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6896B1 - 명태코다리 통조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명태코다리 통조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66896B1 KR101166896B1 KR1020110137467A KR20110137467A KR101166896B1 KR 101166896 B1 KR101166896 B1 KR 101166896B1 KR 1020110137467 A KR1020110137467 A KR 1020110137467A KR 20110137467 A KR20110137467 A KR 20110137467A KR 101166896 B1 KR101166896 B1 KR 10116689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pollack
- seasoning
- parts
- canned
- Prior art date
Links
- 241001098054 Pollachius pollachius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1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Chemical compound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7598 dipp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5000015112 vegetable and seed oil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8158 vegetable oi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40000002234 Allium sativum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5000004611 garlic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40000004160 Capsicum annuum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5000008534 Capsicum annuum var annuum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5000007862 Capsicum baccatum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5000008184 Piper nigrum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1728 capsicum frutescens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150000005846 sugar alcohol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44000203593 Piper nigrum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3
- 235000013614 black pepper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3
- 238000007781 pre-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2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41000276498 Pollachius viren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5000000346 suga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9924 can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09569 green te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150000008163 sugar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41000721662 Juniper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41000167854 Bourreria succulent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9693 cherrie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5096 spirit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7166 Bambusa arundinace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7491 Bambusa tuld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9482 Palm oil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4000082204 Phyllostachys virid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5334 Phyllostachys virid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9486 Sunflower oil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1425 bamboo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828 canola 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9519 canola oil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8169 grapeseed 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9198 oil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4006 olive 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08390 olive oil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2540 palm 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20083 shōchū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02639 sodium chlorid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3549 soybean 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2424 soybean oil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2600 sunflower 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10152 pollination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clas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5000019688 f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2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10
- 235000013324 preserv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1953 sens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41000269851 Sarda sarda Speci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DHMQDGOQFOQNFH-UHFFFAOYSA-N Glycine Chemical compound NCC(O)=O DHMQDGOQFOQN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HEBKCHPVOIAQTA-UHFFFAOYSA-N meso ribitol Natural products OCC(O)C(O)C(O)CO HEBKCHPVOIAQT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41000234282 Allium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2732 Allium cepa var. cepa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41000512259 Ascophyllum nodosum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2566 Caps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41001454694 Clupeiformes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41001149724 Cololabis adocetus Species 0.000 description 4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6002 Pe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6761 Piper adun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40000003889 Piper guineense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7804 Piper guineen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44000088415 Raphanus sativus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6140 Raphanus sativus var sativ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AUNGANRZJHBGPY-SCRDCRAPSA-N Riboflavin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N1C=2C=C(C)C(C)=CC=2N=C2C1=NC(=O)NC2=O AUNGANRZJHBGPY-SCRDCRAPSA-N 0.000 description 4
- TVXBFESIOXBWNM-UHFFFAOYSA-N Xylitol Natural products OCCC(O)C(O)C(O)CCO TVXBFESIOXBWN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FPIPGXGPPPQFEQ-OVSJKPMPSA-N all-trans-retinol Chemical compound OC\C=C(/C)\C=C\C=C(/C)\C=C\C1=C(C)CCCC1(C)C FPIPGXGPPPQFEQ-OVSJKPMPSA-N 0.000 description 4
- 235000001014 amino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29940024606 amino acid Drugs 0.000 description 4
- 150000001413 amino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513 anchovy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0755 miner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XOAAWQZATWQOTB-UHFFFAOYSA-N taurine Chemical compound NCCS(O)(=O)=O XOAAWQZATWQOT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811 xyl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0447 xyl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HEBKCHPVOIAQTA-SCDXWVJYSA-N xyl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O HEBKCHPVOIAQTA-SCDXWVJYSA-N 0.000 description 4
- 229960002675 xylitol Drugs 0.000 description 4
