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5126B1 - 연수기용 재생통 - Google Patents

연수기용 재생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5126B1
KR101165126B1 KR1020080043795A KR20080043795A KR101165126B1 KR 101165126 B1 KR101165126 B1 KR 101165126B1 KR 1020080043795 A KR1020080043795 A KR 1020080043795A KR 20080043795 A KR20080043795 A KR 20080043795A KR 101165126 B1 KR101165126 B1 KR 101165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eneration
water
case
water soften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3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8170A (ko
Inventor
심상철
김원태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3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5126B1/ko
Priority to JP2008165800A priority patent/JP4856675B2/ja
Priority to US12/215,498 priority patent/US8114275B2/en
Priority to CN2008101272633A priority patent/CN101618355B/zh
Publication of KR20090118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8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5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5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49/00Regeneration or reactivation of ion-exchangers; Apparatus therefor
    • B01J49/80Automatic regeneration
    • B01J49/85Controlling or regulat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49/00Regeneration or reactivation of ion-exchangers; Apparatus therefor
    • B01J49/75Regeneration or reactivation of ion-exchangers; Apparatus therefor of water softe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0Liquid flow 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6Regeneration of sorbents, filters

Abstract

본 발명은 연수기용 재생통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수기용 재생통의 내부압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유량조절장치를 포함하고 연수기와의 체결부위를 보호할 수 있는 커플링부를 구비한 연수기용 재생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연수기를 재생하는 연수기용 재생통에 있어서, 개구형성되어 재생물질이 주입되는 주입부와, 연수기에 삽입결합되는 삽입부와, 상기 주입부와 삽입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재생물질이 저장되는 저장부로 구성된 중공 형상의 케이스, 상기 주입부에 삽입되어 개구된 부분을 커버하고 케이스 내부의 압력조절이 가능한 캡 및 상기 삽입부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되는 입수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수유량이 일정하게 조절되어 재생유량, 재생시간, 및 재생효율이 일정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재생통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여 내수압에 따른 파손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연수기, 재생통, 주입부, 삽입부, 저장부, 캡, 유량

Description

연수기용 재생통 {Regeneration Tank for Water Softeners}
본 발명은 연수기용 재생통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량이 조절되고 내부 압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연수기와의 체결부위를 보호할 수 있도록 커플링부를 구비한 연수기용 재생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돗물과 같은 경수에는 정화과정에서 사용된 다량의 염소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며, 노후된 관 및 수질오염 등으로 인해 인체에 해로운 철, 아연, 납, 수은 등 각종 중금속(이온)도 함유되어 있다. 이와 같은 수돗물은 인체에 치명적이지는 않지만 피부를 세척할 때 그대로 사용하게 되면 물 속에 포함된 금속이온과 비누의 지방산이 결합하여 금속성 이물질을 만들게 되고, 이러한 금속성 이물질이 피부에 접촉하여 각종 피부질환을 일으키거나 피부의 노화를 촉진시키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수돗물을 나트륨이온(Na+)이 포함된 강산성 양이온교환수지에 통과시켜 칼슘이온(Ca2+)과 마그네슘이온(Mg2 +) 등의 경수 성분을 이온교환수 지 중의 나트륨이온과 교환시켜 줌으로써, 경수를 연수로 만드는 연수기가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연수기는 경수에 함유된 칼슘이온과 마그네슘이온을 나트륨이온으로 치환시켜 연수로 만드는 원리를 갖는데, 이를 위해 나트륨이온이 함유된 특수고분자화합물의 이온교환수지가 내장된 연수통을 필수적인 구성요소로 포함한다.
