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9720Y1 - 연수기 - Google Patents

연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9720Y1
KR200359720Y1 KR20-2004-0014592U KR20040014592U KR200359720Y1 KR 200359720 Y1 KR200359720 Y1 KR 200359720Y1 KR 20040014592 U KR20040014592 U KR 20040014592U KR 200359720 Y1 KR200359720 Y1 KR 2003597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unit
regeneration
ion exchange
sof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45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돈
Original Assignee
(주)원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원봉 filed Critical (주)원봉
Priority to KR20-2004-00145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97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97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97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5/00Softening water; Preventing scale; Adding scale preventatives or scale removers to water,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C02F5/08Treatment of water with complexing chemicals or other solubilising agents for softening, scale prevention or scale removal,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02F2001/42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using cation exchang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6Cartrid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3Press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온교환수지의 이온교환작용을 이용하여 수돗물 등의 상수 원수를 연수화(Softening)하는 연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온수용 연수화장치와 냉수용 연수화장치가 하나의 케이스에 내장되어 구성되며, 각 연수화장치는, 연수화에 사용하기 위하여 급수되는 물의 압력을 일정하게 조정해주는 압력조절부; 착탈식 필터를 구비하여 압력조절부로부터 급수되는 물을 여과/정수한 후 배수부로 공급하는 정수부; 연수화 공정을 수행할 것인지 또는 재생 공정을 수행할 것인지에 따라 정수부로부터 공급되는 정수를 이온교환부 및 재생부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배수밸브로 구성되는 배수부; 양이온교환수지를 구비함으로써 배수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속에 함유된 2가 양이온을 교환/제거하는 이온교환부; 및 정제염을 저장하는 착탈식 재생통을 구비함으로써 배수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염수화한 후 이온교환부로 순환시키는 재생부로 구성되는, 연수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수기 {Water Conditioners}
본 고안은 이온교환수지의 이온교환작용을 이용하여 수돗물 등의 상수 원수를 연수화(Softening)하는 연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이온교환수지 재생을 위한 염수투입용 재생용기가 구비된 연수기에 관한 것이다.
물은 그 내부에 함유하고 있는 성분의 구성에 따라 경수(센물)와 연수(단물)로 나눌 수 있는데, 이중 경수는 금속이온, 특히 Ca2+, Mg2+, Fe2+, Mn2+, Sr2+등의 2가 금속이온이 많이 함유된 물을 말하고, 연수라 하면 이와 같은 금속이온이 적게 함유된 물을 말하며, 경도를 단위로 이용하여 그 센 정도를 표현하게 된다.
물이 센 정도, 즉 경도는 상기 2가 금속이온들의 물속에서의 양을 대응하는 탄산칼슘(CaCO3)의 양으로 환원하여 mg/l 또는 ppm으로 나타내게 되는데, 그 구체적인 2가 금속이온의 종류에 따라 칼슘경도 마그네슘경도 등으로 구분되기도 하나, 보통은 칼슘과 마그네슘 2가이온의 양을 더해서 나타내는 총경도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경도가 0-75mg/l일 때를 연수라고 하며, 76-150mg/l일 때를 중간경수(Moderately Hard Water), 151-300mg/l일 때를 경수(Hard Water), 301mg/l일 때를 고경수(Very Hard Water)라고 하는데, 이중 중간경수, 경수 또는 고경수의 2가 금속이온을 제거하여 연수로 만드는 것을 연수화(Softening)라고 하며, 이와 같은 연수화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가 바로 연수기이다.