- FPIPGXGPPPQFEQ-UHFFFAOYSA-N 13-cis retinol Natural products OCC=C(C)C=CC=C(C)C=CC1=C(C)CCCC1(C)C FPIPGXGPPPQFE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CIWBSHSKHKDKBQ-JLAZNSOCSA-N Ascorbic acid Chemical compound OC[C@H](O)[C@H]1OC(=O)C(O)=C1O CIWBSHSKHKDKBQ-JLAZNSOCSA-N 0.000 description 3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AUNGANRZJHBGPY-UHFFFAOYSA-N D-Lyxoflavin Natural products OCC(O)C(O)C(O)CN1C=2C=C(C)C(C)=CC=2N=C2C1=NC(=O)NC2=O AUNGANRZJHBGP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278 EU approved seasonin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471 Glyc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764 nut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60002477 riboflavin Drugs 0.000 description 3
- 229960003495 thiamine Drug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1835 viscera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29940088594 vitamin Drugs 0.000 description 3
- 229930003231 vitam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1000881711 Acipenser sturio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475 Argin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393548 Cand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568 Capsicum frutesce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FBPFZTCFMRRESA-KVTDHHQDSA-N D-Mann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KVTDHHQDSA-N 0.000 description 2
- ONIBWKKTOPOVIA-BYPYZUCNSA-N L-Proline Chemical compound OC(=O)[C@@H]1CCCN1 ONIBWKKTOPOVIA-BYPYZUCNSA-N 0.000 description 2
- QNAYBMKLOCPYGJ-REOHCLBHSA-N L-alanine Chemical compound C[C@H](N)C(O)=O QNAYBMKLOCPYGJ-REOHCLBHSA-N 0.000 description 2
- AGPKZVBTJJNPAG-WHFBIAKZSA-N L-isoleucine Chemical compound CC[C@H](C)[C@H](N)C(O)=O AGPKZVBTJJNPAG-WHFBIAKZSA-N 0.000 description 2
- ROHFNLRQFUQHCH-YFKPBYRVSA-N L-leucine Chemical compound CC(C)C[C@H](N)C(O)=O ROHFNLRQFUQHCH-YFKPBYRVSA-N 0.000 description 2
- FFEARJCKVFRZRR-BYPYZUCNSA-N L-methionine Chemical compound CSCC[C@H](N)C(O)=O FFEARJCKVFRZRR-BYPYZUCNSA-N 0.000 description 2
- COLNVLDHVKWLRT-QMMMGPOBSA-N L-phenylalanine Chemical compound OC(=O)[C@@H](N)CC1=CC=CC=C1 COLNVLDHVKWLRT-QMMMGPOBSA-N 0.000 description 2
- QIVBCDIJIAJPQS-VIFPVBQESA-N L-tryptophane Chemical compound C1=CC=C2C(C[C@H](N)C(O)=O)=CNC2=C1 QIVBCDIJIAJPQS-VIFPVBQESA-N 0.000 description 2
- OUYCCCASQSFEME-QMMMGPOBSA-N L-tyrosine Chemical compound OC(=O)[C@@H](N)CC1=CC=C(O)C=C1 OUYCCCASQSFEME-QMMMGPOBSA-N 0.000 description 2
- KZSNJWFQEVHDMF-BYPYZUCNSA-N L-valine Chemical compound CC(C)[C@H](N)C(O)=O KZSNJWFQEVHDMF-BYPYZUCNSA-N 0.000 description 2
- ROHFNLRQFUQHCH-UHFFFAOYSA-N Leucine Natural products CC(C)CC(N)C(O)=O ROHFNLRQFUQHC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KDXKERNSBIXSRK-UHFFFAOYSA-N Lysine Natural products NCCCCC(N)C(O)=O KDXKERNSBIXSR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472 Lys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30195725 Mannitol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ONIBWKKTOPOVIA-UHFFFAOYSA-N Proline Natural products OC(=O)C1CCCN1 ONIBWKKTOPOVI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269821 Scombr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MTCFGRXMJLQNBG-UHFFFAOYSA-N Serine Natural products OCC(N)C(O)=O MTCFGRXMJLQNB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QIVBCDIJIAJPQS-UHFFFAOYSA-N Tryptophan Natural products C1=CC=C2C(CC(N)C(O)=O)=CNC2=C1 QIVBCDIJIAJPQ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KZSNJWFQEVHDMF-UHFFFAOYSA-N Valine Natural products CC(C)C(N)C(O)=O KZSNJWFQEVHDM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FPIPGXGPPPQFEQ-BOOMUCAASA-N Vitamin A Natural products OC/C=C(/C)\C=C\C=C(\C)/C=C/C1=C(C)CCCC1(C)C FPIPGXGPPPQFEQ-BOOMUCAASA-N 0.000 description 2
- 229930003451 Vitamin B1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29930003471 Vitamin B2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4279 alan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ODKSFYDXXFIFQN-UHFFFAOYSA-N arginine Natural products OC(=O)C(N)CCCNC(N)=N ODKSFYDXXFIFQ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40072293 axid Drug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633 carbohyd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HVYWMOMLDIMFJA-DPAQBDIFSA-N cholesterol Chemical compound C1C=C2C[C@@H](O)CC[C@]2(C)[C@@H]2[C@@H]1[C@@H]1CC[C@H]([C@H](C)CCCC(C)C)[C@@]1(C)CC2 HVYWMOMLDIMFJA-DPAQBDIF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8417 cyste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XUJNEKJLAYXESH-UHFFFAOYSA-N cysteine Natural products SCC(N)C(O)=O XUJNEKJLAYXES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213 die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2
- HNDVDQJCIGZPNO-UHFFFAOYSA-N histidine Natural products OC(=O)C(N)CC1=CN=CN1 HNDVDQJCIGZPN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907 honey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AGPKZVBTJJNPAG-UHFFFAOYSA-N isoleucine Natural products CCC(C)C(N)C(O)=O AGPKZVBTJJNPA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60000310 isoleucin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109 kimchi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640 mackere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594 mann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355 mann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60001855 mannitol Drugs 0.000 description 2
- 229930182817 methionin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SGXXNSQHWDMGGP-IZZDOVSWSA-N nizatidine Chemical compound [O-][N+](=O)\C=C(/NC)NCCSCC1=CSC(CN(C)C)=N1 SGXXNSQHWDMGGP-IZZDOVSW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542 oligo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COLNVLDHVKWLRT-UHFFFAOYSA-N phenylalanine Natural products OC(=O)C(N)CC1=CC=CC=C1 COLNVLDHVKWLR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203 pre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827 research and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152 sensory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888 snack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188 syru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357 syrup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60003080 taurine Drugs 0.000 description 2
- DPJRMOMPQZCRJU-UHFFFAOYSA-M thiamine hydro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l-].CC1=C(CCO)SC=[N+]1CC1=CN=C(C)N=C1N DPJRMOMPQZCRJU-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OUYCCCASQSFEME-UHFFFAOYSA-N tyrosine Natural products OC(=O)C(N)CC1=CC=C(O)C=C1 OUYCCCASQSFEM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474 val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155 vitamin 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19 vitamin 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374 vitamin B1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691 vitamin B1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164 vitamin B2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16 vitamin B2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45997 vitamin a Drugs 0.000 description 2
- -1 xyl oligosaccharide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PFTAWBLQPZVEMU-DZGCQCFKSA-N (+)-catechin Chemical compound C1([C@H]2OC3=CC(O)=CC(O)=C3C[C@@H]2O)=CC=C(O)C(O)=C1 PFTAWBLQPZVEMU-DZGCQCFKSA-N 0.000 description 1
