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4940B1 - 냉온수기의 분리가능한 온수조 - Google Patents

냉온수기의 분리가능한 온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4940B1
KR100334940B1 KR1019990039900A KR19990039900A KR100334940B1 KR 100334940 B1 KR100334940 B1 KR 100334940B1 KR 1019990039900 A KR1019990039900 A KR 1019990039900A KR 19990039900 A KR19990039900 A KR 19990039900A KR 100334940 B1 KR100334940 B1 KR 100334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detachably
water tank
col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9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7917A (ko
Inventor
최상필
Original Assignee
최상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상필 filed Critical 최상필
Priority to KR1019990039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4940B1/ko
Publication of KR20010027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7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4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49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소정의 냉온수기에 내설되어 생수 또는 수돗물을 가열하는 온수조(溫水曹)의 탱크를 분리가능하게 분할형성하여 온수조내부에 누적되는 물떼 등의 이물질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체의 상부에 식수가 출입되는 유입관 및 배수관이 형성되며, 하부에 물을 드레인시키는 드레인관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유입관을 통하여 유입되는 식수를 소정온도로 가열하는 히터 및 상기 몸체내부에 누적되는 이물질을 세척할 수 있도록 분리가능하게 분할형성되는 상기 몸체의 상하부 및 중앙중 어느 일측을 개폐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구비한다.
이로 인해, 소정의 냉온수기에 내설되어 생수 또는 수돗물을 가열하는 온수조의 탱크를 분리가능하게 분할형성하여 온수조내부에 누적되는 물떼 등의 이물질을 세척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 온수조내부에 이물질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의 위생상태를 깨끗하게 유지하여 사용자로 부터 냉온수기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이점을 갖는다.

