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4074Y1 - 파이프 라인 스트레이너의 이물질 확인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라인 스트레이너의 이물질 확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4074Y1
KR200194074Y1 KR2019980005990U KR19980005990U KR200194074Y1 KR 200194074 Y1 KR200194074 Y1 KR 200194074Y1 KR 2019980005990 U KR2019980005990 U KR 2019980005990U KR 19980005990 U KR19980005990 U KR 19980005990U KR 200194074 Y1 KR200194074 Y1 KR 2001940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strainer
site
pipeline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59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9652U (ko
Inventor
박철수
Original Assignee
박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 filed Critical 박경
Priority to KR20199800059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4074Y1/ko
Publication of KR199900396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96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40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40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4Preventing accumulation of dirt or other matter in the pipes, e.g. by traps, by str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이프 라인 스트레이너의 이물질 확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탈착가능한 필터(20)가 내장된 스트레이너(100)의 바디(10)에 적어도 필터(20)를 육안으로 투시할 수 있도록 투명한 유리 또는 합성수지재로 된 사이트 윈도우(50)가 결합되고, 커버 플레이트(30)가 사이트 윈도우(50)의 주변에 밀착됨과 동시에 바디(10)에 나사체결되며, 또한 바디(10)와 사이트 윈도우(50) 및 커버 플레이트(30)와 사이트 윈도우(50) 사이에 패킹(40,60)이 각기 결합되어 스트레이(100)를 밀폐시키도록 된 것인 바, 파이프 라인에서 발생한 부식 산화물, 칼슘 스케일, 마그네슘 스케일 및 기타 이물질 등의 여과상태와 그 포집량을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고, 이물질의 제거와 필터의 교환 또는 세척시기를 간편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적기의 정비작업을 유도하여 유체를 항시 청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이물질로 인한 파이프 라인의 부식과 유량감소를 해소할 수 있으며, 또한 유체의 유동 상태와 유량 및 유속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필터의 오염정도와 그에 따른 교체시기의 파악이 용이하고, 아울러 필터의 성능을 최상으로 유지토록 유도함으로써 펌프나 밸브 등 주변장치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파이프 라인 스트레이너의 이물질 확인장치
본 고안은 파이프 라인 스트레이너의 이물질 확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트레이너 바디에 사이트 홀을 형성하고, 이 사이트 홀에 투명한 재질로 된 사이트 윈도우를 설치하여 필터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하여, 파이프 라인에서 발생한 부식 산화물, 칼슘 스케일, 마그네슘 스케일 및 기타 이물질 등의 여과상태와 그 포집량을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고, 이물질의 제거와 필터의 교환 또는 세척시기를 간편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적기의 정비작업을 유도하여 유체를 항시 청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이물질로 인한 파이프 라인의 부식과 유량감소를 해소할 수 있고, 또한 유체의 유동상태와 유량 및 유속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필터의 오염정도와 그에 따른 교체시기의 파악이 용이하고, 아울러 필터의 성능을 최상으로 유지토록 유도함으로써 펌프나 밸브 등 주변장치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파이프 라인 스트레이너의 이물질 확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트레이너에는 유체의 유동경로중에 착탈가능한 필터가 내장되어 있어, 유입된 유체중의 스케일과 이물질 및 기타 불순물 등을 여과시켜 정화된 유체만을 배출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필터에는 금속성 파이프 라인의 부식상태나 공급유체의 오염도 또는 스트레이너의 사용기간에 따라 침전, 축적되는 이물질의 양이 점차 증가하게 되므로 일정기간 사용후 포집된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필터를 교체해야만 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스트레이너들은 필터를 분해하지 아니하고는 이러한 침전 이물질의 축적량이나 필터의 오염상태를 확인할 수가 없으며, 통상 파이프 라인의 정비 또는 점검주기를 설정하여 필터의 세척/교환 및 스트레이너의 이물질 제거를 행하거나 또는 공급유체의 출구로부터 유체가 정상적으로 배출되지 아니할 경우 필터의 교환시기가 도래한 것으로 판단하여 정비를 행하였다.
이로 인하여 필터의 세척/교환시기가 지연되거나 스트레이너에 과도하게 축적된 스케일과 이물질에 의해 유체의 오염을 초래하게 되며, 심한 경우 금속성 파이프 라인의 부식촉진과 펌프, 밸브 등 주변장치의 고장을 초래하는 것은 물론, 이들 장치를 전체적으로 교체하게 되는 문제점이 빈번히 발생하였다.
