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3551B1 - 가변 용량형 압축기에 있어서의 용량 제어 기구 - Google Patents

가변 용량형 압축기에 있어서의 용량 제어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3551B1
KR101173551B1 KR1020110017192A KR20110017192A KR101173551B1 KR 101173551 B1 KR101173551 B1 KR 101173551B1 KR 1020110017192 A KR1020110017192 A KR 1020110017192A KR 20110017192 A KR20110017192 A KR 20110017192A KR 101173551 B1 KR101173551 B1 KR 101173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chamber
control
discharge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7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2170A (ko
Inventor
모토아키 오쿠다
마사키 오타
마사카즈 무라세
? 스미카와
히로미 우에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110102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2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3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3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09Distribution members
    • F04B27/1018Cylindrical distribution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81Casings,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04B2027/1809Controlled pressure
    • F04B2027/1813Crankcas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04B2027/1822Valve-controlled fluid connection
    • F04B2027/1827Valve-controlled fluid connection between crankcase and discharge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04B2027/1822Valve-controlled fluid connection
    • F04B2027/1831Valve-controlled fluid connection between crankcase and suction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04B2027/184Valve controlling parameter
    • F04B2027/1854External para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04B2027/1863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with an auxiliary valve, controlled b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해결 수단) 밸브 수용실(53)의 대경실(532)에는 밸브 시트 형성링(54)이 수용되어 있다. 밸브 시트 형성링(54)의 단면(端面)은, 소경실(531)과 대경실(532)과의 단차(533)에 접합 가능하다. 밸브 수용실(53)에는 밸브체(55)가 밸브 시트 형성링(54)의 링 내를 관통하도록 수용되어 있다. 밸브체(55)는, 밸브 시트 형성링(54)의 링 내를 관통하여 소경실(531)로 연출되는 제1 밸브부(56)와, 대경실(532) 내에서 제1 밸브부(56)에 끼워 맞춰 고정된 제2 밸브부(57)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밸브부(56)는, 밸브 구멍(61)이 개구하는 저면(底面; 591)에 접촉 분리하고, 제2 밸브부(57)는, 밸브 시트 형성링(54)에 접촉 분리한다. 제2 밸브부(57)의 외주면과 대경실(532)의 내주면(534)과의 사이에는 제2 밸브부(57)를 일주(一周)하는 환상 간극(58)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가변 용량형 압축기에 있어서의 용량 제어 기구{MECHANISM FOR CONTROLLING DISPLACEMENT OF VARIABLE DISPLACEMENT TYPE COMPRESSOR}
본 발명은, 토출압 영역의 냉매를 제어압실로 공급함과 함께, 상기 제어압실의 냉매를 흡입압 영역으로 배출하여 상기 제어압실 내의 압력 조절을 행하여, 상기 제어압실 내의 압력 조절에 의해 토출 용량을 제어하는 가변 용량형 압축기에 있어서의 용량 제어 기구에 관한 것이다.
경사각이 변하게 사판(swash plate)을 수용하는 제어압실을 구비한 가변 용량형 압축기에 있어서는, 제어압실의 압력이 높아지면 사판의 경사각이 작아지고, 제어압실의 압력이 낮아지면 사판의 경사각이 커진다. 사판의 경사각이 작아지면, 피스톤의 스트로크(stroke)가 작아져 토출 용량이 작아지고, 사판의 경사각이 커지면, 피스톤의 스트로크가 커져 토출 용량이 커진다.
제어압실로 공급되는 냉매는, 압축된 냉매이기 때문에, 제어압실로부터 흡입압 영역으로 배출되는 냉매의 배출 유량이 많아질수록, 가변 용량형 압축기에 있어서의 운전 효율이 나빠진다. 그 때문에, 가변 용량형 압축기에 있어서의 운전 효율의 관점에서 보면, 제어압실로부터 흡입압 영역으로 냉매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통로의 통로 단면적은, 가능한 한 작은 편이 좋다.
가변 용량형 압축기를 장시간에 걸쳐 정지해 두면, 냉매가 액상화되어 제어압실에 고인다. 제어압실에 액상의 냉매가 고인 상태에서 가변 용량형 압축기를 기동했다고 하면, 배출 통로의 통로 단면적을 고정한 상태에서 작게 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어압실 내의 액냉매가 흡입압 영역으로 신속하게 배출되지 않아, 제어압실 내의 액냉매의 기화에 의해 제어압실의 압력이 과대해져 버린다. 그 때문에, 가변 용량형 압축기의 기동 후에 있어서 토출 용량이 커질 때까지 시간이 너무 걸리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가변 용량형 압축기의 용량 제어 기구가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용량 제어 기구는, 토출압 영역으로부터 크랭크실(제어압실)로 냉매를 공급하는 공급 통로의 통로 단면적을 변경하기 위한 제1 제어 밸브와, 제어압실로부터 흡입압 영역으로 냉매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통로의 통로 단면적을 변경하기 위한 제2 제어 밸브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제어 밸브는, 전자력(電磁力)을 변경하여 밸브 개도(opening degree)를 변경 가능한 전자식 제어 밸브이다. 제1 제어 밸브에 대한 통전을 행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제1 제어 밸브에 있어서의 밸브 개도가 최대가 되고, 사판의 경사각이 최소가 된다. 이 상태는, 토출 용량이 최소 용량으로 고정된 최소 용량 운전 상태이다. 제1 제어 밸브에 대하여 통전이 행해지는 상태에서는, 제1 제어 밸브에 있어서의 밸브 개도가 최대보다도 작아지고, 사판의 경사각이 최소 이상이 된다. 이 상태는, 토출 용량이 최소 용량으로 고정되지 않는 중간 용량 운전 상태이다.
제2 제어 밸브의 스풀(배출 통로의 통로 단면적을 변경하기 위한 밸브체)은, 스풀 수용실을 원통 내 공간과 배압실(背壓室)로 구획(partition)하고 있다. 배압실은, 제1 제어 밸브보다 하류의 압력 영역으로 연통(communication)되어 있고, 원통 내 공간은, 추기(抽氣) 통로(배출 통로)를 통하여 제어압실로 연통되어 있다. 스풀(spool)은, 스풀 탄성지지 스프링에 의해 배압실측으로 탄성지지되어 있다. 스풀에는 연통홈이 형성되어 있다. 연통홈은, 배출 통로에 있어서의 미소한 최소 통로 단면적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가변 용량형 압축기가 기동되면, 제1 제어 밸브가 닫히고, 스풀이 배출 통로의 통로 단면적을 크게 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제어압실 내의 액냉매가 신속하게 흡입압 영역으로 배출되어, 가변 용량형 압축기의 기동 후에 있어서 토출 용량이 커질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 단축된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02-21721호
제1 제어 밸브가 통전에 의해 열림 상태에 있을 때에는 제2 제어 밸브가 닫힘 상태(스풀이 밸브 시트에 착좌되어 있는 상태)가 되어, 제어압실로부터 흡입압 영역으로의 냉매의 배출은, 연통홈만을 경유하여 행해진다. 이때에는 최소 용량 이상의 용량의 제어(중간 용량 제어)가 행해지고 있다.
연통홈의 통로 단면적을 작게 하면, 제2 제어 밸브가 닫힘 상태가 되어 있을 때의 원통 내 공간의 압력은, 제어압실 내의 압력(제어압)이 된다. 제1 제어 밸브의 개도가 좁혀져 있는 경우는, 배압실의 압력은, 원통 내 공간의 압력보다도 근소하게 클 뿐이다.