한편, 연수기의 연수통 내에 미세한 알갱이 형상의 이온교환수지가 대량으로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수돗물을 상기 연수통 내로 계속 통과시켜 이온교환수지와 접촉시킴으로써 연수를 만들어내게 되는데, 상기 이온교환수지는 수돗물과의 계속적인 접촉에 의해 나트륨성분이 상당부분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연수기는 이온교환수지 재생물질이 들어있는 재생통을 이용하여 재생되고, 일반적으로 이온교환수지 재생물질은 물에 용해될 경우에 나트륨이온을 생성하는 소금이 사용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연수기용 재생통(10)이 연수기(20)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일반적인 연수기(20)는 수돗물이 저장되어 있는 1개 이상의 재생통(10)을 포함하며, 연수기(20)의 하부에는 연수를 배출하기 위한 연수출수관(22)이 연결된다. 연수기 내에는 미세한 알갱이 형태의 이온교환수지가 다량 저장되어 있으며, 연수 기능을 하면서 이온교환수지의 나트륨 성분은 감소된다. 연수기(20)을 재생시키기 위하여, 연수기(20)의 상측에는 재생통(10)이 결합된다.
재생통(10)은 재생물질을 담기 위한 용기로서 재생물질로는 일반적으로 소금 이 사용되어 진다.
종래의 일반적인 연수기용 재생통(10)은 재생물질인 소금과 일정량의 물을 섞어서 생성된 재생액을 주입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연수기용 재생통(10)에 의해 연수기(20)이 재생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연수기가 일정 기간 사용되어 연수기(20) 내부의 나트륨이온이 감소된 경우, 사용자는 재생통(10)를 이용하여 연수기(20) 내부에 나트륨이온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우선, 재생통(10)에 물과 소금이 혼합된 재생액을 주입한다. 재생통(10)을 연수기(20)의 상단에 끼워넣으면 재생액은 유입구(12)를 통하여 연수기(20) 내부로 유입되어 이온교환수지를 통과하면서 나트륨이온을 제공하여 연수기(20)를 재생시킨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연수기용 재생통은, 일반적으로 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되는 경수의 수압이 일정하지 않으므로, 수압에 따라 입수유량과 재생유량이 일정치 않고 이에 따라 재생시간 및 재생 효율도 달라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연수기용 재생통은 입수유량이 조절되지 않아 고수압일 경우 내수압에 의해 파손되거나, 연수기용 재생통을 연수기에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경우 재생통의 연결부위가 쉽게 파손될 수 있어 재생액이 외부로 누수되거나 파손 부분을 통하여 오염 물질이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연수기용 재생통의 내부압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유량조절장치를 포함하고 연수기와의 체결부위를 보호할 수 있는 커플링부를 구비한 연수기용 재생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연수기를 재생하는 연수기용 재생통에 있어서, 개구형성되어 재생물질이 주입되는 주입부와, 연수통에 삽입결합되는 삽입부와, 상기 주입부와 삽입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재생물질이 저장되는 저장부로 구성된 중공 형상의 케이스; 상기 주입부에 삽입되어 개구된 부분을 커버하고 케이스 내부의 압력조절이 가능한 캡; 및 상기 삽입부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되는 입수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량조절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삽입부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가 이동되는 이동통로부가 내부에 형성된 고정부재; 및 상기 이동통로부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재의 내측면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바이어스되면서 상기 이동통로부를 개폐시키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량조절장치는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의 수압이 1~3kg/㎠을 유지하도록 작동되는 것이 좋다.
상기 캡은 케이스 내부의 압력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측에 내압조절홀이 구비된 캡 몸체부; 상기 캡 몸체부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 덥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캡 몸체부는 상기 캡 몸체부 상면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된 중공 형의 슬라이더 가이드홈; 상기 슬라이더 가이드 홈의 상측 끝단에 고정된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일단이 지지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에 접하며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하측으로 탄성 바이어스되어 상기 슬라이더 가이드 홈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왕복운동을 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와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 압력에 따라 상기 캡 몸체부의 내압조절홀을 개폐하도록 하는 패킹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캡 몸체부의 상단에는 다수의 고정돌기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캡 덮개부의 하단에는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하도록 다수의 삽입홈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캡 몸체부와 상기 캡 덮개부가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재는 중앙에 관통홀이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패킹 부재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케이스 내부의 공기가 상기 캡 몸체부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캡 몸체부는 상기 케이스 내부의 압력이 1~6kgf/cm2 을 유지하도록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부의 내측에는 여과필터부가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에서 생성된 재생액이 상기 여과필터부를 통해 연수통으로 공급되는 것이 좋다.
