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7342A - 정수 장치용 필터 하우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 장치 - Google Patents

정수 장치용 필터 하우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7342A
KR20210107342A KR1020200022201A KR20200022201A KR20210107342A KR 20210107342 A KR20210107342 A KR 20210107342A KR 1020200022201 A KR1020200022201 A KR 1020200022201A KR 20200022201 A KR20200022201 A KR 20200022201A KR 20210107342 A KR20210107342 A KR 20210107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
lid
belt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2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6530B1 (ko
Inventor
이인규
이종일
이종국
Original Assignee
이인규
이종국
이종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규, 이종국, 이종일 filed Critical 이인규
Priority to KR1020200022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6530B1/ko
Priority to PCT/KR2021/002168 priority patent/WO2021172820A1/ko
Publication of KR20210107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7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6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6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3Connecting the supply lines to the tap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2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having inlet or outlet por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정수 장치용 필터 하우징(housing) 장치는, 정수 장치용 필터가 수용되기 위한 공간, 상기 공간을 둘러싸는 진공층 및 상기 공간 내로 원수가 입수되기 위한 입수구를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공간의 상부를 덮기 위해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필터를 통과한 정수가 출수되기 위한 출수구 및 상기 공간으로부터 상기 출수구까지의 수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수 장치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하나 이상의 필터 하우징 장치;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 하우징 장치 내에 각각 수용되며 원수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필터;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 하우징 장치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케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정수 장치는, 정수 장치 내부의 필터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 장치를 텀블러(tumbler) 형태의 몸체부와 이를 덮는 뚜껑부로 구성하여, 싱크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직접 수도꼭지를 통하여 냉수와 온수를 구별하지 않고 정수를 출수할 수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언제든지 손쉽고 안전하게 식생활수를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정수 장치용 필터 하우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 장치 { HOUSING APPARATUS FOR FILTERS FOR WATER PURIFIERS AND WATER PURIFIERS COMPRISING THE SAME }
실시예들은 정수 장치용 필터 하우징(housing)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실시예들은 정수 장치 내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필터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 장치를 텀블러(tumbler) 형태의 몸체부와 이를 덮는 뚜껑부로 구성하여, 수도꼭지에서 출수되는 물에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싱크대에 설치 가능한 정수 장치에 관련된 것이다.
환경 오염이 심각해짐에 따라 가정 및 직장에서는 일반적으로 수돗물을 직접 식수로 사용하지 않고 별도의 정수기를 이용하여 정수된 물을 식수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정수기는 원수를 공급받아 각종 필터를 통과시킨 후 배출시키도록 구성되며, 필터는 정수의 목적 및 원수의 상태 등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와 종류의 것들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정수기에는 원수에 포함된 각종 불순물과 중금속 등을 여과시키는 단순한 정수 기능만을 갖춘 일반적인 정수기와, 정수 기능에 더하여 별도의 가열 및 냉각 장치를 구비시켜 정수된 원수의 온도를 조절해서 필요에 따라 온수와 냉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까지 갖춘 냉온 정수기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정수기는 정수를 컵에 받아 마실 수 있는 음용수를 생산하는 용도로만 발전이 되어 왔고, 주방에서 쌀이나 야채 등을 씻어 음식을 조리하거나 설거지를 하는 데에 필요한 식생활수나, 몸을 씻는 위생용수를 위한 정수기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로 인하여, 식생활수를 정수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은 음용수용 정수기에서 물을 받고 이를 싱크대로 옮겨 밥을 짓고 국물용으로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설거지 후 헹굼에 정수가 필요한 경우에도 정수기 물을 받아 이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대부분 사용자들은 설거지에 정수를 사용하는 것을 포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 위생용수 정수의 경우에도 샤워용 정수 장치가 많이 개발되기는 하였으나, 대부분 녹물을 제거하는 정도의 기능에 그치고 있어 효과가 단편적이다.
한편, 현재 개발되어 사용중인 식생활수용 정수 장치의 경우 일반 정수기를 이용하여 정수한 물을 싱크대의 한쪽 모서리에 구멍을 뚫어 조리수용 코크(일명, 파우셋)를 설치하여 사용하게 한 정수 장치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수 장치 또한 여러 가지의 문제점이 있어 설치를 꺼리거나 설치하여 사용 중 불편하여 사용을 중단하고 방치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싱크대는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로 만들어져 한번 구멍을 뚫게 되면 복구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으며, 이에 더하여 전세나 월세를 살고 있는 사용자들에게는 임대 기간이 종료된 후 원상 복구 문제로 다툼 발생 여지가 있는 가장 큰 단점이 존재한다.