그 상태에 있어서, 제2 제어 밸브를 닫힘 상태(배압실의 압력과 원통 내 공간의 압력과의 차압에 의해 스풀을 밸브 시트에 착좌시킴)로 하기 위해서는, 스풀 탄성지지 스프링의 스프링력은, 작게 할 필요가 있다.
제1 제어 밸브가 닫힘 상태로부터 열림 상태로 이행했을 때에는, 밸브 시트에 착좌되어 있는 스풀이 밸브 시트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그러나, 스풀 수용실을 원통 내 공간과 배압실로 구획하기 위해, 스풀의 주면과 스풀 수용실의 주면과의 사이의 클리어런스는 작게 설정되어 있다. 스풀의 주면과 스풀 수용실의 주면과의 사이에 이물이 들어갔다고 하면, 스풀이 이물에 의해 움직임을 저해받을 우려가 있다. 스풀 탄성지지 스프링의 스프링력이 너무 작거나, 혹은 스풀 탄성지지 스프링이 없는 경우에는, 스풀이 원활하게(신속하게) 이동할 수 없다. 즉, 제2 제어 밸브의 응답성이 이물에 의해 저해되어, 기동시의 제어압실 내의 액냉매를 신속하게 배출할 수 없다.
본 발명은, 가변 용량형 압축기에 이용하는 제2 제어 밸브의 응답 성능의 저하를 회피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공급 통로를 통하여 토출압 영역의 냉매가 제어압실로 공급됨과 함께, 배출 통로를 통하여 상기 제어압실의 냉매가 흡입압 영역으로 배출되어 상기 제어압실 내의 압력 조절이 행해져, 상기 제어압실 내의 압력 조절에 의해 토출 용량이 제어되고, 상기 공급 통로의 통로 단면적을 조정하는 제1 제어 밸브가 형성되어 있는 가변 용량형 압축기에 있어서의 용량 제어 기구를 대상으로 하여, 제1항의 발명에서는, 상기 배출 통로의 일부로서, 상기 제어압실로 개구함과 함께 밸브 수용실에 접속하는 밸브 구멍과, 상기 밸브 구멍의 통로 단면적을 조정하는 제1 밸브부와, 상기 배출 통로의 일부가 되는 배출실과 상기 공급 통로로 연통하는 배압실로 상기 밸브 수용실 내를 구획하고, 그리고 상기 배출실과 상기 배압실과의 사이를 연통하는 유통로(流通路)를 상기 밸브 수용실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남기는 제2 밸브부와, 상기 제2 밸브부의 상기 배출실측의 단면(端面)에 접촉 분리하는 밸브 시트 형성부를 갖는 제2 제어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 시트 형성부는, 상기 밸브 수용실을 형성하는 케이싱과는 별체(別體)이다.
배출실 내의 압력에 대한 제2 밸브부의 유효 수압(受壓) 면적과, 밸브 구멍 내의 압력에 대한 제1 밸브부에 있어서의 유효 수압 면적과의 비(比)는, 제2 제어 밸브의 응답 성능에 영향을 준다. 밸브 시트 형성부를 별체로 한 구성은, 배출실 내의 압력에 대한 제2 밸브부의 유효 수압 면적과, 밸브 구멍의 압력에 대한 제1 밸브부에 있어서의 유효 수압 면적과의 적절한 비의 설정에 유효하다.
제1 제어 밸브가 밸브 열림 상태로부터 밸브 닫힘 상태로 이행하면, 제2 제어 밸브가 밸브 닫힘 상태로부터 열림 상태로 이행 개시된다. 이때, 배압실의 잔류 압력이 유통로를 통하여 배출실측으로 방출되기 때문에, 제2 제어 밸브의 응답성이 좋다. 유통로를 크게 할 수(제2 밸브부의 외주면과 밸브 수용실의 내주면과의 사이의 클리어런스를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제2 밸브부의 외주면과 밸브 수용실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이물이 들어가도, 제2 제어 밸브가 이물에 의해 움직임을 저해받을 우려는 없다. 그 때문에, 제2 밸브부의 외주면과 밸브 수용실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이물이 들어가도, 가변 용량형 압축기의 기동 직후에 있어서 토출 용량을 신속하게 크게 할 수 있다.
매우 바람직한 예에서는, 상기 제1 밸브부와 상기 제2 밸브부는, 별체로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별체 구성은, 상기한 한 쌍의 유효 수압 면적과의 적절한 비의 설정을 도모하면서 제2 제어 밸브의 제조를 용이하게 한다.
매우 바람직한 예에서는, 상기 제2 제어 밸브의 밸브 닫힘 상태일 때에는, 상기 배출실과 상기 배압실을 연통하는 스로틀(throttle) 통로가 상기 제2 밸브부의 상기 단면과 상기 밸브 시트 형성부와의 사이에 남겨진다.
매우 바람직한 예에서는, 상기 스로틀 통로는, 상기 밸브 시트 형성부에 형성된 제1 절결(cut-away)홈이다.
제1 절결홈은, 스로틀 통로로서 간편하다.
매우 바람직한 예에서는, 상기 제1 밸브부는, 상기 밸브 구멍과 상기 배출실을 연통하는 제2 절결홈을 구비하고 있다.
제어압실 내의 냉매는, 제2 절결홈을 통과하여 흡입압 영역으로 배출된다.
매우 바람직한 예에서는, 상기 밸브 수용실은, 상기 제1 밸브부를 수용하는 소경실(小徑室)과, 상기 제2 밸브부를 수용하는 대경실(大徑室)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통로는, 상기 제2 밸브부의 외주면을 일주(一周)하는 환상 간극(annular clearance)이다.
환상 간극을 좁게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2 밸브부의 외주면과 밸브 수용실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이물이 들어가도, 제2 제어 밸브가 이물에 의해 움직임을 저해받을 우려는 없다.
매우 바람직한 예에서는, 상기 제1 제어 밸브와 상기 제어압실과의 사이의 상기 공급 통로에는 역지 밸브(check valve)가 끼워져 있다.
역지 밸브는, 제1 제어 밸브가 열림 상태로부터 닫힘 상태로 이행했을 때에, 제2 제어 밸브가 닫힘 상태로부터 열림 상태로의 이행의 확실성을 높인다.
본 발명은, 가변 용량형 압축기에 이용하는 제2 제어 밸브의 응답 성능의 저하를 회피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압축기 전체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요부 확대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부분 확대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부분 확대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측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클러치리스(clutchless)의 가변 용량형 압축기에 본 발명을 구체화한 제1 실시 형태를 도 1~도 4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블록(11)의 전단(前端)에는 프론트 하우징(12)이 연결되어 있다. 실린더 블록(11)의 후단에는 리어 하우징(13)이 밸브 플레이트(14), 밸브 형성 플레이트(15, 16) 및 리테이너 형성 플레이트(17)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실린더 블록(11), 프론트 하우징(12) 및 리어 하우징(13)은, 가변 용량형 압축기(10)의 전체 하우징을 구성한다.
제어압실(121)을 형성하는 프론트 하우징(12)과 실린더 블록(11)에는 회전축 (18)이 레이디얼 베어링(19, 20)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어압실(121)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회전축(18)은, 도시하지 않은 외부 구동원(E)(예를 들면 차량 엔진)으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얻는다.
