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3464A - 기밀 체결구조를 갖는 정수기용 분할형 온수탱크 - Google Patents

기밀 체결구조를 갖는 정수기용 분할형 온수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3464A
KR20110033464A KR1020090090977A KR20090090977A KR20110033464A KR 20110033464 A KR20110033464 A KR 20110033464A KR 1020090090977 A KR1020090090977 A KR 1020090090977A KR 20090090977 A KR20090090977 A KR 20090090977A KR 20110033464 A KR20110033464 A KR 20110033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assembly
hot water
coupling
water pur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0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주하
Original Assignee
박주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주하 filed Critical 박주하
Priority to KR1020090090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3464A/ko
Publication of KR20110033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34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181Construction of the tank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4Seals,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 내의 물을 가열 배출시키기 위한 온수탱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측이 개방된 상부결합체와 상측이 개방된 하부결합체를 각기 구비하고, 이들 상부결합체와 하부결합체는 서로 나사 체결되게 하되, 상부결합체에는 입수관과 출구관 및 히터를 각기 하향 장착하여 상부결합체와 하부결합체의 체결에 의한 내부공간에 입수관과 출수관 및 히터가 각기 내장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정수기의 온수탱크를 소독하거나 청소하여야 하는 경우 고정상태인 상부결합체로부터 하부결합체만을 간편하게 회전 분리시킬 수 있어 완전히 개방된 상태의 상부결합체 및 하부결합체로 인해 소독이나 소제 등을 청결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고, 회전의 나사 결합방식으로 체결 및 분리되는 것이므로 결합 및 분해가 간편한 것이며, 상호 간의 나사 체결만으로도 내부공간에 대한 수밀 및 기밀 결합이 이루어져 매우 합리적인 것이다.
정수기, 온수탱크, 상부결합체, 하부결합체, 수밀패킹, 기밀패킹