또한, 종래의 정수 장치는 파우셋을 통하여 배출되는 정수의 수압이 매우 약하여 실용적이지 못한 관계로, 중도에 사용을 포기하게 되면 이 시설물을 제거하지 못하고 방치하게 되어 싱크대를 사용하는데 걸리적 거리는 등 애물 단지가 되어 싱크대 사용에 매우 불편함을 초래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19778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직접 수도꼭지를 통하여 냉수와 온수를 구별하지 않고 정수를 출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언제든지 손쉽고 안전하게 식생활수를 사용할 수 있으며, 필터 교체 등 관리가 누구나 수행할 수 있을 정도로 수월하고, 누수나 역류 등에 의한 사고의 위험이 없는 정수 장치용 필터 하우징(housing)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정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장치용 필터 하우징(housing) 장치는, 정수 장치용 필터가 수용되기 위한 공간, 상기 공간을 둘러싸는 진공층 및 상기 공간 내로 원수가 입수되기 위한 입수구를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공간의 상부를 덮기 위해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필터를 통과한 정수가 출수되기 위한 출수구 및 상기 공간으로부터 상기 출수구까지의 수로를 포함하는 뚜껑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뚜껑부는, 상기 뚜껑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몸체부의 내측면에 결합되기 위한 나사선이 형성되며 상기 뚜껑부와 상기 몸체부가 결합될 때 상기 몸체부의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돌출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뚜껑부와 대향하는 상기 몸체부의 표면에 상기 몸체부의 단면 직경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상기 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1 고정턱을 포함하며, 상기 뚜껑부는, 상기 몸체부와 대향하는 상기 뚜껑부의 표면에 상기 뚜껑부의 단면 직경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상기 뚜껑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2 고정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고정턱 및 상기 제2 고정턱은 고정벨트에 결합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장치용 필터 하우징 장치는, 상기 뚜껑부가 상기 몸체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고정턱 및 상기 제2 고정턱에 결합되는 상기 고정벨트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벨트는, 상기 제1 고정턱 및 상기 제2 고정턱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벨트 띠; 상기 한 쌍의 벨트 띠의 한쪽 끝을 서로 결합하기 위한 요철 형태의 체결부; 및 상기 한 쌍의 벨트 띠의 다른 쪽 끝에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벨트 띠를 서로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고리잠금레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한 쌍의 벨트 띠 각각은, 상기 제1 고정턱 및 상기 제2 고정턱이 삽입되기 위한 함몰 부분을 포함하는 요철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라 구성된 하나 이상의 필터 하우징 장치;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 하우징 장치 내에 각각 수용되며 원수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필터;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 하우징 장치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케이스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 하우징 장치는, 냉수 침전 필터가 수용되도록 구성된 제1 하우징 장치; 상기 제1 하우징 장치와 연결되며 냉수 카본(carbon) 필터가 수용되도록 구성된 제2 하우징 장치; 온수 침전 필터가 수용되도록 구성된 제3 하우징 장치; 및 상기 제3 하우징 장치와 연결되며 온수 카본 필터가 수용되도록 구성된 제4 하우징 장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장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하우징 장치 내의 상기 필터를 통과한 원수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여 출수하도록 구성된 음용 필터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음용 필터는 멤브레인(membrane) 필터 및 카본 필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정수 장치용 필터 하우징(housing) 장치를 정수 장치에 이용함으로써, 주방의 싱크대 등에 설치된 수도꼭지에서 출수되는 물에서 냉수 및 온수를 불문하고 인체에 위해가 될만한 잔류염소, 녹물, 중금속 또는 기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쌀이나 야채를 씻거나 설거지를 하는 등 식생활에 관련된 물이나 몸을 씻기 위한 위생용수를 사용할 때 언제든지 안전하고 청량한 물을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정수 장치용 필터 하우징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정수 장치는, 이미 사용중인 장치 또는 냉온수기와 쉽게 연결하여 사용이 가능하며, 필터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 장치를 텀블러(tumbler) 형태의 몸체부와 이를 덮는 뚜껑부로 구성하여 누구나 쉽게 필터 교체 등 관리가 가능하고, 배수관로가 탈락되어 누수나 역류 등의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없는 이점이 있다.