회전축(18)에는 회전 지지체(21)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18)에는 사판(22)이 회전 지지체(21)에 대향되도록 지지되어 있다. 사판(22)은, 회전축(18)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고 그리고 경사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 지지체(21)에 형성된 가이드 구멍(211)에는 사판(22)에 형성된 가이드핀(23)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넣어져 있다. 사판(22)은, 가이드 구멍(211)과 가이드핀(23)과의 연계에 의해 회전축(18)의 축방향으로 경사 이동 가능하고 그리고 회전축(18)과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다. 사판(22)의 경사 이동은, 가이드 구멍(211)과 가이드핀(23)과의 슬라이드 가이드 관계 및, 회전축(18)의 슬라이드 지지 작용에 의해 안내된다.
사판(22)의 지름 중심부가 회전 지지체(21)측으로 이동하면, 사판(22)의 경사각이 증대한다. 사판(22)의 최대 경사각은, 회전 지지체(21)와 사판(22)과의 맞닿음에 의해 규제된다. 도 1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사판(22)은, 최소 경사각 상태에 있고, 쇄선으로 나타내는 사판(22)은, 최대 경사각 상태에 있다. 사판(22)의 최소 경사각은 0° 보다도 근소하게 크게 되어 있다.
실린더 블록(11)에 뚫려 설치된 복수의 실린더 보어(111) 내에는 피스톤(24)이 수용되어 있다. 사판(22)의 회전 운동은, 슈(25)를 통하여 피스톤(24)의 전후 왕복 운동으로 변환되어, 피스톤(24)이 실린더 보어(111) 내를 왕복 운동한다.
리어 하우징(13) 내에는 흡입압 영역인 흡입실(131) 및 토출압 영역인 토출실(132)이 구획 형성되어 있다. 밸브 플레이트(14), 밸브 형성 플레이트(16) 및 리테이너 형성 플레이트(17)에는 흡입 포트(26)가 형성되어 있고, 밸브 플레이트(14) 및 밸브 형성 플레이트(15)에는 토출 포트(27)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 형성 플레이트(15)에는 흡입 밸브(151)가 형성되어 있고, 밸브 형성 플레이트(16)에는 토출 밸브(161)가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 보어(111), 밸브 형성 플레이트(15), 피스톤(24)에 의해 압축실(112)이 실린더 블록(11) 내에 구획 형성되어 있다.
흡입실(131) 내의 냉매는, 피스톤(24)의 복동(復動) 동작〔도 1에 있어서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의 이동〕에 의해 흡입 포트(26)로부터 흡입 밸브(151)를 밀어내고 압축실(112) 내로 유입된다. 압축실(112) 내로 유입된 냉매는, 피스톤(24)의 왕동(往動) 동작〔도 1에 있어서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의 이동〕에 의해 토출 포트(27)로부터 토출 밸브(161)를 밀어내고 토출실(132)로 토출된다. 토출 밸브(161)는, 리테이너 형성 플레이트(17) 상의 리테이너(171)에 맞닿아 개도 규제된다.
제어압실(121) 내의 압력이 내려가면, 사판(22)의 경사각이 증대하여 토출 용량이 늘어나고, 제어압실(121) 내의 압력이 올라가면, 사판(22)의 경사각이 감소하여 토출 용량이 줄어든다.
흡입실(131)과 토출실(132)은, 외부 냉매 회로(28)로 접속되어 있다. 외부 냉매 회로(28) 상에는, 냉매로부터 열을 빼앗기 위한 열교환기(29), 팽창 밸브(30) 및, 주위의 열을 냉매로 옮기기 위한 열교환기(31)가 개재되어 있다. 팽창 밸브(30)는, 열교환기(31)의 출구측의 가스 온도의 변동에 따라서 냉매 유량을 제어하는 온도식 자동 팽창 밸브이다. 토출실(132)로부터 외부 냉매 회로(28)에 이르는 도중에는 순환 저지 수단(32)이 형성되어 있다. 순환 저지 수단(32)이 열려 있을 때에는, 토출실(132) 내의 냉매는, 외부 냉매 회로(28)로 유출되어 흡입실(131)로 환류된다.
리어 하우징(13)에는 전자식의 제1 제어 밸브(33)가 장착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제어 밸브(33)의 솔레노이드(39)를 구성하는 고정 철심(40)은, 코일(41)로의 전류 공급에 의한 려자(勵磁)에 기초하여 가동 철심(42)을 끌어당긴다. 가동 철심(42)에는 밸브체(37)가 부착되어 있고, 솔레노이드(39)의 전자력은, 탄성지지 스프링(43)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밸브 구멍(38)을 닫는 위치를 향하여 밸브체(37)를 탄성지지한다. 솔레노이드(39)는, 제어 컴퓨터 (C)의 전류 공급 제어(본 실시 형태에서는 듀티비(duty ratio) 제어)를 받는다.
제1 제어 밸브(33) 내의 감압(感壓) 수단(36)을 구성하는 벨로즈(bellows;361)에는 흡입실(131) 내의 압력(흡입압)이 통로(44) 및 감압실(362)을 통하여 작용하고 있다. 벨로즈(361)에는 밸브체(37)가 접속되어 있고, 벨로스(361) 내의 압력 및 감압 수단(36)을 구성하는 감압 스프링(363)의 스프링력은, 밸브 구멍(38)을 닫는 위치로부터 여는 위치를 향하여 밸브체(37)를 탄성지지한다. 밸브 구멍(38)으로 이어지는 밸브 수용실(50)은, 통로(51)를 통하여 토출실(132)로 연통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 형성 플레이트(15)에 대향되는 실린더 블록(11)의 단면에는 밸브 수용실(53)이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밸브 수용실(53)은, 소경실(531)과, 소경실(531)보다 대경의 대경실(532)로 나누어져 있고, 대경실(532)에는 밸브 시트 형성링(54)이 수용되어 있다. 밸브 시트 형성부로서의 밸브 시트 형성링(54)의 외주경은, 대경실(532)의 내주경보다 근소하게 작고, 밸브 시트 형성링(54)의 단면은, 소경실(531)과 대경실(532)과의 단차(533)에 접합 가능하다.
밸브 수용실(53)에는 밸브체(55)가 밸브 시트 형성링(54)의 링 내를 관통하도록 수용되어 있다. 밸브체(55)는, 밸브 시트 형성링(54)의 링 내를 관통하여 소경실(531)로 연출되는 제1 밸브부(56)와, 대경실(532) 내에서 제1 밸브부(56)에 기워 맞춤하여 고정된 제2 밸브부(57)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밸브부(56)는, 제2 밸브부(57)에 끼워 넣음되는 소경부(561)와, 소경실(531) 내에 배치된 대경부(562)로 이루어진다. 대경부(562)의 외경은 밸브 시트 형성링(54)의 내경보다도 크고, 밸브 시트 형성링(54)의 내경은 소경부(561)의 외경보다도 크다.
제2 밸브부(57)의 외주면은, 대경 주면(571)과, 대경 주면(571)보다 소경의 소경 주면(572)으로 이루어진다. 제2 밸브부(57)의 대경 주면(571)의 원주 지름은, 대경실(532)의 내주경보다도 작고, 제2 밸브부(57)의 외주면과 대경실(532)의 내주면(534)과의 사이에는 제2 밸브부(57)를 일주하는 환상 간극(58)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밸브부(57)는, 밸브 수용실(53)을 배출실(59)과 배압실(60)로 구획하고 있고, 배출실(59)과 배압실(60)은, 연통로로서의 환상 간극(58)을 통하여 연통하고 있다.