이렇게 물에 포함된 2가 금속이온을 제거하여 물을 연수화하고자 하는 것은 경수가 물 사용시 여러 가지 좋지 않은 효과를 초래하기 때문인데, 세탁시 비누 사용량을 증가시키거나 흰색 세탁물을 변색시키고 의류 수명이 감소되며 의류에 비누때 및 세제 침적물이 응결되거나 하는 등의 현상을 발생시키고, 온수 보일러를 장시간 사용하였을 때 배관에 스케일이 형성되어 열효율이 감소하고 수명이 단축되는 현상이 발생하며, 채소, 과일 등을 세척하였을 때 그 맛이 텁텁해지는 경우가 있고, 커피나 녹차 등의 맛을 감소시키며, 경우에 따라서는 인체에 신장결석, 관절염, 변비 등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하기 때문이다.
또한, 경수로 세수 또는 목욕을 하게 되면 비누와 결합한 불용성물질이 피부에 남아 피부가 깨끗하지 못하고 머리카락이 뻣뻣해지며 화장이 잘 받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근래 사람들의 경제력이 향상되고 생활수준이 높아지면서 연수기가 많이 사용되는 것에는 이러한 단점이 가장 큰 원인이라고 말 할 수 있다.
물속의 2가 금속이온을 제거하여 경수의 이와 같은 단점들을 제거하는 연수기는 양이온교환수지(Cation Exchange Resin)가 가지고 있는 이온교환작용을 이용하는데, 양이온교환수지는 비표면적이 큰 다공성 또는 세공성(Porosity) 직경 0.3-0.6mm의 비드타입(beadtype) 스티렌(Styrene) 계열 또는 아크릴(Acryl) 계열 수지의 표면에 술폰산기(-SO3H) 또는 카르복실기(-COOH)를 관능기로서 가지고 있는 물질이 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양이온교환수지의 관능기에 1가 양이온의 염수를 가하면 -SO3 - X+또는 -COO-X+가 생성되는데, 염으로서 NaCl을 예로 들고 관능기로서 술폰산기를 예로 들며 2가 금속이온으로서 Ca2+이온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이와 같이 생성된 관능기는 하기와 같은 화학식 반응을 통해 물속의 2가 금속이온을 교환하게 된다.
2(R-SO3 -Na+) + Ca2+→ (R-SO3 -)2Ca2++ 2Na+
이러한 이온교환작용은 관능기와의 결합능이 Ca2+>Mg2+>Na+의 순으로 높기 때문으로서, 이렇게 이온교환수지를 거쳐 이온교환된 물은 Ca2+나 Mg2+대신 경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1가의 Na+를 함유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이온교환작용을 여러번 수행함으로써 일정 비율 이상의 관능기가 2가 금속이온으로 채워진 이온교환수지는 더 이상 이온교환수지로서의 기능을 할 수 없게 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렇게 되면, 이온교환수지의 관능기를 R-SO3 -Na+상태로 다시 전환해주어야 새로운 이온교환작용을 다시 수행할 수 있게 되는데, 이와 같이 2가 금속이온으로 채워진 이온교환수지의 이온교환능을 회복하기 위하여 R-SO3 -Na+상태로 다시 전환하는 것을 재생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재생은 약 15 내지 20일마다 1회씩 사용자가 직접 적당한 농도의 염수, 예를 들어 NaCl 함유 염수를 제조한 후 이 염수를 이용하여 이온교환수지를 세척해줌으로써 하기와 같은 화학식 반응을 통해 R-SO3 -Na+상태로 관능기를 다시 전환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R-SO3 -)2Ca2++ 2NaCl → 2(R-SO3 -Na+) + CaCl2
이와 같은 재생 관련 사항은 특허/실용신안 상의 기술에서도 종종 찾아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324963호에 보면, 상기한 바와 같이 염수를 이용하여 관능기를 재생하는 방법이 아닌 이온교환수지를 일정한 형태의 팩에 담아 주기적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한 연수기에 대해 개시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99836호에는, 연수기 캡의 일측에 구멍을 형성시키고 이 구멍을 통하여 염수 교환을 위한 정제염 투입관을 삽입하고 투입되는 정제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밸브를 구성하여 이온교환수지 재생을 수행하고자 한 시도에 대해 개시된 바 있다.