도 1 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하우징(housing) 장치가 적용되는 정수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정수 장치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하우징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필터 하우징 장치에 필터가 수용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하우징 장치가 뚜껑과 결합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필터 하우징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하우징 장치의 뚜껑부에 고정벨트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필터 하우징 장치의 뚜껑부의 측면도이다.
도 6c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하우징 장치에 고정벨트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하우징 장치에 결합되는 고정벨트의 측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고정벨트의 평면도이다.
도 7c는 도 7a에 도시된 고정벨트의 부분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본 명세서에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및 제3 등의 용어들은 다양한 부분, 성분, 영역, 층 및/또는 섹션(section)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어느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을 다른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과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서술하는 제1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2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으로 언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아래", "위" 등의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에서 도시된 한 부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관계를 보다 쉽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도면에서 의도한 의미와 함께 사용중인 장치의 다른 의미나 동작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면, 도면중의 장치를 뒤집으면, 다른 부분들의 "아래"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 어느 부분들은 다른 부분들의 "위"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아래"라는 예시적인 용어는 위와 아래 방향을 전부 포함한다. 장치는 90° 회전 또는 다른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도 이에 따라서 해석된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하우징(housing) 장치가 적용되는 정수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정수 장치는 장치의 구성물을 보호하고 내부의 복잡한 구조 및 부품들을 가리면서 장치의 외부 표면을 형성하는 케이스부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케이스부는 장치의 베이스에 해당하는 하부 케이스(200)와 이의 커버에 해당하는 상부 케이스(100)를 포함한다. 상부 케이스(100)와 하부 케이스(200)는 고정핀(미도시) 등에 의하여 상호 연결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200)는 정수 장치의 각종 부품을 수용하고 있으며, 정수 장치로 원수가 입수되는 입수부와 정수가 출수되는 출수부 및 이들 사이의 수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케이스(200)는 냉수 출수구(201), 냉수 입수구(202), 온수 출수구(203) 및 온수 입수구(204)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출수구(201, 203)에는 밸브(미도시)가 결합될 수도 있다. 하부 케이스(200)의 전면은 내부의 부품 관리 등에 용이하도록 소정의 각도(예컨대, 45도)의 기울기를 가지고 전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200)는 배수구(205)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배수구(205)는 하부 케이스(200) 내부의 필터 교체 시 등에 정수 장치 내부의 물을 배출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배수구(205)는 정수 장치의 사용 중 발생될 수 있는 누수 등이 하부 케이스(200) 내부로 떨어져 배수구로 바로 배출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배수구(205)는 하부 케이스(200)에 부착되어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하수구와 직접 연결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며, 역류 방지를 위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 따른 정수 장치가 설치된 싱크대에서 버려지는 물과 정수 장치로부터 발생되는 물이 같은 통로를 이용하여 하수구로 버려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수구(205)에는 역류 방지용 캡 및 호스 등이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정수 장치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정수 장치는 하나 이상의 필터 하우징(housing) 장치(30, 40, 50, 60)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각각의 필터 하우징 장치(30, 40, 50, 60) 내에는 원수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가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정수 장치는 온수 또는 냉수 유입을 위해 상수도 배관에 연결되거나, 또는 기존에 설치되어 사용 중인 다른 정수기나 조리수 밸브 등에 연결된 배관(70)의 입수구(302)를 통하여 원수를 공급받는다. 공급된 원수는 필터 하우징 장치(30, 40, 50, 60) 내의 필터들을 거치면서 이물질이 제거되고, 배관(45)의 냉수 출수구(301) 또는 배관(65)의 온수 출수구(303)를 통하여 출수된다. 한편, 걸러진 이물질이나 누수된 물 등은 장치 하부의 배수구(310)를 통하여 배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수 장치는 제1 하우징 장치(30) 및 제2 하우징 장치(40)를 포함하는 냉수 정수부와, 제3 하우징 장치(50) 및 제4 하우징 장치(60)를 포함하는 온수 정수부로 구분된다. 본 명세서에서, 냉수는 가열 또는 냉각하지 않은 상태의 일반 상수를 지칭한다.
