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6728Y1 - 생수를 장기간 보관하여 음용할 수 있게 한 생수통 - Google Patents

생수를 장기간 보관하여 음용할 수 있게 한 생수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6728Y1
KR0116728Y1 KR2019950016405U KR19950016405U KR0116728Y1 KR 0116728 Y1 KR0116728 Y1 KR 0116728Y1 KR 2019950016405 U KR2019950016405 U KR 2019950016405U KR 19950016405 U KR19950016405 U KR 19950016405U KR 0116728 Y1 KR0116728 Y1 KR 01167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d water
bottle
water bottle
bottled
dr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64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5660U (ko
Inventor
박준명
Original Assignee
박준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명 filed Critical 박준명
Priority to KR20199500164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6728Y1/ko
Publication of KR9700056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6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67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67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4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 B67D3/043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with a closing element having a linear movemen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07Filters for g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생수를 장기간 보관하여 음용할 수있게 한 생수통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개봉된 생수통(10)에 외기가 살균 필터(60)를 통해 공급되게 하여 외기 중에 포함된 먼지 및 세균이 생수통(10)내로 유입되지 않게 하여 생수통(10)을 개봉한 상태에서도 생수를 장기간 음용할 수 있게 함으로서 예를 들어 야외에서도 위생적인 생수를 음용할 수있게 하는 동시에 남은 생수도 버리지 않고 음용할 수 있게 하고, 생수가 생수통(10) 하부의 밸브(71)에 의해 배출될 수 있게 하여 재치대에 생수통(10)을 거꾸로 세워지게 재치할 필요가 없게 함으로서 생수통(10)의 교환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생수통(10)의 교환시 생수를 흘릴 염려가 없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생수를 장기간 보관하여 음용할 수 있게 한 생수통
제1도는 본고안의 생수통을 보인 사용상태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가-가'선 단면도
제3도는 본고안의 생수통에 개봉되지 않은 상태를 보인 요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생수통 11 : 입구
20 : 외부 밀봉마개 30 : 내부 밀봉마개
31 : 공기 유입공 40,50 : 호오스
41 : 결합편 51 : 끼움편
60 : 살균 필터 70 : 유출로
71 : 밸브
본고안은 생수를 장기간 보관하여 음용할 수 있게 한 생수통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생수통에 공급되는 외기가 살균 필터에 의해 여과되어 공급되게 함으로서 생수통을 개봉한 후에도 생수가 오염원으로 부터 보호될 수 있게 한 것이다. 수질 오염이 심각한 근래에 들어 생수의 수요량은 갈수록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살균처리된 생수는 생수통에 담겨진 상태에서 밀봉처리되어 수요자에게 공급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생수통은 수요자가 밀봉상태를 개봉하게 되면 먼지 및 세균이 포함된 외기가 생수통 내로 유입되기 때문에 생수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기일이 짧아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예를 들면 현재 가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생수통 재치대의 경우 개봉된 생수통의 입구를 통해 외기중의 먼지 및 세균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생수통을 거꾸로 세우도록 되어있어 생수통의 교환이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생수통의 교환시 생수를 흘리게 되는 일이 빈번히 발생 하였다. 또한 나들이시 야외에 생수통을 가져가게 되는 경우에는 개봉된 입구를 통해 생수통 내로 외기에 포함된 먼지 및 세균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었으며, 이렇게 먼지 및 세균이 유입된 생수는 쉽게 변질되기 때문에 음용하고 남은 생수가 있더라도 버릴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개봉된 생수통에 외기가 살균 필터를 통해 공급되게 하여 외기 중에 포함된 먼지 및 세균이 생수통 내로 유입되지 않게 하여 생수통을 개봉한 상태에서도 생수를 장기간 음용할 수 있게 함으로서 예를 들어 야외에서도 위생적인 생수를 음용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남은 생수도 버리지 않고 음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생수가 생수통 하부의 밸브에 의해 배출될 수 있게 하여 재치대에 생수통을 거꾸로 세워지게 재치할 필요가 없게 함으로서 생수통의 교환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생수통의 교환시 생수를 흘릴 염려가 없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본고안의 목적은 입구에 외부 밀봉마개가 구비된 생수통에 있어서, 생수통의 입구에 삽입설치된 내부 밀봉마개와, 상기 내부 밀봉마개에 천공된 공기 유입공과, 상기 공기 유입공에 삽착된 호오스와, 상기 호오스의 끝에 설치된 결합편과, 상기 결합편에 끼워맞춰지는 끼움편이 하부에 구비된 호오스와, 상기 호오스에 연결되게 설치된 살균 필터와, 상기 생수통의 하부에 설치되어 생수 유출로를 개폐하는 밸브로 구성된 생수통에 의하여 달성되어진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입구(11)애 외부 밀봉마개(20)가 구비된 생수통(10)에 있어서, 생수통(10)의 입구(11)에 삽입설치된 내부 밀봉마개(30)와, 상기 내부 밀봉마개(30)에 천공된 공기 유입공(31)과, 상기 공기 유입공(31)에 삽착된 호오스(40)와, 상기 호오스(40)의 끝에 설치된 결합편(41)과, 상기 결합편(41)에 끼워맞춰지는 끼움편(51)이 하부에 구비된 호오스(50)와, 상기 호오스(50)에 연결되게 설치된 살균 필터(60)와, 상기 생수통(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생수 유출로(70)를 개폐하는 밸브(71)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의 생수통(10)은 외부 밀봉마개(20)에 의해 입구(11)가 밀봉된 상태에서 수요자에게 공급되며, 생수를 구입한 수요자가 생수를 음용하기 위해서는 외부 밀봉마개(20)를 제거 하여야 한다.
외부 밀봉마개(20)를 제거한 상태에서 살균 필터(60)측의 끼움편(51)을 내부 밀봉마개(30)측의 결합편(41)에 끼워 결합하고, 생수통(10) 하부의 밸브(71)로 유출로(70)를 열어주면 생수통(10)내의 생수가 유출로(7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이를 수요자가 음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외기는 살균 필터(60)를 통과하면서 먼지 및 각종 세균이 여과처리 된 상태에서 호오스(50)(40)를 통해 생수통(10)내로 유입되기 때문에 생수가 오염될 염려가 없게 되어 외부 밀봉마개(20)를 개봉 한 후에도 생수가 오염될 염려가 없어 생수를 장기간 안심하고 음용할 수 있게 된다.
외부 밀봉마개(20)를 개봉한 후에도 생수가 오염될 염려가 없다는 것은 예를 들어 나들이시 생수를 음용하기 위하여 외부 밀봉마개(20)를 개봉하여도 생수를 암심하고 음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음용하고 남은 생수를 버리지 않고 가지고와 음용할 수 있어 경제적인 효과도 있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외부 밀봉마개(20)를개봉한 후에도 생수가 오염될 염려없이 장기간 보존 될 수 있다는 것은 생수통(10)의 용량을 현재보다 크게 하더라도 생수의 보관에 아무런 문제가 생기지 않아 전체적으로 볼 때 생수통(10)의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생수통(10)은 생수가 하부의 유출로(7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재치대를 사용할 때 생수통(10)을 거꾸로 세울 필요가 없어 생수통(10)의 교환이 용이하며, 생수통(10)을 교환시 생수를 흘릴 염려가 없는 것이다. 본고안에 사용되는 살균필터(60)는 먼지 및 각종 세균을 제거할 수 있게한 공지의 것이며, 생수통(10)을 교체할 경우에는 교체되는 생수통(10)에 설치하여 사용하면 되는데 이때 끼워맞춰지는 끼움편(51)과 결합편(41)은 알코올 등으로 닦아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본고안은 개봉된 생수통(10)에 외기가 살균 필터(60)를 통해 공급되게 하여 외기 중에 포함된 먼지 및 세균이 생수통(10) 내로 유입되지 않게 하여 생수통(10)을 개봉한 상태에서도 생수를 장기간 음용할 수 있게 함으로서 예를 들어 야외에서도 위생적인 생수를 음용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남은 생수도 버리지 않고 음용할 수 있게 하고, 생수가 생수통(10) 하부의 밸브(71)에 의해 배출될 수 있게 하여 재치대에 생수통(10)을 거꾸로 세워지게 재치할 필요가 없게 함으로서 생수통(10)의 교환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생수통(10)의 교환시 생수를 흘릴 염려가 없게 한 것이다.