- IMPKVMRTXBRHRB-MBMOQRBOSA-N (+)-quercitol Chemical compound O[C@@H]1C[C@@H](O)[C@H](O)C(O)[C@H]1O IMPKVMRTXBRHRB-MBMOQRBOSA-N 0.000 description 1
- OWEGMIWEEQEYGQ-UHFFFAOYSA-N 100676-05-9 Natural products OC1C(O)C(O)C(CO)OC1OCC1C(O)C(O)C(O)C(OC2C(OC(O)C(O)C2O)CO)O1 OWEGMIWEEQEYG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03210 Arterioscle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11485 Aspartam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661 Chitosa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1000624562 Cololabis sai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0774 Constip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5493 Crypt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FBPFZTCFMRRESA-FSIIMWSLSA-N D-Glucitol Natural products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FSIIMWSLSA-N 0.000 description 1
- ZZZCUOFIHGPKAK-UHFFFAOYSA-N D-erythro-ascorbic acid Natural products OCC1OC(=O)C(O)=C1O ZZZCUOFIHGPKA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BPFZTCFMRRESA-JGWLITMVSA-N D-gluc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JGWLITMV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353 Dext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75 Dextr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1000937129 Drosophila melanogaster Cadherin-related tumor suppressor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09661 Enterovi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86 Erythr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UNXHWFMMPAWVPI-UHFFFAOYSA-N Erythritol Natural products OCC(O)C(O)CO UNXHWFMMPAWVP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4930 Fatty Liv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91371 Fruct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15 Fru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RFSUNEUAIZKAJO-ARQDHWQXSA-N Fruc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O)(CO)[C@@H](O)[C@@H]1O RFSUNEUAIZKAJO-ARQDHWQXSA-N 0.000 description 1
- 241001313700 Gadus chalcogramm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76438 Gadus morhu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WQZGKKKJIJFFOK-GASJEMHNSA-N 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1
- WHUUTDBJXJRKMK-UHFFFAOYSA-N Glutamic acid Natural products OC(=O)C(N)CCC(O)=O WHUUTDBJXJRKM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19708 Hepatic steat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SQUHHTBVTRBESD-UHFFFAOYSA-N Hexa-Ac-myo-Inositol Natural products CC(=O)OC1C(OC(C)=O)C(OC(C)=O)C(OC(C)=O)C(OC(C)=O)C1OC(C)=O SQUHHTBVTRBES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SKCKOFZKJLZSFA-UHFFFAOYSA-N L-Gulomethylit Natural products CC(O)C(O)C(O)C(O)CO SKCKOFZKJLZSF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SKCKOFZKJLZSFA-BXKVDMCESA-N L-rhamnitol Chemical compound C[C@H](O)[C@H](O)[C@@H](O)[C@@H](O)CO SKCKOFZKJLZSFA-BXKVDMCE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442132 Lactarius lactari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PICCSMPSSA-N Maltose Natural products O[C@@H]1[C@@H](O)[C@H](O)[C@@H](CO)O[C@@H]1O[C@@H]1[C@@H](CO)OC(O)[C@H](O)[C@H]1O GUBGYTABKSRVRQ-PICCSMPSSA-N 0.000 description 1
- GXCLVBGFBYZDAG-UHFFFAOYSA-N N-[2-(1H-indol-3-yl)ethyl]-N-methylprop-2-en-1-amine Chemical compound CN(CCC1=CNC2=C1C=CC=C2)CC=C GXCLVBGFBYZDA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28735 Nasal conges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PVNIIMVLHYAWGP-UHFFFAOYSA-N Niacin Chemical compound OC(=O)C1=CC=CN=C1 PVNIIMVLHYAWG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028344 Primula vulg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311 Primula vulga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41413 Propol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UEDUENGHJMELGK-HYDKPPNVSA-N Steviosid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12C(=C)C[C@@]3(C1)CC[C@@H]1[C@@](C)(CCC[C@]1([C@@H]3CC2)C)C(=O)O[C@H]1[C@@H]([C@@H](O)[C@H](O)[C@@H](CO)O1)O)[C@@H]1O[C@H](CO)[C@@H](O)[C@H](O)[C@H]1O UEDUENGHJMELGK-HYDKPPNVSA-N 0.000 description 1
- JZRWCGZRTZMZEH-UHFFFAOYSA-N Thiamine Natural products CC1=C(CCO)SC=[N+]1CC1=CN=C(C)N=C1N JZRWCGZRTZMZE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69841 Thunnus albacar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00605 Virus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68 Vitamin C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FYGDTMLNYKFZSV-DZOUCCHMSA-N alpha-D-Glcp-(1->4)-alpha-D-Glcp-(1->4)-D-Glcp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H]1[C@@H](CO)O[C@H](O[C@@H]2[C@H](OC(O)[C@H](O)[C@H]2O)CO)[C@H](O)[C@H]1O FYGDTMLNYKFZSV-DZOUCCHM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11775 arteriosclerosi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05 asparta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57 aspartam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IAOZJIPTCAWIRG-QWRGUYRKSA-N aspartame Chemical compound OC(=O)C[C@H](N)C(=O)N[C@H](C(=O)OC)CC1=CC=CC=C1 IAOZJIPTCAWIRG-QWRGUYRK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438 aspartame Drugs 0.000 description 1
- WQZGKKKJIJFFOK-VFUOTHLCSA-N beta-D-gluc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O)[C@@H](O)[C@@H]1O WQZGKKKJIJFFOK-VFUOTHLCSA-N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QUYVBRFLSA-N beta-mal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2[C@H](O)[C@@H](O)[C@H](O)O[C@@H]2CO)[C@H](O)[C@@H](O)[C@@H]1O GUBGYTABKSRVRQ-QUYVBRFL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58 bitter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72 blood press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37 body shap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992 canned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ADRVNXBAWSRFAJ-UHFFFAOYSA-N catechin Natural products OC1Cc2cc(O)cc(O)c2OC1c3ccc(O)c(O)c3 ADRVNXBAWSRFA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487 catech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FYGDTMLNYKFZSV-ZWSAEMDYSA-N cellotri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H]1[C@@H](CO)O[C@@H](O[C@@H]2[C@H](OC(O)[C@H](O)[C@H]2O)CO)[C@H](O)[C@H]1O FYGDTMLNYKFZSV-ZWSAEMD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00 cholest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50001002 cianidan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65 commercial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1 depo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25 dextr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686 eati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694 eating hab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14 erythr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09714 erythr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 UNXHWFMMPAWVPI-ZXZARUISSA-N erythr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O