제1 및 제3 하우징 장치(30, 50)는 입수 배관(70)으로부터 원수를 공급받아 녹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침전 필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2 및 제4 하우징 장치(40, 60)는 각각 배관(35, 55)에 의하여 제1 및 제3 하우징 장치(30, 50)에 연결되어, 제1 및 제3 하우징 장치(30, 50)를 통과한 원수로부터 염소나 중금속 등의 이물질을 추가적으로 제거하는 카본(carbon) 필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4 필터 하우징 장치(30, 40, 50, 60)는 각각의 필터 하우징 장치에 맞추어 설계된 다단식 복합 형태의 필터가 하우징 장치 내부에 삽입되는 구성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정수 장치는 필터 하우징 장치(30, 40, 50, 60) 내의 필터들에 의해 걸러진 정수를 다시 한번 정밀 정수하고 물 맛을 좋게 하여 음용수(또는, 조리수)로서 출수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음용 필터(10, 20)를 더 포함한다. 예컨대, 음용 필터는 멤브레인(membrane) 필터(20) 및 카본 필터(10)를 포함할 수 있다. 멤브레인 필터(20)는 필터 하우징 장치(30, 40, 50, 60)를 통과한 원수에 대한 정밀 정수를 수행하며, 카본 필터(10)는 정밀 정수된 물을 다시 정수하여 물 맛의 품질과 청량감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멤브레인 필터(20) 및 카본 필터(10)는 브라켓(bracket) 등 고정틀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필터 하우징 장치(30, 40, 50, 60)에 결합될 수 있다.
멤브레인 필터(20)는 배관(25)에 의해 냉수 카본 필터에 연결되고, 카본 필터(10)는 배관(15)에 의해 멤브레인 필터(20)에 연결되어, 멤브레인 필터(20) 및 카본 필터(10)를 차례로 통과한 물이 음용수로서 출수될 수 있다. 그러나, 음용 필터의 필터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하우징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필터 하우징 장치에 필터가 수용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 하우징 장치는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과 같은 금속 또는 다른 적절한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된 몸체부(80)와, 플라스틱 또는 다른 적절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몸체부(80)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된 뚜껑부(90)를 포함하는 텀블러(tumbler) 형태를 갖는다. 몸체부(80)는 원, 타원 또는 다른 상이한 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상하로 연장되는 실린더(cylinder)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몸체부(80)의 내측면 안쪽에는 하나 이상의 필터(100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800)이 형성되며, 몸체부(80)의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에는 열 전달을 차단하는 진공층(81)이 위치할 수 있다. 진공층(81)는 온수의 뜨거운 온도가 외부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냉수와 외부 온도의 차이로 인한 결로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몸체부(80)는 원수가 입수되는 입수부(82)를 포함하며, 입수된 원수는 몸체부(80) 내부의 공간(800)에 배치된 다단계의 필터(1000)를 통과하면서 정수된다. 침전 필터의 수용을 위한 하우징 장치의 경우 입수부(82)는 상수도 물이 유입되는 통로로서 원터치 또는 나사 형태로 수도수 호스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카본 필터의 수용을 위한 하우징 장치의 경우 입수부(82)에는 침전 필터를 통과한 정수의 운반을 위한 호스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몸체부(80)의 공간(800)에 수용된 각각의 필터(1000) 사이에는 필터들을 서로 분리하는 고무링(1100)이 위치한다. 필터 하우징 장치 하부의 입수부(82)로부터 입수된 원수는 각 필터(1000)의 측면으로부터 필터 내부로 유입된 후 필터(1000)를 통과하는 동안 정수된 후 고무링(1100)의 개구부를 통하여 상부의 다음 필터(1000)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상의 과정에 의하여 다단계의 필터(1000)에 의하여 걸러진 정수는, 뚜껑부(90) 내부에 형성된 수로를 통하여 이동하여 출수부(96)의 개구(91)를 통해 출수된다.