밸브체(55)가 밸브 수용실(53) 내에서 기울어 밸브 수용실(53)의 내주면에 접할 때에는, 제1 밸브부(56)의 돌조(protrusion; 563)의 선단(先端) 외주연과, 제2 밸브부(57)의 대경 주면(571)의 배압실(60)측의 외주연이 밸브 수용실(53)의 내주면에 접한다. 즉, 제2 밸브부(57)의 소경 주면(572)의 배출실(59)측의 외주연이 밸브 수용실(53)의 내주면에 접하는 일은 없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출실(59)은, 배출실(59)의 저면(底面; 591)(밸브 수용실(53)의 저면)으로 개구하는 밸브 구멍(61)을 통하여 제어압실(121)로 연통하고 있다. 또한, 배출실(59)은, 배출실(59)의 주면으로 개구하는 통로(62)를 통하여 흡입실(131)로 연통하고 있다. 밸브 구멍(61), 배출실(59) 및 통로(62)는, 제어압실(121) 내의 냉매를 흡입실(131)(흡입압 영역)로 배출하는 배출 통로를 구성한다.
배압실(60)은, 밸브 플레이트(14), 밸브 형성 플레이트(15, 16), 리테이너 형성 플레이트(17) 및 리어 하우징(13)을 통과하는 통로(52)를 통하여 제1 제어 밸브(33)의 밸브 구멍(38)으로 연통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밸브부(57)에 대향되는 밸브 시트 형성링(54)의 대향 단면에는 환상의 돌조(541)가 돌출 설치되어 있고, 돌조(541)에는 제1 절결홈(542)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밸브부(57)의 배출실(59)측의 단면(573)은, 돌조(541)의 선단면에 접촉 분리 가능하다. 제2 밸브부(57)의 배출실(59)측의 단면(573)이 돌조(541)의 선단면에 접한 상태에서는, 제1 절결홈(542)이 스로틀 통로가 된다.
제1 밸브부(56)의 대경부(562)의 선단면에는 환상의 돌조(563)가 돌설되어 있고, 돌조(563)에는 제2 절결홈(564)이 형성되어 있다. 돌조(563)의 선단면은, 배출실(59)의 저면(591)에 접촉 분리 가능하다. 돌조(563)의 선단면이 배출실(59)의 저면(591)에 접한 상태에서는, 제2 절결홈(564)이 스로틀 통로가 된다.
밸브 구멍(61) 내의 압력에 대한 제1 밸브부(56)의 유효 수압 면적(S1)(밸브 닫힘 상태에 있어서의 수압 면적)은, 환상의 돌조(563)의 환 내에 있어서의 단면적(밸브 시트 형성링(54)의 중심축선(L)에 대하여 수직인 가상 평면 상에서의 면적)이다. 배출실(59) 내의 압력에 대한 제2 밸브부(57)의 유효 수압 면적(S2)(밸브 닫힘 상태에 있어서의 수압 면적)은, 밸브 시트 형성링(54)의 링 내에 있어서의 단면적(밸브 시트 형성링(54)의 중심축선(L)에 대하여 수직인 가상 평면 상에서의 면적)이다. 배출실(59) 내의 압력에 대한 제2 밸브부(57)의 유효 수압 면적(S2)은, 밸브 구멍(61) 내의 압력에 대한 제1 밸브부(56)의 유효 수압 면적(S1)의 1~1.2배로 설정되어 있다. 즉, S2/S1=α는, 1~1.2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다.
통로(52) 내의 압력(따라서 배압실(60) 내의 압력)에 대한 제2 밸브부(57)의 유효 수압 면적은, 배출실(59) 내의 압력에 대한 제2 밸브부(57)의 유효 수압 면적(S2)과 동일하다. 또한, 유효 수압 면적(S2)은, 밸브 수용실(53)의 소경실(531)의 단면적(S4)(밸브 시트 형성링(54)의 중심축선(L)에 대하여 수직인 가상 평면 상의 면적)보다도 작다.
밸브 형성 플레이트(15)에 대향되는 제2 밸브부(57)의 단면에는 환상의 돌조(574)가 돌출 설치되어 있고, 돌조(574)에는 제3 절결홈(575)이 형성되어 있다. 돌조(574)의 선단면은, 밸브 형성 플레이트(15)에 접촉 분리 가능하다. 돌조(574)의 선단면이 밸브 형성 플레이트(15)에 접한 상태에서는, 환상 간극(58)과 통로(52)가 제3 절결홈(575)을 통하여 연통한다.
밸브 수용실(53), 밸브 구멍(61), 밸브체(55) 및 밸브 시트 형성링(54)은, 배출 통로의 통로 단면적을 조정하는 제2 제어 밸브(34)를 구성한다. 실린더 블록(11)은, 제2 제어 밸브(34)를 수용하기 위한 케이싱이 된다. 제1 밸브부(56)와 제2 밸브부(57)를 끼워 맞춤하여 연결 고정하는 경우에는, 먼저 제1 밸브부(56)의 소경부(561)가 밸브 시트 형성링(54)에 통과된다. 제1 밸브부(56)와 제2 밸브부(57)를 끼워 맞춤하여 연결 고정되면, 밸브 시트 형성링(54)이 밸브체(55)로부터 탈락되는 일은 없다. 이 상태에서 밸브체(55) 및 밸브 시트 형성링(54)이 밸브 수용실(53)에 삽입된다.
밸브 형성 플레이트(15)에 대향되는 실린더 블록(11)의 단면에는 수용 구멍(63)이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고, 수용 구멍(63)에는 역지 밸브(35)가 수용되어 있다. 역지 밸브(35)는, 밸브 하우징(45)과, 밸브 하우징(45) 내의 밸브 수용실(46)에 수용된 밸브체(47)와, 밸브체(47)를 탄성지지하는 폐지(閉止) 스프링(48)을 구비하고 있다. 밸브 하우징(45)에는 밸브 구멍(451)이 형성되고 있고, 폐지 스프링(48)은, 밸브 구멍(451)을 닫는 위치를 향하여 밸브체(47)를 탄성지지하고 있다. 밸브 구멍(451)은, 통로(49)를 통하여 제2 제어 밸브(34)의 배압실(60)로 연통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 수용실(46)은, 통로(64)를 통하여 제어압실(121)로 연통하고 있다. 통로(51, 52), 배압실(60), 통로(49), 밸브 수용실(46) 및 통로(64)는, 토출실(132)로부터 제어압실(121)로 냉매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통로를 구성한다.
제1 제어 밸브(33)의 솔레노이드(39)에 대하여 전류 공급 제어(듀티비 제어)를 행하는 제어 컴퓨터(C)는, 공조 장치 작동 스위치(65)의 ON에 의해 솔레노이드(39)에 전류를 공급하고, 공조 장치 작동 스위치(65)의 OFF에 의해 전류 공급을 정지한다. 제어 컴퓨터(C)에는 실온 설정기(66) 및 실온 검출기(67)가 신호 접속되어 있다. 공조 장치 작동 스위치(65)가 ON 상태에 있는 경우, 제어 컴퓨터(C)는, 실온 설정기(66)에 의해 설정된 목표 실온과, 실온 검출기(67)에 의해 검출된 검출 실온과의 온도차에 기초하여, 솔레노이드(39)에 대한 전류 공급을 제어한다.
제1 제어 밸브(33)의 밸브 구멍(38)에 있어서의 개폐 상태, 즉 제1 제어 밸브(33)에 있어서의 밸브 개도는, 솔레노이드(39)에서 발생하는 전자력, 탄성지지 스프링(43)의 스프링력, 감압 수단(36)의 탄성지지력의 밸런스에 의해 정해진다. 제1 제어 밸브(33)는, 전자력을 바꿈으로써 제1 제어 밸브(33)에 있어서의 밸브 개도를 연속적으로 조정 가능하다. 전자력을 증대시켜면, 제1 제어 밸브(33)에 있어서의 밸브 개도는 감소 방향으로 이행한다. 또한, 흡입실(131)에 있어서의 흡입압이 증대하면, 제1 제어 밸브(33)에 있어서의 밸브 개도가 감소하고, 흡입실(131)에 있어서의 흡입압이 감소하면, 제1 제어 밸브(33)에 있어서의 밸브 개도가 증대한다. 제1 제어 밸브(33)는, 흡입압을 전자력에 따른 설정 압력으로 제어한다.
