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1364A - 연수기 - Google Patents

연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1364A
KR20150141364A KR1020140069964A KR20140069964A KR20150141364A KR 20150141364 A KR20150141364 A KR 20150141364A KR 1020140069964 A KR1020140069964 A KR 1020140069964A KR 20140069964 A KR20140069964 A KR 20140069964A KR 20150141364 A KR20150141364 A KR 201501413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inlet
filter
water softener
hardness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9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규진
송정은
황다영
Original Assignee
(주)매직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매직코스 filed Critical (주)매직코스
Priority to KR1020140069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41364A/ko
Publication of KR20150141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13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3Filter condition indic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연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 사이에 수용부가 구비된 연수기 케이스와, 상기 연수기 케이스의 수용부에 안착되고 내부에 경수를 연수로 변환시키는 양이온교환수지가 충진된 필터조립체와, 상기 연수기 케이스의 배출구 측에 장착되어 배출되는 연수의 경도 값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는 연수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연수기 케이스의 배출구로 배출되는 연수의 경도 값을 측정하여 기 설정된 경도 값에 도달하면 사용자에게 필터의 교환 및 양이온교환수지의 재생시기임을 알려줌으로써 연수기의 관리가 매우 용이하고, 연수기의 위생성 및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수기 케이스와 필터조립체 사이에 진공부가 구비되어 열의 전달을 차단함으로써 연수기 케이스 외관에 성에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연수기 사용 중 열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정에서 소비자가 간편하게 양이온교환수지를 재생시킬 수 있고, 필터부재 및 부직포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어 소비자가 직접 관리할 수 있으므로 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유지관리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연수기{Water Softeners}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연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연수기의 관리가 용이하고, 위생적이며, 연수효율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유지관리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연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돗물 또는 지하수 중에는 여러 가지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러한 불순물 중 칼륨 · 마그네슘과 같은 경도성분, 철 · 납 · 알루미늄 · 망간 · 크롬과 같은 금속이온, 수은 · 납 · 카드뮴과 같은 중금속이온물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불순물들이 포함된 수돗물 또는 지하수를 통상 ‘센물’또는 ‘경수’(Hard water)라 지칭한다.
이에 반하여, 상기와 같은 경수로부터 상기한 불순물들을 제거한 물을 ‘연수’(Soft water)라 지칭하는데, 이와 같은 연수를 사용할 경우에는 경수를 사용할 때보다 피부미용, 온천욕 효과, 각종 피부염 예방, 모발 보호, 세제 절감 및 우수한 세탁효과, 식물 성장 촉진 등에 있어서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수돗물 및 지하수 등의 경수에 함유된 불순물을 제거하여 연수로 전환시키기 위한 연수기가 개발 보급되어 있는 실정이다.
종래 연수기는 본체 내부에 양이온교환수지가 충진되어 있고, 수돗물 및 지하수 등의 경수가 연수기 본체 내부에 충진된 양이온교환수지를 통과하도록 하며 본체 내부에 충진된 다량의 양이온 교환수지가 경수내의 불순물을 흡착하여 제거함으로서 경수를 연수로 변환시켜 배출하게 된다.
상기 연수기는 장기간 사용시 양이온교환수지가 경수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기능이 소실되기 때문에 일정 주기로 본체 내부에 염수(소금물)를 투입하여 양이온교환수지를 재생시켜야 한다.