Description

기밀 체결구조를 갖는 정수기용 분할형 온수탱크 {Hot-water tank of water purifier with airtight assembly structure}
본 발명은 정수기 내의 물을 가열 배출시키기 위한 온수탱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입수관과 출수관 및 히터가 장착된 상부결합체를 구비하고, 상기의 상부결합체에는 상측이 개방된 하부결합체가 나사 체결을 통해 서로 결합 및 분리되도록 구성하되, 상부결합체와 하부결합체의 체결시 상호 간의 기밀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정수기용 온수탱크의 역할을 그대로 수행하면서도 온수탱크의 청소나 내부 점검시 하부결합체를 분리시켜 완전하고도 청결한 소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최근 각종 환경 오염, 수질 오염이 늘어나면서 더욱 깨끗한 물을 마실 수 있도록 하는 정수기의 보급이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정수기는 다양한 필터장치를 통하여 물속에 함유되어 있는 중금속 및 기타 이물질 등이 깨끗하게 걸러진 상태의 음용수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최근에는 음용수를 가열하여 온수를 제공하는 냉,온수 정수기가 일반화되고 있는데, 이는 음용수를 별도 온수탱크에 유입하여 히터에 의해 가열한 후 배출하여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정수기용 온수탱크는 부식이나 산화 등을 방지하기 위한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일반적이고, 내부의 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기밀구조를 유지하여야 하는 것이 특징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정수기용 온수탱크는 도 1의 도시와 같이 일측이 개방된 형태의 용기가 서로 대향하도록 마주 댄 상태에서 이들 용기의 끝단부를 동시에 컬링(Curling) 및 용접하여 내부공간을 갖는 밀폐의 탱크몸체(100)를 만들게 된다.
상기의 탱크몸체(100)에는 상부로부터 입수관(110)과 출수관(120)이 내,외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것이고, 선택적인 위치에 따라 탱크몸체(100)의 상측 또는 하측에 히터(130)가 내부공간을 향하여 고정 설치되는 것이며, 탱크몸체(100)의 하측으로는 별도의 드레인관(140)이 형성된 상태로 만들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의 입수관(110)을 통해 정수된 물이 탱크몸체(100)의 내측으로 유입되면 히터(130)에 의해 음용수를 가열시켜 출수관(120)을 따라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하는 것이고, 상기의 드레인관(140)은 탱크몸체(100)의 내부를 소독하거나 소제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될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온수탱크는 정수된 물을 제공받아 가열 배출시킬 수도 있을 것이고 정수기의 특성에 따라 물을 가열 배출시킨 상태에서의 정수가 이루어지도록 제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정수기용 온수탱크는 두 개로 나누어진 용기 를 맞대어 컬링 및 용접하여 밀폐되도록 제작하는 것으로 온수탱크의 내부는 외부로부터 완전히 차단된 상태의 공간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의 온수탱크 내부는 일반적인 브러쉬 등을 이용한 소독이나 세척이 불가능하여 부득이하게 화학약품과 고온의 스팀을 이용하여 세척 및 소제하는 방법을 택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화학약품에 의존하여 온수탱크 내부를 세척하게 되므로 세척과정에서 사용된 화학약품은 하수와 혼합되므로 환경 오염을 가중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는 것이고, 화학약품이 온수탱크에 잔류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이를 그대로 섭취하게 되므로 인체에 매우 유해한 것이다.
또한, 강한 화학약품을 이용하여 온수탱크의 내부를 세척하게 되므로 결국 온수탱크의 용접부가 부식 및 산화되므로 이들 부식 및 산화물이 온수와 함께 배출되면서 역시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와 같이 온수탱크의 내부로부터 진행하거나 성장하는 부식 및 산화부는 온수탱크의 외부에서는 육안으로 전혀 확인이 되지 아니하므로 대부분의 사용자 또는 관리자는 온수탱크에 대한 부식 또는 산화가 발생한 것을 인지하지 못하게 되어 더욱 큰 유해요소에 노출되는 구조적인 맹점을 갖고 있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하측이 개방된 상부 결합체와 상측이 개방된 하부결합체를 각기 구비하고, 이들 상부결합체와 하부결합체는 서로 나사 체결되게 하되, 상부결합체에는 입수관과 출구관 및 히터를 각기 하향 장착하여 상부결합체와 하부결합체의 체결에 의한 내부공간에 입수관과 출수관 및 히터가 각기 내장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정수기 본체에 고정 설치된 상부결합체로부터 하부결합체만을 분리시켜 내부에 대한 세척이나 소제가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부결합체와 하부결합체 간의 수밀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따라 종래의 온수탱크가 갖고 제반의 문제점을 합리적으로 극복한 특징의 기밀 체결구조를 갖는 정수기용 분할형 온수탱크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측 개방형 용기로 된 상부결합체와 상측 개방형의 용기로 된 하부결합체를 각기 구비하여 상부결합체의 암나사부와 하부결합체의 수나사부에 의해 상호 간의 나사 체결에 의한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부결합체에는 내부공간을 향하는 입수관과 출수관 및 히터를 고정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정수기의 온수탱크를 소독하거나 청소하고자 하는 경우 고정상태 인 상부결합체로부터 하부결합체만을 간편하게 회전 분리시킬 수 있어 완전히 개방된 상태의 상부결합체 및 하부결합체로 인해 소독이나 소제 등을 청결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고, 회전의 나사 결합방식으로 체결 및 분리되는 것이므로 결합 및 분해가 간편한 것이며, 상호 간의 나사 체결만으로도 내부공간에 대한 수밀 및 기밀 결합이 이루어져 매우 