도 3은, 공조 장치 작동 스위치(65)의 OFF에 의해 제1 제어 밸브(33)의 솔레노이드(39)에 대한 전류 공급이 정지되어 있는 상태(듀티비가 0)를 나타내고, 제1 제어 밸브(33)에 있어서의 밸브 개도는 최대가 되어 있다. 사판(22)의 최소 경사각은 0°보다도 근소하게 크고, 사판(22)의 경사각이 최소 경사각인 경우에도 실린더 보어(111)로부터 토출실(132)로의 배출은 행해지고 있다. 사판(22)의 경사각이 최소인 상태에서는, 순환 저지 수단(32)이 닫혀 외부 냉매 회로(28)에 있어서의 냉매 순환이 정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실린더 보어(111)로부터 토출실(132)로 토출된 냉매는, 제1 제어 밸브(33)의 밸브 구멍(38)을 경유하여 제2 제어 밸브(34)의 배압실(60)로 유입된다. 제2 제어 밸브(34)의 밸브체(55)는, 배압실(60)의 압력에 의해 제1 밸브부(56)의 돌조(563)가 밸브 수용실(53)의 저면에 접하는 닫힘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제2 밸브부(57)의 배출실(59)측의 단면(573)은, 돌조(541)의 선단면에 접한다. 밸브 시트 형성링(54)은, 배압실(60) 내의 압력에 의해 단차(533)에 압접(押接)된다. 배압실(60) 내의 냉매는 환상 간극(58), 제1 절결홈(542), 배출실(59) 및 통로(62)를 경유하여, 혹은 통로(49), 밸브 수용실(46), 통로(64), 제어압실(121), 밸브 구멍(61), 제2 절결홈(564), 배출실(59) 및 통로(62)를 경유하여 흡입실(131)로 환류된다.
이때의 제2 제어 밸브(34)에 있어서의 압력 상태는 식 (1)과 같이 된다.
Pcv>(Pc-Ps)/α+Ps … (1)
압력 Pcv는, 배압실(60) 내의 압력을 나타낸다. 압력 Pc는, 제어압실(121) 내의 압력을 나타내고, Ps는, 흡입실(131) 내의 압력을 나타낸다.
배압실(60) 내의 냉매는, 통로(49) 및 역지 밸브(35)의 밸브 구멍(451)을 경유하여 밸브체(47)를 밀어내고 밸브 수용실(46)로 유입된다. 밸브 수용실(46)로 유입된 냉매는, 통로(64)를 경유하여 제어압실(121)로 유입된다. 즉, 토출실(132)의 냉매는, 공급 통로를 통과하여 제어압실(121)로 유입된다. 제어압실(121) 내의 냉매는, 밸브 구멍(61), 제2 절결홈(564), 배출실(59) 및 통로(62)를 통과하여 흡입실(131)로 유출되고, 흡입실(131) 내의 냉매는, 실린더 보어(111) 내로 흡입되어 토출실(132)로 토출된다.
도 3의 상태에서는, 사판(22)의 경사각은 최소 경사각이 되어, 가변 용량형 압축기(10)는, 토출 용량이 최소가 되는 최소 용량 운전을 행한다. 이때, 순환 저지 수단(32)은 닫혀지기 때문에, 냉매가 외부 냉매 회로(28)를 순환하는 일은 없다.
도 4는, 공조 장치 작동 스위치(65)가 ON으로서 제1 제어 밸브(33)의 솔레노이드(39)에 대한 전류 공급이 최대(듀티비가 1)가 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제1 제어 밸브(33)에 있어서의 밸브 개도는 영(zero)이 되어 있다. 가변 용량형 압축기(10)가 최소 용량이 아닌 운전을 행하고 있는 상태(즉, 사판(22)의 경사각이 최소가 아닌 상태)에서는, 순환 저지 수단(32)이 열려 외부 냉매 회로(28)에 있어서의 냉매 순환이 행해진다.
제1 제어 밸브(33)에 있어서의 밸브 개도가 영인 상태(밸브 구멍(38)이 닫혀져 있는 상태)에서는, 토출실(132) 내의 냉매가 공급 통로를 경유하여 제2 제어 밸브(34)의 배압실(60)로 보내지는 일은 없다. 따라서, 제2 제어 밸브(34)의 밸브체(55)는, 흡입실(131)로 연통하는 배출실(59) 내의 압력 및 밸브 구멍(61) 내의 압력(제어압실(121) 내의 압력)에 의해, 밸브 형성 플레이트(15)에 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역지 밸브(35)의 밸브체(47)는, 폐지 스프링(48)의 스프링력에 의해 밸브 구멍(451)을 닫는 위치에 배치된다.
즉, 도 4의 상태에서는, 공급 통로가 닫혀, 토출실(132) 내의 냉매가 공급 통로를 경유하여 제어압실(121)로 보내지는 일은 없다. 또한, 제어압실(121) 내의 냉매는, 배출 통로로부터 흡입실(131)로 유출된다. 이 상태에서는, 사판(22)의 경사각은 최대 경사각이 되어, 가변 용량형 압축기(10)는, 토출 용량이 최대가 되는 최대 용량 운전을 행한다.
이때의 제2 제어 밸브(34)에 있어서의 압력 상태는, 식 (2)와 같이 된다.
Pcv<(Pc-Ps)/α+Ps … (2)
공조 장치 작동 스위치(65)가 ON으로서 제1 제어 밸브(33)의 솔레노이드(39)에 대한 전류 공급이 영이 아니고, 그리고 최대가 아닌 상태(듀티비가 0보다 크고, 1보다 작음)에서는, 토출실(132) 내의 냉매가 제2 제어 밸브(34)의 배압실(60)로 보내진다. 따라서, 제어압실(121) 내의 냉매는, 밸브 구멍(61), 제2 절결홈(564), 배출실(59) 및 통로(62)를 경유하여 흡입실(131)로 유출되고, 토출실(132)로부터 배압실(60)로 보내진 냉매는, 역지 밸브(35)를 통과하여 제어압실(121)로 유입된다. 이 상태에서는, 사판(22)의 경사각은, 흡입압이 듀티비에 따른 설정 압력이 되도록 최소 경사각 이상이 되어, 가변 용량형 압축기(10)는, 사판(22)의 경사각이 최소 경사각보다 커지는 중간 용량 운전을 행한다.
제1 제어 밸브(33)가 도 3에 나타내는 열림 상태로부터 닫힘 상태로 이행하면, 토출실(132)로부터 배압실(60)로의 압력 공급이 없어져, 제2 제어 밸브(34)의 밸브체(55)가 도 3에 나타내는 닫힘 위치로부터 도 4에 나타내는 열림 위치를 향하여 이동한다. 즉, 제1 제어 밸브(33)가 열림 상태로부터 닫힘 상태로 이행하면, 제2 제어 밸브(34)가 밸브 닫힘 상태로부터 밸브 열림 상태로 이행한다. 제2 제어 밸브(34)가 밸브 닫힘 상태일 때에는, 배출실(59)과 배압실(60)을 연통하는 스로틀 통로(제1 절결홈(542))가 제2 밸브부(57)의 단면(573)과 벨브 시트 형성링(54)과의 사이에 남겨진다. 그 때문에, 배압실(60)의 압력이 스로틀 통로(제1 절결홈(542))를 통하여 배출실(59)측으로 방출된다. 따라서, 제2 제어 밸브(34)의 밸브체(55)가 닫힘 위치로부터 열림 위치로 신속하게 이동한다.