이처럼 필터의 세척/교환시기 및 이물질 제거의 지연은 불필요한 작업을 요구할 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부담을 수반하는 단점이 있는 바 시급한 해결대책이 요구된다 하겠다.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파이프 라인에서 발생한 부식 산화물, 칼슘 스케일, 마그네슘 스케일 및 기타 이물질 등의 여과상태와 그 포집량을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는 파이프 라인 스트레이너의 이물질 확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이물질의 제거와 필터의 교환 또는 세척시기를 간편하게 인식할 수 있고, 적기의 정비작업을 유도하여 유체를 항시 청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이물질로 인한 파이프 라인의 부식과 유량감소를 해소할 수 있는 파이프 라인 스트레이너의 이물질 확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유체의 유동상태와 유량 및 유속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고, 특히 필터의 오염정도와 그에 따른 교체시기의 파악이 용이하며, 필터의 성능을 최상으로 유지토록 유도함으로써 펌프나 밸브 등 주변장치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파이프 라인 스트레이너의 이물질 확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터가 장착된 스트레이너에 있어 그 필터를 직접적으로 투시할 수 있도록 바디의 상,하부 또는 측면부에 사이트 홀을 형성하고, 이 사이트 홀에 유리나 합성수지의 투명한 재질로 된 사이트 윈도우를 설치한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로서, 스트레이너의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필터의 측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로서, 스트레이너의 종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B-B선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로서, 스트레이너의 종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요부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00,400 : 바디(Body) 11,201,404 : 인렛 파이프(Inlet Pipe)
11a,12a,15,15a,201a,202a,204,205,404a,405a,411 : 플랜지(Flange)
12,202,405 : 아웃렛 파이프(Outlet Pipe)
13,13a,14,14a,203,203a : 가이드 리브(Guide rib)
20,210,410 : 필터(Filter) 21,22 : 완충 패드(Yielding Pad)
30,300,490 : 커버 플레이트(Cover Plate)
30a,300a,406,491 : 사이트 홀(Sight Hole)
40,60,270,290,440,500 : 패킹(Packing)
50,280,480 : 사이트 윈도우(Sight Window)
70,310,460 : 보울트(Bolt) 80,320 : 너트(Nut)
100,330,510 : 스트레이너(Strainer) 210a : 걸림돌기0(Stopping Lug)
220 : 프리 필터(Pre-Filter)
230 : 로워 서포트 블록(Lower Support Block)
240 : 어퍼 서포트 블록(Upper Support Block)
250,430(Hinge) : 힌지 260 : 스프링(Spring)
401 : 격벽(Bulkhead) 401a : 통공(Hole)
402 : 어퍼 챔버(Upper Chamber) 403 : 로워 챔버(Lower Chamber)
420 : 프레임(Frame) 450 : 캡(Cap)
470 : 벤트 플러그(Vent Plug)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로서, 원통체로 된 바디(10)의 중간 양측에 연통하여 유체를 통과시키는 인렛 파이프(11) 및 아웃렛 파이프(12)가 직각방향으로 형성되고, 인렛 파이프(11) 및 아웃렛 파이프(12)의 선단에 플랜지(l1a,12a)가 직각방향으로 형성되어 파이프 라인에 연결되며, 바디(10)의 내부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사각체의 필터(20)가 설치된다.
필터(20)는 포집된 스케일, 이물질 및 기타 불순물 등을 제거할 수 있도록 착탈가능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이를 위하여 바디(10)의 내주면에 복수의 가이드 리브(13,13a)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이들 가이드 리브(13,13a) 사이를 통해 필터(20)의 측단이 미끄럼 결합될 수 있고, 또한 가이드 리브(13,13a)의 대향측에는 다른 가이드 리브(14,14a)가 형성되어 필터(20)의 양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바디(10)의 상,하단에는 커버 플레이트(30)가 각각 플랜지 이음으로 설치되어 스트레이너(100)를 형성하는 바, 여기서 이들 커버는 각기 스트레이너(100)를 밀폐하는 구조와, 필터(20)에 포집된 이물질을 확인할 수 있는 구조를 동시에 제공한다.