이밖에,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998-77112호에 보면, 세척용 염수를 제조하고 펌프를 이용하여 이 염수를 빨아들이는 방식으로 이온교환수지를 재생하고자 한 시도에 대해 개시된 바 있고,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59133호에는, 호스를 이용하여 연수기 본체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소금통에 대하여 개시된 바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특허/실용신안 상의 기술들을 포함하여 지금까지의 선행기술들은, 재생작업시 연수기캡 또는 이온교환수지캡을 분리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분리를 위한 별도의 분리공구를 필요로 하는 경우도 있었으며,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재생작업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세심하게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자칫 재생주기를 놓칠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324963호의 경우와 같이 이온교환수지팩 자체를 교환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연수기 유지비용이 과다하게 상승하게 되는 단점이 발생하게 되며, 이온교환수지통과 연결된 밸브, 연결관 등을 사용하는 방법의 경우 역시 사용자가 직접 연수기를 분해해야 한다는 부분만을 제거하였을 뿐 정확한 재생주기를 체크하여 염수를 투입하고 재생작업을 수행해야 한다는 불편은 여전하였고, 솔레노이드밸브 등 일부 전기로 작동하는 기기의 경우 쇼트 등 고장의 위험성이 더 높아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밖에, 일부 재생통이나 용기가 구비된 선행기술의 경우에도 주로 연수기 장치 내부에 장착되는 형태로 구비됨으로써 재생통 자체의 분리 및 재생염수 충전에 불편이 동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재생용 염수 충전 또는 교환시 함께 교체 또는 세척해주어야 하는 필터는 여전히 연수기 내부에 장착되어 교체/세척이 불편하도록 되어 있거나 처음부터 재생에 사용되는 염수가 필터를 통과하지 않는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재생시 오히려 이온교환수지가 오염될 염려가 있거나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종래 대부분의 연수기들은 비교적 저렴하고 성형성이 좋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hylene: PP) 재질로 제작되어 왔는데, PP는 이와 같은 장점이 있는 반면에, 장기간 사용시 순환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어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그 목적은, 연수기캡 또는 이온교환수지캡을 분리해야 하거나 분리를 위한 별도의 분리공구를 필요로 하는 불편함이 없고 매회 직접 염수를 제조하고 제조된 염수를 투입해야 하는 불편함도 없을 뿐 아니라, 어느 정도의 장시간 동안 재생주기를 놓칠 염려가 없고, 재생장치에 전기를 이용하지 않음으로써 고장의 부담이 없으며, 연수기 장치 내부에 장착되는 형태를 취하지 않음으로써 재생통 자체의 분리 및 재충전 역시 용이하고, 재생에 사용되는 염수가 필터를 통과하여 정수된 후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필터 역시 교체/세척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며, 순환되는 물의 압력을 균일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압력조절장치가 구비됨으로써 비교적 저렴하고 성형성이 좋은 PP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도록 구성된, 연수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온수용 연수화장치와 냉수용 연수화장치가 하나의 케이스(미도시)에 내장되어 구성되는 것으로서, 각 연수화장치는, 연수화에 사용하기 위하여 급수되는 물의 압력을 일정하게 조정해주는 압력조절부(100); 착탈식 필터(210)를 구비하여 압력조절부(100)로부터 급수되는 물을 여과/정수한 후 배수부(300)로 공급하는 정수부(200); 연수화 공정을 수행할 것인지 또는 재생 공정을 수행할 것인지에 따라 정수부로부터 공급되는 정수를 이온교환부(400) 및 재생부(500)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배수밸브(310)로 구성되는 배수부(300); 양이온교환수지(410)를 구비함으로써 배수부(300)로부터 공급되는 물속에 함유된 2가 양이온을 교환/제거하는 이온교환부(400); 및 정제염을 저장하는착탈식 재생통(510)을 구비함으로써 배수부(300)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염수화한 후 이온교환부(400)로 순환시키는 재생부(500)로 구성되는, 연수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고안 연수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고안 연수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연수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 연수기의 정수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압력조절부 110: 감압변