상기 삽입부의 외측에 결합되어 삽입부와 서로 연동하여 작동되는 커플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의 끝단에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커플링부의 내측 끝단에 형성된 돌출부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홈은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입구부; 및 상기 돌출부가 좌우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입구부와 연결된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체결홈의 입구부와 이동부 사이에 형성된 고정턱에 고정되는 것이 좋다.
상기 체결홈은 " T " 형상인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체결홈은 입구부를 중심으로 좌우로 형성된 이동부의 길이가 다르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수기용 재생통에 의하면 입수유량이 일정하게 조절되어 재생유량, 재생시간, 및 재생효율이 일정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재생통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여 내수압에 따른 파손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플링부를 구비하여 연수기와의 체결부위를 보호할 수 있고, 커플링부가 손상되는 경우 커플링부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비용면에서 유리한 효과가 있다. 한편, 연수기의 종류에 따라 커플링부만을 바꾸어서 재생통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수기용 재생통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용 재생통의 단면도이고, 도 3는 도2의 A부의 확대도이다.
도 2와 도 3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용 재생통은 중공 형상의 케이스(100), 케이스(100)를 커버하는 캡(200), 케이스(100)의 내측에 설치되어 케이스(100) 내부로 유입되는 입수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장치(300), 케이스(100)의 내측에 설치되어 케이스(100)에서 생성된 재생액을 배출시키는 여과필터부(500)를 포함한다.
케이스(100)는 개구형성되어 재생물질이 주입되는 주입부(110), 연수기의 연수통에 삽입결합되는 삽입부(120), 및 주입부(110)와 삽입부(120) 사이에 구비되어 재생물질이 저장되는 저장부(130)로 구성된다.
주입부(110)와 저장부(130)는 일체로 형성되고, 삽입부(120)와 저장부(130)는 스핀융착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또한 삽입부(120)와 저장부(13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120)에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홈(121)이 형성되며, 삽입부(120)의 내측에는 유입홈(121)과 인접하여 유량조절장치(300)가 구비된다. 삽입부(120)의 내부에는 유량조절장치(300)를 지지하면서 유입홈(121)을 통해 유입된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차단막(122)이 형성되며, 차단막(122)에는 저장부(130)의 물이 연수통으로 배출되는 통로인 여과필터부(500)가 구비된다. 삽입부(120)의 외면에는 연수통과 결합되기 위한 결합돌기(123)가 형성되는데, 여러 가지 형태의 연수통과 결합될 수 있도록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결합돌기(123)이 형성될 수 있다.
재생통은 삽입부(120)의 결합돌기(123)에 의해 연수기 또는 커플링부에 삽입결합될 수 있다. 재생통의 주입부(110)를 통해 재생물질이 주입되고, 유입홈(121)을 통해 유체가 유입되어, 저장부(130)에서 재생물질과 유체가 혼합되어 생성된 재생액은 여과필터부(500)를 통해 연수통으로 배출된다.
도 3를 참조하면, 유량조절장치(300)는 삽입부(120) 내측에 구비된 고정부재(310)와 고정부재(310)의 내측면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부재(330)에 의해 탄성바이어스되는 이동부재(320)로 구성된다. 또한 도 3의 화살표 C는 유체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고정부재(310)의 내부에는 케이스(100)의 유입홈(121)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가 이동되는 이동통로부(311)가 형성된다.
이동부재(320)는 이동통로부(311)에 구비되며, 평상시에는 탄성부재(330)에 의해 이동통로부(311)가 개방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탄성부재(330)의 복원력보다 센 수압을 갖는 유체가 유입홈(121)을 통해 유입되면, 수압에 의해 이동부재(320)는 이동통로부(311)가 좁아지도록 이동된다.