UNXHWFMMPAWVPI-ZXZARUIS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0706 fatty live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611 frozen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FTSSQIKWUOOEGC-RULYVFMPSA-N fructooligosaccharide Chemical compound OC[C@H]1O[C@@](CO)(OC[C@@]2(OC[C@@]3(OC[C@@]4(OC[C@@]5(OC[C@@]6(OC[C@@]7(OC[C@@]8(OC[C@@]9(OC[C@@]%10(OC[C@@]%11(O[C@H]%12O[C@H](CO)[C@@H](O)[C@H](O)[C@H]%12O)O[C@H](CO)[C@@H](O)[C@@H]%11O)O[C@H](CO)[C@@H](O)[C@@H]%10O)O[C@H](CO)[C@@H](O)[C@@H]9O)O[C@H](CO)[C@@H](O)[C@@H]8O)O[C@H](CO)[C@@H](O)[C@@H]7O)O[C@H](CO)[C@@H](O)[C@@H]6O)O[C@H](CO)[C@@H](O)[C@@H]5O)O[C@H](CO)[C@@H](O)[C@@H]4O)O[C@H](CO)[C@@H](O)[C@@H]3O)O[C@H](CO)[C@@H](O)[C@@H]2O)[C@@H](O)[C@@H]1O FTSSQIKWUOOEGC-RULYVFMP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107187 fructooligosaccharid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255 galacto-oligosaccharid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271 galactooligo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035 gastrointestinal trac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727 gluc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922 glutam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20 glutam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94952 green tea extract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88 green tea extrac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216 herb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367 inos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 CDAISMWEOUEBRE-GPIVLXJGSA-N inositol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O)[C@H](O)[C@@H]1O CDAISMWEOUEBRE-GPIVLXJG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53 juniperus communis l. leaf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632 lipids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213 low-f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0 marinad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968 nicoti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512 nicoti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64 nicoti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482 oligo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29 palatabilit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8442 polyphenol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824 polypheno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69949 propolis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102 prote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471 retin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944 retin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07 retin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92 riboflav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51 riboflav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CDAISMWEOUEBRE-UHFFFAOYSA-N scyllo-inosotol Natural products OC1C(O)C(O)C(O)C(O)C1O CDAISMWEOUEBR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02 sea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46 side d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00 sorb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920 sorb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56 sorb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240 steatosis hepatitis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29940013618 stevioside Drugs 0.000 description 1
- OHHNJQXIOPOJSC-UHFFFAOYSA-N stevioside Natural products CC1(CCCC2(C)C3(C)CCC4(CC3(CCC12C)CC4=C)OC5OC(CO)C(O)C(O)C5OC6OC(CO)C(O)C(O)C6O)C(=O)OC7OC(CO)C(O)C(O)C7O OHHNJQXIOPOJS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02 steviosid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11117 substance-related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553 tann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648 tann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864 tann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7 thiam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KYMBYSLLVAOCFI-UHFFFAOYSA-N thiamine Chemical compound CC1=C(CCO)SCN1CC1=CN=C(C)N=C1N KYMBYSLLVAOCF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21 thiam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85 urina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4 vitamin C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8 vitamin 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722 vitamin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70—Comminuted, e.g. emulsified, fish products; Processed products therefrom such as pastes, reformed or compressed produc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명태코다리 통조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조된 명태코다리를 전처리하는 단계와, 명태코다리의 조미액의 제조단계와, 침지액의 제조단계와 명태코다리를 침지 및 통조림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태통조림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은 소비자에게 명태코다리를 가공하여 수험생, 노약자, 청소년에게 씹힘성이 좋으면서 담백한 맛의 코다리 통조림을 제공하여 영양강화는 물론 건강보호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원양산업의 소득증대에도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소비자에게 명태코다리를 가공하여 수험생, 노약자, 청소년에게 씹힘성이 좋으면서 담백한 맛의 코다리 통조림을 제공하여 영양강화는 물론 건강보호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원양산업의 소득증대에도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명태코다리를 이용한 통조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원료인 명태코다리를 전처리하는 단계와, 조미액의 제조단계와, 침지액의 제조단계와, 명태코다리를 침지 및 통조림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명태(明太, walleye pollock/alaska pollack)는 원양 어업에서 잡히는 대표적인 수산물로 가공방법, 포획방법 등에 따라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얼리지 않은 것을 생태, 얼린 것을 동태라고 부르며 반쯤 말린 것을 코다리, 명태를 얼리고 말리는 과정을 반복해 수분이 말끔히 빠진, 가공한 것을 황태, 북어라고 부른다. 또한 명태의 새끼를 노가리라고 한다.
본 발명은 가공한 명태 중에서도 코다리를 이용한 명태코다리 통조림에 관한 것이다. 코다리는 명태의 내장을 제거하여 건조시켜 수분함량이 20-60% 정도의 반건조된 명태를 말하는 데, 코다리는 지방함량이 낮고 담백하며 졸깃한 식감으로 그 맛이 일품이라고 알려져 있다.
명태코다리를 이용한 통조림에 관한 종래기술은 없는 것으로 알려 지고 있다. 그러나 어류를 이용한 통조림은 한국특허등록 10-0898134(조기류 통조림 가공을 위한 전처리 방법)는 비가식부를 제거하고, 염지하여 건조한 후 통조림한다. 한국특허등록53165 (김치가 가미된 꽁치 통조림의 제법)은 김치와 꽁치에 조미료(마늘, 고춧가루, 고추장, MSG)와 녹차엑기스를 넣고 통조림을 제조한다. 한국특허공개 2011-32285(철갑상어를 이용한 통조림의 제조방법)는 마리네이드 조성물로 전처리한 후 침지시켜 통조림을 제조한다. 한국특허등록 777755(과메기 통조림의 가공방법)은 전처리하여 양념을 넣고 통조림한다. 한국특허등록 665131(전복 통조림의 제조방법)은 조미액을 만들어 전복을 넣고 가열한 후 통조림한다. 한국특허등록 568604(수산물 통조림 및 가공방법)는 어류에 허브추출물, 청주, 소금을 넣고 삶은 후에 미네랄 성분을 넣고 통조림한다.
이와 같이 어류를 이용한 통조림 제조방법은 조기, 꽁치, 철갑상어, 과메기, 전복 등에 관한 종래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명태코다리 통조림에 관한 기술은 전혀 소개된 바 없다.
우리나라 국립수산진흥원 한국수산물 성분표(자료)에 의하면 어류의 일반성분, 무기질, 비타민, 아미노산 함량은 아래의 표 1 내지 표 6과 같다.
시료 | 수분 | 단백질 | 지방 |
명태 | 80.3 | 17.7 | 0.7 |
마른명태 | 31.1 | 61.7 | 3.1 |
대구 | 80.5 | 17.6 | 0.5 |
대구포 | 21.9 | 65.4 | 3.0 |
고등어(Mackerel) | 68.1 | 20.2(63.3) | 10.4(32.6) |
시료 | 탄수화물 | 회분 | 가식부 |
명태 | 0 | 1.5 | 39.5 |
마른명태 | 0 | 4.1 | 100 |
대구 | 0.2 | 1.2 | 45.5 |
대구포 | 1.8 | 7.9 | 100 |
고등어(Mackerel) | 0 | 1.3(4.1) | 59.4 |
명태는 Alaska Pollack이고, 마른명태는 Dried Pollack이다. 회분은 건조 상태에서 측정한 것이다.
