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3387Y1 - 연수기용 필터 및 그 필터가 장착되는 연수기 - Google Patents

연수기용 필터 및 그 필터가 장착되는 연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3387Y1
KR200403387Y1 KR20-2005-0025943U KR20050025943U KR200403387Y1 KR 200403387 Y1 KR200403387 Y1 KR 200403387Y1 KR 20050025943 U KR20050025943 U KR 20050025943U KR 200403387 Y1 KR200403387 Y1 KR 2004033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water
softener
water soften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59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군호
Original Assignee
이군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군호 filed Critical 이군호
Priority to KR20-2005-00259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33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33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33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47/00Ion-exchange processe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B01J47/014Ion-exchange processe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in which the adsorbent properties of the ion-exchanger are involved, e.g. recovery of proteins or other high-molecula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49/00Regeneration or reactivation of ion-exchangers; Apparatus therefor
    • B01J49/75Regeneration or reactivation of ion-exchangers; Apparatus therefor of water softe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5/00Softening water; Preventing scale; Adding scale preventatives or scale removers to water,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C02F5/08Treatment of water with complexing chemicals or other solubilising agents for softening, scale prevention or scale removal,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황산 세그먼트 필터와 재생통을 일체화하여 연수통에 착탈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이물질을 걸러줌과 동시에 이온교환수지를 재생할 수 있는 작용을 동시에 구현토록 한 연수기용 필터 및 그 필터가 장착되는 연수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내부에 이온교환수지가 충전되고, 상부에는 급수구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배수관이 연결되는 배수구가 형성된 연수통이 케이스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연수기에 있어서, 케이스는 그 내부에 위치된 연수통의 상단부보다는 하부측 위치에서 분할되어 상기 분할된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가 서로 끼워맞춤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아황산 칼슘볼과 정제염이 각각 수용된 연수기용 필터가 마련되어 그 배수구가 연수통의 급수구에 연결되고, 연수기용 필터의 급수구에는 급수관이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이와 같이 하면 아황산 세디필터 또는 재생통을 별도로 구매하거나 보관할 필요가 없으며, 하나의 필터만 장착하게 되면 아황산 세디필터로서의 기능과 이온교환수지 재생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연수기의 상부케이스를 들어내면 곧바로 본 고안에 따른 연수기용 필터를 교체할 수 있어 교체의 편의성을 가질 수 있으며, 연수기용 필터가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므로 외관이 깔끔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연수기용 필터 및 그 필터가 장착되는 연수기{Filter for water softener and the softener installed the filter}
본 고안은 연수기용 필터 및 그 필터가 장착되는 연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황산 세그먼트 필터와 재생통을 일체화하여 연수통에 착탈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이물질을 걸러줌과 동시에 이온교환수지를 재생할 수 있는 작용을 동시에 구현토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연수기는 수돗물, 자연수 등과 같은 원수를 이온교환수지와 반응시켜 원수중의 칼슘 이온(Ca2 +), 마그네슘 이온(Mg2 +) 등과 같은 경수 성분을 이온교환수지에 포함된 Na+이온과 치환하여 제거함으로써 원수를 온천수와 같은 연수로 만드는 장치이다.
이러한 연수기는 이온교환수지가 충전된 연수통에 급수관과 배수관을 연결하여 급수관을 통해 수돗물과 같은 경수를 유입시켜 이온교환수지를 통해 연수화한 후 배수관을 통해 배출해주는 단순한 과정을 거쳐 경수를 연수화할 수 있는데, 오랜 시간 사용하여 이온교환수지에 이물질이 축적되면 이온교환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재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은 물에 용해한 정제염을 투입하여 이온교환수지를 세척하면 되며, 이를 위해 연수통의 내부 상부에 정제염을 설치하고,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시에만 급수로를 정제염 설치위치측으로 변경하여 정제염을 녹여주게 되는데, 정제염이 연수통의 내상부에 위치되므로 정제염이 모두 소진되었을 때에는 정제염의 보충이 어렵고, 재생유로의 구조가 비교적 복잡할 뿐아니라 연수통의 하우징 내상부로부터 내하부로 재생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연수통의 하우징 내하부에 축적된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배출되지 못하는 등 재생효율이 나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원수중에 포함된 잔류염소를 제거하고 부유물질과 침전물질을 걸러주기 위한 아황산 세디필터를 급수관 상에 개재하기도 하나, 이러한 아황산 세디필터가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관계로 외부에서 아황산 세디필터의 교환시기를 쉽게 알 수 없고, 케이스를 분해한 후 아황산 세디필터를 교체해야 하였으므로 사용상 불편함이 있었다.