Description

냉온수기의 분리가능한 온수조{separable hot water tank of hot and cold water dispenser}
본 발명은 냉온수기의 분리가능한 온수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의 냉온수기(또는 '냉온정수기' 라고함)에 내설되어 생수 또는 수돗물을 가열하는 온수조(溫水曹)의 탱크를 분리가능하게 분할형성하여 온수조내부에 누적되는물떼 등의 이물질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한 냉온수기의 분리가능한 온수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냉온수기의 분리가능한 온수조의 개략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조(1)는 원통형으로 말아진다음 용접고정되며 부식되지않도록 스테인레스재로 형성되는 본체(2)와, 이 본체(2)의 상단에 밀봉되도록 압착결합 고정되며 식수가 출입되는 유입관(3) 및 배수관(4)이 형성되는 상부덮개(5)와, 전술한 본체(2)의 하단에 밀봉되도록 압착결합 고정되며 유입관(3)을 통하여 유입되는 물을 소정온도로 가열하는 히터(6) 및 본체(2)내부의 물을 드레인시키는 드레인관(7)이 형성되는 하부덮개(8)를 구비한다.
미설명부호 9,10은 본체(2)와 상하부덮개(5,8)사이에 장착되어 수밀시키는 패킹 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온수조(1)는 장기간동안 사용시 전술한 본체(2)내부에 인체에 유해한 물떼 등의 이물질이 누적되어 온수조(1)의 내부를 주기적으로 세척해주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전술한 온수조(1)는 본체(2)의 상하단부에 밀봉되도록 상하부덮개(5,8)가 일체형으로 고정됨에 따라, 온수조(1)내부를 세척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하부덮개(8)에 형성된 드레인관(7)을 통하여 온수조(1)내의 물을 주기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었다. 또한 전술한 히터(6)의 고장으로 인한 사후관리(A/S)시 온수조(1)를 교체하게되는 문제점을 갖게된다.
이로 인해, 전술한 온수조(1)내부는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이 번식할 수 있어사용자의 건강을 해치게되며, 냉온수기의 위생도가 떨어지게되므로 사용자로 부터 제품의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의 냉온수기에 내설되어 생수 또는 수돗물을 가열하는 온수조의 탱크를 분리가능하게 분할형성하여 온수조내부에 누적되는 물떼 등의 이물질을 세척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 냉온수기의 분리가능한 온수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온수조내부에 이물질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의 위생상태를 깨끗하게 유지하여 사용자로 부터 냉온수기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냉온수기의 분리가능한 온수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냉온수기의 분리가능한 온수조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냉온수기의 분리가능한 온수조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시예에 의한 냉온수기의 분리가능한 온수조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온수기의 분리가능한 온수조의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온수기의 분리가능한 온수조의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온수기의 분리가능한 온수조의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온수기의 분리가능한 온수조의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온수기의 분리가능한 온수조의 개략도 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 온수기
2; 몸체
3; 유입관
4; 배수관
6; 히터
7; 드레인관
11; 하부덮개
12; 나사부
13,22,28,32; 체결부재
14,15,21,27,31; 패킹
16; 상부덮개
17,19; 연장턱
18; 제1플랜지
20; 제2플랜지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체의 상부에 식수가 출입되는 유입관 및 배수관이 형성되며, 하부에 물을 드레인시키는 드레인관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유입관을 통하여 유입되는 식수를 소정온도로 가열하는 히터 및 상기 몸체내부에 누적되는 이물질을 세척할 수 있도록 분리가능하게 분할형성되는 상기 몸체의 상하부 및 중앙중 어느 일측을 개폐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의 분리가능한 온수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몸체에 대해 분리가능하게 분할형성되는 하부덮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상기 유입관단부에 형성되는 나사부 및 상기 나사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부덮개를 상기 몸체에 대해 개폐가능하게 밀봉고정하는 체결부재를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몸체하단부에 연장형성되는 연장턱상측으로 착탈가능하게 안착되는 제1플랜지와, 상기 몸체에 대해 분리가능하게 분할형성되는 하부덮개의 연장턱하측으로 착탈가능하게 안착되는 제2플랜지 및 상기 몸체의 연장턱과 상기 하부덮개의 연장턱사이에 수밀용 패킹을 게재시켜 상기 제1,2플랜지를 착탈가능하게 밀봉고정하는 체결부재를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상기 고정수단은, 중앙측이 상호 분리가능하게 분할형성되는 몸체중 