200: 정수부 210: 필터
300: 배수부 310: 3-way 밸브
320: 모드전환레버 400: 이온교환부
410: 이온교환수지 500: 재생부
510: 재생통
본 고안은 이온교환수지의 이온교환작용을 이용하여 수돗물 등의 상수 원수를 연수화(Softening)하는 연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이온교환수지 재생을 위한 염수투입용 재생용기를 착탈식으로 구비함으로써 연수기의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고 편리한 장점이 있으며, 연수 생성에 사용되는 온수 및 냉수를 정수하는 필터를 역시 착탈식으로 구비함으로써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연수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한 구현예로서 본 고안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려 하나, 본 고안을 이에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 연수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연수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연수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연수기의 정수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연수기는 온수용 연수화장치와 냉수용 연수화장치가 하나의 케이스(미도시)에 내장되어 구성되는 것으로서, 각 연수화장치는, 연수화에 사용하기 위하여 급수되는 물의 압력을 일정하게 조정해주는 압력조절부(100), 착탈식 필터(210)를 구비하여 압력조절부(100)로부터 급수되는 물을여과/정수한 후 배수부(300)로 공급하는 정수부(200), 연수화 공정을 수행할 것인지 또는 재생 공정을 수행할 것인지에 따라 정수부로부터 공급되는 정수를 이온교환부(400) 및 재생부(500)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배수밸브(310)로 구성되는 배수부(300), 양이온교환수지(410)를 구비함으로써 배수부(300)로부터 공급되는 물속에 함유된 2가 양이온을 교환/제거하는 이온교환부(400), 및 정제염을 저장하는 착탈식 재생통(510)을 구비함으로써 배수부(300)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염수화한 후 이온교환부(400)로 순환시키는 재생부(500)로 구성된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고로 하여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 연수기의 구체적인 구성요소를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서 압력조절부(100)는 급수되는 온수 또는 냉수의 압력을 균일하게 조정하여 연수화에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감압변(11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감압변(110)을 구비하여 압력을 일정하게 조정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PP(Polyprophylene) 재질로 제작되는 연수기가 고압의 물에 의해 파손되고 이에 따른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서인데, 본 고안은 이와 같이 감압변(110)을 구비하여 연수화에 사용되는 물의 압력을 균일하게 조정하고 이를 이후의 연수화 공정에 공급해줌으로써,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고 성형성이 좋은 PP 재질을 파손 또는 누수의 위험 없이 안전하게 연수기 제작에 사용할 수 있게 해 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정수부(20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온교환부(400) 및 재생부(500)와 일체화되지 않은 별도의 카트리지로 구성되며,정수부(200) 필터(210)는 이 카트리지에 장착/이탈되는 착탈식으로 구성됨으로써, 장시간 사용 후 사용자가 임의로 필터(210)를 세척 또는 교환하고자 할 때 특별한 기술이나 별도의 공구 없이 필터(210) 만을 용이하게 분리하여 작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에서 배수부(30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2가지로 물의 순환 경로를 전환할 수 있는 3-way 밸브(310), 및 사용자가 밸브(310)를 조작함으로써 연수기의 운전 모드를 연수화모드 또는 재생모드중 어느 하나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해주는 모드전환레버(320)로 구성된다.