그러나, 종래 연수기는 일반 소비자들이 직접 염수(소금물)을 투입하여 양이온교환수지를 재생시키는 작업이 어렵기 때문에 전문가의 도움을 받거나, 렌탈을 사용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으며 이에 따른 유지관리비용이 많이 발생하게 되어 경제적인 부담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양이온 교환수지의 재생을 위해서는 양이온교환수지의 10% 이상의 소금이 필요하며, 최소 12시간 이상 재생해 주어야 하는데, 전문가 즉 기사의 방문으로 재생이 이루어지는 경우 12시간 이상 재생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충분한 소금량을 사용하지 않아 재생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수기의 설치장소에 따라 공급되는 경수(수돗물 또는 지하수)의 경도가 각각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양이온교환수지의 수명에 대한 소진 여부의 기준 마련이 매우 어렵고 사용자가 재생 시기를 파악하기가 어려워 인위적인 날짜에 재생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관리가 잘 안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수기 본체에 충진된 양이온교환수지만으로 경수에 함유된 불순물을 흡착, 제거함으로써, 이물질 및 염소제거, 녹물 제거의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연수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이물질 및 염소제거필터, 녹물제거필터를 추가로 장착해야 하는 번거로움 및 비용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수기가 수평으로 장착되는 경우, 연수기를 통과하는 경수가 양이온교환수지의 70%이하를 사용하여 연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것보다 연수 효율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수직으로 설치할 수밖에 없게 됨으로써 설치 장소의 제약을 받는 경우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10 - 0500904 (공고일 2005. 07. 14)
한국등록특허: 10 - 0696829 (공고일 2007. 03. 19)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수기 케이스의 배출구로 배출되는 연수의 경도 값을 측정하여 기 설정된 경도 값에 도달하면 사용자에게 필터의 교환 및 양이온교환수지의 재생시기임을 알려주어 관리가 용이하고 연수효율을 높일 수 있는 연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수기 케이스 내부에 양이온교환수지가 충진된 필터조립체를 삽입하여 경수의 필터링이 이루어지게 하고, 양이온교환수지의 재생시 양이온교환수지가 충진된 필터조립체를 연수기 케이스로부터 꺼내어 염수(소금물)에 담가 양이온교환수지를 재생시킴으로써 양이온교환수지의 재생효율을 극대화시키며, 가정에서 소비자가 간편하게 연수기의 양이온교환수지를 재생시킬 수 있어 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유지관리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연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수기 케이스와 필터조립체 사이에 진공부가 구비되어 열의 전달을 차단함으로써 연수기 케이스 외관에 성에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연수기 사용 중 열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연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수기는 경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연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 사이에 수용부가 구비된 연수기 케이스, 상기 연수기 케이스의 수용부에 안착되고 내부에 경수를 연수로 변환시키는 양이온교환수지가 충진된 필터조립체, 상기 연수기 케이스의 배출구 측에 장착되어 배출되는 연수의 경도 값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정부는 배출구로 배출되는 연수의 경도 값을 측정하는 TDS센서와, 상기 TDS센서에서 측정된 경도값과 기 설정된 경도값을 비교하여 측정된 경도값이 기설정된 경도값에 도달하면 알림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알림 신호를 받아 사용자에게 필터의 교환 및 양이온교환수지의 재생시기를 알리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연수기 케이스의 유입구 측에 장착되어 유입되는 경수의 경도값을 측정하는 유입구 측 TDS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필터조립체의 양측 단부 외주면에는 상기 연수기 케이스의 내주면과 밀착되어 상기 필터조립체와 연수기 케이스 사이에 진공부를 형성하는 씰링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필터조립체는 경수가 통과하는 입구와 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와 출구 사이에 경수를 연수로 변환시키는 양이온교환수지가 채워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입구와 출구에 대응하여 외측부에 경수가 통과되는 망이 형성되고 내측부에 경수 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부직포가 교체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입구와 출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과, 상기 캡의 내부에 장착되어 경수 내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필터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필터부재는 교체가 용이하도록 상기 캡 내의 망 외측부에 장착되는 것을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부재는 경수 또는 염수가 통과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어 경수 내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필터로 구성되며, 상기 필터는 항균 및 잔류염소를 제거하는 