즉, 이동부재(320)는 유입홈(121)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수압에 영향을 받아 이동하게 되는데 고정부재(310)와 이동부재(320)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케이스(100)의 저장부(130)로 유입되는 입수유량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탄성부재(330)는 압축스프링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유량조절장치(300)는 케이스(100)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의 수압이 1~3kg/㎠을 유지하도록 작동되는데, 가장 바람직하게는 2.5kg/㎠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여과필터부(500)는 삽입부(120)의 내측에 설치되는 차단막(122)을 관통하여 구비되며, 차단막(122)의 두께만큼의 원통 형상으로 구성된다. 여과필터부(500)는 유체에 재생물질이 용해되어 생성되는 나트륨이온 및 염소이온 등을 포함한 재생액을 통과시키고, 용해되지 않은 재생물질은 통과시키지 않는 재질로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캡(200)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B부의 확대도이며, 도 6은 도 4의 캡(200)이 작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서 화살표 D는 캡(200) 작동 시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살펴보면, 하측에 재생통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내압 조절홀(235)이 구비된 캡 몸체부(230), 캡 몸체부(230)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 덮개부(210)를 포함한다.
캡 몸체부(230)와 캡 덮개부(210)는 다양한 형상일 수 있으나 사용자가 연 수기용 재생통으로부터 쉽게 결합 또는 분리시키도록 원통형인 것이 좋다. 보통 캡부재는 특정 부재에 나사 끼움 결합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이 경우 사용자가 캡을 돌려서 작동시키기 때문이다.
캡 몸체부(230)의 외측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체결부(29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부(290)에 의하여 연수기용 재생통에 형성된 홈에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캡 덮개부(210)은 원주방향을 따라 고무패킹이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손으로 캡을 돌릴 때 물이나 땀에 의하여 마찰력이 줄어드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캡이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캡 몸체부(230)의 상단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고정돌기(270)가 구비되어 있고 캡 덮개부(210)의 하단에는 고정돌기(270)와 대응되도록 다수의 삽입홈(미도시)이 구비되어 있어, 고정돌기(270)가 삽입홈(미도시)에 삽입되어 캡 몸체부(230)와 캡 덮개부(210)가 체결될 수 있다.
고정돌기(270)는 캡 몸체부(230)의 상단에 단단하게 고정되어 있어서 캡 덮개부(210)의 삽입홈(미도시)에 삽입 체결된 이후에는 외력에 의하여 캡 덮개부(210)가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캡 몸체부(230)의 하측 외부면에는 체결부(290)가 구비되어 있어서 연수기용 재생통에 체결되어 쉽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캡 몸체부(230)는 캡 몸체부(230)의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된 슬라이더 가이드홈(240), 슬라이더 가이드홈(240)의 상 측 끝단에 고정된 지지부재(250), 지지부재(250)에 일단이 지지되는 탄성부재(255), 탄성부재(255)의 타단에 접하여 슬라이더 가이드홈(240)의 내측을 따라 왕복운동하고 탄성부재(255)에 의해 하측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는 슬라이더(260), 슬라이더(260)와 일면이 연결되어 재생통의 내부압력에 따라 캡 몸체부(230)의 내압조절홀(235)을 개폐하도록 하는 패킹부재(265)를 포함한다.
슬라이더 가이드 홈(240)은 캡 몸체부(230)의 상부 면 중앙에서 아랫방향으로 구비된 중공 형상인 것이 좋다. 단면모양이 원통 또는 다각형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슬라이더(260)의 단면의 형상도 달라질 것이다.
지지부재(250)는 슬라이더 가이드 홈(240)의 상측 끝단에 고정되고 특히 슬라이더 가이드 홈(240)의 내측에 나사 결합 되어 고정될 수 있다. 지지부재(250)의 하측에는 탄성부재(255)가 구비되는데, 탄성부재(255)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부재(250)가 캡 몸체부(23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지지부재(250)가 슬라이더 가이드 홈(240)의 입구부분에 고정되어야 한다.
지지부재(250)의 슬라이더 가이드 홈(240)에 대한 고정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탄성부재(255)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연수기용 재생통의 내부압력의 조절범위도 조절할 수 있다. 즉, 지지부재(250)가 슬라이더 가이드 홈(240)에 깊게 삽입고정되어 있다면 탄성부재(255)의 탄성력이 증가되므로 지지부재(250)가 슬라이더 가이드 홈(240)에 얕게 삽입고정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더 큰 허용치 이상의 압력을 받을 경우에 탄성부재(255)가 이동할 것이다. 따라서, 연수기용 재생통의 내부 압력 조절범위의 수치가 낮다면 지지부재(250)를 슬라이더 가이드 홈(240)에 얕게 삽입하고, 연수기용 재생통의 내부 압력의 조절범위의 수치가 높다면 지지 부재(250)를 슬라이더 가이드 홈(240)에 깊게 삽입하는 것이 좋다.