사용자는 일정 기간 연수기를 사용 후 이온교환부(400)의 이온교환능이 떨어져 연수화 효율이 저하된다고 생각되면, 또는 최초 연수기 구입시 포함된 설명서에 설명된 사용 주기에 따라, 적정한 시기에 상기 모드전환레버(320)를 재생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이온교환부(400) 이온교환수지를 연수화가 가능한 상태로 재생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서 이온교환부(400)에 사용되는 양이온교환수지(410)는 직경 0.3-0.6mm의 비표면적이 큰 다공성(porosity) 비드타입(beadtype) 스티렌(Styrene) 계열 또는 아크릴(Acryl) 계열 수지의 표면에 양이온교환 관능기, 즉 음전하로 이온화되어 있어서 물속의 양이온을 포획할 수 있는 관능기를 가지고 있는 물질이 사용되는데, 이러한 수지로는 술폰산기(-SO3H) 또는 카르복실기(-COOH) 등 양이온을 교환할 수 있는 관능기를 가진 것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 가능하다.
본 고안 연수기의 최초 사용시 이와 같은 양이온교환수지의 관능기에 1가 양이온의 염수를 가하면 -SO3 - X+또는 -COO-X+가 생성되는데, 일반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NaCl을 예로 들고 관능기로서 술폰산기를 예로 들면, 하기와 같은 반응에 의해 이온교환을 위한 관능기가 준비되는 것이다.
R-SO3 -H++ Na+→ R-SO3 -Na++ H+
본 고안에서 재생부(500)에는 착탈식의 재생통(510)이 구비되는데, 재생부(500) 역시 상기 정수부(20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온교환부(400) 및 정수부(200)와 일체화되지 않은 별도의 카트리지로 구성되며, 재생부(500) 재생통(510)은 이 카트리지에 장착/이탈되는 착탈식으로 구성됨으로써, 장시간 사용 후 사용자가 임의로 재생통(510)에 정제염을 보충하거나 세척 또는 교환하고자 할 때 특별한 기술이나 별도의 공구 없이 재생통(510) 만을 용이하게 분리하여 작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 연수기의 연수화모드 및 재생모드에 따른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수화모드의 경우, 급수된 온수 또는 냉수는 압력조절부(100) 감압변(110)을 통과하면서 그 수압이 3kgf/cm2이하의 압력으로 균일하게 조정된 후 정수부(200)로 공급된다.
정수부(200)로 공급된 물은 필터(210)를 통과하면서 여과/정수되어 음용수수준으로 정화된 후 배수부(300)로 공급된다.
이때, 연수기를 장기간 사용하여 상기 필터(210)를 세척하거나 교환할 필요가 있을 경우, 본 고안 연수기의 정수부(200)는 이온교환부(400) 및 재생부(500)와 일체화되지 않은 별도의 카트리지로 구성되고 정수부(200) 필터(210)는 이 카트리지에 장착/이탈되는 착탈식으로 구성되므로, 사용자는 특별한 기술이나 별도의 공구 없이 케이스를 열고 필터(210) 만을 용이하게 이탈시킨 후 세척 또는 교환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배수부(300)로 공급된 물은 사용자에 의해 연수화모드로 조정된 3-way 밸브(310)를 통과하여 이온교환부(400) 양이온교환수지(410)로 공급된다.
양이온교환수지(410)에는 전기한 바와 같이 염수 첨가에 의해 생성된 음이온 관능기가 존재하는데, 염으로서 NaCl을 예로 들고 관능기로서 술폰산기를 예로 들며 2가 금속이온으로서 Ca2+이온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하기와 같은 화학식 반응을 통해 물속의 2가 금속이온을 교환함으로써 물을 연수화하게 된다.
2(R-SO3 -Na+) + Ca2+→ (R-SO3 -)2Ca2++ 2Na+
이렇게 이온교환수지를 거쳐 이온교환된 물은 Ca2+나 Mg2+대신 경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1가의 Na+를 함유하는 연수가 되어 음용수, 목욕수 또는 세탁수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다.
다음에, 본 고안 연수기의 재생모드에 따른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급수된 온수 또는 냉수는 압력조절부(100) 감압변(110)을 통과하면서 그 수압이 3kgf/cm2이하의 압력으로 균일하게 조정된 후 정수부(200)로 공급된다.