합리적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온수탱크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온수탱크의 결합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온수탱크의 분리 단면도, 도 5는 도 3의 "A"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 도 6은 도 3의 "B"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온수탱크는 하부 개방형의 용기로 된 상부결합체(10)와 상부 개방형의 용기로 된 하부결합체(20)의 나사 결합에 의해 완성되는 것으로서, 상부결합체(10)에는 암나사부(11)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결합 체(20의 선단에는 수나사부(2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들 암나사부(11)와 수나사부(21)에 의한 나사 조립을 통한 상호 간의 체결을 통해 밀폐된 내부공간(30)을 갖는 온수탱크가 완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상부결합체(10)에는 입수관(12)과 출수관(13)이 수직방향으로 내,외를 관통하도록 결합 형성되어 있고 상부결합체(10)의 하측으로는 상기 내부공간(30) 내에 위치하는 히터(14)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결합체(10)의 내측 상부에는 원형 링 형태로 된 안치부(1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치부(15)에는 연질 탄력재로 된 수밀패킹(16)이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결합체(20)의 선단에는 내측을 향하여 원형 단면을 갖고 절곡된 컬링부(2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부결합체(10)와 하부결합체(20)를 서로 나사 체결하면 하부결합체(20)의 컬링부(22)가 수밀패킹(16)의 저면에 맞닿으면서 상호 간의 긴밀한 수밀 결합부를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의 상부결합체(10) 및 하부결합체(20)의 체결로 인해 완성되는 온수탱크는 나사 체결부에서의 일차적인 수밀부가 생성되는 것이고, 수밀패킹(16)과 컬링부(22) 간의 접지에 의한 2차 수밀부가 생성되므로 온수탱크 내의 물이 외부로 유출되거나 외부로부터 이물질 등이 유입될 수 없는 구조를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결합체(10)의 하단에는 외측으로 원형 단면을 갖고 밴딩된 또 다른 컬링부(17)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결합체(20)의 외면 선단에는 절곡 형태의 브라켓(23)에 나사 결합된 고정볼트(24)를 체결함에 따라 상부결합체(10)와 하 부결합체(20) 간의 체결 상태에서 상기의 고정볼트(24)를 회전시키면 고정볼트(24)가 상부결합체(10)를 향하여 전진하면서 상부결합체(10)의 컬링부(17)를 가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상부결합체(10)의 컬링부(17)과 고정볼트(24) 간의 간섭력으로 인해 상부결합체(10) 또는 하부결합체(20)는 임의로 회전할 수 없는 상태가 될 것이므로 정수기 또는 온수탱크에 진동이나 충격 등이 가해지더라도 상호 간의 체결력이 상실되거나 약화되지 않아 수밀과 기밀 상태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의 하부결합체(20)는 도 7의 도시와 같이 수나사부(21)의 하측에 형성된 안치홈부(25) 상에 별도의 기밀패킹(26)이 삽입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기밀패킹(26)을 갖는 하부결합체(20)를 상부결합체(10)와 체결하는 경우 상부결합체(10)의 하단 내측면은 기밀패킹(26)과 맞닿아 긴밀하게 밀착 체결될 것이므로 상기의 기밀패킹(26)은 또 한 번의 기밀 및 수밀 작용을 수행하게 되므로 상기와 같은 온수탱크의 내부공간(30)으로 외부의 공기 또는 이물질 등이 유입되지 아니하므로 정수된 물이 오염되거나 변질하지 않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온수탱크는, 상부결합체(10)에 형성된 출수관(13)의 하단부가 하부결합체(20)의 바닥부까지 연장되도록 형성하고, 상기의 히터(14)는 출수관(13)의 외측을 이격하여 감싸는 형태의 나선구조로 제작함에 따라 상기와 같은 나선형의 히터(14) 중앙부에 수직으로 위치하고 있는 출수관(13)은 충분한 열기의 전달로 인해 음용수에 대한 빠른 가열이 이루어짐에 따라 온수를 빠르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지속적으로 온수를 사용할 수도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정수기용 온수탱크는 소독이나 소제 등이 필요한 경우 정수기에 고정 설치된 상태의 상부결합체(10)로부터 하부결합체(20) 만을 회전시켜 분리시키면 상기 하부결합체(20)가 상부결합체(10)로부터 완전히 개방 분리될 수 있어 더욱 청결하고 확실한 소독과 소제가 가능한 것이고, 내측의 입수관(12)이나 출수관(13) 및 히터(14) 역시 완전히 개방 노출되므로 확실한 소제와 소독 등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노후로 인한 부식이나 산화 등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상부결합체(10)와 하부결합체(20)가 완전히 분리되므로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직접 육안으로 내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더욱 청결한 유지와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매우 합리적인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정수기용 온수탱크의 전체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온수탱크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온수탱크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온수탱크의 분리 단면도
도 5는 도 3의 "A"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
도 6은 도 3의 "B"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온수탱크의 다른 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상부결합체 11 : 암나사부
12 : 입수관 13 : 출수관
14 : 히터 15 : 안치부
16 : 수밀패킹 17 : 컬링부
20 : 하부결합체 21 : 수나사부
22 : 컬링부 23 : 브라켓
24 : 고정볼트 25 : 안치홈부
26 : 기밀패킹
30 : 내부공간