즉, 바디(10)의 상,하단에는 직각방향으로 플랜지(15,15a)가 일체로 형성되고, 플랜지(15,15a)의 외측에 패킹(40), 투명한 유리 또는 합성수지재로 된 사이트 윈도우(50) 및 패킹(60)이 각기 순차적으로 결합되며, 이들 사이트 윈도우(50)의 고정을 위하여 플랜지(15,15a)에 상기의 커버 플레이트(30)가 각각 설치된다.
커버 플레이트(30)는 플랜지(15,15a)에 각기 보울트(70) 및 너트(80)로써 체결, 고정되는 바, 설치 완료시 커버 플레이트(30), 패킹(40,60), 사이트 윈도우(50) 및 플랜지(15)가 상호 밀착되어 스트레이너(100)를 밀폐되도록 하고, 유체의 유동시 필터(20)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필터(20)의 상,하단에 완충 패드(21,22)가 각각 부착되어 사이트 윈도우(50)에 밀착되도록 한다.
한편, 커버 플레이트(30)의 중앙부는 절취되어 사이트 홀(30a)을 형성하며, 이들 사이트 홀(30a)의 내경은 적어도 바디(10)의 내경보다 작아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 스트레이너의 이물질 확인장치는, 스트레이너(100)가 파이프 라인(도시하지 않음)에 설치된 상태에서 인렛 파이프(11)로부터 바디(10)를 경과하여 아웃렛 파이프(12)로 유체가 통과하게 되며, 인렛 파이프(11)에 유입되는 유체는 확장된 바디(10)내에서 필터(20)를 통과함과 동시에 스케일과 기타 이물질이 분리되어 침전이 이루어진다.
아울러 이물질이 분리됨에 따라 청정한 상태로 여과된 유체만이 아웃렛 파이프(12)를 통해 배출되며, 파이프 라인의 부식상태나 공급유체의 오염도 또는 스트레이너의 사용기간에 따라 바디(10)내에 침전되는 이물질의 양은 점차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침전 이물질의 축적량이나 필터(20)의 오염상태는 사이트 홀(30a)과 사이트 윈도우(50)를 통해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으며, 점검작업자로 하여금 이물질의 제거 또는 필터(20)의 교환시기를 예측케 함은 물론, 적정시기에 보수를 행하도록 유도함으로써 파이프 라인을 항시 청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보다 간편하고 용이하게 필터(20)를 관찰하거나 또는 정비할 수 있도록 스트레이너(100)는 적정상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이트 윈도우(50)의 위치에 따라 점검자나 정비작업자의 작업동선이 변화되므로 보다 용이한 관측과 육안관찰에 의한 잘못된 예측을 예방하기 위하여, 또한 스트레이너(100)를 편리하게 정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스트레이너(100)의 설치환경 또는 설치장소에 따라 그 설치위치와 방향을 적절하게 세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이트 윈도우(50)가 작업자의 관측방향으로부터 은폐되어 있다면 이물질의 침전 두께나 필터(20)의 오염상태를 용이하게 확인, 판단할 수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스트레이너(100)의 사이트 윈도우(50)는 이물질의 포집량에 대한 확인뿐만 아니라 유량, 유체의 유동상태, 유체의 오염정도 및 유속 등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어 파이프 라인의 교체시기 판단은 물론, 유체의 청정도 유지에도 적극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이물질의 축적량이나 필터(20)의 오염상태가 기준치를 벗어나 교환, 정비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양측 커버 플레이트(30) 또는 어느 하나의 엔드 커버를 보울트(70) 및 너트(80)의 분해에 의해 해체함으로써 필터(20)를 간편하게 인출할 수 있으며, 여기서 단순히 바디(10) 내부의 이물질만을 제거하기 위한 경우에는 주로 하부에 위치한 하나의 커버 플레이트(30)(제1도의 경우와 같이 설치된 경우에는 하측의 엔드 커버)만을 분리하고, 전체적인 바디(10)의 세척시는 상,하측의 커버 플레이트(30)를 전체적으로 분리한다.
이들 커버가 분리되면 패킹(60), 사이트 윈도우(50) 및 패킹(60)을 분리하고, 바디(10)의 가이드 리브(13,13a), (14,14a)로부터 필터(20)를 수직방향으로 당겨 외부로 인출시키며, 인출된 필터(20)와 함께 바디(10)의 내부를 세척하면서 이물질을 제거한다.