정수부(200)로 공급된 물은 필터(210)를 통과하면서 여과/정수되어 음용수 수준으로 정화된 후 배수부(300)로 공급된다.
이때, 연수기를 장기간 사용하여 상기 필터(210)를 세척하거나 교환할 필요가 있을 경우, 본 고안 연수기의 정수부(200)는 이온교환부(400) 및 재생부(500)와 일체화되지 않은 별도의 카트리지로 구성되고 정수부(200) 필터(210)는 이 카트리지에 장착/이탈되는 착탈식으로 구성되므로, 사용자는 특별한 기술이나 별도의 공구 없이 케이스를 열고 필터(210) 만을 용이하게 이탈시킨 후 세척 또는 교환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배수부(300)로 공급된 물은 사용자에 의해 재생모드로 조정된 3-way 밸브(310)를 통과하여 재생부(500) 재생통(510)으로 공급된다.
재생통(510)에 공급된 물은 정제염이 용해됨으로써 염수화된 후 이온교환부(400) 양이온교환수지(410)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재생 작업이 수행되는 경우는 연수기가 장기간 사용되어 이온교환수지(410)의 관능기가 2가 양이온으로 포화됨으로써 연수화 효율이 저하되어 있는 때라고 할 수 있는데, 염으로서 NaCl을 예로 들고 관능기로서 술폰산기를 예로 들며 2가 금속이온으로서 Ca2+이온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이와 같이 염수가 공급될경우, 하기와 같은 화학식 반응을 통해 R-SO3 -Na+상태로 관능기가 다시 전환됨으로써 재생이 이루어진다.
(R-SO3 -)2Ca2++ 2NaCl → 2(R-SO3 -Na+) + CaCl2
이와 같은 재생 과정을 거쳐 관능기가 회복된 양이온교환수지(410)는 다시 연수화 공정에 사용됨으로써 연수를 생산해 낼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이 완성됨으로써, 온수용 연수화장치와 냉수용 연수화장치가 하나의 케이스에 내장되어 구성되는 것으로서, 각 연수화장치는, 연수화에 사용하기 위하여 급수되는 물의 압력을 일정하게 조정해주는 압력조절부; 착탈식 필터를 구비하여 압력조절부로부터 급수되는 물을 여과/정수한 후 배수부로 공급하는 정수부; 연수화 공정을 수행할 것인지 또는 재생 공정을 수행할 것인지에 따라 정수부로부터 공급되는 정수를 이온교환부 및 재생부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배수밸브로 구성되는 배수부; 양이온교환수지를 구비함으로써 배수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속에 함유된 2가 양이온을 교환/제거하는 이온교환부; 및 정제염을 저장하는 착탈식 재생통을 구비함으로써 배수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염수화한 후 이온교환부로 순환시키는 재생부로 구성되는, 연수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본 고안이 완성됨으로써, 연수기캡 또는 이온교환수지캡을 분리해야 하거나분리를 위한 별도의 분리공구를 필요로 하는 불편함이 없고 매회 직접 염수를 제조하고 제조된 염수를 투입해야 하는 불편함도 없을 뿐 아니라, 어느 정도의 장시간 동안 재생주기를 놓칠 염려가 없고, 재생장치에 전기를 이용하지 않음으로써 고장의 부담이 없으며, 연수기 장치 내부에 장착되는 형태를 취하지 않음으로써 재생통 자체의 분리 및 재충전 역시 용이하고, 재생에 사용되는 염수가 필터를 통과하여 정수된 후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필터 역시 교체/세척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며, 순환되는 물의 압력을 균일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압력조절장치가 구비됨으로써 비교적 저렴하고 성형성이 좋은 PP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도록 구성된, 연수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 것이다.