제1 제어 밸브(33)가 도 4에 나타내는 닫힘 상태로부터 열림 상태로 이행하면, 토출실(132)의 압력이 배압실(60)로 파급되어, 제2 제어 밸브(34)의 밸브체(55)가 도 4에 나타내는 열림 위치로부터 도 3에 나타내는 닫힘 위치를 향하여 이동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이하의 효과가 얻어진다.
(1) 배압실(60)과 배출실(59)과의 사이의 스로틀 통로를 제2 밸브부(57)의 외주면과 밸브 수용실(53)의 내주면(534)과의 사이에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제2 밸브부(57)의 외주면과 밸브 수용실(53)의 내주면(534)과의 사이의 클리어런스(환상 간극(58))를 크게 할 수 있다. 즉, 제2 밸브부(57)의 외주면(대경 주면(571))과 밸브 수용실(53)의 대경실(532)의 주면과의 사이(환상 간극(58))에 이물이 들어가도, 제2 제어 밸브(34)가 이물에 의해 움직임을 저해받을 우려는 없다. 그 때문에, 기동시의 제어압실(121) 내의 액냉매가 흡입실(131)로 신속하게 배출되어, 가변 용량형 압축기(10)에 이용하는 제2 제어 밸브(34)의 응답 성능이 저하되는 일은 없다.
(2) 유효 수압 면적(S2)과 유효 수압 면적(S1)과의 비 S2/S1=α가 작을수록, 제1 제어 밸브(33)가 열림 상태로부터 닫힘 상태로 이행했을 때에, 닫힘 위치에 있는 밸브체(55)가 열림 위치로 이동할 때까지의 시간이 짧아져, 제2 제어 밸브(34)의 응답이 빨라진다. 그러나, 유효 수압 면적(S2)과 유효 수압 면적(S1)과의 비 S2/S1=α가 1보다도 작으면, 열림 위치에 있는 밸브체(55)를 닫힘 위치로 이행하기 어려워진다. α가 1보다도 너무 크면, 제1 제어 밸브(33)가 열림 상태로부터 닫힘 상태로 이행한 후, 닫힘 위치에 있는 밸브체(55)를 열림 위치로 이행하기 위한 시간이 걸려, 제2 제어 밸브(34)의 응답이 늦어진다.
α=1~1.2의 범위로 설정한 구성은, 밸브체(55)를 닫힘 위치로 확실하게 이행함과 함께, 제2 제어 밸브(34)의 응답 지연을 회피하는 데 바람직하다.
(3) 제2 밸브부(57)의 지름을 제1 밸브부(56)의 지름보다도 크게 하면, 제2 밸브부(57)의 단면(573)의 단면에 설정하는 유효 수압 면적(S2)을 제1 밸브부(56)의 단면(선단면)에 형성하는 유효 수압 면적(S1)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제2 밸브부(57)의 지름을 제1 밸브부(56)의 지름보다도 크게 한다는 대소 관계는, 유효 수압 면적(S2)과 유효 수압 면적(S1)과의 비 S2/S1=α를 1 이상으로 한다는 적절한 비의 설정에 유효하다.
(4) 실린더 블록(11)에 형성한 단차(533)의 내경은, 제1 밸브부(56)의 최대경(대경부(562)의 원주 지름)보다도 크다. 가령 단차(533)를 제2 밸브부(57)의 밸브 시트로 한 경우, 이 밸브 시트의 내경은, 제1 밸브부(56)의 최대경(대경부(562)의 원주 지름)보다도 커진다. 즉, 배출실(59) 내의 압력에 대한 제2 밸브부(57)의 유효 수압 면적(S2)은, 제1 밸브부(56)의 대경부(562)에 있어서의 단면적보다도 반드시 커진다. 이는, 유효 수압 면적(S2)과 유효 수압 면적(S1)과의 비 S2/S1=α를 1~1.2 이내로 설정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제2 밸브부(57)에 대한 밸브 시트가 되는 밸브 시트 형성링(54)의 내경은, 제1 밸브부(56)의 최대경(대경부(562)의 원주 지름)보다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밸브부(57)에 대한 밸브 시트 형성링(54)을 실린더 블록(11)(케이싱)과는 별체로 한 구성은, 유효 수압 면적(S2, S1)과의 비 α를 1~1.2라는 적절한 비로 설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5) 토출압이 높은 상태에서 중간 용량 운전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 제1 제어 밸브(33)가 열림 상태로부터 닫힘 상태로 이행했을 때에, 실린더 보어(111)로부터 제어압실(121)로의 냉매 누출에 의해 제어압실(121) 내의 제어압이 감압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이 감압되지 않은 제어압이 공급 통로를 경유하여 배압실(60)로 파급되면, 배출실(59) 내의 압력(흡입압 상당)과 밸브 구멍(61) 내의 압력(제어압)으로는 배압실(60) 내의 압력을 이길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배압실(59) 내의 압력과 밸브 구멍(61) 내의 압력이 배압실(60) 내의 압력을 이길 수 없는 경우, 제2 제어 밸브(34)의 밸브체(55)가 닫힘 위치로부터 열림 위치를 향하여 이동할 수 없다.
역지 밸브(35)는, 감압되지 않은 제어압이 배압실(60)로 파급되는 것을 저지한다. 그 때문에, 제1 제어 밸브(33)가 열림 상태로부터 닫힘 상태로 이행했을 때에는, 제2 제어 밸브(34)의 밸브체(55)는, 닫힘 위치로부터 열림 위치를 향하여 확실하게 이동한다.
(6) 밸브 시트 형성링(54)에 형성된 제1 절결홈(542)은, 배압실(60)과 배출실(59)을 연통하는 스로틀 통로로서 간편하다.
(7) 제1 밸브부(56)에 형성된 제2 절결홈(564)은, 제1 밸브부는, 밸브 구멍(61)과 배출실(59)을 연통하는 스로틀 통로로서 간편하다.
(8) 밸브 시트 형성링(54)은, 배압실(60) 내의 압력에 의해 단차(533)에 압접된다. 그 때문에, 밸브 시트 형성링(54)을 밸브 수용실(53)의 대경실(532)에 압입하여 단차(533)에 압접한다는 일을 할 필요가 없어, 밸브 수용실(53)로의 밸브 시트 형성링(54) 및 밸브체(55)의 삽입 작업이 용이하다.
(9) 제2 밸브부(57)는, 제1 밸브부(56)의 대경부(562)와 반대측의 단부(端部)에 대경 주면(571)을 구비한다. 그 때문에, 밸브체(55)가 기울었을 때에 밸브 수용실(53)의 내주면에 접하는 밸브체(55)의 2개소의 거리를 길게 하면서 경사운동을 작게 할 수 있다. 이는, 플로트 밸브(float valve)인 밸브체(55)의 움직임의 원활화에 기여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하와 같은 실시 형태도 가능하다.
-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밸브부(57)의 단면(573)에 환상의 돌조(576)를 형성하고, 돌조(576)에 제1 절결홈(577)을 형성해도 좋다. 돌조(576) 및 제1 절결홈(577)은, 돌조(541) 및 제1 절결홈(542)과 동일한 역할을 한다.