또한 이물질 제거후에는 필터(20)를 바디(10)의 양측 가이드 리브(13,13a)(14, 14a)를 통해 삽입하고, 패킹(40), 사이트 윈도우(50), 패킹(60), 커버 플레이트(30)를 순차적으로 조립하며, 플랜지(15)와 커버 플레이트(30)를 통해 보울트(70)를 삽입한 다음 이 보울트(70)에 너트(80)를 체결하여 조립을 완료한다.
필터(20)는 상기와 같이 세척후 재사용하거나 또는 파손, 변형발생 및 수명완료 등의 경우 필요에 따라 새로운 제품으로 교환할 수 있다.
제4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로서, 원통체로 된 바디(200)의 중간 양측에 연통하여 유체를 통과시키는 인렛 파이프(201) 및 아웃렛 파이프(202)가 직각방향으로 형성되고, 인렛 파이프(201) 및 아웃렛 파이프(202)의 선단에 플랜지(201a,202a)가 직각방향으로 형성되어 파이프 라인에 연결되며, 바디(200)의 내부 중간에 그와 직각방향이 되도록 입구단이 개방되고 출구단이 폐쇄된 원통체의 필터(210)가 설치된다.
필터(210)는 포집된 스케일, 이물질 및 기타 불순물 등을 제거할 수 있도록 착탈가능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이를 위하여 필터(210)의 개방단 외측에 걸림돌기(210a)가 형성되고, 바디(200)의 일측 내주면에 상호 대응하는 복수의 가이드 리브(203,203a)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이들 가이드 리브(203,203a)와 바디(200)의 내주면 사이를 통해 필터(210)의 걸림돌기(210a)가 수직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미끄럼 결합되며, 또한 걸림돌기(210a)와 바디(200)의 내주면 사이에는 적어도 필터(210)보다 큰 메쉬로 된 구면상의 프리 필터(220)가 결합된다.
필터(210)를 수직방향으로 지지하는 수단을 제공하기 위하여, 바디(200)의 중심 하측에 필터(210)의 하반부를 감싸는 로워 서포트 블록(230)이 결합되고, 필터(210)의 상반부를 감싸도록 어퍼 서포트 블록(240)이 구비되고, 어퍼 서포트 블록(240)의 상부 중간에 힌지(250)가 연결되며, 로워 서포트 블록(230) 및 어퍼 서포트 블록(240)은 상호 면접하여 보울트에 의해 체결된다.
또한 필터(210)를 수평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바디(200)의 타측 내주면과 필터(210)의 출구단 사이에는 스프링(260)이 탄력적으로 설치된다.
아울러 스트레이너의 밀폐구조를 제공하기 위하여, 바디(200)의 외측 상,하단에 그와 직각하는 방향으로 플랜지(204,205)가 형성되고, 이들 플랜지(204,205)의 외측에 패킹(270), 투명한 유리 또는 합성수지재로 된 사이트 윈도우(280) 및 패킹(290)이 순차적으로 결합되며, 스트레이너를 밀폐하도록 플랜지(204,205)의 외측에 커버 플레이트(300)가 각각 결합되면서 플랜지(204,205)와 커버 플레이트(300)를 통해 보울트(310) 및 너트(320)가 체결된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300)의 설치 완료시는 그 커버 플레이트(300)와 패킹(290), 사이트 윈도우(280), 패킹(270) 및 플랜지(204,205)가 상호 밀착되어 스트레이너(330)를 밀폐시키도록 구성되고, 커버 플레이트(300)의 중앙부는 절취되어 사이트 홀(300a)을 형성하며, 이들 사이트 홀(300a)의 내경은 적어도 바디(200)의 내경보다 작아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스트레이너(330)가 파이프 라인(도시하지 않음)에 설치된 상태에서 인렛 파이프(201)로부터 바디(200)를 경과하여 아웃렛 파이프(202)로 유체가 통과하게 되며, 인렛 파이프(201)에 유입되는 유체는 확장된 프리 필터(220)와 바디(200)내의 필터(210)를 통과함과 동시에 스케일과 기타 이물질이 분리되어 침전이 이루어진다.