상부몸체하단에 연장형성되는 연장턱상측으로 착탈가능하게 안착되는 제1플랜지와, 상기 상부몸체에 대해 분리가능하게 형성되는 하부몸체상단의 연장턱하측으로 착탈가능하게 안착되는 제2플랜지 및 상기 상하부몸체의 연장턱사이에 수밀용 패킹을 게재시켜 상기 제1,2플랜지를 착탈가능하게 밀봉고정하는 체결부재를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하되, 이는 본원 기술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동업종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원의 기술적인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몸체(2)상부에 식수가 출입되는 유입관(3) 및 배수관(4)이 형성되며, 몸체(2)하부에 물을 드레인시키는 드레인관(7)이 형성되며, 유입관(3)을 통하여 몸체(2)에 유입되는 식수를 소정온도로 가열하는 히터(6)에 대한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중복되는 도면부호는 동일하게 표기함을 밝혀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몸체(2)내부에 누적되는 물떼 등의 이물질을 세척 및 히터(6)의 고장시 이를 교체할 수 있도록 분리가능하게 분할형성되는 몸체(2)의 상하부 및 중앙중 어느 일측을 개폐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더 구비한다.
이때,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고정수단은, 전술한 몸체(2)에 대해 착탈가능하게 분할형성되는 하부덮개(11)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유입관(3)단부에 형성되는 나사부(12) 및 나사부(1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덮개(11)를 몸체(2)에 대해 개폐가능하게 밀봉고정하는 체결부재(13)를 구비한다.
이때, 전술한 몸체(2)의 상부는 시이밍 압착고정되는 상부덮개(16)에 의해 밀봉고정되며(도 2 및 도 3 참조), 전술한 몸체(2)의 상부는 소정의 드로잉가공될 수 있다(도 4 참조).
미설명부호 14는 하부덮개(11)와 체결부재(13)사이에 게재되어 체결부재(13)체결시 수밀(水密)시키는 패킹, 15는 몸체(2)와 상하부덮개(16,11)사이에 게재되어 수밀시키는 패킹 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고정수단은, 전술한 몸체(2)하단부에 연장형성되는 환형의 연장턱(17)상측으로 착탈가능하게 안착되는 환형이 제1플랜지(18)와, 몸체(2)에 대해 분리가능하게 분할형성되는 하부덮개(11)의 환형의연장턱(19)하측으로 착탈가능하게 안착되는 환형의 제2플랜지(20) 및 전술한 몸체(2)의 연장턱(17)과 하부덮개(11)의 연장턱(19)사이에 수밀용 패킹(21)을 게재시켜 제1,2플랜지(18,20)를 착탈가능하게 밀봉고정하는 체결부재(22)를 구비한다.
이때, 전술한 몸체(2)의 상부는 시이밍 압착고정되는 상부덮개(16)에 의해 밀봉고정되며(도 5 참조), 전술한 몸체(2)의 상부는 소정의 드로잉가공될 수 있다(도 6 참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고정수단은, 중앙측이 상호 분리가능하게 분할형성되는 몸체(2)중 상부몸체(2a)하단에 연장형성되는 연장턱(23)상측으로 착탈가능하게 안착되는 제1플랜지(24)와, 상부몸체(2a)에 대해 분리가능하게 분할형성되는 하부몸체(2b)상단의 연장턱(25)하측으로 착탈가능하게 안착되는 제2플랜지(26) 및 상하부몸체(2a,2b)의 연장턱(23,25))사이에 수밀용 패킹(27)을 게재시켜 제1,2플랜지(24,26)를 착탈가능하게 밀봉고정하는 체결부재(28)를 구비한다.
이때, 전술한 몸체(2)의 상부는 소정의 드로잉가공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고정수단은, 전술한 몸체(2)하단부에 밀봉되도록 시이밍 압착고정되며 몸체(2)내측으로 연장형성되는 환형의 중간편(29)과, 중간편(29)에 대해 분리가능하게 분할형성되는 하부덮개(30)를 패킹(31)을 게재시켜 전술한 중간편(29)에 대해 착탈가능하게 밀봉고정하는 체결부재(32)를 구비한다.
이때, 전술한 몸체(2)의 상부는 시이밍 압착고정되는 상부덮개(16)에 의해밀봉고정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냉온수기의 분리가능한 온수조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수만을 교체하여 냉온수기를 장기간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전술한 온수조(1)의 몸체(2)내부에 물떼 등의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이 규정치이상으로 발생된다. 이때 전술한 몸체(2)하부에 착탈가능하게 분할형성되는 하부덮개(11)를 분리시켜 몸체(2)내부를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전술한 하부덮개(11)에 형성된 드레인관(7)을 통하여 몸체(2)내부의 물을 배출시킨다음, 하부덮개(11)를 체결시킨 체결부재(13)를 전술한 유입관(3)단부에 형성된 나사부(12)로 부터 분리시킴에 따라 하부덮개(11)는 몸체(2)에 대해 완전하게 분리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몸체(2)내부 및 하부덮개(11)에 장착된 히터(6) 등을 브러쉬 등의 소정의 기구를 이용하여 청소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소정의 냉온수기에 내설되어 생수 또는 수돗물을 가열하는 온수조의 탱크를 분리가능하게 분할형성하여 온수조내부에 누적되는 물떼 등의 이물질을 세척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온수조내부에 이물질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의 위생상태를 깨끗하게 유지하여 사용자로 부터 냉온수기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이점을 갖게된다.
전술한 히터의 고장발생시 탱크를 분리하여 히터만을 교체하여 사후관리함에 따라 온수조 탱크 자체를 교환하는 것이 불필요하게 된다.