지지부재(250)는 중앙에 관통홀(253)이 구비되어 있어서 패킹 부재(265)가 개방되었을 때 연수기용 재생통 내부의 공기가 슬라이더 가이드홈(240)을 통하여 캡 몸체부(23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로써 연수기용 재생통의 내부 압력은 감소될 수 있다.
탄성부재(255)는 상단이 지지부재(250)의 하면에 접하고, 하단이 슬라이더(260)에 접하여 설치된다. 탄성부재(255)로는 주로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스프링은 강도를 높이고 표면을 매끄럽게 처리하기 위하여 전해 연마 처리될 수 있다.
탄성부재(255)는 상단이 지지부재(250)의 하면에 접하여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더(260)를 캡 몸체부(230)의 슬라이더 가이드 홈(240)의 아랫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킨다.
슬라이더(260)는 탄성부재(255)의 타단에 접하며 탄성부재(255)의 탄성력과 재생통 내부 압력 사이의 관계에 따라 슬라이더 가이드 홈(240)의 내측 면을 따라서 탄성부재(255)를 수축시키면서 상측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탄성부재(255)의 탄성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된다.
즉 연수기용 재생통의 내부 압력이 탄성부재(255)의 탄성력보다 높다면 탄성부재(255)는 수축되고 슬라이더(260) 역시 슬라이더 가이드 홈(240)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된다. 이후 연수기용 재생통의 내부 압력이 탄성부재(255)의 탄성력보다 낮게 되면 탄성부재(255)는 복원력에 의하여 이완되고 슬라이더(260)는 슬라이더 가이드 홈(240)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된다.
패킹 부재(265)는 슬라이더(260)와 연결되어 연수기용 재생통의 내부 압력에 따라 캡 몸체부(230)의 내압조절홀(235)을 개폐하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캡 몸체 부(230)의 하측에는 내압조절홀(235)이 구비되어 있고 패킹 부재(265)가 이를 막고 있으며 패킹 부재(265)의 일면에는 슬라이더(260)가 연결되어 있어, 패킹 부재(265)와 슬라이더(260)는 동시에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탄성부재(255)의 탄성력이 연수기용 재생통의 내부 압력보다 낮다면 패킹 부재(265)는 상측으로 이동하여 내압조절홀(235)은 개방되고, 탄성부재(255)의 탄성력이 연수기용 재생통의 내부 압력보다 높다면 패킹 부재(265)는 탄성부재(255)의 복원력에 의하여 하측으로 이동하여 내압조절홀(235)은 폐쇄된다.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연수기용 재생통 캡(200)은 재생통 내부의 압력이
1 ~ 6 kgf/cm2 을 유지하도록 작동되는 것이 좋고, 바람직하게는 2.6~3.4 kgf/cm2을 유지하도록 작동되는 것이 좋다.
도 7은 도 2에서 나타낸 연수기용 재생통의 삽입부(12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연수기용 재생통의 삽입부(120)에 체결될 수 있는 커플링부(400)의 단면도이며, 도 9는 연수기용 재생통에 커플링부(400)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삽입부(120)의 외측에는 삽입부(120)에 결합되어 서로 연동하여 작동될 수 있는 커플링부(40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커플링부(400)는 중공원통형으로 형성된 몸체부(410)와 내측 끝단 형성된 돌출부(420)로 구성된다. 돌출부(420)는 커플링부(400)가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삽입부(120)의 끝단에는 체결홈(180)이 형성되며, 체결홈(180)은 커플링부(400)의 내측 끝단에 형성된 돌출부(420)가 삽입되는 입구부(160), 돌출부(420)가 좌우로 이동할 수 있으며 입구부(160)와 연결된 이동부(170)로 구성된다.
체결홈(180)은 전체적으로 " T " 형상으로서, 입구부(160)와 이동부(170) 사이에는 고정턱(165)이 형성되어 있다.