몸체부(80)의 내측면에는 나사선(8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뚜껑부(90)는 몸체부(80) 내로 삽입되기 위한 돌출부(92)를 포함하며 돌출부(92)의 표면에는 몸체부(80) 내측면의 나사선(84)에 상응하는 형상의 나사선(94)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각 나사선(84, 94)이 서로 맞추어지도록 뚜껑부(90)를 몸체부(80)에 맞추어 돌림으로써 몸체부(80)의 공간(800)이 뚜껑부(90)에 의하여 밀폐되도록 뚜껑부(90)를 몸체부(80)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뚜껑부(90)의 돌출부(92) 및/또는 이와 대향하는 몸체부(80)의 내측면에는 누수 방지를 위한 고무 패킹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뚜껑부(90)의 상부는 이를 고정시켜 움직이지 않도록 브라켓이나 나사못 등과의 연결이 용이한 플라스틱 계열의 소재로 이루어지며, 뚜껑부(90) 하단에 위치하며 몸체부(80)에 결합되기 위한 돌출부(92)는 스테인리스 스틸 등 부식이 없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뚜껑부(90)는 물과 접촉되는 부분은 스테인리스 스틸 등 부식이 없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금속 부분에 플라스틱 계열의 물질이 씌워져 뚜껑부(90)의 외부 표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몸체부(80)는 뚜껑부(90)와 대향하는 상부 표면에 이의 단면 직경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외주부의 바깥쪽으로 돌출된 고정턱(83)(또는, 제1 고정턱)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뚜껑부(90)는 몸체부(80)의 고정턱(83)과 대향하도록 뚜껑부(90)의 단면 직경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뚜껑부(90)의 외주부의 바깥쪽으로 돌출된 고정턱(93)(또는, 제2 고정턱)을 포함한다. 양 고정턱(83, 93)은 상호 결합된 몸체부(80)와 뚜껑부(90)가 수압으로 인해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벨트(95)에 결합된다.
도 5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하우징 장치가 뚜껑과 결합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필터 하우징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 및 5b를 참조하면, 뚜껑부(90)의 돌출부(92)를 몸체부(80)의 내측면에 삽입하면, 몸체부(80)와 뚜껑부(90) 각각에 형성된 고정턱이 서로 맞닿게 되며, 서로 맞닿은 고정턱 상에 고정벨트가 결합될 수 있다. 고정벨트는 고정턱 위를 둘러싸도록 구성된 한 쌍의 벨트 띠(951, 952)를 포함하며, 벨트 띠(951, 952)는 고리잠금레버(953, 954)에 의하여 서로 결합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6a 내지 6c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하우징 장치의 뚜껑부에 고정벨트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필터 하우징 장치의 뚜껑부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6c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하우징 장치에 고정벨트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a 내지 6c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 하우징 장치에 결합되는 고정벨트(95)는 갑자기 상승하는 수압과 충격(소위, 수격작용(water hammer))으로 인해 뚜껑부(90)가 몸체부(80)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벨트(95)는 요철 형태의 체결부(950)와 상기 체결부(950)에 의해 상호 연결된 한 쌍의 벨트 띠(951, 952)를 포함한다. 체결부(950)에 연결되지 않은 벨트 띠(951, 952)의 다른 쪽 끝에는 고리잠금레버(953, 954)가 결합된다. 즉, 벨트 띠(951)의 일단에는 걸림 고리(953)가 결합되며, 벨트 띠(952)의 일단에는 걸림 고리(953)와 결합될 수 있는 사각 링(954)이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벨트 띠(951, 953)는, 뚜껑부(90)의 고정턱(93) 및 몸체부(80)의 고정턱(83)의 표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부분이다. 일 실시예에서, 벨트 띠(951, 952)는 고정턱(83, 93)이 벨트 띠(951, 952)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벨트 띠(951, 952)의 중앙 부분이 내측으로 함몰되어 있는 'ㄷ'자와 같은 요철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단면 형상은 'ㄷ'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금속 등으로 된 클립(clip)을 벨트 띠(951, 952)에 결합하거나 또는 벨트 띠(951, 952) 자체를 이러한 형상을 가진 금속 띠로 형성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체결부(950)는 나사 또는 볼트형 핀 등을 이용하여 뚜껑부(90)의 후면에 부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벨트 띠(951, 952)는 체결부(950)가 결합되는 부분에는 요철 형상의 클립이 존재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요철 형상의 클립이나 벨트 띠 자체의 형상이 체결부(950)를 결합 시 걸려 방해가 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벨트 띠(951, 952)에 결합되어 있는 걸림 고리(953)와 사각링(954)은 체결부(950)와 반대쪽인 필터 하우징 장치 전면의 중앙에서 결합될 수 있다.