이를 감안하여 본 출원인은 등록실용신안 제 384925 호에서 이온교환수지가 들어있는 연수통의 상부측에는 급수구를 형성하고 하부측에는 배수구를 형성하며, 정제염이 들어있는 재생통과, 아황산 칼슘볼이 들어있는 아황산 세디필터를 각각 마련하여 연수기 사용시에는 아황산 세디필터를 연수기 케이스의 외측에서 급수관 상에 개재하고, 재생시에는 재생통을 급수관상에 개재함으로써 선택적인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연수기를 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등록실용신안 제 384925호에 따른 연수기는, 아황산 세디필터와 재생통이 각각 별도로 구비되므로 그 구매비용이 많이 소요됨은 물론 연수기 사용시에는 아황산 세디필터를 연수기에 부착한 상태에서 재생통은 별도로 보관하고, 반대로 재생시에는 아황산 세디필터를 연수기로부터 떼어낸 후 재생통을 연수기에 부착하게 되므로 사용이 매우 불편하고 아황산 세디필터 또는 재생통을 보관하는 별도의 공간이 필요한 단점이 있는 것이며, 아황산 세디필터 또는 재생통을 분실할 수도 있는 것이었다.
또한, 아황산 세디필터 또는 재생통이 연수기의 케이스 외부로 설치되므로 미관상 보기에 좋지 않으며, 외력에 의해 아황산 세디필터 또는 재생통이 타격될 경우 그 연결부위가 파손될 수도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연수기 케이스의 상부를 분할하여 서로 끼워맞춤될 수 있게 구성하고, 아황산 칼슘볼과 정제염을 하나의 필터에 수용토록 구비하여 연수통 상부의 급수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필터의 교체 편의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아황산 세디필터와 재생통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도 아황산 칼슘볼에 의한 잔류염소 제거 및 침전물질 제거의 기능과 정제염에 의한 이온교환수지 재생의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연수기용 필터 및 그 필터가 장착되는 연수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제시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연수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이온교환수지(111)가 충전되고, 상부에는 급수구(112)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배수관(20)이 연결되는 배수구(113)가 형성된 연수통(110)이 케이스(120)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연수기(100)에 있어서, 케이스(120)는 그 내부에 위치된 연수통(110)의 상단부보다는 하부측 위치에서 분할되어 상기 분할된 상부 케이스(121)와 하부 케이스(122)가 서로 끼워맞춤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아황산 칼슘볼(221)과 정제염(241)이 각각 수용된 연수기용 필터(200)의 배수구(242)가 연수통(110)의 급수구(112)에 연결되고, 연수기용 필터(200)의 급수구(222)에는 급수관(10)이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이때, 연수기용 필터(2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둘레에 통수공(211)을 갖는 리테이너(210)가 하우징(201)의 내부 상부에 끼워져 리테이너(210)의 상부 공간에 아황산 칼슘볼(221)이 충전되고, 아황산 칼슘볼 충전공간(220)의 일측으로 급수관(10)이 연결되는 급수구(222)가 형성되며, 리테이너(210)의 하부와 하우징(201)의 바닥면 사이의 통수공(211) 안쪽 위치에 통수가능한 원통형의 침전필터(230)가 끼워지며, 침전필터(230)의 안쪽공간에 정제염(241)이 충전되고, 정제염 충전공간(240) 하부에는 배수구(242)가 형성되며, 정제염 충전공간(240)의 바닥면에는 통수는 가능하면서 정제염(241)의 위치는 유지해주도록 차단막(250)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하우징(201)은 그 중간부에서 서로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정제염(241)을 충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되며, 침전필터(230)는 통상의 부직포로 구성할 수 있고, 차단막(250) 역시 부직포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3과 같이 급수관(10)의 연결부측에는 원터치 체결구(11)가 설치되고, 연수기용 필터(200)의 급수구(222)에는 원터치 체결구(11)에 연결되도록 중간부 둘레에 체결홈(223)이 형성되는데, 원터치 체결구(11)는 일반적인 관의 연결시 사용되는 원터치 체결구와 같은 공지의 부재를 적용하면 되므로 그 구체적인 구조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연수기 및 여기에 적용되는 연수기용 필터의 작용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급수관(10)을 통해 물이 유입되면 연수기(100)의 연수통(110) 상부에 연결되어 있는 연수기용 필터(200)로 유입되었다가 빠져나가 연수통(110)으로 순차 유입된다.