Claims (4)

  1. 삭제
  2. 자체의 상부에 식수가 출입되는 유입관 및 배수관이 형성되며, 하부에 물을 드레인시키는 드레인관이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유입관을 통하여 유입되는 식수를 소정온도로 가열하는 히터; 및
    상기 몸체내부에 누적되는 이물질을 세척할 수 있도록 분리가능하게 분할형성되는 상기 몸체의 상하부 및 중앙중 어느 일측을 개폐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몸체에 대해 분리가능하게 분할형성되는 하부덮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상기 유입관단부에 형성되는 나사부 및 상기 나사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부덮개를 상기 몸체에 대해 개폐가능하게 밀봉고정하는 체결부재로 이루어지는 냉온수기의 분리가능한 온수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이,
    상기 몸체하단부에 연장형성되는 연장턱상측으로 착탈가능하게 안착되는 제1플랜지;
    상기 몸체에 대해 분리가능하게 분할형성되는 하부덮개의 연장턱하측으로 착탈가능하게 안착되는 제2플랜지; 및
    상기 몸체의 연장턱과 상기 하부덮개의 연장턱사이에 수밀용 패킹을 게재시켜 상기 제1,2플랜지를 착탈가능하게 밀봉고정하는 체결부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의 분리가능한 온수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수단의 제1플랜지가, 중앙측이 상호 분리가능하게 분할형성되는 몸체중 상부몸체하단에 연장형성되는 연장턱 상측으로 착탈가능하게 안착되고,
    상기 제2플랜지가, 상기 상부몸체에 대해 분리가능하게 분할형성되는 하부몸체상단의 연장턱 하측으로 착탈가능하게 안착되며,
    상기한 체결부재가 상기 제1,2플랜지를 착탈가능하게 밀봉고정하게 되도록 상기 상하부몸체의 연장턱사이에 수밀용 패킹을 게재시킨 구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의 분리가능한 온수조.
KR1019990039900A 1999-09-16 1999-09-16 냉온수기의 분리가능한 온수조 KR100334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9900A KR100334940B1 (ko) 1999-09-16 1999-09-16 냉온수기의 분리가능한 온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9900A KR100334940B1 (ko) 1999-09-16 1999-09-16 냉온수기의 분리가능한 온수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7917A KR20010027917A (ko) 2001-04-06
KR100334940B1 true KR100334940B1 (ko) 2002-05-04

Family

ID=19611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9900A KR100334940B1 (ko) 1999-09-16 1999-09-16 냉온수기의 분리가능한 온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49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791B1 (ko) 2008-04-18 2009-10-15 최상필 세척을 위한 분리가능한 온수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400B1 (ko) * 2007-05-21 2007-11-19 김상수 냉온수기의 온수조
KR100940904B1 (ko) * 2009-07-09 2010-02-08 최상필 세척을 위한 분리가능한 온수조
JP2011064449A (ja) * 2009-08-28 2011-03-31 Sang Pil Choi 気密保持部が備えられた水槽
KR100977545B1 (ko) * 2010-03-30 2010-08-24 최상필 분리가능한 온수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791B1 (ko) 2008-04-18 2009-10-15 최상필 세척을 위한 분리가능한 온수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7917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4940B1 (ko) 냉온수기의 분리가능한 온수조
HUP9904358A2 (hu) Vízkezelő patron házi vízkezelő készülékhez, és ilyen patront tartalmazó házi vízkezelő készülék
KR100629852B1 (ko) 가정용 정수기의 필터 수용용기
FI66981C (fi) Anordning och foerfarande att utnyttja vaerme fraon avloppsvatten
JP4430604B2 (ja) 家庭用浄水器の容器
KR100921791B1 (ko) 세척을 위한 분리가능한 온수조
KR0116728Y1 (ko) 생수를 장기간 보관하여 음용할 수 있게 한 생수통
RU2635925C2 (ru) Сифон для слив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сточных вод
KR20110033464A (ko) 기밀 체결구조를 갖는 정수기용 분할형 온수탱크
JP2000087410A (ja) 排水用トラップ
JP4537915B2 (ja) 浄水器用容器のシール構造
JP3073861B2 (ja) 浴水の殺菌装置
CN216415564U (zh) 一种用于猪舍的饮水设备
US6143173A (en) Removable drain filter
KR200156052Y1 (ko) 정수기의 물저장 및 급수장치
CN215941032U (zh) 一种饭店用的厨余垃圾消毒净化装置
CN218879526U (zh) 一种生物实验室废液专用紫外线杀菌装置
CN220888896U (zh) 一种带有过滤功能的地漏
KR100940904B1 (ko) 세척을 위한 분리가능한 온수조
CN215232384U (zh) 一种医院检验科用废液处理装置
JP4301557B2 (ja) キッチン用のシンク
CN2157232Y (zh) 陶瓷洗槽下水器
KR200147581Y1 (ko) 주전자용 정수필터
KR200158086Y1 (ko) 전기밥솥의 속뚜껑 착탈구조
WO2023139020A1 (en) Capsule for liquid treatment med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