명태와 대구는 단백질 함량이 17.7 내지 17.6으로써 비슷하고, 지방함량은 명태가 0.7%이고 대구는 0.5%로서 유사하며, 탄수화물은 명태에는 없으나 대구는 0.2%이고, 그 밖에 수분과 회분 및 가식부는 유사한 수준이다.
시료 | 칼슘 | 인 | 철 | 열량(가식부100g) |
명태 | 109 | 202 | 1.5 | 76 |
마른명태 | 243 | 582 | 2.7 | 275 |
대구 | 64 | 197 | 0.6 | 76 |
대구포 | 184 | 649 | 2.6 | 296 |
가다랑어 | 15 | 282 | 1.8 | 121 |
칼슘은 명태가 109%이고 대구가 64%이며 가다랑어는 15%로서 명태의 칼슘함량이 월등히 높으며, 인과 철은 명태, 대구, 가다랑어가 비슷한 편이다.
시료 | 비타민A (Retinol ug) |
비타민B1 (Thiamine) |
비타민B2 (Riboflavin) |
Naicin | 비타민C (Ascorbic Acid) |
명태 | 17 | 0.04 | 0.13 | 2.3 | - |
마른명태 | - | 0.15 | 0.22 | 8.3 | 0 |
대구 | 23 | 0.12 | 0.16 | 2.4 | 1 |
대구포 | - | 0.26 | 0.32 | 7.4 | - |
가다랑어 | 12 | 0.21 | 0.17 | 15.3 | 1 |
비타민A는 명태가 17%이고 대구가 23%이며 가다랑어가 12%로서 큰 차이가 없으며, 명태의 비타민B1, 비타민B2, 나이아신, 비타민C가 낮게 함유되어 있는 편이다.
시료 | 명태 | 마른명태 | 대구 |
Isoleucine | 757 | 4048 | 744 |
Leucine | 1320 | 7240 | 1381 |
Lysine | 1452 | 5747 | 1421 |
Methionine | 550 | 2345 | 457 |
Cysteine | 190 | 839 | 176 |
Phenylalanine | 641 | 3506 | 715 |
Tyrosine | 537 | 3117 | 608 |
Threonine | 711 | 3172 | 669 |
Tryptophan | 189 | 830 | 175 |
Valine | 863 | 3808 | 841 |
Histidine | 333 | 1453 | 331 |
Arginine | 982 | 6738 | 1293 |
Alanine | 944 | 4870 | 955 |
Aspartic Axid | 1292 | 7308 | 1545 |
Glutamic Acid | 2720 | 11404 | 2582 |
Glycine | 794 | 3235 | 605 |
Proline | 488 | 2595 | 530 |
Serine | 639 | 2705 | 614 |
Taurine | 136 | 603 | 177 |
시료 | 대구포 | 가다랑어 | 황다랑어 |
Isoleucine | 3278 | 1160 | 1296 |
Leucine | 5914 | 1866 | 2291 |
Lysine | 5708 | 2125 | 2259 |
Methionine | 2430 | 685 | 849 |
Cysteine | 783 | 287 | 336 |
Phenylalanine | 2741 | 994 | 1338 |
Tyrosine | 2694 | 941 | 1118 |
Threonine | 2729 | 1134 | 1117 |
Tryptophan | 660 | 324 | 353 |
Valine | 3873 | 1292 | 1529 |
Histidine | 1370 | 1451 | 623 |
Arginine | 5585 | 1649 | 1977 |
Alanine | 4076 | 1603 | 1542 |
Aspartic Axid | 6571 | 1772 | 2473 |
Glutamic Acid | 10179 | 3684 | 3932 |
Glycine | 3006 | 1101 | 1023 |
Proline | 2008 | 670 | 820 |
Serine | 2232 | 935 | 851 |
Taurine | 1491 | 299 | 35 |
맛에 영향을 주는 글루타민산 함량이 명태 2720mg, 대구 2582mg, 가다랑어 3684mg이고, 글리신 794mg, 605mg, 1101mg으로서 유사한 편이다.
명태코다리는 주로 코다리찜, 조림, 튀김 및 코다리강정으로 요리하여 반찬용, 안주용, 제사용으로 사용되어 왔다. 코다리는 지방함량이 적고 열량이 낮으며 아미노산이 풍부하여 맛이 개운하다. 또한 단백질, 무기질, 비타민이 풍부하여 노인이나 환자의 영양공급, 수험생의 간식, 다이어트식품으로 용도 개발이 요청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그러한 용도에 맞는 명태 가공 제품이 없는 실정이다. 그러나 코다리는 수분함량이 20-60중량%로 건조되어 있어 코다리 만으로 통조림을 만들게 되면 어육이 단단하게 굳어져 있으므로 딱딱한 감이 있고, 맛이 없어 식감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최근 들어서 명태에 대한 소비자의 동향과 개선방향은 다음과 같다.
1) 명태는 영양분이 풍부하고 비린 맛이 없어 누구나 좋아하는 흰살 생선이지만 구입과 가격에 대한 접근이 용이하지 못하다.
2) 명태의 섭취를 위한 조리에 대한 지식과 방법이 복잡하여 이보다 간편한 육류 섭취가 늘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육류 통조림 등의 인스턴트에 길들여져 있는 서구화 되어가는 체형과 식습관을 바로 잡을 수 있는 다이어트 식품으로 손색이 없다.
3)국내에서 소비되는 명태는 연간 약 13~18만 톤 정도 소비되는 시장으로서 현재 소비 연령층에 알맞게 새로운 상품을 개발함으로써 시장을 극대화 할 수 있다.
4) 식품 가공기술의 발달과 다양화가 이루어져 통조림과 냉동 식품을 비롯한 즉석식품이 발전함에 따라 명태 통조림은 조리가 완료된 편의 식품으로 되어 있으므로 남녀노소,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이용이 높을 것으로 예상한다.