이때, 연수기용 필터(200)의 급수구(222)는 아황산 칼슘볼 수용공간(220) 일측에 형성되므로 급수되는 물은 아황산 칼슘볼(221)과 접촉하면서 그 내부에 포함되어 있던 잔류 염소를 제거할 수 있으며, 이후 리테이너(210)의 둘레에 형성된 통수공(211)을 통해 하부로 빠져나갔다가 다시 통수가능한 침전필터(230)를 지나면서 물속에 포함되어 있던 부유물질 또는 침전물질을 걸러줄 수 있으며, 침전필터(230)의 내측에는 정제염(241)이 수용되어 있어 이러한 정제염(241)이 물에 녹은 상태로 차단막(250)을 통과하여 연수통(1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정제염(241)이 녹은 물에 의해 이온교환수지(111)가 재생될 수 있으며, 정제염(241)이 다 녹은 상태에서는 아황산 칼슘볼(221)과 침전필터(230)에 의해 지속적인 필터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연수기(100)의 케이스(120)는 그 내부에 위치된 연수통(110)의 상단부보다는 하부측 위치에서 분할되어 상기 분할된 상부케이스(121)와 하부케이스(122)가 끼워맞춤되도록 이루어지므로 상부케이스(121)를 들어내면 연수통(110)의 상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로 연수기용 필터(200)를 연수통(110)의 상부에 설치하거나 또는 연수기용 필터(200)를 교체할 수 있어 교체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아황산 칼슘볼을 갖는 아황산 세디필터와 정재염이 담기는 재생통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통합함으로써 각각을 별도로 구매해야 할 필요가 없어 개별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발생되는 문제점을 완전하게 해결할 수 있으며, 정제염(241)이 다 녹아 이온교환수지(111)를 모두 재생한 후에는 정제염이 없는 상태에서 아황산 세디필터로서의 역할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이고, 또 이온교환수지(111)의 재생이 필요할 경우 본 고안에 따른 연수기용 필터(200)를 분리하여 여기에 정제염(241)을 채워넣거나, 새로운 연수기용 필터(200)를 교체하면 되므로 사용상 편의성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급수관(10)에는 원터치 체결구(11)가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원터치 체결구(11)가 체결될 수 있도록 연수기용 필터(200)의 급수구(222)에는 체결홈(223)이 형성된 것이므로 연수기용 필터(200)를 새로 설치하거나 교체할 때 보다 편리해지고 빠른 시간내 교체가 가능해지는 것이며, 연수기용 필터(200)가 케이스(120)의 내측에 설치되므로 외관이 깔끔해지고, 외력이 연수기용 필터(200)에 미칠 가능성이 없어 연수기용 필터(2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아황산 세디필터와 재생통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통합하여 구성한 것이므로 아황산 세디필터 또는 재생통을 별도로 구매하거나 보관할 필요가 없으며, 하나의 필터만 장착하게 되면 아황산 세디필터로서의 기능과 이온교환수지 재생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것이고, 연수기의 케이스 상부측이 분할되어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서로 끼워맞춤될 수 있도록 된 것이므로 상부케이스를 들어내면 곧바로 본 고안에 따른 연수기용 필터를 교체할 수 있어 교체의 편의성을 가질 수 있으며, 연수기용 필터가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므로 외관이 깔끔해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연수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연수기용 필터의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연수기용 필터와 급수관의 연결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연수기의 뚜껑을 열었을 때의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급수관 11 : 원터치 체결구
20 : 배수관 100 : 연수기
110 : 연수통 111 : 이온교환수지
112 : 급수구 113 : 배수구
120 : 케이스 121 : 상부 케이스
122 : 하부 케이스 200 : 연수기용 필터
201 : 하우징 210 : 리테이너
211 : 통수공 220 : 아황산 칼슘볼 충전공간
221 : 아황산 칼슘볼 222 : 급수구
223 : 체결홈 230 : 침전필터
240 : 정제염 충전공간 241 : 정제염
242 : 배수구 250 : 차단막

Claims (3)

  1. 외측 둘레에 통수공(211)을 갖는 리테이너(210)가 하우징(201)의 내부 상부에 끼워져 상기 리테이너(210)의 상부 공간에 아황산 칼슘볼(221)이 충전되고, 상기 아황산 칼슘볼 충전공간(220)의 일측으로 급수구(222)가 형성되며, 상기 리테이너(210)의 하부와 상기 하우징(201)의 바닥면 사이의 통수공 안쪽 위치에 통수가능한 원통형의 침전필터(130)가 끼워지며, 상기 침전필터(130)의 안쪽공간에 정제염(241)이 충전되고, 상기 정제염 충전공간(240) 하부에는 배수구(242)가 형성되며, 상기 정제염 충전공간(240)의 바닥면에는 통수는 가능하면서 상기 정제염(241)의 위치는 유지해주도록 차단막(250)이 구비되어 연수기와 통하는 급수관상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용 필터.