제 1 필터와 녹물을 제거하는 제 2 필터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둘 다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본체의 입구에는 경수와 양이온수지의 접촉효율을 높이도록 상기 유입되는 경수를 회전시켜 와류를 일으키는 와류형성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와류형성부재는 본체의 입구에 걸쳐지고 경수가 통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원형캡의 외주면에 일 회전방향을 향해 사선으로 형성되는 분사홀이 일정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연수기 케이스의 배출구로 배출되는 연수의 경도 값을 측정하여 기 설정된 경도 값에 도달하면 사용자에게 필터의 교환 및 양이온교환수지의 재생시기임을 알려줌으로써 연수기의 관리가 매우 용이하고, 연수기의 위생성 및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수기 케이스와 필터조립체 사이에 진공부가 구비되어 열의 전달을 차단함으로써 연수기 케이스 외관에 성에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연수기 사용 중 열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정에서 소비자가 간편하게 양이온교환수지의 재생은 물론 필터 및 부직포를 교환할 수 있어 소비자가 직접 관리할 수 있으므로 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유지관리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수기 케이스 내부에 수용된 필터조립체는 유입되는 경수의 불순물을 본체의 입구 측 부직포 및 필터부재가 1차 걸러내고 내부에 충진된 양이온교환수지가 2차 걸러내며, 출구 측 부직포 및 필터부재가 3차 걸러내어 연수효율을 크게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수기의 수평설치시 와류형성부재에 의해 와류를 일으키는 경수가 수평으로 눕혀진 본체의 상부측 양이온교환수지와도 접촉이 이루어져 양이온교환수지의 필터성능을 100% 활용하게 됨으로써 연수효율을 증대시키고, 또한, 연수기의 수평설치가 가능하여 설치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수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수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필터조립체에서 와류형성부재의 분사홀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수기에서 연수의 경도값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수기에서 연수기의 유입구 측에 TDS센서가 더 구비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수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를 위해서, 도면에서의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동일한 구성 부분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수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수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필터조립체에서 와류형성부재의 분사홀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수기에서 연수의 경도값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수기에서 연수기의 유입구 측에 TDS센서가 더 구비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수기는 경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연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유입구와 배출구 사이에 수용부가 구비된 연수기 케이스(100)와, 연수기 케이스의 수용부에 안착되고 내부에 경수를 연수로 변환시키는 양이온교환수지가 충진된 필터조립체(200)와, 연수기 케이스의 배출구 측에 장착되어 배출구로 배출되는 연수의 경도 값을 측정하는 측정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연수기 케이스(100)는 내부가 개방되는 중공의 몸체(110)와, 몸체(110)의 일측에 결합되어 몸체의 개방된 일면을 폐쇄하고 경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21)가 형성되는 제 1 마개(120)와, 몸체(110)의 타측에 결합되어 몸체의 개방된 타면을 폐쇄하고 경수가 배출되는 배출구(131)가 형성되는 제 2 마개(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연수기 케이스(100)의 양측 단부에는 바닥면으로부터 연수기 케이스(100)가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140)가 장착된다.
필터조립체(200)는 연수기 케이스의 몸체(110) 내부에 수용되고, 제 1 마개(120)와 제 2 마개(130) 사이에 개재되어 유입구(121)와 배출구(131)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필터조립체(200)의 외주면 양측 단부에는 연수기 케이스(100)와의 사이를 씰링하여 필터조립체(200)와 연수기 케이스(100) 사이에 진공부(300)가 형성되게 하는 씰링부재(210)가 장착된다. 즉, 필터조립체(200)의 양측 단부 외면에는 요입홈(211)이 형성되고, 요입홈(211)에는 씰링부재(210)인 오링이 끼움되어 연수기 케이스(100)의 내주면에 밀착됨으로써 필터조립체(200)와 연수기 케이스(100) 사이에 진공부(300)를 형성하게 되고, 아울러 필터조립체(200)를 지지시키게 된다.
이때, 필터조립체(200)의 외주면 양측 단부에 형성된 요입홈(211)과 이에 끼워지는 오링(210)은 연수기 케이스와의 밀폐력을 높이기 위하여 복수의 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연수기 케이스(100)와 필터조립체(200) 사이에 형성되는 진공부(300)는 온수의 사용시 온수의 열이 연수기 케이스(10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연수기 케이스(100) 외관에 성에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연수기 사용 중 열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다.