커플링부(400)가 삽입부(120)의 외측에 체결되었을 때, 커플링부(400)의 돌출부(420)는 체결홈(180)의 입구부(160)을 통하여 이동되고, 커플링부(400) 또는 연수기용 재생통이 회전되었을 때 커플링부(400)의 돌출부(420)는 삽입부(120)에 형성된 체결홈(180)의 이동부(170)에서 좌우로 작동된다.
이때, 이동부(170)는 입구부(160)를 중심으로 좌우로 형성되어 있고, 좌우 길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용 재생통에 커플링부(400)가 체결되었을 때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연수기가 일정 기간 사용되어 연수통 내부의 이온교환수지 중 나트륨 이온이 감소된 경우, 연수통 내부에 나트륨이온을 공급할 필요가 있다.
먼저, 재생통의 캡(200)을 케이스(100)에서 분리시킨 후 케이스(100) 내부에 적당량의 재생물질을 주입한다. 일반적으로 재생물질로써 소금이 사용된다.
케이스(100)의 주입부(110)에 캡(200)을 결합시킨 후, 삽입부(120)를 연수기 상단에 끼워넣으면, 외부로부터 유체가 케이스(100) 내부로 유입된다. 여기서 유체라 함은 일반적으로 수돗물을 의미한다.
케이스(100)의 저장부(130) 내부로 유입된 수돗물은 저장부(130)에 담겨져 있는 소금을 녹이게 된다. 이로써 생성된 재생액은 중력에 따라 연수통 내부로 유입되어 이온교환수지를 통과하면서 나트륨 이온을 제공하고 연수기을 재생시킨다.
연수기용 재생통의 삽입부(120)에는 커플링부(400)가 체결될 수 있다. 이는 재생통의 삽입부(120)가 연수기에 바로 체결되는 경우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졌을 때 쉽게 손상되고, 사용자가 재생통을 교체하여야 하므로 비용이 많이 들게 되고 손상부분으로 오염물질이 유입될 수 있는데, 커플링부(400)를 설치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즉, 삽입부(120) 외관에 커플링부(400)를 체결시킴으로써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졌을 때 이를 흡수하여 삽입부(120)가 손상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커플링부(400)가 삽입부(120)의 외측에 체결되었을 때, 커플링부(400)의 돌출부(420)는 체결홈(180)의 입구부(160)을 통하여 삽입되고, 커플링부(400) 또는 연수기용 재생통이 회전되었을 때, 커플링부(400)의 돌출부(420)는 삽입부(120)에 형성된 체결홈(180)의 이동부(170)에서 좌우로 작동된다.
상기와 같은 체결홈(180)의 구조로 인하여 커플링부(4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연수기용 재생통이 연수기에 결합될 때, 커플링부(400)의 돌출부(420)가 삽입부(120)의 체결홈(180) 상의 이동부(170)를 왕복할 수 있으므로 일정구간 내에서 재생통과 커플링부(200)는 따로 돌지 않고 외력의 방향에 따라 함께 돌아가게 된다.
또한 연수기와 분리시에도 잠긴 방향과 반대로 돌렸을 때 연수기용 재생통과 커플링부(400)가 함께 움직여서 용이하게 분리가 가능하다.
커플링부(400)의 돌출부(420)는 체결홈(180)의 입구부(160)와 이동부(170) 사이에 형성된 고정턱(165)에 고정될 수 있다.
커플링부(400)를 연수기용 재생통으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커플링부(400)의 돌출부(420)는 체결홈(180)의 입구부(160)로 빠져나게 된다.