Claims (5)

  1. 온수용 연수화장치와 냉수용 연수화장치가 하나의 케이스(미도시)에 내장되어 구성되는 연수기에 있어서,
    각 연수화장치는, 연수화에 사용하기 위하여 급수되는 물의 압력을 일정하게 조정해주는 압력조절부(100);
    착탈식 필터(210)를 구비하여 압력조절부(100)로부터 급수되는 물을 여과/정수한 후 배수부(300)로 공급하는 정수부(200);
    연수화 공정을 수행할 것인지 또는 재생 공정을 수행할 것인지에 따라 정수부로부터 공급되는 정수를 이온교환부(400) 및 재생부(500)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배수밸브(310)로 구성되는 배수부(300);
    양이온교환수지(410)를 구비함으로써 배수부(300)로부터 공급되는 물속에 함유된 2가 양이온을 교환/제거하는 이온교환부(400); 및
    정제염을 저장하는 착탈식 재생통(510)을 구비함으로써 배수부(300)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염수화한 후 이온교환부(400)로 순환시키는 재생부(5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압력조절부(100)는, 급수되는 물의 압력을 3kgf/cm2이하의 압력으로 균일하게 조정하여 연수화에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감압변(11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3. 제 1항에 있어서,
    정수부(200)는, 이온교환부(400) 및 재생부(500)와 일체화되지 않은 별도의 카트리지로 구성되며, 정수부(200) 필터(210)는 이 카트리지에 장착/이탈되는 착탈식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4. 제 1항에 있어서,
    배수부(30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2가지로 물의 순환 경로를 전환할 수 있는 3-way 밸브(310), 및 사용자가 밸브(310)를 조작함으로써 연수기의 운전 모드를 연수화모드 또는 재생모드중 어느 하나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해주는 모드전환레버(32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5. 제 1항에 있어서,
    재생부(500)는, 이온교환부(400) 및 정수부(200)와 일체화되지 않은 별도의 카트리지로 구성되며, 재생부(500) 재생통(510)은 이 카트리지에 장착/이탈되는 착탈식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KR20-2004-0014592U 2004-05-25 2004-05-25 연수기 KR2003597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592U KR200359720Y1 (ko) 2004-05-25 2004-05-25 연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592U KR200359720Y1 (ko) 2004-05-25 2004-05-25 연수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7475A Division KR100605126B1 (ko) 2004-05-25 2004-05-25 연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9720Y1 true KR200359720Y1 (ko) 2004-08-21

Family

ID=49435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4592U KR200359720Y1 (ko) 2004-05-25 2004-05-25 연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972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5006A (ko) * 2012-08-20 2014-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5006A (ko) * 2012-08-20 2014-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수장치
KR101977841B1 (ko) * 2012-08-20 2019-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8364B1 (ko) 수로를 개선하는 세탁기
MXPA06013010A (es) Metodo y sistema para lavar.
CN105980315A (zh) 脱钙设备
JP2011078936A (ja) 水処理装置および給湯機
KR100737926B1 (ko) 연수기
JP4998842B2 (ja) 家庭用軟水装置
WO2022113741A1 (ja) 軟水化装置、軟水化装置の再生方法、及び軟水化装置の洗浄方法
KR100605126B1 (ko) 연수기
KR200359720Y1 (ko) 연수기
CN104990253A (zh) 热水器
CN102531223A (zh) 压力式软化净水器
CN202538507U (zh) 新型软化水过滤池
KR100193046B1 (ko) 연수기의 연수 및 재생 시스템
KR20150141364A (ko) 연수기
US6290845B1 (en) Water softener tank
CN212403783U (zh) 一种家用净水装置
JP3666025B2 (ja) 軟水化装置
KR200328073Y1 (ko) 연수기
CN201962149U (zh) 一种压力式软化净水器
CN204787199U (zh) 热水器
KR200203209Y1 (ko) 연수기
US20020166817A1 (en) Ion exchange media regeneration method for fluid treatment
KR19980077110A (ko) 연수기의 연수 및 재생 시스템
KR100554655B1 (ko) 연수기
KR200324963Y1 (ko) 이온교환수지 교체형 연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02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