필터조립체(200)는 연수기 케이스(100)의 유입구(121)와 배출구(131)에 대응하여 경수가 통과하는 입구(221)와 출구(222)가 형성되고 입구(221)와 출구(222) 사이에 경수를 연수로 변환시키는 양이온교환수지(223)가 채워지는 본체(220)와, 본체의 입구(221)와 출구(222)에 대응하여 외측부에 경수가 통과되는 망(231)이 형성되고 내측부에 경수 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부직포(232)가 교체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입구(221)와 출구(22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230)과, 상기 캡(230) 내부에 장착되어 경수 내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필터부재(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본체(220)는 길이방향으로 입구(221)와 출구(222)가 형성되는 중공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양이온교환수지(223)가 채워진다. 본체(220)의 내부에 충진된 양이온교환수지(223)는 양이온수지, 레진(regin), 염소제거용 세라믹, 활성탄을 포함하고, 염소제거용 세라믹은 비타민, 아황산칼슘, 세라믹 볼을 포함하여 경수 내의 불순물을 흡착하는 것으로, 경수를 연수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캡(230)은 중공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외측부에 망(231)이 형성되고 내측부에 부직포(232)가 구비되어 본체(220)의 입구(221)와 출구(222)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본체(220)와 캡(230)의 탈착 구조의 일 예를 들면, 캡(230)과 본체(220)의 결합되는 면에 암수 한 쌍의 나사부(233)가 형성되어 상호 체결결합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캡(230)과 본체(220)를 분리시킬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이다.
이때, 캡(230)에 구비된 망(231)과 부직포(232)는 본체(220)의 입구(221) 및 출구(222)를 가로막아 본체(220) 내부에 충진된 양이온교환수지(223)가 빠져나오지 않게 하면서 본체(220)의 내부로 경수 또는 염수(소금물)가 통과되게 한다.
또한, 부직포(232)는 경수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 철(즉 녹), 잔류염소를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부직포(232)는 일정주기로 교체해주는 것이 좋으며, 부직포(232)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캡(23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캡(230) 내부에 장착되는 필터부재(240)는 망(121)의 외측부에 위치되게 장착된다. 즉, 필터부재(240)는 캡(230)의 외측으로부터 개방된 일단부 내측에 억지 끼움되게 장착되어 캡(230)을 본체(110)로부터 분리시키지 않고 캡(230)의 외측에서 필터부재(240)를 간편하게 교체시킬 수 있게 장착되는 것이다.
필터부재(240)는 경수 또는 염수가 통과되는 케이스(243)와, 케이스(243)의 내부에 수용되어 경수 내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필터(241,242)로 구성된다.
여기서, 필터는 항균 및 잔류염소를 제거하는 제 1 필터(241)와 녹물을 제거하는 제 2 필터(242)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또한, 항균 및 잔류염소를 제거하는 제 1 필터(241)와 녹물을 제거하는 제 2 필터(242) 둘 다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제 1 필터(241)와 제 2 필터(242)가 모두 사용되는 경우, 본체(220)의 입구 측에 항균 및 잔류염소 제거하는 제 1 필터(241)와 녹물 제거하는 제 2 필터(242)가 구비되고, 본체(220)의 내부에 양이온교환수지(223)가 구비되며, 본체(220)의 출구 측에 녹물 제거하는 제 2 필터(242)와 항균 및 잔류염소 제거하는 제 1 필터(241)가 구비된다. 즉, 필터의 적층 순서에 따라 항균 및 잔류염소제거 → 녹물제거 → 연수 → 녹물제거 → 항균 및 잔류염소제거 순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녹물제거 → 항균 및 잔류염소제거 → 연수 → 항균 및 잔류염소제거 → 녹물제거 순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체(220)의 입구(221)에는 유입되는 경수를 회전시켜 와류를 일으키는 와류형성부재(250)가 구비된다.
도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류형성부재(250)는 본체의 입구에 걸쳐지도록 가장자리를 따라 플랜지(251)가 형성되고, 플랜지(251)의 중앙에 경수가 통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원형캡(252)이 형성되며, 원형캡(252)의 외주면에 일 회전방향을 향해 사선으로 형성되는 분사홀(253)이 일정간격으로 다수 형성된다. 이때, 일 회전방향을 향해 사선으로 형성되는 분사홀(253)은 원형캡(252)의 외주면에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즉, 본체의 입구(221)로 유입되는 경수는 와류형성부재의 원형캡(252) 내로 유입되어 원형캡(252) 측면에 형성된 분사홀(253)로 분사되는데 이때, 분사홀(253)이 일 회전방향을 향해 사선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분사홀(253)로 분사되는 경수는 사선방향으로 분사가 이루어지면서 일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어 와류를 일으키게 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부(400)는 연수기 케이스의 배출구(131)로 배출되는 연수의 경도 값을 측정하는 TDS센서(410)와, TDS센서(410)에서 측정된 경도값과 기 설정된 경도값을 비교하여 측정된 경도값이 기 설정된 경도값에 도달하면 알림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420)와, 제어부(420)로부터 알림 신호를 받아 사용자에게 필터의 교환 및 양이온교환수지의 재생시기를 알리는 출력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서, TDS는 총용존고형물(Total Dissolved Solid)의 약자이며, 물의 총 경도를 측정한다.