본 발명은 명태코다리를 가공하여 소비자의 기호에 맞는 명태코다리 통조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코다리 통조림의 맛과 씹힙성(texture)을 좋게 하려면 질 좋은 조미액 조성물에 코다리를 충분히 침지시켜 식감을 개선시켜야 한다. 본 발명은 통조림용 명태코다리의 전처리 단계와, 통조림용 조미액의 제조단계와, 침지액의 제조단계와, 명태코다리를 침지 및 통조림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명태코다리 통조림은 수험생, 노약자, 청소년에게 씹힘성이 좋으면서 담백한 맛의 코다리 통조림을 제공하여 영양강화는 물론 건강보호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원양산업계의 소득증대에도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공정도이다.
본 발명은 통조림용 명태코다리의 전처리 단계와, 통조림용 조미액의 제조단계와, 침지액의 제조단계와, 명태코다리를 침지 및 통조림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1) 명태코다리 원료
원료는 원양어업서 잡아 올린 냉동된 명태를 가공 공장에서 건조시켜 수분함량이 20~60중량%로 건조된 명태를 사용한다.
2) 불가식부의 제거
명태의 머리, 꼬리, 비늘, 내장, 혈액 등의 불가식부는 상품의 가치와 품질을 높이고 작업의 편리성과 조리액의 절감을 위하여 코다리 원료의 세정 전에 내장, 혈액, 비늘 등을 제거하고 머리, 꼬리 등은 세정 또는 조리 단계에서 제거한다.
3) 조미액의 제조
조미액은 제1양념과 제2양념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양념은 주정, 소금, 당류, 정제수로 구성되며, 상기 제2양념은 식물성유, 마늘, 고춧가루, 후춧가루로 구성된다. 제1양념의 소금은 죽염 또는 천일염을 20~30중량부, 당류는 설탕 또는 물엿 10~30중량부에 당알콜 1~5중량부를 사용한다. 주정은 미림, 청주, 소주, 매실액기스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물은 수돗물, 여과수 또는 정제수를 사용한다.
상기에서 당류는 설탕, 포도당, 과당, 엿류, 당시럽류, 덱스트린, 맥아당, 말토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셀로올리고당, 프락토올리고당, 이눌로올리고당, 갈락토올리고당, 키토올리고당, 자일로올리고당, 꿀(honey), 프로폴리스(propolis), 트레할로스(trehalos),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 아스파탐(Aspartam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당알콜은 솔비톨(sorbitol), 자일리톨(xylitol), 만니톨(mannitol), 만티톨(mantitol), 람니톨(rhamnitol), 이노시톨(Inositol), 에리스리톨(Erythritol), 파라티노스(paratinose), 쿠에르시톨(quercitol)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제2양념의 식물성유는 올리브유, 포도씨유, 해바라기유, 팜유, 카놀라유, 피미자유, 콩기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 10~30중량부를 사용하고, 마늘은 5~10중량부를 사용하고, 고춧가루와 후춧가루는 각각 1중량부를 사용한다. 제1양념 50~60중량부와 제2양념 20~30중량부 및 물 10~30중량부를 섞어서 양념을 만든다. 양념에 기능성물질의 추출액 또는 분말을 5~10중량부를 섞어서 조미액을 만들 수 있다.
기능성물질은 녹차, 금앵자, 노간주나무 등의 분말 또는 추출물을 사용한다. 녹차(綠茶, Green tea)는 폴리페놀(Polyphenol)의 한 종류인 카테킨(catechin)이라 불리는 탄닌(Tannin) 성분으로 인하여 쌉싸름한 맛이 나는데, 카테킨은 항산화 작용을 하고 혈압을 낮추어 주며 심장으로의 혈류를 늘리는 효과도 있다. 소화기관 내에서의 콜레스테롤의 흡수를 저해하고 지질의 체내 침착을 억제하여 지방간이나 동맥경화를 예방한다. 또한 감기 바이러스의 활동을 저지시켜 체내의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녹차잎을 100~300mesh로 분쇄한 분말 1~3중량부를 사용하거나 또는 녹차잎을 5mm이하로 절단하여 중량 대비 5~20배량의 물에 첨가하고 90~100℃의 온도로 최초 물의 부피 대비 5~50%가 되도록 추출한 후, 여과하여 추출액 또는 분말을 5~10중량부를 사용하였다. 또한 강장, 강정, 수렴, 항균 등의 효능이 있다고 알려진 금앵자(金櫻子; Rosa laevigata)의 열매의 입자크기를 100~300mesh로 분쇄한 분말 1~3중량부를 사용하거나 또는 이들의 중량 대비 5~20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90~100℃의 온도로 최초 물의 부피 대비 5~50%가 되도록 추출한 후, 여과수단에 의해 금앵자 추출액 또는 분말을 5~10중량부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코막힘, 소변불통, 변비치료, 혈액순환개선 작용이 있다고 알려진 노간주나무(juniper tree)의 열매 입자크기를 100~300mesh로 분쇄한 분말 1~3중량부를 사용하거나 또는 이들의 중량 대비 5~20배량의 물에 첨가하고 90~100℃의 온도로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5~50%가 되도록 추출한 후, 여과수단에 의해 노간주나무 추출액 또는 분말을 5~10중량부를 사용하였다.