도 7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하우징 장치에 결합되는 고정벨트의 측면도이며,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고정벨트의 평면도이고, 도 7c는 도 7a에 도시된 고정벨트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7a 내지 7c를 참조하면, 고정벨트는 벨트 띠의 일 측에 결합된 걸림 고리(953)를 다른 벨트 띠의 일 측에 결합된 사각 링(954)에 걸어 고정하도록 구성된 고리잠금레버를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고정벨트의 벨트 띠가 원 형태로 만곡된 형상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고정벨트의 벨트 띠는 직선 형태의 부분들이 관절을 이용하여 절곡되도록 상호 연결되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리잠금레버는 도 7c에 도시된 것과 같이 걸림 고리(953)로부터 연장된 관절 레버(956)를 더 포함하며, 관절 레버(956)는 체결 수단(959)에 의해 지렛대 바(955)의 한쪽 끝에 연결되고, 지렛대 바(955)의 다른 쪽 끝은 벨트 띠(951)의 끝 부분에 연결된다. 지렛대 바(955)는 걸림 고리(953)를 사각 링(954)에 걸어 당길 때 지지대와 지렛대의 역할을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고리잠금레버는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는 3단의 관절 형태로 걸림 고리(953)가 사각 링(954)에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관절 레버(956)에서 걸림 고리(953)의 반대쪽 끝에는 잠금 해제용 손잡이(957)가 추가로 연결된다. 걸림 고리(953)는 걸림 고리(953)가 사각 링(954)을 걸어 당기면서 생긴 인장력에 의하여 필터 하우징 장치에 밀착된다. 그러나 이처럼 밀착된 상태에서는 걸림 고리(953)를 손으로 해제하는 것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관절 레버(956)에서 걸림 고리(953)의 반대쪽에 지렛대 형태의 잠금 해제용 손잡이(957)를 두어, 잠금 해제용 손잡이(957)를 들어올리는 것에 의하여 걸림 고리(953)를 쉽게 사각 링(954)으로부터 탈락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의 동작을 위하여, 잠금 해제용 손잡이(957)는 걸림 고리(953)의 고리가 굽어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어 관절 레버(956)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정수 장치용 필터가 수용되기 위한 공간, 상기 공간을 둘러싸는 진공층 및 상기 공간 내로 원수가 입수되기 위한 입수구를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공간의 상부를 덮기 위해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필터를 통과한 정수가 출수되기 위한 출수구 및 상기 공간으로부터 상기 출수구까지의 수로를 포함하는 뚜껑부를 포함하는 정수 장치용 필터 하우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는, 상기 뚜껑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몸체부의 내측면에 결합되기 위한 나사선이 형성되며 상기 뚜껑부와 상기 몸체부가 결합될 때 상기 몸체부의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정수 장치용 필터 하우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뚜껑부와 대향하는 상기 몸체부의 표면에 상기 몸체부의 단면 직경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상기 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1 고정턱을 포함하며,
    상기 뚜껑부는, 상기 몸체부와 대향하는 상기 뚜껑부의 표면에 상기 뚜껑부의 단면 직경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상기 뚜껑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2 고정턱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턱 및 상기 제2 고정턱은 고정벨트에 결합되기 위한 것인 정수 장치용 필터 하우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가 상기 몸체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고정턱 및 상기 제2 고정턱에 결합되는 상기 고정벨트를 더 포함하는 정수 장치용 필터 하우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벨트는,
    상기 제1 고정턱 및 상기 제2 고정턱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벨트 띠;
    상기 한 쌍의 벨트 띠의 한쪽 끝을 서로 결합하기 위한 요철 형태의 체결부; 및
    상기 한 쌍의 벨트 띠의 다른 쪽 끝에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벨트 띠를 서로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고리잠금레버를 포함하는 정수 장치용 필터 하우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벨트 띠 각각은, 상기 제1 고정턱 및 상기 제2 고정턱이 삽입되기 위한 함몰 부분을 포함하는 요철 형상의 단면을 갖는 정수 장치용 필터 하우징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필터 하우징 장치;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 하우징 장치 내에 각각 수용되며 원수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필터;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 하우징 장치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케이스부를 포함하는 정수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 하우징 장치는,
    냉수 침전 필터가 수용되도록 구성된 제1 하우징 장치;
    상기 제1 하우징 장치와 연결되며 냉수 카본 필터가 수용되도록 구성된 제2 하우징 장치;
    온수 침전 필터가 수용되도록 구성된 제3 하우징 장치; 및
    상기 제3 하우징 장치와 연결되며 온수 카본 필터가 수용되도록 구성된 제4 하우징 장치를 포함하는 정수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하우징 장치 내의 상기 필터를 통과한 원수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여 출수하도록 구성된 음용 필터를 더 포함하는 정수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 필터는 멤브레인 필터 및 카본 필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수 장치.