이러한 측정부(400)는 연수기 케이스의 배출구(131) 측에 장착된다. 그리고, 측정부(400)의 제어부(420)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경도값 즉, 양이온교환수지의 재생 및 필터의 교체가 이루어져야 하는 경도값이 기 설정된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초기 세팅시 유입구(121)로 입수되는 물의 총 경도가 120㎎/L이고, 양이온교환수지 및 필터부재를 통해 불순물이 제거된 후 배출구(131)로 배출되는 물의 측정 경도가 50㎎/L일 때, 사용자는 제어부(420)에 50㎎/L이상의 값을 설정한다. 그리고, 양이온교환수지 및 필터부재의 성능이 떨어져 배출구(131)로 배출되는 물의 측정 경도값이 제어부에 기 설정된 50이상의 값에 도달하게 되면 알람을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재생 및 교환시기를 알려주는 것이다.
이때, 수질이 않 좋은 장소이거나, 수질이 때에 따라 변화하는 곳이거나, 수질이 않 좋은 나라에서는 유입구로 입수되는 물의 총 경도가 높을 수 있으며, 입수되는 물의 경도가 높을 경우 양이온교환수지 및 필터부재를 통해 불순물이 제거된 후 배출구로 배출되는 물의 경도 값도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수기 케이스의 유입구(121) 측에도 유입되는 경수의 경도값을 측정하는 유입구 측 TDS 센서(440)를 더 구비하여, 입수되는 물의 경도값을 측정하고, 배출구 측 TDS센서(410)으로 배출되는 물의 경도값을 측정하여 확인한 다음 두 경도값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경도값을 제어부에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출력부는 유입구 측에 장착된 TDS센서가 측정한 경도값과, 배출구 측에 장착된 TDS센서가 측정한 경도값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물의 총 경도값을 확인할 수 있게 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연수기는 연수기 케이스(100)의 유입구(121)로 유입되는 경수가 연수기 케이스(100) 내부에 안착된 필터조립체(200)의 캡(230)을 통해 본체의 입구로 유입된다. 이때, 캡에 구비된 부직포(232) 및 필터부재(240)가 경수 내의 이물질, 철(즉 녹), 잔류염소 등의 불순물을 1차 제거하고 항균한다.
그리고, 본체(220)의 입구 측 부직포(232)와 필터부재(240)를 통과한 경수는 와류형성부재(250)에 형성된 사선의 분사홀(253)로 분사되면서 회전되어 본체(220)의 내부에서 와류를 일으킨다. 이때, 와류를 일으키는 경수는 양이온교환수지(223)와 최대한 접촉되어 양이온교환수지(223)의 필터성능을 100% 활용하여 통과하고 아울러 양이온교환수지(223)는 경수 내의 불순물을 흡착하여 2차 제거한다.
그리고, 본체(220)의 출구(222) 측으로 배출되는 경수는 출구(222) 측 캡에 구비된 필터부재(240) 및 부직포(232)를 통해 배출되고, 아울러 출구 측 필터부재(240)와 부직포(232)는 경수 내의 불순물을 3차 제거한다.
이처럼 연수기 케이스의 유입구(121)로 유입된 경수는 필터조립체(200)를 통과하면서 경수 내에 함유된 불순물이 제거되어 연수로 전환된 상태로 연수기 케이스 배출구(131)로 배출된다.
이어, 연수기 케이스의 배출구(131) 측에 장착된 TSD센서(410)가 배출구로 배출되는 연수의 경도값을 측정하여 제어부(420)에 전송한다.