아울러 이물질이 분리됨에 따라 청정한 상태로 여과된 유체만이 아웃렛 파이프(202)를 통해 배출되며, 파이프 라인의 부식상태나 공급유체의 오염도 또는 스트레이너의 사용기간에 따라 필터(210)내에 침전되는 이물질의 양은 점차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침전 이물질의 축적량이나 필터(217)의 오염상태는 사이트 홀(300a)과 사이트 윈도우(280)를 통해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으며, 점검작업자로 하여금 이물질의 제거 또는 필터(210)의 교환시기를 예측케 함은 물론, 적정시기에 보수를 행하도록 유도함으로써 파이프 라인을 항시 청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스트레이너(330)의 사이트 윈도우(280)는 이물질의 포집량에 대한 확인뿐만 아니라 유량, 유체의 유동상태, 유체의 오염정도 및 유속 등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어 파이프 라인의 교체시기 판단은 물론, 유체의 청정도 유지에도 적극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이물질의 축적량이나 필터(210)의 오염상태가 기준치를 벗어나 교환, 정비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상측의 커버 플레이트(300)를 보울트(310) 및 너트(320)의 분해에 의해 해체함으로써 필터(210)를 간편하게 인출할 수 있다.
즉, 필터(210)의 분리는, 보울트(310) 및 너트(320)를 분해하여 상측 커버 플레이트(300)를 분리하고, 패킹(290), 사이트 윈도우(280) 및 패킹(270)을 상방으로 인출한 상태에서 필터(210)의 결림돌기(210a)가 바디(200)와 그 가이드 리브(203,203a)로부터 빠져 나오도록 분리하며, 분리된 필터(210)와 바디(200)의 내부를 세척하면서 이물질을 제거한다.
또한 이물질 제거후에는 필터(210)를 바디(200)의 내주면과 그 양측 가이드 리브(203,2,0a) 사이를 통해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삽입하고 플랜지(204,205)에 패킹(270), 사이트 윈도우(280), 패킹(290) 및 커버 플레이트(300)를 순차적으로 조립하며, 플랜지(204,205)와 커버 플레이트(300)를 통해 보울트(310)를 삽입한 다음 이 보울트(310)에 너트(320)를 체결하여 조립을 완료한다.
필터(210)는 세척후 재사용하거나 또는 파손, 변형발생 및 수명완료 등의 경우 필요에 따라 새로운 제품으로 교환할 수 있다.
제6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로서, 사이트 윈도우를 바디의 측면에 부착한 것이다.
여기서는 수직방향으로 통체를 형성하는 바디(400)와, 이 바디(400)의 중간부에 격벽(401)이 직각으로 형성되면서 그 상,하측에 어퍼 챔버(402) 및 로워 챔버(403)가 형성되고, 격벽(401)을 기준으로 그 양측에 바디(400)와 연통하여 유체를 통과시키는 인렛 파이프(404) 및 아웃렛 파이프(405)가 형성되며, 이들 인렛 파이프(404) 및 아웃렛 파이프(405)의 선단에 파이프 라인에 연결되는 플랜지(404a)(405a)로 스트레이너(510)가 형성된다.
상기 격벽(401)의 중심에 어퍼 챔버(402)와 로워 챔버(403)를 연결하는 통공(401a)이 형성되어 인렛 파이프(404), 어퍼 챔버(402), 통공(401a), 로워 챔버(403) 및 아웃렛 파이프(405)가 순차적으로 유체에 의해 연결되고 퉁공(401a)으로부터 로워 챔버(403)를 통해 통체로 된 필터(410)가 끼워지면서 그 상단의 플랜지(411)가 격벽(401)의 상부에 안착되며, 플랜지(411)를 가압하여 필터(410)를 고정시키도록 상방에 프레임(420)이 안착되고, 프레임(420)의 상부 중심에 어퍼 챔버(402)의 중심에 위치하는 힌지(430)가 나사체결된다.
바디(400)의 상단에는 패킹(440)을 사이에 두고 캡(450)이 결합되고, 이 캡(450)과 바디(400)를 통해 보울트(460)가 체결되어 어퍼 챔버(402)를 밀폐시킴과 동시에 캡(450)의 저면이 힌지(430)에 밀착되며, 또한 캡(450)의 일측에는 벤트 플러그(470)가 결합된다.
아울러 바디(400)의 하부 일측에는 필터(410)를 관찰할 수 있는 사이트 홀(406)이 형성되고, 이 사이트 홀(406)에 결합되도록 투명한 유리 또는 합성수지재로 된 사이트 윈도우(480)가 구비되며, 사이트 윈도우(48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그에 결합된 커버 플레이트(490)가 구비된다.