<조미액의 관능검사>
제1양념과 제2양념의 혼합비율에 따른 조미액의 맛을 비교하기 위하여 잘 훈련된 남녀 패널요원 각각 5명을 선발하여 5점; 아주 좋음, 4점; 좋음, 3점; 보통으로 구분하여 다음의 표 7 및 표 8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구분 | 실험예1 | 실험예2 | 실험예3 | |
제1양념 | 주정 | 10 | 15 | 20 |
소금 | 30 | 30 | 30 | |
당류* | 25 | 25 | 25 | |
물 | 10 | 15 | 20 | |
제2양념 | 식물성유 | 35 | 30 | 15 |
마늘 | 5 | 6 | 7 | |
고춧가루 | 0.8 | 0.6 | 1 | |
후춧가루 | 1.2 | 1.4 | 1 | |
기능성 물질 | 녹차 | 4 | 6 | 7 |
금앵자 | 5 | 4 | 8 | |
노간주 | 7 | 5 | 5 | |
평가 | 5 | 5 | 4 |
*당류 : 설탕 10중량부에 자일리톨 2중량부를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구분 | 실험예4 | 실험예5 | 실험예6 | |
제1양념 | 주정 | 25 | 15 | 30 |
소금 | 30 | 30 | 30 | |
당류* | 25 | 25 | 25 | |
물 | 25 | 30 | 35 | |
제2양념 | 식물성유 | 20 | 25 | 10 |
마늘 | 8 | 5 | 10 | |
고춧가루 | 1.4 | 1.3 | 0.7 | |
후춧가루 | 0.6 | 0.7 | 1.3 | |
기능성 물질 | 녹차 | 8 | 10 | 10 |
금앵자 | 7 | 6 | 10 | |
노간주 | 10 | 5 | 10 | |
평가 | 3 | 5 | 3 |
*당류 : 설탕 10중량부에 자일리톨 2중량부를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의 표 7 및 표 8의 결과로부터 소금과 당류의 농도는 고정시켰을 때, 주정 함량이 낮고 식물성유의 함량이 높을수록 관능이 좋으며, 기능성물질의 함량이 높을수록 관능이 저하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또한 정성적인 실험을 통하여 주정의 농도와 기능성성분의 함량은 낮고, 당알콜의 함량과 식물성유의 농도는 높을수록 맛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침지액의 제조
조미액의 관능검사를 통하여 제1양념 50~60중량부, 제2양념 20~30중량부, 정제수 10~30중량부, 기능성물질 5~10중량부의 범위에서 조미액의 혼합비율을 정하였다. 침지액은 조미액 40~60중량부와 정제수 60~40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여 침지액을 제조한다.
정제수에는 명태머리, 다시마, 멸치, 대파, 무 등의 열수추출물 또는 분말을 사용한다. 정제수에는 명태머리, 다시마, 멸치, 대파, 무 등을 각각 또는 혼합하여 절단한 후, 명태머리, 다시마, 멸치, 대파, 무 등에 2~3배의 정제수를 넣고 90~100℃의 온도로 열을 가한 후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10~60%가 되도록 추출한 후, 여과하여 각각 10~30중량부를 사용하였다. 분말로 사용할 경우에는 건조한 명태머리, 다시마, 멸치는 분쇄하여 사용하고, 대파와 무는 원래대로 잘게 절단하여 사용하였다.
5) 침지 및 통조림의 제조
불가식부를 제거한 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한 명태코다리 30~40중량부를 침지액 60~70중량부를 넣고 50~80℃에서 10분 동안 열을 가한다. 명태코다리 육질의 부드러움과 쫄깃함 정도를 파악하여 통조림용 캔에 넣고 침지액을 채워 공기를 제거한 후 수증기로 가열하여 살균하고 밀봉한다.
본 발명의 명태코다리 통조림의 제조방법에 대해 다양한 조건으로 실시한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에서 언급한 조건에 의해 명태코다리 통조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
반 냉동건조시킨 명태코다리를 원료로 사용하여 전처리한 후, 표 7에 기재된 실험예 1의 조미액 60중량부와 정제수 40중량부를 섞어 침지액을 만들고 상기 전처리한 명태코다리를 침지액에 첨가하고 70℃에서 7시간 동안 침지시켰다.
그런 다음 명태코다리 육질이 부드러워진 정도를 파악하여 통조림용 캔에 넣고 하기 표 9 및 표 10에 기재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과 같이 명태코다리 및 침지액을 채워 공기를 제거한 후 수증기로 가열하여 살균하고 밀봉하여 명태코다리 통조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조미액의 조성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6과 같이 만든 명태코다리 통조림의 육질의 부드러움과 쫄깃함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조미액의 관능검사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그 결과를 다음의 표 9 및 표 10에 나타냈다.
구 분 | 실시예1 | 실시예2 | 실시예3 |
침지액 | 75 | 70 | 65 |
코다리 | 25 | 30 | 35 |
평가 | 4 | 5 | 5 |
구 분 | 실시예4 | 실시예5 | 실시예6 |
침지액 | 60 | 55 | 50 |
코다리 | 40 | 45 | 50 |
평가 | 5 | 4 | 3 |
상기의 결과로부터 코다리와 침지액의 비율이 비교적 높은 실시예 2, 3, 4에서 맛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예 2>
실시예 2, 3, 4와 같은 배합비로 만든 명태코다리 통조림과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어류통조림의 맛, 씹힘성, 기호도 등을 비교하기 위하여 조미액의 관능검사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의 표 3에 나타냈다.
구분 | 본 발명 | 시중 제품 | ||||
실시예2 | 실시예3 | 실시예4 | 꽁치 | 참치 | 명태 | |
맛 | 4 | 5 | 5 | 3 | 4 | 4 |
씹힘성 | 5 | 5 | 5 | 2 | 3 | 4 |
기호도 | 5 | 5 | 5 | 3 | 3 | 4 |
시중제품 중 꽁치와 참치는 백화점 식품코너에서 구입하였고, 명태는 냉동건조된 명태를 구입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만들어 본 발명과 대조구로 비교하였다. 씹힘성은 입안에서 치아와 혀에 닿을 때 딱딱하지 않으면서도 졸깃한 느낌을 느끼게 하는 정도를 파악하여 수치로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본 발명은 시중제품 보다 맛이 우수한 통조림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시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소비자에게 명태코다리를 가공하여 수험생, 노약자, 청소년에게 씹힘성이 좋으면서 담백한 맛의 코다리 통조림을 제공하여 영양강화는 물론 건강보호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원양산업의 소득증대에도 기여할 수 있으므로 산업상이용 가능성이 크다.