제어부(420)는 측정된 경도값과 기 설정된 경도값을 비교하여 측정된 경도값이 기 설정된 경도값에 도달한 경우 출력부(430)에 알림 신호를 전송하고, 출력부(430)는 제어부(420)로부터 알림 신호를 받아 사용자에게 필터(240)의 교환 및 양이온교환수지(223)의 재생시기를 알리는 알람 또는 음성메시지 등을 출력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필터(240)의 교환 및 양이온교환수지(223)의 재생시기를 알려주는 출력부(430)의 알람 또는 음성 메세지를 듣고 필터(240)의 교환 및 양이온교환수지(223)를 재생시기를 확인한다.
이때, 사용자는 양이온교환수지(223)를 재생함에 있어, 연수기 케이스의 몸체(110)로부터 제 1 마개(120)를 분리시킨 후 내부에 안착된 필터조립체(200)를 꺼내어 염수(소금물)에 충분히 담가 양이온교환수지(223)를 재생시킴으로써 양이온교환수지(223)의 재생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필터부재를 교체함에 있어, 필터조립체의 캡과 본체를 분리시키지 않고, 캡의 외측에서 필터부재를 빼내어 손쉽게 교체하거나 독립적으로 재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한, 부직포를 교체함에 있어, 필터조립체의 캡과 본체를 분리하여 캡 내부의 부직포를 빼내어 용이하게 교체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연수기 케이스의 배출구로 배출되는 연수의 경도 값을 측정하여 기 설정된 경도 값에 도달하면 사용자에게 필터의 교환 및 양이온교환수지의 재생시기임을 알려줌으로써 연수기의 관리가 매우 용이하고, 연수기의 위생성 및 안전성이 향상된다.
또한, 연수기 케이스와 필터조립체 사이에 진공부가 구비되어 열의 전달을 차단함으로써 연수기 케이스 외관에 성에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연수기 사용 중 열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정에서 소비자가 간편하게 양이온교환수지의 재생은 물론 필터 및 부직포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어 소비자가 직접 관리할 수 있으므로 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유지관리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연수기 케이스 내부에 수용된 필터조립체는 유입되는 경수의 불순물을 본체의 입구측 부직포 및 필터가 1차 걸러내고 내부에 충진된 양이온교환수지가 2차 걸러내며, 출구측 부직포 및 필터가 3차 걸러내어 연수효율을 증대시킨다.
또한, 연수기의 수평설치시 와류형성부재에 의해 와류를 일으키는 경수가 수평으로 눕혀진 본체의 상부측 양이온교환수지와도 접촉이 이루어져 양이온교환수지의 필터성능을 100% 활용하게 됨으로써 연수효율을 증대시키고, 또한, 연수기의 수평설치가 가능하여 설치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은 균등물들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0: 연수기 케이스 110: 몸체
120: 제 1 마개 121: 유입구
130: 제 2 마개 131: 배출구
140: 지지부 200: 필터조립체
210: 씰링부재(오링) 211: 요입홈
220: 본체 221: 입구
222: 출구 223: 양이온교환수지
230: 캡 231: 망
232: 부직포 233: 나사부
240: 필터 241: 제 1 필터
242: 제 2 필터 243: 케이스
250: 와류형성부재 251: 플랜지
252: 원형캡 253: 분사홀
300: 진공부 400: 측정부
410: 배출구 측 TDS센서 420: 제어부
430: 출력부 440: 유입구 측 TDS센서

Claims (8)

  1. 경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연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 사이에 수용부가 구비된 연수기 케이스;
    상기 연수기 케이스의 수용부에 안착되고 내부에 경수를 연수로 변환시키는 양이온교환수지가 충진된 필터조립체; 및
    상기 연수기 케이스의 배출구 측에 장착되어 배출되는 연수의 경도 값을 측정하는 측정부;
    를 포함하는 연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배출구로 배출되는 연수의 경도 값을 측정하는 배출구 측 TDS센서와, 상기 TDS센서에서 측정된 경도값과 기 설정된 경도값을 비교하여 측정된 경도값이 기설정된 경도값에 도달하면 알림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알림 신호를 받아 사용자에게 필터의 교환 및 양이온교환수지의 재생시기를 알리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수기 케이스의 유입구 측에 장착되어 유입되는 경수의 경도값을 측정하는 유입구 측 TDS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조립체의 양측 단부 외주면에는 상기 연수기 케이스의 내주면과 밀착되어 상기 필터조립체와 연수기 케이스 사이에 진공부를 형성하는 씰링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조립체는 경수가 통과하는 입구와 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와 출구 사이에 경수를 연수로 변환시키는 양이온교환수지가 채워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입구와 출구에 대응하여 외측부에 경수가 통과되는 망이 형성되고 내측부에 경수 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부직포가 교체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입구와 출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과, 