커버 플레이트(497)는 상기 사이트 홀(406)과 일치하는 사이트 홀(491)을 갖고, 그 둘레부가 다수의 보울트에 의해 패킹(500)을 사이에 두고 바디(400)에 체결되며, 사각의 평판체로 된 사이트 윈도우(480)는 이외에 원통상이나 곡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더욱이 사이트 윈도우(480)를 사각의 평판체로 형성할 경우 그 부착위치는 필터(410)를 통과한 출구측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스트레이너(510)가 파이프 라인에 설치된 상태에서 인렛 파이프(404)로부터 어퍼 챔버(402), 통공(401a), 로워 챔버(403) 및 아웃렛 파이프(405)를 통해 유체가 통과되며, 유체가 통체로 된 필터(410)를 통과함과 동시에 분리된 스케일과 이물질 등이 필터(410)의 내부에 침전된다.
이물질이 분리됨에 따라 청정한 상태로 여과된 유체만이 아웃렛 파이프(405)를 통해 배출되며, 파이프 라인의 부식상태나 공급유체의 오염도 또는 스트레이너의 사용기간에 따라 바디(400)내에 침전되는 이물질의 양은 점차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침전 이물질의 측적량이나 필터(410)의 오염상태는 사이트 홀(406,491)과 사이트 윈도우(480)를 통해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으며, 점검작업자로 하여금 이물질의 제거 또는 필터(410)의 교환시기를 예측케함은 물론, 적정시기에 보수를 행하도록 유도함으로써 파이프 라인을 항시 청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보다 간편하고 용이하게 필터(410)를 관찰하거나 또는 정비할 수 있도록 스트레이너(510)는 적정상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이트 윈도우(480)의 위치에 따라 점검자나 정비작업자의 작업동선이 변화되므로 보다 용이한 관측과 육안 관찰에 의한 잘못된 예측을 예방하기 위하여, 또한 스트레이너(510)를 편리하게 정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스트레이너(510)의 설치환경 또는 설치장소에 따라 그 설치위치와 방향을 적절하게 세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트레이너(510)의 사이트 윈도우(480)는 이물질의 포집량에 대한 확인뿐만 아니라 유량, 유체의 유동상태, 유체의 오염정도 및 유속 등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어 파이프 라인의 교체시기 판단은 물론, 유체의 청정도 유지에도 적극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이물질의 축적량이나 필터(410)의 오염상태가 기준치를 벗어나 교환, 정비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캡(450)을 보울트(460)를 분해하여 분리하고, 힌지(430), 프레임(420) 및 필터(410)를 상방으로 인출하여 필터(410)와 함께 바디(400)의 내부를 세척하면서 이물질을 제거한다.
사이트 윈도우(480)를 분리할 경우에는 보다 간편하고 용이하게 바디(400)를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이물질 제거후에는 필터(410), 프레임(420) 및 힌지(430)를 어퍼 챔버(402)와 통공(401a)을 통해 삽입하고, 캡(450)을 바디(400)의 상부에 결합한 다음 보울트(460)를 캡(450)과 바디(400)를 통해 체결하여 조립을 완료한다.
필터(410)는 세척후 재사용하거나 또는 파손, 변형발생 및 수명완료 등의 경우 필요에 따라 새로운 제품으로 교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 파이프 라인 스트레이너의 이물질 확인장치는, 스트레이너의 바디에 필터를 관찰할 수 있는 사이트 윈도우를 착탈가능케 설치하여 파이프 라인에서 발생한 부식 산화물, 칼슘 스케일, 마그네슘 스케일 및 기타 이물질 등의 여과상태와 그 포집량을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물질의 제거와 필터의 교환 또는 세척시기를 간편하게 인식할 수 있고, 적기의 정비작업으로 유체를 항시 청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이물질로 인한 파이프 라인의 부식과 유량감소를 해소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이트 윈도우를 통하여 유체의 유동상태와 유량 및 유속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고, 특히 필터의 오염정도와 그에 따른 교체시기의 파악이 용이하며, 필터의 성능을 최상으로 유지토록 유도함으로써 펌프나 밸브 등 주변장치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6)

  1. 필터가 탈착가능케 내장된 스트레이너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이너의 바디에 적어도 직선상으로 필터를 투시할 수 있는 사이트 윈도우가 탈착가능케 결합되고, 바디에 커버 플레이트가 나사체결되어 사이트 윈도우를 구속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라인 스트레이너의 이물질 확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트 윈도우는 투명한 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라인 스트레이너의 이물질 확인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트 윈도우는 투명한 합성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라인 스트레이너의 이물질 확인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와 사이트 윈도우 및 커버 플레이트와 사이트 윈도우 사이에 패킹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라인 스트레이너의 이물질 확인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와 바디에 사이트 홀이 형성되어 사이트 윈도우의 크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라인 스트레이너의 이물질 확인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 및 바디의 사이트 홀의 단면적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라인 스트레이너의 이물질 확인장치.
