 각각의 여과 스크린(220)을 개별적으로 상부 플랜지(221)로부터 분리하고 분리된 여과 스크린(220)을 브러시, 물세척등을 이용하여, 여과 스크린(220)에 걸린 찌꺼기를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여과 스크린의 설치 구조는 빈번한 여과 스크린의 설치 및 분리 작업에 의하여, 여과 스크린이 설치되는 관형체의 암나사가 파손되는 것과 같은 결합 부품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에, 상부 플랜지 전체를 교환하여야 함으로써유지 보수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잦은 여과 스크린의 설치 및 분리 작업을 하는 경우에도, 여과 스크린이 설치되는 관형체가 파손되는 것으로 인한 유지 보수비용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용수 여과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용수 여과기의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용수 여과기의 평면도.
도 3은 역세 세정 방식의 종래의 용수 여과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용수 여과기의 여과 스크린의 설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용수 여과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용수 여과기에 있어서 여과 스크린의 설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4와 유사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통체 2 : 분리 벽체
3 : 용수 유입관 4 : 유입실
5 : 유출실 6 : 용수 유출관
7 : 상부 플랜지 8 : 볼트
9 : 관통공 10 : 관형체
10a : 턱 11 : 여과 스크린
11a : 플랜지 12 : 오-링
13a, 13b : 개구부 14 : 막대 부재
14a : 나사공 15 : 나사 부재
16 : 가압판 16a : 홈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은, 내부가 분리 벽체에 의하여 유입관이 연결되는 유입실과 유출관이 연결되는 유출실로 구획되고, 상기 유출실의 중심으로부터 동심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상부 플랜지에 의하여 밀폐되는 통체와, 상기 상부 플랜지에 형성된 각각의 관통공을 에워싸도록 상기 상부 플랜지의 상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관형체들과, 용수중의 찌꺼기를 여과하기 위하여 상기 관형체를 통하여 상기 유출실로 연장하며, 하단 부분이 상기 유입실로 개방하는 다수의 여과 스크린들을 포함하는 용수 여과기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여과 스크린은 상부에 플랜지를 가지며, 상기 여과 스크린의 플랜지와 상기 관형체 사이에 밀봉을 위한 오-링이 제공되고, 상기 여과 스크린의 플랜지가 상기 관형체 내에 수용되었을 때 상기 여과 스크린을 하방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에 따른 용수 여과기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상기 가압 수단은 상기 관형체의 양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관형체를 가로지르며 중앙에 나사공이 형성된 막대 부재와, 상기 막대 부재의 나사공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 부재와, 상기 나사 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관형체에수용된 상기 여과 스크린의 플랜지의 상부에 위치되는 가압판을 구비한다.
상기에서, 상기 가압판은 바람직하게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면은 상기 여과 플랜지의 상부면과 밀착하도록 평면이며, 상부는 상기 나사 부재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하여 중앙 부분에 홈이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용수 여과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용수 여과기는 종래의 역세 세정 방식의 용수 여과기와 같이 통체(1)의 내부가 분리 벽체(2)에 의하여 유입관(3)이 연결되는 유입실(4)과 유출관(6)이 연결되는 유출실(5)로 구획된다. 통체(1)는 상부가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는 볼트(8)들에 의하여 고정되는 상부 플랜지(7)에 의하여 밀폐된다. 이러한 상부 플랜지(7)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역세 세정 방식의 용수 여과기와 유사하게 유출실(5)의 중심으로부터 동심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관통공(9)들이 형성된다.
상부 플랜지(7)에는 도 6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관형체(10)들이 설치되며, 이러한 관형체(10)들은 상부 플랜지(7)에 형성된 각각의 관통공(9)들을 에워싼다. 이러한 다수의 관형체(10)들에는 통체(1)로 유입된 용수중의 찌꺼기를 여과하기 위한 여과 스크린(11)들이 각각 설치된다. 여과 스크린(11)들은 관형체(10)를 통하여 유출실(5)로 연장하며, 하단 부분이 유입실(4)로 개방하도록 분리 벽체(2)에 의해 지지된다.
본 고안에 따른 용수 여과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용수 여과기와 같이 여과 스크린(11)들이 수동으로 세정될 수도 있으며,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속기 및 다수의 압력 게이지를 설치하여 자동으로 세정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용수 여과기와의 차이점을 부각하기 위하여 여과 스크린(11)의 설치 방식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용수 여과기에 있어서 여과 스크린의 설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4와 유사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여과 스크린(11)은 상부에 원판 형상의 플랜지(11a)를 가지며, 관형체(10)는 여과 스크린(11)의 플랜지(11a)가 걸리도록 하부 내측에 턱(10a)이 형성된다. 턱(10a)에는 오-링(12)이 안치되는 홈이 형성된다. 오-링(12)이 관형체(10)의 턱(10a)에 형성된 홈에 안치된 상태에서, 여과 스크린(11)이 관형체(10)에 삽입되어 위치된다.
여과 스크린(11)의 플랜지(11a)가 관형체(10)의 턱(10a) 위에 위치되었을 때, 여과 스크린(11)은 본 고안에 따른 가압 수단에 의하여 하방으로 가압되어, 여과 스크린(11) 내를 통과하는 용수가 통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여과 스크린(11)의 가압 수단은 막대 부재(14), 나사 부재(15), 및 가압판(16)을 구비한다. 막대 부재(14)는 도 6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중앙에 나사공(14a)이 형성되고 관형체(10)의 양측에 형성된 개구부(13a,13b)를 통하여 삽입되어 관형체(10)를 가로지르도록 관형체(10)의 개구부(13a,13b)에 위치된다. 나사 부재(15)는 상부로부터 막대 부재(14)에 형성된 나사공(14a)에 나사 결합되고, 가압판(16)은 나사 부재(15)의 하부에 위치되어, 관형체(10)에 수용된 여과 스크린(11)의 플랜지(11a)의 상부에 위치된다.
가압판(16)은 바람직하게 여과 스크린(11)의 플랜지(11a)의 상부를 균일하게 가압하도록 여과 스크린(11)의 상부 플랜지(11a)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가압판(16)의 하부면은 여과 스크린(11)의 플랜지(11a)의 상부면과 밀착하도록 평면 형상을 가지며, 상부 중앙 부분에는 나사 부재(15)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홈(16a)이 형성된다.
따라서, 나사 부재(15)가 회전됨으로써, 막대 부재(14)는 상방으로 이동하고, 막대 부재(14)가 나사 부재(15)의 나선 운동에 의하여 관형체(10)의 양측에 형성된 개구부(13a,13b)의 상부면에 닿게 되면, 가압판(16)은 막대 부재(14)의 나사공(14a)에 대한 나사 부재(15)의 체결력에 의하여 하방으로 이동하여, 여과 스크린(11)의 상부 플랜지(11a)를 균일하게 가압한다. 여과 스크린(11)의 상부 플랜지(11a)가 하방으로 가압됨으로써, 관형체(10)의 내부턱(10a)과 여과 스크린(11)의 플랜지(11a) 사이에 제공되는 오-링(12)이 가압되어, 관형체(11)와 여과 스크린(11) 사이의 밀봉성이 유지된다.
또한, 여과 스크린(11)의 설치 및 분리 작업이 빈번하여, 막대 부재(14)의 나사공(14a)이 파손된 경우에, 막대 부재(14)와 나사 부재(15) 만 교체함으로써, 상부 플랜지(7) 전체를 교체할 필요성이 제거되어,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된 방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용수 여과기에 의하면, 빈번한 여과 스크린의 설치 및 분리 작업에 의한 유지 보수비용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어서 보다 경제적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기술하고 도시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및 변경될 수 있다.