  2. 내부에 이온교환수지(111)가 충전되고, 상부에는 급수구(112)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배수관(20)이 연결되는 배수구(113)가 형성된 연수통(110)이 케이스(120)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연수기(100)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20)는 그 내부에 위치된 연수통(110)의 상단부보다는 하부측 위치에서 분할되어 상기 분할된 상부 케이스(121)와 하부 케이스(122)가 서로 끼워맞춤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청구항 1에 기재된 연수기용 필터(200)의 배수구(242)가 상기 연수통(110)의 급수구(112)에 연결되고, 상기 연수기용 필터(200)의 급수구(222)에는 급수관(10)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10)의 연결부측에는 원터치 체결구(11)가 설치되고, 상기 연수기용 필터(200)의 급수구(222)에는 상기 원터치 체결구(11)에 연결되도록 중간부 둘레에 체결홈(2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KR20-2005-0025943U 2005-09-08 2005-09-08 연수기용 필터 및 그 필터가 장착되는 연수기 KR2004033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943U KR200403387Y1 (ko) 2005-09-08 2005-09-08 연수기용 필터 및 그 필터가 장착되는 연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943U KR200403387Y1 (ko) 2005-09-08 2005-09-08 연수기용 필터 및 그 필터가 장착되는 연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3387Y1 true KR200403387Y1 (ko) 2005-12-09

Family

ID=43704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5943U KR200403387Y1 (ko) 2005-09-08 2005-09-08 연수기용 필터 및 그 필터가 장착되는 연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338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375B1 (ko) * 2007-04-04 2008-09-2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연수기용 필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375B1 (ko) * 2007-04-04 2008-09-2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연수기용 필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37816B1 (ja) 眼鏡レンズの研磨水の再生及びスラッジの除去装置
KR102037683B1 (ko) 수처리장치
EP2802399B1 (en) Water purifying filter assembly module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TW200922676A (en) Water purification cartridge and water purifier including the same
KR200403387Y1 (ko) 연수기용 필터 및 그 필터가 장착되는 연수기
CN107986466A (zh) 复合滤芯、用于净水器的复合滤芯组件和净水器
KR20150141364A (ko) 연수기
KR101866981B1 (ko) 정수기
JP5578272B2 (ja) 浄水カートリッジおよび浄水器
KR101165126B1 (ko) 연수기용 재생통
KR20110102724A (ko) 인 흡착 및 회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 흡착 및 회수방법
CN210340417U (zh) 一种用于浓盐水零排放的纳床系统
KR100859375B1 (ko) 연수기용 필터장치
KR200329439Y1 (ko) 연수기
CN217077069U (zh) 一种应用于软水机再生的盐箱
CN220149320U (zh) 一种锅炉用软水器
KR200328073Y1 (ko) 연수기
KR20150141365A (ko) 연수기용 필터조립체
CN110563189A (zh) 一种具有多级过滤的净水机
CN220867135U (zh) 一种碳酸氢钠滤芯盐水回收系统
KR200287663Y1 (ko) 필터 내장형 연수기
KR20090104334A (ko) 연수기 필터
KR101668032B1 (ko) 아령형 엘리먼트, 이를 구비한 세디먼트 필터 및 정수기
KR200359720Y1 (ko) 연수기
KR200150322Y1 (ko) 경수연화수단이 구비된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