Claims (1)

  1. 입구(11)에 외부 밀봉마개(20)가 구비된 생수통(10)에 있어서, 생수통(10)의 입구(11)에 삽입설치된 내부 밀봉마개(30)와, 상기 내부 밀봉마개(30)에 천공된 공기 유입공(31)과, 상기 공기 유입공(31)에 삽착된 호오스(40)와, 상기 호오스(40)의 끝에 설치된 결합편(41)과, 상기 결합편(41)에 끼워맞춰지는 끼움편(51)이 하부에 구비된 호오스(50)와 상기 호오스(50)에 연결되게 설치된 살균 필터(60)와, 상기 생수통(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생수 유출로(70)를 개폐하는 밸브(71)를 포함하는 생수를 장기간 보관하여 음용할 수 있게 한 생수통.
KR2019950016405U 1995-07-05 1995-07-05 생수를 장기간 보관하여 음용할 수 있게 한 생수통 KR01167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6405U KR0116728Y1 (ko) 1995-07-05 1995-07-05 생수를 장기간 보관하여 음용할 수 있게 한 생수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6405U KR0116728Y1 (ko) 1995-07-05 1995-07-05 생수를 장기간 보관하여 음용할 수 있게 한 생수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5660U KR970005660U (ko) 1997-02-19
KR0116728Y1 true KR0116728Y1 (ko) 1998-04-24