체결홈(180)은 입구부(160)를 중심으로 좌우로 형성된 이동부(170)의 길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커플링부(400)의 돌출부(420)가 이동부(170) 중 짧은 쪽으로 걸려 있는 경우 외력을 가하였을 때 커플링부(400)와 연수기용 재생통을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커플링부(400)를 연수기용 재생통에 장착함으로써 연수기와의 체결부위를 보호할 수 있고, 커플링부(400)가 손상되는 경우 커플링부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비용면에서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연수기의 종류에 따라 커플링부만을 바꾸어서 재생통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연수기용 재생통(10)이 연수기(20)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용 재생통의 단면도,
도 3는 도2의 A부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캡(200)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2의 B부의 확대도,
도 6은 도 4의 캡(200)이 작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2에서 나타낸 연수기용 재생통의 삽입부(120)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연수기용 재생통의 삽입부(120)에 체결될 수 있는 커플링부(400)의 단면도, 및
도 9는 연수기용 재생통에 커플링부(400)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케이스 110 : 주입부
120 : 삽입부 121 : 유입홈
122 : 차단막 123 : 결합돌기
130 : 저장부 160 : 입구부
165 : 고정턱 170 : 이동부
180 : 체결홈 200 : 캡
210 : 캡 덮개부 230 : 캡 몸체부
235 : 내압조절홈 240 : 슬라이더 가이드홈
250 : 지지부재 255 : 탄성부재
260 : 슬라이더 265 : 패킹부재
270 : 고정돌기 300 : 유량조절장치
310 : 고정부재 311 : 이동통로부
320 : 이동부재 330 : 탄성부재
400 : 커플링부 420 : 돌출부
500 : 여과필터부

Claims (13)

  1. 연수기를 재생하는 연수기용 재생통에 있어서,
    개구형성되어 재생물질이 주입되는 주입부와, 연수기에 삽입결합되는 삽입부와, 상기 주입부와 삽입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재생물질이 저장되는 저장부로 구성된 중공 형상의 케이스;
    상기 주입부에 삽입되어 개구된 부분을 커버하고 케이스 내부의 압력조절이 가능한 캡; 및
    상기 삽입부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되는 입수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유량조절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삽입부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가 이동되는 이동통로부가 내부에 형성된 고정부재; 및
    상기 이동통로부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재의 내측면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바이어스되면서 상기 이동통로부를 개폐시키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용 재생통.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장치는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의 수압이 1~3kg/㎠ 을 유지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용 재생통.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케이스 내부의 압력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측에 내압조절홀이 구비된 캡 몸체부;
    상기 캡 몸체부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 덥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용 재생통.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캡 몸체부는
    상기 캡 몸체부 상면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된 중공 형의 슬라이더 가이드홈;
    상기 슬라이더 가이드 홈의 상측 끝단에 고정된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일단이 지지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에 접하며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하측으로 탄성 바이어스되어 상기 슬라이더 가이드 홈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왕복운동을 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와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 압력에 따라 상기 캡 몸체부의 내압조절홀을 개폐하도록 하는 패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용 재생통.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캡 몸체부의 상단에는 다수의 고정돌기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캡 덮개 부의 하단에는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하도록 다수의 삽입홈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캡 몸체부와 상기 캡 덮개부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용 재생통.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중앙에 관통홀이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패킹 부재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케이스 내부의 공기가 상기 캡 몸체부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용 재생통.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캡 몸체부는 상기 케이스 내부의 압력이 1~6kgf/cm2 을 유지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용 재생통.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내측에는 여과필터부가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에서 생성된 재생액이 상기 여과필터부를 통해 연수기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용 재생통.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외측에 결합되어 삽입부와 서로 연동하여 작동되는 커플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의 끝단에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커플링부의 내측 끝단에 형성된 돌출부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용 재생통.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은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입구부; 및 상기 돌출부가 좌우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입구부와 연결된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체결홈의 입구부와 이동부 사이에 형성된 고정턱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용 재생통.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은 " T "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용 재생통.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은 입구부를 중심으로 좌우로 형성된 이동부의 길이가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용 재생통.