KR2019980005990U 1998-04-16 1998-04-16 파이프 라인 스트레이너의 이물질 확인장치 KR2001940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5990U KR200194074Y1 (ko) 1998-04-16 1998-04-16 파이프 라인 스트레이너의 이물질 확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5990U KR200194074Y1 (ko) 1998-04-16 1998-04-16 파이프 라인 스트레이너의 이물질 확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652U KR19990039652U (ko) 1999-11-15
KR200194074Y1 true KR200194074Y1 (ko) 2000-10-02

Family

ID=19533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5990U KR200194074Y1 (ko) 1998-04-16 1998-04-16 파이프 라인 스트레이너의 이물질 확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407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097B1 (ko) 2009-06-19 2012-03-23 주식회사 성락종합배관 청소용 배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0229B1 (ko) * 2017-05-19 2019-07-15 장용 배관용 스트레이너
KR101992683B1 (ko) * 2018-07-30 2019-09-30 (주)이지스 이물질 배출 기능과 점검 기능을 지닌 배관 부식 억제 및 녹 제거 장치
CN109045822A (zh) * 2018-09-07 2018-12-21 西尼(南京)阀门机械有限公司 一种高效y型过滤器
CN109045821A (zh) * 2018-09-07 2018-12-21 西尼(南京)阀门机械有限公司 一种高效篮式过滤器
CN109045824A (zh) * 2018-09-07 2018-12-21 西尼(南京)阀门机械有限公司 高效篮式过滤器
CN109045823A (zh) * 2018-09-07 2018-12-21 西尼(南京)阀门机械有限公司 高效y型过滤器
CN109045825A (zh) * 2018-09-12 2018-12-21 西尼(南京)阀门机械有限公司 一种篮式过滤器
CN109045827A (zh) * 2018-09-12 2018-12-21 西尼(南京)阀门机械有限公司 篮式过滤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097B1 (ko) 2009-06-19 2012-03-23 주식회사 성락종합배관 청소용 배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652U (ko) 1999-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0229B1 (ko) 배관용 스트레이너
US20130001152A1 (en) Filter device
KR200194074Y1 (ko) 파이프 라인 스트레이너의 이물질 확인장치
US20180050285A1 (en) Filter apparatus
US9440170B2 (en) Liquid filter apparatus
CN111346420A (zh) 管道过滤器
KR101190220B1 (ko) 오일필터모듈
KR100868810B1 (ko) 인라인형 스트레이너
KR200194073Y1 (ko) 파이프 라인 스트레이너의 이물질 확인장치
RU2638386C1 (ru) Фильтр
CN202666521U (zh) 一种具有自清洗功能的过滤装置
US2467143A (en) Pipe-line strainer
EP3804834B1 (en) Mist eliminator draining and sealing device
CN209714428U (zh) 一种净水仪表集成水路板
KR200337362Y1 (ko) 스트레이너
CN108130149B (zh) 天然气分离滤芯
KR200364124Y1 (ko) 투명 커버를 갖는 여과기
KR200304549Y1 (ko) 오폐수 여과장치
US11692661B2 (en) Strainer
CN210159277U (zh) 一种滤水装置及滤芯固定装置
KR0118303Y1 (ko) 수도 직결형 정수기용 여과기
KR200365517Y1 (ko) 유체배관용 티이형 스트레이너
US4273651A (en) Return line filter
KR200232263Y1 (ko) 버킷타입 스트레이너
CN208859100U (zh) 超高强度耐腐蚀海水淡化用双相不锈钢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