KR1020200022201A 2020-02-24 2020-02-24 정수 장치용 필터 하우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 장치 KR102416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201A KR102416530B1 (ko) 2020-02-24 2020-02-24 정수 장치용 필터 하우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 장치
PCT/KR2021/002168 WO2021172820A1 (ko) 2020-02-24 2021-02-22 정수 장치용 필터 하우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201A KR102416530B1 (ko) 2020-02-24 2020-02-24 정수 장치용 필터 하우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7342A true KR20210107342A (ko) 2021-09-01
KR102416530B1 KR102416530B1 (ko) 2022-07-06

Family

ID=77491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2201A KR102416530B1 (ko) 2020-02-24 2020-02-24 정수 장치용 필터 하우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16530B1 (ko)
WO (1) WO2021172820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3296A (ja) * 2003-02-12 2004-09-02 Kojima Yoshimasa 水処理用フィルタ装置及び水処理装置
KR200384584Y1 (ko) * 2005-03-04 2005-05-16 박대석 필터하우징
KR20070019778A (ko) 2007-01-25 2007-02-15 김석수 정수기능을 가진 싱크대용 냉수분배기
KR20090011436U (ko) * 2008-05-07 2009-11-11 이봉대 복합정수필터
KR20150141364A (ko) * 2014-06-10 2015-12-18 (주)매직코스 연수기
KR20200008263A (ko) * 2018-07-16 2020-01-28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냉수탱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036B1 (ko) * 2008-09-10 2012-06-21 손형모 자화 활성수 제조장치
KR20110030133A (ko) * 2009-09-17 2011-03-23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3296A (ja) * 2003-02-12 2004-09-02 Kojima Yoshimasa 水処理用フィルタ装置及び水処理装置
KR200384584Y1 (ko) * 2005-03-04 2005-05-16 박대석 필터하우징
KR20070019778A (ko) 2007-01-25 2007-02-15 김석수 정수기능을 가진 싱크대용 냉수분배기
KR20090011436U (ko) * 2008-05-07 2009-11-11 이봉대 복합정수필터
KR20150141364A (ko) * 2014-06-10 2015-12-18 (주)매직코스 연수기
KR20200008263A (ko) * 2018-07-16 2020-01-28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냉수탱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72820A1 (ko) 2021-09-02
KR102416530B1 (ko) 2022-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16502A (en) Elongate housing with end cap members
KR100870572B1 (ko) 회동형 커넥터를 가지는 정수기용 필터 어셈블리
US5875809A (en) Accessory faucet for purified water in a dishwasher air gap system
US9084952B2 (en) Device for the treatment of water, in particular a filter device, and cartridge
US20220034073A1 (en) Water providing station
KR100629852B1 (ko) 가정용 정수기의 필터 수용용기
US6971400B1 (en) Air gap apparatus
KR102416530B1 (ko) 정수 장치용 필터 하우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 장치
WO2009025413A1 (en) Water purifier filter having a filter washing function
US7354513B2 (en) Countertop water treatment unit
GB2300898A (en) Mixer tap with additional outlet
KR102391180B1 (ko) 정수 장치용 역류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 장치
KR0146834B1 (ko) 정수기의 필터고정장치
US20180050284A1 (en) Capsule intended for a liquid flow comprising an inner casing and an outer unit
KR200420880Y1 (ko) 세척수관을 가지는 정수기
US20230068681A1 (en) Non-Electric Water Purifier
KR102409114B1 (ko) 정수 필터 기능을 갖춘 원홀 수전
KR102442323B1 (ko) 정수 장치용 다단식 복합 필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 장치
JP4537915B2 (ja) 浄水器用容器のシール構造
KR101949092B1 (ko) 정수기 필터의 설치구조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KR20170067379A (ko) 수전용 정수기
KR102557680B1 (ko) 수전용 필터조립체
KR100322656B1 (ko) 정수기
KR20110033464A (ko) 기밀 체결구조를 갖는 정수기용 분할형 온수탱크
KR20220000909U (ko) 정수기능이 구비된 주방용 수도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