Claims (9)
- 명태코다리를 전처리하는 단계와,
주정, 소금, 당류, 물로 구성되는 제1양념과 식물성유, 마늘, 고춧가루, 후춧가루로 구성되는 제2양념을 포함하는 명태코다리의 조미액의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의 조미액과 정제수를 포함하는 침지액의 제조단계와,
명태코다리를 상기의 침지액에 침지 및 통조림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태통조림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명태코다리의 수분함량은 20-6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태통조림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침지액은 제1양념 50~60중량부, 제2양념 20~30중량부 및 정제수 10~30중량부를 포함하는 조미액 40~60중량부와 정제수 40~60중량부를 혼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태통조림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침지액은 제1양념, 제2양념, 정제수를 포함하는 조미액과 정제수 이외에 녹차, 금앵자, 노간주나무의 추출물 또는 분말이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태통조림의 제조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제1양념은 죽염 또는 천일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소금 20~30중량부; 당류로서 설탕 또는 물엿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성분 10~30중량부와 당알콜 1~5중량부; 물 10~30중량부, 미림, 청주, 소주 또는 매실액기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주정 1~5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태통조림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제2양념은 올리브유, 포도씨유, 해바라기유, 팜유, 카놀라유, 피미자유 또는 콩기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식물성유 10~30중량부, 마늘 5~10중량부, 고춧가루 1중량부, 후춧가루 1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태통조림의 제조방법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7467A KR101166896B1 (ko) | 2011-12-19 | 2011-12-19 | 명태코다리 통조림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7467A KR101166896B1 (ko) | 2011-12-19 | 2011-12-19 | 명태코다리 통조림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66896B1 true KR101166896B1 (ko) | 2012-07-19 |
Family
ID=46717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37467A KR101166896B1 (ko) | 2011-12-19 | 2011-12-19 | 명태코다리 통조림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66896B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15551A (ko) | 2015-03-27 | 2016-10-06 | 김영희 | 코다리 회무침 제조방법 |
KR101823393B1 (ko) | 2015-12-10 | 2018-01-30 | 어업회사법인 고성명태 주식회사 | 해양심층수 코다리 탕수육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코다리 탕수육 |
KR101827379B1 (ko) * | 2016-11-09 | 2018-02-08 | 정길남 | 조미 명태포 제조방법 |
KR101877649B1 (ko) * | 2016-12-20 | 2018-07-12 | 영산대학교산학협력단 | 고등어 패티 제조방법 |
KR20190123421A (ko) | 2018-04-24 | 2019-11-01 | 이현린 | 춘천옥 유래의 미네랄 수를 이용한 코다리 탕의 제조방법 |
KR20200114641A (ko) * | 2019-03-29 | 2020-10-07 | 정길남 | 녹차와 매실을 주재료로 한 명태포 제조방법 |
KR20240001565A (ko) | 2022-06-27 | 2024-01-03 | 정훈 | 코다리 통조림의 제조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138337A (ja) | 1982-02-10 | 1983-08-17 | Nippon Suisan Kaisha Ltd | 白身魚缶詰の製造方法 |
KR100665131B1 (ko) | 2005-10-31 | 2007-01-04 | 박양균 | 전복 통조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전복 통조림 |
-
2011
- 2011-12-19 KR KR1020110137467A patent/KR10116689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138337A (ja) | 1982-02-10 | 1983-08-17 | Nippon Suisan Kaisha Ltd | 白身魚缶詰の製造方法 |
KR100665131B1 (ko) | 2005-10-31 | 2007-01-04 | 박양균 | 전복 통조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전복 통조림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15551A (ko) | 2015-03-27 | 2016-10-06 | 김영희 | 코다리 회무침 제조방법 |
KR101823393B1 (ko) | 2015-12-10 | 2018-01-30 | 어업회사법인 고성명태 주식회사 | 해양심층수 코다리 탕수육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코다리 탕수육 |
KR101827379B1 (ko) * | 2016-11-09 | 2018-02-08 | 정길남 | 조미 명태포 제조방법 |
KR101877649B1 (ko) * | 2016-12-20 | 2018-07-12 | 영산대학교산학협력단 | 고등어 패티 제조방법 |
KR20190123421A (ko) | 2018-04-24 | 2019-11-01 | 이현린 | 춘천옥 유래의 미네랄 수를 이용한 코다리 탕의 제조방법 |
KR20200114641A (ko) * | 2019-03-29 | 2020-10-07 | 정길남 | 녹차와 매실을 주재료로 한 명태포 제조방법 |
KR102261227B1 (ko) | 2019-03-29 | 2021-06-04 | 정길남 | 녹차와 매실을 주재료로 한 명태포 제조방법 |
KR20240001565A (ko) | 2022-06-27 | 2024-01-03 | 정훈 | 코다리 통조림의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50710B1 (ko) | 명태통조림의 제조방법 | |
KR101166896B1 (ko) | 명태코다리 통조림의 제조방법 | |
KR101766308B1 (ko) | 패류를 이용한 조미건포의 제조방법 | |
CN103099243A (zh) | 一种即食海参制作方法 | |
KR100772812B1 (ko) | 육가공품에 첨가되는 천연조미료 및 이를 이용한 육가공품 | |
KR101858627B1 (ko) | 명태순살강정의 제조방법 | |
KR101707216B1 (ko) | 닭볶음탕의 제조방법 | |
KR102710070B1 (ko) | 염장 생선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액젓을 함유하는 염장 생선 | |
CN103478687A (zh) | 一种即食金针菇酱及其制备方法 | |
KR20130020708A (ko) | 아사이베리 함유 양념소스 및 이에 의해 양념 숙성된 고기 | |
KR100666473B1 (ko) | 검은콩분말을 이용한 생선의 염장방법 | |
KR20160067347A (ko) | 매운탕용 양념의 제조방법 | |
KR101190239B1 (ko) | 함초 추출액을 이용한 반건조 오징어 및 그 제조방법 | |
KR100696888B1 (ko) | 훈제전복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훈제전복 | |
KR20220011766A (ko) | 김치 순댓국 제조 방법 | |
KR101380495B1 (ko) | 패류를 이용한 농축 액상조미료의 제조방법과 그에 의해 제조된 액상조미료 | |
KR100917682B1 (ko) | 조미 훈제 새우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한 조미 훈제 새우 | |
CN104366402A (zh) | 一种腌制竹笋 | |
KR100408780B1 (ko) | 조미 북어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KR20040094131A (ko) | 버섯 및 야채를 포함하고 고명을 얹은 오리 주물럭의제조방법 및 그 오리 주물럭 | |
KR102149406B1 (ko) | 배추 첨가 명태 초무침의 제조방법 | |
KR100996154B1 (ko) | 굴비 덮밥 소스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굴비 덮밥 소스 | |
KR20130008324A (ko) | 호두조림의 제조방법 | |
KR102525379B1 (ko) | 산천어 젓갈 및 그 제조방법 | |
KR102279035B1 (ko) | 한방 명태 양념구이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