Claims (3)

  1. 내부가 분리 벽체에 의하여 유입관이 연결되는 유입실과 유출관이 연결되는 유출실로 구획되고, 상기 유출실의 중심으로부터 동심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상부 플랜지에 의하여 밀폐되는 통체와,
    상기 상부 플랜지에 형성된 각각의 관통공을 에워싸도록 상기 상부 플랜지의 상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관형체들과,
    용수중의 찌꺼기를 여과하기 위하여 상기 관형체를 통하여 상기 유출실로 연장하며, 하단 부분이 상기 유입실로 개방하는 다수의 여과 스크린들을 포함하는 용수 여과기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여과 스크린은 상부에 플랜지를 가지며, 상기 여과 스크린의 플랜지와 상기 관형체 사이에 밀봉을 위한 오-링이 제공되고, 상기 여과 스크린의 플랜지가 상기 관형체 내에 수용되었을 때 상기 여과 스크린을 하방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 여과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수단은 상기 관형체의 양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관형체를 가로지르며 중앙에 나사공이 형성된 막대 부재와, 상기 막대 부재의 나사공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 부재와, 상기 나사 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관형체에 수용된 상기 여과 스크린의 플랜지의 상부에 위치되는 가압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 여과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판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면은 상기 여과 플랜지의 상부면과 밀착하도록 평면이며, 상부는 상기 나사 부재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하여 중앙 부분에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 여과기.
KR2020010024155U 2001-08-09 2001-08-09 용수 여과기 KR2002544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155U KR200254482Y1 (ko) 2001-08-09 2001-08-09 용수 여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155U KR200254482Y1 (ko) 2001-08-09 2001-08-09 용수 여과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4482Y1 true KR200254482Y1 (ko) 2001-11-24

Family

ID=73068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4155U KR200254482Y1 (ko) 2001-08-09 2001-08-09 용수 여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448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9076B1 (ko) 여과수단
US6468421B2 (en) Bag filter wash-down system with vacuum break pulse
CN208049509U (zh) 吸吮式自清洗过滤器
KR200401728Y1 (ko) 용수여과기의 여과스크린 개폐장치
KR200254482Y1 (ko) 용수 여과기
KR101009654B1 (ko) 정수필터장치
KR100822344B1 (ko) 산업용 유체 여과장치
US5833852A (en) Supplementary filter apparatus for a water purifier
KR100507482B1 (ko) 절삭유 여과용 백 필터 장치
CN220047201U (zh) 一种水过滤设备
JP4376068B2 (ja) ストレーナーの逆洗システム
US2835389A (en) Diatomite filter unit
RU2116111C1 (ru) Фильтр для очистки жидкости
KR102632302B1 (ko) 간이 여과기
JPH0634718U (ja) サンドセパレータ付浄水装置
SU1194450A2 (ru) Напорный фильтр дл очистки воды
KR200304549Y1 (ko) 오폐수 여과장치
CN216321801U (zh) 一种用于浆态床装置的过滤器
CN109078377A (zh) 自动清洗过滤器
RU2085251C1 (ru) Фильтр-камера для жидкостей
CN216062217U (zh) 一种酱油生产用高温瞬时自动过滤机
KR100315504B1 (ko) 고속 여과지용 블록 스트레이너
CN218130219U (zh) 一种自动反洗过滤器
CN217092316U (zh) 一种硅藻土过滤器及电解铜箔生产用电解液过滤装置
CN210814153U (zh) 一种pta废水袋式过滤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