KR1020080043795A 2008-05-13 2008-05-13 연수기용 재생통 KR101165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3795A KR101165126B1 (ko) 2008-05-13 2008-05-13 연수기용 재생통
JP2008165800A JP4856675B2 (ja) 2008-05-13 2008-06-25 軟水器用再生タンク
US12/215,498 US8114275B2 (en) 2008-05-13 2008-06-27 Regeneration tank for water softeners
CN2008101272633A CN101618355B (zh) 2008-05-13 2008-06-30 水软化器的再生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3795A KR101165126B1 (ko) 2008-05-13 2008-05-13 연수기용 재생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8170A KR20090118170A (ko) 2009-11-18
KR101165126B1 true KR101165126B1 (ko) 2012-07-12

Family

ID=41315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3795A KR101165126B1 (ko) 2008-05-13 2008-05-13 연수기용 재생통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114275B2 (ko)
JP (1) JP4856675B2 (ko)
KR (1) KR101165126B1 (ko)
CN (1) CN10161835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605B1 (ko) * 2011-05-11 2013-07-12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정수필터의 필터 헤드
KR101311654B1 (ko) * 2011-11-02 2013-09-25 정휘동 유로전환 기능을 갖는 필터 조립체
CN115212616B (zh) * 2022-07-21 2023-11-17 中铁五局集团第一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活性炭过滤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298B1 (ko) 2006-11-24 2008-02-18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연수기의 탱크마개 록킹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52464A (en) * 1953-02-24 1958-09-16 Louise N Millspaugh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undesired solutes from liquids
DE2950728C2 (de) * 1979-12-17 1982-12-02 Gebrüder Heyl KG Gesellschaft für Analysentechnik, 3200 Hildesheim Verfahren zum zyklischen Regenerieren von Wasserenthärtungsanlagen und programmgesteuerte Wasserenthärtungsanlage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JPH01215385A (ja) * 1987-10-13 1989-08-29 Nakamura Masaaki 再生式硬水軟化装置
JP3666025B2 (ja) * 1994-02-24 2005-06-2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軟水化装置
CN2233399Y (zh) * 1995-07-10 1996-08-21 周素欣 全自动钠离子交换水质软化器
JPH11267642A (ja) * 1998-03-24 1999-10-05 Minoura Yoshimi エジェクター付き食塩再生容器を有するイオン交換樹脂軟水 器
JP2000070931A (ja) * 1998-09-03 2000-03-07 Minoura Yoshimi イオン交換樹脂軟水器の食塩再生器
JP2000218266A (ja) * 1999-01-28 2000-08-08 Minoura Yoshimi 食塩再生器付き小型イオン交換樹脂軟水器
US6521132B2 (en) * 2001-02-15 2003-02-18 Gilles Hughes Ion exchange water softener and method
KR100503739B1 (ko) * 2003-04-21 2005-07-26 주식회사 승광 연수의 온도 세분화가 가능한 연수기 및 그 연수기용전환밸브
GB2433576A (en) * 2005-12-24 2007-06-27 Fort Vale Eng Ltd Valve assembl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298B1 (ko) 2006-11-24 2008-02-18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연수기의 탱크마개 록킹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8170A (ko) 2009-11-18
US8114275B2 (en) 2012-02-14
CN101618355B (zh) 2012-08-22
CN101618355A (zh) 2010-01-06
JP2009274056A (ja) 2009-11-26
US20090283458A1 (en) 2009-11-19
JP4856675B2 (ja) 2012-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5126B1 (ko) 연수기용 재생통
US6290845B1 (en) Water softener tank
KR200466825Y1 (ko) 연수기용 재생통 캡
KR101450341B1 (ko) 연수기
KR200466826Y1 (ko) 연수기용 재생통
KR200329439Y1 (ko) 연수기
KR100836719B1 (ko) 연수기용 체크밸브
KR101307063B1 (ko) 연수통
KR200403387Y1 (ko) 연수기용 필터 및 그 필터가 장착되는 연수기
CN220149320U (zh) 一种锅炉用软水器
KR200203209Y1 (ko) 연수기
KR200150322Y1 (ko) 경수연화수단이 구비된 세탁기
KR200413284Y1 (ko) 카트리지 필터가 구비된 연수기
KR101457693B1 (ko) 고효율 전자동 재생 연수기
KR100382121B1 (ko) 연수기의 케이스 구조
KR100408016B1 (ko) 재생제 공급기를 구비한 연수기
KR20090025017A (ko) 연수기용 재생통
KR20100035393A (ko) 연수기
KR200263100Y1 (ko) 연수기의 원수필터와 공급장치
JP3598527B2 (ja) 軟水化装置
KR20040031492A (ko) 연수기
KR101300310B1 (ko) 연수기
KR200324974Y1 (ko) 소용돌이 관이 구비된 연수기
KR200324963Y1 (ko) 이온교환수지 교체형 연수기
KR20020024148A (ko) 연수기의 원수필터와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