상기 캡의 내부에 장착되어 경수 내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필터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필터부재는 교체가 용이하도록 상기 캡 내의 망 외측부에 장착되는 것을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경수 또는 염수가 통과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어 경수 내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필터로 구성되며, 상기 필터는 항균 및 잔류염소를 제거하는 제 1 필터와 녹물을 제거하는 제 2 필터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둘 다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입구에는 경수와 양이온수지의 접촉효율을 높이도록 상기 유입되는 경수를 회전시켜 와류를 일으키는 와류형성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형성부재는 본체의 입구에 걸쳐지고 경수가 통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원형캡의 외주면에 일 회전방향을 향해 사선으로 형성되는 분사홀이 일정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
KR1020140069964A 2014-06-10 2014-06-10 연수기 KR201501413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9964A KR20150141364A (ko) 2014-06-10 2014-06-10 연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9964A KR20150141364A (ko) 2014-06-10 2014-06-10 연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1364A true KR20150141364A (ko) 2015-12-18

Family

ID=55081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9964A KR20150141364A (ko) 2014-06-10 2014-06-10 연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4136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1394A (ko) * 2017-12-29 2019-07-09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저탕식 온수기 및 물 가열기
WO2020122288A1 (ko) * 2018-12-13 2020-06-18 김병철 석회질 제거용 필터 카트릿지
KR102251826B1 (ko) * 2020-11-02 2021-05-13 서승현 녹물 감지 알림 기능을 구비한 수전용 필터
KR20210107342A (ko) * 2020-02-24 2021-09-01 이인규 정수 장치용 필터 하우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1394A (ko) * 2017-12-29 2019-07-09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저탕식 온수기 및 물 가열기
WO2020122288A1 (ko) * 2018-12-13 2020-06-18 김병철 석회질 제거용 필터 카트릿지
KR20210107342A (ko) * 2020-02-24 2021-09-01 이인규 정수 장치용 필터 하우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 장치
WO2021172820A1 (ko) * 2020-02-24 2021-09-02 이인규 정수 장치용 필터 하우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 장치
KR102251826B1 (ko) * 2020-11-02 2021-05-13 서승현 녹물 감지 알림 기능을 구비한 수전용 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41364A (ko) 연수기
CN206156891U (zh) 复合滤芯、用于净水器的复合滤芯组件和净水器
KR102055155B1 (ko) 필터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샤워기 연결바
JP5672687B2 (ja) イオン交換装置
JP4998842B2 (ja) 家庭用軟水装置
KR101486478B1 (ko) 단일 재생조 입출수구를 구비한 연수기 시스템
JP2009131768A (ja) 浄軟水器
WO2013161336A1 (ja) 洗浄機器用の濾過装置
JPWO2017109813A1 (ja) 浄水方法及び浄水装置
EA026342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воды, содержащее гравитационный фильтр
JP6089119B2 (ja) 殺菌洗浄水器
CN102303930A (zh) 软水净水机
CN206384889U (zh) 一种软水器盐箱及软水器
JP2012205993A (ja) イオン交換装置及びその塔体
KR101866981B1 (ko) 정수기
KR101598166B1 (ko) 정수기용 정화필터
WO2016153245A1 (ko) 수지세척장치를 구비한 정수기
KR100859375B1 (ko) 연수기용 필터장치
JP2013123679A (ja) 硬水軟化装置の運転方法及び硬水軟化装置
JPH081155A (ja) 軟水装置
KR20150141363A (ko) 연수기용 필터조립체
KR100560132B1 (ko) 자동재생이 가능한 연수 바디샤워기
KR100605126B1 (ko) 연수기
CN204265577U (zh) 一种u型精密过滤器
KR101595570B1 (ko) 이온교환수지탱크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