Family

ID=19417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6405U KR0116728Y1 (ko) 1995-07-05 1995-07-05 생수를 장기간 보관하여 음용할 수 있게 한 생수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6728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77250A1 (en) * 2011-06-22 2012-12-27 Allpure Technologies, Inc. Vessel closures and methods for using and manufacturing same
US9376305B2 (en) 2011-06-22 2016-06-28 Allpure Technologies, Inc. Fluid transfer interface
US10647565B2 (en) 2013-12-06 2020-05-12 Sartorius Stedium North America, Inc. Fluid transfer interface
US10773863B2 (en) 2011-06-22 2020-09-15 Sartorius Stedim North America Inc. Vessel closures and methods for using and manufacturing same
US11319201B2 (en) 2019-07-23 2022-05-03 Sartorius Stedim North America Inc. System for simultaneous filling of multiple containers
US11577953B2 (en) 2017-11-14 2023-02-14 Sartorius Stedim North America, Inc. System for simultaneous distribution of fluid to multiple vessel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11691866B2 (en) 2017-11-14 2023-07-04 Sartorius Stedim North America Inc. System for simultaneous distribution of fluid to multiple vessel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86959B2 (en) 2011-06-22 2019-11-26 Sartorius Stedim North America Inc. Fluid transfer interface
WO2012177250A1 (en) * 2011-06-22 2012-12-27 Allpure Technologies, Inc. Vessel closures and methods for using and manufacturing same
EP2723647A4 (en) * 2011-06-22 2015-01-21 Allpure Technologies Inc CONTAINER CLOSURE DEVICES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US9376305B2 (en) 2011-06-22 2016-06-28 Allpure Technologies, Inc. Fluid transfer interface
US10006567B2 (en) 2011-06-22 2018-06-26 Sartorius Stedim North America, Inc. Vessel closures and methods for using and manufacturing same
EP3357830A1 (en) * 2011-06-22 2018-08-08 Sartorius Stedim North America Inc. Vessel clos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EP2723647A1 (en) * 2011-06-22 2014-04-30 Allpure Technologies, Inc. Vessel closures and methods for using and manufacturing same
US11584571B2 (en) 2011-06-22 2023-02-21 Sartorius Stedim North America Inc. Vessel closures and methods for using and manufacturing same
US10773863B2 (en) 2011-06-22 2020-09-15 Sartorius Stedim North America Inc. Vessel closures and methods for using and manufacturing same
US10647565B2 (en) 2013-12-06 2020-05-12 Sartorius Stedium North America, Inc. Fluid transfer interface
US11577953B2 (en) 2017-11-14 2023-02-14 Sartorius Stedim North America, Inc. System for simultaneous distribution of fluid to multiple vessel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11623856B2 (en) 2017-11-14 2023-04-11 Sartorius Stedim North America Inc. System for simultaneous distribution of fluid to multiple vessel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11691866B2 (en) 2017-11-14 2023-07-04 Sartorius Stedim North America Inc. System for simultaneous distribution of fluid to multiple vessel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11319201B2 (en) 2019-07-23 2022-05-03 Sartorius Stedim North America Inc. System for simultaneous filling of multiple contain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5660U (ko) 1997-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88397A (en) Combination bottle cap and filter
CA2434952C (en) Bottled water discharging apparatus
JPH03503273A (ja) 液体容器の支持体および液体の衛生的ディスペンス機構
US5567322A (en) Water cooler filtration device
WO1996016879A1 (en) Container cap and assembly for sipping liquids
EP3762123B1 (en) A beverage filtration device
KR0116728Y1 (ko) 생수를 장기간 보관하여 음용할 수 있게 한 생수통
WO2006021966A1 (en) Improvement in or relating to personal filter bottle
MXPA02007965A (es) Jarra con filtro con tolva para hielo.
US9963337B2 (en) Tank with an integral filter and beverage dispensing appliance comprising such a tank
JP2005335713A (ja) 飲料水供給装置用ボトル容器
JP3102953U (ja) 液体包装体
JPS58171356A (ja) 化学薬品用容器
JP3031206U (ja) 新型プラスチック飲料水罐蓋
KR20110135717A (ko) 제균 기능을 갖는 밀폐형 체크밸브 디스펜서 시스템
WO1999029394A1 (en) Universal filter for soda pop and bottled water bottles
GB2314497A (en) Drinking vessel
JP2507022Y2 (ja) 液体流出装置
JPH07187295A (ja) 飲料水ディスペンサー
JPH0238249B2 (ko)
KR970003812Y1 (ko) 1회용 팩이 내장된 용기
KR200189405Y1 (ko) 생수통과 냉온수기 간의 연결 지지장치
KR102496078B1 (ko) 필터가 내장된 휴대용 물병 뚜껑
KR930000765Y1 (ko) 생수저장통의 오염방지장치
JP7401139B2 (ja) 飲料容器注入口結合型浄水フィル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