-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절결홈(542)을 없애고, 제1 밸브부(56)의 선단(돌조(563)의 선단면)이 저면(591)에 맞닿은 상태에서는, 제2 밸브부(57)의 단면(573)과 돌조(541)의 선단면과의 사이에 스로틀 통로로서의 간극(68)이 남도록 해도 좋다.
-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2 절결홈(564)을 없애고, 제2 밸브부(57)의 단면(573)이 돌조(541)의 선단면에 맞닿은 상태에서는, 돌조(563)의 선단면과 저면(591)과의 사이에 스로틀 통로로서의 간극(69)이 남도록 해도 좋다.
-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절결홈(542)을 없애고, 배출실(59)과 배압실(60)을 연통하는 스로틀 통로(70)를 제2 밸브부(57)에 형성해도 좋다.
- 밸브 수용실(53)을 리어 하우징(13)에 형성해도 좋다.
- 역지 밸브(35)를 리어 하우징(13)에 형성해도 좋다.
- 밸브 시트 형성링(54)을 밸브 수용실(53)의 대경실(532)에 압입해도 좋다.
- 제1 제어 밸브(33)와 제2 제어 밸브(34)와의 사이의 통로(52)에 역지 밸브(35)의 통로(49)를 접속해도 좋다. 이 경우에도,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 밸브 시트 형성링(54)과 제2 밸브부(57)와의 사이에 열림 밸브용의 스프링을 형성해도 좋다.
-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역지 밸브(35)를 없애도 좋다. 또한, 역지 밸브(35) 대신에 스로틀 통로를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에도,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1)항과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 토출압 영역에 있어서의 2지점 간의 차압에 따라서 밸브 개도를 증감하는 감압 수단을 구비한 제어 밸브를 제1 제어 밸브로서 이용해도 좋다. 즉, 토출압 영역에 있어서의 냉매 유량이 증대하면 밸브 개도를 증대시키고, 토출압 영역에 있어서의 냉매 유량이 감소하면 밸브 개도를 감소시키는 제어 밸브를 제1 제어 밸브로서 이용해도 좋다.
- 클러치를 통하여 외부 구동원으로부터 구동력을 얻는 가변 용량형 압축기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좋다. 이러한 가변 용량형 압축기에서는, 클러치가 접속 상태에 있을 때에는, 사판의 경사각이 최소일 때에도 외부 냉매 회로를 냉매가 순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클러치를 차단함으로써 냉매가 외부 냉매 회로를 순환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할 수 있는 기술 사상에 대해서 이하에 기재한다.
(가) 상기 배출실 내의 압력에 대한 상기 제2 밸브부의 유효 수압 면적(S2)은, 상기 밸브 구멍 내의 압력에 대한 상기 제1 밸브부에 있어서의 유효 수압 면적(S1)의 1~1.2배인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가변 용량형 압축기에 있어서의 용량 제어 기구.
(나) 밸브체(55)는 플로트 밸브인 제1항 내지 제7항, 상기 (가)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가변 용량형 압축기에 있어서의 용량 제어 기구.
10 : 가변 용량형 압축기
11 : (케이싱이 되는) 실린더 블록
121 : 제어압실
131 : (흡입압 영역인) 흡입실
132 : (토출압 영역인) 토출실
33 : 제1 제어 밸브
34 : 제2 제어 밸브
35 : 역지 밸브
51, 52, 64 : (공급 통로를 구성하는) 통로
53 : 밸브 수용실
531 : 소경실
532 : 대경실
534 : 내주면
54 : (밸브 형성부로서의) 밸브 시트 형성링
542 : (스로틀 통로로서의) 제1 절결홈
56 : 제1 밸브부
564 : 제2 절결홈
57 : 제2 밸브부
573 : 단면
58 : (유통로로서의) 환상 간극
59 : 배출실
60 : 배압실
61 : (배출 통로를 구성하는) 밸브 구멍
62 : (배출 통로를 구성하는) 통로

Claims (7)

  1. 공급 통로를 통하여 토출압 영역의 냉매가 제어압실로 공급됨과 함께, 배출 통로를 통하여 상기 제어압실의 냉매가 흡입압 영역으로 배출되어 상기 제어압실 내의 압력 조절이 행해져, 상기 제어압실 내의 압력 조절에 의해 토출 용량이 제어되고, 상기 공급 통로의 통로 단면적을 조정하는 제1 제어 밸브가 형성되어 있는 가변 용량형 압축기에 있어서의 용량 제어 기구에 있어서,
    상기 배출 통로의 일부로서, 상기 제어압실로 개구함과 함께 밸브 수용실에 접속하는 밸브 구멍과,
    상기 밸브 구멍의 통로 단면적을 조정하는 제1 밸브부와,
    상기 배출 통로의 일부가 되는 배출실과 상기 공급 통로로 연통(communication)하는 배압실로 상기 밸브 수용실 내를 구획하고, 그리고 상기 배출실과 상기 배압실과의 사이를 연통하는 유통로를 상기 밸브 수용실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남기는 제2 밸브부와,
    상기 제2 밸브부의 상기 배출실측의 단면(端面)에 접촉 분리하는 밸브 시트 형성부를 갖는 제2 제어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 시트 형성부는, 상기 밸브 수용실을 형성하는 케이싱과는 별체(別體)인 가변 용량형 압축기에 있어서의 용량 제어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부와 상기 제2 밸브부는, 별체로서 연결되어 있는 가변 용량형 압축기에 있어서의 용량 제어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밸브의 밸브 닫힘 상태일 때에는, 상기 배출실과 상기 배압실을 연통하는 스로틀 통로가 상기 제2 밸브부의 상기 단면과 상기 밸브 시트 형성부와의 사이에 남겨지는 가변 용량형 압축기에 있어서의 용량 제어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로틀 통로는, 상기 밸브 시트 형성부에 형성된 제1 절결홈인 가변 용량형 압축기에 있어서의 용량 제어 기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부는, 상기 밸브 구멍과 상기 배출실을 연통하는 제2 절결홈을 구비하고 있는 가변 용량형 압축기에 있어서의 용량 제어 기구.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수용실은, 상기 제1 밸브부를 수용하는 소경실과, 상기 제2 밸브부를 수용하는 대경실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통로는, 상기 제2 밸브부의 외주면을 일주(一周)하는 환상 간극인 가변 용량형 압축기에 있어서의 용량 제어 기구.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밸브와 상기 제어압실과의 사이의 상기 공급 통로에는 역지 밸브(check valve)가 끼워져 있는 가변 용량형 압축기에 있어서의 용량 제어 기구.