Claims (5)

  1. 하측 개방형 용기로 된 상부결합체(10)와 상측 개방형의 용기로 된 하부결합체(20)를 각기 구비하여 상부결합체(10)의 암나사부(11)와 하부결합체(20)의 수나사부(21)에 의해 상호 간의 나사 체결에 의한 내부공간(30)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부결합체(10)에는 내부공간(30)을 향하는 입수관(12)과 출수관(13) 및 히터(14)를 고정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 체결구조를 갖는 정수기용 분할형 온수탱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부결합체(10)는 내측 선단에 원형의 안치부(15)를 형성하여 상기 안치부(15) 내에 연질 탄력재로 된 수밀패킹(16)을 삽입 형성하고, 하부결합체(20)의 선단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원형 단면의 컬링부(22)를 형성하여, 상부결합체(10)와 하부결합체(20)의 체결시 상기의 컬링부(22)가 수밀패킹(16)에 맞닿으며 내부공간(30)에 대한 수밀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 체결구조를 갖는 정수기용 분할형 온수탱크.
  3. 제 1항에 있어서,
    상부결합체(10)는 외측 하단으로 외향의 절곡부인 컬링부(17)를 형성하고, 하부결합체(20)의 선단 외측으로는 브라켓(23)에 나사 결합된 고정볼트(24)를 형성하여, 상부결합체(10)와 하부결합체(20)의 체결상태에서 상기 고정볼트(24)를 회전시켜 컬링부(17)를 가압 지지함에 따라 상부결합체(10)와 하부결합체(20) 간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 체결구조를 갖는 정수기용 분할형 온수탱크.
  4. 제 1항에 있어서,
    하부결합체(20)에는 나사부(21)의 하부 외측으로 안치홈부(25)를 형성하여 상기 안치홈부(25) 상에 기밀패킹(26)을 삽입 형성하되, 상기의 기밀패킹(26)은 하부결합체(20)에 체결된 상부결합체(10)의 하단 내측면에 밀착 위치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 체결구조를 갖는 정수기용 분할형 온수탱크.
  5. 제 1항에 있어서,
    상부결합체(10)에 결합된 출수관(13)은 하단이 하부결합체(20)의 바닥부까지 근접되게 연장 형성하고, 히터(14)는 나선의 원통형으로 권취하여 상기 출수관(13)이 원통형의 히터(14) 내측에 위치되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 체결구조를 갖는 정수기용 분할형 온수탱크.
KR1020090090977A 2009-09-25 2009-09-25 기밀 체결구조를 갖는 정수기용 분할형 온수탱크 KR201100334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977A KR20110033464A (ko) 2009-09-25 2009-09-25 기밀 체결구조를 갖는 정수기용 분할형 온수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977A KR20110033464A (ko) 2009-09-25 2009-09-25 기밀 체결구조를 갖는 정수기용 분할형 온수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3464A true KR20110033464A (ko) 2011-03-31

Family

ID=43937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0977A KR20110033464A (ko) 2009-09-25 2009-09-25 기밀 체결구조를 갖는 정수기용 분할형 온수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3346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410Y1 (ko) * 2012-04-20 2014-04-23 김연집 냉온수기용 진공 온수통
WO2023063577A1 (ko) * 2021-10-14 2023-04-20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410Y1 (ko) * 2012-04-20 2014-04-23 김연집 냉온수기용 진공 온수통
WO2023063577A1 (ko) * 2021-10-14 2023-04-20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9852B1 (ko) 가정용 정수기의 필터 수용용기
KR101429823B1 (ko) 싱크대용 수전금구의 정수장치
KR20110033464A (ko) 기밀 체결구조를 갖는 정수기용 분할형 온수탱크
JP2007117821A (ja) 家庭用浄水器の容器
KR20120138464A (ko) 수밀형 오링, 이를 포함하는 필터 카트리지 및 필터 하우징
KR101621869B1 (ko) 정수기의 코크 살균 장치
KR101221503B1 (ko) 냉매·발열히터 파이프 고정구조
CN215457350U (zh) 饮用水供应器用水桶保持架组件及包括其的饮用水供应器
CN204084866U (zh) 储水式热水器
JP4441476B2 (ja) 家庭用浄水器の容器
KR100921791B1 (ko) 세척을 위한 분리가능한 온수조
KR100334940B1 (ko) 냉온수기의 분리가능한 온수조
CN205732164U (zh) 供水管路除污器
KR100909040B1 (ko) 정수기용 온수탱크
CN107883582B (zh) 一种镁棒外置的电热水器
KR102557680B1 (ko) 수전용 필터조립체
JP4537915B2 (ja) 浄水器用容器のシール構造
CN219259591U (zh) 一种热水器内置净水装置和热水器
US20190003702A1 (en) Open Sight Glass System
CN221061907U (zh) 一种家用净水器
KR20170067379A (ko) 수전용 정수기
CN210320663U (zh) 一种进出水管组件及电热水器
KR200204572Y1 (ko) 정수기의 냉·온수 파이프 결합용 플랜지
CN221014842U (zh) 一种中央前置过滤器
CN218357860U (zh) 一种中央空调循环水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