KR1020110017192A 2010-03-08 2011-02-25 가변 용량형 압축기에 있어서의 용량 제어 기구 KR1011735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50371A JP5458965B2 (ja) 2010-03-08 2010-03-08 可変容量型圧縮機における容量制御機構
JPJP-P-2010-050371 2010-03-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2170A KR20110102170A (ko) 2011-09-16
KR101173551B1 true KR101173551B1 (ko) 2012-08-14

Family

ID=44065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7192A KR101173551B1 (ko) 2010-03-08 2011-02-25 가변 용량형 압축기에 있어서의 용량 제어 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714938B2 (ko)
EP (1) EP2366901B1 (ko)
JP (1) JP5458965B2 (ko)
KR (1) KR101173551B1 (ko)
CN (1) CN10219212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58965B2 (ja) * 2010-03-08 2014-04-0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可変容量型圧縮機における容量制御機構
CN102330667B (zh) * 2011-10-10 2014-09-10 安徽博一流体传动股份有限公司 自控式交叉总功率控制及变功率的柱塞泵
KR101915969B1 (ko) * 2012-12-26 2018-11-0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JP6217474B2 (ja) * 2014-03-14 2017-10-2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容量可変型斜板式圧縮機
US10066618B2 (en) * 2014-11-05 2018-09-04 Mahle International Gmbh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with an oil check valve
JP6495634B2 (ja) * 2014-12-02 2019-04-03 サンデ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可変容量圧縮機
JP6402426B2 (ja) * 2014-12-02 2018-10-10 サンデ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可変容量圧縮機
JP6558889B2 (ja) * 2014-12-02 2019-08-14 サンデ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可変容量圧縮機
JP6732387B2 (ja) * 2015-03-26 2020-07-29 株式会社ヴァレオジャパン 可変容量型圧縮機
CN107709772B (zh) * 2015-06-30 2019-06-25 法雷奥日本株式会社 可变容量型压缩机
KR102112215B1 (ko) 2015-09-22 2020-05-1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JP6380367B2 (ja) * 2015-12-24 2018-08-29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圧縮機の逆止弁
DE112017000921B4 (de) 2016-02-22 2022-01-05 Kabushiki Kaisha Toyota Jidoshokki Taumelscheibenverdichter mit veränderbarer Verdrängung
US10247178B2 (en) 2016-03-28 2019-04-02 Robert Bosch Gmbh Variable displacement axial piston pump with fluid controlled swash plate
JP2017214877A (ja) * 2016-05-31 2017-12-07 サンデン・オートモーティブ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可変容量圧縮機
JP6723148B2 (ja) 2016-12-01 2020-07-15 サンデン・オートモーティブ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可変容量圧縮機
JP2018115627A (ja) * 2017-01-19 2018-07-26 サンデン・オートモーティブ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可変容量圧縮機
JP6830396B2 (ja) * 2017-04-06 2021-02-17 サンデン・オートモーティブ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可変容量圧縮機
JP6910871B2 (ja) * 2017-07-14 2021-07-28 サンデン・オートモーティブ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可変容量圧縮機
JP6819502B2 (ja) 2017-07-28 2021-01-2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容量可変型斜板式圧縮機
JP2019056353A (ja) * 2017-09-22 2019-04-11 サンデン・オートモーティブ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可変容量圧縮機
EP3748159A4 (en) * 2018-01-30 2021-11-03 Valeo Japan Co., Ltd. COMPRESSORS WITH VARIABLE CAPACITY
JP7185560B2 (ja) * 2019-02-22 2022-12-07 サンデン株式会社 可変容量圧縮機
JP7185568B2 (ja) * 2019-03-20 2022-12-07 サンデン株式会社 可変容量圧縮機
KR20210146716A (ko) * 2020-05-27 2021-12-0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사판식 압축기
KR20230006288A (ko) 2021-07-02 2023-01-10 에스트라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크랭크실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압력 조절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5940A (ja) 1998-07-27 2000-02-15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可変容量型圧縮機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578A (en) * 1896-07-21 Folding bed
US5681150A (en) * 1994-05-12 1997-10-28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Piston type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JP3432995B2 (ja) 1996-04-01 2003-08-0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JP2000145653A (ja) * 1998-11-12 2000-05-26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可変容量型圧縮機
JP2001133053A (ja) * 1999-11-01 2001-05-18 Toyota Autom Loom Works Ltd 空調装置
JP2001132632A (ja) * 1999-11-10 2001-05-18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容量可変型圧縮機の制御弁
JP3731434B2 (ja) 2000-03-30 2006-01-0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容量可変型圧縮機の制御弁
JP2001328424A (ja) * 2000-05-19 2001-11-27 Toyota Industries Corp 空調装置
JP3864673B2 (ja) * 2000-06-27 2007-01-1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圧縮機
JP4081965B2 (ja) 2000-07-07 2008-04-3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容量可変型圧縮機の容量制御機構
JP3925091B2 (ja) 2001-02-28 2007-06-0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容量可変型圧縮機の制御弁及び同制御弁の調整方法
JP2003083243A (ja) * 2001-09-05 2003-03-19 Toyota Industries Corp 容量可変型圧縮機の容量制御装置
JP2003184738A (ja) * 2001-12-17 2003-07-03 Sanden Corp 斜板式圧縮機
JP4100924B2 (ja) 2002-02-01 2008-06-11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容量制御弁
JP4246975B2 (ja) * 2002-02-04 2009-04-02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容量制御弁
JP3726759B2 (ja) * 2002-02-18 2005-12-1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容量可変型圧縮機の制御装置
EP1589223B1 (en) * 2003-01-22 2019-04-24 Valeo Japan Co., Ltd. Control valve of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JP4100254B2 (ja) * 2003-05-23 2008-06-1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容量可変型圧縮機の容量制御機構
JP2005009422A (ja) * 2003-06-19 2005-01-13 Toyota Industries Corp 容量可変型圧縮機の容量制御機構
JP4173111B2 (ja) * 2004-01-29 2008-10-29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可変容量圧縮機用制御弁
JP2007177627A (ja) 2005-12-27 2007-07-12 Sanden Corp 可変容量圧縮機の吐出容量制御弁
JP4648845B2 (ja) 2006-01-30 2011-03-09 株式会社デンソー 斜板型および揺動斜板型の可変容量圧縮機
JP4861956B2 (ja) * 2007-10-24 2012-01-2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可変容量型圧縮機における容量制御弁
JP5181808B2 (ja) * 2008-04-28 2013-04-1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可変容量型圧縮機における容量制御機構
JP5458965B2 (ja) * 2010-03-08 2014-04-0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可変容量型圧縮機における容量制御機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5940A (ja) 1998-07-27 2000-02-15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可変容量型圧縮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66901B1 (en) 2017-12-13
KR20110102170A (ko) 2011-09-16
CN102192124A (zh) 2011-09-21
JP2011185138A (ja) 2011-09-22
US8714938B2 (en) 2014-05-06
US20110214564A1 (en) 2011-09-08
EP2366901A2 (en) 2011-09-21
EP2366901A3 (en) 2016-08-31
JP5458965B2 (ja) 2014-04-02
CN102192124B (zh) 201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3551B1 (ko) 가변 용량형 압축기에 있어서의 용량 제어 기구
KR101056344B1 (ko) 가변 용량형 압축기에서의 용량 제어 기구
JP5391648B2 (ja) 可変容量型圧縮機における容量制御機構
JP6495634B2 (ja) 可変容量圧縮機
US20070214814A1 (en) Displacement control valve of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JP6136461B2 (ja) 可変容量型圧縮機
KR101347948B1 (ko) 가변 용량형 압축기
JP2008202572A (ja) 可変容量型圧縮機における容量制御弁
KR20060086883A (ko) 가변 용량형 압축기
EP1004770A2 (en)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US20060165534A1 (en) Displacement control valve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JP6804443B2 (ja) 可変容量型圧縮機
KR20030069040A (ko) 용량가변형 압축기의 제어장치
JP2006105007A (ja) 可変容量型圧縮機における容量制御機構
US6637223B2 (en) Control apparatus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JPH10141221A (ja) 可変容量圧縮機
EP1070845A1 (en) Crank pressure control mechanism of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US5890878A (en) Valve structure in compressor
JP3254854B2 (ja) クラッチレス片側ピストン式可変容量圧縮機
JP2019065740A (ja) 可変容量型圧縮機
JP2006132446A (ja) 可変容量型圧縮機
JP2005139979A (ja) 可変容量型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